KR20170034320A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320A
KR20170034320A KR1020160114531A KR20160114531A KR20170034320A KR 20170034320 A KR20170034320 A KR 20170034320A KR 1020160114531 A KR1020160114531 A KR 1020160114531A KR 20160114531 A KR20160114531 A KR 20160114531A KR 20170034320 A KR20170034320 A KR 2017003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eripheral
movement
seal r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172B1 (ko
Inventor
게이 시모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7003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27Telescopic characterised by the piston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8Sealings in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과제) 피스톤의 복동시의 저항을 복동 개시와 동시에 가급적으로 감소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피스톤(1)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2)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피스톤(1)은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를 둘러싸는 밀봉 링(1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11)에 있어서의 외주부(11d)에 상기 실린더(2)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11a)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4)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1e)에 상기 몸통부(10)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10d)에 대한 제 2 밀봉부(11b)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0)의 외측에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을 따른 상기 밀봉 링(11)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10)와 상기 밀봉 링(11)의 내주부(11c)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s)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는 지지 리브부(10g)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댐퍼{DAMPER}
본 발명은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것이 있다.
상기 댐퍼에 있어서는, 압력실을 확장하는 방향의 피스톤의 왕동(往動)시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압력실을 축소하는 방향의 피스톤의 복동(復動)을 저항 적게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왕동시에는 피스톤(100)의 외측을 둘러싸는 밀봉 링(300)의 외주부가 실린더(200)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합함과 아울러, 내주부가 피스톤(100)의 몸통부(101)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한편, 밀봉 링(300)은 피스톤(100)의 몸통부(101)에 피스톤(10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 범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복동시에는 압력실(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내주부를 피스톤(100)의 몸통부(101)에 형성한 통기 홈(102) 위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복동시에는 상기 통기 홈(102)을 통한 압력실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복동을 저항 적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복동시의 배기는 상기 통기 홈(102)을 통한 한정적인 것에 머물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배기를 확보시키기 위해서는 밀봉 링(300)이 그 내주부를 상기 통기 홈(102) 위에 위치시키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고, 상기 복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타임래그(time lag)없이 상기 배기를 확보시키는 것은 그 구조상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13-2428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댐퍼에 있어서, 이것을 구성하는 피스톤의 복동시의 저항을, 상기 복동 개시와 동시에 가급적으로 감소 가능하게 하여 상기 댐퍼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이른바 원웨이 댐퍼화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서는 댐퍼를,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피스톤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둘러싸는 밀봉 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前端部)에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에 대한 제 2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밀봉 링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밀봉 링의 내주부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는 댐퍼를,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피스톤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둘러싸는 밀봉 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에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에 대한 제 2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의 외측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밀봉 링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밀봉 링의 내주부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압력실을 확대시키는 피스톤의 왕동시는 밀봉 링의 제 1 밀봉부가 실린더의 내벽에 접하고, 또한, 제 2 밀봉부가 둘레 벽부에 접하여 실린더와 피스톤의 몸통부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피스톤의 왕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피스톤의 복동시는 밀봉 링의 제 2 밀봉부와 둘레 벽부를 이간시킬 수 있다. 밀봉 링의 내주부와 몸통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의 이동 틈새에 의해 압력실 내로부터의 유체의 배출 유로는 가급적으로 최대화된다. 피스톤이 복동됨과 동시에 상기 둘레 벽부와 밀봉 링의 제 2 밀봉부는 이간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복동의 처음부터 상기 복동을 저항 적게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를 상기 피스톤의 이동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구비하도록 하여 두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를 상기 둘레 벽부에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측으로 일어서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시켜 두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의 외주부를 상기 제 1 밀봉부로 하는 둘레 돌출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둘레 돌출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슬라이딩 접합부로 하는 내측 둘레 돌출부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도 크도록 한 것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제 2 밀봉부를 상기 밀봉 링의 전단부에 형성시킨 둘레 돌조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에 있어서, 이것을 구성하는 피스톤의 복동시의 저항을, 상기 복동 개시와 동시에 가급적으로 감소 가능하게 하여, 상기 댐퍼를 합리적이고 적절하게 이른바 원웨이 댐퍼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제 1 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피스톤의 왕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기 제 1 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피스톤의 복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 제 1 예를 구성하는 로드를 구비한 피스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제 2 예)의 주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이며, 피스톤의 왕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상기 제 2 예의 주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이며, 피스톤의 복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상기 제 2 예를 구성하는 밀봉 링의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제 3 예)를 구성하는 피스톤의 주요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댐퍼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피스톤의 왕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종래의 댐퍼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피스톤의 복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댐퍼는 이것을 구성하는 피스톤(1)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전형적으로는, 제동 대상이 되는 가동부 등(도시는 생략한다)을 구비하는 물품에 조합되어 상기 제동 대상의 이동에 대해 상기 제동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제동 대상의 이동을 천천히 한 것, 고급감을 가진 것, 절도를 가진 것, 내지는 엉뚱한 것으로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댐퍼는 피스톤(1)과, 상기 피스톤(1)을 수납하는 실린더(2)로 이루어진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피스톤(1)은 로드(3)의 내단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상기 댐퍼는 로드(3) 및 실린더(2)의 어느 한쪽을 상기 제동 대상 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연계시키고, 이들의 타방을 상기 제동 대상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연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동 대상을 구비한 물품에 조합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실린더(2)는 원통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의 형상은 예를 들면 편평(扁平) 원통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상관없다.
도시의 예에서는, 실린더(2)의 일방의 통단(筒端)은 중앙에 유체의 통과 구멍(20a)을 구비한 벽부(2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과 상기 벽부(20)의 사이가 압력실(4)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2)의 타방의 통단은 중앙에 상기 로드(3)의 통과부(21a)를 구비한 캡(21)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벽부(20)는 개방된 일단을 실린더(2)의 일방의 통단과 동일면 위에 위치시키고 그 나머지의 개소를 실린더(2) 내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는 통 형상 돌출부(20b)와, 상기 통 형상 돌출부(20b)의 상기 개방된 일단과 실린더(2)의 일방의 통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둘레 면부(20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 형상 돌출부(20b) 내에는 상기 통 형상 돌출부(20b)의 바닥부의 중앙에 일단을 일체화시켜 통 형상 돌출부(20b)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관체(管體, 20d)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20d)의 내부를 통해서 실린더(2)의 내외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관체(20d)가 상기 통과 구멍(20a)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벽부(20)의 외측에는 상기 통과 구멍(20a)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축부(22a)를 구비한 가동체(22)가 실린더(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22)와 벽부(20)의 사이에는 도면 중 부호 "23"으로 나타내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끼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23)에 의해 가동체(22)는 기준 위치(도 2의 위치)에 위치 지워지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1)의 상기 벽부(20)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압력실(4)을 확대시키는 방향의 이동[이하, 상기 방향의 피스톤(1)의 이동을 왕동으로, 상기 왕동과 반대 방향의 피스톤(1)의 이동을 복동으로 부른다.]은 상기 통과 구멍(20a)을 통한 유체의 이동,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통과 구멍(20a)을 통한 통기에 의해서 허용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피스톤(1)이 왕동되는 것에 의한 압력실(4)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23)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가동체(22)가 벽부(20)와의 거리를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22)의 이동량이 커지면 커질수록 상기 통과 구멍(20a)으로의 상기 축부(22a)의 진입량이 커지기 때문에 유체는 통과 구멍(20a)을 통과하기 어려워지고, 피스톤(1)은 왕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도시의 예에서는, 피스톤(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가동체(22)의 이동량을 크게 하여 피스톤(1)의 이동에 대한 제동력이 커지도록 하고 있다. 즉, 도시의 예의 댐퍼는 이른바 속도 응답형 내지는 하중 응답형의 댐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로드(3)는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드(3)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2)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에는 상기 연계를 위한 브래킷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2)의 측부의 외측에는 도면 중 부호 "24"로 나타내는 상기 연계를 위한 브래킷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은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를 둘러싸는 밀봉 링(11)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몸통부(10)는 도시의 예에서는, 짧은 치수의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몸통부(10)에 있어서의 실린더(2)의 상기 벽부(20)의 내면에 마주보는 통단측, 즉, 압력실(4)에 면한 통단측은 개방되고, 이것과 반대의 통단측은 폐색되어 있다. 상기 로드(3)의 내단은 몸통부(10)의 폐색 개소(10a)의 외면 중앙에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압력실(4)에 면한 측에 위치하는 개방 가장자리에는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의 형성 위치에서의 몸통부(10)의 외경은 실린더(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와 폐색 개소(10a)의 사이에는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의 형성 위치에서의 몸통부(10)의 외경은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의 형성 위치에서의 몸통부(10)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내경은 상기 통 형상 돌출부(20b)를 수용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피스톤(1)이 복동이 멈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는 상기 둘레 면부(20c)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상기 통 형상 돌출부(20b)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봉 링(11)은 전형적으로는 고무나 고무 형상 탄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 링(11)에 있어서의 외주부(11d)에 상기 실린더(2)의 측부의 내벽(25)에 대한 제 1 밀봉부(11a)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4)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1e)에 상기 몸통부(10)로부터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벽부이며, 피스톤(1)의 이동 중심축(x', 도 5 참조)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둘레 벽부(10d)에 후방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밀봉부(11b)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밀봉 링(11)은 실린더(2)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최대 외경을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원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밀봉 링(11)에 있어서의 피스톤(1)의 이동 방향(x, 도 2 참조)의 치수는 상기 몸통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와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으며, 또한,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와 후술의 이동 규제부(10j)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고, 이에 따라, 밀봉 링(11)은 피스톤(1)의 왕동시는 상기 전단부(11e)를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에 마주보는 측의 면부(10c)에 꽉 누르고, 한편, 피스톤(1)의 복동시는 상기 전단부(11e)와 상기 면부(10c)는 이간하도록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을 따른 소정의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에 마주보는 측의 면부(10c)가 상기 둘레 벽부(10d)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0)의 외측에는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을 따른 상기 밀봉 링(11)의 상기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10)와 상기 밀봉 링(11)의 내주부(11c)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s)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지지 리브부(1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리브부(10g)는 상기 피스톤(1)의 이동 중심축(x', 도 5 참조)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리브부(10g)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구비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부(10g)는 상기 피스톤(1)의 이동 중심축(x')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 90도 간격으로 4개소 설치되어 있다(도 6).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부(10g)는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조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밀봉 링(11)은 상기 지지 리브부(10g)에 내주부(11c)가 지지되어 외주부(11d)를 실린더(2)의 측부의 내벽(25)에 슬라이딩 접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4개소의 지지 리브부(10g)의 돌출단을 통과하는 가상의 원(R1, 도 6 참조)의 직경은 밀봉 링(1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압력실(4)을 확대시키는 피스톤(1)의 왕동시는 밀봉 링(11)의 제 1 밀봉부(11a)가 실린더(2)의 측부의 내벽(25)에 접하고, 또한, 제 2 밀봉부(11b)가 둘레 벽부(10d)에 접하여 실린더(2)와 피스톤(1)의 몸통부(1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압력실(4)으로의 유체의 유입을 상기 통과 구멍(20a)으로 한정하여 피스톤(1)의 왕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할 수 있다. 피스톤(1)의 복동시는 밀봉 링(11)의 제 2 밀봉부(11b)와 둘레 벽부(10d)를 이간시킬 수 있다. 밀봉 링(11)의 내주부(11c)는 상기 지지 리브부(10g)에만 접하고 그 이외의 개소에서는 밀봉 링(11)의 내주부(11c)와 몸통부(10)의 사이는 모두 유체의 이동 틈새(s)가 되는 것으로부터(도 6 참조), 압력실(4) 내로부터의 유체의 배출 유로는 가급적으로 최대화된다. 즉, 피스톤(1)의 복동시는 압력실(4) 내의 유체는 상기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와 실린더(2)의 내벽(25) 사이, 상기 둘레 벽부(10d)와 밀봉 링(11)의 제 2 밀봉부(11b) 사이, 상기 이동 틈새(s),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와 실린더(2)의 내벽(25) 사이를 통해서 피스톤(1)의 후방으로 배출되고, 피스톤(1)의 복동, 피스톤(1)의 이동전 위치 즉 상기 복동 멈춤 위치로의 복동, 나아가서는 제동 대상물의 가동전 위치로의 복귀 동작을 저항 적게 원활하게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이 복동됨과 동시에 상기 둘레 벽부(10d)와 밀봉 링(11)의 제 2 밀봉부(11b)는 이간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복동의 처음부터 상기 복동을 저항 적게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의 댐퍼는 왕동시에만 제동 대상물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이른바 원웨이 댐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 리브부(10g)의 상기 압력실(4)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0h)는 상기 둘레 벽부(10d)에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 리브부(10g)의 후단부(10i)에 상기 실린더(2)의 내벽(25)측으로 일어서는 이동 규제부(10j)를 형성시키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이동 규제부(10j)는 지지 리브부(10g)와 일체를 이루고, 리브부(10g)와 같은 두께를 가지며, 돌출단을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와 동일면 위에 위치시키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지지 리브부(10g)의 후단부(10i)는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에 있어서의 제 1 둘레 외측 플랜지(10b)로 향해진 면(10f)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동 규제부(10j)는 하단을 지지 리브부(10g)의 후단부(10i)에 일체화시켜 상기 면(10f)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느러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도 3). 이에 따라, 피스톤(1)의 복동시에 밀봉 링(11)의 탈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밀봉 링(11)의 후단부(11f)의 후방에 상기 이동 틈새(s)에 연통한 틈새(s')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도 4).
또한, 이동 규제부(10j)는 상기 이동 틈새(s)를 통해서 피스톤(1)의 후방으로 유체를 배출 가능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형태의 것이면 충분하고, 상기 지지 리브부(10g)와 별체를 이루도록 상기 몸통부(10)의 외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1∼도 6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예에서는, 밀봉 링(11)은 그 직경 방향의 단면을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한 O링으로 되어 있다.
도 7∼도 9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예에서는, 밀봉 링(11)은 상기 압력실(4) 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1g)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을 상기 제 1 밀봉부(11a)로 하는 둘레 돌출부(11j)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예는 밀봉 링(11) 이외의 구성 부분을 상기 제 1 예와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예에서는, 밀봉 링(11)은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g)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을 상기 지지 리브부(10g)에 대한 슬라이딩 접합부로 하는 내측 둘레 돌출부(11k)를 더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예에서는,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상기 베이스부(11g)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의 상기 베이스부(11g)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베이스부(11g)는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단부(11e)와, 상기 실린더(2)의 내면에 마주보는 외측부(11h)와, 상기 몸통부(10)에 마주보는 내측부(11i)를 가지고 있다.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외면은 몸통부(10)의 외측부(11h)에 연속하고,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의 외면은 몸통부(10)의 내측부(11i)에 연속하며,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내면과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의 내면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부(11g)의 후방을 향한 면을 홈 바닥으로 하는 둘레 홈 형상부가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둘레 돌출부(11j) 및 내측 둘레 돌출부(11k)는 모두 짧은 치수의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1g)는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통전단과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의 통전단의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둘레 돌출부(11j)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밀봉 링(11)의 외경을 점증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11g)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밀봉 링(11)의 내경을 점증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11g)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둘레 돌출부(11j)를 실린더(2)의 내측으로 향하여 약간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그 돌출단측의 제 1 밀봉부(11a)를 가지고 실린더(2)의 측부의 내벽(25)에 슬라이딩 접합시킬 수 있으며, 밀봉 링(11)과 실린더(2) 사이의 밀봉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피스톤(1)의 복동시에는 상기 둘레 돌출부(11j)는 실린더(2)의 내측으로 휘기 쉬워 상기 복동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를 그 돌출단측을 가지고 밀봉 링(11)의 상기 소정 범위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로 상기 지지 리브부(10g)에 슬라이딩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밀봉부(11b)를 상기 밀봉 링(11)의 전단부(11e)에 형성시킨 둘레 돌조(11m)에 의해서 구성시키고 있으며, 밀봉 링(11)과 몸통부(10) 사이의 밀봉도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피스톤(1)의 왕동시에도 상기 둘레 돌출부(11j)의 내측이며,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11k)의 후방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1n)에 상기 제 2 둘레 외측 플랜지(10e) 및 이동 규제부(10j)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도 7), 피스톤(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피스톤(1)의 치수의 최소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제 3 예에서는, 밀봉 링(11)은 그 내주부(11c)에 몸통부(10)에 접하는 돌출부(11o)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1o)는 밀봉 링(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돌출부(11o, 11o)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도시의 예에서는, 4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3 예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11o)에 의해서 밀봉 링(11)의 내주부(11c)와 몸통부(10)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s)를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제 3 예에서는, 몸통부(10)측에는 지지부로서의 지지 리브부(10g)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지만, 서로 이웃하는 돌출부(11o, 11o) 사이에 지지 리브부(10g)가 위치되도록 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3 예의 그 나머지의 구성 부분은 상기 제 1 예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당연한 일이면서,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피스톤 10: 몸통부
10d: 둘레 벽부 10g: 지지 리브부
11: 밀봉 링 11a: 제 1 밀봉부
11b: 제 2 밀봉부 11d: 외주부
11e: 전단부 2: 실린더
4: 압력실 x: 피스톤(1)의 이동 방향
s: 이동 틈새

Claims (12)

  1.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피스톤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둘러싸는 밀봉 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에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에 대한 제 2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밀봉 링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밀봉 링의 내주부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피스톤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피스톤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둘러싸는 밀봉 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에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에 대한 제 2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의 외측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밀봉 링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밀봉 링의 내주부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피스톤의 이동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는 상기 둘레 벽부에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측으로 일어서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전단부는 상기 둘레 벽부에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벽측으로 일어서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의 외주부를 상기 제 1 밀봉부로 하는 둘레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압력실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의 외주부를 상기 제 1 밀봉부로 하는 둘레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둘레 돌출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슬라이딩 접합부로 하는 내측 둘레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둘레 돌출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측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슬라이딩 접합부로 하는 내측 둘레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도 크도록 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상기 내측 둘레 돌출부의 상기 베이스부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도 크도록 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밀봉부를 상기 밀봉 링의 전단부에 형성시킨 둘레 돌조에 의해서 구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20160114531A 2015-09-18 2016-09-06 댐퍼 KR101867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4876 2015-09-18
JP2015184876 2015-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20A true KR20170034320A (ko) 2017-03-28
KR101867172B1 KR101867172B1 (ko) 2018-06-12

Family

ID=5828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31A KR101867172B1 (ko) 2015-09-18 2016-09-06 댐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26946B2 (ko)
EP (1) EP3351820B1 (ko)
JP (1) JP6628804B2 (ko)
KR (1) KR101867172B1 (ko)
CN (1) CN108027002B (ko)
ES (1) ES2794569T3 (ko)
WO (1) WO2017047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256A1 (ja) * 2017-04-12 2018-10-1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
US11761505B2 (en) * 2020-10-23 2023-09-19 Piolax, Inc. Damper device
JP7449885B2 (ja) 2021-02-15 2024-03-14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JP2022128690A (ja) * 2021-02-24 2022-09-05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7282U (ko) * 1977-05-17 1978-12-09
JP2000074122A (ja) * 1998-08-31 2000-03-07 Showa Corp 車両用緩衝器
KR20090131665A (ko) * 2008-06-18 2009-12-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장치
JP2013024285A (ja) 2011-07-19 2013-02-04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WO2015093548A1 (ja) * 2013-12-19 2015-06-25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06Y2 (ja) * 1978-02-28 1985-01-30 松下電工株式会社 引戸のダンパ−装置
JPS633013Y2 (ko) * 1980-09-19 1988-01-25
JPS5825062B2 (ja) 1980-09-22 1983-05-25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改質されたセメント組成物
JP4041812B2 (ja) * 2004-07-14 2008-0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ダンパ
JP2006090502A (ja) * 2004-09-27 2006-04-06 Nifco Inc ダンパー用連結装置
CN2918876Y (zh) * 2006-03-06 2007-07-04 付猛 单缸的气压弹性和回弹一体式装置
CN200999823Y (zh) * 2006-11-07 2008-01-02 李康玉 液压阻尼器
JP5022106B2 (ja) * 2007-03-30 2012-09-12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JP5048453B2 (ja) * 2007-10-25 2012-10-17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
US20100127606A1 (en) * 2008-11-25 2010-05-27 Mansfield Assemblies Co. Slow open slow close appliance hinge assembly
CN201496465U (zh) * 2009-06-30 2010-06-02 隆昌山川精密焊管有限责任公司 用于气弹簧的活塞
CN201513503U (zh) * 2009-09-15 2010-06-23 卫德义 高精密液压阻尼器
JP5552412B2 (ja) * 2010-10-26 2014-07-16 株式会社ニフコ ピストンダンパー
US20120175830A1 (en) 2011-01-07 2012-07-12 Ching-Chuan Yang Buff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7282U (ko) * 1977-05-17 1978-12-09
JP2000074122A (ja) * 1998-08-31 2000-03-07 Showa Corp 車両用緩衝器
KR20090131665A (ko) * 2008-06-18 2009-12-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장치
JP2013024285A (ja) 2011-07-19 2013-02-04 Nifco Inc ダンパー装置
WO2015093548A1 (ja) * 2013-12-19 2015-06-25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1820A1 (en) 2018-07-25
EP3351820A4 (en) 2019-05-22
CN108027002B (zh) 2020-05-19
US10626946B2 (en) 2020-04-21
US20180259026A1 (en) 2018-09-13
CN108027002A (zh) 2018-05-11
JPWO2017047775A1 (ja) 2018-03-29
JP6628804B2 (ja) 2020-01-15
EP3351820B1 (en) 2020-04-08
WO2017047775A1 (ja) 2017-03-23
ES2794569T3 (es) 2020-11-18
KR101867172B1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172B1 (ko) 댐퍼
US9909638B2 (en) Hydraulic suspension damper with hydro-mechanical stroke stop
US9296279B2 (en) Vehicle sun visor
KR200487180Y1 (ko) 유체압 실린더
JP6154492B2 (ja) ダンパー装置
US20100072248A1 (en) Nailing force-adjusting device for a pneumatic nail gun
KR100877613B1 (ko) 완충기
KR102089119B1 (ko) 마스터 실린더
JP2018071595A (ja) ダンパー
EP2469121B1 (en) Damper device
JP6688620B2 (ja) エアダンパー
WO2018174024A1 (ja) エアダンパー
JP2018048719A (ja) 緩衝器
JP2001132790A (ja) 油圧緩衝器
JP6810603B2 (ja) シリンダ装置
JP2009024817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JP2020041650A (ja) ダンパ
WO2022181353A1 (ja) ダンパー装置
JP2018112232A (ja) 油圧緩衝器用密封装置
JP4997332B2 (ja) ダストブーツ
JP200902481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JP5552562B2 (ja) ピストンダンパー
JP5132385B2 (ja) ピストン部構造
JP2007298062A (ja) ディテント構造
JP5552561B2 (ja) ピストン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