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840A -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840A
KR20090124840A KR1020080051266A KR20080051266A KR20090124840A KR 20090124840 A KR20090124840 A KR 20090124840A KR 1020080051266 A KR1020080051266 A KR 1020080051266A KR 20080051266 A KR20080051266 A KR 20080051266A KR 20090124840 A KR20090124840 A KR 2009012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antistatic agent
film
laminated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강한준
한희식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4840A/ko
Priority to CN200980113825.1A priority patent/CN102007003B/zh
Priority to JP2011502873A priority patent/JP5328890B2/ja
Priority to PCT/KR2009/002875 priority patent/WO2009145586A2/ko
Publication of KR2009012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는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층에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전체 필름에 대한 상기 대전 방지제 함량 비율이 1% 이상 30%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 스크래치, 폴더티, 영구대전방지, 흡습성

Description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LCD), 브라운관(CRT), 피디피(PDP) 등과 같은 전자제품용이나 또는 건축 유리 자재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브라운관(CRT), 피디피(PDP) 등과 같은 각종 표시 장치 또는 건축 유리 자재 등의 제품에는 제품의 조립, 제조, 운송, 보관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따른 먼지나 이물 또는 스크래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와 같은 손상을 방지하고자 보호 필름이 사용된다.
위와 같은 보호 필름으로서, 예컨대, 고분자 필름에 점착제가 도포된 보호 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하드 코팅을 한 보호 필름이 있고, 이들 필름에 슬립제나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한 것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종래의 보호 필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송 중 보호 필름과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인 피착제 사이에 슬립성이 없으므로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이른바 폴 더티(pol-dirty)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 불량이 발생한다.
나아가, 슬립제 등과 같은 첨가제 삽입 시에는 골주름이 발생하고, 대전 방지제가 첨가된 경우 습도 향상 시 대전 방지제가 이동(migration)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슬립차를 야기하고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대전방지성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오염 및 스크래치 발생으로 인한 폴더티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골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습도가 향상되는 경우라도 백화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립성도 양호한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는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을 공압출 시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를 수지에 첨가하여 공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따르면, 양호한 대전방지성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먼 지나 이물질 등의 오염 및 스크래치 발생으로 인한 폴더티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골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습도가 향상되는 경우라도 백화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립성도 양호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 1 스킨층과 제 2 스킨층이 형성되는 필름 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피착제와 인접하는 스킨층에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상기 제 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는 경우에, 상기 중간층에 추가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될 수 있다. 그러나, 중간층에만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첨가되는 것은 슬립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는 기본적으로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성형시 수지 중에 분산 고정화되어 전하를 포착 후 수지 내부에서 이동시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한다. 따라서 대전 방지성이 오래 지속되고 물성 변화가 적으며 표면 특성 변화도 심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고분자와 함께 성형하는 경우에 상용성이 좋다.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에틸렌 아크릴산 코폴리머, 에틸렌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에틸렌 크로로아크릴산 코폴리머, 에틸렌 크로톤산 코폴리머, 에틸렌 이타콘산 코폴리머, 에틸렌 말레산 코폴리머, 에틸렌 푸마르산 코폴리머, 에틸렌 시트콘산 코폴리머, 에틸렌 메사콘산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계면 활성제형 대전방지제와 대비하여 블리드 아웃(bleed out)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접촉물의 오염이 적고, 특히 백화 현상이나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로서 흡습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성이 부족한 플라스틱은 전기 절연성이 높고 마찰 등으로 인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쉽다. 이러한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외에 금속염이나 다가 알콜 성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금속염이나 다가 알콜 성분은 흡습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성에 유용하다.
상기 금속염은 예를 들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고, 칼륨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콜은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이다.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사용량은 두께를 고려하여 전체 필름(즉, 제 1 스킨층/중간층/제 2 스킨층)에 대한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킨층, 중간층 및 제 2 스킨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각 해당 층의 두께를 고려한 전체 필름에 대한 대전방지제 함량 비 율(%)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한다.
[∑(Ti×Ai) / (∑(Ti ×Wi)+∑(Ti×Ai))]×100
여기서, T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예컨대, 제1 스킨층, 중간층, 제2스킨층은 각각 1번층, 2번층, 3번층이 되거나 거꾸로 각각 3번층, 2번층, 1번층이 될 수 있다)의 두께, W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에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제외한 구성 성분의 중량부, A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의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중량부이다.
이에 따라 정해지는 두께를 반영한 전체 필름에 대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 함량 비율(%)은 1% 이상 30%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대전 방지성이 나오기 어렵다. 상기 함량이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피착제와 접하는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에 함유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중량부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공압출 필름의 제1 스킨층 : 중간층 : 제2 스킨층 두께 비가 3 : 4 : 3일 경우,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피착제와 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스킨층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비에서 상기 4 중량부 미만에서는 대전방지성이 나오기 어렵다(아래 표 1 및 3의 실시예 및 비교예 참조).
또한, 공압출 필름의 제1 스킨층 : 중간층 : 제2 스킨층 두께 비가 1 : 8 : 1일 경우,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피착제와 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스킨층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비에서 상기 10 중량부 미만에서는 대전방지성이 나오기 어렵다(아래 표 2 및 4의 실시예 및 비교예 참조).
상기 피착제와 접하는 제1 또는 제2 스킨층에서는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상기 피착제와 접하는 제1 또는 제2 스킨층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3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대전방지제가 피착제와 인접하는 스킨층에 적용되는 경우라도 대전방지제의 이동(migration)이 없고 블리드 아웃(bleed out)의 발생이 없어서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대전방지성 및 슬립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 또는 스킨층(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의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또는 폴리메타그릴산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름(제1스킨층/중간층/제2스킨층)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양측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와 같이 두 층으로 필름을 형성한 경우에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상층 필름에 형성될 수 있고, 하층 필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일반 수지 필름을 가운데 놓고 그 양측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필름(제1스킨층/중간층/제2스킨층) 2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일반 수지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이거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이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일반 수지 필름은 상기 적층 필름의 수지 구성처럼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또는 폴리메타그릴산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수지를 사용한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일반 수지 필름의 일측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제1스킨층/중간층/제2스킨층) 1장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과 그 양측의 제 1 스킨층 및 제 2 스킨층을 형성하여 3층의 공압출 필름을 만든다. 여기서 공압출 시,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제 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 나아가, 상기 제 1 스킨층 또는 상기 제 2 스킨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는 경우에 상기 중간층에 추가로, 상기한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상기 수지의 컴파운딩이나 마스터 배치에 넣고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공압출된 필름 2장을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의 접착제를 이 용하여 라미네이션한다. 상기 3층의 공압출 필름 2장을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스티프니스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하는 "비교예"라는 표현은 단지 실시예로 설정한 일부 예에 대한 비교의 의미로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주에서 제외된다는 의미에서 사용한 것이 아니다.
[실험 1 - 고분자계 대전방지제 함량에 따른 실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스킨층,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 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공압출 필름을 구성하였다. 상기 제 1 스킨층을 피착제와 접하는 층으로 하였다.
3층 공압출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스킨층 : 중간층 : 제 2 스킨층이 10~30㎛ : 40~80㎛ : 10~30㎛로 정해진다. 본 실험에서는 두께에 대한 영향을 함께 평가하고자 제 1 스킨층 : 중간층 : 제 2 스킨층의 두께비가 각각 3 : 4 : 3인 경우(아래 표 1의 경우) 및 1 : 8 : 1인 경우(아래 표 2의 경우)에 대하여 모두 실험하여 보았다.
에틸렌 메타크릴산 코폴리머인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듀폰-미쯔이 석유 화학 제품)를 아래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하였다. 아래 표들에서 예컨대 실시예 1-1(또는 실시예 2-1)의 4중량부란 해당 스킨층 중 대전방지제를 제외한 나머 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서 대전방지제가 4중량부 들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아래 표에서 두께를 고려한 전체 필름에 대한 대전방지제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된 것이다. 그 계산의 구체적인 일예로서, [수학식 1]에 따라 아래 [표 1]의 실시예 1-1을 계산하면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15㎛×4중량부) / (15㎛×100중량부 + 20㎛×100중량부 + 15㎛×100중량부)+(15㎛×4중량부)]×100 = 1.2%
또 다른 예로서, [수학식 1]에 따라 아래 [표 2]의 실시예 2-1을 계산하면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5㎛×4중량부) / (5㎛×100중량부 + 40㎛×100중량부 + 5㎛×100중량부)+(5㎛×4중량부)]×100 = 0.4%
제1 스킨층 (15㎛) 중간층 (20㎛) 제2 스킨층 (15㎛) 두께를 고려한 전체 필름에 대한 대전방지제 함량 비율(%)
실시예 1-1 4 중량부 - - 1.2
실시예 1-2 10 중량부 - - 3
실시예 1-3 30 중량부 - - 8.7
실시예 1-4 10 중량부 10 중량부 10 중량부 9
실시예 1-5 20 중량부 20 중량부 20 중량부 16.7
실시예 1-6 5 중량부 - 5 중량부 2.9
실시예 1-7 30 중량부 - 30 중량부 15
비교예 1-1 3 중량부 - - 0.89
비교예 1-2 31 중량부 - - 8.5
제1 스킨층 (5㎛) 중간층 (40㎛) 제2 스킨층 (5㎛) 두께를 고려한 전체 필름에 대한 대전제 함량 비율(%)
비교예 2-1 4 중량부 - - 0.4
실시예 2-1 10 중량부 - - 1
실시예 2-2 30 중량부 - - 2.9
실시예 2-3 10 중량부 10 중량부 10 중량부 10
실시예 2-4 20 중량부 20 중량부 20 중량부 20
실시예 2-5 5 중량부 - 5 중량부 1
실시예 2-6 30 중량부 - 30 중량부 5.7
비교예 2-2 3 중량부 - - 0.3
비교예 2-3 31 중량부 - - 3.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대전방지성 및 스크래치 발생 여부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대전 방지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STM-D257에 따라 울프강 바름비에르 사(wolfgang warmbier)의 SRM-110기로 표면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을 측정하였다. 참고로, 표면 저항(단위 : Ω)은 1012 이하로 관리하여야 마찰에 의한 이물 및 먼지가 달라붙지 않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스크래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LCD 패널에 해당 필름을 부착하여 제품을 포장한 다음 1.5~2.0 GMS, 수송 방향 1H, 5~200Hz의 랜덤 진동 방식의 진동 테스트기[회사명 : IMV Co. (일본), 모델명 : CV-700]를 이용하여 패널과 필름 간의 마찰을 테스트하였다. 참고로, 진동 시 가속도는 1.5g/cm2이었다. LCD 패널의 스크래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스크래치가 발생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대전방지성 및 스크래치 발생 여부 결과를 다음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대전방지성(Ω) 스크래치 발생 여부
실시예 1-1 1011
실시예 1-2 1010
실시예 1-3 109
실시예 1-4 109
실시예 1-5 108
실시예 1-6 1011
실시예 1-7 108
비교예 1-1 1014 ×
비교예 1-2 109 ×
대전방지성(Ω) 스크래치 발생 여부
비교예 2-1 1013 ×
실시예 2-1 1011
실시예 2-2 1010
실시예 2-3 109
실시예 2-4 108
실시예 2-5 1011
실시예 2-6 1010
비교예 2-2 1014 ×
비교예 2-3 1010 ×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함량 비율 즉 두께를 고려한 전체 필름에 대한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함량 비율이 1% 미만인 경우(비교예 1-1, 2-1, 2-2)에는 대전방지성이 1013Ω 이상으로서 저조하여 이물 및 먼지가 달라붙고 가공하기도 어려웠다. 반면, 해당 함량 비율이 1% 이상인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대전방지성(1012 Ω이하)을 충족하였다.
한편,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에 사용된 경우에 해당 스킨층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3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비교예 1-2 및 비교예 2-3)에 있어서는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에 함유되는 경우에 해당 스킨층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30중량 이하로 함유된 경우에는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 2 - 고분자계 대전방지제 위치에 따른 실험]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 1 스킨층,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간층,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 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공압출 필름을 구성하였다.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듀폰-미쯔이 석유 화학 제품)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 2에서 사용하는 각 필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여기서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함량을 해당 층 총 100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 즉 중량%로 표시하였다. 또한, 아래에서 "A/B"는 해당 A층의 "하부"에 B층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필름 : 제 1 스킨층(고분자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중간층/제 2스킨층(고분자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
제 2필름 : 제 1 스킨층(고분자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중간층/제 2스킨층
제 3필름 : 제 1 스킨층/중간층/제 2스킨층(고분자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
제 4필름 : 제 1 스킨층(염화암모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중간층/제 2스킨층(염화암모늄 대전방지제 20중량% 함유)
상기 제1 내지 제4 필름 중 선택한 필름 2장을 실리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션하여 보호 필름을 구성하거나, 수지 필름(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가운데 놓고 그 양측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 2장을 라미네이션하거나, 상기 일반 수지 필름의 일측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 1장을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호 필름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호 필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A/B"는 해당 A 필름 또는 접착제의 "하부"에 B 필름 또는 접착제가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1 : 제 1 필름만으로 구성
실시예2 : 제 2 필름/접착제/제 3 필름
실시예3 : 제 2 필름/접착제/수지 필름/접착제/제 3 필름
실시예4 : 수지 필름/접착제/제 3 필름
비교예 1 : 제 3 필름/접착제/제 2 필름
비교예 2 : 제 4 필름만으로 구성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 보호 필름들에 대하여 백화 발생, 대전방지성, 스크래치 발생 및 슬립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참고로, 대전방지성 및 스크래치 발생 여부는 앞서 실험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백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LCD 패널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제품을 포장한 다음 고온 고습 조건(65℃, 85%RH, 96시간)에서 방치한 후 블리드 아웃으로 인한 백화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 테스트에서는 진동을 수행하지 않았다. 백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백화가 발생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슬립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샘플을 MD 방향으로 120mm×250mm 및 75mm×100mm로 자른 후, CEAST DIGITAL SLIP TESTER CODE 61196/000기로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작은 샘플을 고정시킨 후 큰 샘플을 놓은 뒤, 200g의 SLED를 가볍게 올려놓고 측정하였다. 참고로, 동마찰이 0.3㎛ 이하이어야 필름과의 블록킹성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 시 필름끼리의 부착현상을 막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5 나타내었다.
대전방지성 백화발생여부 스크래치발생여부 슬립성 동마찰(㎛)
실시예1 109 0.27
실시예2 108 0.27
실시예3 1010 0.27
실시예4 1010 0.27
비교예1 1012 0.45
비교예2 1010 × × 0.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보호 필름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대전 방지성이 우수하고, 백화 발생 및 스크래치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보호 필름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동마찰이 0.45㎛로서 슬립성이 매우 저조하였다. 이 경우에는 필름과의 블록킹성을 방지하기가 어려우며 작업자가 작업 시 필름끼리의 부착현상을 막기가 어렵다. 한편, 위와 같은 저조한 슬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슬립제 등과 같은 첨가제 삽입 시에는 골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내측 방향 측이 아니라 보호 필름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스킨층에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백화가 발생하고 스크래치가 발생하였으며 슬립성도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Claims (20)

  1.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는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에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추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상기 적층 필름 두 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양측 또는 일측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적층 필름 두 장 또는 한 장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5.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적층 필름 및 제2 적층 필름 두 장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적층 필름은 상기 제1 스킨층에만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고,
    상기 제2 적층 필름은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며,
    상기 제1 적층 필름의 제2 스킨층 및 상기 제2 적층 필름의 제1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6.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적층 필름 및 제2 적층 필름 두 장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적층 필름은 상기 제1 스킨층에만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가 함유되고,
    상기 제2 적층 필름은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며,
    상기 제 1 적층 필름의 제2 스킨층 및 상기 제 2 적층 필름의 제 1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7.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일측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며,
    상기 적층 필름 중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제2 스킨층 또는 제1 스킨층이 상기 접착제를 향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8. 제 4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또는 폴리메타그릴산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얻어지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함량 비율이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수학식 1]
    [∑(Ti×Ai) / (∑(Ti ×Wi)+∑(Ti×Ai))]×100
    (T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의 두께, W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에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제외한 구성 성분의 중량부, Ai는 상기 적층 필름의 i번째 층의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의 중량부이다)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의 두께 비가 각각 3:4:3이고,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에 함유되는 것이며,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상기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 구성 성분 중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제외한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중간층 및 제2 스킨층의 두께 비가 각각 1:8:1이고,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에 함유되는 것이며, 상기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는 상기 피착제와 접하는 스킨층 구성 성분 중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제외한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는 흡습성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는 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을 이루는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또는 폴리메타그릴산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6.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을 이루는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17. 수지를 공압출하여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존재하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형성하되,
    상기 공압출 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제2 스킨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수지와 함께 첨가하여 공압출하는 제 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에만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공압출한 제1 적층 필름 및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공압출한 제2 적층 필름의 두 장의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필름 두 장을 상기 제 1 적층 필름의 제2 스킨층 및 상기 제 2 적층 필름의 제 1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션 하는 제 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에만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공압출한 제1 적층 필름 및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공압출한 제2 적층 필름의 두 장의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필름 두 장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션하되, 상기 제 1 적층 필름의 제2 스킨층 및 상기 제 2 적층 필름의 제 1 스킨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라미네이션하는 제 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또는 상기 제2 스킨층에만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를 첨가하여 공압출한 적층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적층 필름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션하되, 상기 적층 필름 중 상기 고분자계 대전방지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제2 스킨층 또는 제1 스킨층이 접착제를 향하도록 하는 제 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80051266A 2008-05-30 2008-05-30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4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66A KR20090124840A (ko) 2008-05-30 2008-05-30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200980113825.1A CN102007003B (zh) 2008-05-30 2009-05-29 保护膜及其制造方法
JP2011502873A JP5328890B2 (ja) 2008-05-30 2009-05-29 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2009/002875 WO2009145586A2 (ko) 2008-05-30 2009-05-29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66A KR20090124840A (ko) 2008-05-30 2008-05-30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79A Division KR101142748B1 (ko) 2011-02-23 2011-02-23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40A true KR20090124840A (ko) 2009-12-03

Family

ID=4137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66A KR20090124840A (ko) 2008-05-30 2008-05-30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28890B2 (ko)
KR (1) KR20090124840A (ko)
CN (1) CN102007003B (ko)
WO (1) WO20091455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460A (zh) * 2012-11-23 2013-03-20 安文娟 一种透明耐磨型显示屏贴膜的制备方法
KR101469272B1 (ko) 2013-01-29 2014-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화면 보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129065A (zh) * 2013-03-14 2013-06-05 昆山韩保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耐候保护膜
CN112873679A (zh) * 2020-12-28 2021-06-01 湖南省益思迪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抗静电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414A (en) * 1985-10-09 1988-07-12 The Dow Chemical Company Antistatic sheet material and package
WO1987002333A1 (en) * 1985-10-09 1987-04-23 The Dow Chemical Company Antistatic sheet material,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JPH07290649A (ja) * 1994-04-28 1995-11-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せんい包装用フィルム
JPH11129326A (ja) * 1997-10-29 1999-05-18 Sekisui Chem Co Ltd 二軸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355078A (ja) * 1999-06-16 2000-12-26 Sekisui Seikei Ltd 帯電防止シート
US20020136945A1 (en) * 2000-01-18 2002-09-26 Call Ronald W. Multilayer battery separators
JP2001341236A (ja) * 2000-06-02 2001-12-11 Toppan Printing Co Ltd 帯電防止積層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2316392A (ja) * 2001-04-23 2002-10-29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積層体
JP2003291283A (ja) * 2001-07-04 2003-10-1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積層体
JP2006198800A (ja) * 2005-01-18 2006-08-03 Asahi Kasei Chemicals Corp 保護フィルム付き帯電防止樹脂シート
JP4553194B2 (ja) * 2005-02-14 2010-09-29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体
JP4919371B2 (ja) * 2005-04-22 2012-04-1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共押出積層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7430A (ja) 2011-06-09
CN102007003A (zh) 2011-04-06
WO2009145586A3 (ko) 2010-03-04
JP5328890B2 (ja) 2013-10-30
WO2009145586A2 (ko) 2009-12-03
CN102007003B (zh)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55B1 (ko)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JP6278473B2 (ja) 低剥離力表面保護膜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10099454B2 (en) Cover tape for packaging electronic part
WO2009133741A1 (ja) 粘着フィルム
JP5600905B2 (ja) 粘着フィルム
JP2009241348A (ja) 積層フィルム
KR20090124840A (ko)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4751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319344B1 (ko) 보호 필름 일체형 파우치
KR101142748B1 (ko)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269B1 (ko) 광학용 필름의 타발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 시트
JP201024207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806753B2 (ja) カバー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用包装体
JP200723888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746173B1 (ko) 프리즘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995B1 (ko) 다층구조의 편광판 보호용 필름
KR10127319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JP2006198800A (ja) 保護フィルム付き帯電防止樹脂シート
JPH08120233A (ja) 樹脂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2020055626A (ja) カバー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用包装体
JP2023092899A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および包装体
JP2011079263A (ja) 静電気防止粘着積層体
KR20150080771A (ko) 영구 대전 방지 기능을 가진 광학 시트 보호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125

Effective date: 201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