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822A -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822A
KR20090118822A KR1020090012432A KR20090012432A KR20090118822A KR 20090118822 A KR20090118822 A KR 20090118822A KR 1020090012432 A KR1020090012432 A KR 1020090012432A KR 20090012432 A KR20090012432 A KR 20090012432A KR 20090118822 A KR20090118822 A KR 2009011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edium
endless
path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016B1 (ko
Inventor
구니마사 가와마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무단(無端) 형상 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냉각의 얼룩을 적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표리 평면 형상으로 무단 형상의 무단 형상 부재(B)와, 상기 무단 형상 부재(B)의 표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각로(87)와, 상기 냉각로(87)의 기체를 상기 무단 형상 부재(B)의 폭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기체 이송 장치(53)와, 상기 냉각로(87)의 기체 이송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무단 형상 부재(B)의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방향의 역방향 측으로 경사진 하류측 경사로(84)를 갖는 상기 냉각로(8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41)를 제공한다.
냉각로, 무단 형상 부재, 기체 이송 장치, 기체 유출로, 냉각 배기구

Description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ENDLESS MEMBER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단 형상 부재를 갖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 2005-241934호 공보에는, 시트(S)를 유지하여 반송하는 정전 반송 벨트(11)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냉각 팬(41, 46)을 사용하여 에어(A)를 보내어, 정전 반송 벨트(11)와 양면 인쇄시에 재급지 경로(27)로 반송되는 시트(S)를 냉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정전 반송 벨트(11)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흡기 구멍(43)으로부터 냉각 팬(41)으로 흡기하여 냉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정전 반송 벨트(11)의 폭방향 단부에 배치된 1개의 팬(46)으로 흡기한 공기를, 정전 반송 벨트(11)의 모든 폭을 덮는, 끝쪽으로 점점 퍼지는 형상의 에어 덕트(47)로 보내고 배출하여, 정전 반송 벨트(11)의 폭방향을 냉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5-241934호 공보(「0046」∼「0064」, 도 1, 도 4∼도 7)
본 발명은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무단 형상 부재의 냉각 효과를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무단 형상의 무단 형상 부재와,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적어도 표면 또는 이면 중 한쪽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각로와, 상기 냉각로의 기체를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기체 이송 장치와, 상기 냉각로의 기체 이송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방향의 역방향 측으로 향한 하류측 냉각로를 갖는 상기 냉각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에서, 상기 냉각로의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배치된 송풍 날개로 구성된 상기 기체 이송 장치와, 상기 기체 이송 장치의 상기 송풍 날개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기체의 흐름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냉각로의 상기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에서, 상기 냉각로가 상기 냉각로의 기체 이송 방향 상류측에 더 형성되고 또 한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을 향한 상류측 냉각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에서, 상기 하류측 냉각로가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상벽(上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표면에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무단 형상의 매체 반송 부재로 구성된 상기 무단 형상 부재를 갖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와, 상기 매체에 가시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5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무단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로가 형성된 냉각로 형성 유닛과, 상기 냉각로 형성 유닛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지지된 외장 부재로서, 상기 냉각로의 냉각 배기구의 위치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외장 배기구를 갖는 외장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외장 배기구에 배치되어, 외광을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냉각로를 사이에 끼워 서 상기 매체 반송 부재의 반대 측으로 형성되고, 양면 인쇄시에 한쪽 면 인쇄 완료의 매체가 반송되는 매체 반송로와, 상기 냉각로로부터 상기 매체 반송로에 기체를 흘려보내는 기체 유출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무단 형상 부재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기체 이송 장치로부터 냉각로에 유입되는 기체의 유입량의 감소를 저감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무단 형상 부재의 전후 방향에 걸쳐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무단 형상 부재의 냉각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기가 정체되기 어려워져서 냉각 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있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무단 형상 부재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외광이 화상 형성 장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차광 부재를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외광이 화상 형성 장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양면 인쇄시에 매체 반송로나 매체 반송로에 반송되는 한쪽 면 인쇄 완료의 매체를 냉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이하, 실시예라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X, ―X, Y, ―Y, Z, ―Z로 표시하는 방향 또는 표시하는 쪽을 각각,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 또는 앞측, 뒤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이라 한다.
또한, 도면 중 「○」의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뒤로부터 표면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의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뒤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프린터의 사시 전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의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를 갖는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오른쪽 하단의 회전 중심(U2a)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되는 개폐부(U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면에는, 배지 부(TRh)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좌측 면의 하부에는,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S)가 수용되는 급지 용기(TR1)가 삽입·발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개폐부(U2)는 현상제의 보급이나 고장난 부재의 교환이나 용지 걸림된 상기 기록 매체(S)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내부를 개방하는 도 3에 도시한 개방 위치와,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되는 통상 시에 유지되는 도 2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잇다.
도 2 및 도 3에서, 프린터(U)의 상부에는 조작부(UI)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U)는 프린터(U)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C)와,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화상 처리부(GS), 상기입 장치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E) 등을 갖고 있다. 전원 장치(E)는 후술하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러(CRy∼CRk),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G1y ∼G1k) 및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1y∼T1k) 등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GS)는 외부의 화상 정보 송신 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K(검정), Y (옐로), M(마젠타), C(시안)의 4색의 화상에 대응한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입 장치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상기 상기입 장치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각색의 화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잠상 기입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는 구동 신호에 따라 각색의 화상 기입용의 화상 기입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빔(Ly, Lm, Lc, Lk)을 출사한다.
도 3에서,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우측 방향(+Y 방향)에는 Y(옐로), M(마젠타), C(시안), K(검정)의 각색의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착탈체의 일례로서의 가시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에서, K(검정)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회전하는 상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k)를 갖는다. 상기 감광체(Pk)의 주위에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러(CRk), 감광체 표면의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Gk), 감광체(Pk) 표면을 제전하는 제전 부재(Jk), 감광체(Pk)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상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k)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k)는 대전 롤(CRk)과 대향하는 대전 영역(Q1k)에서 대전 롤(CRk)에 의해 표면이 일정하게 대전된 후, 잠상 형성 영역(Q2k)에서 레이저빔(Lk)에 의해 잠상이 기입된다. 기입된 정전잠상은 현상 장치(Gk)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Qgk)에서 정전잠상이 가시상화된다.
실시예 1의 검은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감광체(Pk), 대전기(CRk), 현상 장치(Gk), 제전 부재(Jk), 감광체 클리너(CLk), 현상제 보급 용기(11+16+18) 등 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착탈체,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UK)로 구성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U2)를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도 검정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체,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UY, UM, UC)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감광체(Py∼Pk)의 우측 방향에는, 상기 개폐부(U2)에 지지된 기록 매체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무단 형상 부재의 일례이며, 또한 기록 매체 유지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벨트(B)와, 매체 반송 벨트(B)를 지지하는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종동 롤(Rj)을 포함하는 유지 반송 부재 지지계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Rj)과, 각 감광체(Py∼Pk)에 대향해서 배치된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ly, T1m, T1c, T1k)과, 화상 농도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화상 농도 센서(SN1)와, 냉각로 형성 유닛의 일례이며 또한 유지 반송 부재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와, 상기 종동 롤(Rj)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기록 매체(S)를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시키는 기록 매체 흡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흡착 롤(Rk)을 갖는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지지 롤(Rd+Rj)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농도 센서(SN1)는, 소정의 시기에, 제어부(C)의 도시하지 않은 화상 농도 조정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농도 검출용의 화상, 소위 패 치 화상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화상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화상 농도 검출 부재에서 검출된 화상 농도에 의거하여 대전기(CRy∼CRk)나 현상 장치(Gy∼Gk), 상기 전사 롤(T1y∼T1k)에 인가하는 전압의 조정, 잠상 기입광(Ly∼Lk)의 강도의 조정을 행함으로써, 화상 농도의 조정이나 보정, 소위 프로세스 컨트롤을 행한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아래쪽에 배치된 급지 용기(TR1)의 기록 매체(S)는, 급지 부재(Rp)에 의해 취출되어 기록 매체 반송로(SH)에 반송된다.
상기 기록 매체 반송로(SH)의 기록 매체(S)는, 기록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되어, 급지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보내진다. 레지스터 롤(Rr)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종동 롤(Rj)과 매체 흡착 롤(Rk)과의 대향 영역인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상기 기록 매체(S)를 반송한다. 상기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반송된 기록 매체(S)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정전 흡착된다.
수동 급지부(TRO)로부터 급지될 경우, 수동 급지 부재(Rp1)에 의해 급지된 상기 기록 매체(S)는 매체 반송 롤(Ra)에 의해 상기 레지스터 롤(Rr)에 반송되어, 매체 반송 벨트(B)에 반송된다.
도 2∼도 4에서,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된 기록 매체(S)는, 상기 감광체(Py∼Pk)와 접촉하는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매체 반송 벨트(B)의 이면 측에 배치된 상기 전사 롤(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 로(E)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다색 화상의 경우, 상기 각 감광체(Py∼Pk) 상의 토너 상은 상기 전사 롤(T1y, Tlm, T1c, T1k)에 의해 매체 반송 벨트(B) 상의 기록 매체(S)에 겹쳐서 전사된다. 또한,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로 화상의 경우, 감광체(Pk) 상에 K(검정)의 토너 상만 형성되고, 이 K(검정)의 토너 상만이 전사기(T1k)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전사된다.
도 4에서, 토너 상 전사 후의 감광체(Py∼Pk)는 제전 영역(Qjy∼Qjk)에서 제전 부재(Jy∼Jk)에 의해 제전된 후, 청소 영역(Q4y∼Q4k)에서 감광체 클리너(CLy∼CLk)에 의해 표면에 잔류한 토너가 회수되어서 청소되고, 다시 대전 롤(CRy∼CRk)에 의해 대전된다.
상기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S)는, 정착 장치(F)의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이 압접(壓接)하여 형성되는 정착 영역(Q5)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S)는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이드 롤러(Rgk)에 의해 안내되어서,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TRh)에 배출된다.
기록 매체(S)가 격리된 후의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양면 인쇄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배출 롤러(Rh)가 역회전 구동하여, 전환 부재(GT1)에 의해 매체 반송로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전로(SH2)에 기록 매체(S)가 반송되고, 표리가 반전된 상태에서 레지스터 롤(Rr)에 재송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정착 장치(F), 배지 롤(Rh)의 하측의 구동 롤, 전환 부재(GT1), 매체 반전로(SH2)의 하측의 가이드면은, 일체화된 교환 가능한 정착 장치, 소위 정착 유닛(U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 롤(Rh)의 상측의 종동 부재는 개폐부(U2)에 지지되어 있다.
(가시상 형성 장치의 설명)
이하, 가시상 형성 장치(UY∼UK)의 상세한 설명을 하지만, 각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UK)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정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밖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서,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감광체(Pk)나 현상 장치(Gk)를 갖는 현상부(Uk1)와, 대전 롤(CRk)이나 감광체 클리너(CLk), 제전 롤(Jk)을 갖는 청소 대전부(Uk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현상부(Uk1)와 청소 대전부(Uk2) 사이에는 레이저빔(Lk)이 통과하는 기입광 통과로(Uk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현상부(Uk1)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1)를 갖는다.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1)는 하측의 현상 용기 본체(1a)와, 현상 용기 본체(1a)의 상면을 폐색(閉塞)하는 뚜껑 부재(1b)와, 상기 현상 용기 본체(1a)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칸막이하여 후술하는 현상제 반송실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 칸막이 부재(1c)를 갖는다.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1)에는 감광체(Pk)에 대향하는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 로서의 현상 롤(G1k)이 지지되는 현상제 유지체 수용실(2)과, 현상제 유지체 수용실(2)의 좌측에 인접하여 현상제가 수용되는 제 1 교반 반송실(3)과, 제 1 교반 반송실(3)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교반 반송실(4)을 갖는다. 또한, 상기 현상제 유지체 수용실(2)에는 현상 롤(G1k)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현상 롤(G1k) 표면에 담지된 현상제의 두께인 층두께를 규제하는 층두께 규제 부재(SK)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의 일례로서의 상기 제 1 교반 반송실(3)과 제 2 교반 반송실(4) 사이는 칸막이 벽(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고, 제 1 교반 반송실(3)과 제 2 교반 반송실(4)은 전후 양단부에서 현상제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 용기(1)에는 상기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 1 교반 반송실(3) 및 제 2 교반 반송실(4)에 의해 순환 반송실(3+4)이 구성되어, 상기 현상제 유지체 수용실(2) 및 순환 반송실(3+4)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4)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교반 반송실(3) 및 제 2 교반 반송실(4)에는,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서로 역방향으로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교반 반송 부재(7, 8)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교반 반송 부재(7, 8)는 회전축(7a, 8a)과, 상기 회전축(7a, 8a)에 고정 지지된 나선(螺旋) 형상의 반송 날개(7b, 8b)를 갖는 교반 반송 부재, 소위 오거(auge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교반 반송 부재(7, 8)에 의해 실시예 1의 순환 반송 부재(7+8)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상기 뚜껑 부재(1b)에는 제 2 교반 반송실(4)의 위쪽에 배치되는 초기 현상제 수용실(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교반 반송실(4)의 좌측에는 현상제 반송실의 일례로서의 원통 형상의 토너 반송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 반송실(11)은 제 2 교반 반송실(4)에 접속되어 있고, 토너 반송실(11) 내의 현상제를 상기 제 2 교반 반송실(4)에 반송하는 현상제 보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토너 보급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토너 반송실(11)의 좌측에는 제 1 현상제 보급실의 일례로서의 제 1 토너 보급실(16)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토너 보급실(16)의 위쪽에는 전후 방향 단부에 형성된 현상제 낙하로의 일례로서의 토너 낙하로(17)를 통하여 접속된 제 2 현상제 보급실의 일례로서의 제 2 토너 보급실(1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토너 보급실(16)에는 제 1 토너 보급실(16)의 토너를 상기 토너 반송실(11)에 반송하는 현상제 보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1 토너 반송 부재(21) 및 제 2 토너 반송 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토너 반송 부재(22)는 상기 제 1 토너 반송 부재(21) 측에 토너를 반송한다. 상기 제 2 토너 보급실(18) 내에 배치된 현상제 보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3 토너 반송 부재(24), 제 4 토너 반송 부재(26)는 제 2 토너 보급실(18) 내의 토너를 토너 낙하로(17) 측에 반송한다.
상기 토너 반송실(11), 제 1 토너 보급실(16) 및 제 2 토너 보급실(18)에 의해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보급 용기(11+16+18)가 구성되고, 부호 12, 21, 22, 24, 26을 붙인 부재에 의해 현상제 보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토너 보급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토너 보급실(18)의 우측에는 상기 감광체 클리너(CLk)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광체 클리너(CLk)는 감광체(Pk) 표면에 접촉하는 판 형상의 상유지체 청소 부재, 소위 클리닝 블레이드(31)와 클리닝 블레이드(31)에 의해 긁어지는 토너나 종이 가루, 방전 생성물 등을 회수 현상제 수용실의 일례로서의 회수 토너 수용실(32)에 반송하는 회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회수 토너 반송 부재(33)를 갖는다.
도 1에서, 상기 개폐부(U2)는 외표면의 외장 부재의 일례로서의 개폐부 커버(40)를 갖는다. 상기 개폐부 커버(40)는 우측면에 커버 우측판(40a)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 커버(40)는 상기 커버 우측판(40a)의 전후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커버 앞측판(40c) 및 커버 뒤측판(40d)을 갖고, 상하 방향의 상단에는 상측판(40e)을 갖고 있다. 상기 커버 우측판(40a)은 하부에 상기 수동 급지부(TRO)의 급지구(40i)가 형성되어 있다.
(매체 반송 벨트 냉각 구조의 설명)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개폐부 커버(40)의 내측에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 반송 장치(41)가 지지되어 있다. 도 5에서, 상기 기록 매체 반송 장치(41)는 개폐부 테두리체의 일례로서의 개폐 프레임(42)을 갖는다. 상기 개폐 프레임(42)은 우측벽(42a)과, 우측벽(42a)의 전후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앞측벽(42c) 및 뒤측벽(42d)을 갖는다. 상기 앞측벽(42c) 및 상기 뒤측벽(42d)의 하단부에는, 전후 한쌍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회전 중심(U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측벽(42c) 및 상기 뒤측벽(42d)의 중앙 하부에는, 왼쪽이 개방된 U자 형상의 클리너 유닛용 하측 지지부(4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측벽(42c) 및 상기 뒤측벽(42d)의 상기 클리너 유닛용 하측 지지부(42e)의 위쪽에는, 클리너 유닛용 상측 지지부(42f)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7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으로부터 벨트 모듈을 떼어낸 상태의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사시 설명도, 도 7의 (b)는 흡기로 부분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도 7의 (c)는 도 7의 (b)의 VIIC-VII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화살표 VI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도 9에서, 상기 개폐 프레임(42)의 내측에는 구동측 반전 유닛(51)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측 반전 유닛(5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구동측 유닛 본체(52)를 갖는다. 상기 구동측 유닛 본체(52)의 좌측면에는, 상기 매체 반전로(SH2)의 외측 안내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유닛 본체(52)에서의 앞측면(52b)의 하부에는, 복수의 송풍 날개의 일례로서의 냉각 날개(53a)로 구성된, 기체 이송 장치의 일례이며 또한 냉각 부재의 일례로서의 냉각 팬(53)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 유닛 본체(52)의 뒤측면의 상단부에는, 반전로 구동원의 일례로서의 반전용 모터 유닛(54)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외측 안내면(52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전용 구동축(56)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전용 구동축(56)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반전용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전 구동 롤러(5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전용 구동축(56)에는 상기 반전용 모터 유닛(54)으로부터 구동이 전달되어 상기 반전 구동 롤러(57)가 회전 구동한다.
도 6 및 도 9에서, 상기 구동측 반전 유닛(51)의 왼쪽에는, 전사 반송 부재 청소 유닛의 일례로서의 클리너 유닛(6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클리너 유닛(61)은 상기 외측 안내면(52a)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내측 안내 부재(62)와,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의 전후 양단에 지지된 앞측판(63) 및 뒤측판(64)을 갖는다.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의 오른쪽에는 내측 안내면(6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안내면(62a)과 상기 외측 안내면(52a)과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상기 매체 반전로(SH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안내면(62a)에는 상기 반전용 구동축(56), 상기 반전 구동용 롤러(57)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종동축과 종동축에 지지된 반전용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전용 종동 롤러(6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앞측판(63), 상기 뒤측판(64)에는 상기 개폐 프레임(42)의 상기 클리너 유닛용 하측 지지부(42e), 상기 클리너 유닛용 상측 지지부(42f)에 대응하여, 바깥 쪽으로 돌출하는 클리너 유닛용 하측 피지지부(63a) 및 클리너 유닛용 상측 피지지 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너 유닛(61)은 상기 클리너 유닛용 하측 피지지부(63a) 및 상기 클리너 유닛용 상측 피지지부(64a)가 상기 클리너 유닛용 하측 지지부(42e), 상기 클리너 유닛용 상측 지지부(42f)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 프레임(42)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 상기 앞측판(63) 및 상기 뒤측판(64)의 내벽 상부에는, 상기 벨트 클리너(CLb)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CLb)는 클리닝 블레이드(CLb1)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CLb1)로 제거된 잔류물을 회수·수용하는 회수 용기(CLb2)를 갖는다. 도 7의 (a), 도 8에서, 상기 회수 용기(CLb2)는 전후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며 또한 전후 방향에 따른 바닥판(71)과 상기 바닥판(71)의 전단으로부터 앞쪽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앞측 경사벽(72)과, 상기 바닥판(71)의 후단으로부터 뒤쪽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뒤측 경사벽(73)을 갖는다. 상기 뒤측 경사벽(73)의 상단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벽(73c)과 뒤쪽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경사벽(7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CLb1)로 제거된 잔류물은, 상기 앞측 경사벽(72)과 상기 뒤측 경사벽(73)과의 내면으로 안내되어서 상기 바닥판(71)까지 낙하하여 축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덕트의 설명)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공기의 흐름을 상방으로부터 본 주요부 설명도이며, 도 10의 (b)는 개폐부 커버에 형성된 배기구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8에서, 상기 커버 앞측판(40c)에는 상기 냉각 팬(53)에 대향하는 위치에 커버 흡기구(40g)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 도 7의 (c), 도 10의 (a)에서,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의 전단부 및 상기 앞측판(63)에는, 상기 앞측판(63)의 앞측 단으로부터 왼쪽으로 감에 따라 뒤쪽 및 아래쪽으로 경사진 흡기로(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로(81)는 상기 앞측판(63)의 전단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유입구의 일례로서의 흡기구(81a)와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의 좌측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유출구(81b)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냉각 팬(53)으로부터 흡기된 기체의 일례로서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81a)로부터 흡기되고 상기 흡기로(81)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구(81b)로부터 유출된다.
도 8에서, 상기 클리너 유닛(61)에는 상기 앞측 경사벽(72)을 따라 뒤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상류측 경사로(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류측 경사로(82)의 기체 이동 방향 상류단에는, 상기 유출구(8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류측 경사로(82)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판(7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통기로(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통기로(83)의 후단에는, 상기 뒤측 경사벽(73)을 따라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하류측 경사로의 일례로서의 배기로(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로(84)의 공기는 상기 뒤측판(64)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냉각 배기구의 일례로서의 배기구(86)로부터 배기된다. 도 1, 도 8, 도 10의 (a)에서, 상기 뒤측판(40d)의 상하 방향 하부에는, 상기 배기로(84)로부터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외장 배기구의 일례로서의 커버 배기구(40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배기구(40f)는 상기 배기구(86)에 대하여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양방향과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 배기구(40f)에는 상기 뒤측판(40d)의 내표면 측으로부터 외표면 측으로 감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판으로 구성된 차광 부재의 일례로서의 루버(louver)(40m)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상기 클리너 유닛(61)에서는, 상기 상류측 경사로(82), 상기 주 통기로(83), 상기 배기로(84)에 의해 상기 회수 용기(CLb2)의 하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냉각로의 일례로서의 덕트(87)가 구성된다.
도 9에서, 상기 내측 안내 부재(62)는 상기 덕트(87)에 대응하는 위치에 덕트 측면(62b)을 갖고, 상기 덕트 측면(62b)의 상기 주 통기로(83)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덕트 측면(62b)과 상기 안내면(62a)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기체 유출로의 일례로서의 관통 구멍(8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87)의 상기 벨트 모듈(BM) 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덕트(87)에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외측 표면이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에서는, 냉각 팬(5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 커버(40)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커버 흡기구(40g)로부터 흡입된다. 상기 커버 흡기구(40g)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 팬(53)을 통과한 후, 상기 흡기구(81a)에 유입한다. 상기 흡기구(81a)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덕트(87)로 유출된다. 이때, 실시예 1의 상기 덕트(87)의 우측부의 상기 흡기로(81)는 상기 냉각 팬(5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나선형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경사져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 팬(5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흡기로를 갖는 경우나, 나선형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경사져 있는 배기로를 갖는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상류측 경사로(82)에의 공기의 유입량의 감소가 저감된다.
상기 덕트(87)의 공기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외표면을 따라 상기 덕트(87)를 유동하고,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도 8, 도 10의 (a)에 도시된 화살표(Ya)의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동작 등에 의한 상기 매체 반송 유닛(B)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프린터(U) 내부의 온도 상승이 저감되고, 현상제의 열화 응집, 고화, 유동성의 악화가 저감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공기의 흐름을 경사 방향에서 본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8∼도 11에서, 상기 덕트(87)를 흐르는 공기는, 화살표(Y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 경사로(82)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흐르고, 상기 주 통기로(83)에서 수평 방향으로 흘러, 상기 배기로(84)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흐른다. 한편,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서는 상기 덕트(87)에 노출되는 면이 아래쪽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류측 경사로(82)를 흐르는 공기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Yb)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와의 상대 속도는 작고, 상기 배기로(84)를 흐르는 공기와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와의 상대 속도는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로(84)를 흐르는 상대 속도가 큰 공기의 냉각 효과는, 상기 상류측 경사로(82)를 흐르는 상대 속도가 작은 공기의 냉각 효과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비교적 찬 공기에 의해, 상기 상류측 경사로(82)에 노출되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앞측은 냉각되는 한편, 상기 상류측 경사로(82), 상기 주 통기로(83)에서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비교적 따뜻해진 공기에 의해, 냉각 효과가 높은 상기 배기로(84)에 노출되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뒤측이 냉각된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하여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전후 방향에 걸쳐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냉각이 행하여지고 있어, 상기 매체 반송 벨트(B) 상에서의 온도 분포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된 비교적 찬 공기를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흘려서 상대 속도를 작게 함으로써,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냉각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과도한 냉각에 따른 공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있지만, 온도 분포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상류측 경사로(82)를 상기 주 통기로(83)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상류측 경사로(82), 상기 주 통기로(83) 및 상기 배기로(84)의 길이나 각도를 적당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상기 덕트(87)와 상기 매체 반전로(SH2)는, 상기 관통 구멍(89)에 의해 상기 덕트(87)로부터 상기 매체 반전로(SH2)에 공기가 유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반전로(SH2)에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매체 반전로(SH2)나 상기 매체 반전로(SH2)에 반송되는 상기 기록 매체(S)가 냉각된다. 따라서, 양면 인쇄시에 상기 정착 장치(F)를 통과한 후에, 상기 매체 반전로(SH2)에 반송되는 따뜻한 상기 기록 매체(S)나, 상기 기록 매체(S)에 의해 따뜻해진 상기 매체 반전 로(SH2)가 냉각된다. 따라서, 따뜻한 상기 기록 매체(S)가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재반송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실시예 1의 상기 커버 배기구(40f)에는 상기 루버(40m)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U)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인 외광이, 상기 루버(40m)에서 차광되어, 상기 커버 배기구(40f)를 지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커버 배기구(40f)의 상기 배기구(86)에 대한 배치 위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의 양쪽에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커버 배기구(40f)로부터 침입된 외광이, 상기 덕트(87)를 통하여 상기 프린터(U) 내부까지 도달하는 것이 저감된다. 따라서, 외광에 의한 상기 프린터(U) 내부에 배치된 각 부재의 광열화나, 감광체 표면에 외광이 조사되는 것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S)에서의 화질의 저하가 억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매체 반송 벨트(B)에 감광체(Py∼Pk)가 접속배치되어 있고, 매체 반송 벨트(B)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커버 배기구(40f)로부터 외광이 침입했을 경우에는 감광체(Py∼Pk)가 노광되어버릴 우려가 크다. 따라서, 커버 배기구(40f)를 배기구(86)에 대하여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양방향과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거나, 루버(40m)를 부착함으로써, 감광체(Py∼Pk)의 노광이 저감되고 있다.
상기 배기로(84)는 상측의 상기 뒤측 경사벽(73) 및 상기 상측 경사벽(73b)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어, 계단 형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공기가 정체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효율의 저하가 회피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용기(CLb2)의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CLb1)에서의 후단측에서 회수된 잔류물은, 상기 상측 경사벽(73b) 및 상기 뒤측 경사벽(73)의 내면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낙하, 반송되어, 후단부에서 잔류물이 넘쳐 흐르는 것이 저감되고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 (H01)∼(H07)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복사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춘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컬러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크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위 탠덤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식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탠덤식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용지를 매체 반송 벨트에 싣고 용지 위에 직접 복수색의 가시상을 순차 겹치는 형태의 장치나, 벨트 위에 복수색의 가시상을 순차 겹친 후에 용지에 한꺼번에 이동하는 형태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일례인 냉각로의 형상 설명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클리닝 블레이드로 제거된 잔류물을 회수·수용하는 회수 용기의 하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냉각로, 소위 덕트(duct)를 예시하였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화살표(Yb) 방향으로 회전하는 매체 반송 벨트(B)와의 상대 속도가, 매체 폭방향 전역으로 커지는 화살표(Ya')의 방향으로 공기가 흘러서, 앞측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한 위쪽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냉각로(87')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밖에, 덕트의 하류측을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향, 수평, 상향의 단차 형상이나 크랭크(crank) 형상, 사행(蛇行)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덕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하는 외장 배기구로서, 커버 배기구를 예시하였지만, 외장 배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 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하는 다른 배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따뜻해진 공기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윗면에 있는 시트 배출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커버 배기구로부터 배기되는 경로와, 시트 배출 트레이로부터 배기되는 경로와 같이 복수의 경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매체 반전로를 갖는 양면 인쇄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이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매체 반전로를 생략한 편면 인쇄만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흡입구에 냉각 팬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팬을 배치하는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 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출구에 배치하거나, 덕트의 도중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덕트를 흐르는 공기에 따라서 냉각되는 매체 반송 벨트(B)의 외측의 표면을 냉각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내측의 이면을 냉각하도록 덕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무단 형상 부재로서 감광체가 접촉하는 매체 반송 벨트(B)를 예시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전사 벨트나 감광체가 접촉하지 않는 매체 반송 벨트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프린터의 사시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착탈체의 일례로서의 가시상 형성 장치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사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분해 설명도.
도 7의 (a)∼7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의 내부에 지지된 유닛으로부터 벨트 모듈이 떼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사시 설명도, 도 7의 (b)는 흡기로 부분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도 7의 (c)는 도 7의 (b)의 VIIC-VIIC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의 화살표 VIII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개폐부 내부에 지지된 유닛의 측면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공기의 흐름을 상방에서 본 주요부 설명도이고, 도 10의 (b)는 개폐부 커버에 형성된 배기구의 구조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공기의 흐름을 경사 방향에서 본 주요부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일례인 냉각로의 형상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외장 부재
40f : 외장 배기구
40m : 차광 부재
41 :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53 : 기체 이송 장치
53a : 송풍 날개
81a : 유입구
84 : 하류측 경사로
86 : 냉각 배기구
87 : 냉각로
89 : 기체 유출로
B : 무단 형상 부재
CLb : 냉각로 형성 유닛
S :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
SH2 : 매체 반송로
U : 화상 형성 장치
U1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UY, UM, UC, UK : 가시상 형성 장치.

Claims (8)

  1.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무단 형상 부재와,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적어도 표면 또는 이면(裏面) 중 한쪽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락로와,
    상기 냉각로의 기체를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기체 이송 장치와,
    상기 냉각로의 기체 이송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폭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방향의 역방향 측으로 향한 하류측 냉각로를 갖는 상기 냉각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로의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배치된 송풍 날개로 구성된 상기 기체 이송 장치와,
    상기 기체 이송 장치의 상기 송풍 날개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기체의 흐름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냉각로의 상기 유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로가, 상기 냉각로의 기체 이송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으로 향한 상류측 냉각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냉각로가,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상기 표면 또는 이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상벽(上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5. 표면에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무단 형상의 매체 반송 부재로 구성된 상기 무단 형상 부재를 갖는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와,
    상기 매체에 가시상(可視像)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로가 형성된 냉각로 형성 유닛과,
    상기 냉각로 형성 유닛의 외부에 배치되며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지지된 외장(外裝) 부재로서, 상기 냉각로의 냉각 배기구의 위치에 대하여 어긋 난 위치에 배치된 외장 배기구를 갖는 외장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상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배기구에 배치되어, 외광을 차광하는 차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형상 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냉각로를 사이에 끼워서 상기 매체 반송 부재의 반대쪽으로 형성되어, 양면 인쇄시에 편면(片面) 인쇄 완료한 매체가 반송되는 매체 반송로와,
    상기 냉각로로부터 상기 매체 반송로에 기체를 흘려보내는 기체 유출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12432A 2008-05-13 2009-02-16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51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6465A JP5239498B2 (ja) 2008-05-13 2008-05-13 無端状部材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8-126465 2008-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822A true KR20090118822A (ko) 2009-11-18
KR101251016B1 KR101251016B1 (ko) 2013-04-03

Family

ID=4131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32A KR101251016B1 (ko) 2008-05-13 2009-02-16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6193B2 (ko)
JP (1) JP5239498B2 (ko)
KR (1) KR101251016B1 (ko)
CN (1) CN101581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569B1 (ja) * 2009-03-02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59805B2 (ja) * 2009-11-17 2013-1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17375B2 (ja) * 2011-09-16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130164034A1 (en) * 2011-12-23 2013-06-27 Xerox Corporation Passive belt steering apparatus and systems
US9310764B2 (en) * 2013-11-29 2016-04-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9411309B1 (en) * 2015-06-03 2016-08-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13755A (ja) * 2016-07-07 2018-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回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処理装置
JP2019015836A (ja) * 2017-07-06 2019-01-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回収容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056063B2 (ja) * 2017-10-05 2022-04-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075619B2 (ja) * 2018-03-30 2022-05-26 株式会社リコー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945A (ja) * 1992-06-17 1994-03-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72837B2 (ja) * 2000-08-28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463230B1 (en) * 2001-08-20 2002-10-08 Xerox Corporation Office machine including a blower having a blower noise reducing device
JP2004004574A (ja) * 2002-03-29 2004-01-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014321B2 (en) * 2002-10-18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Illumination device, projector
JP2004361626A (ja) * 2003-06-04 2004-12-2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22004A (ja) * 2003-10-20 2005-05-12 Canon Inc シート冷却装置
JP4481683B2 (ja) * 2004-02-26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60055978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영상장치의 냉각구조
JP2007147862A (ja) * 2005-11-25 2007-06-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878194B2 (ja) * 2006-03-30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033052A (ja) * 2006-07-28 2008-02-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9498B2 (ja) 2013-07-17
US7856193B2 (en) 2010-12-21
JP2009276478A (ja) 2009-11-26
CN101581892B (zh) 2014-05-07
US20090285596A1 (en) 2009-11-19
KR101251016B1 (ko) 2013-04-03
CN101581892A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16B1 (ko) 무단 형상 부재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917643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CN101446792B (zh) 显影设备、处理卡盒、图像形成设备
JP4924005B2 (ja)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可視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84015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support member
JP6248895B2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捕集容器
JP3982735B2 (ja) 回転型現像装置または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219396B2 (ja) 画像形成装置
JP55053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37221A (ja) 画像形成装置
JP5817375B2 (ja) 画像形成装置
JP4663296B2 (ja) 画像形成装置
US99397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duces image quality deterioration caused by adhesion of paper powder and scattering of toner
JP477369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01686A (ja) 記録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694250B (zh) 图像形成装置
US20240094673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071272A (ja) 画像形成装置
JP4983551B2 (ja) 画像形成装置
JP3647216B2 (ja) 画像形成装置
JP6897054B2 (ja) 画像形成装置
JP687210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75739A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860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7589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