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433A -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433A
KR20090118433A KR1020080044205A KR20080044205A KR20090118433A KR 20090118433 A KR20090118433 A KR 20090118433A KR 1020080044205 A KR1020080044205 A KR 1020080044205A KR 20080044205 A KR20080044205 A KR 20080044205A KR 20090118433 A KR20090118433 A KR 2009011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ox
bridge
slab
box gird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884B1 (ko
Inventor
박영호
김성환
김낙영
남문석
이병주
옥창권
이원태
허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8004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884B1/ko
Priority to CN200980117187.0A priority patent/CN102037185B/zh
Priority to JP2011509397A priority patent/JP5113290B2/ja
Priority to PCT/KR2009/000424 priority patent/WO2009139536A1/ko
Publication of KR2009011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와 상부구조가 완전히 일체화되는 일체식 교대 교량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용상의 제한조건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개념의 교량형식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 말뚝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말뚝머리 보강을 실시하는 제1단계와, 확대기초를 시공하고 교대 흉벽 및 날개벽 시공을 완료한 다음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연결을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제3단계와, 단부격벽과 날개벽이 분리되도록 그들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과 단부격벽을 일체로 타설하는 제5단계와,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2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제1 받침슬래브 상면에 교량 바닥판과 연결되는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와 접속되는 완충슬래브를 시공하고 제2 받침슬래브 상면에 완충슬래브와 본선포장부를 시공하는 제7단계와,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 사이에 신축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교면을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80044205
교량, 반일체식, 무조인트, 교대, 강박스거더

Description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steel box girder}
본 발명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를 사용하지 않고 주형으로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교량은 계절적인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을 조절 및 해소하기 위하여 구조물 내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이 신축이음장치가 없는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Jointless Bridge)이라 하며 교대 관점에서 일체식 교대 교량(Integral Abutment Bridge)과 반일체식 교대 교량(Semi-Integral Abutment Bridge)으로 분류한다.
일체식 교대 교량의 경우에는 상부구조와 난쟁이 교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교대 기초부 말뚝의 유연성으로 흡수하는 반면에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에 설치되는 유연한 교량받침(Flexibility Bearing)으로 교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 및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일체식 교량 교량과 마찬가지로 온도변화 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을 일반교량(조인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가 아닌 접속 슬래브와 본선 포장부 사이에 줄눈 형식으로 설치되는 신축조절장치(Cycle Control Joint), 교대 크기, 뒷채움재료 강성 그리고 말뚝과 거더의 연결상태로 조절하는 교량을 말한다.
이로 인해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부는 일반 조인트 교량의 교대와 같이 고정기초 역할로 유도하는 개념이지만 일체식 교대 교량은 고정과 힌지기초의 사이로 유도하는 개념이다.
교대부 상부구조는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뒷채움 재료의 구속력(수동토압)에 저항하기 위해서 거더가 충분히 저항하도록 교대단부의 단부격벽(End Diaphram)에 매입한다.
따라서 단부격벽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설계시 계절적인 온도변화로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신축변위로 인한 수동토압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교대부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교량형식이기 때문에 공용중 신축이음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유지관리 및 교체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일반 조인트 교량형식에 비해 유지관리성이 뛰어나며, 장기적인 생애주기비용 측면을 고려한 경제성도 우수하다. 또한 차량의 신축이음부 통과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의 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통과차량의 주행성 및 고속도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로 보장하는 교량형식이다.
본 발명은 교대와 상부구조가 완전히 일체화되는 일체식 교대 교량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적용상의 제한조건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개념의 교량형식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특히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 말뚝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하고 말뚝머리 보강을 실시하는 제1단계와, 확대기초를 시공하고 교대 흉벽 및 날개벽 시공을 완료한 다음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연결을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제3단계와, 단부격벽과 날개벽이 분리되도록 그들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과 단부격벽을 일체로 타설하는 제5단계와,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2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제1 받침슬래브 상면에 교량 바닥판과 연결되는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와 접속되는 완충슬래브를 시공하고 제2 받침슬래브 상면에 완충슬래브와 본선포장부를 시공하는 제7단계와,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 사이에 신축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교면을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6단계는, 교대 배면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 완충구간,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우고, 완충구간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하며, 완충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증가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6단계는,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구간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과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저감을 유도하며, 이때 부직포(610)는 이형철근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7단계는,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후 받침슬래브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와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위에 선택층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를 설치한 후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는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를 교대 단부와의 결합도를 높이기 위해 강박스거더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의 끝단에는 정착판을 접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 배근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 또는 단부 상부판의 일부를 절단해 낸 유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와 강박스거더의 단부 사이에는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격벽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은 교대 단면의 감소로 기초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고 뒷채움재료와의 상호거동으로 종방향 지진력을 감소시켜 내진에 유리한 구조이며 단부격벽 일체구조로 교대부 활하중 분배에 유리하다.
또한 교대 단면 축소 및 신축이음장치 미설치로 초기공사비가 감소하고 교량의 신축이음부 누수에 대한 문제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가되며 신축이음장치 미설치로 신축이음부 파손에 의한 보수 및 교체에 대한 유지관리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도로 포장부 연속화로 소음 및 진동이 감소하여 차량의 주행성이 향상되는 효과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은 크게 교대부 성토 및 기초 말뚝 매입 단계(제1단계), 교대 구체 및 날개벽 시공단계(제2단계), 강박스거더 거치단계(제3단계), 단부격벽과 거더 접합면 처리단계(4단계), 교량 바닥판 및 단부격벽 시공단계(제5단계), 뒷채움부 시공단계(제6단계), 받침슬래브 및 접속슬래브 시공단계(제7단계), 신축조절장치 설치단계(제8단계)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각 단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는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110, 교대성토부) 말뚝(120)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130)를 타설하고 말뚝머리(140) 보강을 실시한다. 말뚝의 시공은 주지된 공법 중 현장상황이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공하면 되며, 말뚝시공시 말뚝항타소음에 영향을 받을 경우에는 양질의 지지층까지 오거로 굴착한 후 말뚝을 삽입하고 최종 항타하는 프리보링 타격말뚝공법이나 최종 압입 또는 경타하는 시멘트 밀크 공 법(SIP, Soil-cement Injected Precasted piles)을 실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는 교대 구체 및 날개벽 기초(확대기초, 210)를 시공하고 교대 구체와 날개벽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대(220) 시공이 완료된 후 교량받침(230)을 설치한다. 이때, 유공관의 날개벽 관통을 위한 강관(240)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량받침(230)으로는 공지의 교량받침 중 시공성, 경제성, 구조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량받침으로 시공한다. 교대 구체 및 날개벽 기초는 단면을 최소화하여 작용토압을 감소하도록 한다.
제3단계는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콘크리트의 일체화를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한다. 강박스거더는 교대부 기초 및 교대 시공 후 전체적인 시공일정에 맞추어 공장 제작한다.
도 3c 및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단계는 단부격벽과 날개벽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520)를 설치한다. 즉,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구조거동 특성상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서로 분리되어 상부구조 변위가 자유롭게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단부격벽(320)과 날개벽(510)은 서로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합면에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이 접합면에는 신축기능 및 방수의 목적으로 신축이음채움재(520)로 채운다. 신축이음채움재(520)로는 공지의 충진재로부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reformed Expansion Joint Fille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e 및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단계는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330)과 단부격벽(320)을 일체로 타설한다. 단부 격벽 횡방향 철근(도 4a, 313) 조립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철근을 커플링 또는 용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단부격벽(320)은 온도변화에 의한 교대 뒷채움부 토압에 저항하고, 상부구조 및 접속슬래브와 일체화된 구조인 교대부로 전달되는 활하중을 분배하며,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게 된다.
한편,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거더와 거더 사이에 격벽판(350)이 설치될 수 있다(도 3f, 도 5 참조). 이 격벽판(350)은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거더의 측면에 용접되는 H형강(352)을 덮개판(354)을 이용해 볼트 접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단부격벽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높이기 위해 스티프너나 고장력 볼트(356)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강박스거더(310)와 단부격벽(320)의 접합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311)를 강박스거더(310)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311)의 끝단에는 정착판(312)을 접합하며, 스티프너(311)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에 횡방향 연결철근(313)과 수직철근(314)을 설치한 후 단부격벽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를 일체화하였다.
스티프너(3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부에 위치한 스티프너(311)만을 연장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부 에 위치한 스티프너(311)만을 연장할 수도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거더의 상하부에 위치한 스티프너(311) 모두를 연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티프너(311)와 강박스거더(310)의 단부 양측판에는 연결철근(313)을 배근하기 위하여 각각 복수의 관통공(310a)(310b)을 형성하고 정착판(312)은 스티프너(311)의 끝단에 수직하게 접합된다. 그리고 강박스거더(310)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314) 배근을 위한 관통공(310c)을 다수개 형성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절단해 낸 유입부(315)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티프너를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를 일체화하는 연결요소로 사용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스티프너의 단부에 정착판을 접합함으로써 단부격벽과 강박스거더의 연결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저항하는 별도의 철근을 배근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3g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단계는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한다. 교대 배면의 뒷채움부는 교대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A), 완충구간(B), 일반성토구간(C)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A)은 상부구조의 수평이동에 대한 구속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재료인 강자갈이나 둥근골재 25mm 이상을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운다. 완충구간(B)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한다. 완충구간(B)과 토압저감층(A) 사이에는 부직포(610)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층으로 유입 되는 것을 막아 밀도증가 또는 토압증가를 막는다.
한편, 뒷채움 방법은 도 3g (b)에 도시된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이나 유용토로 보조기층구간(D)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E)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A)과 일반성토구간(C)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강자갈이나 골재 25mm 이상을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610)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증가를 막는다. 이때 부직포(610)는 이형철근 또는 못(615) 등으로 고정한다.
제7단계는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받침슬래브(710)와 제2 받침슬래브(780)를 시공한 다음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 및 본선포장부(770)를 순차적으로 시공한다.
즉, 도 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받침슬래브(710)를 시공한 후 제1 받침슬래브(710)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720)와 유공관(730)을 설치하고 유공관(730) 주위에 선택층(740)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740)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720)를 설치한다. 이때, 유공관(730)은 완충슬래브(760)와 접속슬래브(750) 쪽으로 침투수의 배수를 위해 설치되며, 접속슬래브(750) 하면에 설치되는 폴리에틸렌 쉬트(720)는 접속슬래브(750)로 전달되는 신축이음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받침슬래브(71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유공관은 도 로 편경사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편구배를 적용한다. 여기서, 접속슬래브(750)는 활하중에 의한 교대 뒷채움부 침하를 방지하고 상부구조의 신축변위를 신축조절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받침슬래브(710)는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를 지지하고 접속슬래브(750)의 부등침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부격벽의 부모멘트 발생을 억제한다.
한편, 도 3j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받침슬래브(780)은 본선포장부(770)와 완충슬래브(760)가 접속하는 부분의 하부에는 본선포장부(770)와 완충슬래브(760)의 단차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과 완충슬래브 단부 파손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다.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단계는 접속슬래브(750)와 완충슬래브(760) 사이에 신축조절장치(810)를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아스팔트 또는 LMC(Latex Modified Concrete)로 교면을 포장한다. 신축조절장치(Cycle Control Joint)는 일반교량의 신축이음장치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다짐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교대 교량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박스거더의 단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거더와 거더 사이에 격벽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7)

  1. 교대부의 성토 작업을 실시하고 말뚝을 시공한 다음 교대 기초의 린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하고 말뚝머리 보강을 실시하는 제1단계와,
    확대기초를 시공하고 교대 흉벽 및 날개벽 시공을 완료한 다음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공장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된 강박스거더를 거치시키고 강박스거더와 가로보의 현장이음을 실시한 다음 강박스거더와 단부격벽 연결을 위한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제3단계와,
    단부격벽과 날개벽이 분리되도록 그들의 접합면에 신축이음채움재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교량 바닥판 철근과 동시에 단부격벽 철근을 배근하고 교량 바닥판과 단부격벽을 일체로 타설하는 제5단계와,
    교대 배면에 뒷채움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뒷채움이 완료된 후 제1, 2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제1 받침슬래브 상면에 교량 바닥판과 연결되는 접속슬래브와 본선 포장부와 접속되는 완충슬래브를 시공하고 제2 받침슬래브 상면에 완충슬래브와 본선포장부를 시공하는 제7단계와,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 사이에 신축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교면을 포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교대 배면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 토압저감구간, 완충구간,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며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채우고, 완충구간은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무진동 다짐을 실시하며, 완충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완충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증가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뒷채움부를 2단으로 나누어 교대 흉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부를 향해서는 안식각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보조기층구간을 시공하고 연이어 성토구간을 시공하며,
    교대 단부격벽 배면으로부터 교대 성토를 향해서는 토압저감구간과 일반성토구간으로 나누어 시공하되 토압저감구간은 점착력이 없고 내부마찰각이 작으며 입자가 비교적 둥근 골재를 이용하여 느슨하게 경사지게 채우고, 일반성토구간과 토압저감구간 사이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일반성토구간의 토사가 토압저감구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토압 증가를 억제하며, 이때 부직포는 이형철근 또는 못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받침슬래브를 시공한 후 받침슬래브의 좌우측에 횡구배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쉬트와 유공관을 설치하고 유공관 주위에 선택층을 시공한 다음 선택층 상면에 폴리에틸렌 쉬트를 설치한 후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는 강박스거더를 보강하기 위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티프너를 교대 단부와의 결합도를 높이기 위해 강박스거더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연장하고 돌출된 스티프너의 끝단에는 정착판을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의 단부 상부판에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수직철근 배근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공 또는 단부 상부판의 일부를 절단해 낸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거더와 강박스거더 사이에는 거더를 가로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강성을 높여주고 교량받침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부격벽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단부격벽의 결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격벽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1020080044205A 2008-05-13 2008-05-13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7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205A KR100972884B1 (ko) 2008-05-13 2008-05-13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CN200980117187.0A CN102037185B (zh) 2008-05-13 2009-01-29 利用钢箱梁的半整体式桥台桥梁的施工方法
JP2011509397A JP5113290B2 (ja) 2008-05-13 2009-01-29 鋼箱桁を用いたセミインテグラルアバット橋の施工方法
PCT/KR2009/000424 WO2009139536A1 (ko) 2008-05-13 2009-01-29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205A KR100972884B1 (ko) 2008-05-13 2008-05-13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433A true KR20090118433A (ko) 2009-11-18
KR100972884B1 KR100972884B1 (ko) 2010-07-28

Family

ID=4131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205A KR100972884B1 (ko) 2008-05-13 2008-05-13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13290B2 (ko)
KR (1) KR100972884B1 (ko)
CN (1) CN102037185B (ko)
WO (1) WO200913953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58B1 (ko) * 2010-03-11 2010-10-01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흉벽이 구비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
CN101962933A (zh) * 2010-08-25 2011-02-02 江苏省交通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桥梁的可拼接翼缘板
CN108086126A (zh) * 2017-12-19 2018-05-29 厦门市市政建设开发有限公司 整体式自行车专用桥梁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08516B1 (ko) * 2018-11-16 2019-08-08 화성산업주식회사 Crp 거더
CN114319113A (zh) * 2021-12-14 2022-04-12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靖江桥梁科技产业园有限公司 一种钢箱梁分体式横隔板横向对拼可调标高及对位的方法
KR102583155B1 (ko) * 2022-10-26 2023-09-26 홍석희 2주패널 복합형 연속 라아멘교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13B1 (ko) 2011-01-06 2011-05-09 (주)지승컨설턴트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CN102251482A (zh) * 2011-05-10 2011-11-23 吴江市明港道桥工程有限公司 桥梁搭板与水稳基层接合部位的施工方法
CN103485286B (zh) * 2013-10-08 2015-09-02 中铁二局股份有限公司 一种箱梁预制节段箱室加固方法
ES2534230B1 (es) * 2013-10-18 2015-11-11 Ingeturarte Sl Losa de transición entre el estribo y el tablero de un puente con juntas de expansión y contracción de larga vida útil, y métodos de absorción de los movimientos de expansión y contracción del tablero de un puente
KR101452178B1 (ko) 2014-05-20 2014-10-22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프리캐스트 교대흉벽을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13784B1 (ko) 2014-06-10 2016-04-20 (주)지승컨설턴트 조인트 노후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으로 시공하는 방법
CN104294769B (zh) * 2014-09-16 2015-12-30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一种补桩与增大台帽组合加固已建桥台结构的施工方法
CN104746436B (zh) * 2015-04-10 2016-05-11 福建省交通规划设计院 一种整体式桥台桥梁的简化设计施工方法
CN105113412A (zh) * 2015-08-26 2015-12-0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夹板台背回填加固的施工方法
CN108265620A (zh) * 2018-04-10 2018-07-10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无伸缩缝桥梁的整体式桥台施工方法及整体式桥台
CN117436183B (zh) * 2023-12-21 2024-03-05 湖南大学 深厚软土区桥梁、市政道路与邻近服务区同步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124B1 (ko) 1998-12-30 2001-01-15 유성용 일체식 교대 교량의 변위 허용을 위한 채움 조인트 시공방법
KR20020075136A (ko) * 2001-03-23 2002-10-04 (주)석탑엔지니어링 고정단을 갖는 접속슬래브 및 그의 시공방법
CN1548655A (zh) * 2003-04-21 2004-11-24 朴大源 桥梁伸缩缝装置
JP2005016196A (ja) * 2003-06-27 2005-01-20 Yasuhiko Okochi 橋台背面盛土工法
KR100585987B1 (ko) * 2003-09-24 2006-06-07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반 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JP4020918B2 (ja) * 2005-02-24 2007-12-12 朝日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桁橋の架橋構造
KR100743832B1 (ko) 2006-05-11 2007-07-30 (주)씨팁스이엔지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1851139A (zh) * 2006-05-19 2006-10-25 成都亿通达实业发展有限公司 桥梁支座修复方法
CN100513696C (zh) * 2007-10-16 2009-07-15 中铁大桥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墩身帽开裂体外予应力加固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58B1 (ko) * 2010-03-11 2010-10-01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흉벽이 구비된 반일체식 교대 교량
CN101962933A (zh) * 2010-08-25 2011-02-02 江苏省交通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桥梁的可拼接翼缘板
CN101962933B (zh) * 2010-08-25 2012-05-23 江苏省交通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桥梁的可拼接翼缘板
CN108086126A (zh) * 2017-12-19 2018-05-29 厦门市市政建设开发有限公司 整体式自行车专用桥梁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08516B1 (ko) * 2018-11-16 2019-08-08 화성산업주식회사 Crp 거더
CN114319113A (zh) * 2021-12-14 2022-04-12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靖江桥梁科技产业园有限公司 一种钢箱梁分体式横隔板横向对拼可调标高及对位的方法
CN114319113B (zh) * 2021-12-14 2024-03-22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靖江重工有限公司 一种钢箱梁分体式横隔板横向对拼可调标高及对位的方法
KR102583155B1 (ko) * 2022-10-26 2023-09-26 홍석희 2주패널 복합형 연속 라아멘교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7185B (zh) 2013-02-13
JP5113290B2 (ja) 2013-01-09
CN102037185A (zh) 2011-04-27
JP2011520054A (ja) 2011-07-14
WO2009139536A1 (ko) 2009-11-19
KR100972884B1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884B1 (ko)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100743832B1 (ko)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16511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KR101123842B1 (ko) 토목구조물과 접속슬래브를 강결 연결하고 메나지힌지장치를 설치한 게르버힌지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1006900B1 (ko)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KR20090093556A (ko)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보강토 옹벽
JP6371571B2 (ja) サンドイッチ型複合頂版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物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JP4765965B2 (ja) 護岸一体ラーメン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53606B1 (ko) 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KR101300296B1 (ko)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20060096810A (ko) 접속슬래브 연결 및 말뚝과 거더가 강결일체화되고 하중상쇄 및 캠버를 자동관리하는 씽크로라이즈 동바리시스템을설치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다가구 슬래브 교량및 이의 설치방법
KR20150043913A (ko)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69701B1 (ko)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101198286B1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1082765B1 (ko) 교대역할 강관말뚝과 프리캐스트거더 일체화교량 시공방법
KR100998414B1 (ko) 교대역할 강관말뚝과 프리캐스트거더 일체화교량 시공방법
KR20000044699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JP5915074B2 (ja) 地上交通路の下に地下空間を形成する方法
KR102244029B1 (ko)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020918B2 (ja) 桁橋の架橋構造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KR101341147B1 (ko) 도로-교량간 포장 일체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92373B1 (ko)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KR102562385B1 (ko) 교량상부구조 변형흡수가 가능한 돌출형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