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373B1 -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 Google Patents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373B1
KR100492373B1 KR10-2002-0045100A KR20020045100A KR100492373B1 KR 100492373 B1 KR100492373 B1 KR 100492373B1 KR 20020045100 A KR20020045100 A KR 20020045100A KR 100492373 B1 KR100492373 B1 KR 10049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bridge
upper slab
pil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315A (ko
Inventor
홍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벽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벽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4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3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는, 주요 수평 몸체부를 이루는 상부슬래브와, 상부슬래브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접속슬래브와, 상기 상부슬래브를 지지하는 교각 및 교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와 교각 및 접속슬래브는 연속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대의 설치 위치에는 교대 대신에 헌치 및/또는 다소 깊은 거더가 상부슬래브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헌치 및/또는 다소 깊은 거더는 말뚝에 의해 각각 지지되되, 그 각 말뚝은 헌치 및/또는 다소 깊은 거더와 일체가 되도록 강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받침이나 신축이음을 설치하지 않고, 접속슬래브를 포장 구조로 대치하고, 과대한 교대를 거더 구조로 대치하며, 각 구조 부재요소를 강체 연결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초기 공사비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활동이 거의 없어 교량의 생애주기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와 연속화에 따른 구조 여용성 증대 및 내구성 증대로 교량 공용 수명이 증가되는 등 중소규모의 교량건설에서 매우 우수한 시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Non-Bearing, Jointless and Non-Abutment Bridge Structure}
본 발명은 중·소규모의 하천, 도로, 철도 및 성토 지반 등을 횡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교량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래 교량에서 설치되어온 교량 받침, 신축이음 및 교량 시종점부의 역T형 교대 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교량의 상부슬래브, 교각 및 접속슬래브를 일체로 구축하고, 종래 역T형 교대 구조 대신 상부슬래브와 접속슬래브 연결 헌치(hunch)를 이용한 거더(girder)나, 다소 높이를 갖는 거더에 횡방향에 대해 유연한 강성 및 거동을 갖는 말뚝으로 지지하도록 하여구축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교량에서는 교량의 상부구조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교대 및 교각에 받침과 신축이음 요소를 설치하며, 교량 시종점에서 역T형 교대를 설치하여 상부 구조를 지지하도록 하고,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대 배면의 코벨(corbel)에 힌지 연결 형태로 접속슬래브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연속 슬래브 교량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연속 슬래브 교량은 교량 시종점부 교대(120) 및 중간 교각(110)에 신축이음(150)을 설치하고, 교대(120) 및 교각(110)에 받침(140)을 설치하여 상부슬래브(10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대해 고정단 교각 (110)을 중심으로 받침(140)의 중심선이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교대(120)의 상단부에는 받침(140)과 신축이음(150)을 설치하여 교대(120)와 상부슬래브(100)를 분리한다. 이러한 교대(120)는 교량 상부구조의 하중, 교대 자체 자중 및 배면 토 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초 폭은 높이의 0.7배 정도를 갖는 직접 기초로 구축하거나, 다열의 기초말뚝(125)으로 지지시켜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역T형 형태로 구축한다. 그리고, 교대(120)의 배면에 포장단차가 발생하여 주행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교대(120)의 코벨(121) 구조에 포장구조와 별도로 접속슬래브(130)를 힌지연결 형태로 연결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라멘 교량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라멘 교량은 상기 도 1의 연속 슬래브 교량에서의 교각(110)과 상부슬래브(100)가 받침으로 지지 및 분리되는 구조를 교각(110)과 상부슬래브(100)를 일체 구조로 변경한 것으로서, 교대(120) 부분의 구조는 상기 도 1의 연속 슬래브 교량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교대(120) 부분에는 도 1의 연속 슬래브 교량에서처럼 받침(140), 신축이음(150) 및 접속슬래브(130)를 설치하고, 교대(120)의 형태도 도 1의 연속 슬래브 교량과 같이 역T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 번호 115는 교각 기초말뚝, 145는 교량 받침 보강 콘크리트, 160은 도로 포장구조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거더형 교량(PSC 빔 합성형교, 강합성형교)의 구조를 보여주는도면이다.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거더형 교량은 일반적인 역T형 교대 대신 H말뚝(225)을 일렬로 배치하여 지지된 높이가 낮은 교대(220)와 교량 상부의 바닥판(200)이 결속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 및 철근을 배치한 교량으로 신축이음을 생략한 교량이다. 이 교량은 교대(220) 상에 거더(270)를 설치시 교량받침(탄성 고무받침)(240)을 배치하며, 교각(210)에도 거더(270)를 지지하기 위해 받침(240)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교량은 접속슬래브(230)와 교대(220) 사이에 철근(231)을 연결하여 경계 조건이 힌지 형태를 갖고 있다. 도 3에서 참조 번호 221은 코벨, 245 는 받침 보강 콘크리트, 260은 유공관, 265는 뒷채움 흙을 각각 나타낸다.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교량들에 있어서, 신축이음(150)과 받침(140,240)은 파손이 쉬운 부대시설로서, 신축이음(150)이 손상되면 차량의 주행성이 저하되고, 누수 및 오염물질이 교대, 교각 구체에 흘러버려 받침(140,240)의 손상이 가속화되어 작동불량에 따른 경계조건 변화에 의해 교량 구체 손상을 촉진함으로써 교량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공용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또한, 받침(140,240)은 주기적으로 청소나 도색 등의 유지관리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상이 일어나기 쉬운 시설로서, 이 받침(140,240)의 손상이 일어나면 그 구조물 경계조건 변화에 따라 구조물의 갑작스러운 붕괴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구조물 손상을 촉진하고, 차량 반복 하중에 의해 피로 파괴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또한, 이와 같은 교량에는 교대(120)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 교대(120)는 상부구조(100)의 사하중, 활하중 등을 지지하고 교대 자체자중과 교대 배면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그 규모가 매우 커지는 경향이 있고, 교량 구조 요소끼리 온도 변화, 하중 등에 의해 영향을 서로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높이의 0.7배 정도의 기초 폭을 갖거나 다열의 말뚝(125)으로 지지해야 한다. 또한, 기존 교량의 접속슬래브(130)는 교대(120)와 분리된 구조로 그 연결이 다웰바로 힌지 연결 형태에 따라 뒷채움 침하 발생과 반복 차량 하중에 의해서 이 부분 틈새가 점점 벌어지는 문제점에 의해 물 등이 침투하여 포장을 지지하는 지반 지지층의 약화로 교대 배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 거더 교량(도 3 참조)의 상부 바닥판(200)을 교대(220)와 일체로 구축하는 교량도 접속슬래브(230)와 교대(220)가 철근(231)으로 연결되고, 접속슬래브(230)의 단면과 교대(220) 단면의 콘크리트가 분리됨으로써 접속슬래브(230)의 지지 지반이 약화될 경우는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교량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교량에서 설치되어온 교량 받침, 신축이음 및 교량 시종점부의 역T형 교대 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교량의 상부슬래브, 교각 및 접속슬래브를 일체로 구축함으로써, 신축이음 및 받침의 손상에 따른 교량 구조체 전체의 내구성 저하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교량 구조체는, 주요 수평 몸체부를 이루는 상부슬래브와, 상부슬래브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접속슬래브와, 상기 상부슬래브를 지지하는 교각 및 교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와 교각 및 접속슬래브는 연속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대의 설치 위치에는 교대 대신에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가 상부슬래브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는 말뚝에 의해 각각 지지되되, 그 각 말뚝은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와 일체가 되도록 강체 연결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에 말뚝부재를 직접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 하단부에 다소 깊은 거더를 형성하고, 그 거더에 말뚝부재를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는, 주요 수평 몸체부를 이루는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접속슬래브(320)와, 상기 상부슬래브(300)를 지지하는 교각(310)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슬래브(300)와 교각(310) 및 접속슬래브(320)가 연속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종래 교량에 있어서의 각 교대(120,220)의 설치 위치에는 교대가 설치되는 대신에 헌치(330) 또는 헌치(300)와 다소 깊은 거더(335)가 상부슬래브(300)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그 각 헌치(330)와 다소 깊은 거더(335)는 말뚝(340)(345)에 의해 각각 지지되되, 그 각 말뚝(340)(345)은 헌치(330) 또는 거더(335)와 일체가 되도록 강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슬래브(300)와 접속슬래브(320)를 일체화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상부슬래브(300)와 접속슬래브(320)를 서로 철근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킨다. 도 4및 도 5에서 참조번호 305는 상부슬래브(300)와 교각(310)의 연결헌치를, 315는 교각 기초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4의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의 헌치가 유연한 H형 말뚝과 강널 말뚝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330) 부위를 일렬로 유연한 말뚝(340)(예를 들면, H형 말뚝, 강관 말뚝) 또는 강널말뚝(Sheet pile)(345)으로 지지하게 하고, 접속슬래브 하면의 지반을 모래자갈로 뒷채움(380)하여 철저히 다짐 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비닐막(370)을 설치하여 상부구조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 발생시 유연하고 자유롭게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도 8은 도 5의 "상세 B" 부분에 대한 부분 발췌 확대도이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깊은 거더(335)에 일렬로 유연한 말뚝(340)(예를 들면, H형 말뚝, 강관 말뚝)으로 지지하게 하고, 접속슬래브 하면의 지반을 모래자갈로 뒷채움(380)하여 철저히 다짐 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비닐막(370)을 설치하여 상부구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발생시 유연하고 자유롭게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도 9 내지 도 11은 도 6에서의 말뚝의 수평 스프링 계수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고, 교량 시종부의 성토 제방을 가로막는 시설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교량 시종점부의 제방 성토를 제어하기 위하여도 7에서와 같은 강널말뚝(345)을 이용하거나, 말뚝(340) 사이에 프리캐스트 판넬(360)로 부착하거나, 도장을 한 강판(365) 및 숏크리트(366)로 부착하여 성토를 가로막는다.
그리고, 보다 긴 지간 교량 축조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을 더욱 유연하게 하고, 상기 교량 시종점부의 헌치(330)나 거더(335)를 지지하는 말뚝(340)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유연한 수평지반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교량 시종점부 말뚝의 수평 스프링 계수를 적게 하도록 말뚝(340)의 상단부 일정 영역만큼 말뚝(340)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튜브(350)를 씌우고, 그 튜브(350)와 말뚝(340) 사이의 공간에 수평지반 계수가 낮은 재료, 예컨대, 모래(355)를 채워 넣어 다짐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는 중·소규모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변위에 대응하기 위한 신축이음과 하중지지를 위해서 설치되는 고가의 받침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기존 교량 공법과 비교해 볼 때 공사비가 대폭 절감될 뿐만 아니라 공정이 단순화됨으로써 공사가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대구조도 역T형의 큰 규모의 구조 대신 일렬의 말뚝으로 지지되는 거더 구조 형식으로 구축됨으로써 콘크리트, 철근, 터파기, 되메우기, 뒷채움량이 대폭 감축되어 자재비와 인건비 등의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 상부슬래브와 접속슬래브 및 교각을 하나의 구조체로 일체화함으로써 종래 교량보다 하중 분배 효과가 탁월하고, 별도포장구조 없이 구축되므로, 공사비가 추가로 감소되며, 지진시에도 다경간 연속 및 고가 구조로서 소성 힌지의 대폭 증가로 구조 여용성 증대에 따른 내진 성능도 우수하다. 또한, 접속슬래브를 상부슬래브와 일체화함으로써 교대와 연결부에서 침투되는 물이 없어 지반 약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특히,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대폭 절감, 구조여 용성 증대, 하중분배의 우수한 효과 등에 의해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교량 구조물의 생애주기 증대가 뚜렷하여 중소규모의 교량 건설 산업에 채용될 시 탁월한 시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연속 슬래브 교량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라멘 교량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거더형 교량(PSC 빔 합성형교, 강합성형교)의 구조를 보여주는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에 말뚝부재를 직접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 하단부에 다소 깊은 거더를 형성하고, 그 거더에 말뚝부재를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의 "상세 A" 부분을 발췌 도시한 것으로서, 헌치가 유연한 H형 말뚝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의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의 "상세 A" 부분을 발췌 도시한 것으로서, 헌치가 강널 말뚝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5의 "상세 B" 부분을 발췌 도시한 것으로서, 다소 높이를 갖는 거 더가 유연한 H형 말뚝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6의 "상세 C"부분에 있어서의 말뚝의 수평 스프링 계수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고, 교량 시종부의 성토제방을 가로막는 시설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도면.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판넬로 성토 제방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강판과 숏크리트로 성토 제방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삭제
100: 상부 슬래브 105: 상부 슬래브와 교각 연결 헌치
삭제
110: 교각 115: 교각 기초
삭제
120: 역T형 교대 121: 역T형 교대의 코벨
삭제
125: 역T형 교대 기초 130: 접속슬래브
삭제
140: 교량 받침 145: 교량 받침 보강 콘크리트
삭제
150: 신축이음 160: 도로 포장구조
삭제
200: 상부 바닥판 210: 교각
삭제
220: 반중력식 교대 221: 교대의 코벨
삭제
225: 말뚝(H말뚝 등) 230: 접속슬래브
삭제
231: 교대와 접속슬래브 연결 철근
240: 교량 받침 245: 받침 보강 콘크리트
삭제
260: 유공관 265: 뒷채움 흙
삭제
270: 거더(피에스시 빔) 300: 상부슬래브
삭제
삭제
305: 상부슬래브와 교각 연결 헌치
310: 교각 315: 교각 기초
삭제
320: 접속슬래브
330: 접속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연결 헌치
335: 다소 높은 깊이의 거더
340: 말뚝(H형 말뚝, 강관말뚝, PHC 말뚝, 기타 재료 말뚝 등)
345: 강널말뚝 350: 튜브
삭제
355: 모래 360: 프리캐스트 판넬
삭제
366: 숏크리트 370: 비닐막
삭제
380: 점착력이 없고 마찰력이 큰 뒷채움

Claims (8)

  1. 주요 수평 몸체부를 이루는 상부슬래브와, 상부슬래브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접속슬래브와, 상기 상부슬래브를 지지하는 교각 및 교대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교량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와 교각 및 접속슬래브는 연속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대의 설치 위치에는 교대 대신에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가 상부슬래브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는 말뚝에 의해 각각 지지되되, 그 각 말뚝은 헌치 또는 다소 깊은 거더 중의 어느 하나와 일체가 되도록 강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와 접속슬래브는 서로 철근으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시종점부 헌치나 거더를 지지하는 말뚝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유연한 수평지반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교량 시종점부 말뚝의 수평 스프링 계수를 적게 하도록 말뚝의 상단부 일정 영역만큼 말뚝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튜브를 씌우고, 그 튜브와 말뚝 사이의 공간에 수평지반 계수가 낮은 재료를 채워 넣어 다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8. 삭제
KR10-2002-0045100A 2002-07-30 2002-07-30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KR100492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00A KR100492373B1 (ko) 2002-07-30 2002-07-30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00A KR100492373B1 (ko) 2002-07-30 2002-07-30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777U Division KR200325694Y1 (ko) 2002-08-08 2002-08-08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15A KR20040011315A (ko) 2004-02-05
KR100492373B1 true KR100492373B1 (ko) 2005-06-08

Family

ID=3731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00A KR100492373B1 (ko) 2002-07-30 2002-07-30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18B1 (ko) 2011-05-02 2011-08-08 양난경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7299B1 (ko) 2020-03-18 2020-12-31 진영란 역t형 pc데크를 이용한 장지간 무교대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8346B (zh) * 2013-10-29 2015-11-18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简支梁桥教学仿真结构体
CN108547209B (zh) * 2018-05-02 2023-11-21 福建工程学院 一种单孔预制空心板无伸缩缝桥梁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66B1 (ko) * 1998-12-30 2001-12-28 유성용 일체식교대교량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66B1 (ko) * 1998-12-30 2001-12-28 유성용 일체식교대교량의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18B1 (ko) 2011-05-02 2011-08-08 양난경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7299B1 (ko) 2020-03-18 2020-12-31 진영란 역t형 pc데크를 이용한 장지간 무교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15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884B1 (ko)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100743832B1 (ko)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83861B1 (ko)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KR101216511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KR10177293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동안내벽과 말뚝을 이용한 무교대 라멘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745401B1 (ko) 접속슬래브 연결 및 말뚝과 거더가 강결일체화되고 하중상쇄 및 캠버를 자동관리하는 씽크로나이즈드 동바리시스템을 설치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다가구 슬래브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492373B1 (ko)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KR100548911B1 (ko) 일체식 복합교대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312066B1 (ko) 일체식교대교량의시공방법
KR200325694Y1 (ko)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교량 구조체
JP2008223291A (ja) 護岸一体ラーメン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98286B1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1766793B1 (ko) 철도 교량용 슬라이딩 궤도 및 철도 교량용 슬라이딩 궤도 시공방법
KR101585652B1 (ko) 중공벽체와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지반과 구조물간의 상호작용 및 온도신축변위를 차단하는 구조의 교대를 가지는 교대일체식 교량
KR20100126648A (ko) 교대역할 강관말뚝과 프리캐스트거더 일체화교량 시공방법
Husain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of jointless bridges in ontario: new technical and material concepts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RU2302491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балочного моста
KR102244029B1 (ko)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3106A (ko) 교대역할 강관말뚝과 프리캐스트거더 일체화교량 시공방법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0499338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암거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KR20040108255A (ko) 콘크리트 충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말뚝을 이용한 무조인트일체식 교대구조 및 그 시공방법
Weizenegger Hybrid frame bridge, river saale, Merseburg, Germ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