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861B1 -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861B1
KR100983861B1 KR1020080015299A KR20080015299A KR100983861B1 KR 100983861 B1 KR100983861 B1 KR 100983861B1 KR 1020080015299 A KR1020080015299 A KR 1020080015299A KR 20080015299 A KR20080015299 A KR 20080015299A KR 100983861 B1 KR100983861 B1 KR 10098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bridge
rolled steel
concrete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055A (ko
Inventor
홍석희
박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홍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홍석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1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8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에 있어서, 교량의 경간장이 15 ~ 30m의 범위를 가지면서 형고를 최소로 하는 중경간 교량까지 적용하기 위하여 교량 상부구조를 낮은 형고의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을 교량 빔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외력의 응력과 변형을 상쇄 및 회복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향후 내하력이 저하될 경우 내하력 증가가 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한 PS강선을 배치하여 긴장 및 정착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를 형성한 교량 상부슬래브를 설치하고, 교량시종점부에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에 강결된 상부슬래브거더로서 일체화하고, 교각에서도 교각의 구조와 상부슬래브가 강결연결하여 일체화한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Integral composite slab bridge without abutments, supports, and expansion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종전에는 경간장 15 ~ 30m까지의 중경간의 교량에는 매시브 역T형 교대, 신축이음 및 받침을 갖고 형고가 높은 거더 상에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으로 구성된 합성형교가 사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은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단면 내에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구성하고, 필요시에는 PS강선을 배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낮은 두께를 갖는 복합슬래브구조로 하고, 교량시종점부의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에 강결연결된 상부슬래브거더로서 일체화하고, 교각에서도 교각구조와 상부슬래브가 강결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지간이 길면서 형하공간을 종전의 거더교량에 비하여 크게 확보할 수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교대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 통상의 철근콘크리트슬래브를 설치하여 교량을 시공함으로써 지간장 10 ~ 20M정도의 소경간으로 이루어져 사용하는데 제한을 받아 왔으며, 보다 지간이 긴 장경간의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역T형 교대와 교각 상에 받침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 위에 콘크리트거더 또는 조립 강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가 합성된 합성형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함으로써 형고가 크게 되어 결국 교량의 형하공간이 작아짐으로써 통수면적이 작아져 홍수시 하천의 범람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며, 또한 홍수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을 높게 설치하는 경우 이에 연결된 하천의 제방도 동시에 높게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주변 접속도로 또한 높게 설치된 제방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높게 설치하여야하므로 제방을 사이에 두고 인접된 마을 간의 왕래가 불편하여 민원이 상시 제기되고 현장 적용의 제한성이 많고,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하여 별도 동바리 및 거푸집의 설치로 공사비 및 공기증가, 경량 빔에 의한 가설기계의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되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슬래브교량의 슬래브에 빔을 매입 또는 일부 매입하면서 동시에 강성보강 및 외력을 상쇄할 수 있는 강선을 긴장정착하여 형고를 낮추면서 지간을 길게 한 장경간의 교량을 설치함과 동시에 형하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하여 홍수시에도 하천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도로의 종단고를 낮추어 접속의 원활과 마을 간의 조망차단을 해소하고, 교량시종점부에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에 강결된 상부슬래브거더와 일체화하고, 교각지점에도 교각구조와 상부슬래브가 강결연결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무교대, 무신축이음 및 무받침에 의한 유지관리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한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교량이 경제적이고, 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고 급속시공이 가능하며 지간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면서 슬래브 빔의 복부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형하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함에 따른 접속도로 종단고를 낮추기 위하여 장경간에 의한 교량의 내하력의 저하에 대비하여 교량 상부슬래브에 압연강재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을 설치하고, 이들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에 강성향상 및 외력을 상쇄하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는 PS강선 및 향후 교량의 내하력 저하에 따른 내하력증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일부 또는 전부 매입되도록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고, 교량시종점부에 상부슬래브와 일체로 설치된 거더에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이 지지하도록 하여 무교대화하며, 접속슬래브, 상부슬래브 및 하부구조를 일체화하여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설치할 때 복합슬래브 지점부 및 중앙부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하부의 플랜지를 포함한 복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슬래브를 구축하거나 전부 슬래브 내에 매입되거나 일부 복부 단면을 프리캐스트화 한 다음, 그 위에 슬래브를 타설하고, 상기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이 설치된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에 따라 설치하면서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양측부인 교량시종점부나 일정 위치에 설치된 정착장치에 상기 설치된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을 긴장한 후에 정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할 때 쉬스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 강선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양단부나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중앙부에서 긴장하여 정착콘을 포함한 정착장치로 고정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교량의 철근콘크리트슬래브 내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종방향 거더 및 PS강선을 설치하여 복합슬래브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지간을 보다 확장하고, 형하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수시 불어난 하천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량 상부구조인 거더의 형고가 낮아짐으로써 거더의 하부의 형하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어 홍수시 불어난 물을 통수시키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거더의 형고가 낮아지므로 도로의 종단선형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전에는 형하공간이 작아짐으로써 홍수위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간을 크게 하기 위하여 교량형고가 높은 거더형 교량을 적용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하천의 제방도 동시에 높게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주변 접속도로 또한 높게 설치된 제방에 접속시키므로, 높게 설치된 제방을 사이에 두고 인접된 마을 간의 왕래가 불편하여 발생되는 민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일체식 무신축이음, 무받침 및 무교대로 인하여 유지관리비용이 가장 저렴하게 소요되고, 교량시종점부를 무교대화 함으로써 제방과 자연친화적인 조화로 미관이 우수하고 터파기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공장용 제품 사용과 거푸집 및 동바리 삭제, 부대시설과 공종 축소로 급속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효율적인 교량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을 1개의 압연강재종빔과 PS강선 및 철근콘크리트로 설치한 것과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과 상부슬래브에 설치된 거더가 강결연결되고, 접속슬래브가 교량 상부슬래브와 강결연속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교량을 2개의 압연강재종빔을 합성한 빔과 PS강선 및 철근콘크리트로 설치한 것과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과 상부슬래브에 설치된 거더가 강결연결되고, 교각과 상부슬래브가 강결연결되며, 접속슬래브와 교량 상부슬래브가 강결연속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 시종점부와 중앙부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을 교량시종점부의 지점슬래브와 연결한 슬래브강결연결부를 설치하고, PS강선을 중앙부에 설치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상부의 철근콘크리트 바닥판내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교량시종점부와 중앙부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교량시종점부등의 지점부슬래브와 연결한 슬래브강결연결부를 설치하고, PS강선과 중앙부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의 일부에 매입되도록 설치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교량의 복합슬래브의 중앙부와 교량시종점부의 압연강재종빔의 설치상태와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이 압연강재종빔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의 교량의 복합슬래브의 중앙부와 교량지점부에 압연강재이중종빔의 설치상태와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이 설치된 상태와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압연강재이중종빔의 설치를 위하여 압연강재종빔을 절개하는 방법과 상기 절단방법에 의하여 상호대칭되게 절단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의 중앙부의 복합슬래브 하부에 노출된 압연강재종빔의 설치상태와 보호캡 내에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의 중앙부의 복합슬래브 하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에 PS강선와 유지관리용 강선을 삽입할 수 있는 쉬스를 설치하도록 하면서 교량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리캐스트철근콘크리트 복부를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압연강재종빔에 PS강선 및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압연강재종빔에 복합슬래브를 타설하도록 슬래브 겸용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압연강재종빔 내에 복합슬래브를 무지보 슬래브겸용 거푸집으로 설치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패널받침대에 높이조절용 볼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플레이트나 프리캐스트패널을 설치하여 슬래브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복부 콘크리트 단면을 갖는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를 무지보 슬래브겸용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에 압축력을 가하여 외력을 상쇄하도록 하여 보다 경량의 패널을 설치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압연강재종빔에 거푸집 및 본체겸용 강판을 상부슬래브 전단면에 부착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교량의 시종점부에 사면형성이 곤란할 경우, 상부슬래브에 설치되는 거더에 경량벽체와 연결설치한 경량 교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교량시종점부에 설치되는 단주파일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구성하는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을 요약하면, 교량 상부슬래브(20)에 압연강재종빔(21)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설치하고, 강성증대와 외력 상쇄를 위해 유지관리를 위한 PS강선(23) 및 유지관리용 강선(36)을 배치 및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교량시종점부(24) 및 지점부의 슬래브와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이 설치된 중앙부(25)의 슬래브를 상호 연결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22)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와 도로(16)를 연결하는 접속슬래브(15)와 일체화시키고, 접속슬래브의 단부가 하중에 의해 상향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속슬래브(15) 중간에 요홈연결과 동시에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한 요홈연결부(14)를 설치하고, 교량시종점부(24)에 상기 일체화된 복합슬래브(22) 하면에 거더(12)와 이를 지지하는 단주파일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11)를 구성하고, 연속되게 설치할 경우에는 교각구조와 상기 복합슬래브를 강결일체화하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10)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슬래브(22)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은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의 슬래브 내에 매설되도록 설치하고, 중앙부(25)의 복합슬래브(22)에서는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복부(37)의 일부와 플랜지(38)는 복합슬래브(22)의 하부면에서 노출되거나 전부 매입되도록 설치하면서 PS강선(23)을 노출된 플랜지(38)와 복부(37) 사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하거나 복합슬래브 내부나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 복부 내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중앙부(25)의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기 위하여 노출된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플랜지(38) 상면에 또는 복부(37)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받침대 및 패널받침대(51, 53)상에 거푸집 및 슬래브 겸용 패널(54) 또는 데크플레이트(52)를 설치하거나, 상기 노출된 플랜지(38)와 복부(37) 사이의 공간에 공장제작된 프리캐스트철근콘크리트(46)로 복부를 설치한 다음, 상기 프리캐스트철근콘크리트(46) 복부의 상부측면에 형성된 패널거치홈(60)과의 사이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거치홈(60)내에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과의 사이에 쐐기(59)를 점차 삽입하여,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에 압축력을 가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거푸집 겸용 패널이나 프리캐스트패널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복합슬래브(22)인 교량 상부슬래브(20)가 설치된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화복합슬래브교량(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교량(10)을 설치할 때 지간이 긴 경우에 1열의 압연강재종빔으로 곤란한 경우에는 압연강재종빔(21)을 교량시종점부 및 지점부에서 상호 연결하고, 교량시종점부(24) 및 지점부의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면에 대칭형 하부압연강재종빔(40)이 연결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설치하여, 교량시종점부(24) 및 지점부의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고, PS강선(23)과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교량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11)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를 강결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된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의 받침철근(65)이나 압연강재횡빔(29) 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가로보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의 양단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고, 빔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한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부착하고, 상기 스페이서(48) 위에 쉬스(44)가 걸쳐지도록 설치하면서 정착장치(26)에 쉬스(44)를 정착설치하고,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복부에 일부 및 전부 매입되는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거더(12)를 일체로 설치하여 상 하부구조를 일체화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상에 거치된 PS강선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교면 포장 및 연석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한다.
또한,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접속슬래브(15)를 완성케되어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용하는 어떠한 하중에도 메나지힌지의 연결에 의한 접속슬래브의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된 일체화 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교량(10)을 [도 1]과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은 교량시종점부(24)에서는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고, 중앙부(25)에서는 압연강재종빔(21)의 상 하부 플랜지(38) 사이의 복부 일정 높이부터 지간에 따라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단면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 플랜지의 상단에서 복부의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서부터 프리캐스트복부콘크리트로 구축되도록 설치하고, 그 상면에 철근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를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치된 PS강선(23)은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압연강재종빔(21)의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면서 중앙부(25)로 올수록 점차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반대측에도 반복적으로 하여 PS강선(23)이 모멘트선도와 유사한 포물선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되, 중앙부(25)의 하부에는 압연강재종빔(21) 하부의 노출높이에 따라 PS강선(23)을 설치하도록 한 것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에 PS강선이 배치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복합슬래브(22)에 설치되는 PS강선(23)의 정착장치(26)는 지점부에 설치하거나, 지간 중앙의 가로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PS강선의 긴장 및 정착이 수월하게 정착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 1]과 같이 설치된 교량은 다소 지간이 짧은 경우로서 1열의 압연강재종빔(21)만 사용하여 설치하는 복합슬래브교량(10)인 반면에 [도 2]는 지간이 긴 경우로서 압연강재종빔(21)을 이중으로 합성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사용하여 복합슬래브교량(10)을 설치하는 것이다.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압연강재횡빔(29)을 강결연결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횡빔(29)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교축방향으로 설치하면서 가로보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양단부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스페이서(48)에 쉬스(44)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44)의 양단을 정착장치(26)에 정착설치하고,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하여 정착장치(26)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 복부의 일정 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함과 동시에 거더(12)를 일체로 설치하여 일체화한다.
또한,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 상에 거치된 PS강선에 의하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교면 포장 등의 2차 사하중 및 활하중 재하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력을 상쇄하기에 부족할 경우,
상기 가로빔 상에 정착장치(26)와 스페이서(48)를 설치한 다음, 쉬스(44)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PS강선을 긴장하여 정착장치(26)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상기의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추가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력을 상쇄하도록 한다.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깅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접속슬래브(15)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하중에도 접속슬래브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신축이음, 받침을 생략한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화 복합슬래브교량(10)을 도 2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31)은 교량시종점부(24)에서는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고, 중앙부(25)에서는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상하부 플랜지(38) 사이의 복부의 일정 높이부터 지간에 따라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는 단면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 플랜지(38)의 상단에서 복부의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서부터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콘크리트복부가 구축되도록 하고, 그 상면에 철근콘크리트슬래브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를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치된 PS강선(23)은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면서 중앙부(25)로 향할수록 점차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하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반대측에도 반복적으로 하여 PS강선(23)이 모멘트선도와 유사한 포물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되, 중앙부(25)의 하부에는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하부가 노출되는 높이에 따라 PS강선(23)도 동시에 그에 맞도록 배치한 것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에 PS강선이 배치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복합슬래브(22)에 설치된 상기 PS강선(23)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장치(26)를 지점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지간 중앙에 설치된 가로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착장치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PS강선의 긴장 및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도 1]과 [도 2]는 빔으로 압연강재종빔(21)을 사용하는 것인데 반하여 [도 3]은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이용하는 것이다.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12)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가로보(50)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슬래브와 연결하는 강결루프철근(62)으로 강결연결한 다음,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고,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48)에 쉬스(44)를 설치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상면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만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되, 상기 발생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교면 포장 등으로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캐스트PSC 콘크리트빔(32)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빔 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48)에 쉬스(44)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거나,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용하중에 대해서도 접속슬래브 끝단에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강결된 일체화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교량(10)을 [도 3]과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은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 타설된 지점부슬래브에 설치된 강결루프철근(62)과 무수축콘크리트로 구성된 슬래브강결연결부(33)가 PS강선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 연속화되고, 중앙부(25)에서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의 하부 플랜지(38) 상단의 복부(37)의 일정 높이부터 지간에 따라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는 단면이 되도록 하여 복합슬래브를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치된 PS강선(23)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의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면서 중앙부(25)로 향할수록 점차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의 하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반대측에도 반복적으로 하여 PS강선(23)이 모멘트선도와 유사한 포물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되, 중앙부(25)의 하부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의 하부가 노출되는 높이에 따라 PS강선(23)도 동시에 그에 맞도록 배치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복합슬래브(22)에 설치된 상기 PS강선(23)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장치(26)를 지점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지간 중앙에 설치된 가로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착장치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PS강선의 긴장 및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도 3은 빔으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사용하는 것에 반하여 [도 4]는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현장여건상 지점부는 현장타설콘크리트로 구성하고, 중앙부는 복합슬래브로 구축하여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12)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적절한 간격으로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가로보(50)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과 교량 상부슬래브(20)의 지점부슬래브와 연결하기 위하여 슬래브단부에 전단연결재(35)를 부착한 압연강재연결부(34)를 설치하고, 타단부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중앙부(25) 슬래브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압연강재연결부(34)와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이 상호 연결된 압연강재연결부(34) 상부에 클립식으로 철근을 설치한 강결루프철근(62)을 배치하고,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고, PS강선을 연결하여 지점부슬래브와 중앙부슬래브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압연강재종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48)에 쉬스(44)를 배치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의 복부의 일정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에 의하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외력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되, 만약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력을 상쇄하기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빔 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48)에 쉬스(44)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거나,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 내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용하중에 대해서도 접속슬래브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교량(10)을 [도 4]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은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 타설된 지점부슬래브의 압연강재연결부와 강결루프철근을 상호 연결하고, 무수축콘크리트를 슬래브연결부와 PS강선을 연결하여 일체 연속화하고, 중앙부(25)에서는 압연강재종빔의 하부 플랜지(38) 상단의 복부(37) 일정높이부터 지간에 따라 콘크리트 내에 매입되는 단면이 되도록 하여 복합슬래브를 구축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PS강선(23)은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압연강재종빔(21)의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면서 중앙부(25)로 향할수록 점차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반대측에도 반복적으로 하여 PS강선(23)이 모멘트선도와 유사한 포물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되, 중앙부(25)의 하부에는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가 노출높이 여부에 따라 PS강선(23)도 동시에 그에 맞도록 배치되게 배치한 것이다.
또한, 복합슬래브(22)에 설치된 상기 PS강선(23)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장치(26)를 지점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지간 중앙에 설치된 가로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정착장치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PS강선의 긴장 및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상기 [도 1], [도 2] 및 [도 4]와 같이 압연강재종빔(21)을 사용하는 경우,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의 슬래브 내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과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23, 36)의 배치상태와 중앙부(25)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과 PS강선(23)과 유지관리용 강선(36)의 배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PS강선(23)과 유지관리용 강선(36)의 배치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에서는 압연강재종빔(21)의 상부와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 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중앙부(25)에서는 중앙부(25)의 복합슬래브(22) 하부에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하거나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내에 설치하거나 복합슬래브(22)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도 2]와 같이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상부압연강재종빔(39)으로 간주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에 하부압연강재종빔(40)을 더 접합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설치하여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의 강성을 보강한 경우로서,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의 슬래브 내에 설치되는 상부압연강재종빔(39)의 하부에 하부압연강재종빔(40)을 부착하여 설치하되, 하부압연강재종빔(40)의 플랜지(38) 하부가 슬래브의 하부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PS강선(23)과 유지관리용 강선(36)을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의 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중앙부(25)의 슬래브에는 상부압연강재종빔(39)만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압연강재종빔(39)의 복부 중앙 이하는 슬래브의 하부면에 노출되도록 하고, PS강선(23)은 상부압연강재종빔(39)의 플랜지(38)위에 배치하고, 유지관리용 강선(36)은 슬래브의 하부단면의 가로보(50) 상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도 7](a)(b)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간이 긴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 설치되는 상부압연강재종빔(39)으로 간주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에 하부압연강재종빔(40)을 부착하여 제작되는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손쉽게 제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a)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압연강재종빔(21)의 일측단부는 압연강재종빔의 높이(H)의 1/3H와 2/3H로 구분하고, 타측단부는 2/3H와 1/3H로 각각 구분한 다음, 복부의 양측단부의 일정길이까지는 수평이 되게 절단하면서 상기 높이의 구분점을 연결하는 수평절단부(41)가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의 복부(37)는 경사지게 절단하는 경사절단부(42)가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2등분 하여 서로 대칭형이 되도록 도 (b)와 같이 하부압연강재종빔(40)을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하면 상하의 하부압연강재종빔(40)을 [도 2]에서와 같이 빔(21)의 하부에 부착할 때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절단된 하나의 하부압연강재종빔(40)은 한측지점부에, 나머지 하부압연강재종빔(40)은 반대측의 지점부에 바로 용접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교량의 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 설치된 상부압연강재종빔으로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하부압연강재종빔(40)의 단부가 2/3H가 되도록 절단한 부분이 오도록 용접부착하여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상기 [도 2]와 같이 압연강재횡빔(29) 또는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상의 받침철근(65) 위에 거치한다.
상기와 같이 거치된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서는 상하부압연강재종빔(39, 40)이 설치되도록 하고, 중앙부(25)에서는 압연강재종빔(21)인 상부압연강재종빔(39)만 설치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할 때, 상기 복합슬래브의 중앙부(25)에 일부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38)와 복부(37) 사이에 철근콘크리트슬래브 단면과 PS강선 및 유지관리용 강선(23, 36)을 배치할 때 적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부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3)의 플랜지(38)와 복부(37) 사이에 각각 쉬스(44)를 설치하고 쉬스를 보호할 수 있는 쉬스보호캡(45)을 상기 쉬스 위에 둘러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쉬스보호캡은 쉬스를 충격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도 5]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와 같이 중앙부(25)의 복합 슬래브(22)의 하부면에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38)와 복부(37) 사이에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박스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 내에 쉬스(44)가 미리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박스형의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는 노출된 쉬스(44)를 충격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고, 단면 강성을 증가시켜 보다 지간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도 5]와 [도 6]에 적용하는 단면구성이다.
[도 10]은 압연강재종빔(21)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에 PS강선 및 유지관리용 강선(23, 36)을 배치할 때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PS강선은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에는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상면에, 중앙부(25)에서는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하면 모멘트트선도와 유사한 포물선의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PS강선을 포물선을 이루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압연강재종빔(21)이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의 플랜지(38)와 복부(37)에 각각 스페이서(4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포물선형이 되도록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하고, 쉬스(44)를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48) 위에 부착하여 쉬스(44)가 전체적으로 포물선형상이 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설치하여 자연스럽게 강선이 포물선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 사이의 가로보에다 상기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23, 36)을 배치하는 경우도 상기 방법과 유사하게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48)는 전단연결재(35)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압연강재종빔(21)이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할 때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하지 않고 인접하여 노출설치된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복부(37) 또는 플랜지(38)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 또는 데크플레이트(52)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바로 철근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합슬래브(22)인 교량상부슬래브(20)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복합슬래브(22)에 노출되게 설치된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32)의 복부(37)의 양측에 데크플레이트받침대(51)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받침대(51) 위에 데크플레이트(52)를 부착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한 것이며, 짧은 지간인 경우 슬래브가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 상부플랜지 상면에 위치한 경우는 데크플레이트받침대(51)는 생략되고, 데크플레이트(52)를 직접 상부플랜지 상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도 12]는 복합슬래브(22)에 노출되게 설치된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 32)의 복부(37)의 양측에 패널받침대(53)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패널받침대(53)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거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에는 전단연결재(35)가 전체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한다.
[도 13]은 [도 11]이나 [도 12]의 변형된 설치방법으로서, 노출된 상기 압연강재종빔 또는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21,32)의 플랜지(38) 위에 너트(56)를 부착하고, 너트(56)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57)를 삽입설치한 다음, 그 위에 소켓(58)을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플레이트(52)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거치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볼트(57)를 돌려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여 소정의 높이에 소켓(58)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데크플레이트(52)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 거치되도록 하고, 그 위에 철근배근과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볼트(57)와 소켓(58)은 데크플레이트(52)이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나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에는 전단연결재(35)가 전체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한다.
[도 14]는 중앙부(25)의 복합슬래브(22)에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의 복부(37)의 양측에 공장제작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설치하되 상부 일측면에 패널거치홈(60)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의 마주보게 설치된 패널거치홈(60) 내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설치하면서, 상기 패널거치홈(60)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 설치된 사이에 쐐기(59)를 설치하되, 점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의 양단부에서 압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 상향으로 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위로 휘어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에는 전단연결재(35)가 전체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한다.
도 15는 도 1, 도 2, 도 4의 복합슬래브(22)를 구축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압연강재종빔(21) 하부플랜지에 중앙부거푸집겸용강판(77)과 캔틸레버 거푸집 겸용 강판(78)을 부착하여 슬래브 하면 전체를 형성하여 무지보 및 거푸집으로서 상기 중앙부 및 캔틸레버 거푸집 겸용 강판 상부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PS강선의 삽입 및 긴장정착하는 복합슬래브(22)를 구축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는 거더(12)와 경량벽체(19)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하천 쪽에 전면사면이 없는 경우에 교량의 시종점부(24)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일기초의 배면에 토사가 있고 파일기초의 전면, 즉 하천 쪽에도 토공 사면이나 석축 또는 옹벽이 설치되어 파일기초가 횡방향지지가 가능한 경우에 적용하여 거더(12)에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된 단주파일(11)과 강결일체화 지지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본 도에서와 같이 기초의 전면에 사면이 없는 경우에는 파일기초의 횡방향 지지가 곤란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 본 발명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경량기초 위에 경량벽체(19)를 설치하고, 그 위에 거더(12)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슬래브(20)를 일체화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더(12)와 경량벽체(19)를 일체화연결설치하는 경우 거더(12)와 경량벽체(19)를 메나지힌지형연결부(64)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메나지힌지형연결부(64)는 거더(12)와 경량벽체(19)의 접하는 부분을 요홈부로 설치하되, 상기 요홈부를 형성하는 면을 따라 요홈부의 형태로 제작된 요홈강판(67)을 부착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요홈강판(67)에 직각으로 일정길이의 다웰바(69)를 용접부착설치한다.
상기 요홈강판(67)의 상하로 설치된 다웰바(69)를 거더(12)와 경량벽체(19)내로 관통매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거더(12)와 경량벽체(19)가 접한 부분의 양측면 내에 일정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지수제(70)를 충전하고, 상기 지수제(70)가 충전된 부분의 외측의 공간에 실란트(66)를 충전하도록 하면서 상기 요홈강판(67)에는 방청유를 도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나지힌지형연결부(64)를 형성하는 것은 거더와 경량벽체에서 발생되는 토압이나 상부구조에서 전달되는 모멘트로 인한 회전과 응력을 상기 요홈부에 부착된 요홈강판(67)과 다웰바(69)로 구성된 메나지형연결부(64)의 회전작용에 의하여 응력을 해소하여 경량화를 위함이며, 그 측면에 설치된 지수제 및 실란트를 충전하여 방수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현장에서 구축하는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세미리지드 파일은 기성 강관파일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설치하는 파일기초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현장 타설되어 설치되는 단주파일(11)인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는 지반 내에 지반천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반천공부 내에 교축방향으로 강재의 약축이 위치하도록 H형 압연강재(75)를 삽입하거나, 축방향철근(74)과 띠철근(73)으로 제작된 원통형의 철근케이지내에 H형 압연강재(75)가 포함되도록 하면서 상기 지반천공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지반천공부의 내부를 콘크리트(76)로 충전하여 현장에서 파일기초로서 단주파일(11)을 설치하여 교축방향의 온도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수평변위를 유연하게 거동하고, 축방향 변위에 대해서는 강성이 확대되도록 하여 지점부경계요소를 확실하게 중앙부 처짐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도 1]의 교량시공방법은,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를 강결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된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의 받침철근(65)이나 횡빔 또는 교각 상에 적절한 간격으로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을 가로보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의 양단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고,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한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부착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가 걸쳐지도록 설치하면서 정착장치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복부의 일부 및 전부에 매입되는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거더를 일체로 설치하여 상 하부구조를 일체화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상에 거치된 PS강선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등의 추가 응력을 상쇄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한다.
또한,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접속슬래브(15)를 완성케되어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용하는 어떠한 하중에도 접속슬래브의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된 일체화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무교대복합슬래브교량(10)을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도 2]의 교량시공방법은,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과 교각 위에 압연강재횡빔(29)을 강결연결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횡빔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교축방향으로 설치하면서 가로보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이중종빔의 양단부에 정착장치와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의 양단을 정착장치에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하여 정착장치(26)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 복부의 일정 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거더(12)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PS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외력의 응력에 대응하도록 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교면 포장 등의 2차 사하중 및 활하중 등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곤란할 경우,
상기 가로보상에 정착장치와 스페이서를 설치한 다음,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장치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한다.
또한,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접속슬래브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하중에도 접속슬래브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신축이음, 받침을 생략한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화 복합슬래브교량(10)을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도 3]의 교량시공방법은,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설치된 유압잭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계획선을 조정하도록 하고, 상기 가로보로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과 교량 상부슬래브(20)의 지점슬래브와 연결하는 강결루프철근(62)으로 강결연결한 다음,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고,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한 다음,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상면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만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되,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캐스트PSC 콘크리트빔(32)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고,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부에 설치된 메나지 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용하중에 대해서도 접속슬래브 끝단에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강결된 일체화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일체화된 무교대복합슬래브교량(10)을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도 4]의 교량시공방법은,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12)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적절한 간격으로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가로보(50)로 상호연결한 다음,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부슬래브와 연결하기 위하여 슬래브단부에 전단연결재(35)를 부착한 압연강재연결부(34)를 설치하고, 타단부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중앙부(25)슬래브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압연강재연결부(34)와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연결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이 상호 연결된 압연강재연결부(34) 상부에 클립식으로 철근을 설치한 강결루프철근(62)을 배치하고,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고, PS강선을 연결하여 지점부슬래브와 중앙부슬래브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시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배치한 다음,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빔의 복부의 일정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에 의하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외력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어려울 경우,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한다.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 접속슬래브 구간 내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용하중에 대하서도 접속슬래브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일체화된 무교대복합슬래브교량(10)을 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모든 방법에 의하여 교량을 시공할 때 [도 5] 내지 [도 17]의 방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유지관리용 강선(36)은 글자 그대로 향후에 교량의 지지력이 저하된 경우 PS강선을 긴장하여 교량의 지지력을 조정하도록 할 때 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을 설치하는 시점에서는 긴장하지 않고 PS강선을 쉬스 내에 삽입한 상태로 있게 된다.
중앙부나 지점부의 복합슬래브를 설치할 때에는 도 11 내지 도 15의 방법을 사용하여 지점부의 슬래브를 설치할 때에는 종래에 사용하여 온 바대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에 의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슬래브 내에 매입되는 모든 압연강재종빔에는 전단연결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은 지간이 작아 1열로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은 지간이 크거나 이중으로 설치한 빔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에서, 지점부와 중앙부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을 지점부의 슬래브와 연결한 슬래브강결연결부를 설치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에서, 지점부와 중앙부의 복합슬래브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지점부의 슬래브와 연결한 슬래브강결연결부를 설치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복합슬래브교량의 복합슬래브의 중앙부와 지점부의 압연강재종빔의 설치상태와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이 압연강재종빔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의 복합슬래브교량의 복합슬래브의 중앙부와 지점부에 빔보강부가 압연강재종빔에 설치된 상태와 PS강선과 유지관리용 강선이 압연강재종빔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7(a),(b)는 도 2의 이중압연강재종빔의 설치를 위하여 압연강재빔을 절개하는 방법과 상기 절단방법에 의하여 절단된 보강빔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복합슬래브에 압연강재종빔을 설치한 경우, 중앙부의 복합슬래브 하부에 노출된 압연강재종빔에 PS강재와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복합슬래브에 압연강재종빔과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를 설치한 경우, 중앙부의 복합슬래브 하부에 노출된 압연강재종빔에 PS강재와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압연강재종빔에 PS강선 및 유지관리용 강선을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중앙부의 복합슬래브를 타설할 때 중앙부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타설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중앙부의 복합슬래브를 타설할 때 중앙부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타설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패널받침대에 높이조절용 볼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중앙부의 복합슬래브를 타설할 때 중앙부에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설치와 그 패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복합슬래브교량의 복합슬래브를 압연강재종빔을 이용하여 타설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는 거더와 경량벽체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단주파일로서 설치되는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11 ; 단주파일(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
12; 거더 13; 메나지힌지
14; 요홈연결부 15; 접속슬래브
16; 도로 17; 교각
18; 제방 19; 경량벽체
20; 교량 상부슬래브 21; 압연강재종빔
22; 복합슬래브 23; PS강선
24; 교량시종점부 25; 중앙부
26; 정착장치 27; 철근콘크리트
28; 헌치 29; 압연강재횡빔
30; 빔연결부 31; 압연강재이중종빔
32;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33; 슬래브강결연결부
34; 압연강재연결부 35; 전단연결재
36; 유지관리용 강선 37; 복부
38; 플랜지 39; 상부압연강재종빔
40; 하부압연강재종빔 41; 수평절단부
42; 경사절단부 43; 중앙부복합슬래브
44; 쉬스 45; 쉬스보호캡
46;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 47; 중앙부복합슬래브하부면
48; 스페이서 49;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
50; 가로보 51; 데크플레이트받침대
52; 데크플레이트 53; 패널받침대
54;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55; 높이조절용장치
56; 너트 57; 볼트
58; 소켓 59; 쐐기
60; 패널거치홈
62; 강결루프철근 64; 메나지힌지형연결부
65; 받침철근 66; 실런트
67; 요홈강판 68; 용접
69; 다웰바 70; 지수제
71; 방청유
73; 띠철근 74; 축방향철근
75; H형압연강재 76; 콘크리트
77; 중앙부거푸집겸용강판 78; 캔틸레버 거푸집 겸용 강판

Claims (25)

  1.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 또는 지점부가 설치될 위치에 1열로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강결설치된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와, 상기 설치된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의 받침철근(65)이나 압연강재 횡빔 또는 교각 상에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과,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을 상호 연결한 가로보와,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의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26)와, 상기 압연강재종빔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한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부착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걸쳐지게 설치된 쉬스와, 상기 쉬스에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44) 내에 삽입된 PS강선(23)과, 상기 PS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에 정확한 정착장치(26)와 상기 쉬스 내에 설치한 그라우팅과 상기 압연강재종빔 복부의 일부 및 전부에 매입되는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설치한 복합슬래브와 일체화된 거더와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 상쇄를 위해,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26)와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설치되는 교량의 내하력의 증가를 위해,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26) 및 스페이서(48)와,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강선(36)과,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설치된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와, 상기 복합슬래브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상기 접속슬래브와 교량 본체를 연결하여 접속슬래브의 끝단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된 일체화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교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2.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로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과 교각 위에 강결설치된 압연강재횡빔(29)과,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횡빔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압연강재이중종빔(31)과,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을 상호 연결한 가로보와,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이중종빔의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스페이서(48)와, 상기 스페이서(48)에 설치된 쉬스와, 상기 쉬스의 양단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상기 쉬스 내에 삽입설치된 PS강선과, 상기 PS강선을 긴장하여 정착장치(26)에 정착한 후에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강선이 설치된 쉬스(44) 내에 타설된 그라우팅과,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 복부의 일정 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복합슬래브와, 상기 복합슬래브와 일체 설치된 거더(12)와,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PS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한 정착장치와,
    상기 설치된 교량의 내하력의 증가를 위해, 상기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강선(36)과,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설치된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와,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와 상기 접속슬래브와 교량 본체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교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3.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로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연결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설치된 임시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과, 상기 프리캐스트PSC 콘크리트빔을 상호 연결한 가로보와, 상기 설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슬래브와 강결연결하는 강결루프철근(62)과, 상기 강결연결하는 부분에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한 슬래브강결연결부(33)와,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설치된 정착장치(26)와 스페이서(48)와, 상기 스페이서에 설치된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PS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정착한 정착장치(26)와, 상기 쉬스 내에 설치한 그라우팅과,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상면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설치된 복합슬래브(22)와,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과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프리캐스트PSC 콘크리트빔(32)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설치되는 정착장치(26)와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설치되는 교량의 내하력의 증가를 위해, 상기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강선(36)과,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설치된 요홈부와 메나지힌지와,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 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강결된 일체화구조인 신축이음, 교대 및 교량받침이 생략된 일체화된 교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4.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로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파일기초로 설치한 현장타설세미리지드와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12)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설치된 임시가설벤트와,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과, 상기 압연강재종빔을 상호연결한 가로보(50)와,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부슬래브와 연결하기 위하여 슬래브단부에 전단연결재(35)를 부착하여 설치한 압연강재연결부(34)와, 타단부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중앙부(25)슬래브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과,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의 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압연강재연결부(34)와 상호 연결된 압연강재종빔(21)과,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이 상호 연결된 압연강재연결부(34) 상부에 클립식으로 철근을 설치한 강결루프철근(62)과, 상기 압연강재연결부(34)에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된 슬래브강결연결부(33)와,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와 PS강선을 연결하여 지점부슬래브와 중앙부슬래브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시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설치된 정착장치(26)와, 상기 압연강재종빔(21)에 설치된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강선이 설치된 쉬스 내에 설치된 그라우팅과, 상기 압연강재종빔의 복부의 일정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과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 위해,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26)와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PS강선과,
    상기 설치된 교량의 내하력의 증가를 위해, 상기 가로보상에 설치된 정착장치와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강선(36)과,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부에 강결된 일부 접속슬래브 구간 내에 설치된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와,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교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하부압연강재종빔(40)은 압연강재의 일측단부는 빔(31)의 높이(H)의 1/3H와 2/3H로 구분하고, 타측단부는 2/3H와 1/3H로 각각 구분한 다음, 복부(37)의 양측단부의 일정길이까지는 수평으로 절단하는 수평절단부(41)가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의 복부는 경사지게 절단하는 경사절단부(42)에 의하여 대칭이 되도록 2등분으로 제작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6. 제 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슬래브(22)의 하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에 각각 쉬스(44)를 설치하고 쉬스를 보호할 수 있는 쉬스보호캡(45)을 상기 쉬스(44) 위에 둘러 설치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슬래브(22)의 하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에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박스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내에 쉬스(44)가 미리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2)를 부착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의 복부의 양측에 패널받침대(53)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패널받침대(53) 위에 전단연결재(35)가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거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38) 위에 너트(56)를 부착하고, 너트(56)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57)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볼트(57) 상부에 소켓(58)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58)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나 데크플레이트(52)를 거치하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볼트를 돌려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여 소정의 높이에 소켓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위에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나 데크플레이트(52)를 거치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의 복부(37)의 양측에 공장제작된 전단연결재(35)가 설치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설치하되 상부 일측면에 패널거치홈(60)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의 마주보게 설치된 패널거치홈(60) 내에 프리캐스트복부콘크리트패널(54)을 설치하면서, 상기 패널거치홈 (60)과 프리캐스트복부콘크리트패널(54)이 설치된 사이에 쐐기(59)를 설치하되, 점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복부콘크리트패널(54)의 양단부에서 압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프리캐스트복부콘크리트패널(54)이 상향으로 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12.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나 지점부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를 강결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된 말뚝머리보강철근케이지(49)의 받침철근(65)이나 횡빔 상에 또는 교각 상에 간격을 두고,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을 가로보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의 양단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고, 압연강재종빔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한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부착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가 걸쳐지도록 설치하면서 정착장치에 쉬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23)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 복부의 일부 및 전부에 매입되는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거더를 일체로 설치하여 상 하부구조를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재종빔 상에 거치된 PS강선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 등의 추가 응력을 상쇄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는 단계;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접속슬래브(15)를 완성케되어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된 일체화구조인 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3.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과 교각 위에 압연강재횡빔(29)을 강결연결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횡빔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압연강재이중종빔(31)을 교축방향으로 설치하면서 가로보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압연강재이중종빔의 양단부에 정착장치와 PS강선위치설정용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스페이서(48)에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의 양단을 정착장치에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한 다음, 시공단계별로 긴장하여 정착장치(26)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쉬스(44) 내에 그라우팅을 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 복부의 일정 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거더(12)를 일체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PS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외력의 응력에 대응하도록 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교면 포장 등의 2차 사하중 및 활하중 등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곤란할 경우,
    상기 가로보상에 정착장치와 스페이서를 설치한 다음, 쉬스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PS강선을 긴장하여 정착장치에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발생되는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는 단계;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하고,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합슬래브의 교량시종점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접속슬래브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본체와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4.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고,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설치된 유압잭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계획선을 조정하도록 하고, 가로보로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각각의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32)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슬래브와 연결하는 강결루프철근(62)로 강결연결한 다음,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한 다음,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 상면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여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PSC콘크리트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만으로 외력의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되,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캐스트PSC 콘크리트빔(32)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는 단계;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에 강결된 일부접속슬래브 구간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강결된 일체화구조인 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5. 교량을 설치하고자하는 양지점의 제방(18)을 따라 교량시종점부(24)가 설치될 위치에 1열의 다수개의 단주파일(11)을 현장타설세미리지드 파일기초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단주파일(11) 위에 거더(12)와 일체화된 지점부슬래브를 요홈부(14)와 메나지힌지(13)를 갖는 구간에서 슬래브강결연결부(33)까지 타설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강결연결부(33) 위치에서 그 하부에 임시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상면에 간격을 두고, 압연강재종빔(21)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면서, 가로보(50)로 상호연결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각각의 압연강재종빔(21)과 교량상부슬래브(20)의 지점부슬래브와 연결하기 위하여 슬래브단부에 전단연결재(35)를 부착한 압연강재연결부(34)를 설치하고, 타단부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중앙부(25)슬래브에 설치되는 압연강재종빔(21)의 단부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상기 압연강재연결부(34)와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연결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이 상호 연결된 압연강재연결부(34) 상부에 클립식으로 철근을 설치한 강결루프철근(62)을 배치하고, 무수축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강결연결부(33)를 설치하고, PS강선을 연결하여 지점부슬래브와 중앙부슬래브가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교량시종점부(24)의 상부에 정착장치(26)를 설치하면서 압연강재종빔에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배치한 다음,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배치하고, 시공단계별로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후에, 쉬스 내에 그라우팅을 하고, 상기 압연강재종빔의 복부의 일정높이까지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하여 일체화하는 단계;
    상기 압연강재종빔과 지점부슬래브 내에 거치된 PS강선에 의하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외력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을 상쇄하도록 하고, 상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만으로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과 교면 포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 사하중 및 활하중의 추가 응력을 상쇄하기가 어려울 경우,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보상에 정착장치(26)와 PS강선의 위치를 확보하는 스페이서(48)를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쉬스를 설치하면서 상기 쉬스 내에 PS강선을 설치하고,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추가하중에 대한 응력을 상쇄토록 하는 단계;
    추후 교량의 내하력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관리용 강선(36)을 설치한 다음, 필요시 긴장하여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합슬래브(22)의 교량시종점에 강결된 일부 접속슬래브 구간 내에 요홈부와 메나지힌지(13)를 설치하고, 상기 복합슬래브(22)의 양단부에 설치된 메나지힌지(13)의 타단부가 매입되도록 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치된 접속슬래브(15)와 교량 본체를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접속슬래브, 본체슬래브 및 하부구조가 상호 강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인 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하부압연강재종빔(40)은 압연강재종빔(21)의 일측단부는 압연강재이중종빔(31)의 높이(H)의 1/3H와 2/3H로 구분하고, 타측단부는 2/3H와 1/3H로 각각 구분한 다음, 복부(37)의 양측단부의 일정길이까지는 수평으로 절단하는 수평절단부(41)가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의 복부(37)는 경사지게 절단하는 경사절단부(42)에 의하여 절단하여 대칭이 되도록 2등분으로 제작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7.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슬래브의 하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에 각각 쉬스(44)를 설치하고 쉬스를 보호할 수 있는 쉬스보호캡(45)을 상기 쉬스(44) 위에 둘러 설치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8.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슬래브의 하부에 노출되어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에 PS강선(23)을 설치하기 위하여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와 복부 사이에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박스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프리캐스트철근콘크리트(46)내에 쉬스(44)가 미리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쉬스(44) 내에 PS강선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19.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된 압연강재종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2)를 부착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0.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의 복부의 양측에 패널받침대(53)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패널받침대(53) 위에 전단연결재(35)가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거치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1.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된 압연강재종빔(21)의 플랜지 위에 너트(56)를 부착하고, 너트(56)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57)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볼트 (57) 상부에 소켓(58)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58) 위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 이나 데크플레이트(52)를 거치하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볼트를 돌려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하여 소정의 높이에 소켓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전단연결재(35)가 설치된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나 데크플레이트(52)를 거치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후에 상기 너트와 소켓을 제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2. 제 12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강재종빔(21)을 이용하여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는 것은 노출되게 설치된 압연강재종빔(21)의 복부의 양측에 공장제작된 전단연결재(35)가 설치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를 설치하되 상부 일측면에 패널거치홈(60)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프리캐스트복부철근콘크리트(46)의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패널거치홈(60) 내에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을 설치하면서, 상기 패널거치홈(60)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이 설치된 사이에 쐐기(59)를 설치하되, 점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54)의 양단부에서 압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이 상향으로 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합슬래브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3. 제 12항, 제13항,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슬래브(22)를 설치하는 것은 압연강재종빔(21)의 하부플랜지에 중앙부거푸집겸용강판과 캔틸레버 거푸집 겸용 강판을 부착하여 슬래브 하면 전체를 형성하여 무지보 및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 겸용 강판 상부에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PS강선의 삽입 및 긴장정착하여 복합슬래브(22)를 구축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4. 제12항 내지 제 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주파일(11)을 설치하는 방법인 현장타설세미리지드파일기초는 지반 내에 지반천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반천공부 내에 교축방향으로 강재의 약축이 위치하도록 H형 압연강재(75)를 삽입하거나, 축방향철근(74)과 띠철근(73)으로 제작된 원통형의 철근케이지내에 H형 압연강재(75)가 포함되도록 하면서 상기 지반천공부 내에 삽입하고, 상기 지반천공부의 내부를 콘크리트(76)로 충전하여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25. 제 12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2)와 상호일체 연결되는 단주파일(11)의 전면에 사면이 없는 경우, 경량벽체를 설치하고 거더와 상호연결하도록 하는 메나지힌지형연결부(64)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나지힌지형연결부는 거더(12)와 경량벽체(19)의 접하는 부분을 요홈부로 설치하되, 상기 요홈부를 형성하는 면을 따라 요홈부의 형태로 제작된 요홈강판(67)을 부착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요홈강판(67)에 직각으로 일정길이의 다웰바(69)를 용접부착설치하고, 상기 요홈강판(67)의 상하로 설치된 다웰바(69)를 거더(12)와 경량벽체(19) 내로 관통매입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거더(12)와 경량벽체(19)가 접한 부분의 양측면 내에 일정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지수제(70)를 충전하고, 상기 지수제(70)가 충전된 부분의 외측의 공간에 실란트(66)를 충전하도록 하면서 상기 요홈강판(67)에는 방청유를 도포한 것에 특징이 있는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의 시공방법.
KR1020080015299A 2008-02-20 2008-02-20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KR10098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99A KR100983861B1 (ko) 2008-02-20 2008-02-20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99A KR100983861B1 (ko) 2008-02-20 2008-02-20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55A KR20090090055A (ko) 2009-08-25
KR100983861B1 true KR100983861B1 (ko) 2010-09-28

Family

ID=4120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99A KR100983861B1 (ko) 2008-02-20 2008-02-20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8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97B1 (ko) 2011-06-09 2011-11-18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연속교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KR20160089215A (ko) 2015-01-19 2016-07-27 최승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말뚝을 이용한 무교대 라멘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787321B1 (ko) * 2017-04-28 2017-10-17 주식회사 운정 프리스트레스트 무교대 교량법
KR20180106156A (ko) * 2017-03-17 2018-10-01 (주)바로건설기술 장지간 흙막이벽체 엄지말뚝보강장치
KR102258426B1 (ko) 2020-10-06 2021-05-28 유형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3155B1 (ko) 2022-10-26 2023-09-26 홍석희 2주패널 복합형 연속 라아멘교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13B1 (ko) * 2010-01-25 2010-10-25 권경원 인장보강 강합성슬래브 교량 구조
CN101736702B (zh) * 2010-03-05 2013-02-13 镇江万桥重机有限公司 山区多功能运架梁一体式架桥机及桥梁架设方法
KR101528590B1 (ko) * 2012-02-09 2015-06-15 우경기술주식회사 저형고 및 장경간화가 가능한 psc라멘교
CN104563149B (zh) * 2015-01-17 2016-03-09 福州大学 一种钢板桩支承的半刚接整体无缝桥梁结构及施工方法
CN107881917A (zh) * 2017-11-02 2018-04-06 安徽建筑大学 一种竖向预应力精轧螺纹钢筋螺帽紧固装置
CN113863112A (zh) * 2021-11-25 2021-12-31 江苏中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伸缩缝长联高架桥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425A (ja) 2003-05-09 2004-11-25 Shimizu Corp 橋梁構築方法及び橋梁構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425A (ja) 2003-05-09 2004-11-25 Shimizu Corp 橋梁構築方法及び橋梁構築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97B1 (ko) 2011-06-09 2011-11-18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연속교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KR20160089215A (ko) 2015-01-19 2016-07-27 최승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말뚝을 이용한 무교대 라멘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80106156A (ko) * 2017-03-17 2018-10-01 (주)바로건설기술 장지간 흙막이벽체 엄지말뚝보강장치
KR102003448B1 (ko) * 2017-03-17 2019-07-24 (주)바로건설기술 장지간 흙막이벽체 엄지말뚝보강장치
KR101787321B1 (ko) * 2017-04-28 2017-10-17 주식회사 운정 프리스트레스트 무교대 교량법
KR102258426B1 (ko) 2020-10-06 2021-05-28 유형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3155B1 (ko) 2022-10-26 2023-09-26 홍석희 2주패널 복합형 연속 라아멘교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55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861B1 (ko) 무교대, 무받침 및 무신축이음의 일체식 복합슬래브교량 및이의 시공방법
US5468098A (en) Segmental, anchored, vertical precast retaining wall system
KR100941066B1 (ko)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US6719492B1 (en) Top arch overfilled system
KR100720321B1 (ko)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및 이의설치방법
KR100743832B1 (ko)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US6988337B1 (en) Mean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ully precast top arch overfilled system
CN107268366B (zh) 一种装配化墙板、桩板组合式无土路基
JP2007077630A (ja) プレキャスト主桁セグメントを使用した連続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KR102227674B1 (ko) 강관거더의 지점부 보강유니트 및 지점부 보강유니트 시공 방법
CN112095495A (zh) 桥梁托换支撑结构及施工方法
KR100745401B1 (ko) 접속슬래브 연결 및 말뚝과 거더가 강결일체화되고 하중상쇄 및 캠버를 자동관리하는 씽크로나이즈드 동바리시스템을 설치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다가구 슬래브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EP1495191B1 (en) Arch systems
KR20000044699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200390445Y1 (ko)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KR100555046B1 (ko)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13571600U (zh) 桥梁托换支撑结构
KR102308731B1 (ko) 기둥 및 코핑과 거더의 결합구조
KR102244029B1 (ko)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Yen et al. Connections for integral jointless bridges in seismic regions suitable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JP5860723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とその施工方法
KR20080000243A (ko) 보강토 교각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554533B1 (ko) 지연합성거동수단을 이용한 라멘식 복합교량시공방법
KR102427300B1 (ko)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