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900B1 -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900B1
KR101006900B1 KR1020080056353A KR20080056353A KR101006900B1 KR 101006900 B1 KR101006900 B1 KR 101006900B1 KR 1020080056353 A KR1020080056353 A KR 1020080056353A KR 20080056353 A KR20080056353 A KR 20080056353A KR 101006900 B1 KR101006900 B1 KR 10100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structure
earthwork
connection
rigi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637A (ko
Inventor
김대상
유원희
최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90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나 콘크리트 암거 등과 같은 강성 구조체와 주변의 지반이 연결되도록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을 시공함에 있어서, 토공부와 접속부를 선 시공하여 침하를 진행시킨 상태에서 강성 구조체를 시공하고, 접속부를 통해 토공부와 강성 구조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분 사이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성 구조체(30, 40)와,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의 후방에 형성되는 토공부(10)와,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와 상기 토공부(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20)는 접속부층(21)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층(21)은,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22), 상기 보강재(22)의 상면에 포설되는 토목섬유(23) 및 상기 토목섬유(23) 상면에 구비되는 채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22)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25)이 상기 보강재(22)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노출철근(25)이 상기 강성 구조체(30, 40) 내부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와 접속부(2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성 구조체, 교대, 암거, 보강, 뒷채움, 접속부

Description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Fill-Up Structure for Back-Area of Rigid Structure}
본 발명은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대나 콘크리트 암거 등과 같은 강성 구조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강성 구조체와 주변의 지반이 연결되도록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을 시공함에 있어서, 토공부와 접속부를 선 시공하여 침하를 진행시킨 상태에서 강성 구조체를 시공하고, 접속부를 통해 토공부와 강성 구조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분 사이의 부등침하를 최소화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교량이나 철도 교량 등에서, 교대는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그 배면에 형성되는 토공부는 토사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서로 강성이 상이한 재료를 이용하여 시공되므로, 다짐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토공부의 침하가 발생하게 되고, 교대와 토공부가 접하는 부분은 쉽게 매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와 같은 현상은 비단 교대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암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콘크리트 암거 측면이나, 옹벽의 배면에 채워지는 토공부에서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a에는 어프로치 블록을 이용한 종래의 교대(300)와 뒷채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콘크리트 암거(400)의 측면에서의 뒷채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교대 시공에 있어서는, 이처럼 서로 상이한 강성의 구간이 접하는 위치에 도 1a와 같이 어프로치 블록(210)으로 불리는 콘크리트 구간을 설정하였는데, 이는 교대(300)와 토공부(100) 사이에 양 구간의 중간 정도의 강성을 지닌 구간을 설정해서 구조적 응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어프로치 블록(210)을 사용하는 경우, 토공부(100)와 교대를 먼저 시공 한 후에 접속부에서 어프로치 블록(210)을 시공하게 되므로, 접속부(200)와 토공부(100)의 침하가 수렴하기 이전에 그 상부로 구조물이 시공되거나 차량, 철도 등이 주행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어프로치 블록(210)을 사용하는 경우 도 1a에서 보듯이, 접속부는 각 층마다 채움재로 사용되는 재료가 구분되어 있고, 각 층의 구조가 상이하고 설치 장소가 좁아 다짐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접속부(200)의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다짐 부족으로 인한 토공부 침하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암거(400)에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토공부와 성토부에 침하가 충분히 발생한 후에 교대나 콘크리트 암거, 또는 옹벽과 같은 강성 구조체를 시공함으로써, 강성 구조체와 토공부 사이의 접속부 부등침하를 방지하여 차량 및 열차와 같은 이동하중에 대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고, 구조체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성 구조체와 그 배면에 시공되는 접속부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접속부에 대한 구속압을 증가시키고, 접속부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인장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강성 구조체와, 상기 강성 구조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토공부와, 상기 강성 구조체와 상기 토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접속부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층은, 상기 강성 구조체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포설되는 토목섬유 및 상기 토목섬유 상면에 구비되는 채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이 상기 보강재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노출철근이 상기 강성 구조체 내부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강성 구조체와 접속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뒷채움 보강구조에서, 상기 수직부는 채움재가 채워지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를 향해 기울어져 있어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의 각도가 예각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노출철근은 강성 구조체에 구비된 주철근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뒷채움 보강구조에서, 상기 보강재의 수평부 선단에는 구부러진 형상의 앵커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접속부의 전면부 또는 상기 강성 구조체의 배면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성 구조체가 시공될 위치의 후방에서 토공부의 선침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토공부의 전면에는 상기 강성 구조체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재의 수평부 상면으로는 토목섬유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섬유의 상면은 채움재로 채워 접속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층 위로, 보강재 설치, 토목섬유의 포설 및 채움재의 충진 작업을 반복하여 강성 구조체의 높이가 되도록 접속부층을 적층하여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의 수직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을 상기 보장재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노출철근이 상기 강성 구조체에 매립되도록 강성 구조체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강성 구조체가 상기 접속부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강성 구조체가 시공될 위치의 후방에서 상기 강성 구 조체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재의 수평부 상면으로는 토목섬유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섬유의 상면은 채움재로 채워 접속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층 위로, 보강재 설치, 토목섬유의 포설 및 채움재의 충진 작업을 반복하여 강성 구조체의 높이가 되도록 접속부층을 적층하여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의 후방으로 토사를 이용하여 토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의 수직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을 상기 보강재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노출철근이 상기 강성 구조체에 매립되도록 강성 구조체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강성 구조체가 상기 성토부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강성 구조체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상기 노출철근을 강성 구조체의 주철근과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부와 토공부를 먼저 시공하여 잔류침하를 수렴시킨 후 강성 구조체를 시공하여 부등침하를 최소화함으로서 이동하중이나 기타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 구조체 접속부의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적용예로서, 교대(30)와 접속부(20) 및 토공부(10)가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구조에서는, 강성 구조체와 그 배면측에 형성되는 토공부 사이에 접속부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강성 구조체의 일예로서 교대(30)가 예시되어 있고, 교대(30)와 그 뒤편에 형성된 토공부(10) 사이에 접속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접속부(20)는 토공부(10)와 교대(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교대(30)와 상기 접속부(20)에는 보강재(22)가 연속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교대(30)와 접속부(20)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토공부(10)와 접속부(20)의 시공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즉, 토공부(10)가 먼저 시공되고 후속하여 접속부(20)가 시공될 수도 있고, 접속부(20)가 시공된 후에 토공부(10)가 시공될 수도 있다. 교대(30)로 예시되는 강성 구조체는 접속부(20)가 시공된 후에 상기 접속부(20)와 일체로 시공된다. 위와 같은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접속부(20)는 접속부층(21)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접속부층(21)은, 상기 교대(3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어 접속부층(21)의 형상을 유지하는 보강재(22)와, 상기 보강재(22) 위에 포설되는 토목섬유(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재(22)와 토목섬유(23) 상면으로 채움재(24)가 채워진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그 측단면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 고, 도 3b에는 상기 보강재(22)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상기 보강재(22)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보강재(22)는 지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수평부(221)와, 교대(30)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수평부로부터 절곡된 수직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재(22)는 수직부가 교대(30)의 배면에 접하고, 수평부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부층(21) 내에 매립되어 접속부층(21)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강재(22)는 횡방향 철근과 종방향 철근이 엮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판 형상의 강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접속부(20)에 매립되어 다짐 작업 시, 채움재(24)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교대(3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접속부(20)를 이루는 채움재(24)가 전면 방향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보강재(22)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재(22)에 있어서, 수직부(222)는 실제로 직각으로 수직한 것이 아니라 사전에 미리 상기 수평부(221)를 향해 소정 각도(θ)만큼 기울어지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부(222)는 채움재가 채워지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221)를 향해 기울어져 있어 상기 수평부(221)와 수직부(222) 사이의 각도가 예각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직부'라는 용어는 실제로 직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부(22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수직부(222)의 기울임 각 도(θ)는, 채움재를 다지거나 접속부층(21)을 적층해 나갈 때 횡압력에 의해 수평부가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미리 반영한 각도로 구부려 형성한다.
도 3c에는 도 3a에 도시된 보강재(22)를 변형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c에 도시된 보강재(22)의 경우에는 수평부(221)의 선단에 구부러진 형상의 앵커부(22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앵커부(223)는 지면이나 토공부의 토사에 박혀 들어감에 따라 구속력을 증대시켜 접속부층(21)을 형성하기 위하여 채움 작업 및 다짐 작업을 할때 보강재(22)가 바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축조 후 토공부와 접속부층 사이의 면에서 붕괴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앵커부(223)의 개수에는 한정이 없으나,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양 단부와 가운데에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재(22)의 수직부(222)에도 채움재 유실 방지망(224)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보강재(2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22) 상면에는 토목섬유(23)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토목섬유(23) 상부로는 쇄석, 자갈, 모래, 또는 토사 등과 같은 채움재(24)가 채워져서 접속부층(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22)와 토목섬유(23) 및 채움재(24)로 이루어진 구조는 접속부(20)에 가해지는 수평·수직 응력에 일체로 저항하여 접속부(2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재(22)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접속부(20)의 상부에서 다짐 등의 작업 시에, 전동 롤러 등에 의한 측압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상기 보강재(22)가 강재로 이루어진 경우, 접속부(20) 자체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20)의 전면에 보강재(22)가 설치됨으로써, 교대(30)가 시공되기 전이라도 접속부(20)의 전면으로 채움재(24)가 유실되지 않고, 접속부(2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22)가 매립된 접속부층(21)을 적층하여 접속부(20)를 형성하게 되면, 다짐 작업이 쉽고 빨라지게 되어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충분한 다짐이 이루어질 수 있어 궤도 시공 후의 추가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20)를 먼저 시공하는 경우, 교대(30)와 접속부(20)를 연결한 후에 접속부(20)에 발생하는 침하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접속부(20)와 교대(30) 사이의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목섬유(23)는 그 상부에 채워지는 채움재(24)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촘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로 포설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상기 토목섬유(23)와 보강재(22) 사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접속부(20) 내의 보강재(22) 또는 토목섬유(23)는 그 일단부가 토공부(10)까지 연장되어 상기 토공부(10)와 상기 접속부(2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22)의 전방 단부에는 교대(30)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노출철근(25)이 구비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노출철근(25)의 단부를 상기 교대(30)의 주철근(31)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22)의 단부에 형성된 노출철근(25)은 교대(3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됨으로써, 교대(30)와 보강재(22)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노출철근(25)은 상기 보강재(22)의 단부와 교대(30)의 주철근(31)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교대(30)의 배면이 접속부(20)와 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교대(3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접속부(20)와 접하는 측면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접속부(20)와 교대(30) 사이에 거푸집이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교대(3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상기 접속부(20) 내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는데, 콘크리트의 시멘트 밀크 등이 상기 접속부(20) 내의 채움재(24) 사이에 채워짐으로써, 상기 접속부(20)가 더욱 견고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교대(30)와 접속부(20)의 일체화가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 채움재(24)로는 쇄석, 자갈, 모래, 흙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등을 채움재(24)로 사용하게 되면, 토공부(10)를 통하여 우수 등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접속부(20)를 통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교대(3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접속부(20)와 교대(30)가 접하는 위치 즉, 접속부(20)의 전면부나 교대(30)의 배면 근처에 미리 배수관 등을 설치하여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각각 순서대로 본 발명에 따른 뒷채움구조의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부(2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서 보듯이, 교대(30)가 시공될 위치의 후방으로 토공부(10)를 형성한다. 상기 토공부(10)는 현장에서 발생한 토사 등을 쌓아올려 시공할 수 있는데, 그 시공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토공부(10)의 재료로는 교대(30)와 연결된 후 지속적으로 침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여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토공부(10)에 접하여 접속부층(21)을 차례로 적층하여 접속부(20)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강재(22)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는 토목섬유(23)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토목섬유(23) 상부로는 쇄석, 자갈, 모래, 또는 토사 등과 같은 채움재(24)를 채워서 다짐으로써 접속부층(21)을 형성한다. 채움재(24)가 채워지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221)를 향해 기울어져 있던 수직부(222)는 채움재를 채워서 다질 때 펴지면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채움재(24)를 다져서 접속부층(21)을 형성할 때, 배불름 현상이나 접속부층(21)의 전면에서의 배불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충분하게 채움재의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부층(21)을 반복하여 필요한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한 높이로 접속부(20)를 형성한다. 이 때,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한 경우에는 일부 접속부층(21)에서는 토목섬유(23)를 길게 늘여서 토목섬유(23)의 단부가 토공부(10)의 법면에 닿도록 연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부(20)가 교대(30)를 시공하기 전에 형성됨으로써 접속부(20)의 선 침하를 유도할 수 있는데, 교대(30) 시공 전에 충분히 침하가 진행될 수 있도록 다짐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교대(30)와 연결한 후에 추가 침하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접속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층(21)이 보강재(22)와 토목섬유(23)에 의해 그 단부가 지지되고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접속부층(21)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부(20)는 토목섬유(23), 보강재(22) 및 채움재(24)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복합적인 구조를 이루며, 서로 간의 마찰과 그로 인한 전단력 증가 및 수직·수평 응력에 대한 안정적 거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후속하여 접속부(20)에 접하여 강성 구조체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교대(30)를 시공한다. 이 때, 상기 보강재(22)의 단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노출철근(25)을 고정 연결할 수 있는데, 도 4c에서 보듯이 보강재(22)에 고정 연결된 상기 노출철근(25)에 교대(30)의 주철근(31)을 연결한 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 교대(30)와 접속부(20)가 더욱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노출철근(25)과 주철근(31)의 연결방법으로는 용접이나 이음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대(30)의 주철근(31)과 보강재(22)에 설치된 노출철근(25)을 연결한 후에는 도 4d에서 보듯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대(30)를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교대(30)의 배면에는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보강재(22)를 통해 접속부(20) 내의 채움재(24) 사이로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부(20)의 단부와 교대(30)의 배면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위의 실시예에서는, 교대(30)가 시공될 위 치의 후방으로 토공부(10)를 형성한 후에 접속부(20)를 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따른 시공방법에서는 접속부(20)를 시공한 후에 토공부(10)를 시공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접속부(20)를 시공하고, 후속하여 토공부(10)를 시공한 후에 교대(30)를 시공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우선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층(21)을 차례로 적층하여 접속부(20)를 형성하게 된다. 접속부층(21)을 시공하고 적층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데, 보강재(22)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는 토목섬유(23)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토목섬유(23) 상부로는 쇄석, 자갈, 모래, 또는 토사 등과 같은 채움재(24)를 채워서 다짐으로써 접속부층(21)을 형성하며, 이러한 접속부층(21)의 형성 과정을 반복하여 필요한 높이만큼 접속부층(21)을 형성한다.
후속하여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층(21)의 측면에 토공부(10)를 시공한다. 토공부(10)의 시공은 일반적인 토사 적층, 다짐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토공부(10)가 시공된 후에는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20)의 측면에 교대(30)를 일체로 시공한다. 교대(30)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도 4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대(30)의 주철근(31)과 보강재(22)에 설치된 노출철근(25)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접속부(20)를 가장 먼저 시공하고, 후속하여 토공부(10)를 시공하게 되면 교대(30)와 접속부(20)를 연결 시공할 때까지 접속부(20)와 토공부(10)의 침하가 진행되므로 교대(30) 시공 후에 교대(30)와 접속부(20), 토공부(10) 사이의 부등침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는 강성 구조체의 일예로서 교대(3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강성 구조체는 교대(3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암거, 옹벽, 일반 벽체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 강성 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암거(40)에 대해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접속부(20)가 시공되어 있는 암거(20) 측면의 뒷채움부 구조가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는 토공부(10)의 시공 후에 접속부(20)가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속부(20)가 시공된 후에 토공부(10)가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강성 구조체가 암거(40)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 시공방법 등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교대(3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어프로치 블록을 이용한 종래 기술에 의한 교대의 뒷채움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암거의 뒷채움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대와 접속부 및 토공부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보강재와 토목섬유의 상면으로 채움재가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그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보강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보강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순서대로 본 발명에 따른 성토부 즉, 교대 뒷채움부에서의 접속부와 토공부의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순서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공방법에 따라 접속부를 시공하고, 후속하여 토공부를 시공한 후에 교대를 시공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강성 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암거 측면의 뒷채움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토공부 20 접속부 21 접속부층
22 보강재 23 토목섬유 24 채움재
25 노출철근 30 교대 31 주철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강성 구조체(30, 40)가 시공될 위치의 후방에서 토공부(10)의 선침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공부(10)를 형성하고;
    상기 토공부(10)의 전면에는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22)를 설치하며, 상기 보강재(22)의 수평부 상면으로는 토목섬유(23)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섬유(23)의 상면은 채움 재(24)로 채워 접속부층(21)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층(21) 위로, 보강재(22) 설치, 토목섬유(23)의 포설 및 채움재(24)의 충진 작업을 반복하여 강성 구조체(30, 40)의 높이가 되도록 접속부층(21)을 적층하여 접속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재(22)의 수직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25)을 상기 보강재(22)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노출철근(25)이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에 매립되도록 강성 구조체(30, 4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강성 구조체(30, 40)가 상기 접속부(20)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시공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구조체(30, 4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상기 노출철근(25)을 강성 구조체(30, 40)의 주철근(31)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 시공방법.
KR1020080056353A 2008-06-16 2008-06-16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KR10100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353A KR101006900B1 (ko) 2008-06-16 2008-06-16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353A KR101006900B1 (ko) 2008-06-16 2008-06-16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637A KR20090130637A (ko) 2009-12-24
KR101006900B1 true KR101006900B1 (ko) 2011-01-14

Family

ID=4169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353A KR101006900B1 (ko) 2008-06-16 2008-06-16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9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913A (ko) * 2013-10-15 2015-04-23 김효례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80098794A (ko) 2017-02-27 2018-09-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하중의 전달범위를 고려한 토공 접속부의 노반보강 방법
KR20210007420A (ko) 2019-07-11 202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완충부를 이용한 일체형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4296A (ko) 2020-03-10 2021-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11251A (ko) 2020-07-20 2022-01-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멘트 저감을 위한 힌지형 교대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58255A (ko) 2021-10-22 2023-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량상부구조 변형흡수가 가능한 돌출형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58252A (ko) 2021-10-22 2023-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104A (zh) * 2012-04-11 2012-08-15 华南理工大学 用于路桥连接的楔形土工格室水泥加筋土结构及施工方法
CN103194962B (zh) * 2013-05-03 2014-12-10 福州大学 基于柔性桩的减少桥台跳车的结构及施工方法
KR101507523B1 (ko) * 2013-05-07 2015-04-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구비한 철도 슬래브 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96403B1 (ko) * 2016-08-16 2018-09-07 한국토지주택공사 일체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804939A (zh) * 2019-11-15 2020-02-18 浙江中浩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桥台跳车的加固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81A (ja) * 1997-05-16 1998-12-02 Tenryu Ind Co Ltd 擁壁による法面の保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4019249A (ja) * 2002-06-17 2004-01-22 Taiyo Kogyo Corp 盛土補強装置
JP2005068897A (ja) * 2003-08-27 2005-03-17 Bridgestone Corp 盛土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81A (ja) * 1997-05-16 1998-12-02 Tenryu Ind Co Ltd 擁壁による法面の保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4019249A (ja) * 2002-06-17 2004-01-22 Taiyo Kogyo Corp 盛土補強装置
JP2005068897A (ja) * 2003-08-27 2005-03-17 Bridgestone Corp 盛土補強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913A (ko) * 2013-10-15 2015-04-23 김효례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27279B1 (ko) 2013-10-15 2016-06-03 김효례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80098794A (ko) 2017-02-27 2018-09-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하중의 전달범위를 고려한 토공 접속부의 노반보강 방법
KR20210007420A (ko) 2019-07-11 2021-01-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완충부를 이용한 일체형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4296A (ko) 2020-03-10 2021-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11251A (ko) 2020-07-20 2022-01-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모멘트 저감을 위한 힌지형 교대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58255A (ko) 2021-10-22 2023-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량상부구조 변형흡수가 가능한 돌출형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58252A (ko) 2021-10-22 2023-05-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637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00B1 (ko)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KR100971004B1 (ko)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0743832B1 (ko)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216511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KR10128860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바닥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308953B (zh) 利用既有挡墙的泡沫混凝土拼宽路堤的施工方法
CN108221528B (zh) 路基建筑搭接结构及施工方法
KR101384673B1 (ko) 보강노반 지지용 강성복합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69701B1 (ko)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JP5146117B2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56280B1 (ko)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1705576A (zh) 一种采用高密度eps填料的陡坡高填路基结构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JP5915074B2 (ja) 地上交通路の下に地下空間を形成する方法
KR101017127B1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JP6536895B2 (ja) 補強盛土一体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KR20090130904A (ko) 다짐도 향상을 위한 보강틀, 이를 이용한 뒷채움보강구조를 가지는 옹벽
KR102562385B1 (ko) 교량상부구조 변형흡수가 가능한 돌출형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101389743B1 (ko) 교대 보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490879B1 (ko) H파일 억지말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1664103B1 (ko) 지지용 강빔을 이용한 pc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KR102562383B1 (ko)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KR102377895B1 (ko) 모멘트 저감을 위한 힌지형 교대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