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252A -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8252A KR20230058252A KR1020210142082A KR20210142082A KR20230058252A KR 20230058252 A KR20230058252 A KR 20230058252A KR 1020210142082 A KR1020210142082 A KR 1020210142082A KR 20210142082 A KR20210142082 A KR 20210142082A KR 20230058252 A KR20230058252 A KR 202300582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earth pressure
- girder
- horizontal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종래 교량구조물의 교량접속부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예시도,
도 1c는 종래 교량구조물의 교량접속부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를 이용한 보강예시도,
도 1d는 종래 교대부와 거더의 수평변위를 흡수하기 위한 변형흡수부의 설치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의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시공방법의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
110: 교대부 111: 교대부 세그먼트
120: 거더 130: 상판
140: 뒤채움 150: 완충부
160: 힌지부
160a: 연결면 힌지부 160b: 상면 힌지부
161: 전단홈 162: 전단키
163: 충격흡수재 164: 스플라이스슬리브
165: 스플라이스
A: 완충부의 배면 B: 교대부의 배면
D: 거더의 단부면
Claims (13)
- 뒤채움(140)을 선시공하고, 교대부(110)를 후시공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100)에 있어서,
선시공된 뒤채움(140);
상기 뒤채움으로부터 이격되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교대부 세그먼트(111)를 1단씩 적층 시공하여 형성시킨 교대부(110); 및
상기 교대부 세그먼트(111)로 적층시키면서, 각각의 교대부 세그먼트(111) 배면에 함께 적층 시공시킨 완충부(150);를 포함하여,
교대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적층 시공하면서 완충부도 함께 단계적으로 교대부 배면에 후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는 연결면 힌지부(160a)가 더 형성되어,
각각의 교대부 세그먼트(111)도 상,하 연결로 인한 일체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 힌지부(160a)는,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 형성된 전단홈(161)에 하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되는 교대부 세그먼트(111) 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스플라이스슬리브(164)에 삽입되는 스플라이스(165)를 포함하여,
상,하로 연결된 교대부 세그먼트(111)는 단계적으로 적층되는 완충부(150)에 의한 수평토압에 의한 수평변위를 흡수하면서 적층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교대부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연결면 힌지부(160a)에 의하여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 상면과 거더(120)의 단부 저면에 상면 힌지부(160b)가 더 형성되어,
거더(120)가 시공된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변형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교량받침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힌지부(160b)는,
교대부(110) 상면에 형성된 전단홈(161)에 하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되는 거더(120) 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스플라이스슬리브(164)에 삽입되는 스플라이스(165)를 포함하여,
상기 교대부 상면과 거더(120)의 단부 저면에 상면 힌지부(160b)에 의하여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함과 더불어, 거더(120)가 시공된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변형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교량받침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50)는,
거더(120)와 교대부(110) 및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 면 힌지부(160a)와 상면 힌지부(160b)에 의하여 1차 및 2차적으로 흡수된 수평변형을 3차적으로 더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홈(161)에 전단키(162)가 하방으로 삽입되어 맞물려지면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재(163)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수평변형의 제어 및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슬리브(164)는,
전단홈(161) 저면에 수직으로 상방 연장된 스플라이스의 두부가 삽입되는 슬리브를 거더 단부의 전단키(162) 저면에 매입시키고, 상기 슬리브에 스플라이스가 삽입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부(110)는 교량구조물의 하부구조로서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벽체구조물로 시공되며,
상기 거더(120)는 교량구조물의 상부구조로서 콘크리트로 시공된 것으로서 양 교대부(110) 상면에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시켜 시공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휨 부재로서 작용하며,
상기 완충부(150)는,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지 않고, 교량구조물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 (a) 뒤채움(140)을 선시공하는 단계;
(b) 상기 뒤채움(140)으로부터 이격되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교대부 세그먼트(111)를 1단씩 적층 시공하여 교대부(110)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교대부 세그먼트(111)로 적층시키면서, 각각의 교대부 세그먼트(111) 배면에 함께 완충부(150)를 적층 시공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거더(120) 상면에 교량구조물의 슬래브를 포함하는 상판(130)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교대부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적층 시공하면서 완충부도 함께 단계적으로 교대부 배면에 후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는 연결면 힌지부(160a)가 더 형성되어, 각각의 교대부 세그먼트(111)도 상,하 연결로 인한 일체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면 힌지부(160a)는,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 형성된 전단홈(161)에 하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되는 교대부 세그먼트(111) 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스플라이스슬리브(164)에 삽입되는 스플라이스(165)를 포함하여,
상,하로 연결된 교대부 세그먼트(111)는 단계적으로 적층되는 완충부(150)에 의한 수평토압에 의한 수평변위를 흡수하면서 적층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교대부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연결면 힌지부(160a)에 의하여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시공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교대부 상면과 거더(120)의 단부 저면에 상면 힌지부(160b)가 더 형성되어,
거더(120)가 시공된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변형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교량받침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상면 힌지부(160b)는, 교대부(110) 상면에 형성된 전단홈(161)에 하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되는 거더(120) 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스플라이스슬리브(164)에 삽입되는 스플라이스(165)를 포함하여,
상기 교대부 상면과 거더(120)의 단부 저면에 상면 힌지부(160b)에 의하여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흡수하여 1차적으로 저감되도록 함과 더불어, 거더(120)가 시공된 교대부(110)에 작용하는 수평변형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교량받침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시공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완충부(150)는,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지 않고, 교량구조물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하여, 거더(120)와 교대부(110) 및 교대부 세그먼트(111)의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면 힌지부(160a)와 상면 힌지부(160b)에 의하여 1차 및 2차적으로 흡수된 수평변형을 3차적으로 더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2082A KR102562383B1 (ko) | 2021-10-22 | 2021-10-22 |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2082A KR102562383B1 (ko) | 2021-10-22 | 2021-10-22 |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8252A true KR20230058252A (ko) | 2023-05-03 |
KR102562383B1 KR102562383B1 (ko) | 2023-08-02 |
Family
ID=8638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2082A KR102562383B1 (ko) | 2021-10-22 | 2021-10-22 |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2383B1 (ko) |
Citation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4810A (ko) * | 2002-11-22 | 2004-05-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KR100971004B1 (ko) | 2008-02-29 | 2010-07-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
KR20110003917A (ko) * | 2009-07-07 | 2011-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
KR101006900B1 (ko) | 2008-06-16 | 2011-01-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
KR101175098B1 (ko) | 2011-10-25 | 2012-08-21 | 주식회사 한화건설 | 중간 보조지지대를 이용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
KR20130092726A (ko) * | 2012-02-13 | 2013-08-2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상부교대 및 하부교대의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반일체식 교대 |
KR101512998B1 (ko) * | 2014-09-25 | 2015-04-17 | 주식회사 강동건설엔지니어링 | 라멘 교량 및 라멘 교량의 시공 방법 |
KR101651495B1 (ko) * | 2014-09-15 | 2016-08-26 | 박종면 | 무교좌 및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KR101656069B1 (ko) * | 2015-10-20 | 2016-09-0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변위흡수부를 포함하는 일체식 교량 |
KR101761477B1 (ko) * | 2015-07-28 | 2017-07-27 | (주)지승컨설턴트 |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KR101888590B1 (ko) * | 2017-04-28 | 2018-08-14 | 한국도로공사 | 일체식 순수형 보강토교대 및 그 시공방법 |
KR101896403B1 (ko) | 2016-08-16 | 2018-09-07 | 한국토지주택공사 | 일체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06671A (ko) * | 2017-07-11 | 2019-01-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의 구조적 연속화 시공방법 |
KR20210007420A (ko) * | 2019-07-11 | 2021-01-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완충부를 이용한 일체형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
2021
- 2021-10-22 KR KR1020210142082A patent/KR1025623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4810A (ko) * | 2002-11-22 | 2004-05-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KR100971004B1 (ko) | 2008-02-29 | 2010-07-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
KR101006900B1 (ko) | 2008-06-16 | 2011-01-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
KR20110003917A (ko) * | 2009-07-07 | 2011-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
KR101175098B1 (ko) | 2011-10-25 | 2012-08-21 | 주식회사 한화건설 | 중간 보조지지대를 이용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
KR20130092726A (ko) * | 2012-02-13 | 2013-08-2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상부교대 및 하부교대의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반일체식 교대 |
KR101651495B1 (ko) * | 2014-09-15 | 2016-08-26 | 박종면 | 무교좌 및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KR101512998B1 (ko) * | 2014-09-25 | 2015-04-17 | 주식회사 강동건설엔지니어링 | 라멘 교량 및 라멘 교량의 시공 방법 |
KR101761477B1 (ko) * | 2015-07-28 | 2017-07-27 | (주)지승컨설턴트 |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KR101656069B1 (ko) * | 2015-10-20 | 2016-09-0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변위흡수부를 포함하는 일체식 교량 |
KR101896403B1 (ko) | 2016-08-16 | 2018-09-07 | 한국토지주택공사 | 일체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888590B1 (ko) * | 2017-04-28 | 2018-08-14 | 한국도로공사 | 일체식 순수형 보강토교대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06671A (ko) * | 2017-07-11 | 2019-01-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의 구조적 연속화 시공방법 |
KR20210007420A (ko) * | 2019-07-11 | 2021-01-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완충부를 이용한 일체형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2383B1 (ko) | 2023-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2884B1 (ko) | 강박스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006900B1 (ko) |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 |
KR100971004B1 (ko)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 |
KR10074383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JP2007321452A (ja) | 橋梁の構築工法およびその橋梁構造物 | |
KR101216511B1 (ko) |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 |
KR101364805B1 (ko) |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07523B1 (ko) |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구비한 철도 슬래브 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90006671A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의 구조적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1653606B1 (ko) | 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
KR102369701B1 (ko) |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98286B1 (ko)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
KR20150132945A (ko) | 샌드위치형 보강 성토재료 적층과 지지말뚝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성토 시공방법 | |
KR102562383B1 (ko) | 수평토압 저감형 프리캐스트 교량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17127B1 (ko) |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 |
KR20210007420A (ko) | 완충부를 이용한 일체형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973657B1 (ko) |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 |
KR102377895B1 (ko) | 모멘트 저감을 위한 힌지형 교대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55433B1 (ko) | 콘크리트 충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말뚝을 이용한 무조인트일체식 교대구조 | |
KR20060096810A (ko) | 접속슬래브 연결 및 말뚝과 거더가 강결일체화되고 하중상쇄 및 캠버를 자동관리하는 씽크로라이즈 동바리시스템을설치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다가구 슬래브 교량및 이의 설치방법 | |
JP5915074B2 (ja) | 地上交通路の下に地下空間を形成する方法 | |
CN215211149U (zh) | 一种嵌入自平衡式复合加筋土挡墙 | |
KR20090046309A (ko) |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6536895B2 (ja) | 補強盛土一体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施工方法 | |
KR102027480B1 (ko) | 보강토 옹벽의 전면벽체를 활용한 라멘교 구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