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213A - 악취발생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악취발생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213A
KR20090115213A KR1020097019549A KR20097019549A KR20090115213A KR 20090115213 A KR20090115213 A KR 20090115213A KR 1020097019549 A KR1020097019549 A KR 1020097019549A KR 20097019549 A KR20097019549 A KR 20097019549A KR 20090115213 A KR20090115213 A KR 2009011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odor
alarm device
cas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595B1 (ko
Inventor
야스히로 우에노
히로후미 오니시
히데아키 고토
고이치로 미조구치
도모 사카이
가츠유키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52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8382B2/ja
Application filed by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출동작의 확실성 및 악취의 확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악취발생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감지기(4)로부터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회로부(7)에 의해서 이니시에이터(9)가 동작하며, 이니시에이터(9)는 구동부(10)의 피스톤(19)을 변위시켜서 스프레이 캔(11)을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을 방출상태로 전환하여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는 악취액을 미립자 상태로 방출시킨다.

Description

악취발생 경보장치{SMELL OUTBREAK ALARM}
본 발명은 악취를 발생시킴에 의해서 화재 등의 이상사태를 경보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화재경보장치는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가스 및 불빛 등을 검출하고, 이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오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것들을 조합하여 화재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검지된 신호를 소화장치에 주어 벨 등을 울림과 동시에 스프링쿨러 등을 작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재경보장치는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에게는 알아차리기 어려운 것이므로 피난의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화재발생시에 화재발생을 알릴 수 없다고 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경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보장치에서는 화재발생시에 악취를 발산시킴에 의해서 화재 등의 긴급사태를 알리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326326호 공보 참조).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서 악취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어느 장치나 기계적 요소에 의해서 방출수단이 구성되기 때문에, 부식 등에 의해서 긴급사태시에 확실하게 방출동작 가능한 구성은 아니다. 또, 악취를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구성도 아니고, 경고해야 할 사람이 악취를 인지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동작의 확실성 및 악취의 확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악취액이 충전되며 상기 악취액을 방출하는 방출상태와 방출정지상태로 전환 가능한 스프레이 캔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스프레이 캔을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킴에 의해서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부터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켜서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통전하면 신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작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작동부에 대해서 통전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수납공간 내에서 변위시킬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의해서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구비하는 경보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프레이 캔이 방출상태에 있는 경우의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구비하는 경보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스프레이 캔이 방출상태에 있는 경우의 악취발생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경보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항에 대응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구성의 다른 부분은 선행하여 설명하고 있는 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한다. 각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부분의 조합 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하는데 지장이 없다면 실시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구비하는 경보시스템(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경보시스템(2)은 화재 등의 이상사태를 검지하면 스프링쿨러 등의 소화장 치(3)를 작동시킨다. 소화장치(3)는 이상사태인 경우 경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의해서 이상사태인 것을 알린다. 경보시스템(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기(4), 소화장치(3), 악취발생 경보장치(1) 및 다른 경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기(4)는, 검지수단으로서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고,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검지하면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를 소화장치(3)에 준다. 감지기(4)는 예를 들면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가스 및 불빛 등을 검출하고, 이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오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것들을 조합하여 화재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감지기(4)는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화재라고 판단된 경우, 이상정보를 소화장치(3)에 준다.
소화장치(3)는 감지기(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소화동작을 개시한다. 소화장치(3)는 예를 들면 스프링쿨러 등의 소화수단 및 배연(排煙)장치 등을 작동시킨다. 또, 소화장치(3)는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경보를 발하도록 경보수단(1,5,6)을 제어한다. 경보수단으로서의 경보벨(5), 경보등(6) 및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각각 소화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소화장치(3)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경보를 발한다. 경보벨(5)은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경보등(6)은 발광하고,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악취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악취발생 경보장치(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회로부(7), 전원부(8), 이니시에이터(9), 구동부(10) 및 스프레이 캔(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구동부(10) 및 스프레이 캔(11)을 가상적으로 나타낸다. 회로부(7)는 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이니시에이터(9)를 동작시킨다. 회로부(7)는 감지기(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이니시에이터(9)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니시에이터(9)는 전류에 의해서 발열되며, 이 발열에 의해서 이니시에이터(9)가 구비하는 점화제(화약)가 착화된다. 점화제가 착화되면, 화약의 열에 의해서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여 가스가 발생한다. 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구동부(10)가 동작하여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이 방출된다. 따라서, 이니시에이터(9) 및 구동부(10)는 전환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스프레이 캔(11)을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시킴으로써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된다.
도 4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아울러 참조하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의 기계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케이싱(12) 및 전원 스위치(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마루에 배치하거나 벽에 걸거나 할 경우에 최적하게 이용된다. 케이싱(12)은 미리 정해지는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스프레이 캔(1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 및 각부를 수납할 수 있는 배치공간이 형성된다. 배치공간은 수납공간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전원부(8), 구동부(10), 이니시에이터(9) 및 회로부(7)가 수납된다. 또, 케이싱(12)의 외주부에는 전원 스위치(13)가 설치되며, 전원부(8)에서 회로부(7)로의 전기의 공급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로부(7)는 단자대(14), 회로기판(15), 콘덴서(16) 및 커넥터(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대(14)는 케이블 등을 통해서 감지기(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단자대(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단자대(14)는 회로기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감지기(4)로부터의 이상정보는 단자대(14)를 통해서 회로기판(15)에 주어진다.
전원 스위치(13)는 회로기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원부(8)로부터의 전압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원부(8)는 예를 들면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지(8)에 의해서 실현되며,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장착됨으로써 회로기판(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지(8)는 예를 들면 건전지 등의 1차 전지 또는 충전지 등의 2차 전지에 의해서 실현된다.
회로기판(15)은 전지(8)로부터의 공급전력을 이니시에이터(9)의 화약을 점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에너지로서 콘덴서(16)에 미리 충전한다. 회로기판(15)은 콘덴서(16) 및 커넥터(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기판(15)은 단자대(14)로부터 주어지는 이상정보에 의거하여 콘덴서(16)에 충전된 전류를 커넥터(17)에 준다. 커넥터(17)는 이니시에이터(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니시에이터(9)를 콘덴서(16)로부터의 전류를 주어서 작동시킨다.
이니시에이터(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부(7)에 의해서 콘덴서(16)로부터 주어지는 전류에 의해서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가스는 케이싱(12)과 이니시에이터(9)와 구동부(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폐공간(18)으로 방출되어 밀폐공간(18) 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밀폐공간(18)은 O링에 의해서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다.
구동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서 동작한다. 구동부(10)는 피스톤(19)과 완충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스톤(19)은 밀폐공간(18)을 형성하며,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방출정지위치와 방출위치에 걸쳐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완충수단(20)은 스프레이 캔(11)이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한다. 완충수단(2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재(20)에 의해서 실현된다. 스프링부재(20)는 피스톤(19)이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준다.
스프레이 캔(11)은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프레이 캔(11)에는 악취액 및 압축공기 등의 압축가스가 충전되며, 압축가스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진 악취액을 노즐헤드(21)의 방출구(21a)에서 방출시킴으로써 악취액을 미립자 상태로 방출할 수 있다. 스프레이 캔(11)은 악취액을 방출하는 방출상태와 방출정지상태에 걸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프레이 캔(11)은 예를 들면 압축가스 봄베에 의해서 실현된다. 스프레이 캔(11)은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그 축선이 케이싱(12)의 축선과 거의 같게 되도록 수납공간에 장착된다. 스프레이 캔(11)의 정상부는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한다. 스프레이 캔(11)은 악취액을 방출시키는 노즐헤드(21) 및 악취액과 압축가스가 충전되는 압력용기(22)를 포함한다. 스프레이 캔(11)의 정상부에는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을 방출시키는 노즐헤드(21)가 설치된다. 스프레이 캔(11)은 노즐헤드(21)와 압력용기(22)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에 의해서 악취액이 방출된다. 압력용기(22)는 수납공간 내에서 노즐헤드(21)에 대해서 근접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스프레이 캔(11)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스프레이 캔(11)이 방출정지상태에 있는 경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의 단벽부(12a)는 압력용기(22)의 노즐헤드(21) 측으로 향하여 있는 단면(22a)과 이간되어 있다. 또, 노즐헤드(21)는 스프레이 캔(11)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수납공간 내에서 케이싱(1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케이싱(12)에는 노즐헤드(21)의 방출구(21a)에서 악취액이 방출되는 방향인 반지름방향을 따라서 방출구멍(23)이 형성된다. 방출구멍(23)은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방출구멍(23)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노즐헤드(21)에서 방출되는 미립자 상태의 악취액이 방출구멍(23)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일이 없이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싱(12) 및 구동부(10)는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 재료가 이용되며, 예를 들면 황동, 스테인리스 및 합성수지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도 5는 스프레이 캔(11)이 방출상태에 있는 경우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피스톤(19)은, 이니시에이터(9)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자연상태에서는 스프링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서 축선방향의 일방측의 방출정지위치(도 4 참조)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서 밀폐공간(18)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19)에 가스의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스프링부재(2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방출정지위치에서 축선방향의 타방측으로 향해서 방출위치(도 5 참조)까지 변위한다.
노즐헤드(21)는 케이싱(12)에 의해서 변위가 규제되게 설치되고, 압력용기(22)는 케이싱(12)에 대해서 방출정지상태가 되는 방출정지위치(도 4 참조)와 방출상태가 되는 방출위치(도 5 참조)에 걸쳐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용기(22)가 방출정지위치에 있고 피스톤(19)이 방출정지위치에 있는 경우, 압력용기(22)의 바닥부는 피스톤(19)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의 면부와 맞닿은 상태에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19)이 변위하여 방출위치에 있는 경우, 피스톤(19)은 압력용기(22)의 바닥부를 축선방향의 타방측으로 향해서 압압하여, 방출정지위치에서 축선방향의 타방측으로 향해서 방출위치까지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싱(12)의 축선방향의 타방측의 단벽부(12a)는 압력용기(22)의 노즐헤드(21) 측으로 향하여 있는 단면(22a)과 맞닿게 된다. 노즐헤드(21)는 케이싱(1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용기(22)가 노즐헤드(21)에 대해서 방출위치까지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노즐헤드(21)에서 악취액이 방출된다.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밀폐공간(18)에 있기 때문에, 이 가 스에 의한 압력은 피스톤(19)을 방출위치(도 5 참조)까지 변위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압력용기(22)도 방출위치에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노즐헤드(21)에서는 악취액이 계속적으로 방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는 악취액의 악취 약제는 이상사태인 것을 알려서 피난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선정된다. 악취 약제로서, 예를 들면 박하 냄새 및 고추냉이 냄새를 가지는 약제를 베이스로 제조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는 가스는 화염에도 연소되지 않는 가스 또는 공기가 선정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은 악취 약제의 화학변화를 통해서 악취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추진력에 의해서 악취물질을 분사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악취 약제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압이 악취액의 기체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악취액을 미스트 상태로 확산시킴으로써 단시간에 광범위하게 악취액을 확산시킬 수 있다.
충전되는 악취액의 양 및 압축가스의 양은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체적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스프레이 캔(11)을 방출상태로 함으로써, 충전된 악취액이 부족하게 되는 일 없이, 충분히 설치공간 내로 확산되어 설치공간 내에 있는 사람들이 악취를 느낄 수 있는 양이 선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서는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감지기(4)로부터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회로부(7)에 의해서 이니시에이터(9)가 동작한다. 이니시에이터(9)는 구동부(10)의 피스톤(19)을 변위시켜서 스프레이 캔(11)을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을 방출상태로 전환하여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을 미립자 상태로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이상사태가 발생하면,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 캔(11)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튜브형상의 용기 등이 악취액을 충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서, 압축가스에 의해서 악취액을 미립자 상태로 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 구동부(10)는 스프레이 캔(11)을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시킨 방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 캔(11)이 계속적으로 악취액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양의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액을 확실하게 이상사태에 대해서 피난해야 할 사람에게까지 단시간에 확산시킬 수 있어, 이상사태인 것을 신속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 및 애완동물 등의 동물이라도 화재 등의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악취가스에 의해서 인식하고서 신속하게 피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감지기(4)의 검지대상에 대응한 센서를 채용함으로써, 화재 뿐만 아니라 모든 위험 및 이상사태의 경보장치로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 캔(11)을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시켜서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은 이니시에이터(9)를 포함하여 실현된다. 이니시에이터(9)는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킨다. 이와 같이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 해서 극히 단시간에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정보에 대한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화약을 이용함에 의해서, 전환수단을 기계요소로 구성하는 것보다도 부식 등에 의해서 전환동작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환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전환수단이 이니시에이터(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이니시에이터(9)의 부분이 부정한 수단에 의해서 내부 구조가 노출되었을 경우, 화약을 점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정한 수단에 의해서 이니시에이터(9)에 포함되는 화약이 끄집어 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니시에이터(9)에 포함되는 화약이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정한 수단에 의한 케이싱(12)의 개폐의 검출은, 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에 의해서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 캔(11)이 케이싱(12)에 대해서 변위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수단(20)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부재(20)에 의해서 완충되기 때문에, 스프레이 캔(11)이 전환동작시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약을 이용하여 급격하게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키는 경우에서도 스프레이 캔(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니시에이터(9) 및 구동부(10)가 확실하게 스프레이 캔(11)을 방출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에 의해서 폭발하지 않는 스프레이 캔(11)을 이용함으로써 평상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캔(11)에 악취액을 충전함으로써 장기 보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레이 캔(11)의 노즐헤드(21) 측의 일단부를 케이싱(12)에 의해서 고정하고, 타단부 측을 노즐헤드(21) 측으로 압압함에 의해서 악취액이 방출되도록 케이싱(12) 및 스프레이 캔(11)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압력용기(22)가 방출위치에서 노즐헤드(21) 측으로 향해서 더 변위하는 것이 케이싱(12)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헤드(21)에 방출시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헤드(21)가 이니시에이터(9)의 압력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상사태시에 악취액을 확실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또, 노즐헤드(21)가 케이싱(1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즉 노즐헤드(21)가 케이싱(12)에 대해서 소망하지 않는 방출방향으로 변위하지 않기 때문에, 소망하는 방출방향으로 악취액을 방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이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경보벨(5)로서 기능하는 부저 등의 소리발생수단 및 경보등(6)으로서 기능하는 발광수단을 조합하여 실현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다른 경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조합함에 의해서, 악취를 감지하였을 때에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의해서 방출된 악취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악취를 감지하고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경보가 발하고 있는 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경보수단으로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어도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며, 적절하게 다른 경보수단과 조합시켜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장치(3)를 사이에 두고서 유선에 의해서 감지기(4)와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유선에 한정하지 않고 무선에 의해서 이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무색무취 가스(예를 들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소화장치(3)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이산화탄소를 분사함과 동시에 이 이산화탄소가 분사된 영역에 악취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산화탄소는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가득히 차여 있는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악취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소화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소화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른 경보수단(5,6)에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의해서 이상정보가 주어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경보벨(5)이 작동하였을 때에 경보벨(5)이 발하는 소리를 검출하고, 이 소리를 이상정보로 하여 악취를 발생하도록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구성하여도 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에서 방출되는 미립자 상태의 악취액 및 가스가 무색이어도 되고 유색이어도 된다. 스프레이 캔(11)에서 방출된 액체 또는 기체가 유색인 경우, 악취를 감지하였을 때에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의해서 방출된 악취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악취를 감지하고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경보가 발하고 있는 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수단(20)이 스프링부재(20)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구동부(10)를 구성하는 피스톤(19)에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에 유체마찰 에너지가 소모됨에 의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완충수단(20)은 댐퍼 등의 감쇠기에 의해서 실현하여도 된다. 또, 완충수단(20)은 전환수단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킴에 의해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프레이 캔(11)의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변위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스프레이 캔(11)의 압력용기(22)에 근접시켜서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이 케이싱(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동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에서 악취액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수동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에서 악취액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자는 악취액의 악취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사태일 때에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서 방출되는 악취를 미리 인식할 수 있다.
또, 스프레이 캔(11)이 방출위치에 있는 경우, 수동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이 방출정지상태가 되도록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2)을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감지기(4)가 오작동한 경우 또는 정기적으로 동작을 확인하는 경우, 소망하는 양만큼 악취액을 방출시키고서 방출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악취액이 쓸데 없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환수단은 구동부(10) 및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터 및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전환수단은 액체를 화학반응 또는 열에 의해서 기화시킴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도 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에서 방출된 악취액이 단시간에 더 확산되도록 프로펠러 등의 확산수단을 일체로 또는 별체로 설치하여도 된다.
또, 케이싱(12)에는 방출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출구멍(23)을 형성하는 일 없이, 노즐헤드(21)의 방출구(21a)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도록 케이싱(12)을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노즐헤드(21)의 방출구(21a)를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악취액의 확산을 방해하는 장해를 적게 할 수 있어 확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케이싱(12)의 방출구멍(23)에 임하는 벽부에는 악취액이 부착됨에 의해서 그 색채가 변화하는 물질을 미리 도포하여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은 물질을 도포 하여 둠으로써 스프레이 캔(11)에서 악취액이 방출되었는지 아닌지를 제 3 자가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질은, 예를 들면 수용성 잉크에 의해서 실현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A)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악취발생 경보장치(1A)를 구비하는 경보시스템(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A)에서는 전환수단이 인장부재(24)와 통전하면 수축하는 소재(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기억합금)로 이루어지는 작동부(25)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A)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작동부(25) 및 인장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부(7)는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작동부(25)를 동작시킨다. 회로부(7)는 작동부(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작동부(25)를 통전한다. 작동부(2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통전되면 수축한다. 인장부재(24)는 작동부(25)에 일정한 하중을 부하한다. 작동부(2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전하면 축선방향으로 수축하고, 통전을 정지하면 축선방향으로 신장한다. 따라서, 작동부(25)는 통전의 유무에 따라서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2방향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작동부(2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레이 캔(11)의 반지름방향 외측 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이 되도록 스프레이 캔(11)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된다. 작동부(25)는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분(26)이 스프레이 캔(11)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동부(25)의 양 단부(25a,25b)는 스프레이 캔(11)의 정상부의 반지름방향 외측 부근의 상이한 2개의 위치(27a,27b)에 설치된다. 즉, 작동부(25)의 일단부(25a)는 상기 상이한 2개의 위치(27a,27b) 중 일방의 위치(27a)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작동부(25)의 타단부(25b)는 상기 상이한 2개의 위치(27a,27b) 중 타방의 위치(27b)에 설치되는 인장부재(24)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작동부(25)는 그 일단부(25a)가 회로부(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부(25b)가 인장부재(24)를 통해서 회로부(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작동부(25)가 통전됨에 의해서 그 길이 치수가 작아지게 되면, 양 단부(25a,25b)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단부(25a,25b)에서부터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분(26)까지의 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또, 작동부(25)는 절연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2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서 피복되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작동부(25)에 통전한 경우, 작동부(25)가 도전성을 가지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압력용기(22)에 맞닿더라도 전류가 소망하지 않게 압력용기(2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장부재(24)는 직선형상 와이어의 작동부(25)의 타단부(25b)에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한 하중을 인장방향으로 부하하도록 구성된다. 또, 인장부재(24)는 유극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작동부(25)를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장부재(2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실현되며, 도전성 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또, 인장부재(2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서 피복되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서 작동부(25)를 통전한 경우, 인장부재(24)가 도전성을 가지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압력용기(22)에 맞닿더라도 전류가 소망하지 않게 압력용기(2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스프레이 캔(11)이 방출상태에 있는 경우의 악취발생 경보장치(1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프레이 캔(11)은, 작동부(25)에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축선방향 일방측의 방출정지위치(도 6 참조)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작동부(25)에 통전하면, 작동부(25)의 길이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스프레이 캔(11)의 압력용기(22)가 방출정지위치에서 축선방향 타방측으로 향해서 방출위치(도 8 참조)까지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서 노즐헤드(21)는 케이싱(1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용기(22)가 노즐헤드(21)에 대해서 방출위치까지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노즐헤드(21)에서 악취액이 방출된다. 작동부(25)는 통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길이 치수가 작은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압력용기(22)가 방출위치에 있는 상태가 유지되며, 노즐헤드(21)에서는 악취액이 계속적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25)에 이용되는 소재, 즉 통전하면 수축되는 소재는 적어도 다음의 3가지 선정 요인에 의거하여 선정된다. 제 1 선정 요인은, 통전한 경우의 신축량이 악취액을 방출시키는 방출위치에서 방출을 정지시키는 방출정지위치까지의 거리, 예를 들면 3mm 이상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신축량 미만이면, 작동부(25)에 통전하더라도 스프레이 캔(11)에서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제 2 선정 요인은, 미리 정해진 전류 이하에서 방출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전원부(8)에 의해서 주어지는 전류가 적은 전류라 하더라도 작동부(25)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선정 요인은, 미리 정해진 인장력을 가지는 것이다. 작동부(25)에 통전한 경우, 압력용기(22)를 노즐헤드(21)가 자연상태인 방출정지위치에서 방출 가능한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인장력은 예를 들면 15N(1.5kgf) 이상이다. 이와 같은 선정 요인에 의거하여 작동부(25)의 직경, 개수, 재질이 적절하게 선정된다. 작동부(25)는, 예를 들면 직경 200㎛, 작동전류 1A, 최대 부하가중 12N(1.2kgf), 및 실용 작동 변형 5%를 가지며, 그 조성이 Ti을 49.0∼51.0at%, Cu를 5.0∼12.0at% 함유하고, 잔부가 Ni로 이루어지는 NiTiCu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2개 이상 이용하여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수단이 통전하면 수축하는 소재(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기억합금)로 이루어지는 작동부(25)를 더 구비한다. 회로부(7)는 작동부(25)에 대해서 통전함에 의해서 가열하고, 이 가열에 의해서 작동부(25)를 변형시켜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부(25)에 통전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11)을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환수단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전환수단을 이니시에이터(9)에 의해서 구성하면, 이니시에이터(9)는 1회 동작할 때마다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환수단에 통전하면 수축하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1회에 한하지 않고 반복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 회로부(7)는 타이머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회로부(7)는 감지기(4)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타이머에 의거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면 30초 동안 작동부(2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작동부(25)를 장시간 통전함에 의해서 소망하지 않게 작동부(25) 또는 전지(8)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 열에 의해서 다른 부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킴으로써 스프레이 캔(11)에서 필요한 양의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용기(22)의 바닥부를 노즐헤드(21)로 향해서 압압하도록 작동부(25)를 배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노즐헤드(21)를 압력용기(22)에 대해서 압압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전하면 수축하는 소재가 형상기억합금에 의해서 실현되지만, 형상기억합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전하면 수축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른 소재이어도 된다. 또, 통전하면 수축하는 소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전하면 신축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른 소재이어도 된다.
또, 작동부(25)가 직선형상의 와이어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 작동부(25)가 스프레이 캔(11)을 압압하는 부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작동부(25)의 스프레이 캔(11)을 압압하는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부(25)의 대략 U자 형상의 바닥부분(26)}을 스프레이 캔(11)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고정수단은, 예를 들면 작동부(25)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작동부(25)를 거는 C자 형상의 훅부 등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작동부(25)에 통전한 경 우, 작동부(25)가 스프레이 캔(11)을 확실하게 압압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경보시스템(2A)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보시스템(2A)은 경계영역을 경계하고 이 경계영역에 수상한 사람의 침입 등의 이상사태를 검출한 경우 경보를 발하는 시스템이다. 경계영역은, 예를 들면 유희기기 설치점, 은행, 학교, 판매점, 주차장, 승물(乘物)의 운전석, 택시의 뒷좌석 및 쓰레기 집적장소 등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경보시스템(2A)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경보시스템(2A)은 제어부(30), 센서(31), 원격조작장치(32),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31)는, 검지수단으로서 경계영역의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검지정보를 제어부(30)에 준다. 센서(31)는, 예를 들면 수상한 사람이 경계영역에 침입한 것을 검출한다. 센서(31)는 예를 들면 열센서, 모션센서, 중력센서 및 방범 카메라에 의해서 실현된다. 센서(31)는 검지된 정보를 제어부(30) 및 원격조작장치(32)에 준다.
원격조작장치(32)는 경계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며, 센서(31) 및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원격조작장치(32)는 센서(31) 및 제어부(30)와 예를 들면 무선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원격조작장치(32)는 센서(31)로부터 주어지는 검지정보에 의거하여 경계영역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상정보를 제어부(30)에 준다. 또, 원격조작장치(32)는 입력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며, 원격조작장치(32)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방범 카메라의 화상 등에 의해서 수상 한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부(30)에 이상정보를 준다.
제어부(30)는 센서(31) 및 원격조작장치(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센서(31)로부터 주어지는 검지정보에 의거하여 경계영역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경보를 발하도록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는 원격조작장치(32)로부터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경보를 발하도록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을 제어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수상한 사람이 침입한 것이 검출된 경계영역에 악취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수상한 사람이 도주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 예를 들면 경계영역과 연결되는 출입구 부근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발하는 악취를 확실하게 수상한 사람에게 줄 수 있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악취를 발하는 분무영역은 경계영역의 특징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설치되는 위치는 경계영역의 특징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경계영역은, 유희기기 설치점에서는 유희기기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예를 들면 각 유희기기마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설치된다. 또, 분무영역은 유희기기를 조작하고 있는 조작자에 대해서 악취를 발하되, 인접하는 유희기기를 조작하는 조작자에게는 악취가 확산되지 않도록 지향성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부정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희기기를 검출하면, 그 유희기기를 조작하고 있는 조작자에 대해 서 악취를 발할 수 있다.
또, 경계영역은, 은행 및 판매점 등에서는 창구, 금고 및 금전 등록기(캐시 레지스터)로부터의 금전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예를 들면 창구, 금고 및 금전 등록기마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금전의 도난 및 그 도난의 우려가 있는 것을 검출하면, 그 도난자에 대해서 악취를 발할 수 있다. 또, 경계영역은,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석, 택시의 뒷좌석에 설정되며, 차량의 도난방지, 또 택시에 있어서의 강도방지에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설치된다.
또, 제어부(30)는 검지정보에 대응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단계적으로 실시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상한 사람이 부정한 행위를 하기 전에는 약한 분사로 위협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한 행위를 계속한 경우에는 강한 분사로 위협하여 부정행위의 계속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수상한 사람의 행위에 대응해서 단계적으로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는 악취액의 악취 약제는, 수상한 사람에 대해서 부정한 행위를 계속해서 할 수 없도록 하는 것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악취 약제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박하 냄새 및 고추냉이 냄새를 가지는 약제를 베이스로 하여도 되고, 또 자극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면 클로로아세트페논, 클로로벤지리덴마로노니트릴 및 캡사이신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스프레이 캔(11)에는 악취 약제 외에 염료를 충전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상한 사람에 대해서 악취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염료를 분사하기 때문에, 수상한 사람에게 염료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수상한 사람의 특정이 용이하게 되어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염료는 의복이나 피부에 부착된 경우에 용이하게 세정할 수 없는 염료가 최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보시스템(2A)은 원격조작장치(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원격조작장치(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의해서 경보시스템(2A)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 원격조작장치(32)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은행의 창구에 원격조작장치(32)로서 기능하는 입력수단을 설치하고, 창구에 수상한 사람이 왔을 경우에, 창구에 있는 수납원이 입력수단을 조작함에 의해서 이상정보를 제어부(30)에 주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원격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격조작장치(32)가 센서(31) 및 제어부(30)와 무선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무선에 한하지 않고 유선이어도 되며,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또,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0)가 센서(31), 악취발생 경보장치(1), 경보벨(5) 및 경보등(6)과 유선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유선에 한하지 않고 무선이어도 되며, 이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제어부(30)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의 동작정보, 예를 들면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기억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 부(30)는 악취발생 경보장치(1)의 스프레이 캔(11)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의 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악취의 잔량을 알리도록 각부를 제어함으로써, 조작자는 악취의 잔량에 의거하여 스프레이 캔(11)을 적절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1종류의 악취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악취 또는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용도에 대응해서 악취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악취를 중화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빨리 악취를 중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원활하게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의해서 악취를 중화시킬 수 있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불쾌한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불쾌영역, 예를 들면 화장실 및 흡연장소에 설치하여도 된다. 불쾌영역의 입구, 예를 들면 화장실 입구에 센서(31)를 설치하고, 센서(31)에 의해서 이용자가 검지되면, 제어부(30)는 불쾌영역에 악취를 발생시키도록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제어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소취(消臭)효과를 가지는 소취성분 및 박하 냄새 등을 미리 충전하여 둠으로써, 불쾌영역에 있어서의 불쾌한 악취를 소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0)는 정기적으로 악취를 발생시키도록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제어하여도 되며, 불쾌영역으로의 이용자의 침입 이외의 정보, 예를 들면 악취의 농도 및 연기의 농도에 의거하여 악취발생 경보장치(1)를 제어하여도 된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알람장치로서 인간을 각성시키기 위해서 이용하여도 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에 방향계의 악취 약제를 충진시키고, 타이머에 의해서 악취를 발생시킴으로써 알람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 치(1)를 차량 내에 설치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하여도 된다. 센서(31)가 졸음운전 및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면, 악취발생 경보장치(1)가 악취를 발생하도록 제어함에 의해서 운전자를 각성시킬 수 있어 차량의 안전운전을 재촉할 수 있다. 센서(31)가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운전자의 체온상승, 과속, 사행운전 및 차간거리 등이 있다.
또,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자급식 호흡기와 일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악취발생 경보장치(1)는 자급식 호흡기의 압력 지시계가 미리 정해진 압력(예를 들면, 3MPa) 이하가 되면, 면상(面上)에 악취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서 자급식 호흡기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압력 지시계가 미리 정해진 압력 이하인 것을 악취에 의해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지시계의 잔량을 인식할 수 있어 안전한 장소로의 유도를 재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부터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제어수단에 의해서 전환수단이 전 환동작된다. 전환수단은 스프레이 캔을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켜서 방출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스프레이 캔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이상사태가 발생하면, 스프레이 캔에 충전되어 있는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 캔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튜브형상 용기 등이 악취액을 충전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서, 악취액을 광범위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 전환수단은 스프레이 캔을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킨 방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 캔이 계속적으로 악취액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양의 악취액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악취액을 확실하게 이상사태에 대해서 피난해야 할 사람에게까지 단시간에 확산시킬 수 있어, 이상사태인 것을 신속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각에 장해가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화재 등의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악취가스에 의해서 인식하고서 신속하게 피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수단은 통전하면 신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작동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수단은 작동부에 대해서 통전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킨다. 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에 통전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환수단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수단은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킨다. 이와 같이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해서 극히 단시간에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정보에 대한 응 답성을 높일수 있다. 또, 화약을 이용함에 의해서, 전환수단을 기계요소로 구성하는 것보다도 부식 등에 의해서 전환동작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환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환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수납공간 내에서 변위시킬 때에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수단에 의해서 완충되기 때문에, 스프레이 캔이 전환동작시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약을 이용하여 급격하게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키는 경우에서도 스프레이 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환수단이 확실하게 스프레이 캔을 방출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악취액이 충전되며 상기 악취액을 방출하는 방출상태와 방출정지상태로 전환 가능한 스프레이 캔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스프레이 캔을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킴에 의해서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이상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부터 이상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정보가 주어지면,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케이싱에 대해서 변위시켜서 방출정지상태에서 방출상태로 전환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통전하면 신축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작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작동부에 대해서 통전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화약을 점화시킴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스프레이 캔을 수납공간 내에서 변위시킬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발생 경보장치.
KR1020097019549A 2007-03-23 2008-03-21 악취발생 경보장치 KR101090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7751 2007-03-23
JPJP-P-2007-077751 2007-03-23
JPJP-P-2007-152056 2007-06-07
JP2007152056A JP4348382B2 (ja) 2007-01-30 2007-06-07 臭気発生警報装置
PCT/JP2008/055302 WO2008117757A1 (ja) 2007-03-23 2008-03-21 臭気発生警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13A true KR20090115213A (ko) 2009-11-04
KR101090595B1 KR101090595B1 (ko) 2011-12-08

Family

ID=3978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549A KR101090595B1 (ko) 2007-03-23 2008-03-21 악취발생 경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9640B2 (ko)
EP (1) EP2131337B1 (ko)
KR (1) KR101090595B1 (ko)
CN (1) CN101641723B (ko)
WO (1) WO200811775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52B1 (ko) * 2019-04-03 2019-08-29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발전소 모니터링시스템
KR102031252B1 (ko) * 2019-04-03 2019-10-11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에스피이를 이용한 수소제조 장치
KR102086948B1 (ko) * 2019-04-10 2020-04-24 임근묵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200100270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웹을 통한 토목 설계 지원 시스템
KR20200100269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20200100272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KR20200124809A (ko) * 2019-04-24 2020-11-04 이나연 냉각 및 세정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가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8739B2 (en) * 2009-10-20 2013-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smell notification system
US20110160619A1 (en) * 2009-12-31 2011-06-30 Lctank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ented alarm clock based on sleep state
US10703299B2 (en) * 2010-04-19 2020-07-07 SMR Patents S.à.r.l. Rear view mirror simulation
CN104360499B (zh) * 2014-11-26 2016-01-20 徐可欣 一种开车时瞌睡警示眼镜
US10366598B1 (en) * 2016-02-18 2019-07-30 Wilson Ekanyie Ashu Combination air freshener and security alarm
US9898916B2 (en) 2016-03-21 2018-02-20 Nabors Drilling Technologies Usa, Inc. Alarm system
US10060578B2 (en) 2016-05-16 2018-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gas detection and reporting system
US10192418B1 (en) * 2018-06-11 2019-01-29 Geoffrey M. Kern System and method for perimeter security
KR102084197B1 (ko) * 2018-10-04 2020-03-03 차건영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장치
KR102086927B1 (ko) * 2018-12-02 2020-03-09 곽노식 이송 대차
KR102015012B1 (ko) * 2019-04-23 2019-10-21 영광전설(주) 엘이디 가로등에서의 발열제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장치
CN112258766B (zh) * 2020-12-11 2021-12-07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缆防挖报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934A (en) * 1979-07-02 1983-07-26 Fegley Charles R Fluid dispensing anti-burglar device
FR2620843B3 (fr) 1987-09-17 1990-11-09 Barbot Patrick Diffuseur automatique de gaz paralysant pour systemes de protection contre le vol
US5034730A (en) 1989-12-29 1991-07-23 Lin Der Song Automatic gas spray device & its safety system
US5055822A (en) * 1990-07-06 1991-10-08 Gordon Campbell Scent alarm device
JP2612088B2 (ja) 1990-07-19 1997-05-2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警報装置
US5257012A (en) * 1991-08-19 1993-10-26 Metcalf Steve M Device for repelling pests
JPH0676179A (ja) 1992-08-24 1994-03-18 Tokuji Tago 警報装置
JPH08214760A (ja) 1995-02-16 1996-08-27 Duskin Co Ltd ネズミ忌避装置
JP2000189033A (ja) 1998-12-24 2000-07-11 T Hasegawa Co Ltd 移動体取付型自動噴霧装置
DE20009174U1 (de) 2000-05-23 2001-07-12 Berger Zoltan Multifunktions-Alarmsystem mit Sprühung
JP2004078345A (ja) 2002-08-12 2004-03-11 Meiwa Enterprise:Kk 防犯噴射装置
JP4292381B2 (ja) 2003-04-23 2009-07-08 株式会社シームス 火災報知装置
US20080111687A1 (en) * 2006-11-07 2008-05-15 Husmann Robert J Means to deter intruders intending to breach an outdoor barrier such as a fence or wall utilizing a repulsive odor spray and a colored dye actuated by electronic perimeter security sensor systems that have the means to identify the specific breach lo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270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웹을 통한 토목 설계 지원 시스템
KR20200100269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20200100272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KR102016052B1 (ko) * 2019-04-03 2019-08-29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발전소 모니터링시스템
KR102031252B1 (ko) * 2019-04-03 2019-10-11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에스피이를 이용한 수소제조 장치
KR102086948B1 (ko) * 2019-04-10 2020-04-24 임근묵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200124809A (ko) * 2019-04-24 2020-11-04 이나연 냉각 및 세정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1723B (zh) 2011-12-14
EP2131337B1 (en) 2013-04-24
CN101641723A (zh) 2010-02-03
EP2131337A1 (en) 2009-12-09
EP2131337A4 (en) 2011-08-03
US8269640B2 (en) 2012-09-18
KR101090595B1 (ko) 2011-12-08
WO2008117757A1 (ja) 2008-10-02
US20100079298A1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595B1 (ko) 악취발생 경보장치
US6189624B1 (en) Actuating mechanism for fire extinguisher
JP4422186B2 (ja) 臭気発生警報装置および異常事態報知方法
EP1617390B1 (en) Fire alarm device and method
WO1994012958A1 (en) Burglar-proofing system and theft proofing apparatus
CA2113889A1 (en) Security vestibule
JP4348382B2 (ja) 臭気発生警報装置
US6003609A (en) Fire safety device
US4893680A (en) Fire suppression activator
JP5325849B2 (ja) 臭気発生警報装置
KR101949151B1 (ko) 배터리 기동형 연기 감지식 일체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US11596819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 structure or a vehicle
JP2009211201A (ja) 臭気発生警報装置
KR20200073443A (ko)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RU192537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многоосных колесных шасси, перевозящих опасный груз
TW200907865A (en) Smell outbreak alarm
KR101915551B1 (ko) 개별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KR100468463B1 (ko) 비상문 잠금장치
CN202096643U (zh) 自动灭火装置
CN210904760U (zh) 一种热敏电阻自动灭火装置
EP0999877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20180082714A (ko)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JP5426145B2 (ja) 臭気発生警報装置
KR20240082527A (ko) 차량의 화재 감지 및 소화 장치
WO20190178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активации для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