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48B1 - 비닐장갑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장갑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948B1
KR102086948B1 KR1020190042218A KR20190042218A KR102086948B1 KR 102086948 B1 KR102086948 B1 KR 102086948B1 KR 1020190042218 A KR1020190042218 A KR 1020190042218A KR 20190042218 A KR20190042218 A KR 20190042218A KR 102086948 B1 KR102086948 B1 KR 10208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riving cylinder
wire mesh
drug applicator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묵
Original Assignee
임근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묵 filed Critical 임근묵
Priority to KR102019004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41D19/046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필름를 장갑모양으로 열 절취함과 동시에, 열 절취된 장갑모양의 비닐필름 가장자리를 열 융착하여 비닐장갑을 제조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적층된 2겹의 비닐필름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비닐필름을 국부적으로 손모양으로 열 제단함과 동시에, 열 제단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시켜 비닐장갑을 형성하는 열 제단부; 및 상기 비닐장갑이 성형된 비닐필름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제단부는,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블럭과; 저면에 장갑모양의 열 제단날이 형성되며, 베이스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체에 고정되어 승강체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는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에는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승강구간을 갖는 캠형레일이 편심지게 형성한 구동휠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캠형레일에는 승강체의 가이드가 견착되어서, 상기 승강체는 회전하는 구동휠에 형성된 캠형레일과 가이드 사이의 간섭에 의해 승강하여 승강블럭의 상하 승강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장갑 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VINYL GLOVES}
본 발명은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필름를 장갑모양으로 열 절취함과 동시에, 열 절취된 장갑모양의 비닐필름 가장자리를 열 융착하여 비닐장갑을 제조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나 음식점 등에서 김치, 나물, 생선 등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 및 취급해야 할 때를 비롯하여, 머리염색, 도배, 도색, 세차, 화학실험, 화초손질 등 각종 오염물질,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상기 비닐 위생 장갑은, 적층된 한 쌍의 비닐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비닐필름을 국부적으로 손모양으로 열 절취함과 동시에, 열 절취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시켜 비닐장갑을 성형하는 열 제단부; 및 상기 비닐장갑이 성형된 비닐필름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비닐 장갑제조장치를 통해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열 제단부는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블럭과, 저면에 장갑모양의 열 제단날이 형성된 승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블럭은 베이스를 관통하는 승강로드를 통해 지지블럭의 상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서, 승강을 통해 공급부를 통해 지지블럭에 안치된 비닐필름을 열 절취 및 융착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베이스의 하부에 회전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에 편심캠을 형성하고, 이 편심캠에 승강블럭과 연결된 승강로드를 편심구조로 연결하여, 회전축 및 이 회전축에 고정된 편심캠이 1회전하면 상승된 승강블럭이 하강한 다음 상승하는 1 사이클을 완성한다.
이에 따라, 승강블럭은 하강한 다음 곧 바로 상승하는 관계로, 열 제단날을 통한 비닐필름의 열 절취 및 융착에 따른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승강블럭의 승강을 빠르게 진행시키면, 열 절취 및 융착이 제대로 구현되지 어렵고, 이에 따라 비닐장갑의 품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당 분야에서는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시켜 하강된 승강블럭의 상승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열 절취 및 융착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필름을 손형상으로 열 절취 및 열 융착하여 비닐장갑을 제조함에 있어, 열 절취부에 개량된 승강구조를 마련하여 열 절취 및 열 융착이 안정되게 구현된 비닐장갑을 제조하도록 한 비닐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장치 주변의 먼지 발생을 체크하여 기준이상의 먼지가 검출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청소를 유도하고 또한, 장치의 근처에 있는 관리자에게 마스크 착용 또는 대피를 유도하여 관리자를 보호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적층된 2겹의 비닐필름(100)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비닐필름(100)을 국부적으로 장갑모양으로 열 제단함과 동시에, 열 제단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시켜 비닐장갑(110)을 형성하는 열 제단부(30)와; 상기 비닐장갑(110)이 성형된 비닐필름(100)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배출부(4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의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 제단부에 캠형레일이 형성된 구동휠과, 이 구동휠의 캠형레일에 가이드를 진입시켜 가이드가 회전하는 캠형레일의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체 및 이 승강체에 고정된 승강블럭의 승강을 도모하는 개량된 형태의 승강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블럭에 안치된 비닐필름의 국부적인 열 제단 및 열 융착을 도모하는 승강블럭은, 회전모터로부터 연속적인 회전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휠의 회전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하 승강하여, 지지블럭에 공급된 비닐필름의 국부적인 열 제단 및 열 융착을 통해 비닐필름에 비닐장갑을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 주변의 먼지 발생을 체크하여 기준이상의 먼지가 검출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청소를 유도하고 또한, 장치의 근처에 있는 관리자에게 마스크 착용 또는 대피를 유도하여 관리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닐 필름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열 제단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열 제단부에 있어, 승강블럭의 상하 승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b에서 'A'부분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닐 필름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열 제단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열 제단부에 있어, 승강블럭의 상하 승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b에서 'A'부분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비닐장갑 제조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적층된 2겹의 비닐필름(100)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비닐필름(100)을 국부적으로 장갑모양으로 열 제단함과 동시에, 열 제단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시켜 비닐장갑(110)을 형성하는 열 제단부(30); 및 상기 비닐장갑(110)이 성형된 비닐필름(100)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배출부(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20)는 통상 복수의 이송롤러(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층된 2겹의 비닐필름(100)을 복수의 이송롤러(21)를 통해 열 제단부(30)에 소정 길이로 순차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열 제단부(30)는 공급부(20)를 통해 소정 길이씩 공급되는 비닐필름(100)을 열 제단 및 열 융착하여 비닐필름(100) 상에 비닐장갑(110)을 형성하고, 배출부(40)는 비닐장갑(110)이 성형된 비닐필름(100)을 전단날(41)을 통해 전단하여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열 제단부(3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블럭(31)과; 저면에 장갑모양의 열 제단날(32a)이 형성되며, 베이스(10)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체(36)에 고정되어 승강체(36)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블럭(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승강블럭(32)은 베이스(10)를 상하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드(37)를 통해 승강체(36)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럭(32)은 베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체(36)의 승강구조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하 승강하여, 공급부(20)를 통해 지지블럭(31)에 안치된 비닐필름(100)에 열 제단날(32a)을 진입시켜, 비닐필름(100)의 국부적인 열 제단 및 열 융착을 통해 비닐필름(100) 상에 비닐장갑(110)을 성형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열 제단부에 있어, 승강블럭의 상하 승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b에서 'A'부분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승강블럭(32)의 승강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하부에 회전모터(33)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4)을 배치하고, 이 회전축(34)에 상사점(35a-a)과 하사점(35aa)사이에 승강구간(35a-c)을 갖는 캠형레일(35a)을 편심지게 형성한 구동휠(35)을 배치하는 한편, 상기 구동휠(35)의 캠형레일(35a)에는 승강체(36)의 가이드(36a)를 견착함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상사점(35a-a)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캠(35)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34)과는 최대 축간거리(L)가 형성되고, 하사점(35a-b)은 구동캠(35)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34)과 최단 축간거리(L')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4) 및 이 회전축(34)에 고정된 구동휠(35)이 회전모터(33)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체(36)는 가이드(35a)를 통해 회전하는 캠형레일(36a)의 상사점(35a-a)과 승강구간(35a-c)과 하사점(35a-b)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상하 승강하며, 이와 동시에 승강체(36)에 고정된 승강블럭(32)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즉, 승강블럭(32), 및 이 승강블럭(32)을 고정한 승강체(36)는, 도 3a와 같이 가이드(36a)가 구동휠(35)에 형성된 캠형레일(35a)의 상사점(35a-a)에 위치하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3c와 같이 구동휠(35)이 회전하여 가이드(36a)가 구동휠(35)에 형성된 캠형레일(35a)의 하사점(35a-a)에 위치하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구동휠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승강블럭(32)은 반복적으로 승강하여 지지블럭(31)에 안치되는 비닐 필름(100)의 열제단 및 열 융착을 도모하여 비닐장갑(110)을 성형하게 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캠형레일(35a)에 진입된 승강체(36)의 가이드(36a)에는 도 4와 같이 구름롤러(36b)가 배치되어, 가이드(36a)는 구름롤러(36b)를 통해 캠형레일(35a)의 내벽을 따라 원활히 구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캠형레일(35a)과 가이드(36a)를 통한 승강구조를 통해 승강체(36) 및 승강블럭(32)의 승강을 도모함에 있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휠(35)에 형성된 캠형레일(35a)의 형상을 개량하여 하사점(35a-a)에 진입한 승강체(36)의 가이드(36a)가 승강구간(35a-c)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체(36) 및 이 승강체(36)에 고정된 승강블럭(32)이 하강한 다음 곧 바로 상승하지 아니하고 하강한 상태를 일시 유지한 다음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형레일(35a)의 하사점(35a-b)에 도 4와 같이 구동휠(35)의 축 중심인 회전축(34)과의 축간거리(L')가 증가되지 않는 등간구간(35a-ba)을 형성하여, 하사점(35a-b)에 위치한 가이드(36a)에 의해 하강한 승강체(36), 및 이 승강체(36)에 고정된 승강블럭(32)이, 승강구간(35a-a)을 통해 하사점(35ab)에 진입한 가이드(36a)가 하사점(35a-b)에 형성된 등간구간(35a-ba)을 따라 이송하는 동안 하강된 상태를 일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등간구간(35a-ba)은 통상 호형으로 구성되며, 반경은 넓을수록 승강블럭(32)의 하강시간이 길어지고, 좁을수록 승강블럭(32)의 하강시간은 단축되는데, 이러한 등간구간(35a-ba)의 반경은 캠형레일의 직경이나 지연시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의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동휠(35)의 회전에 의해 캠형레일(35a)의 하사점(35a-b)으로 진입한 승강체(36)의 가이드(36a)는, 도 4와 같이 하사점(35a-b)에 형성된 등간구간(35a-ba)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송한 다음 승강구간(35c)으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하강을 통해 열 제단날(32a)을 지지블럭(31)에 안치된 비닐필름(100)에 진입시킨 승강블럭(32)은, 가이드(36a)가 등간구간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하강된 상태를 일시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블럭(32)의 하강상태가 일시 유지되면 비닐필름(100)에서 열 제단된 비닐장갑(110) 가장자리의 안정된 열 융착을 도모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므로, 결과적으로 열 제단 및 열 융착이 안정되게 구현된 비닐장갑(110)의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장갑 제조장치의 열 제단부는, 회전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지 아니하고도 승강블럭의 하강시간을 지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의 저하없이 양질의 비닐장갑의 성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의 일측에 먼지 측정수단(1000a)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a)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11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주변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있으면 마스크 착용 및 적절히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a)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1)과,
상기 다수개의 오목렌즈 중에서 일개의 오목렌즈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의 정중앙에 결합되어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함몰각도가 다른 렌즈를 적외선 송신소자에 위치시키도록 구동하는 원판 구동모터(3)와;
상기 원판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먼지의 양이 적으면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먼지의 양이 많으면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내려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먼지의 농도가 더 올라가면 함몰각도가 제 2 오목렌즈보다 낮은 제 1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다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올라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몬지의 농도가 더 내려가면 제 4 오목렌즈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4 오목렌즈보다 더 높은 제 5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경보신호 출력수단으로서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를 구비하는바,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로부터 악취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도포하는 악취 약액 도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악취를 출력하는 것이다.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악취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악취 약물을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악취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의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악취 약액 저장수단의 악취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악취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악취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악취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1: 비닐장갑 제조장치
10: 베이스 20: 공급부
21: 이송롤러 30: 열 제단부
31: 지지블럭 32: 승강블럭
32a: 열 제단날 33: 회전모터
34: 회전축 35: 구동휠
35a: 캠형레일 36: 승강체
36a: 가이드 36b: 구름롤러
37: 승강로드
40: 배출부 41: 절단날
100: 비닐지 110: 비닐장갑

Claims (5)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적층된 2겹의 비닐필름(100)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0)와;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비닐필름(100)을 국부적으로 장갑모양으로 열 제단함과 동시에, 열 제단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시켜 비닐장갑(110)을 형성하는 열 제단부(30)와;
    상기 비닐장갑(110)이 성형된 비닐필름(100)을 절단하여 배출하는 배출부(40)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의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0190042218A 2019-04-10 2019-04-10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08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18A KR102086948B1 (ko) 2019-04-10 2019-04-10 비닐장갑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18A KR102086948B1 (ko) 2019-04-10 2019-04-10 비닐장갑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948B1 true KR102086948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18A KR102086948B1 (ko) 2019-04-10 2019-04-10 비닐장갑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9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24B1 (ko) * 2006-06-05 2007-05-31 윤상구 일회용 위생비닐장갑 자동제조기
KR20090115213A (ko) * 2007-03-23 2009-11-04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악취발생 경보장치
KR20120107650A (ko) * 2011-03-22 2012-10-04 (주)대일오토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0486659Y1 (ko) * 2018-01-04 2018-06-18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비닐봉투 제조장치
KR20180119326A (ko) * 2017-04-25 2018-11-02 이권식 비닐장갑 제조장치
JP2019198463A (ja) * 2018-05-16 2019-11-21 株式会社オイコス 薬物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224B1 (ko) * 2006-06-05 2007-05-31 윤상구 일회용 위생비닐장갑 자동제조기
KR20090115213A (ko) * 2007-03-23 2009-11-04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악취발생 경보장치
KR20120107650A (ko) * 2011-03-22 2012-10-04 (주)대일오토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180119326A (ko) * 2017-04-25 2018-11-02 이권식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0486659Y1 (ko) * 2018-01-04 2018-06-18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비닐봉투 제조장치
JP2019198463A (ja) * 2018-05-16 2019-11-21 株式会社オイコス 薬物塗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2228B1 (ja) 薬品撮影装置、薬品形状測定装置、薬品払出装置
US11376792B2 (en) Robotic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JP6648847B2 (ja) 薬剤鑑査支援装置
JP6206403B2 (ja) 薬剤分包装置および薬剤分包方法
ITBO980682A1 (it) Apparato per rilevare funzioni relative alla massa di tutte le dosi di prodotto da confezionare in capsule di gelatina dura , per rilevare f
EP0958554A1 (en)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
TWI740185B (zh) 回收裝置
CN211134647U (zh) 肠衣分拣设备
KR102086948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JP2014055775A (ja) 自動計測コンベア装置
KR200491670Y1 (ko)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US20180284038A1 (en) Transfer system and transfer method
KR102148081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CN215796704U (zh) 一种口罩机的呼吸阀上料机构
JP7393615B2 (ja) 充填封入装置および充填封入方法
JP3663239B2 (ja) 物品整列装置
CN206977812U (zh) Pcb基板全自动扫码设备
JP5294218B2 (ja) ワークの測定分類装置およびワークの測定分類方法
CN210171968U (zh) 一种奶盒无吸管不良品剔除装置
JP5936003B2 (ja) Ptp包装機
CN213792899U (zh) 一种丝饼称重装置
KR101620858B1 (ko) 회수 알약 분류장치
SE528444C2 (sv) Lagringsmodul för produktionsenhet
JP6628478B2 (ja) 粉粒体の充填装置
KR101200272B1 (ko) 수술복 공급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