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70Y1 -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 Google Patents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70Y1
KR200491670Y1 KR2020190000695U KR20190000695U KR200491670Y1 KR 200491670 Y1 KR200491670 Y1 KR 200491670Y1 KR 2020190000695 U KR2020190000695 U KR 2020190000695U KR 20190000695 U KR20190000695 U KR 20190000695U KR 200491670 Y1 KR200491670 Y1 KR 20049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driving cylinder
drug applicator
dust
mal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정석홍
Original Assignee
(주)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원 filed Critical (주)부원
Priority to KR202019000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reciprocating pumps, e.g. membrane pump, piston pump, bellow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지퍼를 포함하는 비닐이 도입되는 도입부, 상기 도입된 비닐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타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 상기 공간이 형성된 비닐의 타측에 내측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는 M자 성형부,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가 형성된 비닐을 이송하는 제 2 이송부, 상기 제 2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외측 방향 모서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비닐이 밀착되어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지퍼백에 M자 형의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여 내부 부피를 늘리고, M자 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온전히 기계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Apparatus of making zip plastic bag having bottom space}
본 고안은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간단한 기계 공정만으로 지퍼백에 M자 형태의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여 하단 공간부를 구비하고, 아울러 지퍼백의 입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잠금 기능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퍼백은 단순한 직사각형 모양의 비닐봉투로 많은 물건을 봉투에 담기에 불편하였으며, 크기를 크게 제작하면 소지하고 다니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을 제작하였으나,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람이 직접 손을 사용하여 M자 형태의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여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하는데 인력에 쓰이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지퍼백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911호(2014.06.30.등록, 지퍼백)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접착력과 인장강도가 개선되어 지퍼백 등으로 제조되는 씰링과정이나 내용물을 고속충전하는 과정에서 층간박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박리현상이 개선된 시트를 사용한 지퍼백"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지퍼백은 내부에 공간이 지퍼백의 일면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갖고 있어 많은 물건을 담기 어려웠으며, 바닥에 공간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추가한다 하여도 M자 형태로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을 거쳐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911호(2014.06.30.등록), 지퍼백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지퍼백에 M자 형의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여 내부 부피를 늘리고, M자 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온전히 기계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퍼백의 입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일측에 지퍼를 포함하는 비닐이 도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된 비닐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타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와; 상기 공간이 형성된 비닐의 타측에 내측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는 M자 성형부와;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가 형성된 비닐을 이송하는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2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외측 방향 모서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비닐이 밀착되어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와; 상기 공간 형성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M자 성형부의 의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가열부의 외부 일단에 설치되어 분진을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분진 측정수단과; 상기 분진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진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분진 측정수단은, 분진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분진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분진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분진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분진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지퍼백에 M자 형의 접혀진 부분을 형성하여 내부 부피를 늘리고, M자 형을 형성하는 공정을 온전히 기계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퍼백의 입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공간 형성부, M자 성형부,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가열부 및 그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3c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의 제조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이중 지퍼백 실시예 사진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분진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진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분진을 측정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5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공간 형성부, M자 성형부,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가열부 및 그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3c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의 제조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이중 지퍼백 실시예 사진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분진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진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분진을 측정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15는 본 고안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는 도입부, 제 1 이송부, 공간 형성부(10), M자 성형부(20), 제 2 이송부, 가열부(50) 및 압박부(60)를 포함한다.
일측에 지퍼(73)를 포함하는 비닐(70)이 도입되는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비닐(70)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는 비닐(70)이 밀착되어 이송되는 3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비닐(70)은 가운데에 위치한 롤러와의 접촉위치가 양옆에 위치한 롤러와의 접촉위치와 반대로 위치한다.
비닐(70)이 가운데에 위치한 롤러와의 접촉위치가 양옆에 위치한 롤러와의 접촉위치와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제 1 이송부에 밀착되어 이송됨으로써 비닐(70)이 헐겁게 이송되면서 생기는 이송 속도 저하, 비닐(70) 엉킴 및 이물질 끼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간 형성부(10)는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70)의 타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M자 성형부(20)는 공간이 형성된 비닐(70)의 타측에 내측 방향 모서리(71)를 형성한다.
가열부(50)는 내측 방향 모서리(71)가 형성된 비닐(70)을 이송하는 제 2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70)의 내측 방향 모서리(71) 및 두 개의 외측 방향 모서리(72)에 열을 가하고, 압박부(60)는 가열부(50)를 통과한 비닐(70)이 밀착되어 접히도록 압력을 가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는 공간 형성부(1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가이드부 및 M자 성형부(20)의 의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가이드부는 공간 형성부(1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공간 형성부(10)의 이동 구간인 제 1 가이드 바(30) 및 제 1 연결부의 제 1 가이드 바(30)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 1 조정 레버(31)를 포함하며, 제 2 가이드부는 M자 성형부(20)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M자 성형부(20)의 이동 구간인 제 2 가이드 바(40) 및 제 2 연결부의 제 2 가이드 바(40)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 2 조정 레버(41)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공간 형성부(10), M자 성형부(20),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고안의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공간 형성부(10)는 제 1 공간 형성판(10a), 제 2 공간 형성판(10b) 및 고정부(11)를 포함하며, M자 성형부(20)는 몸체부 및 성형부(21)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간 형성판(10a)은 비닐(70)의 상면을 지지하며, 제 2 이송부 방향의 일측이 일측의 반대 방향인 타측보다 낮게 기울어져 형성되어있다.
제 1 공간 형성 판(10a)과 제 2 공간 형성 판(10b)은 비닐과 맞닿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공간 형성 판 연결부(10c)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공간 형성판(10b)은 비닐(70)의 하면과 밀착되며, 고정부(11)는 비닐(70)이 공간 형성부(10)에 밀착되어 제 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공간 형성부(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고정부(11)에 위치한 고정부 레버(12)를 조작하여 고정되는 정도, 즉 압력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부는 기본적으로 원판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호를 포함하는 판형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성형부(21)는 몸체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테이퍼(taper) 형성되며, 몸체부가 호를 포함하는 판형으로 대체될 시에는 호의 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테이퍼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비닐(70)의 크기, 공간 형성부(10)의 제 1 공간 형성판(10a)과 제 2 공간 형성판(10b)의 벌어짐 정도 및 M자 성형부(20)의 몸체부 개수에 따라 내측 방향 모서리(71)가 형성되는 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퍼백의 크기가 큰 것에 비해 내측 방향 모서리(71)가 하나만 형성되는 M자 형태로 접혀진 부분이 하나만 존재할 경우 M자 형태로 접혀진 부분과 지퍼(73)가 위치한 부분 사이에 간격이 길어져 물건을 지퍼백 내부에 보관하여 휴대할 시 M자 형태로 접혀진 부분이 지면과 가까워짐으로써 휴대가 불편하다.
하지만 위의 지퍼백과 동일한 크기의 지퍼백이 내측 방향 모서리(71)를 복수 개로 형성할 경우 부피는 동일하되 M자 형태로 접혀진 부분과 지퍼(73)가 위치한 부분 사이에 간격이 짧아지고 지면에 닿을 염려가 사라진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가열부 및 그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에 따르면, 본 고안의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의 가열부(50)는 몸체부 및 가열홈(51)을 포함하하며, 비닐(70)이 가열부(50)를 통과하는 방향에 압박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50)는 제 2 이송부와 압박부(60) 사이에 위치한 몸체부 및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간 형성부(10)와 M자 성형부(20)를 거쳐 M자가 형성된 비닐(70)의 M자 부분이 지나가는 홈이 형성되어 홈 내부를 통해 M자 부분에 열을 가하는 가열홈(51)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60)는 가열홈(51)을 거쳐 열을 받은 M자 부분의 내측 방향 모서리(71)와 내측 방향 모서리(71)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외측 방향 모서리(72)를 잇는 두 변이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가열홈(51)을 통과한 M자의 내측 방향 모서리(71) 및 외측 방향 모서리(72)는 열로 인해 부드러워 지며 압박부(60)의 밀착된 두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력을 받아 밀착되어 접혀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의 제조 변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상태로 도입부에 도입된 비닐(70)은 공간 형성부(10)와 M자 성형부(20)를 거쳐 도 3b의 상태가 되며 절단을 통해 도 3c의 상태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는 지퍼(73)의 암과 수가 양 단에 각각 형성된 비닐(70)이 지퍼(73)의 암과 수가 결합된 형태가 되었을 때, 암수가 결합된 지퍼(73)를 중심으로 비닐(70)의 양측면이 오픈(open)되어있는 형태가 된 것을 나타낸다.
암수가 결합된 지퍼(73)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클로즈(close)부에 M자의 내측 방향 모서리(71)와 외측 방향 모서리(72)가 형성되어 도 3b와 같은 형상이 된다.
도 3b의 클로즈부에 형성된 M자 형태의 접혀진 부분은 가열부(50)와 압박부(60)를 통과함으로써 밀착되어 접혀지게 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3b의 형태를 취한 비닐(70)을 쓰임새에 따른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진 간격에 열을 가함으로써 봉합과 동시에 절단한 완제품의 모습인 도 3c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가열부의 일측에 분진 측정수단(1000a)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분진 측정수단(1000a)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분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수단을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공간을 벗어나거나 또는 마스크 장착을 유도한다.
본 고안의 분진 측정수단(1000a)은 입력되는 분진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분진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분진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분진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분진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분진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분진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분진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분진 발생량을 예측하고, 분진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분진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분진으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분진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분진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분진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분진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진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분진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분진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경보신호 출력수단으로서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를 구비하는바, 미세분진이 기준이상이면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로부터 악취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분진 측정수단(10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진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도포하는 악취 약액 도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미세분진이 기준이상이면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악취를 출력하는 것이다.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악취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악취 약물을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악취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의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악취 약액 저장수단의 악취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악취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악취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악취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10...공간 형성부 10a...제 1 공간 형성 판
10b...제 2 공간 형성 판 10c...공간 형성 판 연결부
11...고정부 12...고정부 레버
20...M자 성형부 21...성형부
30...제 1 가이드 바 31...제 1 조정 레버
40...제 2 가이드 바 41...제 2 조정 레버
50...가열부 51...가열홈
60...압박부 70...비닐
71...내측 방향 모서리 72...외측 방향 모서리
73...지퍼

Claims (5)

  1. 일측에 이중 구조의 지퍼를 포함하는 비닐이 도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된 비닐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타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와;
    상기 공간이 형성된 비닐의 타측에 내측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는 M자 성형부와;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가 형성된 비닐을 이송하는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2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비닐의 상기 내측 방향 모서리를 사이에 둔 두 개의 외측 방향 모서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비닐이 밀착되어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압박부와;
    상기 공간 형성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M자 성형부의 의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가열부의 외부 일단에 설치되어 분진을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분진 측정수단과;
    상기 분진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진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분진 측정수단은,
    분진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분진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한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철망을 통과한 분진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분진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분진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제조장치.
  5. 삭제
KR2020190000695U 2019-02-19 2019-02-19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KR20049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95U KR200491670Y1 (ko) 2019-02-19 2019-02-19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95U KR200491670Y1 (ko) 2019-02-19 2019-02-19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70Y1 true KR200491670Y1 (ko) 2020-05-18

Family

ID=7086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95U KR200491670Y1 (ko) 2019-02-19 2019-02-19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981B1 (ko) 2020-09-25 2021-01-19 정형관 지퍼백 제작용 지퍼 롤 결합장치
KR20230010322A (ko) 2021-07-12 2023-01-19 (주)만나케미칼 지퍼백 제작용 지퍼 공급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122A (ja) * 1994-06-11 1995-12-22 Toyo Roshi Kaisha Ltd ダスト濃度測定用簡易乾燥装置
KR101415911B1 (ko) 2014-01-14 2014-07-09 (주)연암 지퍼백
KR20150088919A (ko) * 2008-02-05 2015-08-04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악취발생 경보장치 및 이상사태 통지방법
KR101663419B1 (ko) * 2015-04-14 2016-10-07 이영석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
KR101931164B1 (ko) * 2018-07-18 2018-12-20 (주)지에스티 공작 기계의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122A (ja) * 1994-06-11 1995-12-22 Toyo Roshi Kaisha Ltd ダスト濃度測定用簡易乾燥装置
KR20150088919A (ko) * 2008-02-05 2015-08-04 에어·워터 보우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악취발생 경보장치 및 이상사태 통지방법
KR101415911B1 (ko) 2014-01-14 2014-07-09 (주)연암 지퍼백
KR101663419B1 (ko) * 2015-04-14 2016-10-07 이영석 하단 공간부를 구비한 지퍼백 제조 장치
KR101931164B1 (ko) * 2018-07-18 2018-12-20 (주)지에스티 공작 기계의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981B1 (ko) 2020-09-25 2021-01-19 정형관 지퍼백 제작용 지퍼 롤 결합장치
KR20230010322A (ko) 2021-07-12 2023-01-19 (주)만나케미칼 지퍼백 제작용 지퍼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70Y1 (ko) 지퍼백 제조 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지퍼백
CN110629503B (zh) 一种叠衣机及其控制方法
US8959878B2 (en) Tablet inspecting device
CN108283800A (zh) 一种扑克机及其升牌装置
TWI592228B (zh) 螺釘類供給裝置
KR100911160B1 (ko) 필터카세트 메거진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연속 채취장치
WO2012014210A2 (en) Sheet-material dispenser
JP2004512975A (ja) 円筒形の加工物を操作するための把持機構
BR112015003882B1 (pt) aparelho para embalagem de quantidades dosadas de porções sólidas de remédio
CN106841559B (zh) 一种油田污水检测设备
KR102148081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EP0999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arpet or similar types of material
TW199259B (ko)
JP2003327202A5 (ko)
CN110509030A (zh) 一种滚纸轴传动齿轮自动装配设备
KR102086948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132461B1 (ko) 자동화 반전기
JPH0133455Y2 (ko)
KR101807679B1 (ko) 포장팩용 내용물 충전장치
US9352430B2 (en) Cable grommet fitting apparatus for cable
KR101950892B1 (ko) 밀폐용기 뚜껑의 자동결합장치 및 자동조립방법
CN108688869A (zh) 胶袋嵌套装置及嵌套方法
CN210708141U (zh) 一种用于自动封口设备的送料装置
WO2004113171A2 (en) Apparatus for packing sample powder for use in component analysis
KR102148080B1 (ko) 비닐롤백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