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43A -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443A
KR20200073443A KR1020180161592A KR20180161592A KR20200073443A KR 20200073443 A KR20200073443 A KR 20200073443A KR 1020180161592 A KR1020180161592 A KR 1020180161592A KR 20180161592 A KR20180161592 A KR 20180161592A KR 20200073443 A KR20200073443 A KR 2020007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ehicle
engine room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비
Priority to KR102018016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443A/ko
Publication of KR2020007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는, 차량의 보닛(bonnet) 하단에 배치되어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인근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액 저장부;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액은, 상기 화재와 관련된 고체,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Extinguishing Fire of Engine Roo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시 또는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화재 발생 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이 차량 사고로 인한 에어백 전개 신호 또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엔진룸 전체에 소화액이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한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손실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차량 사고의 발생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의 발생 시, 엔진 내부의 전기 장치 그리고, 연료 공급 장치 및 점화 장치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재가 초기에 진압되지 않을 경우 차량 전소, 승차자 및 도움을 주고자 하는 주변 사람 등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 사고로 운전자 및 동승자 등이 정신을 잃거나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일 경우 더욱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으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근래에는 하이브리드 제동 시스템(HBS; Hybrid Brake System), 전자 제동(BbW; Brake-by-Wire), 전기기계식 제동(EMB; Electro-Mechanical Brake), 미끄럼 방지 시스템(ABS; Anti-lock Brake System), 차량 자세 안정 시스템(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전자 파킹 제동 장치(EPB; Electronic Parking Brake) 등의 샤시 전장품과 각종 고출력 램프 등과 같이 차량 엔진룸 내부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 시동과 무관하게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 장치 등의 사용의 증가로 인해 이들 전기 장치의 자체 불량에 의한 엔진룸 내부의 자연 발화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차량 화재는 초기에 진압되어야 재산의 손실 및 인명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사고 및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발화시, 발화 초기에 운전자 의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엔진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7463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시 또는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화재 발생 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이 차량 사고로 인한 에어백 전개 신호 또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엔진룸 전체에 소화액이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한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손실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는, 차량의 보닛(bonnet) 하단에 배치되어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인근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액 저장부;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액은, 상기 화재와 관련된 고체,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는, 디젤 구동 차량, 휘발유 구동 차량, 전기 구동 차량 및 수소 구동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액의 분사를 통해 상기 차량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는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LED의 색상,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와 관련된 차량의 엔진룸 소화 방법은, 차량의 보닛(bonnet) 하단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가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인근에 배치된 소화액 저장부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화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가 상기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액은, 상기 화재와 관련된 고체,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는, 디젤 구동 차량, 휘발유 구동 차량, 전기 구동 차량 및 수소 구동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는, 상기 소화액의 분사를 통해 상기 차량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LED의 색상,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시 또는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화재 발생 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이 차량 사고로 인한 에어백 전개 신호 또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엔진룸 전체에 소화액이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한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손실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에 저장된 소화액이 엔진룸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로 인한 엔진룸 내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엔진룸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이를 신속히 진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자동차 화재 현황 및 자동차 화재 발생시 대응 방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의 기구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화재감지센서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차량이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차량 사고의 발생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의 발생 시, 엔진 내부의 전기 장치 그리고, 연료 공급 장치 및 점화 장치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재가 초기에 진압되지 않을 경우 차량 전소, 승차자 및 도움을 주고자 하는 주변 사람 등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 사고로 운전자 및 동승자 등이 정신을 잃거나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일 경우 더욱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으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근래에는 하이브리드 제동 시스템(HBS; Hybrid Brake System), 전자 제동(BbW; Brake-by-Wire), 전기기계식 제동(EMB; Electro-Mechanical Brake), 미끄럼 방지 시스템(ABS; Anti-lock Brake System), 차량 자세 안정 시스템(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전자 파킹 제동 장치(EPB; Electronic Parking Brake) 등의 샤시 전장품과 각종 고출력 램프 등과 같이 차량 엔진룸 내부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 시동과 무관하게 상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 장치 등의 사용의 증가로 인해 이들 전기 장치의 자체 불량에 의한 엔진룸 내부의 자연 발화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자동차 화재 현황 및 자동차 화재 발생시 대응 방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매해 4천건 이상의 자동차 화재가 발생하고, 100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2018.01.01~10.11 기간 동안, 재산피해액 239억원이 발생하였고, 5인승 차량이 47.1%의 화재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자동차 정기적 안전 진단을 통해. 엔진룸 내부 오염, 낡은 전기배선, 연료/오일계통 연결부 점검을해야하고, 전 차량 소화기 비치가 의무화 되고 있다.
엔진룸 내 화재 발생의 경우 빨리 대피하고 신고하여야 하고, 통상, 이러한 차량 화재는 초기에 진압되어야 재산의 손실 및 인명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사고 및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발화시, 발화 초기에 운전자 의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엔진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의 기구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100)는 차량 충돌 센서(110), 에어백 제어부(120), 화재감지센서(111) 및 소화액 저장부의 소화액이 엔진룸에 분사되도록 하는 소화액 점화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100)는 에어백 경고등 및/또는 소화액 점화부 디스플레이부(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백 제어부(120)는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에어백 시스템의 각 부품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여, 이상 발생시 클러스터 등 운전자가 식별 용이한 위치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03)의 표시 장치로 운전자에게 에어백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도 에어백 시스템의 부품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제어부(120)가 주기적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부(103)의 표시 장치로 알려줄 수 있어, 차량 충돌시 엔진룸 소화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101), 동승석 에어백(102), 사이드 에어백(미도시) 및/또는 커튼 에어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기본적으로 에어백 전개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므로, 이들이 본 발명의 구성 및/또는 동작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차량 충돌 센서(110)는 차량의 전방(예를 들면, 좌, 우측의 사이드 멤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의 전방이 외부 구조물에 충돌할 경우 전기적인 충돌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이러한 충돌 센서(110)는 운전석 에어백(101) 및 동승석 에어백(102)과 대응하는 차량 전방뿐만 아니라, 사이드 에어백 및/또는 커튼 에어백과 대응하는 차량의 측부(예를 들면, 센터 필러)에 설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센터 콘솔 하단에 설치되며, 이는 차량 충돌 센서(110)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충돌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호보다 크면 전기적인 에어백 전개 신호를 출력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에어백 전개 신호에 의해 운전석 에어백(101), 동승석 에어백(102), 사이드 에어백 및/또는 커튼 에어백이 전개된다.
여기서, 차량 충돌 시 엔진룸 내의 배터리(미도시) 전원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제어부(120)는 엔진룸 내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에어백 제어부(120)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전원저장장치(140)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차량 충돌 센서(110) 및/또는 소화액 점화부(130) 역시 엔진룸 내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에어백 제어부(120)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전원저장장치(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100)는 차량 충돌로 엔진룸 내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다고 해도, 에어백 제어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에어백 제어부(120)는 통상의 마이크로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시그널프로세서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화재 감지센서(111)는 소화액 점화부(130) 인근에 배치되어 배치된 영역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소화액 점화부(130)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재 감지센서(111)는 하나 또는 복수가 될 수 있따.0
한편, 소화액 점화부(130)는 상술한 에어백 전개 신호에 의해 소화액 저장부(150A)의 소화액(또는 소화 분말)(151)이 엔진룸에 분사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 에어백이 전개될 뿐만 아니라 에어백 전개 속도와 같은 속도로 소화액(151)이 엔진룸에 신속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엔진룸에 이미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한다.
소화액 저장백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의 소화액 저장부(150A)는, 기본적으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내부 구조는 달라지지만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는 일정 여유 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는 해당 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어 보편성이 보장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액 저장부(150A)의 위치는 워셔액 주입부 인근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 보닛(bonnet) 하단의 엔진룸 주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의 소화액 저장부(150A)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소화액 저장백(150)을 포함하고, 이러한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에 상술한 소화액 점화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소화액 저장백(150)은 부직포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소화액 저장백(150)은 소화분말 또는 소화액(151)뿐만 아니라 압축된 산소 차단 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차단 가스는, 예를 들면, 질소 및/또는 아르곤 가스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엔진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액 저장백(150)이 자동적으로 용융됨으로써, 내부의 소화액(151) 및/또는 산소 차단 가스가 복수의 출력부(155)를 통해 엔진룸을 덮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백 전개 신호가 없다고 해도,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화재감지센서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출력부(155)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센서(1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센서(111)의 화재 센싱 여부에 따라 소화액 저장백(150)의 용융이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센서(111)의 센싱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3) 상에는 이러한 정보를 복수의 색상을 통해 구분하여 알려주거나 점멸, 패턴 변화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센서(111)는 물질이 타면서 나오는 물질을 센싱할 수 있고, 수소차에서 연소하면서 나오는 물질 또는 전기차에서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물질을 센싱할 수도 있다.
차량의 엔진룸 화재 관련 소화 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0).
우선 차량이 외부 구조물과 충돌하게 되면 차량 충돌 센서(110)가 충돌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에어백제어부(120)에 출력한다.
그러면 에어백 제어부(12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신호와 충돌 신호를 비교하여, 기준 신호에 비해 충돌 신호가 크다면, 에어백 전개 신호를 소화액 점화부(130)에 출력한다. 물론, 이때 에어백 전개 신호는 운전석 에어백(101), 동승석 에어백(102) 등에도 전달됨은 당연하다.
이후, 화재감지 센서(111) 동작하여 이를 감지하고, 소화액 점화부(130)를 제어부(120)가 제어하여 소화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0).
S20와 관련하여, 소화액 점화부(130)가 에어백 전개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따라 소화액 저장부(150A)의 소화액(151)이 엔진룸에 분사된다. 즉, 에어백 제어부(120)의 에어백 전개 신호는 배선(134) 및 커넥터(133)를 통하여 이그나이터(131)에 전달된다. 그러면, 이그나이터(131)는 가스 발생기(132)를 동작시켜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에 다량의 산소 차단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소화액 저장백(150)의 부피가 팽창한다.
한편, 엔진룸을 향하는 소화액 저장백(150)의 표면에 형성된 출력부(155)는 내부의 소화액(151) 및/또는 산소 차단 가스가 신속하게 엔진룸 전체로 분사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어백 제어부(120)가 에어백뿐만 아니라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에 설치된 소화액 점화부(130) 즉, 이그나이터(131)에도 에어백 전개 신호(전류 신호)를 보내어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 소화액 점화부(130)를 작동시킨다.
소화액 점화부(130)의 이그나이터(131)의 작동으로 소화액 점화부(130)의 가스 발생기(132)의 가스 발생제와 같은 물질이 발화하여 가스를 발생시킨다(에어백 전개 장치와 동일 개념).
가스 발생기(132)의 발화는 소화액 점화부(130)의 폭발 후 수 msec 이내에 시작된다. 이때 발생하는 가스는 압축 가스로 미리 압축되어 있는 소화액 저장백(150)을 더욱 팽창시켜, 가스 발생기(132)의 발화 후 수 usec 이내에 출력부(155)를 통해, 압축 가스의 압력에 의해 소화액(151)을 엔진룸 전반으로 확산시킨다.
이는 엔진룸 화재와 관계없이, 에어백이 전개되는 중대 사고 발생 시 작동하여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엔진룸 화재를 미리 진압하기 위함이다(일반적으로 에어백 전개시 운전자 등은 차량 충돌 및 에어백 전개에 따른 충격으로 잠깐 동안 정신을 잃어, 차량 화재 발생 등에 초기 대응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 시 차량 배터리 전원은 충돌과 거의 동시에 끊어질 수 있으나, 에어백 제어부(120)의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140)가 마련되어 있어, 엔진룸 내의 배터리가 망실되어도 일정 시간 동안 에어백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의 동작을 보증할 수 있기에, 엔진룸 소화 장치(100)를 에어백 시스템과 연계시킴은 엔진룸 화재 진압이라는 중대한 임무에 있어서 커다란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량 충돌이 없다고 해도,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다. 즉, 차량 충돌이 없는 상태에서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출력부(155)를 통해,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 소화액(151) 및/또는 산소 차단 가스가 엔진룸으로 분사된다.
다시 도 6으로 복귀하여, S20 단계 이후, 상태표시 LED 또는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로 소화기 상태를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S30).
이후, 사용자는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를 방문하고(S40), 엔진룸 청소 및 화재 원인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S50).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
도 7은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100)의 소화액 저장부(150A)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소화액 저장백(150)을 포함하고, 이러한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에 상술한 소화액 점화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소화액 저장백(150)은 부직포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화액 점화부(130)는 이그나이터(131), 가스 발생기(132) 및 커넥터(133)를 포함한다. 이그나이터(131)는 소화액 저장백(15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커넥터(133)를 통하여 에어백 제어부(120)로부터 에어백 전개 신호가 입력될 경우 동작한다.
가스 발생기(132)는 발화 또는 용융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약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 발생제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스에는 가스가 방출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가스 발생기(132)는 이그나이터(131)의 동작 시 내부의 물질이 발화 또는 용융하면서 대량의 가스를 신속하게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되는 가스는 질소 가스일 수 있다.
이그나이터(131)와 가스 발생기(132)는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3)는 이그나이터(131)를 에어백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이그나이터(131)와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소화액 저장백(150)에는 단열부재(154)가 형성됨으로써, 이그나이터(131)의 동작에 의해 과열되거나 손상되지 않 도록 하며, 동시에 외부 열(예를 들면, 태양열 등)에 의해 이그나이터(131)가 자연 발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4는 커넥터(133)와 에어백 제어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다.
또한, 소화액 저장백(150)은 소화분말 또는 소화액(151)뿐만 아니라 압축된 산소 차단 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차단 가스는, 예를 들면, 질소 및/또는 아르곤 가스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비록 에어백 제어부(120)로부터 에어백 전개 신호가 소화액 점화부(130)에 입력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엔진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액 저장백(150)이 자동적으로 용융됨으로써, 내부의 소화액(151) 및/또는 산소 차단 가스가 엔진룸을 덮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백 전개 신호가 없다고 해도,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은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경미한 사고나 또는 차량 내부 문제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엔진룸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면 그 열기는 보통은 100 ℃에서 수백 ℃까지 다다른다. 이때 발생한 열에 의하여 소화액 저장백(150)에 형성된 출력부(155)을 통해, 소화액 저장백(150)의 압축 가스에 의해 소화액(151)이 엔진룸 전반으로 확산되어 엔진룸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시 및/또는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의 화재 발생 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150)이 차량 사고로 인한 에어백 전개 신호 및/또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엔진룸 전체에 소화액(151)이 신속하게 분사되어 엔진룸에서 발생할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엔진룸에서 이미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차량의 손실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에 이용된 소화액 저장백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소화 장치는 차량 충돌 센서(110), 에어백 제어부(120), 소화액 점화부(130)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소화액 저장부(250A)는 소화액(251)을 담는 소화액 저장백(250)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소화액 저장백(250) 역시 차량의 워셔액 투입부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시 또는 차량 내부 문제로 인한 엔진룸 화재 발생 시,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이 차량 사고로 인한 에어백 전개 신호 또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엔진룸 전체에 소화액이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한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손실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워셔액 주입부 인근에 장착된 소화액 저장백에 저장된 소화액이 엔진룸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로 인한 엔진룸 내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엔진룸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이를 신속히 진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차량의 보닛(bonnet) 하단에 배치되어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인근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액 저장부;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액은, 상기 화재와 관련된 고체,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는,
    디젤 구동 차량, 휘발유 구동 차량, 전기 구동 차량 및 수소 구동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의 분사를 통해 상기 차량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는 경우,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LED의 색상,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5. 차량의 보닛(bonnet) 하단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가 화재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 인근에 배치된 소화액 저장부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화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가 상기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기 차량의 엔진룸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액은, 상기 화재와 관련된 고체,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는,
    디젤 구동 차량, 휘발유 구동 차량, 전기 구동 차량 및 수소 구동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는,
    상기 소화액의 분사를 통해 상기 차량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차량과 관련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LED의 색상,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룸 소화 방법.
KR1020180161592A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3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92A KR20200073443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92A KR20200073443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3A true KR20200073443A (ko) 2020-06-24

Family

ID=7140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92A KR20200073443A (ko) 2018-12-14 2018-12-14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57A (ko) 2020-08-10 2022-02-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진룸 자동 소화기
CN116311758A (zh) * 2023-01-31 2023-06-23 普元电力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火灾隐患预警设备及保护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04B1 (ko) 2015-12-24 2017-06-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04B1 (ko) 2015-12-24 2017-06-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357A (ko) 2020-08-10 2022-02-1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진룸 자동 소화기
CN116311758A (zh) * 2023-01-31 2023-06-23 普元电力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火灾隐患预警设备及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278B1 (ko)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US11648429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ire of vehicle
KR20200073443A (ko) 차량의 엔진룸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15086A (ko) 차량의 배터리 탈거 시스템
KR20200101147A (ko) 차량탑재식 소화방법 및 소화시스템
KR20210029352A (ko) 차량의 타이어 화재 진압 시스템
RU192537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многоосных колесных шасси, перевозящих опасный груз
WO2005091238A2 (en) Fire preventing or extinguishing system for an appliance
KR20120009050A (ko) 버스용 엔진룸 자동 소화 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9878974U (zh) 一种车用灭火系统及牵引车
CN214112532U (zh) 双车头轨道车辆
KR20100082535A (ko) 자동차의 소화 시스템
KR102566414B1 (ko) 차량 엔진룸용 자동 소화기
CN109398270A (zh) 一种车辆自燃报警装置
US11992718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ire of vehicle
US8444178B2 (en) Airbag apparatus
KR0129072Y1 (ko) 자동차용 화재진압장치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KR100218223B1 (ko) 자동차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200148919Y1 (ko) 소화기 고정기를 갖는 대형버스
KR20220019357A (ko) 엔진룸 자동 소화기
KR20040005264A (ko)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
JP2000276682A (ja) 車両事故時における自動警報システム及び自動安全確保システム
CN109448303A (zh) 一种车辆自燃预警处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