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771A -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771A
KR20090110771A KR1020080083898A KR20080083898A KR20090110771A KR 20090110771 A KR20090110771 A KR 20090110771A KR 1020080083898 A KR1020080083898 A KR 1020080083898A KR 20080083898 A KR20080083898 A KR 20080083898A KR 20090110771 A KR20090110771 A KR 2009011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art
mounted state
assembly
connection
conne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444B1 (ko
Inventor
휴베르트 로우붸
위르겐 호프만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1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2005/067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with un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캐리어 요소(58) 상에 부착 요소(56)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10)는 캐리어 요소(58)의 개구(64)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연결 부품(12)을 포함한다. 제1 연결 부품(12)은 이 제1 연결 부품(12)을 캐리어 요소(58)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연결 어셈블리(10)는 부착 요소(56)의 보어(6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연결 부품(14)을 더 포함한다. 제2 연결 부품(14)은 제1 연결 부품(12) 내로 삽입된다. 연결 어셈블리(10)는 유지 수단이 캐리어 요소(58)로부터 제1 연결 부품(12)의 탈거를 허용하는 장착전 상태로부터, 유지 수단이 캐리어 요소(58)로부터 제1 연결 부품(12)의 탈거를 허용하지 않는 장착 상태로 전환된다. 연결 어셈블리(10)는 제2 연결 부품(14)을 제1 연결 부품(12) 내로 누름으로써 장착전 상태로부터 장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제1 연결 부품(12)에 대하여 제2 연결 부품(14)을 회전시킴으로써 장착 상태로부터 다시 장착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A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본 발명은 캐리어 요소 상에 부착 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결 어셈블리는, 캐리어 요소의 개구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연결 부품으로서 이를 캐리어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연결 부품과, 부착 요소의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연결 부품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 부품을 포함하고, 이 연결 어셈블리는 유지 수단이 캐리어 요소로부터 제1 연결 부품의 탈거를 허용하는 장착전 상태로부터 유지 수단이 캐리어 요소로부터 제1 연결 부품의 탈거를 허용하지 않는 장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어셈블리는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내부 라이닝(lining) 부품을 차량의 본체 부품에 체결하는 데 이용된다.
캐리어 요소 상에 부착 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는 공지되었으며, 이는 리벳과 유사한 2개의 연결 요소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제1 연결 부품[풋(foot)]은 캐리어 요소 내에 형성된 개구로 삽입된다. 제2 연결 부품[핀(pin)]은 일단부에 헤드가 마련된 생크(shank)를 갖는다. 핀은 부착 요소 의 슬롯 구멍이나 보어를 관통하고 이후에 생크에 의해 풋 내부로 동축으로 끼워 맞춰진다. 그러면, 부착 요소는 핀의 헤드와 캐리어 요소 사이에서 클램핑되고, 풋 및 핀 사이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 요소의 최초 장착 이후에 부착 요소를 다시 탈거할 필요가 흔히 있는데, 특히 어떤 장치를 부착하기 위하여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러하다. 공지된 연결 어셈블리에서는, 가능하다면 먼저 핀을 제거하고 이후에 풋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연결 부품을 서로 분리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탈거 도중에 연결 부품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일이 흔히 일어난다. 더욱이, 일부 연결 기술은 만족스런 환경하에서 연결 어셈블리의 재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데, 특히 연결부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소성 변형 하에서 일어나는 경우에 그러하다.
공개공보 EP 1 698 785 A1는 서두에서 언급된 유형으로서, 핀과 풋을 구비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핀은 풋의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생크를 갖는다. 풋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체결 수단을 갖는 2개의 탄성텅(tongue)을 포함한다. 연결 어셈블리는, 핀이 풋 내에 유지되고 풋의 플레이트가 핀의 정지면과 핀의 돌출부 사이에서 클램프되는 대기 위치를 취할 수 있다.
공개공보 DE 37 04 696 A1는 플러그-인 부품과 수용 부품을 갖는 플레이트용 체결 장치를 도시하는데, 이 수용 부품에는 플러그-인 부품의 길다란 본체를 위한 리세스가 마련된다. 주위 유지 부위가 리세스 내에 형성되어 플러그-인 부품의 유지 헤드와 결합하므로 플러그-인 부품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국 특허 US 4,276,806는 소정의 파괴점(breaking point)에서 초기에 서로 계류되어 연결되어있는 2개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된 재사용가능한 체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상부 부품이 하부 부품 내로 삽입될 때, 이것은 체결되는 요소의 개구 내에서 하부 부품을 체결하게 한다. 하부 부품의 유지 수단은 캐리어 개구의 림 뒤로 맞물리므로 요소는 캐리어에 단단히 체결된다. 상부 부품의 헤드를 들어올림으로써, 상부 부품은 하부 부품과의 결합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후에, 어셈블리와 함께 요소는 캐리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유럽 등록공보 EP 1 177 387 B1는 상부 부품과 이 상부 부품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하부 부품으로 구성되는 연결 요소를 개시하는데, 이 연결 요소에 의해 캐리어는 베어링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베어링 부품에 연결된 상부 부품의 영역은 캐리어 개구의 뒤에서 또는 캐리어 개구 내로 연장된다. 상부 부품은 하부 부품의 대응 치형부(counter-toothing)가 결합하는 중앙의 내부 치형부를 갖는 상단 플랜지를 포함한다. 하부 부품은 2개의 실린더형 구역 사이의 래칭 영역에 래칭 리세스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부 부품의 대응 래치부가 장착된다. 슬롯이 마련되고 가요성 구역에 외부 치형부가 마련되는 생크는 상부 부품의 상단 플랜지와 연결되어 있다.
DE 603 01 994 T2 문헌은 플레이트를 캐리어에 체결하기 위한 플라스틱 체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 체결 요소는 헤드와 생크를 구비하는 핀 부품을 포함하고, 본체 부품은 플랜지 및 플랜지로부터 연장하여 캐리어 내에 형성된 보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레그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핀 부품의 생크를 수용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레그는 서로 이격되어 이동되어 캐리어 보어의 내부면과 압력 접촉(pressure contact)을 하게 되므로 체결 요소 및 플레이트를 캐리어에 체결한다. 본체 부품의 레그 외부에 형성되는 결합 제어 메카니즘은 레그와 캐리어 보어의 내부면 사이의 압력 접촉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핀 부품을 본체 부품으로 삽입하기 위한 힘이 결정된다. 결합 제어 메카니즘은 레그 내에 형성된 보어를 포함하므로, 생크가 본체 부품 내의 보어를 관통하여 나아가는 데 필요한 압력이 줄어든다.
공지된 연결 어셈블리는 큰 제거력(removal force)에는 전혀 견디지 못한다. 특히 큰 제거력이 규정된 경우에는, 따라서, 종래의 스크류식 연결이 여전히 이용되나, 이는 장착 및 장착해제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캐리어 요소에 부착 요소를 확실하고 가역적으로 체결하게 해주는 비용 효율적인 연결 어셈블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의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는 제2 연결 부품을 제1 연결 부품 내로 누름으로써 장착전 상태로부터 장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제1 연결 부품에 대해 제2 연결 부품을 회전시킴으로써 장착 상태로부터 다시 장착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데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는, 부착 요소와 캐리어 요소 사이의 연결이 어떠한 다른 공구 없이 간단히 제2 연결 부품을 누름으로써 잠길 수 있는 반면에, 제2 연결 부품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킹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 로킹해제는 대체로, 공구를 가지고서만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측면 충격의 경우 발생하는 큰 제거력에도 견딜 수 있다. 한편으로는, 장착이 용이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해제만을 위해서 공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착 요소의 원하지 않는 탈거에 대비하여 연결이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제1 연결 부품은 공지의 플라스틱 확장 리벳(expanding rivet)과 비교하여 더욱 큰 힘에 저항하는 금속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전 상태에서 연결 부품 중 하나는 다른 연결 부품에 대해 장착 상태에서의 위치와 상이한 축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취한다.
램프(ramp) 구조는 제1 연결 부품에 대한 제2 연결 부품의 회전 중에, 제1 연결 부품에 대한 제2 연결 부품의 축방향 위치가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각도를 통하여 제2 연결 부품이 회전함으로써 연결 어셈블리가 장착 상태로부터 장착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램프 구조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120˚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태양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품은 장착전 상태에서 서로 계류되어 유지(captively held)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물류유통상의 이점(보관, 운송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10)는 클램프형 풋의 형태인 제1 연결 부품(12)과, 확장핀(expanding pin)의 형태인 제2 연결 부품(14)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서, 각각 도 5 및 도 6,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개별적으로 상이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간단한 표현을 위 해, 이하에서는 제1 연결 부품을 항상 풋(12)으로 언급하고, 제2 연결 부품을 항상 확장핀(14)으로 언급하나, 이러한 명칭이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확장핀(14)은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안내부(16), 중심부(18) 및 헤드부(20)를 포함한다. 길다란 안내부(16) 및 중심부(18)는 본질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원뿔대형(truncated) 전이부(2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중심부(18)는 안내부(16)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헤드부(20)는 더욱 큰 외경을 갖고 안내부(16)를 향하는 측에서 생크부(24)를 통하여 중심부(18)에 연결된다.
중심부(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안내부(16)의 단부(16a)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중심부(18)는 외주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래칭 리세스(26)를 포함한다. 중심부(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Torx™ 렌치 또는 유사한 스크류 공구용 수용부(28)가 헤드부(20)에 형성되었다. 중심부(18)를 향하는 측에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경사진(axially inclined) 램프(30) 및 동일 개수의 정지부(32)가 생크 영역(2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한다. 래칭면(34)이 생크 영역(24)의 지점에 마련되는데 이는 외주 방향으로 분포된 램프(30) 및 정지부(32)가 점유하지 않는 부분이다.
확장핀(14)에 대조적으로, 풋(12)은 금속 부품이다. 복수의 장착부(38)가 하부(36)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길이방향 축(B)은 하부(36)의 중심 안내 보어(39)에 의해 정해진다. 장착부(38)의 개수는 확장핀(14)의 램프(30), 정지부(32) 및 래칭 리세스(26)의 개수에 각각 대응한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
장착부(38) 각각은 프레임(40)과,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하고 2개의 램프형 부위(46, 48) 사이에 형성된 유지 부위(44)를 갖는 확장 요소(42)를 포함한다. 하부(36)에 연결되는 일단부를 갖는 확장 요소(42)는 반대편 단부에서 클램핑 부위(50)를 더 포함한다. 일측 장착(one-sided mounting)이기 때문에, 확장 요소(42)는 길이방향 축(B)에 수직인 축(C)을 중심으로 (복원력에 대항하며) 피봇될 수 있다. 확장 요소(42), 특히 확장 요소(42)의 클램핑 부위(50)가 프레임(40)을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프레임(40)과 확장 요소(42)의 치수는 서로에게 대응한다.
장착부(38) 각각은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하고 래칭 부위(54)를 통하여 하부(36)에 반대편인 프레임(40)의 단부에 연결되는 램프(52)를 더 구비한다. 풋(12)의 램프(52)의 크기 및 경사는 확장핀(14)의 램프(30)에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풋(12)의 램프(52)를 상보 램프(52)(complementary ramp)로 언급한다.
풋(12)의 래칭 부위(54)가 확장핀(14)의 래칭 리세스(26) 내로 걸릴 때까지, 확장핀(14)을 풋(12) 내로 삽입함으로써 연결 어셈블리(10)의 2개의 구성요소(12, 14)가 서로 연결된다. 안내 생크(16)의 단부(16a)에서의 안내 생크(16)의 테이퍼는 풋(12)의 보어(39)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래칭 연결은 확장핀(14)과 풋(12)이 계류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연결 어셈블리(10)의 상태를 장착전 상태(도 1 및 도 2 참조)로 언급한다. 정확한 래칭의 경우, 풋(12)은 길이방향 축(A 및 B)에 대하여 확장핀(14)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래칭 리세스(26)의 배치 및 래칭 부위(54)의 배치는 서로 조정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 위치에서, 확장핀(14)의 램프(30) 및 풋(12)의 상보 램프(52)는 서로 정확히 마주보는 반면에, 풋(12)의 어떤 부분도 확장핀(14)의 정지부(32)와 마주보지 않는다.
부착 요소(56)를 캐리어 요소(58)에 체결하기 위하여(도 7 참조), 장착전 상태로 마련된 연결 어셈블리(10)는 먼저 부착 요소(56)의 체결 부위(62) 내의 계단형 보어(60)를 통과하여 안내되고 이후에 캐리어 요소(58) 내의 개구(64)를 통과하여 안내된다. 장착전 상태에서 풋(12)의 클램핑 부위(50)는 확장핀(14)의 안내 부위(16)와 마주보고 있으나 확장핀(14)의 안내 부위(16)에 대하여 놓여지지 않으므로, 확장 요소(42)는 내부로 피봇할 수 있어 보어(60) 및 개구(64)를 통과하여 안내를 하게 한다. 개구(64)를 통과한 이후에, 확장 요소(42)는 다시 외부로 자동으로 피봇하여 개구(64)의 림 뒤로 맞물리고, 반면에 하부(36)를 향하는 풋(12)의 상보 램프(52)의 단부는 체결 부위(62)의 계단(66) 상에 안착한다.
캐리어 요소(58)로부터 부착 요소(56)의 탈거 또는 연결 어셈블리(1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 부품은 로킹된다. 이를 위하여, 풋(12)의 래칭 부위(54)가 확장핀(14)의 회전 없이 확장핀(14)의 생크부(24) 상의 래칭면(34)과 결합할 때까지 장착 방향(M)으로 풋(12)에 대하여 확장핀(14)을 더 누름으로써, 연결 어셈블리(10)는 장착전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장착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장착전 상태에서 설정된 각도 위치에서, 확장핀(14)의 램프(30)는 풋(12)의 상보 램프(52) 상으로까지 낮춰질 수 있고 확장핀(14)의 정지부(32)와 마주보는 방해물이 없기 때문이다.
확장핀(14)이 밀려 들어가질 때, 클램핑 부위(50)는 전이부(22)를 통하여 확장핀(14)의 중심부(18) 상으로 활주한다. 이 위치에서, 확장 요소(42)는 더이상 내부로 피봇할 수 없으므로 현재 정지된 상태인 확장 요소(42)의 유지부(44)는 부착 요소(56)를 캐리어 요소(58) 상에 단단히 고정한다. 확장 요소(14)의 헤드부(20)가 더이상 부착 요소(56)의 체결 부위(62)를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착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요소(56)의 장착해제는 가능하다. 화살표에 의해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확장핀(14)은 적당한 스크류 공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램프 구조 때문에, 확장핀(14)은 (장착 방향(M)과 반대인) 축 방향으로 풋(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래칭 리세스(26) 및 래칭면(34)의 형상은 풋(12)에 대한 확장핀(14)의 이동에 적합한데, 이 이동은 외주 방향 및 축 방향의 요소를 갖는다. 램프(30, 52)의 개수 및 배치에 따라 설정되는 회전 각도를 회전한 후에(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20˚), 연결 어셈블리(10)는 로킹해제되고, 연결 어셈블리(10)의 안정된 장착전 상태가 얻어진다(도 9 참조). 장착전 상태에서는, 확장 요소(42)는 내부로 다시 피봇할 수 있으므로 연결 어셈블리(10) 및 부착 요소(56)는 캐리어 요소(58)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 10은 장착 상태에서의 동일한 연결 어셈블리(10)를 도시하는데, 부착 요소(56)의 체결 부위(62')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대안의 체결 부위(62')도 보어(60) 및 풋(12)의 상보 램프(52)의 단부가 안착하는 계단(66)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사용되고, 어디까지나 설명에 대한 참조로서 이용된다.
중심부(18) 상에 래칭 리세스가 마련되지 않고, 중심부(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안내부(16)의 영역이 상이한 설계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의 확장핀(14)은 제1 실시예의 확장핀과 상이하다(도 12 및 13 참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내부(16)의 단부(16a)는 테이퍼져 있으나, 이는 커다란 중공형(hollow)이다. 축방향 위치결정 면(axial locating face)(70)을 갖는 복수의 탄성(resilient) 벽부(68)는 부분 간극(72)에 의해 서로로부터 경계가 정해진다. 부분 간극(72)이 개입되어 있는 복수의 측방향 위치결정 면(74)이 축방향 위치결정 면(70)의 위에 이것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벽부(68)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영역(76)이 측방향 위치결정 면(7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실시예의 풋(12)에서, 하부(36)의 보어(39')는 원형이라기보다는 다각형이나, 보어(39')의 "모서리"는 둥글 수 있다(도 14 참조). 보어(39')의 림은 측방향 위치결정 면(74) 및 확장핀(12)의 돌출 영역(76)의 경로(course)에 정확히 대응한다. 장착 부위(38)는 보어(39')의 직사각형 림 부위로부터 연장한다. 장착 부위(38)의 개수는 보어(39')의 모서리, 램프(30), 정지부(32) 및 확장핀(14)의 벽부(68)의 개수에 각각 대응한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
연결 어셈블리(10)의 2개의 구성요소(12, 14)를 장착전 상태로 만들기 위하 여, 벽부(68)가 벽부(68)의 초기 위치를 다시 취할 때까지, 벽부(68)가 탄성 변형을 받으며 확장핀(14)은 풋(12) 내로 삽입되며, 여기서 축방향 위치결정 면(70)이 보어(39')의 림 뒤로 맞물리고, 보어(39')의 림이 측방향 위치결정 면(74)에 대하여 놓이게 된다(도 11 참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방식으로 구현되는 래칭 연결은 확장핀(14)과 풋(12)이 계류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정확한 래칭의 경우, 풋(12)이 길이방향 축(A 및 B)에 대하여 확장핀(14)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를 취하도록(도 3 및 5와 비교), 측방향 위치결정 면(74)의 구성, 돌출 영역(76)의 구성 및 보어(39)의 구성은 서로 적합하게 된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이 위치에서, 확장핀(14)의 램프(30)와 풋(12)의 상보 램프(52)는 정확히 서로 마주보는 한편, 풋(12)의 어떠한 부분도 확장핀(14)의 정지부(32)와 마주보지 않는다.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 부착 요소(56)를 캐리어 요소(58) 상에 체결하고 로킹하는 것은 확장핀(14)의 회전 없이 장착 방향(M)으로 풋(12)에 대하여 확장핀(14)을 더 누름으로써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연결 어셈블리(10)의 장착 상태는 도 15에 도시되었다.
부착 요소(56)의 장착해제도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확장핀(14)의 회전 중에, 확장핀(14)은 축 방향으로 풋(12)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도 16 참조). 램프(30, 52)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설정된 각도를 회전한 후에(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20˚), 연결 어셈블리(10)는 로킹해제되고, 연결 어셈블리(10)의 안정된 장착전 상태가 얻어지는 데(도 17 참조), 장착전 상태에서는 확장 요소(42)가 내부로 다시 피봇될 수 있으므로 연결 어셈블리(10) 및 부착 요소(56)는 캐리어 요소(58)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10)는 단지 확장핀(14) 및 풋(12)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연결 부품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동일한 기능성을 갖는 한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부착 요소(56)의 보어(60) 및/또는 캐리어 요소(58)의 개구(64)를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링부 또는 분리된 실링 부품을 갖는 정교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구조물의 라이닝 분야, 특히 차량 및 내부 라이닝을 지닌 자동차 본체의 라이닝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캐리어 요소 상에 부착 요소를 가역적으로 체결하는 것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며, 부착 요소는 내부 라이닝 부품일 수 있고 캐리어 요소는 차량의 자동차 본체 부품일 수 있다.
도 1 및 2는 장착전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 및 4는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확장핀의 사시도.
도 5 및 6은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풋의 사시도.
도 7은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장착 상태에서의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은 장착해제 중에서의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로킹해제 상태에서의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0은 부착 요소의 대안의 체결 부위로 장착된 상태에서의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1은 장착전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연결 어셈블리의 확장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확장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연결 어셈블리의 풋의 사시도.
도 15는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장착 상태에서의 도 1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6은 장착해제 중에서의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도 1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7은 로킹해제 상태에서의 부착 요소 및 캐리어를 지닌 도 11의 연결 어셈블리의 사시도.

Claims (17)

  1. 캐리어 요소(58) 상에 부착 요소(56)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 어셈블리(10)로서,
    상기 캐리어 요소(58)의 개구(64)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연결 부품(12)으로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을 상기 캐리어 요소(58)에 고정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연결 부품(12), 및
    상기 부착 요소(56)의 보어(6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연결 부품(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은 상기 제1 연결 부품(12)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10)는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캐리어 요소(58)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부품(12)의 탈거를 허용하는 장착전 상태로부터,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캐리어 요소(58)로부터 상기 제1 연결 부품(12)의 탈거를 허용하지 않는 장착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어셈블리(10)는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을 상기 제1 연결 부품(12) 내로 누름으로써 상기 장착전 상태로부터 상기 장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품(12)에 대하여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착 상태로부터 다시 상기 장착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은 금속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은 플라스틱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을 상기 제1 연결 부품(12)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스크류 공구용 수용부를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이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품(14) 중 하나는 상기 장착 상태에서의 다른 연결 부품(12)에 대한 축방향 위치와 상이한 축방향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에 대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의 회전 중에, 상기 제1 연결 부품(12)에 대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의 축방향 위치를 변하게 하는 램프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이 소정의 각도를 통하여 회전함 으로써 상기 연결 어셈블리(10)가 상기 장착 상태로부터 상기 장착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구조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 부품(14)은 다른 연결 부품(12)의 보어(39; 39')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테이퍼진 단부(16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연결 부품(12, 14)은 서로 계류되어 유지되는(captively hel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품(12) 중 하나의 래칭 부위(54)는 다른 연결 부품(14)의 래칭 리세스(26)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래칭 부위(54) 및 상기 래칭 리세스(26)는 서로에 대한 상기 2개의 연결 부품(12, 14)의 설정된 각도 위치를 결정하며, 이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 내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의 추가적 삽입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품(14) 중 하나의 위치결정 면(70, 74)은 상기 다른 연결 부품(12)의 보어(39')의 림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 상기 위치결정 면(70, 74) 및 상기 보어(39')의 상기 림은 서로에 대한 상기 2개의 연결 부품(12, 14)의 설정된 각도 위치를 결정하며, 이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 내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의 추가적 삽입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품(12) 중 하나의 래칭 부위(54)는 다른 연결 부품(14)의 래칭 면(34)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품(12)이 상기 캐리어 요소(58)의 개구(64)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는 방사상으로 내부로 피봇될 수 있지만 상기 장착 상태에서는 피봇될 수 없는 유지 부위(44)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요소(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확장 요소(42)는 클램핑 부위(50)를 가지며, 이 클램핑 부위는 상기 장착 상태에서는 예압을 받지만 상기 장착전 상태에서는 받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2 연결 부품(14)의 부분(18)에 대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10).
KR1020080083898A 2008-04-18 2008-08-27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KR101074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8005413 2008-04-18
DE202008005413.3 2008-04-18
DE202008010262U DE202008010262U1 (de) 2008-04-18 2008-07-31 Verbindungsbaugruppe zur Befestigung eines Anbauelements auf einem Trägerelement
DE202008010262.6 2008-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71A true KR20090110771A (ko) 2009-10-22
KR101074444B1 KR101074444B1 (ko) 2011-10-17

Family

ID=3986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98A KR101074444B1 (ko) 2008-04-18 2008-08-27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63210A1 (ko)
EP (1) EP2110565B1 (ko)
JP (1) JP5079679B2 (ko)
KR (1) KR101074444B1 (ko)
CN (1) CN101561006B (ko)
DE (1) DE202008010262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85A (ko) * 2014-10-17 2016-04-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고정 요소와 이러한 고정 요소 및 수용 요소를 갖춘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4678A1 (de) * 2009-03-25 2010-09-30 A.Raymond Et Cie Spreizniet
US10995783B2 (en) * 2018-09-15 2021-05-04 Termax Llc Fastener clip assembly with a dome and limiters
JP4621799B1 (ja) 2009-05-22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反射シート、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519943B1 (ja) 2009-05-22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5351723B2 (ja) 2009-05-22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DE102009024983B4 (de) 2009-06-16 2013-09-05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DE102009048441A1 (de) 2009-10-07 2011-04-2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DE102011106310B4 (de) * 2011-07-01 2013-01-3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Befestigungsclip
DE102011051881B4 (de) * 2011-07-15 2023-08-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element
CN104471258B (zh) * 2012-07-06 2016-06-15 株式会社利富高 卡夹
DE102013005224B4 (de) * 2013-03-27 2023-05-04 Heidrun Peters Zahlen-Lehrmittel
CN203240723U (zh) * 2013-04-07 2013-10-16 宁波威霖住宅设施有限公司 一种空调通风口叶片开关结构
DE102013206461A1 (de) * 2013-04-11 2014-10-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clip, insbes. für ein Kraftfahrzeug
JP6116396B2 (ja) * 2013-06-19 2017-04-19 株式会社ニフコ 取付具
ITUD20130086A1 (it) * 2013-06-20 2014-12-21 Eliwell Controls S R L Con Unico S Ocio Strumento elettronico di misura, condizionamento e regolazione, e relativo procedimento di montaggio a pannello
DE102013219797B4 (de) * 2013-09-30 2015-05-13 A. Raymond Et Cie Verankerungsvorrichtung
DE102015002896A1 (de) * 2015-03-09 2016-09-15 Grohe Ag Rosette für eine Sanitärarmatur
US11447042B2 (en) * 2015-08-03 2022-09-20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Stop for a rail of a longitudinally adjustable seat
DE202015105329U1 (de) * 2015-10-08 2017-01-11 Grass Gmbh Dübel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Möbelelemente
JP6817818B2 (ja) * 2017-01-10 2021-01-20 マツダ株式会社 クリップ及びドアトリムの取り付け構造
DE102017117002A1 (de) * 2017-07-27 2019-01-31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Bauteils an einem Trägerbauteil
US10670059B2 (en) 2017-12-05 2020-06-02 A. Raymond Et Cie High retention force fastener
CN108278069A (zh) * 2018-03-29 2018-07-13 浙江司贝宁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座以及一种包含该连接座的连接组件
TWI685699B (zh) * 2018-05-11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連接座
FR3084118B1 (fr) * 2018-07-19 2020-11-27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fixation de deux elements plans
US10408248B1 (en) * 2018-09-05 2019-09-10 Newfrey Llc Sealing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US11773887B2 (en) * 2019-09-15 2023-10-03 Termax Company Fastener clip assembly with expandable cap
DE102020101185A1 (de) * 2020-01-20 2021-07-22 Lisa Dräxlmaier GmbH Fixiereinheit zum fixieren eines mit einem gussmaterial zu umspritzenden einlegeteils in einem gusswerkzeug
US20210372446A1 (en) * 2020-05-27 2021-12-02 Hoffman Enclosures, Inc. Attachment System for Enclosure Cover
US11772577B2 (en) 2020-10-06 2023-10-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rviceable shoe-clip fastener for vehicle trim attachment
CN113497370B (zh) * 2021-09-06 2021-11-19 常州协和光电器件有限公司 一种固定良好的线路板总成
CN113847311B (zh) * 2021-10-14 2023-04-07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带辅助定位功能的复合螺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9495A1 (de) * 1977-09-20 1979-03-29 Torben Bredal Verankerungsbuchse
FR2431060A1 (fr) 1978-07-13 1980-02-08 Itw De France Piece de fixation imperdable et reutilisable
US4263833A (en) * 1979-05-15 1981-04-28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one-piece drive rivet
FR2594502B1 (fr) 1986-02-17 1991-07-05 Itw De France Dispositif de fixation, notamment pour panneaux
JPH083325B2 (ja) * 1987-10-20 1996-01-17 株式会社ニフコ 板材の連結装置
JPH083324B2 (ja) * 1987-10-19 1996-01-17 株式会社ニフコ 板材の連結装置
GB2211261B (en) * 1987-10-19 1991-03-27 Nifco Inc Coupler for coupling together plates
US4900210A (en) * 1989-07-19 1990-02-13 Square D Company Push in-screw out fastening system
US5368427A (en) * 1993-02-08 1994-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rter turn fastener
DE4404746C2 (de) * 1994-02-15 1999-08-05 Itw Ateco Gmbh Niet aus Kunststoff zur Befestigung eines plattenförmigen Werkstücks an einer Halterung mit annähernd ebener Fläche
JP3297972B2 (ja) * 1995-04-17 2002-07-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固定クリップ
GB9510144D0 (en) * 1995-05-19 1995-07-12 Elta Plastics Ltd Mounting device
DE19921613C2 (de) 1999-05-10 2003-10-02 Trw Carr France Ingwiller Verbindungselement
DE29920497U1 (de) * 1999-11-23 2000-02-17 Schwarz Verbindungs Sys Gmbh Schwingungsdämpfende lösbare Verbindungsanordnung für zwei Bauteile mit einem Drehbolzen, einer Haltefeder und einem Schwingungsdämpferring
US6514023B2 (en) * 2001-05-24 2003-02-04 Illinois Tool Works Inc.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US6874983B2 (en) 2002-04-11 2005-04-05 Illinois Tool Works Inc. Ergonomic fastener
JP4091859B2 (ja) * 2003-03-03 2008-05-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JP4446837B2 (ja) * 2004-08-26 2010-04-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連結装置
FR2882797B1 (fr) 2005-03-02 2007-05-25 Itw De France Soc Par Actions Attache adaptee a etre fixee dans une cavite de contour predetermine
DE202005019612U1 (de) 2005-12-15 2006-02-23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flachen Bauteils an einer Trägerstruktur
DE202008006958U1 (de) * 2008-05-23 2008-10-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zur Befestigung eines Anbauelements auf einem Träger
DE102009048441A1 (de) * 2009-10-07 2011-04-2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85A (ko) * 2014-10-17 2016-04-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고정 요소와 이러한 고정 요소 및 수용 요소를 갖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9679B2 (ja) 2012-11-21
CN101561006B (zh) 2013-01-02
CN101561006A (zh) 2009-10-21
EP2110565A2 (de) 2009-10-21
US20090263210A1 (en) 2009-10-22
JP2009257576A (ja) 2009-11-05
DE202008010262U1 (de) 2008-10-16
EP2110565A3 (de) 2011-10-26
EP2110565B1 (de) 2013-02-13
KR101074444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444B1 (ko) 캐리어 요소에 대한 부착 요소의 체결용 연결 어셈블리
US11041520B2 (en) Device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 carrier component
US8944736B2 (en) Fastening element with a tolerance-compensation function
US8572818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P1957323B1 (en) Fastener
US8613414B2 (en) Fastening clip and associated fastener
US7131806B2 (en) Grommet and anchoring structure
US7036875B2 (en) Method for attaching undercover onto underside of car floor panel
US7281962B2 (en) Arrangement for mounting a lug on a screw
US20110314642A1 (en) Fastening device
US20110219588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clip and mounting-subject member
EP3599386B1 (en) Stud locking tool
JP3933441B2 (ja) 留め具
KR20080021772A (ko) 클립
US20090260201A1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element
JP2009063070A (ja) 分割ナット
US11560916B2 (en) Bolt attachment
CN111148909B (zh) 一种包括螺母架和螺母架安装支承件的螺母架系统
EP2198171A1 (en) Trim clip
JP3657325B2 (ja) マット固定具
EP3889447A1 (en) A fastener
CN115234115A (zh) 间距保持装置
JPH09184505A (ja) 部材締結用クリップ
JP2023537502A (ja) 締結デバイス、方法、構造、および開閉装置キャビネット
JP2019015385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