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685A -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685A
KR20090103685A KR1020080132255A KR20080132255A KR20090103685A KR 20090103685 A KR20090103685 A KR 20090103685A KR 1020080132255 A KR1020080132255 A KR 1020080132255A KR 20080132255 A KR20080132255 A KR 20080132255A KR 20090103685 A KR20090103685 A KR 2009010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traverse
period
package
fre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308B1 (ko
Inventor
킨조 하시모토
테츠야 호리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ribbon winding ;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rregular edge forming, e.g. edge raising or yarn falling from the edge
    • B65H54/381Preventing ribbon winding in a precision winding apparatus, i.e. with a constant ratio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bbin spindl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versing device driv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ribbon winding ;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rregular edge forming, e.g. edge raising or yarn falling from the edge
    • B65H54/385Preventing edge raising, e.g. cree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Abstract

사조(絲條)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기준 능각(綾角)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귀높이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높은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을 제공한다.
합섬(Y)의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패키지(18)에 접촉되는 롤러(31),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V1)로부터 목표 속도(V2)까지 증대시킨 후에 기준 속도(V1)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는 트래버스 장치(21), 및 롤러(31)와 트래버스 장치(21) 사이에 있는 합섬(Y)의 프리 렝스(Free Length)(FL)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는 프리 렝스 변경 수단(41)을 구비하고,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일치 또는 중복시키는 와인더(11)로 한다.

Description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YARN WINDER AND YARN WINDING METHOD}
본 발명은 사조, 예를 들면 합성 섬유 사조를 보빈에 권취하여 패키지를 형성하는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조 권취기로서의 와인더에는 보빈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트래버스 가이드를 구비한 트래버스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을 터치 롤러 또는 프릭션 롤러에 접촉시키면서 회전시켜 사조를 능권(綾卷)하면서 패키지를 두껍게 감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패키지의 양단에 있어서의 사조의 턴부에서 실 밀도가 집중됨으로써 패키지의 양단이 중앙부에 비해 높아지는 귀높이부가 발생하여 패키지가 북 형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귀높이부가 발생하면 이후 공정에서 패키지로부터 사조를 풀어 펼칠 때에 풀림 불량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이 귀높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패키지에 접촉되는 롤러와 패키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트래버스 장치와 롤러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한 기구[귀붕괴(耳崩)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귀붕괴 기구는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트래버스 장치와 롤러 사이에 있는 사조의 프리 렝스(자유 길이)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에 의해 트래버스 가이드가 왕복 이동하는 폭을 변화시킴 없이 권폭을 일시적으로 좁게 할 수 있고, 이 권폭의 조정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귀높이 현상을 해소한다.
또한, 상기 귀높이 현상과는 별도로 벌지(bulge) 감기라는 현상도 있다. 벌지 감기는 패키지를 두껍게 감음에 따라서 권취된 사조를 조이는 힘에 의해 패키지 측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팽출되는 현상이며, 패키지 형상의 체재가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벌지 감기를 해소하기 위해서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와 후기 단계에서 능권되는 각도(능각)를 서서히 변경하는 기구(벌지 억제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 벌지 억제 기구는,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작은 능각으로부터 권취하기 시작하여 서서히 큰 능각으로 증대시키고, 후기 단계에서는 큰 능각으로부터 서서히 작은 능각으로 감소시켜 권취 종료에 이르도록 한 것이다. 벌지 억제 기구는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서서히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능각을 변경하고, 패키지의 밀도를 전기 단계에서는 고밀도로부터 저밀도로 변화시키고, 후기 단계에서는 저밀도로부터 고밀도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실층(絲層)이 지나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벌지 감기를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능각은 패키지 형성에 적절한 각도가 되도록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결정된다. 능각은 트래버스 속도와 사조 권취 속도의 관계로 결정되므로 능각의 변경은 트래버스 속도 또는 사조 권취 속도의 변경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인더에서는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능각의 변경을 행하고 있다.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결정되는 능각, 및 이것에 대응되는 트래버스 속도는 패키지 형성 기간을 통해서 일정한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서 상술된 벌지 억제 기구와 같이 패키지 형성 기간 중의 단계에 의해 서서히 변경되어 가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결정되는 능각을 「기준 능각 」이라 하고, 기준 능각에 대응되는 트래버스 속도를 「기준 속도」라고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225611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서는 사조의 종류 등에 의해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아져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기준 능각이 큰 경우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커서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에 비해 기준 능각이 작은 경우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아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기준 능각이 큰 경우란 예를 들면 기준 능각이 10도 이상인 경우이며, 기준 능각이 작은 경우란 예를 들면 기준 능각이 6도 이하인 경우이다.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따라서는 패키지 형성 기간 중의 기준 능각을 작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상기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아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귀높이 현상과 벌지 감기를 모두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 상기 벌지 억제 기구를 병설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벌지 억제 기구에 의해 손실될 수 있으므로 귀높이 현상의 해소와 벌지 감기의 해소를 모두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상기 종래의 귀붕괴 기구는 기준 능각이 큰 경우에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것에 비해, 벌지 억제 기구는 패키지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의 기준 능각을 작게 하기 때문이다. 패키지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 기준 능각을 작게 하면, 그 기간에서는 귀붕괴 기구에 의한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손실되어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목적은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기준 능각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귀높이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높은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목적은 벌지 억제 기구에 의해 패키지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 기준 능각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귀높이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높은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패키지를 형성하는 사조 권취기로서,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패키지에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대하여 사조 진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도록 한 트래버스 장치, 및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롤러와 상기 트래버스 장치 사이에 있는 상기 사조의 프리 렝스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상기 프리 렝스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도록 한 프리 렝스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상기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속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기준 속도를 서서히 증대시키고 후기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상기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조 권취기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후기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패키지를 형성하는 사조 권취 방법으로서,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트래버스 장치의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사조의 프리 렝스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도록 하며,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상기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 방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거둔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킴으로써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기준 능각을 작게 하여도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고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져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목표 속도를 조정가능하게 함으로써 패키지 형성 기간 중의 단계에 따라 목표 속도를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높은 속도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기준 속도를 서서히 증대시키고, 후기 단계에서는 기준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실층이 지나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벌지 감기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가 작고 기준 능각이 작은 단계에 있어서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로 한다.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고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져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귀높이 현상과 벌지 감기를 모두 해소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목표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트래버스 속도를 목표 속도로 하기 위해서 패키지 형성 기간 중의 단계에 따라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목표 속도를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이 해소될 수 있는 속도로 하여 귀높이 현상과 벌지 감기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킴으로써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조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기준 능각을 작게 하여도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고,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져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인더(1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슬라이드 박스(42)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프리 렝스 정상 기간(F1)에 있어서 패키지(18)의 감기 두께에 따라 암(32)이 경사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와인더(11)의 제어 시스템도이다.
도 5는 프리 렝스(FL), 권폭 및 능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리 렝스(FL) 및 트래버스 지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리 렝스(FL), 능각 및 트래버스 지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프리 렝스(FL), 권폭 및 능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벌지 억제 기구의 기준 능각(A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와인더(11)의 기준 능각(A1) 및 목표 능각(A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사조 권취기로서의 와인더(11)에 대하여 도 1 ~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와인더(11)는 사조로서의 합섬(합성 섬유 사조)(Y)을 보빈(17)에 권취하여 패키지(18)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합섬(합성 섬유 사조)을 권취하는 사조 권취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면사 등의 방적 섬유 사조를 권취하는 사조 권취기로도 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인더(11)는 기체 프레임(12)을 구비하고, 기체 프레임(12)에는 기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승강가능한 슬라이드 박스(42), 및 기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터릿판(14)이 설치되어 있다. 터릿판(14)은 회전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터릿판(14)에는 보빈(17)을 장착하는 2개의 보빈 홀더(16)가 회전축(15)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터릿판(14)을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반전시킴으로써 보빈 홀더(16)의 한쪽이 상방의 권취 위치로, 다른쪽이 하방의 대기 위치로 되도록 2개의 보빈 홀더(16)의 위치를 교대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릿판(14)에 설치된 2개의 보빈 홀더(16)는 각각 보빈 홀더 구동 모터(19)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가능하다. 각 보빈 홀더 구동 모터(19)는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3)는 공지의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고, 연산 장치로서의 CPU나, ROM, RAM, 외부 기억 장치 등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3)는 후기 설명되는 각종 센서가 발생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인더(11)는 트래버스 장치(21), 접촉 롤러(31), 및 트래버스 장치(21)와 접촉 롤러(31) 사이의 프리 렝스(FL)를 변경하기 위한 프리 렝스 변경 수단(41)을 더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박스(42)는 프리 렝스 변경 수단(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트래버스 장치(21)와 접촉 롤러(31)는 슬라이드 박스(42)에 설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장치(21)는 접촉 롤러(31)에 대하여 합섬(Y)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트래버스 가이드(22)가 도 1의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합섬(Y)과 결합된 상태에서 트래버스 범위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하류 방향으로 송출되는 합섬(Y)을 능진(綾振) 운동시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장치(21)에는 트래버스 가이드(22)를 구동하기 위해 트래버스 모터(23)가 설치되고, 이 트래버스 모터(23)가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이 제어되고 있다. 컨트롤러(13)로 트래버스 모터(23)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트래버스 장치(21)로서는 트래버스 속도를 변화가능하게 한 것이면 좋고, 회전 날개를 사용한 로터리식 트래버스 장치나 다른 공지의 트래버스 장치여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롤러(31)는 합섬(Y)의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패키지(18)에 종동(從動)해서 회전되고, 트래버스 장치(21)에 의해 능진된 합섬(Y)을 수용하여 패키지(18)의 외주에 합섬(Y)을 주고 받는 것이다. 접촉 롤러(31)는 암(32)의 제 1 단부(33)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암(32)은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32)의 제 2 단부(34)측에는 슬라이드 박스(42)와의 사이에 에어 실린더(35)가 연결되어 있다. 암(32)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접촉 롤러(31)는 권취 위치에 있는 보빈(17)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보빈(17)으로부터 격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35)는 접촉 압력 조정 수단이며, 이에 따라 접촉 롤러(31)는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패키지(18)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패키지(18)의 회전에 의해 종동 회전된다.
프리 렝스 변경 수단(41)은 종래의 귀붕괴 기구와 마찬가지로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접촉 롤러(31)와 트래버스 장치(21) 사이에 있는 합섬(Y)의 프리 렝스(FL)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1에서 프리 렝스 변경 수단(41)은 슬라이드 박스(42), 레일(43), 볼 나사 기구(4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프리 렝스(FL)는 트래버스 장치(21)와 결합되어 있는 합섬(Y)이 트래버스 장치(21)로부터 해방되어 접촉 롤러(31)의 원주면에 접할 때까지의 합섬(Y)의 자유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슬라이드 박스(42)는 기체 프레임(12)의 상하 방향에 설치된 레일(43)로 안내되어 있고, 기체 프레임(12)에 설치된 볼 나사 기구(4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볼 나사 기구(44)는 나사 봉(45), 볼 너트(46), 승강 구동 모터(47) 등으로 구성된다. 나사 봉(45)는 상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기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승강 구동 모터(47)는 나사 봉(45)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며 나사 봉(45)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 구동 모터(47)는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이 제어된다(도 4 참조). 슬라이드 박스(42)에는 나사 봉(45)에 나사 결합되는 볼 너트(46)가 설치되어 승강 구동 모터(47)에 의해 나사 봉(45)이 정역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드 박스(42)가 상승 및 하강한다. 슬라이드 박스(42)는 상승함으로써 패키지(18)로부터 이간되고, 하강함으로써 패키지(18)에 대하여 접근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박스(42)에는 암(32)의 경사 이동을 검출하는 암 위치 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암 위치 센서(36)는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암(32)이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정상 위치가 될 때에 ON 상태가 되며, 암(32)이 정상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간되면 OFF 상태가 된다. 암(32)의 경사 이동은 패키지(18)가 두껍게 감겨짐으로써 접촉 롤러(31)가 상방으로 변위되어 발생되거나, 슬라이드 박스(42)의 상승, 하강에 의해 접촉 롤러(31)가 상하로 변위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암 위치 센서(36)는 ON 상태에서 접촉 롤러(31)가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정상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OFF 상태에서 접촉 롤러(31)가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위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32)에는 접촉 롤러(3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센서(37)는 패키지(18)에 종동해서 회전되는 접촉 롤러(3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패키지(18)의 외주 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회전 센서(37)는 컨트롤러(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센서(37)가 검출하는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보빈 홀더 구동 모터(19)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센서(37)의 검출값이 권취 속도에 따른 소정의 값을 하회하면 컨트롤러(13)가 보빈 홀더 구동 모터(19)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검출값이 소정의 값을 상회하면 컨트롤러(13)가 보빈 홀더 구동 모터(19)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 있어서도 행해지고 있던 제어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제어와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의 2종류의 제어를 반복하는 것이다. 즉,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제어를 간헐적으로 또한 주기적으로 행하고, 그 사이에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3)의 ROM에 기억되어 있고, RAM으로 판독하여 실행된다. 게다가,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기간을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이라고 하고, 프리 렝스가 일정한 기간을 프리 렝스 정상 기간(F1)이라고 한다.
우선,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면,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는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접촉 롤러(31)의 상대 위치를 정상에 유지하는 제어이다.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접촉 롤러(31)의 상대 위치를 정상에 유지하기 위해서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있어서의 패키지(18)의 감기 두께에 따라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패키지(18)의 감기 두께에 따라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키는 제어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17) 상에 어느 정도 패키지(18)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때의 패키지(18) 반경을 r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때의 암(32)의 위치는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정상 위치인 것으로 한다. 또한, 두껍게 감기가 진행되어 패키지(18)의 반경이 미소량의 dr만큼 증가해서 r+dr로 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패키지(18)에 접촉되는 접촉 롤러(31)는 이 두껍게 감은 분(dr)만큼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도 2의 상태보다 암(32)의 위치가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정상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경사 이동된다.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되어 암(32)의 경사 이동을 검출한 암 위치 센서(36)는 컨트롤러(13)에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3)는 볼 나사 기구(44)의 승강 구동 모터(47)를 구동하여 슬라이드 박스(42)를 두껍게 감은 분(dr)만큼 상승시킨다.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킴으로써 접촉 롤러(31)를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하강시키고, 접촉 롤러(31)의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위치를 원래의 정상 위치로 되돌리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촉 롤러(31)의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상대 위치를 암 위치 센서(36)에 의해 검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접촉 롤러(31)의 상대적인 상승이 검출되면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켜 접촉 롤러(31)의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한 상대 위치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제어에 의해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의 패키지(18)의 두껍게 감기에 따라 슬라이드 박스(42)는 서서히 상승된다. 또한, 트래버스 장치(21)의 트래버스 가이드(22)와 접촉 롤러(31)의 원주면 사이의 합섬(Y)의 프리 렝스(FL)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게다가,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있어서는 프리 렝스(FL)가 최소(FL=FL1)가 되도록 하고 있다. 프리 렝스(FL)가 최소로 유지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합섬(Y)이 트래버스된 축 방향 위치와 실이 실제로 접촉 롤러(31)에 수용되는 축 방향 위치의 차이(트래버스 지연)가 최소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패키지(18)의 권폭을 설정한 대로의 권폭으로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패키지(18)의 두껍게 감기에 관계없이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제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 렝스(FL)를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켜 프리 렝스(FL)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컨트롤러(13)는 승강 구동 모터(47)를 구동시켜 슬라이드 박스(42)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킨다.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키면 접촉 롤러(31)는 자체 중량에 의해 슬라이드 박스(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패키지(18)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트래버스 장치(21)는 슬라이드 박스(4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래버스 장치(21)는 슬라이드 박스(42)와 함께 상승한다. 이 결과, 트래버스 장치(21)의 트래버스 가이드(22)와 접촉 롤러(31) 사이의 합섬(Y)의 프리 렝스(FL)는 증대하게 된다. 슬라이드 박스(42)를 가장 높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접촉 롤러(31)와 트래버스 장치(21) 사이의 합섬(Y)의 프리 렝스(FL)는 최대가 된다(FL=FL2).
그 후에 컨트롤러(13)는 승강 구동 모터(47)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슬라이드 박스(42)를 하강시키고 프리 렝스(FL)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 박스(42)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프리 렝스(FL)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FL=FL1),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제어를 종료한다.
이 제어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섬(Y)이 트래버스된 축 방향 위치[트래버스 가이드(22)의 위치]와 합섬(Y)이 접촉 롤러(31)에 수용되는 축 방향 위치의 차이를 증가시키는 제어이다. 즉, 트래버스 지연(D1)을 일시적으로 트래버스 지연(D2)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기준 능각(A1)이 일정(a1)하다고 하면 프리 렝스(FL)=FL1일 때 합섬(Y)은 축 방향 위치(N1)에서 접촉 롤러(31)에 수용되어 트래버스 지연은 D1이다. 또한, 프리 렝스(FL)=FL2일 때 합섬(Y)은 축 방향 위치(N2)에서 접촉 롤러(31)에 수용되어 트래버스 지연은 D2가 된다. 이 트래버스 지연의 차이(D2-D1)에 의해 트래버스 가이드(22)가 트래버스 범위의 단부에 도달하여도 합섬(Y)은 실제로는 트래버스 지연의 차이(D2-D1)만큼 축 방향 중앙 부근의 위치에서 패키지(18)에 감기게 된다. 즉, 슬라이드 박스(42)를 상승시켜 프리 렝스(FL)를 FL1로부터 FL2로 일시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합섬(Y)을 패키지(18)에 감을 때의 축 방향의 권폭이 일시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있어서 프리 렝스 정상 기간(F1)과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프리 렝스 정상 기간(F1)에서의 권취에 의해 약간 귀높이 상태가 된 패키지(18)에 대해서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에서의 권취에서는 권폭을 좁혀서 패키지(18)의 축 방향 중앙측에 감기게 된다[권폭의 변화량(W1)].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된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서도 행해지던 제어에 의해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합섬(Y)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아져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기준 능각(A1)이 큰 경우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커서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기준 능각(A1)이 작은 경우에서는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아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기준 능각이 큰 경우란 예를 들면 기준 능각이 10도 이상인 경우이며, 기준 능각이 작은 경우란 예를 들면 기준 능각이 6도 이하인 경우이다.
이 현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에 있어서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FL2로 증가시키는 것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버스 지연(D1)을 일시적으로 D2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합섬(Y)이 트래버스된 축 방향 위치[트래버스 가이드(22)의 위치]와 합섬(Y)이 실제로 접촉 롤러(31)에 수용되는 축 방향 위치의 차이를 일시적으로 증가 시키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능각(A1)이 큰 경우(A1=a1)는 이 트래버스 지연의 차이(D2-D1)도 충분히 커진다. 합섬(Y)은 트래버스 지연의 차이(D2-D1)만큼 축 방향 중앙 부근의 위치의 패키지(18)에 감기게 되어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도 크다. 이에 대해서, 기준 능각(A1)이 작은 경우(A1=a2)는 이 트래버스 지연의 차이(d2-d1)가 작아지게 된다. 합섬(Y)은 축 방향 외측 부근까지 트래버스되어 패키지(18)에 감기게 되어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작다. 따라서, 기준 능각(A1)이 작은 경우, 즉 트래버스 지연이 작은 경우에는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증대시켜도 합섬(Y)의 권폭을 좁게 하는 효과가 적어 귀높이 현상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인더(11)에서는 종래의 귀붕괴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FL1로부터 FL2로 증대시키는 타이밍에 맞추어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FL1로부터 FL2로 증대시키는 타이밍에 맞추어 트래버스 장치(21)가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해서 능각이 커지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제어는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와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의 2종류의 제어를 반복하는 것이다. 즉,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를 간헐적으로 또한 주기적으로 행하고, 그 사이에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3)의 ROM에 기억되어 있고 RAM으로 판독되어 실행된다. 게다가,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기간을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이라고 하고,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기간을 트래버스 속도 정상 기간(T1)이라고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1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상술된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일치시키고 있다.
우선, 트래버스 속도 정상 기간(T1)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함으로써 능각을 정상으로 하는 제어이다. 이 경우의 능각은 합섬(Y)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능각(A1)이며, 기준 능각(A1)에 대응되는 트래버스 속도[기준 속도(V1)]가 계산에 의해 구해진다. 기준 능각(A1)에 대응되는 트래버스 속도[기준 속도(V1)]는 미리 컨트롤러(13)의 프로그램에 설정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V1)는 일정하고, 컨트롤러(13)는 트래버스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여 트래버스 속도가 기준 속도(V1)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계속해서,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V1)로부터 목표 속도(V2)까지 증대시킨 후에 기준 속도(V1)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제어이다. 목표 속도(V2)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에 있어서의 프리 렝스(FL)의 변화에 의해 합섬(Y)의 권폭을 좁게 하는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는 능각[목표 능각(A2)]에 대응된 트래버스 속도이다. 목표 능각(A2) 및 목표 속도(V2)는 프리 렝스(FL)의 변화량(FL2-FL1) 및 기준 능각(A1)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속도이며, 미리 컨트롤러(13)의 프로그램에 설정된다. 컨트롤러(13)는 트래버스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여 트래버스 속도를 기준 속도(V1)로부터 일시적으로 목표 속도(V2)까지 증대시키고, 그 후에 기준 속도(V1)까지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V1)는 일정하므로 트래버스 속도 변경의 전후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V1)는 일정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일치시킨다. 이에 따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합섬(Y)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기준 능각(A1)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능각을 크게 할 수 있고,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져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사조 권취기로서의 와인더(11)에 대해서 도 9 ~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와인더(11)에 벌지 억제 기구를 병설한 점이 실시예 1과 크게 다르다.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벌지 억제 기구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기구이며 패키지(18)의 벌지 감기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 형성 기간(P1)의 전기 단계(P2)와 후기 단계(P3)에서 능각을 서서히 변경하는 기구이다. 이 경우의 능각은 합섬(Y)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능각(A1)이다. 따라서, 벌지 억제 기구에서는 기준 능각(A1)이 변화되는 것이다. 벌지 억제 기구에서는, 패키지 형성 기간(P1)의 전기 단계(P2)에서는 작은 기준 능각(A1)으로부터 권취를 시작하여 서서히 기준 능각(A1)을 증대시키고, 후기 단계(P3)에서는 서서히 작은 기준 능각(A1)으로 감소시켜 권취 종료에 이른다. 벌지 억제 기구는 패키지(18)의 밀도를 전기 단계(P2)에서는 고밀도로부터 저밀도로 변화시키고, 후기 단계(P3)에서는 저밀도로부터 고밀도로 변화시켜 실층이 지나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벌지 감기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벌지 억제 기구에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제어와 프리 렝스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를 반복하기만 하는 종래의 귀붕괴 기구를 병설하면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벌지 억제 기구에 의해 손실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귀높이 현상의 해소와 벌지 감기의 해소를 모두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종래의 귀붕괴 기구는 기준 능각(A1)이 큰 경우에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것에 대해서 벌지 억제 기구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18)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의 기준 능각(A1)을 작게 하기 때문이다. 패키지(18)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 기준 능각(A1)을 작게 하면 그 기간에서는 귀붕괴 기구에 의한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손실되어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실시예 2에 의한 와인더(11)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렝스(FL)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키는 타이밍에 맞추어 일시적으로 능각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기준 능각(A1)이 작은 패키지(18)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서는 능각의 변화량을 보다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제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제어는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와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의 2종류의 제어를 반복하는 것이다. 즉,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를 간헐적으로 또한 주기적으로 행하고, 그 사이에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있어서도 패키지 형성 기간(P1)의 전기 단계(P2)에서는 기준 능각(A1)[기준 속도(V1)]이 서서히 증대한다. 또한, 후기 단계(P3)에서는 기준 능각(A1)[기준 속도(V1)]이 서서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있어서도 트래버스 속도를 완만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 제어를 행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13)의 ROM에 기억되어 있고, RAM으로 판독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 1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상술된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일치시킨다.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트래버스 속도를 정상으로 함으로써 능각을 정상으로 하는 제어이다. 이 경우의 능각은 합섬(Y)의 종류 등의 상위 요건 및 벌지 억제 기구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능각(A1)이며, 기준 능각(A1)은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있어서 서서히 변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서서히 변화되는 기준 능각(A1)에 대응되는 트래버스 속도[기준 속도(V1)]가 계산에 의해 구해지고, 미리 컨트롤러(13)의 프로그램에 설정된다. 컨트롤러(13)는 트래버스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여 트래버스 속도가 기준 속도(V1)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계속해서, 트래버스 속도의 변경을 행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에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V1)로부터 목표 속도(V2)까지 증대시킨 후에 기준 속도(V1)까지 감소시키는 제어이다. 목표 속도(V2)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에 있어서의 프리 렝스(FL)의 변화에 의해 합섬(Y)의 권폭을 좁게 하는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는 능각[목표 능각(A2)]에 대응한 트래버스 속도이다. 목표 능각(A2) 및 목표 속도(V2)는 프리 렝스(FL)의 변화량(FL2-FL1) 및 기준 능각(A1)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속도이며, 미리 컨트롤러(13)의 프로그램에 설정된다. 컨트롤러(13)는 트래버스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여 트래버스 속도를 기준 속도(V1)로부터 일시적으로 목표 속도(V2)까지 증대시키고, 그 후에 기준 속도(V1)까지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V1)는 변화되고 있으므로 트래버스 속도 변경의 전후에 있어서의 기준 속도(V1)도 변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하면 패키지 형성 기간(P1)의 전기 단계(P2)에서는 기준 속도(V1)를 서서히 증대시킨다. 또한, 후기 단계(P3)에서는 기준 속도(V1)를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실층이 지나치게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벌지 감기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18)의 권취 시작 부근과 권취 종료 부근에 있어서 기준 능각(A1)이 작은 단계에 있어서도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V1)로부터 목표 속도(V2)로 한다.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능각이 커지고,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져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귀높이 현상과 벌지 감기를 모두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일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일치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T2)과 프리 렝스 변경 기간(F2)을 중복시키면 좋다. 즉,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타이밍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타이밍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프리 렝스(FL)가 증대하고 있는 기간과 트래버스 속도가 증대하고 있는 기간이 일부라도 중복되면 프리 렝스(FL)의 증대에 의한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커져 귀높이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속도의 목표 속도(V2)를 일정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가능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패키지 형성 기간(P1) 중의 단계에 따라 목표 속도(V2)를 권폭을 조정하는 효과가 높은 속도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효과적으로 귀높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트래버스 속도 변경과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시작 시기, 횟수, 변화량, 종료 시기 등에 관해서는 각각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본 발명이 진실로 의도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전체에 널리 미치는 것이다.

Claims (5)

  1. 패키지를 형성하는 사조 권취기로서: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패키지에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대하여 사조 진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트래버스 속도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도록 한 트래버스 장치, 및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롤러와 상기 트래버스 장치 사이에 있는 상기 사조의 프리 렝스를 변경가능하게 해서 상기 프리 렝스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도록 한 프리 렝스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상기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속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기준 속도를 서서히 증대시키고 후기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상기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상기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목표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전기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의 후기 단계에서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에서의 트래버스 속도의 변화량을 서서히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기.
  5. 패키지를 형성하는 사조 권취 방법으로서: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트래버스 장치의 트래버스 속도를 일시적으로 기준 속도로부터 목표 속도까지 증대시킨 후에 상기 기준 속도까지 감소시키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패키지 형성 기간 중에 사조의 프리 렝스를 일시적으로 증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프리 렝스 변경을 반복하도록 하며;
    상기 트래버스 속도 변경을 행하는 트래버스 속도 변경 기간과 상기 프리 렝스 변경을 행하는 프리 렝스 변경 기간을 일치 또는 중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 권취 방법.
KR1020080132255A 2008-03-27 2008-12-23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 KR10124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4617A JP4776650B2 (ja) 2008-03-27 2008-03-27 糸条巻取り機及び糸条巻取り方法
JPJP-P-2008-084617 200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85A true KR20090103685A (ko) 2009-10-01
KR101249308B1 KR101249308B1 (ko) 2013-04-01

Family

ID=4071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255A KR101249308B1 (ko) 2008-03-27 2008-12-23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05400B1 (ko)
JP (1) JP4776650B2 (ko)
KR (1) KR101249308B1 (ko)
CN (1) CN1015443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97B1 (ko) * 2011-01-11 2015-03-09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방사 권취 장치 및 방사 권취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7382A (ja) * 2019-03-11 2020-09-17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機、及び、糸巻取方法
CN110902488B (zh) * 2019-11-12 2021-07-20 安徽怡和电缆有限公司 一种辅助塑料绝缘控制电缆盘绕的导向架
JP2022045513A (ja) 2020-09-09 2022-03-22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
DE102022001140A1 (de) * 2022-04-01 2023-10-05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Spinnfadens und Aufwickel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Spinnfade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343B2 (ja) * 1990-01-18 1998-01-28 東レ株式会社 ドラム状パッケージへの糸条巻上げ方法
DE10021963A1 (de) * 1999-05-14 2000-12-21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JP2005126186A (ja) * 2003-10-23 2005-05-19 Toray Ind Inc 糸条巻取方法と糸条パッケージ
JP2005225611A (ja) * 2004-02-13 2005-08-25 Tmt Machinery Inc 弾性糸の巻取方法及び弾性糸用巻取機
JP4326979B2 (ja) * 2004-02-13 2009-09-0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弾性糸用巻取システム、弾性糸用巻取機及び弾性糸の巻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97B1 (ko) * 2011-01-11 2015-03-09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방사 권취 장치 및 방사 권취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5400A2 (en) 2009-09-30
KR101249308B1 (ko) 2013-04-01
JP2009234755A (ja) 2009-10-15
EP2105400B1 (en) 2012-08-01
EP2105400A3 (en) 2009-12-23
CN101544321A (zh) 2009-09-30
CN101544321B (zh) 2012-10-24
JP4776650B2 (ja)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304B1 (ko) 사조 권취기
KR101249308B1 (ko) 사조 권취기 및 사조 권취 방법
JP2013040047A (ja) 巻取機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35954A (ja) 綾巻きボビン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巻き取り装置を運転する方法及び装置
JP4326979B2 (ja) 弾性糸用巻取システム、弾性糸用巻取機及び弾性糸の巻取方法
JPS6364376B2 (ko)
JPH0542262U (ja) 自動ワインダの巻取ユニツト
JPH0234866B2 (ko)
JP2005225611A (ja) 弾性糸の巻取方法及び弾性糸用巻取機
JP3269327B2 (ja) 巻取機
JP2003020167A (ja) 巻取機のスピンドル位置制御方法
JPS6047184B2 (ja) 線条体のトレ−巻取装置における巻付半径検出装置
JP5766576B2 (ja) 紡糸巻取装置
JP3945060B2 (ja) 紡糸巻取機
JP3533787B2 (ja) 糸条の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JPH08290870A (ja) 巻取機のボビン位置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33054A (ja) ワインダの巻取制御方法
JP3690351B2 (ja) 糸条巻取機及び糸条巻取方法
JP3807468B2 (ja) 紡糸巻取機における巻取方法及び紡糸巻取機
JP5771102B2 (ja) 紡糸巻取装置
JPH08301522A (ja) 巻取機
JP2002338141A (ja) 糸条巻取機
JP2002348036A (ja) 巻取機の巻取位置制御方法
JPH08277066A (ja) 紡糸巻取機の昇降枠ガイド
JPS6010984B2 (ja) 線条体のトレ−巻取装置における巻付半径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