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989A -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989A
KR20090099989A KR1020080025318A KR20080025318A KR20090099989A KR 20090099989 A KR20090099989 A KR 20090099989A KR 1020080025318 A KR1020080025318 A KR 1020080025318A KR 20080025318 A KR20080025318 A KR 20080025318A KR 20090099989 A KR20090099989 A KR 2009009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ubbing
stage
rotating
rub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신
Original Assignee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989A/ko
Publication of KR2009009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헤드 프레임의 클로스 롤러에 러빙롤러를 매달아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은 턴링(turning) 동작에 의해 러빙롤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러빙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러빙롤러의 안정도를 높이고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25318
러빙장치, 헤드부, 러빙롤러, 러빙 처리, 스테이지.

Description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head part turning structure of rubbing apparatus}
본 발명은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턴링(turning) 동작에 의해 러빙롤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글라스 기판을 필요한 각도로 러빙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2장의 글라스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고, 2장의 글라스 기판의 내면에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걸기 위한 투명 전극, 상기 전계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 컬러를 표시하기 위한 컬러 필터 및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 등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2장의 글라스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가 봉입되어 액정표시소자가 제작된다. 배향막은 기판 위에 도포된 폴리이미드 수지(PI) 등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배향막이 경화된 후 러빙장치에 의한 러빙 처리에 의해 액정이 소정방향으로 배향된다.
통상의 러빙장치는 러빙롤러가 글라스 기판이 고정된 스테이지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그의 양단이 지지되고, 러빙포(기모포)가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러빙롤러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 러빙롤러의 회전에 따라 러빙포가 글라스 기판의 배향층 표면에 접촉되면서 글라스 기판의 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문지름으로써 그 방향으로 액정재료가 배향되게 된다.
액정표시소자의 휘도나 응답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러빙 처리할 때 배향층의 표면을 균일하게 문질러 배향층의 표면에 방향성을 주어 액정이 균일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러빙롤러와 글라스 기판의 위치결정, 특히 러빙롤러와 글라스 기판 위의 배향막 사이의 이격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근래 들어 액정표시소자의 분야는 PC 화면 등으로 사용되는 LCD 모니터나 디지털 방송을 위한 LCD TV 등의 보급이 대폭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 LCD 모니터는 대각 20인치 등급(class)이 LCD TV는 30인치는 물론이고 40인치 이상의 등급까지도 제품화되고 있다. 또한 패널 비용의 저감으로 인해 마더 글라스 기판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1 m 이상 등급의 글라스 기판 한 장으로 여러 장의 패널을 제작하는 기술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 때문에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기 위한 러빙롤러의 길이 또한 글라스 기판의 길이에 비례해서 길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러빙장치는 러빙롤러를 포함하는 헤드부가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러빙장치는 러빙롤러를 회전시켜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는 과정에서 스테이지 또는 러빙롤러가 별도의 이동수단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글라스 기판의 한쪽 면을 러빙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 즉, 글라스 기판과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켜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는 각도를 일정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화면의 왜곡현상이나 색 번짐 또는 화면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잔상을 없앨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러빙장치는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한 헤드 프레임 하단의 클로스 롤러(cross roller)에 매달려 있는 러빙롤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회전시켜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여기서 러빙롤러는 헤드부가 매달려 있는 클로스 롤러 등의 크기가 커질수록 헤드부의 회전에 관계없이 러빙롤러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러빙롤러의 안정도가 높아질수록 클로스 롤러뿐만 아니라 클로스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헤드 프레임의 규모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러빙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러빙롤러의 안정도를 높이고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러빙 처리를 위한 글라스 기판에 투입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글라스 기판이 투입된 스테이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테이지 이송수단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위치 한 헤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러빙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는 헤드부를 구비한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중앙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헤드부의 양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헤드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 회전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밑판 위에 상기 헤드 프레임과 헤드부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올려지고, 상기 밑판의 양측에 브라켓에 의해 볼 스크류가 회전자재토록 설치되며, 상기 볼 스크류의 일측에 상기 밑판에 고정된 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볼 나사와 일체형의 커플링의 상부에 두 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의 캠 팔로우어가 상기 상판에 고정된 가동체의 가이드 홈에 내입될 수 있다.
상기 가동체의 가이드 홈은 상기 볼 스크류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저면의 양측에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전후면에는 브라켓에 의해 다수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되고, 상기 밑판의 전후면에는 상기 캠 팔로우어와 맞닿을 수 있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원호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캠 팔로우어는 상기 밑판의 수직면과 맞닿는 캠 팔로우어와 상기 밑판의 수평면과 맞닿는 캠 팔로우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밑판의 전후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가이드 홈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의 스토퍼(stopper)를 가지는 실린더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중앙의 전후방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보조 프레임이 각각 체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 위에 상기 헤드 회전수단이 설치되어, 러빙장치의 운송 및 반입시 러빙장치의 폭을 줄이고 메인 프레임 위의 헤드부 회전수단과 보조 프레임 위의 헤드부 회전수단의 정밀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턴링(turning) 동작에 의해 러빙롤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러빙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러빙롤러의 안정도를 높이고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와 도7 내지 도9는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는 스테이지(3)와 러빙롤러(4)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부 회전수단이 헤드부 업다운 수단(5) 및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과 함께 메인 프레임(1)에 고정된 보조 프레임(2)의 상부에 배치되어 헤드 프레임(7)과 러빙롤러(4) 등을 포함하는 헤드부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은 러빙장치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러빙 처리를 위한 글라스 기판이 투입된 스테이지(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경로)을 제공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는 스테이지(3)를 메인 프레임(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니어 모터가 배치되는데, 이 리니어 모터는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스테이지(3)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된 다수개의 고정자(영구자석)(8)와 스테이지(3)의 하부에 부착되어 고정자(8)와 한 쌍을 이루는 가동자(전자석)(9)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메인 프레임(1)과 스테이지(3) 사이에는 스테이지(3)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두 쌍 이상의 LM 레일(10)과 LM 가이드(11)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LM 레일(10)은 고정자(8)와 마찬가지로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스테이지(3)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이와 한 쌍을 이루는 LM 가이드(11)는 스테이지(3)의 하부에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전후면 중간부위에는 공간 확장을 위한 보조 프레임(2)이 고정되고, 이 보조 프레임(2)의 상부에는 헤드부를 회전 즉, 스테이지(3)와 러빙롤러(4)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부 회전수단과 헤드부를 업다운시키기 위한 헤드부 업다운 수단(5) 및 헤드부의 틸트를 조정하기 위한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프레임(2)은 메인 프레임(1)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2)과 헤드부 회전수단, 헤드부 업다운 수단(5) 및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 등은 헤드 프레임(7) 즉, 러빙롤러(4)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 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1)의 전후방 측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보조 프레임(2)을 체결하고,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 정밀 주행을 위한 스테이지(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프레임(2) 위에는 헤드부 회전수단과 헤드부 업다운 수단(5),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 헤드 프레임(7)과 러빙롤러(4)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보조 프레임(2)이 메인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 결합이 가능하므로 러빙장치를 운송하거나 반입시 러빙장치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이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 결합되므로 바닥면의 굴곡에 의한 메인 프레임(1)의 일그러짐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조 프레임(2)을 메인 프레임(1)에 조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불균일한 바닥면에 안착된 메인 프레임(1)에 별도로 만들어진 정밀 주행 프레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로써 정밀 주행 프레임 위를 주행하는 스테이지(3)는 바닥면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정밀 주행을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의 상부에 두 개의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을 이어주는 헤드 프레임(7)이 결합되고, 이 헤드 프레임(7)의 하부 즉,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6)의 양측으로 노출된 스핀들에는 러빙롤러(4) 양단의 롤 플랜지가 결합되며, 상기 스핀들 중 하나의 스핀들은 러빙롤러(4)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과 연결되어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지지되며, 다른 하나의 스핀들은 러빙롤러(4)의 용이한 분리 결합을 위해 실린더와 연결되어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자재토 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기 위해 러빙롤러(4)를 회전시킬 수 있을뿐더러 필요에 따라서는 러빙롤러(4)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러빙장치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 회전수단의 턴닝동작에 의해 헤드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헤드부 회전수단은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켜 TN모드(Twisted Nematic mode)나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의 러빙 처리가 가능하도록 해 준다.
여기서 TN모드(Twisted Nematic mode)는 스테이지 즉, 글라스 기판과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45°로 유지하여 러빙 처리하는 것이고,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는 스테이지 즉, 글라스 기판과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0°로 유지하여 러빙 처리하는 것을 일컫는다.
상기 TN모드(Twisted Nematic mode)에 의해 러빙 처리된 글라스 기판 즉, 패널은 잔상은 적지만 화면 왜곡현상이 있고 각도를 달리하여 보면 색이 번져보이거나 원래 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표현된다. 또한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에 의해 러빙 처리된 글라스 기판 즉, 패널은 색감은 좋으나 빠른 화면 전환시 약간의 잔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에 의해 스테이지와 러빙롤러의 각도를 0°∼5°까지 조정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프레임의 폭과 회전반경을 더 넓혀 스테이지와 러빙롤러의 각도를 45°까지도 조정 가능하다.
상기한 헤드부 회전수단은 TN모드(Twisted Nematic mode)나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의 러빙 처리를 위해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한편 각도의 미세 조정까지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헤드부 회전수단은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자동 혹은 수동 조절이 가능하다.
도10 내지 도20은 메인 프레임(1)의 전후방에 위치한 보조 프레임(2)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부 회전수단을 보인 것으로서 이 헤드부 회전수단은 수평 단면이 일정각도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두 장의 판을 구비한 두 개의 헤드부 회전수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11 및 도12에서는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헤드부 회전수단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헤드부 회전수단만을 도시한다.
상기 두 개의 헤드 회전수단은 헤드부 업다운 수단과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 및 헤드부 등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12)이 모터(14) 등과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보조 프레임(2) 위에 고정된 밑판(13) 위에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밑판(13) 상부의 양측에 서 있는 두 개의 브라켓(15)에는 볼 스크류(17)가 회전자재토록 결합되고, 이 볼 스크류(17)의 일측에는 볼 스크류(17)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모터(14)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모터(14)는 브라켓(16)에 의해 보조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브라켓(15)은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12)이 이동(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볼 스크류(17)에는 볼 스크류(17)의 회전에 따라 볼 나사(18)가 볼 스크류(1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고, 이 볼 나사(18)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커플링(19)의 상부에는 두 개의 캠 팔로우어(21)가 일정간격을 두고 볼 스크류(17)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이 커플링(19)의 캠 팔로우어(21)는 가동체(20)의 가이드 홈(22)에 내입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20)는 상판이나 상판에 고정된 헤드부 업다운 수단에 고정되고, 이 가동체(20)의 가이드 홈(22)은 가동체(20)가 볼 나사(18)와 커플링(19)과 함께 볼 스크류(1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볼 스크류(17)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수개의 캠 팔로우어(23)가 브라켓(24)에 의해 상판(12)의 양측 밑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판(12)이 밑판(13)의 상부에서 원호형상으로 이동할 때 상판(12)과 밑판(13)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저항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가동체(20)의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요홈(29)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홈(29)은 두 개의 캠 팔로우어(cam follower)(25)(26)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24)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요홈이다. 또한 밑판(13)의 전후면에는 두 개의 캠 팔로우어(25)(26)와의 접촉을 위한 수직면(27)과 수평면(28)이 가공되어 있다.
상기 수직면(27)은 밑판(13) 상면으로부터 수직 하향지게 연장된 면으로서 상판(12)의 안정적인 원호형상으로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수평면(28)은 수직면(27)으로부터 수평지게 연장된 면으로서 상판(12)의 안정적인 수평 이동을 안내 한다.
따라서 상판(12)이 밑판(13)의 상면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판(12)의 캠 팔로우어(23)가 밑판(13)의 상면에 맞닿고 상판(12)의 캠 팔로우어(26)가 상판(12)의 수직면(27)에 맞닿으며 상판(12)의 캠 팔로우어(25)가 상판(12)의 수평면(28)에 맞닿으므로 상판(12)이 상하 또는 전후로 진동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밑판(13)의 전후면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가이드 홈(30)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31)이 결합되고, 상판(12)의 전후면에는 가이드 블록(31)의 가이드 홈(30)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32)를 가지는 실린더(33)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스테이지와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후 외부 충격으로 조절된 각도가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21 및 도23은 헤드부 회전수단에 의해 스테이지(3)와 러빙롤러(4)가 이루는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5°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22 및 도24는 헤드부 회전수단에 의해 스테이지(3)와 러빙롤러(4)가 이루는 각도를 반시계방향으로 5°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헤드 프레임과 러빙롤러 그리고 스테이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헤드 프레임과 러빙롤러 스테이지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헤드 프레임과 러빙롤러 스테이지가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0은 헤드 회전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는 헤드 회전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은 헤드 회전수단의 평면도이다.
도14는 헤드 회전수단의 정면도이다.
도15는 헤드 회전수단의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4의 E-E선 단면도이다.
도21은 헤드(러빙롤러)를 시계방향으로 5°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헤드 회전수단의 평면도이다.
도22는 헤드(러빙롤러)를 반시계방향으로 5°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헤드 회전수단의 평면도이다.
도23은 헤드 회전수단에 의해 헤드(러빙롤러)가 시계방향으로 5° 회전된 상태를 보인 러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4는 헤드 회전수단에 의해 헤드(러빙롤러)가 반시계방향으로 5° 회전된 상태를 보인 러빙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인 프레임 2 : 보조 프레임
3 : 스테이지 4 : 러빙롤러
5 : 헤드부 업다운 수단 6 : 헤드부 틸트 조정수단
7 : 헤드 프레임 8 : 고정자
9 : 가동자 10 : LM 레일
11 : LM 가이드 12 : 상판
13 : 밑판 14 : 모터
15, 16, 24 : 브라켓 17 : 볼 스크류
18 : 볼 나사 19 : 커플링
20 : 가동체 21, 23, 25, 26 : 캠 팔로우어
22, 30 : 가이드 홈 27 : 수직면
28 : 수평면 29 : 요홈
31 : 가이드 블록 32 : 스토퍼
33 : 실린더

Claims (8)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러빙 처리를 위한 글라스 기판에 투입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글라스 기판이 투입된 스테이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테이지 이송수단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헤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러빙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글라스 기판을 러빙 처리하는 헤드부를 구비한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중앙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헤드부의 양단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러빙롤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헤드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회전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밑판 위에 상기 헤드 프레임과 헤드부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올려지고, 상기 밑판의 양측에 브라켓에 의해 볼 스크류가 회전자재토록 설치되며, 상기 볼 스크류의 일측에 상기 밑판에 고정된 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볼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볼 나사와 일체형의 커플링의 상부에 두 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의 캠 팔로우어가 상기 상판에 고정된 가동체의 가이드 홈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의 가이드 홈은 상기 볼 스크류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저면의 양측에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판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전후면에는 브라켓에 의해 다수개의 캠 팔로우어가 설치되고, 상기 밑판의 전후면에는 상기 캠 팔로우어와 맞닿을 수 있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원호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우어는 상기 밑판의 수직면과 맞닿는 캠 팔로우어와 상기 밑판의 수평면과 맞닿는 캠 팔로우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전후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가이드 홈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의 스토퍼(stopper)를 가지는 실린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중앙의 전후방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보조 프레임이 각각 체결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 위에 상기 헤드 회전수단이 설치되어, 러빙장치의 운송 및 반입시 러빙장치의 폭을 줄이고 메인 프레임 위의 헤드부 회전수단과 보조 프레임 위의 헤드부 회전수단의 정밀 주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KR1020080025318A 2008-03-19 2008-03-19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KR20090099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18A KR20090099989A (ko) 2008-03-19 2008-03-19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18A KR20090099989A (ko) 2008-03-19 2008-03-19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89A true KR20090099989A (ko) 2009-09-23

Family

ID=4135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18A KR20090099989A (ko) 2008-03-19 2008-03-19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9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15B1 (ko) * 2012-05-21 2013-04-26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스테이지 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러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15B1 (ko) * 2012-05-21 2013-04-26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스테이지 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러빙장치
WO2013176311A1 (ko) * 2012-05-21 2013-11-28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스테이지 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러빙장치
CN103547964A (zh) * 2012-05-21 2014-01-29 Wi-A株式会社 工作台旋转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摩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612B1 (ko) 배향막의 러빙장치
US10209559B2 (en) Dismantl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with driving component included
JP5506631B2 (ja) ラビング装置
KR20090099989A (ko)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
KR101026273B1 (ko) 러빙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한 액정 표시 소자
KR200472388Y1 (ko) 기판 반송장치
JP2006251506A (ja) フレキシブルフィルムの配向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90099996A (ko) 러빙장치의 헤드부 기울기 조정을 위한 구조
CN202093282U (zh) 一种液晶显示用摩擦装置
CN101770115B (zh) 取向膜摩擦工艺及设备
TW200846791A (en) Rubbing device
KR101258415B1 (ko) 스테이지 회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러빙장치
KR20090015497A (ko) 러빙 장치
CN110007525B (zh) 一种基板的加电装置和基板的加电组件
KR20090099993A (ko) 러빙장치의 헤드부를 업다운 시키기 위한 구조
KR20090039433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921234B1 (ko) 러빙장치에서 스핀들과의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의 구조
WO2014183378A1 (zh) 取向装置
KR20080106600A (ko) 러빙 스테이지 상의 글라스기판 정렬장치와 방법
JP2005338172A (ja) 大型ラビ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て製造した液晶表示素子
KR101171981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20180083714A (ko) 연마패드 교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대면적 기판 연마 장치
KR20130002570A (ko) 기판 자동 실링장치의 실링유닛
KR20120122794A (ko) 러빙장치 및 러빙방법
CN207780437U (zh) 一种配向膜印刷版对位安装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