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488A -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488A
KR20090095488A KR1020090017957A KR20090017957A KR20090095488A KR 20090095488 A KR20090095488 A KR 20090095488A KR 1020090017957 A KR1020090017957 A KR 1020090017957A KR 20090017957 A KR20090017957 A KR 20090017957A KR 20090095488 A KR20090095488 A KR 2009009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file
files
menu
attribu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쯔노리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접속처의 전자 기기에 특수한 구성을 요구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DSC(1)는, 화상의 전송 지시를 받으면, 화상 파일 지정 메뉴 화면(20)을 표시한다. 유저에 의한 화상 파일의 지정에 따라서, 프로토콜로서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PTP 중 어느 쪽을 이용할지가 판단된다. DSC(1)는, PTP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에게 지정된 화상 파일에만, ObjectHandle을 발행한다. DSC(1)는, USB 케이블(6)에 의한 PC(5)와의 접속 후, 판단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지정된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PC(5)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PC(5)의 표시부에, 지정된 화상 파일의 정보만이 표시된다.
전자 기기, DSC(디지털 스틸 카메라), USB 커넥터, 식별 정보, 속성 정보

Description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ELECTRONIC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 그 전자 기기에서의 송신 방법 및 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억 매체를 내장한 DSC(Digital Still Camera) 등의 전자 기기로부터, 그 기억 매체에 기억된 화상 파일 등의 데이터를,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다른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전송원의 전자 기기와 전송처의 전자 기기가 예를 들면 USB 등의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된 후, 전송처의 전자 기기는, 전송 데이터 바로 그 자체의 수신에 앞서서, 예를 들면 PTP(Picture Transfer Protocol)나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원의 전자 기기로부터 기억 매체에 기억된 모든 파일의 속성 정보(파일명, 파일 사이즈, 계층 구조 등)를 취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전자 기기가 내장하는 기억 매체의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억 매체에 기억 가능한 파일의 수도 팽대되어 있다. 따라서, 전송 가능한 파일 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데이터 전송처의 전자 기기가, 전술한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데 요하는 시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속성 정보의 전송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술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파일의 파일 엔트리를 캐시해 놓고,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었을 때에 그 파일 엔트리에 기초하여 전송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촬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촬상 장치는, 사전에 파일 엔트리를 캐시해 둠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가 유저에게 응답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686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촬상 장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하여 미리 전송 정보를 생성하고, 일괄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하고 있다.
이것을 위해, 정보 처리 장치측은 일괄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로직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촬상 장치에서는, 유저가 전송을 희망하지 않는 파일에 대한 전송 정보도 전송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원하는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 촬상 장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파일이 검색의 대상으로 되어, 효율이 나쁘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처의 전자 기기에 특수한 구성을 요구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된 관점에 따른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어, 다른 전자 기기는 특수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만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선택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접속처의 다른 전자 기기는, 그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원하는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서 원하는 파일만을 검색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파일만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정보란, 파일명, 파일 사이즈, 계층 구조 등의 정보이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파일에 대해서만 식별 정보가 생성되어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되기 때문에, 이 식별 정보를 기초로, 다른 전자 기기에,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란, 예를 들면 USB 접속에서의 오브젝트 핸들이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원하는 파일을 지정시키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뉴 화면상에서 유저에게 원하는 파일을 지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생성 수단이, 이 메뉴 화면상에서 지정된 파일에 식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그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다른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기억된 파일의 모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 임의의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 모든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유저가 제1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시 수단은, 개별의 파일 을 유저를 인식할 수 있는 양태로 표시하여, 유저에게 선택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메뉴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표시된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 임의의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 표시 수단에 직전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파일을 복수의 그룹마다 기억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복수의 그룹 중으로부터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 임의의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지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그룹이란, 예를 들면 폴더나 이벤트이다.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표시된 선택 메뉴상에서,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제1 송신 속도를 갖는 제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1 송신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송신 속도를 갖는 제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프로토콜보다도 송신 속도가 빠른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대용량의 속성 정보를 고속으로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이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또는 MTP(Media Transfer Protocol)이며, 상기 제2 프로토콜은,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이어도 된다.
PTP 및 MTP는, 통신시의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토콜이며,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는, 통신 속도 및 액세스빌리티가 우수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전자 기기는, 제1 메뉴와 제2 메뉴 중 어느 것이 선택될지에 따라서, 이 2개의 프로토콜의 서로 다른 이점을 살려서 속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PTP를 이용하여 지정된 속성 정보를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제2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대용량의 속성 정보를 고속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송신 방법은,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의 송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한다.
이 송신 방법에서는, 기억된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만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선택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접속처의 다른 전자 기기는, 그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가 원하는 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서 원하는 파일만을 검색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파일만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방법은,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하는 스텝을 더 제어하고,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이,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여도 된다.
이 송신 방법에서는,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파일에 대해서만 식별 정보가 생성되어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되기 때문에, 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기기에,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은,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에,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킨다.
이 프로그램이 실행시키는 각 스텝에 의해, 전자 기기는, 기억된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만을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선택적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유저는, 다른 전자 기기에서 원하는 파일만을 검색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파일만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기기에,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하는 스텝을 제어하는 스텝을 더 실행시키고,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이,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여도 된다.
이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각 스텝에 의해, 전자 기기는, 복수의 파일 중,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파일에 대해서만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기 때문에, 이 식별 정보를 기초로, 다른 전자 기기에,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처의 전자 기기에 특수한 구성을 요구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파일의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DSC(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적용하고 있 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를 적용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SC의 정면측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그 DSC의 배면측(조작면측)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DSC(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면의 하부에, 외부 접속용 인터페이스의 USB 커넥터(2)를 갖는다. 또한 DSC(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LCD(Liquid Crystal Display)(3)와, 설정 버튼(41), 화상 지정 메뉴 기동 버튼(42), 십자 키(43), 결정 버튼(44), 줌 버튼(45), 촬영/재생 모드 절환 스위치(46), 셔터 버튼(47)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4)를 갖는다. 화상 지정 메뉴 기동 버튼(42)은, LCD(3)에, 후술하는 화상 지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과, 다른 전자 기기와의 접속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SC(1)와, 다른 전자 기기의 예로서의 PC(Personal Computer)(5)는, USB 케이블(6)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즉, DSC(1)와 PC(5)는, DSC(1)를 디바이스, PC(5)를 호스트로 하여, USB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SC(1)는, 상기 LCD(3), USB 커넥터(2) 외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7), 메인 메모리(8), 플래시 메모리(9), USB 컨트롤러(10), USB P HY(Physical Layer)(11), 기록 미디어(12)를 갖고, 이들은 각각 시스템 버스(13)에 접속되어 있다.
LCD(3)는, CPU(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예를 들면 피사체의 촬상 전의 화상이나, 촬상한 정지 화상 파일 또는 동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나, 조작용의 메뉴(GUI; Graphical User Interface)나, 후술하는 화상 지정 메뉴 화면 등의 표시를 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DSC(1)는, 이 LCD(3) 대신에 예를 들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표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조작 입력부(4)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그 입력된 조작에 따른 신호를 CPU(7) 등에 보낸다. 조작 입력부(4)는, LCD(3)와 일체로 된 터치 패널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USB 케이블(6)은, DSC(1)의 USB 커넥터(2)와 PC(5)의 USB 커넥터(14)에 접속됨으로써, DSC(1)와 PC(5)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CPU(7)는, 필요에 따라서 메인 메모리(8) 등의 각 블록에 액세스하고, 각종연산 처리를 행하여 DSC(1)의 각 블록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CPU(7)는, 유저가 전송을 원하는 파일이 지정되면, 식별 정보(후술하는 ObjectHandle)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혹은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PC(5)의 USB 커넥터(14)로부터는, VBUS 신호라 불리는 USB 호스트 접속 검출용의 신호선이 출력되어 있으며, 이 VBUS 신호에 의해, CPU(7)는, USB 케이블(6)을 통해서 PC(5)가 USB 커넥터(2)에 접속된 것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메모리(8)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CPU(7)의 각종 데이터 처리 시의 작업 영역으로서, 데이터나 프 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버튼(47)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일단 메인 메모리(8)에 읽어내어지고, 그 후 기록 미디어(12)에 기입된다.
플래시 메모리(9)는, CPU(7)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나,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 파일 외, 후술하는 PC(5)에 전송 가능하게 하는 화상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PTP 또는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이용한 통신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기억한다.
USB 컨트롤러(10)는, CPU(7)와 협동하여, USB PHY(11)에 의한, PTP 또는 매스 스토리지에 기초하는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USB PHY(11)는, CPU(7) 및 USB 컨트롤러(10)와 함께, 신호의 송수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USB PHY(11)는, CPU(7) 등의 각 블록으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예를 들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에 의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USB 커넥터(2)에 공급한다. 또한 USB PHY(11)는, USB 커넥터(2)가 PC(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입력받고, 그 신호를, 예를 들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에 의해, CPU(7) 등의 각 블록을 취급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각 블록에 공급한다.
기록 미디어(12)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고,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 파일, 그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 및 썸네일 화상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화상 파일은,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등의 형식에 의해 기억된다. 기록 미디어(12)는, 화상 파일을, 예를 들면 폴더마다 또는 이벤트마다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미디어(12)는, DSC(1)에 착탈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의 형태이어도 되고, DSC(1)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시스템 버스(13)는, CPU(7) 등의 각 블록을 서로 접속하고, 각각의 블록간에서의 신호의 수수를 가능하게 한다.
PC(5)는, USB 커넥터(14)와, 예를 들면, CPU, ROM, RAM, HDD(Hard Disk Drive), 표시부, 조작 입력부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정보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갖는다. PC(5)는, USB 케이블(6)에 의해 DSC(1)와 접속되면, 플러그 앤 플레이에 의해 DSC(1)를 인식한다. PC(5)가 USB 케이블(6)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는 USB 커넥터(14)에 의해 변환되고, CPU에 의한 연산 처리 등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DSC(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DSC(1)는,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예를 들면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을 기록 미디어(12)에 기억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파일명, 파일 사이즈, 계층 구조 등의 정보가 속성 정보로서 생성되고, 화상 파일과 함께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다.
유저가,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상기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하는 경우, 화상 파일의 전송에 앞서, 각 화상 파일에 생성된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된다. 그 후, PC(5)에 대한 유저의 조작 혹은 PC(5)의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등에 의해, 송신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파일 본체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하에, DSC(1)의 상기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속성 정보의 송신 처리의 대략적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SC(1)는, 조작 입력부(4)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화상 파일 중으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화상 파일을 지정한다(스텝 31).
다음으로, DSC(1)는, USB 케이블(6)에 의해, PC(5)와 접속한다(스텝 32).
다음으로, DSC(1)는, PTP 또는 USB 매스 스토리지의 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개시한다(스텝 33).
그리고, DSC(1)는, 스텝 31에서 지정된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PC(5)에 송신한다(스텝 34).
이상의 스텝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됨으로써, PC(5)의 표시부 상에 화상 파일 본체의 정보가 예를 들면 GUI에 의해 표시되고, 그 화상 파일의 취급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DSC(1)에 의한 상기 스텝 31에서의 화상 파일의 지정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DSC(1)에 의한 화상 파일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CPU(7)는, 유저로부터의 파일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취지의 지시를 받는다(스텝 101). 이 지시는, 예를 들면 DSC(1)가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조작 입력부(4)의 촬영/재생 모드 절환 스위치(46)에의 조작에 의해 재생 모드로 천이하고, 그 후 화상 지정 메뉴 기동 버튼(42)이 압하됨으로써 입력된다. 조작 입력부(4)가 터치 패널로서 실현되는 경우에는, LCD(3) 상에 표시되는 화상 지정 메뉴를 기동하기 위한 항목이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상기 지시가 입력된다.
스텝 101의 지시를 받으면, CPU(7)는, LCD(3)에 화상 지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스텝 102).
도 6은, LCD(3)에 표시되는 화상 지정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지정 메뉴 화면(20)은, 「모든 화상」메뉴(21), 「이 화상」메뉴(22), 「화상 지정」메뉴(23) 및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의 각 메뉴를 갖는다. 유저가 조작 입력부(4)의 십자 키(43) 및 결정 버튼(44)을 압하함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메뉴가 선택된다. 이하에 각 메뉴를 설명한다.
「모든 화상」메뉴(21)는, DSC(1)의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이 「모든 화상」메뉴(21)가 선택된 경우, 모든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된다.
「이 화상」메뉴(22)는, 해당 메뉴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표시된 1매의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이 「이 화상」메뉴(21)가 선택된 경우, 해당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된다.
「화상 지정」메뉴(23)는, 유저에 의해 지정되는 임의의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이 「화상 지정」메뉴(23)가 선택되고, 임의의 화상 파일이 지정된 경우, 해당 지정된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된다.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는, 유저에 의해 지정되는 임의의 폴더 또는 이벤트내의 모든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이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가 선택되고, 임의의 폴더 또는 이벤트가 지정된 경우, 해당 지정된 폴더 또는 이벤트 내의 모든 파일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PC(5)에 송신된다.
여기에서, 폴더 또는 이벤트는, 촬영 등에 의해 화상 파일이 작성될 때에, 화상 파일의 정리 등의 목적으로, 작성된다. 폴더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의해, 혹은 화상 파일의 촬영일마다나 촬영 모드마다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이벤트도, 예를 들면 촬영 일시나 촬영 모드마다 추출된다. 또한, 이벤트는, 화상간의 휘도나 색도의 차분 추출 처리나 클러스터링 처리 등에 의해 유사 화상을 검색하고, 예를 들면 스포츠나 결혼식 등의 이벤트를 검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추출되어도 된다. DSC(1)가 폴더 또는 이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추출)하는 경우에는, DSC(1)는, 폴더 또는 이벤트를 화상 파일의 전송 처리가 개시되기 전에 작성(추출)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가 선택되었을 때에, DSC(1)가 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추출하여도 된다.
도 5로 되돌아가, CPU(7)는, 상기 스텝 102에서 표시된 화상 지정 메뉴 화 면(20) 상에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모든 화상」메뉴(21)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3). 「모든 화상」메뉴(21)가 선택된 경우('예'), CPU(7)는, PC(5)와의 USB 통신 프로토콜로서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이용하는 매스 스토리지 모드를 설정한다(스텝 109). 「모든 화상」 메뉴(21)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CPU(7)는, 화상 지정 메뉴 화면(20) 상에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이 화상」 메뉴(22)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4).
「이 화상」메뉴(22)가 선택된 경우('예'), PC(5)와의 USB 통신 프로토콜로서 PTP를 이용하는 PTP 모드를 설정한다(스텝 110).
스텝 104에서 「이 화상」메뉴(22)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CPU(7)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화상 지정」메뉴(23)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5). 「화상 지정」 메뉴(23)가 선택된 경우('예'), CPU(7)는, 유저에게 임의의 화상 파일을 지정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스텝 107).
스텝 105에서 「화상 지정」메뉴(23)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CPU(7)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6).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가 선택된 경우('예'), CPU(7)는, 유저에게 폴더 또는 이벤트(내의 화상 파일 모두)를 지정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스텝 108). 어느 쪽의 메뉴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CPU(7)는, 스텝 102로 되돌아가, 상기 스텝 103∼스텝 106의 판단을 반복한다.
상기 스텝 107에서는, CPU(7)는,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12)에 기록된 화상 파일을 LCD(3)에 일람 표시하여, 유저에게 화상 파일을 지정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경우, 이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파일을, 썸네일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이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파일의 작성일 등에 의해, 일람 표시된 화상 파일을 유저가 좁혀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유저는 일람 표시된 화상 파일 내에서 1개 혹은 복수의 화상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스텝 107에서, 화상 파일이 지정되면, CPU(7)는, PC(5)와의 통신 모드를 PTP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110).
상기 스텝 108에서는, CPU(7)는, 기록 미디어(12) 내의 폴더 또는 이벤트를 LCD(3)에 표시하여, 유저에게 원하는 폴더 또는 이벤트를 지정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폴더 또는 이벤트를 일람 표시하고, 유저에게 1개 혹은 복수의 그룹을 지정시킴으로써, 지정된 폴더 또는 이벤트 내의 모든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 스텝 108에서, 폴더 또는 이벤트가 지정되면, CPU(7)는, PC(5)와의 통신 모드를 PTP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110).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103에서, 「모든 화상」메뉴(21)가 선택된 경우에는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에 의한 통신 모드가 설정된다(스텝 109).
일반적으로,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에서는, 호스트가, 디바이스의 기록 미디어를 리무버블 스토리지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기록 미디어가 기억하는 모든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가 호스트에 송신되지만,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는, PTP보다도 통신 속도나 액세스빌리티(호스트의 OS상에서 디바이스의 기록 미디어상의 파일의 복제나 삭제가 가능)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DSC(1)는, 기록 미디어(12)의 모든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하게 할 때에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 좋게 전송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토콜로서 PTP보다도 통신 속도가 빠른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스텝 109에서는, CPU(7)는, 후에 접속되는 PC(5)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사용한다고 하는 취지를 응답하도록, 예를 들면 후술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터의 bInterfaceClass 필드의 값을 0X08로 설정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CPU(7)는, DSC(1)을 PC(5)에 USB 케이블(6)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재촉하는 화면을 LCD(3)에 표시한다(스텝 112). 도 7은, 이 접속을 재촉하는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유저에 의해, USB 커넥터(2)와 USB 커넥터(14)가 USB 케이블(6)을 통해 접속되면, CPU(7)는,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를 프로토콜로서 이용하여,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PC(5)에 송신한다(스텝 114).
구체적으로는, USB 접속이 PC(5)의 물리층에서 검지되면, PC(5)는 DSC(1)가 접속된 포트를 연다. PC(5)는 어드레스 0에 대하여 표준 디바이스 리퀘스트를 요구한다. 이 표준 디바이스 리퀘스트에 대하여 DSC(1)가 전술한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응답하면, DSC(1)는 PC(5)에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의 디바이스인 것으로 인식되고, DSC(1)에 유니크한 어드레스가 할당됨과 함께, 디바이스 디스크립터의 정보로부터 관련된 드라이버가 로드된다.
그 후, PC(5)와 DSC(1) 사이에서, CBW(Command Block Wrapper), CSW(Command Status Wrapper) 등의 커맨드가 교환되고,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모든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송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104, 107, 108에서, 유저에 의해 화상 파일이 지정된 경우, PTP에 의한 통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PTP에서는, 대응하는 기기끼리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인스톨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어, 접속처의 전자 기기에 파일을 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기록 매체 내부의 구성을 그대로 투영한 형태로 통신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PTP 통신 수순에 따르면, 기록 미디어(12)에 대량의 화상 파일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PC(5)에 DSC(1)가 인식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여, 쌍방의 기기에 처리의 부하가 걸린다. 또한, 유저가 PC(5)에서, 화상 파일을 검색, 열람 등을 행할 때, 불필요한 화상 파일도 취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DSC(1)는, PC(5)에, 유저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만이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되어 있도록 인식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 스텝 110에서는, CPU(7)는, 후에 접속되는 PC(5)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PTP를 사용한다고 하는 취지를 응답하도록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CPU(7)는, 상기 스텝 104, 105, 106에서 지정된 화상 파일 혹은 폴더/이벤트에 식별 정보를 발행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111). PTP 규격에서는, 폴더나 파일 등은 일률적으로 「Object」라고 하는 단위로 취급된다. 상기 식별 정보란, 이 Object를 DSC(1) 및 PC(5)가 식별하기 위해 일의로 할당되는 ObjectHandle이다.
도 8은, DSC(1)에 의한 ObjectHandle의 발행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한 종래의 DSC에서는, 기록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Object 각각에 ObjectHandle이 발행되는 것에 대하여, 도 8의 (b)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DSC(1)에서는, 유저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Object에는 ObjectHandle이 발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DSC(1)는, ObjectHandle을, 지정된 화상 파일에만 발행함으로써, 기록 미디어(12) 내에는 ObjectHandle이 발행된(즉, 유저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만이 기억되어 있다고 PC(5)에 인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CPU(7)는, 상기 스텝 112 및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DSC(1)를 PC(5)에 USB 케이블(6)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재촉하는 화면을 LCD(3)에 표시한다(스텝 113). 유저에 의해, USB 커넥터(2)와 USB 커넥터(14)가 USB 케이블(6)에 의해 접속되면, CPU(7)는, PTP를 프로토콜로서 이용하여,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PC(5)에 송신한다(스텝 115).
구체적으로는, USB 접속이 PC(5)의 물리층에서 검지되면, PC(5)로부터 PTP에 준거하는 커맨드가 발행된다. 도 9에 호스트로서의 PC(5)와 디바이스로서의 DSC(1) 사이의, 커맨드의 교환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PC(5)가 GetDeviceInfo 커맨드에 의해 디바이스의 정보를 요구하면(스텝 81), DSC(1)는 자신의 제품명, 버전, 스펙 등의 디바이스 정보를 회신한다(스텝 82). 계속해서, PC(5)가 OpenSession 커맨드에 의해 PTP 통신을 위한 Session을 여는 것을 요구하면(스텝 83), DSC(1)는 이것에 응답하여 Session을 열고,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84).
계속해서, PC(5)가 GetStorageIDs 커맨드에 의해 유효한 스토리지 미디어마 다의 ID를 요구하면, DSC(1)는, 자신의 유효한 스토리지 미디어인 기록 미디어(12)의 ID를 회신한다(스텝 86). 계속해서, PC(5)가 GetStorageInfo 커맨드에 의해 기록 미디어(12)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면(스텝 87), DSC(1)는, 기록 미디어(12)에 관한 정보를 회신한다(스텝 88).
계속해서, PC(5)가, GetNumObject 커맨드에 의해,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Object의 수를 조회한다(스텝 89). 이것에 대하여, DSC(1)는, 상기 도 5의 스텝 111에서 ObjectHandle을 발행한 Object만의 수를 응답한다(스텝 90). 이 GetNumObject 커맨드는, 예를 들면, PC(5)가 ObjectHandle을 수신하기 전에, ObjectHandle의 버퍼에 필요한 대략적인 용량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에 이용된다.
계속해서 PC(5)가 GetObjectHandle 커맨드에 의해 ObjectHandle을 요구하면(스텝 91), DSC(1)는, 지정된 화상 파일의 ObjectHandle을 회신한다(스텝 92). 계속해서, PC(5)가 GetObjectInfo 커맨드에 의해 ObjectHandle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요구하면(스텝 93), DSC(1)는, ObjectHandle에 대응하는 화상 파일의 속성 정보를 회신한다(스텝 94).
계속해서, PC(5)가 GetThumb 커맨드에 의해 ObjectHandle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의 썸네일 화상을 요구하면(스텝 95), DSC(1)는, 그 ObjectHandle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의 썸네일 화상을 기록 미디어(12)로부터 읽어내어 PC(5)에 송신한다(스텝 96).
이상의 처리에 의해, PC(5)의 표시부 상에는,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화 상 파일 중, 상기 지정된 화상 파일만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의 GUI, 썸네일 화상, 파일명, 파일 사이즈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24)에 의해 폴더가 선택된 경우에는, PC(5)의 표시부 상에는 그 폴더를 나타내는 아이콘도 표시된다.
그 후, 예를 들면 이 GUI 상에서, 유저의 드래그 앤 드롭 조작 등에 의해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하는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는, PC(5)는, GetObject 커맨드에 의해 ObjectHandle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의 실 데이터를 요구한다(스텝 95). 그리고, DSC(1)는, 그 ObjectHandle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을 기록 미디어(12)로부터 읽어내어 PC(5)에 송신한다(스텝 96). PC(5)는, 수신한 화상 파일을,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예를 들면 HDD 내의 기억 장소에 기억한다.
또한, PC(5)가 실행하는 화상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록 미디어(12)의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화상 전송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전송을 지시하면, 상기 스텝 81∼98의 세션이 일련의 처리로서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DSC(1)와 PC(5)의 접속시에, 유저가 원하는 화상 파일만의 속성 정보를 PC(5)에 송신함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화상 파일에 관한 정보만을 PC(5) 상에서 표시시킬 수 있다. 즉, DSC(1)는, PC(5)에, DSC(1)의 기록 미디어(12)에 기록된 화상 파일이, 마치 전술한 처리에서 지정된 화상 파일만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DSC(1)는, PC(5)가 화상 파일을 인식할 때까지의 유저의 대기 시간을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대량의 화상 파일로부터 원하는 화 상 파일을 검색한다고 하는 유저의 번거로움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DSC(1)의 유저가, 기록 미디어(12)에 기억된 화상 파일을 PC(5) 상에서 다른 유저에게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파일의 지정에 의해, 다른 유저에게 공개하여도 되는 화상 파일과 은폐하고자 하는 화상 파일을 구별하여, 공개하여도 되는 화상 파일만을 다른 유저에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모든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 가능으로 할지의 여부에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을 PTP와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사이에서 절환함으로써, 각 프로토콜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전송 처리를 보다 효율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그 프로토콜의 절환을 유저에게 의식시키지 않게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는,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실시 형태가 고려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DSC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전자 기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등이어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DSC(1)와 PC(5)가 USB 케이블(6)에 의해 유선 접속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DSC(1)와 PC(5)는, UWB(Ultra Wide Band)를 이용한 WUSB(Wireless USB)나, PTP/IP 등에 의해 무선 접속되어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DSC(1) 및 PC(5)에, USB 커넥터(2)와 USB 커넥터(14) 대신에, 소정 주파수 대 역의 반송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모듈을 설치하면 된다.
이들 무선 접속을 이용하는 경우, 유선 접속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통신이 도중에 끊기기 쉬운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DSC(1)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스텝 109에서, 프로토콜 모드로서 매스 스토리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도, 스텝 112에서, PC(5)와의 무선 접속이 시도된 것을 인식한 경우에는, 프로토콜 모드를 PTP 모드로 절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무선 접속에 의한 화상 파일의 전송 처리중에 통신이 도중에 끊긴 경우이어도, 데이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DSC(1)가, 상기 스텝 104∼106에서 지정된 화상 파일을 PC(5)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PTP(Pictur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DSC(1)는, 이 경우, PTP를 확장한 MTP(Media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 파일만이 아니라, 음악 파일이나 동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DSC(1)와 PC(5)를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USB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는, USB 이외에도, 예를 들면 Ethernet(등록 상표), 무선 LAN(IEEE802.11), Bluetooth,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SC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DSC의 배면측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DSC의 구성과, PC와의 접속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속성 정보의 송신 처리의 대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화상 파일 지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LCD에 표시되는 화상 지정 메뉴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LCD에 표시되는, PC와의 접속을 재촉하는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ObjectHandle의 발행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PC와 DSC간의 PTP 커맨드의 교환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SC
2, 14: USB 커넥터
3: LCD
4: 조작 입력부
5: PC
6: USB 케이블
7: CPU
9: 플래시 메모리
10: USB 컨트롤러
11: USB PHY
12: 기록 미디어
20: 화상 지정 메뉴 화면
21: 「모든 화상」메뉴
22: 「이 화상」메뉴
23: 「화상 지정」메뉴
24: 「폴더/이벤트 내 모든 화상」메뉴
42: 화상 지정 메뉴 기동 버튼

Claims (12)

  1.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파일을 지정시키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기억된 파일의 모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전자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메뉴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표시된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전자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파일을 복수의 그룹마다 기억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1 메뉴와, 상기 복수의 그룹 중으로부터 특정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전자 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표시된 선택 메뉴 상에서,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제1 송신 속도를 갖는 제1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1 송신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송신 속도를 갖는 제2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이고,
    상기 제1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또는 MTP(Media Transfer Protocol)이며,
    상기 제2 프로토콜은,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인 전자 기기.
  9.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에서의 송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조작을 입력받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하는 스텝을 더 제어하고,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은,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방법.
  11. 다른 전자 기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에,
    복수의 콘텐츠의 파일과, 상기 복수의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된 파일 중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지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와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지정된 파일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정된 파일의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스텝
    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상기 복수의 파일을 각각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파일 중 상기 지정되지 않은 파일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생성하는 스텝을 더 제어하는 스텝
    을 더 실행시키고,
    상기 속성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은, 상기 속성 정보의 송신에 앞서,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프로그램.
KR1020090017957A 2008-03-04 2009-03-03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900954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2850 2008-03-04
JP2008052850A JP2009212743A (ja) 2008-03-04 2008-03-04 電子機器、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88A true KR20090095488A (ko) 2009-09-09

Family

ID=4079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57A KR20090095488A (ko) 2008-03-04 2009-03-03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28833A1 (ko)
EP (1) EP2099197A1 (ko)
JP (1) JP2009212743A (ko)
KR (1) KR20090095488A (ko)
CN (1) CN101527791A (ko)
TW (1) TW2009458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432A (ko) * 2012-04-18 2015-01-07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US10440423B2 (en) 2011-09-22 2019-10-08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789A (ko) * 2006-09-01 200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쇼 점프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307029B2 (en) * 2007-02-12 2016-04-05 Broadcom Corporation Protocol extensions for generic advisory information, remote URL launch, and applications thereof
JP5574633B2 (ja) * 2009-07-27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イル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10541B2 (ja) * 2009-12-01 2012-12-26 Nec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コンテンツ選択システム、提供装置、転送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プログラム
KR101930510B1 (ko) * 2011-09-16 2018-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객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5875363B2 (ja) * 2011-12-27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CN103888841B (zh) * 2013-04-01 2017-07-07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显示文件信息的方法以及电视
CN104866233B (zh) * 2014-02-20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一种电子设备
DE102016119446A1 (de) * 2016-10-12 2018-04-12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Schnittstellenanordnung zum Anschluss eines Peripheriegeräts an eine Schnittstelle eines Host-Systems, Verfahren und elektronisches Gerät, insbesondere Computersystem
JP6858069B2 (ja) * 2017-05-02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7091613B2 (ja) * 2017-07-05 2022-06-2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カメラ装着ドローン、およびモード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095871A (ja) * 2017-11-20 2019-06-20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情報モニタ、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360433B (zh) * 2020-03-06 2024-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41A (ja) * 1997-07-07 1999-01-2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080071973A1 (en) * 2000-01-06 2008-03-20 Chow David Q Electronic data flash card with various flash memory cells
US7327387B2 (en) * 2000-02-21 2008-02-05 Fujifilm Corporation Image pick-up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US6950198B1 (en) * 2000-10-18 2005-09-27 Eastman Kodak Company Effective transfer of images from a user to a service provider
JP3622691B2 (ja) * 2001-04-06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7154535B2 (en) * 2001-07-13 2006-1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camera capable of directly accessing images recorded on another digital camera
JP2003198833A (ja) * 2001-12-27 2003-07-11 Canon Inc 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機器装置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3283901A (ja) * 2002-03-25 2003-10-03 Ricoh Co Ltd 画像データの転送方法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7194690B2 (en) * 2003-04-17 2007-03-20 Lenovo (Singapore) Pte. Ltd. Remote support for comput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JP4350476B2 (ja) * 2003-09-24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読取装置
JP2005276016A (ja) * 2004-03-26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ファイル管理装置
JP4371966B2 (ja) 2004-09-16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と通信システム
KR100886692B1 (ko) * 2004-09-16 2009-03-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파일 송신 장치와, 파일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JP4262186B2 (ja) * 2004-10-21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7148802A (ja) * 2005-11-28 2007-06-14 Canon Inc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15961B2 (ja) * 2006-03-15 2010-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装置およびデ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4745917B2 (ja) 2006-08-25 2011-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US7728885B2 (en) * 2006-09-29 2010-06-01 Van Schalkwyk Mark System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digital imag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0423B2 (en) 2011-09-22 2019-10-08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50002432A (ko) * 2012-04-18 2015-01-07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12743A (ja) 2009-09-17
US20090228833A1 (en) 2009-09-10
EP2099197A1 (en) 2009-09-09
TW200945882A (en) 2009-11-01
CN101527791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5488A (ko) 전자 기기,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US6943842B2 (en) Image browsing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8131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n electronic image manager device
US20140173455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KR20020053865A (ko) 사진 슬라이드 쇼 투사기로서의 독립형 모니터
US90193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06929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6152797B2 (ja) 画像閲覧システム、受信側携帯端末、画像サーバ、および画像閲覧方法
WO2022037211A1 (zh) 显示设备、文件同步方法
JP4323610B2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264600B2 (ja) 転送先機器、転送元機器及び画像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2003108976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切替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H09163209A (ja) デジタルカメラ,撮像装置,および撮像手段制御装置
US20130268898A1 (en) Image Folder Transmission/Playing Device and Image Folder Transmission/Playing Program
JP2004080538A (ja) 画像通信装置、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通信方法
JP2006340150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一覧更新方法
JP2009044626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395550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データ通信方法、プログラム
JP6666557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よる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39403B2 (ja) デジタルカメラ、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20090048795A (ko) 파일 전송시스템 및 그 파일 관리방법
KR101171997B1 (ko) 프린터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프린터의 인쇄 제어방법
JP546078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224994B2 (ja)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5468A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