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847A - 디지털 agc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agc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847A
KR20090088847A KR1020097004728A KR20097004728A KR20090088847A KR 20090088847 A KR20090088847 A KR 20090088847A KR 1020097004728 A KR1020097004728 A KR 1020097004728A KR 20097004728 A KR20097004728 A KR 20097004728A KR 20090088847 A KR20090088847 A KR 2009008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ltiplier
outputting
output
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아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신호의 평균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디지털 AGC장치로서, 동상신호와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승산기와, 직교신호와 상기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승산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이 임계값 신호에 의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인에이블신호를 유효로 하여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유효일 경우에,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 제곱 합의 시간적 평균을 구하고 출력하는 제곱합 평균부와, 기준신호와 상기 제곱합 평균부의 연산결과 사이의 차를 구하여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평활화하여 상기 필터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루프필터부를 구비한다.
Figure 112009013754171-PCT00001
디지털 AGC, 제곱합 평균, 루프필터, 전송로 품질 추정, 기준신호생성

Description

디지털 AGC장치{DIGITAL AGC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변조된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디지털 AGC(Automatic Gain Control)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영상의 디지털화가 진행되어, 위성방송, CATV, 지상파방송 각각에 있어, 각 국에서 디지털방송이 개시되고 있다. 그 전송방식으로는, 각 전송로의 특징에 적합한 방식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지상파 디지털방송에서는 VSB(vestigial-sideband) 변조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송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변조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AD변환 후의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평균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AGC회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성 2-237207호 공보, 도 3).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송로 상태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 디지털 AGC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진폭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디지털 AGC 처리된 신호를 이용하는 복조회로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송로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제 1 디지털 AGC장치는, 동상신호와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승산기와, 직교신호와 상기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승산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이 임계값 신호에 의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인에이블신호를 유효로 하여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유효일 경우에,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의 제곱 합의 시간적 평균을 구하고 출력하는 제곱합 평균부와, 기준신호와 상기 제곱합 평균부의 연산결과 사이의 차를 구하여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평활화하여 상기 필터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루프필터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 출력을 제곱합 평균에 반영시키지 않으므로, 반사파 등이 존재할 경우에도 이 디지털 AGC장치 출력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 2 디지털 AGC장치는, 동상신호와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승산기와, 직교신호와 상기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승산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전송로 품질을 구하는 전송로 품질 추정부와, 상기 전송로 품질에 기초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의 제곱 합의 시간적 평균을 구하고 출력하는 제곱합 평균부와,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제곱합 평균부의 연산결과 사이의 차를 구하여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평활화하여 상기 필터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루프필터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전송로 품질에 기초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므로, 반사파 등이 존재할 경우에도 이 디지털 AGC장치 출력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AGC장치 출력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출력신호의 진폭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으므로, 이 출력신호를 이용하는 복조회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를 갖는 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의 수신신호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AGC부에 의한 게인제어를 받은 신호의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아날로그 AGC부에 의한 게인제어를 받은 신호의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도 3의 경우)의 신호점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4의 경우)의 신호점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신호점 및 도 7의 판정부의 임계값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기준신호(REF)의 생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26, 226 : 디지털 AGC장치 31 : 제 1 승산기
32 : 제 2 승산기 34, 234 : 제곱합 평균부
35 : 감산기 36 : 루프필터부
38 : 판정부 48 : 전송로 품질 추정부
49 : 기준신호 생성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를 갖는 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복조장치는, 증폭부(12)와, A/D변환부(14), IQ검파부(22), 반송파 및 클록 재생부(24), 디지털 AGC장치(26), 및 아날로그 AGC부(28)를 갖는다.
증폭부(12)는, 증폭 제어신호(AMC)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켜 A/D변환부(14)로 출력한다. A/D변환부(14)는, 수취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IQ검파부(22) 및 아날로그 AGC부(28)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AGC부(28)는, 증폭제어신호(AM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증폭부(12), A/D변환부(14) 및 아날로그 AGC부(28)는, 음 귀환루프를 구성하며 증폭부(12)의 게인조정을 실행하므로, A/D변환부(14)로의 입력신호 진폭의 시간적 평균값(평균진폭)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IQ검파부(22)는 A/D변환부(14)의 출력에 직교검파를 실행하여 동상신호 및 직교신호를 출력한다. 반송파 및 클록 재생부(24)는, 이들 동상신호 및 직교신호 에 디지털 복조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동상신호(BI) 및 직교신호(BQ)로서 디지털 AGC장치(26)에 출력한다. 또, 반송파 및 클록 재생부(24)는, 심볼 인에이블신호(SYE)를 생성하여 디지털 AGC장치(26)에 출력한다. 디지털 AGC장치(26)는, 동상신호(BI) 및 직교신호(BQ)의 평균 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 때, 디지털 AGC장치(26)는, 아날로그 AGC부(28)에서는 추종할 수 없는 진폭 변동에 대하여 추종한다.
이하에서는 예로서, 8값 VSB변조신호가 수신되어 증폭부(12)에 입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8값 VSB변조신호의 심볼 위치는, 정규화하면 다음의 어느 하나, 즉,
(I, Q)=(-1, Q1), (-3, Q2), (-5, Q3), (-7, Q4), (1, Q5), (3, Q6), (5, Q7), (7, Q8)로 표시된다.
크기가 주파(主波)와 같으며, 주파에 대한 지연이 +T(T는 심볼 간격)인 반사파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수신되는 신호는 8값 VSB변조신호이므로, Q축의 정보는 무시하고 I축의 값을 신호 값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복조장치에는, 주파에 반사파가 가산된 신호를 수신하므로, 주파의 값에 반사파 값이 가산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2는,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의 수신신호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 아날로그 AGC부(28)에 의한 게인제어를 받은 신호의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날로그 AGC부(28)에 의한 게인제어를 받은 신호의 값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8값 VSB변조신호 로 표시되는 8값의 발생확률은 모두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주파 값과 반사파 값과의 조합에 대한 수신신호의 값을 나타낸다. 도 1의 복조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 값은 도 2와 같이 되어, 아날로그 AGC부(28)의 제어에 의해 신호의 평균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어 후의 신호 값은 도 3과 같이 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각 값을 제곱하고 그들의 합(제곱합)을 구한다. 도 3 및 도 4의 제곱합을 각각 Z3, Z4로 하면,
Z3=672
Z4=1344가 된다.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의 제곱합(Z3)은, 반사파가 없는 경우의 제곱합(Z4)에 비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반사파에 의한 영향을 받아, 신호점이 IQ 복소 평면상에서 중심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도 3의 경우)의 신호점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4의 경우)의 신호점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령, 모든 심볼에 대한 제곱합의 시간적 평균값에서 기준신호를 구하고 디지털 AGC처리를 행한다고 하면,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에는 디지털 AGC처리를 행하는 음 귀환루프는 신호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도록 제어된다. 반사파가 없는 경우에 최적의 기준신호를 이용해도,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곱합이 작게 견적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8값 VSB변조신호가 유효 비트폭으로 표시되는 값보다 커져 값이 제한된다(clipping). 때문에, 비선형 성분이 발생하여 디지털 AGC처리 이후의 복조 처리성능이 악화된다. 그래서 디지털 AGC장치(26)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26)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디지털 AGC장치(26)는, 제 1 승산기(31)와, 제 2 승산기(32), 제곱합 평균부(34), 감산기(35), 루프필터부(36), 및 판정부(38)를 갖는다. 승산기(31, 32)에는, 베이스 밴드의 동상신호(BI) 및 직교신호(BQ)가 각각 입력된다. 승산기(31)는, 동상신호(BI)와 루프필터부(36)의 출력을 승산하고 그 결과를 게인 제어된 동상신호(GI)로서 출력한다. 승산기(32)는, 직교신호(BQ)와 루프필터부(36)의 출력을 승산하여 그 결과를 게인 제어된 직교신호(GQ)로서 출력한다.
판정부(38)는, 동상신호(GI) 및 직교신호(GQ)가 임계값 신호(TH)에 의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에이블신호(EN)를 유효로 하여 제곱합 평균부(34)로 출력한다. 제곱합 평균부(34)는, 인에이블신호가 유효일 경우에 동상신호(GI) 및 직교신호(GQ)를 각각 제곱하여 합을 구하고, 다시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얻어진 제곱합 평균을 감산기(35)에 출력한다.
감산기(35)는, 제곱합 평균으로부터 기준신호(REF)를 감산하고, 얻어진 오차를 루프필터부(36)로 출력한다. 루프필터부(36)는, 오차를 평활화하여 승산기(31, 32)로 출력한다. 즉, 루프필터부(36)는 오차에 소정 계수 "α"를 곱하고 다시 적분처리를 하여 그 결과를 승산기(31, 3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지털 AGC장치(26)는, 감산기(35)에서 출력되는 오차가 0에 가까워지도록 동상신호(BI) 및 직교신호(BQ)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여 출력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8은, 신호점 및 도 7 판정부(38)의 임계값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판정부(38)는, 동상신호(GI) 및 직교신호(GQ) 중 적어도 하나의 진폭이 임계값 신호(TH)보다 클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유효로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무효로 한다.
즉, 판정부(38)는, 동상신호(GI)가 임계값(TI1) 이상 임계값(TI2) 이하이며, 또, 직교신호(GQ)가 임계값(TQ1) 이상 임계값(TQ2) 이하일 경우(예를 들어, 심볼 신호점이 신호점(SB)일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무효로 하고, 그 밖의 경우(예를 들어, 심볼 신호점이 신호점(SA)일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유효로 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임계값(TI2, TQ2)은 임계값 신호(TH) 값과 같고, 임계값(TI1, TQ1)은 임계값 신호(TH) 값의 -1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곱합 평균부(34)는, 인에이블신호(EN)가 유효일 경우에는 그 때의 심볼을 대상으로 하여 제곱합 평균을 구하는 연산을 실행하고, 인에이블신호(EN)가 무효일 경우에는 그 때의 심볼을 대상으로 하여 제곱합 평균을 구하는 연산을 실행하지 않는다.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 복소평면의 원점 부근에 심볼 신호점이 집중하나, 제곱합 평균부(34)는 원점 부근의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로써, 반사파가 존재하더라도, 제곱합 평균부(34)에서 산출되는 제곱합 평균은, 모든 심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그다지 작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 AGC장치(26)의 음 귀환루프 게인이 지나치게 큰 값으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제곱합 평균부(34)는, 복소평면의 원점 부근 심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제곱합 평균부(34)에서 산출되는 제곱합 평균은 모든 심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큰 값이 된다. 이 때, 디지털 AGC장치(26)의 음 귀환루프 게인이 작아지나,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디지털 AGC장치(26) 이후의 복조성능은 그다지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간단한 연산으로 디지털 AGC장치(26)의 게인 조정이 가능하여, 전송로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출력신호의 평균 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낸 임계값(TI1)과 임계값(TQ1)이 달라도 되고, 임계값(TI2)과 임계값(TQ2)이 달라도 된다.
또, 판정부(38)는, 동상신호(GI)의 제곱과 직교신호(GQ)의 제곱 합이 임계값 신호(TH)보다 클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유효로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인에이블신호(EN)를 무효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판정부(38)에 입력되는 임계값신호(TH)는, 고정값이라도 되고 외부에서 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디지털 AGC장치(226)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의 디지털 AGC장치(226)는, 제 1 승산기(31)와, 제 2 승산기(32), 제곱합 평균부(234), 감산부(35), 루프필터부(36), 전송로 품질 추정부(48), 및 기준신호 생성부(49)를 갖는다. 디지털 AGC장치(226)는, 도 1의 복조 장치에서 도 7의 디지털 AGC장치(26) 대신 이용된다. 승산기(31, 32) 및 루프필터부(36)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송로 품질 추정부(48)는, 승산기(31, 32)로부터 각각 출력된 동상신호(GI) 및 직교신호(GQ)에 기초하여,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 패턴과 실제로 수신된 데이터 패턴 사이의 상관값을 전송로 품질로서 구한다. 이 때, 전송로 품질 추정부(48)는, 수신파에 포함되는 반사파에 대응시켜 상관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ATSC규격에 준거한 VSB변조신호에 있어서는, 필드 동기 세그먼트부에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 패턴이 포함된다.
도 10은, 기준신호(REF)의 생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기준신호 생성부(49)는, 전송로 품질 추정부(48)에서 각각 구해진, 주파에 대응하는 상관값(RM)과 반사파에 대응하는 상관값(R1)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기준신호(REF)를 구한다. 구체적으로 기준신호 생성부(49)는, 상관값(RM)과 상관값(R1)의 차를 상관값(RM)으로 정규화하고, 정규화 상관값 차(NR=(RM-R1)/RM)를 구한다. 정규화 상관값 차(NR)는,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이 되고, 반사파가 1파 존재하고 주파의 크기와 반사파 크기가 같을 경우에는 0이 된다.
또한, 기준신호 생성부(49)는, 정규화 상관값 차(NR)에 대응한 값을 기준신호(REF)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는 REF=10*NR+90으로 한다. 즉, 반사파가 클 때는 기준신호(REF)의 값이 작아진다. 여기서, 도 10에서 나타낸 기준신호(REF)와 정규화 상관값 차(NR)의 관계는 일례이며 다른 관계를 갖도록 해도 된다.
제곱합 평균부(234)는, 동상신호(GI) 및 직교신호(GQ)를 각각 제곱하여 합을 구하고, 다시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얻어진 제곱합 평균을 감산기(35)로 출력한다. 감산기(35)는, 제곱합 평균에서 기준신호(REF)를 빼고 얻어진 오차를 루프필터부(36)로 출력한다.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에는, 복소평면의 원점 부근에 심볼 신호점이 집중하나, 기준신호 생성부(49)는 기준신호(REF)의 값을 작게 한다. 이로써, 반사파가 존재해도 감산기(35)로부터 출력되는 오차는 지나치게 작은 값으로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9의 디지털 AGC장치의 음 귀환루프 게인이 지나치게 큰 값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사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준신호(REF)의 값은 작아지지 않아 도 9의 디지털 AGC장치 이후의 복조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AGC장치에 의하면, 기준신호(REF)의 값을 적응성 있게 제어하므로, 전송로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출력신호의 평균진폭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기준신호 생성부(49)는, 파형등화장치의 탭 계수값에 기초하여 기준신호(REF)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준신호 생성부(49)는,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 기준신호(REF)의 값을 전환하도록 해도 되며, 전환동작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전송로 품질 추정부(48)는, 승산기(31, 32)의 출력 중 어느 한쪽을 선택 하고, 선택된 출력에 기초하여 전송로 품질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예로서 8값 VSB신호를 처리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다른 위상변조(n상 PSK)신호, 다치 직교변조(nQAM)신호, 또는 n값 VSB신호를 처리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파가 존재할 경우에도 신호의 진폭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디지털 AGC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동상신호와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승산기와,
    직교신호와 상기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승산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이 임계값 신호에 의해 정해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인에이블신호를 유효로 하여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유효일 경우에,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의 제곱 합의 시간적 평균을 구하고 출력하는 제곱합 평균부와,
    기준신호와 상기 제곱합 평균부의 연산결과 사이의 차를 구하여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평활화하여 상기 필터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루프필터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AGC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진폭이 상기 임계값 신호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유효로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AGC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의 제곱의 합이 상기 임계값 신호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유효로 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AGC장치.
  4. 동상신호와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 승산기와,
    직교신호와 상기 필터출력신호를 승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승산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의 출력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전송로 품질을 구하는 전송로 품질 추정부와,
    상기 전송로 품질에 기초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1 승산기 출력의 제곱과, 상기 제 2 승산기 출력의 제곱 합의 시간적 평균을 구하고 출력하는 제곱합 평균부와,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제곱합 평균부의 연산결과 사이의 차를 구하여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의 출력을 평활화하여 상기 필터출력신호로서 출력하는 루프필터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AGC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품질 추정부는,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 패턴과 수취한 신호의 데이터 패턴 사이의 상관값을 상기 전송로 품질로서 구하는 것이며,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는,
    상기 상관값에 따라 상기 기준신호를 구하여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AGC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는,
    상기 상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값을 2개 값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고, 전환동작에 대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AGC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품질 추정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 출력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출력에 기 초하여 상기 전송로 품질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AGC장치.
KR1020097004728A 2006-12-15 2007-12-06 디지털 agc장치 KR20090088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8381 2006-12-15
JP2006338381 2006-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847A true KR20090088847A (ko) 2009-08-20

Family

ID=3951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728A KR20090088847A (ko) 2006-12-15 2007-12-06 디지털 agc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79648A1 (ko)
EP (1) EP2053739A4 (ko)
JP (1) JPWO2008072553A1 (ko)
KR (1) KR20090088847A (ko)
CN (1) CN101523718A (ko)
WO (1) WO2008072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4066B1 (en) 2015-08-27 2019-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oherent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631A (en) * 1990-07-26 1992-07-28 Unisys Corp. Digital gain controller
JP2500577B2 (ja) * 1993-01-20 1996-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スト信号用agc回路
AU673390B2 (en) * 1993-01-20 1996-11-07 Nec Corporation An AGC circuit for burst signal
US5469115A (en) * 1994-04-28 1995-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a digital receiver
JPH09307380A (ja) * 1996-05-13 1997-11-28 Toshiba Corp Agc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US6148046A (en) * 1998-01-20 2000-11-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lind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for receivers and modems
US6081565A (en) * 1998-02-05 2000-06-27 Lucent Technologies Inc. Amplitude based coarse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2001024454A (ja) * 1999-07-07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動利得制御機能を持った無線通信装置
US6160443A (en) * 1999-09-08 2000-12-12 Atmel Corporation Dual automatic gain control in a QAM demodulator
US6516183B1 (en) * 1999-09-10 2003-0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urbance compensation of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in a full duplex transceiver
JP3710658B2 (ja) * 1999-09-29 2005-10-26 株式会社東芝 自動利得制御回路および受信機
JP2001230690A (ja) * 2000-02-15 2001-08-2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受信機
US6843597B1 (en) * 2001-05-15 2005-01-18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 fast two-loop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7031409B2 (en) * 2002-08-23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y digital AGC circuit with wide dynamic range and method of operation
TWI222794B (en) * 2002-11-07 2004-10-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Initialization method for network system
US7440526B2 (en) * 2003-03-31 2008-10-2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cquire frame within transmission
JP4593467B2 (ja) * 2003-07-30 2010-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前置増幅器の利得切り替え回路
US8401128B2 (en) * 2003-08-28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adaptable receiver parameters
JP4126005B2 (ja) * 2003-10-08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システムの自動利得制御回路
KR100565306B1 (ko) * 2003-11-2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수신단의 증폭 오프셋 조정장치
JP2006050585A (ja) * 2004-07-07 2006-02-16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回路
JP2006148735A (ja) * 2004-11-2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機
US7881411B2 (en) * 2006-05-05 2011-02-01 Wi-Lan, Inc. Modulation dependent automatic gain control
US7724842B2 (en) * 2006-06-27 2010-05-2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EVM self-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3718A (zh) 2009-09-02
EP2053739A4 (en) 2010-10-06
EP2053739A1 (en) 2009-04-29
US20090279648A1 (en) 2009-11-12
JPWO2008072553A1 (ja) 2010-03-25
WO2008072553A1 (ja)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7603B2 (ja) 複数の信号対雑音比測定源を使用した非線形信号歪み検出
JP3707549B2 (ja) 送信装置
US6904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rting automatic gain control (AGC) and soft limiting
US6351293B1 (en) Decision directed phase detector
US7477707B2 (en) Computationally efficient demodulation for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JP3859386B2 (ja) 波形等化器、波形等化装置及び受信装置
US20080063040A1 (en) Equalizer demodulating a signal including sp symbols and an equalization method therefor
JPH04233335A (ja) 離散的信号の受信方法及び受信機
JP4776311B2 (ja) 尤度補正器及び尤度補正方法
JP4362141B2 (ja) 等化器
JP3659800B2 (ja) 位相誤差検出装置
JP4075934B2 (ja) 搬送波再生装置
JPWO2003077497A1 (ja) 搬送波再生装置
US8199864B1 (en)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emodulator of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ystem and demodulation method thereof
US8451948B2 (en) Carrier recovering apparatus and carrier recovering method
KR20090088847A (ko) 디지털 agc장치
JPH11243430A (ja) 直交変調器
JP2861778B2 (ja) 復調装置
JP3541890B2 (ja) 復調装置
KR100275703B1 (ko) 위상 추적 회로 및 위상 검출방법
CN107294888B (zh) 等化增强模块、解调制系统以及等化增强方法
JP4576759B2 (ja) 直交周波数分割信号復調装置
KR101034455B1 (ko) 동일 채널 중계기 및 이에 있어서 궤환 신호 제거 방법
JP5068230B2 (ja) Ofdmデジタル信号等化装置、等化方法及び中継装置
JP2013207524A (ja) ダイバーシ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