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95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951A
KR20090084951A KR1020097013052A KR20097013052A KR20090084951A KR 20090084951 A KR20090084951 A KR 20090084951A KR 1020097013052 A KR1020097013052 A KR 1020097013052A KR 20097013052 A KR20097013052 A KR 20097013052A KR 20090084951 A KR20090084951 A KR 2009008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chassis
width direction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 와카스기
히로토모 무카이
도모코 츠지
겐이치 사사야마
다츠야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6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둘레부분에서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1)은, 폭 방향과,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부재(2)와,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해당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다리 둘레부(3a)가 형성된 신축 가능한 섀시(3)를 구비한다. 섀시(3)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신축성 시트(15)와, 비신축성 시트(16)를, 복수의 접착부(18)에 의하여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3)에 의하여 구성된다. 다리 둘레부(3a)는, 섀시(3)의 신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부분을 가지고, 복수의 접착부(18) 각각은, 교차부분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수축률이 다른 2종류의 시트를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1회용 기저귀 등이 있다. 1회용 기저귀는, 유아 및 어린이용부터 고령자나 신체가 자유롭지 않은 사람들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재이용 가능한 포제(布製) 흡수성 물품과 교체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1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부재와,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그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다리 둘레부가 형성되고, 또한 2매의 시트를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섀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복합 시트로서는, 일본국 특개2004-136068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시트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2개의 시트 사이에 실 형상 신축부재를 가늘게 배치하여 다른쪽의 시트를 접착한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 것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2002-143218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츠형 기저귀의 외관 및 피트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트형상의 신축성 시트를, 비신축성 시트에 접합시켜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기술도 존재한다. 도 6은,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215)와 비신축성 시트(216)를 접합한 복합 시트(213)를, 기저귀의 몸통 둘레부, 다리 둘레부를 포함하여 사용한 팬츠형 기저귀(201)의 정면도이고, 복합 시트(213)는,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비신축성 시트(216)와, 피부 맞닿음면측의 반대측이 되는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신축성 시트(215)의 2개의 시트를, 시트 전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신축성 시트(216)와 신축성 시트(215)를, 시트 전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시켜 구성하면, 다리 둘레부(203a)의 절단 가장자리부(204)에 서, 비피부 맞닿음측을 향하여 휘어짐부(225), 즉, 정치상태이고, 다른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하여, 높이가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 또는 정치상태이고, 표면이 이면측으로, 또는 이면측이 표면으로 말려 보이고 있는 부분이 생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영역 A의 확대도이고, 이와 같은 휘어짐부(225)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화살표는 이와 같은 부분의 신축방향(ECD)을 나타낸다. 이 휘어짐부(225)는, 절단 가장자리부(204)에서, 비피부 맞닿음측의 신축성 시트(215)의 수축력에 의해 피부 맞닿음측의 비신축성 시트(216)가 인장됨으로써 생긴다. 이와 같이 섀시(203)에 휘어짐부(225)가 생기면, 피부와 복합 시트(213)와의 밀착성이 저하하여, 피부와 복합 시트(213)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그 부분으로부터 소변의 새어나감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다리 둘레부에서 휘어짐부가 발생하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신축성 시트와 비신축성 시트를 접착할 때에, 양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에서, 양 시트 사이에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절단 가장자리부에서의 휘어짐부가 방지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형태에서는, 폭 방향과,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가지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부재와, 상기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해당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다리 둘레부가 형성되는 신축 가능한 섀시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섀시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 1 시트와 해당 제 1 시트는 신축율이 다른 제 2 시트를, 복수의 접착부에 의해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신축성의 복합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다리 둘레부는, 상기 섀시의 신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부분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상기 교차부분에서, 상기 신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2 형태에서는, 상기 교차부분의 상기 소정의 각도는, 20도 내지 90도인 제 1 형태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3 형태에서는, 상기 복합 시트에서,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신축율의 차는, 20% 이상인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4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접착부의 상기 신축방향의 치수는 0.1 mm ∼ 20 mm인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5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접착부 중의, 상기 다리 둘레부의 교차부분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간격이 4 mm ∼ 25 mm인 제 1 형태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6 형태에서는, 상기 신축방향은 상기 폭 방향이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상기 신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형태 내지 제 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7 형태에서는, 상기 교차부분 근방에서의 상기 복수의 접착부의 면적율이 0.4% 내지 83%인 제 1 형태 내지 제 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관한 제 8 형태에서는, 팬츠형 기저귀인 제 1 형태 내지 제 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 둘레부에서, 휘어짐부가 발생하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1회용 기저귀의 전개도,
도 2는 팬츠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1회용 기저귀의 정면도,
도 3은 신축성 시트와 비신축성 시트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1회용 기저귀의 전개도,
도 5는 팬츠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1회용 기저귀의 정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관한 1회용 기저귀의 전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영역 A의 확대도로서, 종래의 1회용 기저귀의 절단 가장자리부에 생기는 휘어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인 1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1회용 기저귀 중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측을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하고, 피부 맞닿음면측과 반대측을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1회용 기저귀(1)의 전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전개(展開)상태의 1회용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형성한 후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1)는, 길이방향(LD)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부재(2)와, 폭 방향(WD)에서의 양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U자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다리 둘레부(3a)가 형성된 신축 가능 한 섀시(3)를 구비한다.
먼저, 섀시(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폭 방향에서의 양쪽 각각에 해당 폭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U자 형상의 다리 둘레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섀시(3)는, 그 다리 둘레부(3a)의 U자 형상의 노치에 의하여 섀시(3)에서의 가장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지나,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C)에 의하여, 앞길(10)과 뒷길(11)로 이분된다. 다리 둘레부(3a)의 절단 가장자리부(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 가장자리부(4)의 섀시(3)에서의 신축방향(여기서는 폭 방향)에 대한 각도를 α라 하였을 때에, 앞길(10)측에서의 폭 방향 끝부에서 각도 α= O도, 즉 절단 가장자리부(4)는 섀시(3)의 신축방향과 평행이고, 그 위치로부터 섀시(3)의 폭 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섀시(3)와 흡수성부재(2)가 겹치는 부분까지 서서히 각도(α)를 증가하고, 섀시(3)의 신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부분을 형성하여, 섀시(3)와 흡수성부재(2)가 겹치는 위치에서는, 각도(α)는 약 90도가 된다.
도 3은, 섀시(3)의 폭 방향에서의 단면도이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3)를 구성하는 시트는, 신축성 시트(15)와 비신축성 시트(16)를, 예를 들면 핫멜트 등의 접착제(19)에 의해 접착부(18)에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3)이다. 이와 같은 복합 시트(13)는, 신축성 시트(15)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비신축성 시트(16)와 접합시켜 제조된 것으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폭 방향을 신축방향으로 하도록 섀시(3)에 배치된다. 신축성 시트(15)의 이완상태에서는, 비신축성 시트(16)에서의 신축성 시트(15)와 접합하고 있지 않은 비접착부에는, 신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주름(17)이 형성되어 있다.
신축성 시트(15)의 재질은, 흡수성 물품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스판 본드 시트, 멜트 브론 시트 등 공지의 여러가지의 신축성 시트(15)를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신축성 시트(15)의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시스 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또, 우레탄계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스판본드 시트를 작성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 가공하여 신축 탄성을 발현시킴으로써 얻어진 신축성 시트(15)를 사용하여도 된다.
신축성 시트(15)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비신축성 시트(16)와 접합하기 전의 단위 면적당 무게로서, 2O 내지 8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무게가 2O g/㎡ 미만이면, 신축성 시트(15)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위 면적당 무게가 8O g/㎡를 넘으면, 신축성 시트(15)의 두께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또, 신축성 시트(15)의 100% 신장 시의 강도가 10 N/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N/5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축성 시트(15)를 100% 신장시킨 후, 신축성 시트(15)의 왜곡이 15% 이하인 신축성 시트(1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신축성 시트(15)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신축성 시트(16)의 재질은, 흡수성 물품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스판 본드 시트, SMS 시트, 포인트 본드 시트, 스루에어 시트, 스판 레이스 시트, 니들 펀치 시트 등 공지의 여러가지 비신축성 시트(16)를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나 복수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이들 비신축성 시트(16)의 섬유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시스 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비신축성 시트(16)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1O 내지 5O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무게가 1O g/㎡ 미만이면, 비신축성 시트(16)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위 면적당 무게가 5O g/㎡를 넘으면, 비신축성 시트(16)의 두께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커지면, 강성이 높아지고, 신축성을 저해하여, 복합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한다.
신축성 시트(15)와 비신축성 시트(16)를 접착하는 접착제의 도공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컨트롤 심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서밋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에서의 접착제의 단위 면적당 무게량은, 1∼3O g/㎡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1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흡수부재(2)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부재(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층을 구성하는 대략 세로로 긴 액 투과성 톱 시트(6)와, 이면층을 구성하는 대략 세로로 긴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와, 액 투과성 톱 시트(6)와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층을 구성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액 유지성의 흡수체(8)를 가진다. 흡수부재(2)는, 섀시(3)의 중앙부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와 섀시(3)가 대향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대략 세로로 길다란, 길이방향과 길이가 짧은 방향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및 타원형인 것을 말하고, 또한, 길이방향의 양 변의 일부가 길이방향에서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것, 또는, 중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한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대략 세로로 긴 흡수체(8)는,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다른 부분을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8)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흡수체(8)는, 티슈(도시 생략)나 친수성 시트(도시 생략)에 싸인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친수성 시트에 싸여 있는 경우, 액 투과성 톱 시트(6)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이나 액 투과성 톱 시트(6)를 부분적으로만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생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 불투과성 백 시트(7)는, 이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부직포 등의 시트 등을 접합시킨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시트 등을 접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장착시 등에 있어서의 촉감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액 불투과성 백 시트(7)에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에 시트 등을 접합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필름의 마찰로부터 생기는 불쾌한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 다.
흡수체(8)는, 소변 등이 배출된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흡수성 폴리머와 친수성 섬유가 혼합되어 적층된 것, 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친수성 시트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화된 구조를 가져도 된다.
액 투과성 톱 시트(6)는, 사용시에는 신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배설부에 맞닿는다. 액 투과성 톱 시트(6)는, 전면이 액 투과성인 것 뿐만 아니라, 일부가 액 투과성인 것도 포함한다. 또, 1매의 시트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시트형상부재가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액 투과성 톱 시트(6)로서는, 예를 들면, 착용 중에 압축, 비틀림, 마찰 등에 의한 부하가 걸려도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직포, 부직포, 또는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 투과성을 가지는 시트형상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백 시트(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섀시(3)와 대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섀시(3)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 사이에 설치하여도 된다.
다음에, 섀시(3)에서의 접착부(18)의 도포 패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3)의 몸통 둘레부(5)에 있어서 접착부(18)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직선 상의 접착부(18)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접착부(18)는, 섀시(3)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직선 상에서의 접착부(18)의 절단부분(18a)은, 인접하는 직선 상에서의 접착부(18)의 절단부분(18a)과 길이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지않는다. 또한, 접착부(18)의 신축방향에서의 치수(폭)는, 0.1 mm ∼ 20 mm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2.5 mm 이다.
또, 다리 둘레부(3a)의 절단 가장자리부(4)에서 접착부(18)는, 몸통 둘레부(5)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섀시(3)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 가장자리부(4)의 각도에 관계 없이, 접착부(18)는, 모든 영역에서, 섀시(3)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부(3a)의 절단 가장자리부(4)에서의 접착부(18)의 폭 방향의 간격은, 몸통 둘레부(5)의 그것보다 친밀하고, 몸통 둘레부(5)에서의 간격의 약 1/2의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리 둘레부(3a)에서의 접착부(18)끼리의 간격은 4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간격이 너무 커지면 끝부에 공간이 눈에 띄기 때문에, 신축율에 의해 전후하나, 25 mm 이하가 적절하다. 이와 같이, 접착부(18)끼리의 간격을 몸통 둘레부(5)보다 좁게 함으로써, 복합 시트(13)에서의 신축성 시트(15)와 비신축성 시트(16)의 일체성을 향상시켜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양호하게 하여, 소변의 새어나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8)에서, 절단 가장자리부(4)가 섀시(3)의 신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부분 근방에서의 복합 시트(13)에 대한 최소 면적율은, 접착부(18)의 폭이 0.1 mm ∼ 20 mm 이고, 서로 인접하는 접착부끼리의 간격이 4 mm ∼ 25 mm 이기 때문에, [0.1/(0.1 + 25)]×100 = 약 0.4%가 된다. 또, 최대 면적율은, [20/(20 + 4)]×100 = 83%가 된다. 따라서 면적율로서는, 0.4% ∼ 83%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여기서, 근방이란, 절단 가장자리부(4)와, 그 절단 가장자리부(4)에 대하여 접착부(18)의 길이 이하의 길이로 이간된 곡선과의 사이의 소정 영역을 말한다.
상기한 구성의 1회용 기저귀(1)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개상태로부터 절곡되어, 앞길(10)과 뒷길(11)을 폭 방향의 양쪽에 설치된 접합부(20)에서 초음파 시일이나 열시일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접합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츠형으로 형성된다.
팬츠형으로 성형된 1회용 기저귀(1)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신축성 시트(15)가 신장되어 있지 않고, 비신축성 시트(16)에 주름(17)이 복수 형성된 도 3에서 나타내는 상태에 있고, 장착 시 등에 있어서 섀시(3)를 폭 방향으로 늘리면, 신축성 시트(15)는 신장하고, 비신축성 시트(16)의 주름(17)이 신장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착부(18)는, 다리 둘레부(3a)의 모든 영역, 즉, 다리 둘레부(3a)의 절단 가장자리부(4)가 섀시(3)의 신축방향과 큰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부분에 있어서, 섀시(3)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다리 둘레부(3a)의 절단 가장자리부(4)에서,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신축성 시트(15)가 수축한 경우에도, 접착부(18)의 존재에 의하여, 피부 맞닿음면측의 비신축성 시트(16)가 이 신축성 시트(15)측으로 인장되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휘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소변의 새어나감 등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인 1회용 기저귀(10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1회용 기저귀(101)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섀시(103)가 일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고, 폭 방향(WD)으로 신축하는 앞길(110)과, 뒷길(111) 외에, 앞길(110)과 뒷길(111)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LD)으로 신축하는 가운데 길(112)을 가지는 점이다.
앞길(11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부재이고, 앞길(110)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신축성 시트(도 4에서 도시 생략)와, 비신축성 시트(116)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13)로 구성되어, 폭 방향으로 신축한다.
또, 뒷길(111)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 부재이나, 다리 둘레부(103a)의 절단 가장자리부(104)에서, 신체에 의해 피트하도록 약간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앞길(110)과 마찬가지로 신축성 시트와, 비신축성 시트(116)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13)로 구성되어, 폭 방향으로 신축한다.
앞길(110)과 뒷길(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운데 길(11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세로로 긴 부재이다. 그리고, 절단 가장자리부(104)는, 앞길(110),가운데 길(112) 및 뒷길(111)의 절단 가장자리부와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앞길(110)과 마찬가지로 신축성 시트(도시 생략)와, 비신축성 시트(116)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13)로 구성되어 있으나, 신축방향은 길이방향이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흡수부재(102)는, 가운데 길(112)을 중심으로 하여 앞길(110) 및 뒷길(111)에 걸쳐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시트(113)로 구성되고, 흡수부재(102)가 중앙부에 부착된 도 4에 나타내는 전개상태의 섀시(103)는, 절곡되어, 앞길(110)과 뒷길(111)을 폭 방향의 양쪽에 설치된 접합부(120)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초음파 시일이나 열시일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접합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츠형으로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앞길(110)과 뒷길(111)에서의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도 4 및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직선 상의 접착부(118)는, 서로 달라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접착부(118)는, 섀시(103)의 신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앞길(110)과 뒷길(111)에서의 다리 둘레부(103a)에서도, 접착부(118)가 연장되는 방향은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 즉, 섀시(103)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부(103a)에서의 접착부(118)의 폭 방향의 간격은, 몸통 둘레부(105)에서의 폭 방향의 간격의 약 1/2의 간격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가운데 길(112)과, 앞길(110) 및 뒷길(111)에서, 섀시의 신축방향이 다른 경우이다. 이것에 대응하여, 가운데 길(112)에서의 접착부(118)는, 섀시(103)의 신축방향과 평행(폭 방향)하게 연장되 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직선을 따라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운데 길(112)의 신축방향은, 앞길(110)과 뒷길(111)이 다르나, 접착부(118)는 다리 둘레부(103a)에서 신축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착부(118)는, 다리 둘레부(103a)의 모든 영역에서, 섀시(103)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앞길(110) 및 뒷길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 가운데 길의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길과 뒷길을 소정의 접착부에서 접합함으로써 몸통 개구부 및 1쌍의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팬츠형의 1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앞길과 뒷길을 걸어멈춤부재 등으로 걸어멈추게 함으로써 착용 가능한 전개형의 1회용 기저귀에 사용하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팬츠형으로 형성된 1회용 기저귀의 앞길 및 뒷길의 접착부에서, 전개형의 1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재걸어 멈춤이 가능한 면 패스너 등의 걸어멈춤부재에 의해 걸어멈춰지고, 팬츠형의 1회용 기저귀이면서 용이하게 해당 기저귀의 걸어멈춤을 해제하여, 팬츠형의 1회용 기저귀를 전개 및 재걸어 멈추게 하는 것이 가능한 1회용 기저귀에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른용 1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린이용 1회용 기저귀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접착제의 도포패턴에서의 적절한 조건을 검증하기 위하여 행한 실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신축 시트와 비신축성 시트의 접착시에 있어서의 신축 시트의 신축율이 1.8배인 복합 시트의 절단 가장자리부를, 신축방향에 대하여 10도, 30도, 45도, 60도, 80도로 하고, 접착부의 신축방향을 따른 폭을 2.5 mm로 일정하게 하고, 접착부끼리의 간격을 (d) 1 mm, (e) 2.5 mm, (f) 4 mm, (g) 7.5 mm로 변경하여, 휘어짐의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참고로서 (a)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b) 스파이럴 형상으로 인접하는 선의 간격을 3 mm 이하(망형상 치밀)로 한 경우, (c) 스파이럴 형상으로 인접하는 선의 간격을 3 mm 이상의 약 4 mm로 한 경우(망형상 성기게)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
또한, 여기서, 비신축성 시트는, 19 g/㎡ 스판 본드 시트이고, 신축 시트는, 신축성 스판 본드 시트(우레탄/PP) 35 g/㎡ 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여기서 ○은 양호, △는 약간 휘어진 상태, ×는 매우 휘어진 상태, ××는 휘어짐의 정도가 더욱 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 및 ××는 불량인 것을 나타낸다.
복합시트의 끝부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각도
10° 30° 45° 60° 80°
a. 전면에 도포 △∼× × ×× ××
b. 스파이럴(망형상 치밀) × ×× ×× ××
c. 스파이럴(망형상 성김) × ×
d. 접착부의 간격 1 mm × ×× ××
e. 접착부의 간격 2.5 mm × ××
f. 접착부의 간격 4 mm ×
g. 접착부의 간격 7.5 mm
표 1로부터 전면(全面)에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제를 직선적으로 도포한 경우, 휘어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접착부와 접착부와의 간격이 클수록 휘어짐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면적으로 연속되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에도, 선의 간격이 성긴 경우에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2) 1)에 대하여 신축율만 1.3배로 변경하여 동일한 실험을 행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복합시트의 끝부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각도
10° 30° 45° 60° 80°
a. 전면에 도포 × ×× ××
b. 스파이럴(망형상 치밀) × ×× ××
c. 스파이럴(망형상 성김) × ×
d. 접착부의 간격 1 mm △~○ × ×× ××
e. 접착부의 간격 2.5 mm × ××
f. 접착부의 간격 4 mm g. 접착부의 간격 7.5 mm ○ ○ ○ ○ ○ ○ △ ○ × △
표 1과 마찬가지로,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제를 직선적으로 도포한 경우, 휘어짐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접착부와 접착부의 간격이 클수록 휘어짐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평면적으로 연속되는 스파이럴형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선의 간격이 성긴 경우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축율 1.8배의 경우, 30도에서 이미 휘어짐이 생기는 것에 대하여, 30도까지는 컬(curl)의 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3) 접착부와 접착부와의 간격을 1 mm로 일정하게 하고, 접착부의 폭을 (a) 2.5 mm, (b) 5.0 mm, (c) 1.0 mm, (d) 20 mm로 바꾸어 휘어짐의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3에서 10도의 접착부 폭 5.0 mm, 10 mm, 20 mm에 대해서는 실험을 행하지 않았다.
복합시트의 끝부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각도
10° 30° 45° 60° 80°
a. 접착부의 간격 ; 2.5 mm × ××
b. 접착부의 간격 ; 5.0 mm - × × ×× ××
c. 접착부의 간격 ; 10 mm - × ×× ×× ××
e. 접착부의 간격 ; 20 mm - × ×× ×× ××
표 3으로부터, 접착부의 폭이 작은 쪽이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4) 접착부의 간격을 4 mm로 일정하게 하고, 접착부의 폭을 2.5 mm, 5.0 mm, 1.0 mm, 20 mm로 바꾸어 휘어짐의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복합시트의 끝부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각도
10° 30° 45° 60° 80°
a. 접착부의 간격 ; 2.5 mm
b. 접착부의 간격 ; 5.0 mm △~○ ×
c. 접착부의 간격 ; 10 mm × ××
d. 접착부의 간격 ; 20 mm ×× ××
표 4로부터, 접착부의 폭이 작은 쪽이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표 3의 결과와 비교하여, 접착제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휘어짐의 정도가 낮다.
5) 접착부의 간격을 7.5 mm로 일정하게 하고, 접착부의 폭을 2.5, 5.0, 10, 20 mm로 바꾸어 휘어짐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복합시트의 끝부의 신축방향에 대한 절단각도
10° 30° 45° 60° 80°
a. 접착부의 간격 ; 2.5 mm
b. 접착부의 간격 ; 5.0 mm ×
c. 접착부의 간격 ; 10 mm △~○ × ××
d. 접착부의 간격 ; 20 mm × ×× ××
표 5로부터 접착부의 폭이 작은 쪽이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표 3 및 표 4의 결과와 비교하여, 접착제의 간격 7.5 mm로 넓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휘어짐의 정도가 더욱 낮다.
이상의 1) ∼ 5)의 결과로부터, 접착제의 간격이 클수록, 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간격은 4 mm 이상이 바람직하나, 간격이 너무 커지면 끝부에 공간부가 눈에 띠게 되기 때문에, 신축율에 의하여 전후하나, 간격은 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착부의 폭은 좁은 쪽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발명의 예시로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추가, 생략, 대체, 다른 변경은, 본 발명의 본 취지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명세서의 기재에 의하여 판단되어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폭방향과, 상기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세로로 긴 형상의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해당 폭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다리 둘레부가 형성되는 신축 가능한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시트와 해당 제 1 시트와는 신축율이 다른 제 2 시트를, 복수의 접착부에 의해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신축성의 복합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다리 둘레부는, 상기 섀시의 신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교차부분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상기 교차부분에서, 상기 신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분의 소정의 각도는, 20도 내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신축율의 차이는,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부의 상기 신축방향의 치수는, 0.1 mm ∼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부 중의, 상기 다리 둘레부의 교차부분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접착부끼리의 간격이 4 mm ∼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방향은 상기 폭 방향이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상기 신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분 근방에서의 상기 복수의 접착부의 면적율은, 0.4% ∼ 8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팬츠형 기저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97013052A 2006-11-27 2007-11-26 흡수성 물품 KR20090084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9392 2006-11-27
JP2006319392 2006-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951A true KR20090084951A (ko) 2009-08-05

Family

ID=3946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052A KR20090084951A (ko) 2006-11-27 2007-11-2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147474B2 (ko)
EP (1) EP2087870B1 (ko)
JP (1) JP5183487B2 (ko)
KR (1) KR20090084951A (ko)
CN (1) CN101541282B (ko)
AU (1) AU2007326550B2 (ko)
BR (1) BRPI0717189B8 (ko)
CA (1) CA2669957C (ko)
CO (1) CO6180492A2 (ko)
EA (1) EA016998B1 (ko)
MA (1) MA31009B1 (ko)
MY (1) MY176455A (ko)
TW (1) TWI475982B (ko)
WO (1) WO2008066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0178B2 (ja) * 2009-03-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777271B2 (ja) * 2009-03-25 2015-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280277B2 (ja) * 2009-03-31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691254B2 (ja) * 2010-06-21 2015-04-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吸収性物品用積層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5930584B2 (ja) 2011-01-07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5938848B2 (ja) * 2011-03-31 2016-06-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811615B2 (ja) * 2011-06-15 2015-11-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RU2582955C2 (ru) * 2011-03-31 2016-04-27 Одзи Холдингз Корпорейшн Подгузник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6417320B2 (ja) * 2012-05-16 2018-11-07 ボレアリス アーゲーBorealis Ag ポリマーシート
CN103770378B (zh) * 2013-12-30 2015-09-30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复合伸缩片材及其制造方法
JP6255270B2 (ja) * 2014-02-14 2017-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
JP6052746B1 (ja) * 2015-09-30 2016-12-2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7205857B (zh) * 2015-01-30 2018-10-12 大王制纸株式会社 一次性尿布
JP6659661B2 (ja) * 2017-12-28 2020-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40309B2 (ja) * 2018-09-27 2020-08-12 大王製紙株式会社 凹凸を有するシート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189A (en) * 1983-03-18 1987-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disposable diapers with shaped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847134A (en) * 1987-12-2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891258A (en) * 1987-12-22 1990-01-02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EP0556749B1 (en) * 1992-02-13 1997-05-07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 sheet elastic complex used in sanitary products,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usages
JP3667353B2 (ja) * 1992-08-13 2005-07-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液体不透過性保護用品
ES2149185T5 (es) * 1992-08-13 2004-12-01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rticulo absorbente estirable.
US5389095A (en) * 1993-07-28 1995-02-14 Paragon Trade Brands, Inc. Suspended absorbent diaper article
US5451219A (en) * 1993-07-28 1995-09-19 Paragon Trade Brands,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US7112193B2 (en) 1996-09-30 2006-09-2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backsheet comprising composite having an elastic layer, inelastic layer and bonding pattern of obliquely intersecting lines
JP3558812B2 (ja) * 1997-02-25 2004-08-25 株式会社クラレ シート状弾性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CN2364870Y (zh) * 1999-03-10 2000-02-23 吴柏林 具有尿湿或排泄告警装置的纸尿裤
JP3739277B2 (ja) 2000-11-16 2006-01-25 花王株式会社 伸縮性部材の製造方法
JP4070965B2 (ja) * 2001-06-08 2008-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伸縮性複合シートに多数の襞を形成する方法
JP4139264B2 (ja) 2002-08-23 2008-08-2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18369B2 (en) * 2003-05-30 2006-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pant-like undergarment having an elastic band adjacent the waist opening
JP3991013B2 (ja) 2003-08-06 2007-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構造体及びその製法
JP2005250584A (ja)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入力装置
JP4532940B2 (ja) * 2004-03-12 2010-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CA2580832A1 (en) * 2004-10-04 2006-04-1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web material
JP4766654B2 (ja) 2005-01-28 2011-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9957A1 (en) 2008-06-05
AU2007326550A1 (en) 2008-06-05
TWI475982B (zh) 2015-03-11
MA31009B1 (fr) 2009-12-01
MY176455A (en) 2020-08-10
CO6180492A2 (es) 2010-07-19
TW200836706A (en) 2008-09-16
JPWO2008066006A1 (ja) 2010-03-04
BRPI0717189B8 (pt) 2021-06-22
EP2087870B1 (en) 2014-03-26
US20080125740A1 (en) 2008-05-29
CN101541282B (zh) 2013-09-04
AU2007326550B2 (en) 2013-07-04
CA2669957C (en) 2013-07-16
EP2087870A4 (en) 2012-08-29
BRPI0717189B1 (pt) 2018-06-19
CN101541282A (zh) 2009-09-23
JP5183487B2 (ja) 2013-04-17
EA200900501A1 (ru) 2009-10-30
US8147474B2 (en) 2012-04-03
WO2008066006A1 (fr) 2008-06-05
EA016998B1 (ru) 2012-09-28
US20110022020A1 (en) 2011-01-27
BRPI0717189A2 (pt) 2014-10-21
EP2087870A1 (en)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951A (ko) 흡수성 물품
CN101754735B (zh) 具有改进适配度的吸收性物品
JP5144539B2 (ja) 吸収性物品
JP7307061B2 (ja) 視覚的に異なるシャシーおよびウェストバンド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5602776B2 (ja) シート部材、高密度領域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部材を使用した使い捨ておむつ
JP5186385B2 (ja) 複合シート及び複合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6311872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1072720A (ja) 吸収性物品
KR20090084952A (ko) 흡수성 물품 및 복합 시트
MX2008013701A (es)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con costuras reforzadas.
JP4981539B2 (ja) 高密度領域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高密度含有シートを使用した使い捨ておむつ
KR20090087088A (ko) 복합 시트 및 복합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
JP5558976B2 (ja) 間欠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並びに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及び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52479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315868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lastomeric strips
JP654715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6202802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TW201904538A (zh) 吸收性物品
JPH11503034A (ja) 弾性状の特性を示す合成物
JP525037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9180486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19017853A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LASTOMERIC BANDS ATTACHED TO THE NONWOVEN LAYER OF THE BACK SHEET
JP5734622B2 (ja) 使い捨ておむつ
OA19374A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lastomeric str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