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723A -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 Google Patents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723A
KR20090084723A KR1020090007205A KR20090007205A KR20090084723A KR 20090084723 A KR20090084723 A KR 20090084723A KR 1020090007205 A KR1020090007205 A KR 1020090007205A KR 20090007205 A KR20090007205 A KR 20090007205A KR 20090084723 A KR20090084723 A KR 2009008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composition
polishing
polysilicon
nitrogen
abrasive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858B1 (ko
Inventor
미끼까즈 시미즈
도모히꼬 아까쯔까
가즈야 스미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042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operating processes therefor
    • B24B37/04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operat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lapp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로 보다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마용 조성물은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지립을 함유하고, pH가 9 내지 12이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20 내지 5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은 콜로이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은 1.0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지립, 콜로이드 실리카, pH

Description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POLISHING COMPOSITION AND POLISH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판 위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연마가 행해지는 일이 있다. 이러한 연마에서는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가 큰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나,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평탄성을 저하시키는 디싱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디싱이란, 제거되지 않아야 될 폴리실리콘막의 부분이 연마 제거됨으로써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에 오목부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종래 알려져 있는 연마용 조성물의 대부분은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 및 디싱에 관한 요구 성능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여 실용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 1, 2를 들 수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2-190458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5-17549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로 보다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지립을 함유하고, pH가 9 내지 12인 연마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20 내지 5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은 콜로이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은 1.0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한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연마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로 보다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지립을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와 함께 물에 혼합함으로써 pH가 9 내지 12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연마용 조성물은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지립 및 물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를 더 함유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에 의한 사용,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기판 등의 기판 위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연마에서의 사용을 주로 상정한 것이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상기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20p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많아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마된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디싱의 발생은 억제된다. 이 점,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20ppm 이상이면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디싱의 발생을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로까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500pp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어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는 증대된다. 이 점,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500ppm 이하이면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에 관하여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을 얻을 수 있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상기 지립으로서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실리카, 흄드 실리카 및 소성 분쇄 실리카를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콜로이드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콜로이드 실리카를 이용한 경우에는 다른 지립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마된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디싱의 발생이 크게 억제된다.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지립의 함유량이 많아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는 증대된다. 이 점,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더 자세히는 0.3 질량% 이상, 더 자세히는 1.0 질량% 이상이면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를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로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은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지립의 함유량이 적어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 중에서의 지립의 분산성은 향상된다. 이 점,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지립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하, 더 자세히는 10 질량% 이하, 더 자세히는 5.0 질량% 이하이면 연마용 조성물 중에서의 지립의 분산성을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로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커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는 증대된다. 이 점,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3㎚ 이상, 더 자세히는 5㎚ 이상, 더 자세히는 10㎚ 이상이면 연마용 조성물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를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로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연마용 조성물 중에서의 지립의 분산성은 향상된다. 이 점,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200㎚ 이하, 더 자세히는 150㎚ 이하, 더 자세히는 90㎚ 이하이면 연마용 조성물 중에서의 지립의 분산성을 실용상 특히 적합한 레벨로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연마용 조성물 중에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상기 pH 조정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마용 조성물의 pH를 9 내지 12 사이의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하여 적절한 양의 어느 한쪽의 알칼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pH 조정제로서 사용 가능한 알칼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에틸아민 및 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실리콘막을 연마한 경우, 높은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연마 후의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디싱의 발생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용도, 특히 기판 위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연마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을 사 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상세 불명하나, 연마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에 의해 폴리실리콘막 표면이 개질됨으로써 초래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하여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2종류 이상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2종류 이상의 지립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킬레이트제나 수용성 고분자,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계면 활성제, 방부제, 곰팡이 방지제, 방청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연마용 조성물은 연마용 조성물의 원액을 물로 희석함으로써 조제되어도 된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내지 제23 실시예 및 제1 비교예, 제2 비교예에서는 지립에 pH 조정제 및 물을 첨가하고,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더 첨가하여 연마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제3 비교예 내지 제5 비교예에서는 지립에 pH 조정제 및 물을 첨가하고,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대신하는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 연마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예의 연마용 조성물 중의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또는 그것을 대신하는 화합물과 지립의 상세, 및 각 예의 연마용 조성물의 pH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한, 각 예에 있어서 사용한 pH 조정제는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이다.
표1 중,
A1은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0㎚인 콜로이드 실리카,
A2는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30㎚인 콜로이드 실리카,
A3은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70㎚인 콜로이드 실리카,
A4는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90㎚인 콜로이드 실리카,
A5는 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30㎚인 콜로이드 실리카,
B1은 하기의 구조식 1로 표현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노에테르(m=5),
B2는 하기의 구조식 2로 표현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m=5),
B3은 하기의 구조식 3으로 표현되는 평균 분자량 약 120만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m=2 내지 3),
B4는 하기의 구조식 4로 표현되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m1+m2=25, n=30),
B5는 하기의 구조식 5로 표현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m=10)를 의미한다.
[구조식1]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1
[구조식2]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2
[구조식3]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3
[구조식4]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4
[구조식5]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5
표1의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란에는, 각 예의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직경 200mm의 폴리실리콘막 블랭킷 웨이퍼의 표면을 표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연마했을 때의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를 나타낸다.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의 값은, 다이니폰스크린 제조 주식회사의 광 간섭식 막 두께 측정 장치 "람다에이스 VM-2030"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연마 전후의 각 기판 두께의 차를 연마 시간(60초)으로 나눔으로써 구했다.
표1의 "디싱량"란에는 각 예의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직경 200mm의 폴리실리콘막 패턴 웨이퍼의 표면을 표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연마한 후에 측정되는 디싱량(디싱에 의한 움푹 패인 부분의 깊이)을 나타낸다. 폴리실리콘막 패턴 웨이퍼의 연마는 엔드 포인트 시그널이 검출된 후, 엔드 포인트 시그널이 검출될 때까지의 연마 시간의 40%의 시간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더 계속한 후에 종료시켰다.
Figure 112009005860901-PAT00006
연마기 : 어플라이드마테리얼사 제품 "Mirra" 정반 직경 380㎚ 연마 패드 : 롬 앤드 하스사 제품 "IC-1010 M 그루브" 연마 압력 : 약 14kPa(=2.0psi) 정반 회전수 : 63rpm 헤드 회전수 : 57rpm 연마용 조성물의 공급 속도 : 200㎖/min. 드레싱 : In-Situ(#100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사용)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내지 제23 실시예의 연마용 조성물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에 관하여 500Å/분 이상이라는 실용에 충분한 레벨의 값을 얻을 수 있고, 디싱량에 관해서도 700Å 이하라는 실용에 충분한 레벨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pH가 9 내지 12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제1 비교예, 제2 비교예의 연마용 조성물에서는 폴리실리콘 제거 속도에 관하여 500Å/분 미만으로 실용에 충분한 레벨의 값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3 비교예 내지 제5 비교예의 연마용 조성물에서는 디싱량에 관하여 700Å초과로 실용에 충분한 레벨의 값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6)

  1.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및 지립을 함유하고, pH가 9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연마용 조성물 중의 상기 질소 함유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20 내지 500ppm인 연마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립은 콜로이드 실리카인 연마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립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10 내지 90㎚인 연마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마용 조성물 중 상기 지립의 함유량은 1.0 내지 5.0 질량%인 연마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마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실리콘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방법.
KR1020090007205A 2008-02-01 2009-01-30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KR101534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3227A JP5220428B2 (ja) 2008-02-01 2008-02-01 研磨用組成物を用いた研磨方法
JPJP-P-2008-023227 2008-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23A true KR20090084723A (ko) 2009-08-05
KR101534858B1 KR101534858B1 (ko) 2015-07-07

Family

ID=4093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05A KR101534858B1 (ko) 2008-02-01 2009-01-30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090197414A1 (ko)
JP (1) JP5220428B2 (ko)
KR (1) KR101534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741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케이씨텍 Sti 공정용 연마 슬러리 조성물
WO2019124740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케이씨텍 Sti 공정용 연마 슬러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2872A4 (en) * 2011-06-14 2015-04-29 Fujimi Inc POLISHING COMPOSITION
JP5580441B2 (ja) * 2013-03-05 2014-08-27 株式会社フジミ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研磨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US10822524B2 (en) 2017-12-14 2020-11-0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Cmp Holdings, I Aqueous compositions of low dishing silica particles for polysilicon polishi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842A (en) * 1970-07-02 1973-02-13 Tizon Chem Corp Silica polishing compositions having a reduced tendency to scratch silicon and germanium surfaces
US4169337A (en) * 1978-03-30 1979-10-02 Nalco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olishing semi-conductor materials
US4462188A (en) * 1982-06-21 1984-07-31 Nalco Chemical Company Silica sol compositions for polishing silicon wafers
US4588421A (en) * 1984-10-15 1986-05-13 Nalco Chemical Company Aqueous silica compositions for polishing silicon wafers
US5352277A (en) * 1988-12-12 1994-10-04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Final polishing composition
US5230833A (en) * 1989-06-09 1993-07-27 Nalco Chemical Company Low sodium, low metals silica polishing slurries
US5916819A (en) * 1996-07-17 1999-06-29 Micron Technology, Inc. Planarization fluid composition chelating agents and planarization method using same
US6099604A (en) * 1997-08-21 2000-08-08 Micron Technology, Inc. Slurry with chelating agent for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of a semiconductor waf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6454820B2 (en) * 2000-02-03 2002-09-24 Kao Corporation Polishing composition
JP2002190458A (ja) 2000-12-21 2002-07-05 Jsr Corp 化学機械研磨用水系分散体
US6974777B2 (en) * 2002-06-07 2005-12-13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CMP compositions for low-k dielectric materials
TWI256971B (en) * 2002-08-09 2006-06-21 Hitachi Chemical Co Ltd CMP abrasive and method for polishing substrate
TWI307712B (en) * 2002-08-28 2009-03-21 Kao Corp Polishing composition
JP4045180B2 (ja) * 2002-12-03 2008-02-13 Az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リソグラフィー用リンス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516886B1 (ko) * 2002-12-09 2005-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리콘 웨이퍼의 최종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TWI292931B (en) * 2003-05-12 2008-01-21 Jsr Cor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gent kit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US7247566B2 (en) * 2003-10-23 2007-07-24 Dupont Air Products Nanomaterials Llc CMP method for copper, tungsten, titanium, polysilicon, and other substrates using organosulfonic acids as oxidizers
KR100640600B1 (ko) 2003-12-12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학기계적연마공정를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314578B2 (en) * 2003-12-12 2008-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urry compositions and CMP methods using the same
DE102004028768A1 (de) * 2004-06-16 2005-12-29 Basf Ag Styrolpolymer-Partikelschaumstoffe mit verringerter Wärmeleitfähigkeit
JP2006100538A (ja) * 2004-09-29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研磨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US7368388B2 (en) * 2005-04-15 2008-05-06 Small Robert J Cerium oxide abrasive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JP2007144612A (ja) * 2005-10-25 2007-06-14 Hitachi Chem Co Ltd 有機膜研磨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膜の研磨方法
JP2007194261A (ja) * 2006-01-17 2007-08-02 Fujifilm Corp 研磨方法
JP2007214155A (ja) * 2006-02-07 2007-08-23 Fujifilm Corp バリア用研磨液及び化学的機械的研磨方法
US7585340B2 (en) * 2006-04-27 2009-09-08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Polish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ether amine
KR100793240B1 (ko) * 2006-06-02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및 불휘발성 메모리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021764A (ja) * 2006-07-12 2008-01-31 Fujifilm Corp 金属用研磨液
JP5648567B2 (ja) * 2010-05-07 2015-01-07 日立化成株式会社 Cmp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研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741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케이씨텍 Sti 공정용 연마 슬러리 조성물
WO2019124740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케이씨텍 Sti 공정용 연마 슬러리 조성물
US11384255B2 (en) 2017-12-20 2022-07-12 Kctech Co., Ltd. Polishing slurry composition for STI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7414A1 (en) 2009-08-06
US20130288573A1 (en) 2013-10-31
JP5220428B2 (ja) 2013-06-26
US9434046B2 (en) 2016-09-06
KR101534858B1 (ko) 2015-07-07
JP2009187985A (ja)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3840A1 (en) Polishing Composition and P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01766A (ko) 반도체 기판용 연마액 및 반도체 기판의 연마 방법
KR20110052519A (ko) 화학 기계 연마 조성물 및 관련 방법
KR102617007B1 (ko) 기판의 연마 방법 및 연마용 조성물 세트
WO2011158718A1 (ja) 半導体基板用研磨液及び半導体ウエハの製造方法
KR101534858B1 (ko)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US20080125017A1 (en) Polishing composition and polishing method
KR101534859B1 (ko) 연마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연마 방법
KR102612276B1 (ko) 실리콘 기판의 연마 방법 및 연마용 조성물 세트
TWI724117B (zh) 研磨用組成物套組、前研磨用組成物及矽晶圓之研磨方法
JP4430331B2 (ja) 半導体ウェハ研磨用組成物
KR102359487B1 (ko)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화학적 기계적 연마 조성물 및 관련 방법
JP4546039B2 (ja) 半導体ウェハ研磨用組成物
CN104245230A (zh) 抛光加工用研磨材料和使用其的基板的制造方法
KR100754807B1 (ko)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JPH10245545A (ja) シリコンウェハー用研磨助剤
JP2013110253A (ja) 半導体基板用研磨液及び半導体基板の研磨方法
JP5580441B2 (ja) 研磨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KR100567230B1 (ko) 화학 및 기계적 연마용 슬러리의 화학 첨가제
JP2009187986A (ja) 研磨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TW202305084A (zh) 研磨方法、研磨用組成物套組
KR100643632B1 (ko)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KR100524024B1 (ko) 반도체 웨이퍼 후면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