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632B1 -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632B1
KR100643632B1 KR1020050128377A KR20050128377A KR100643632B1 KR 100643632 B1 KR100643632 B1 KR 100643632B1 KR 1020050128377 A KR1020050128377 A KR 1020050128377A KR 20050128377 A KR20050128377 A KR 20050128377A KR 100643632 B1 KR100643632 B1 KR 10064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eight
slurry
silicon wafer
slur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노현수
박태원
이인경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C01B33/021Preparation
    • C01B33/023Preparation by reduction of silica or free silica-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54Abrasive powders, suspensions and pastes for polishing
    • C09K3/1463Aqueous liquid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11D3/3917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11D3/3927Quarternary ammon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의 연마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균 입경이 50 ∼ 150㎚인 콜로이드 실리카, 아민류, 금속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수산기 이온 완충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용 슬러리를 사용하여 연마 공정을 수행하면 연마 후 웨이퍼 평탄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결함인 긁힘 현상 및 잔류 이물 발생량이 크게 감소하고, 연마 슬러리로부터 웨이퍼 표면으로 흡착 또는 확산되어 스며드는 금속이온들의 함량을 줄일 수 있으며, 패키지 후 신뢰성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리콘 웨이퍼, 콜로이드 실리카, 아민류, 연마 슬러리, 금속 킬레이트제

Description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방법{Composition of Slurry for Polishing Silicon Wafer and Method of Polishing using thereby}
도 1은 표면 연마 전 웨이퍼의 현미경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슬러리로 연마한 후의 웨이퍼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의 연마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균 입경이 50 ∼ 150㎚인 콜로이드 실리카졸, 아민류, 금속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수산기이온 완충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용 슬러리를 사용하여 연마 공정을 수행하면 연마 후 웨이퍼 평탄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결함인 긁힘 현상 및 잔류 이물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키고, 연마 슬러리로부터 웨이퍼 표면으로 흡착 또는 확산되어 스며드는 금속이온들의 함량을 줄일 수 있으며, 패키지 후 신뢰성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는 700∼800㎛ 인데 일반적으로 400∼500㎛ 이 되도록 후면연마(back side grinding)를 한다. 이러한 연마는 연마기에 다이아몬드 돌기(grain)로 표면 처리된 패드를 장치하고 웨이퍼의 후면인 실리콘 기판을 연마하는 것이다. 이때 회로가 구성된 전면은 가공중 오염을 막기 위하여 자외선 감광 보호막(일반적으로 PVC film)을 붙인다.
최근에는 소형, 고속의 디스플레이 제품과 통신기기 시장의 확대로 고처리능의 회로구현을 위해 반도체 칩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고 여러 개의 칩을 겹쳐 쌓아 하나로 패키지하는 공정이 시도되고 있어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를 얇게 조절하는 후면 연마 공정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로 핸드폰 등의 고속처리, 소형화를 요구하는 용도를 위하여 두께 20∼50㎛까지 연마를 하기도 한다.
후면 연마용 슬러리는 100㎛ 혹은 그 이하의 두께로 정밀 연마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공정으로 적용되고 있다.
연마는 짧은 시간 내에 대량의 실리콘층(300∼400㎛)을 제거하는데 적합하기는 하지만 웨이퍼 가공면에 패드의 휠마크를 남기고 수십미크론 수준의 거친 표면을 남기며 특히 100㎛ 수준으로 연마를 하는 경우는 웨이퍼 깨짐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연마 후 공정으로 실리카 혹은 알루미나계 슬러리와 우레탄계의 연마포를 사용하는 연마(polishing)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 주종을 이루는 슬러리는 주로 실리카계(퓸드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인데 그 중 퓸드실리카는 알루미나계와 마찬가지로 연마속도는 우수하나 분산안정성 및 저장성이 떨어지고 연마 후 표면에 긁힘 현상 및 잔류 이물 흔적을 남기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반해 콜로이드 실리카는 이러한 단점이 개선된 것이다.
연마 중 슬러리와 전면 보호막간이 반응하여 회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막류에 대하여 반응 비활성의 조성물을 구성해야 하고, 웨이퍼의 두께가 20∼50㎛ 까 지 얇아짐에 따라 표면의 잔류금속이온성분들이 웨이퍼로 확산되어 패키지(package)후 회로의 특성을 파괴하거나, 신뢰성이 규격 내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들이 새로운 이슈(issue)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 특성을 개선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 표면의 잔류금속이온의 함량을 줄여 패키지 신뢰성을 크게 개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VA 보호막과 반응 비활성으로 연마속도를 높이고 연마후 스테인의 잔류가 없도록 세정성을 크게 개선한 연마 조성물로써 평균 입경이 50∼150㎚인 콜로이드 실리카, 연마촉진제인 4급암모늄염기 및 아민류, pH 조절제인 암모니아수를 함유하였고, 연마공정 과정에서 수산기 이온의 농도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암모늄염을 사용하여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패키지 신뢰성을 크게 개선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을 발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콜로이드 실리카, 아민류, 4급암모늄염기, 금속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수산기이온 완충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0.001 ∼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0.05 ∼ 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는 EDTA계, PDTA계, CyDTA계, NTA계, DTPA계, HEDTA계 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슬러리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0.2 ∼ 40 중량%, 아민류 0.05 ∼ 7 중량%, 4급암모늄염기 0.01 ∼ 2 중량%, 금속 킬레이트제 0.001 ∼ 1 중량%, pH조절제 0.01 ∼ 2 중량%, 수산기이온 완충제 0.01 ∼ 2 중량% 및 잔부로써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구형의 형태로 평균입경이 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민류는 에탄올 아민(ethanol amine),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amino ethyl ethanol amine), 아미노 에틸 피파라진(amino ethyl piparazine), 피파라진(piparazi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급암모늄염기는 TMA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산기이온 완충제는 탄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및 초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마용 슬러리를 반도체 후공정인 웨이퍼 후면 연마 공정의 연마용 슬러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의 조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 입경이 50∼150㎚인 콜로이드 실리카졸, 4급암모늄염기 및 아민류, 금속 킬레이트제, pH조절제, 수산기 이온의 완충작용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전체 슬러리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 ∼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30중량%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실리카 연마제는 기계연마의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평균 크기가 50∼150㎚, 바람직하게는 70∼120㎚ 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사용한다. 퓸드실리카나 알루미나계 연마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연마속도는 높으나 연마 후 세정성과 저장안정성이 열악하며, 표면 결함(긁힘현상)이 높아 상대적으로 세정성과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며, 표면의 결함이 낮은 콜로이드 실리카를 사용하게 되었다. 입경이 50㎚보다 작은 경우는 기계적 연마효과가 작고 연마 중 연마제거물(실록산치환체류)에 대하여 불안정화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150㎚ 초과의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연마속도가 크나 분산안정성과 세정성이 좋지 않아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연마 속도의 개선을 위해 강염기인 4급 암모늄염기를 사용한다. 4개 치환체 알킬기는 동일하고 그 탄소수는 1∼3 개인 경우에 효과가 있다. 특히 테트라메톡시암모늄히드록사이드(TMAH)가 효과가 좋다. 전체 슬러리 조성물 대 비 0.01 ∼ 2 중량%가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연마속도 감소하거나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아민류 첨가제는 연마가공율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슬러리의 수산기이온 농도 변화를 줄여 주는 완충작용을 함께 하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에틸렌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1차 아민과 2차 아민은 연마속도 향상에 특히 효과가 있으며, 3차 아민은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과 연마 후 세정성에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 아민류의 함량은 전체 슬러리의 조성물 대비 0.05 ∼ 7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 ∼ 5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는 슬러리 용액 내의 금속 이온들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금속이온이 웨이퍼로 흡착되거나 확산 침투되는 현상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용성 금속 킬레이트제로 사용 가능한 물질들은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EDTA;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계, 프로필렌디아민 4아세트산(PDTA; Prop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계, 1.2 시크로헥산디아민 4아세트산(CyDTA)계, 니트리로 3아세트산(NTA; Nitrilo Triacetic Acid)계, 디에틸렌트리아민6초산 (DTPA; 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계, 하이드록시에틸렌디아민3초산 (HEDTA)계 등이 있으며, 전체 슬러리 조성물 대비하여 0.001 ∼ 1 중량%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5 중량%를 사용한다.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이 1중량%를 초과할 경우 슬러리내의 실리카 입자간의 응집을 발생시켜 슬러리의 저장안정성 및 분산안정성을 저하 시킬 수 있으며, 0.001중량% 미만의 경우 킬레이제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pH 조절제는 실리카의 화학적 분산성을 배가하고 CMP에서 화학적 연마효과를 부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약염기인 암모니아가 바람직하며 전체 슬러리 조성물 대비 0.01∼2중량%를 사용하여 최종 슬러리의 pH가 11 ∼ 12가 되도록 한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약염기인 암모니아의 pH 완충효과가 약해지거나 암모니아 냄새가 심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수산기이온(OH-) 완충제는 슬러리 희석과정에서 발생되는 급격한 pH변화를 방지하며, 연마공정 과정에서의 수산기이온(OH-)의 변화를 방지하여 일정한 연마가공율을 유지하고, 표면의 평탄도 및 거칠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완충제로는 탄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초산암모늄 중 어느하나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슬러리 조성물 대비 0.01 ∼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중량%를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 0.8 중량%를 사용한다. 첨가량이 2 중량%를 초과할 경우 콜로이달 실리카의 응집을 발생시켜 슬러리의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평균 입경이 80㎚인 콜로이드 실리카졸을 탈이온수로 희석하여 입자함량이 전체 슬러리 조성물의 20 중량%가 되도록 하였고, pH가 11.5 ∼ 12가 되도록 암모니아를 전체 슬러리 조성물의 1 중량% 첨가하였으며, 테트라메톡시암모늄히드록사이드 (TMAH)를 전체 슬러리 조성물의 1.5 중량%로 사용하였다. 수산기이온 완충제로 탄산암모늄 0.75 중량% 첨가하였으며, 가공연마율 향상을 위한 아민류로는 아미노에탄올아민을 5중량% 첨가하였으며, 금속 킬레이트제(EDTA)의 함량을 0.05%, 0.1%로 슬러리를 각기 제조하였고, 비교예에서는 금속 킬레이트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슬러리를 각각 탈이온수로 20배 희석하여 실리콘 웨이퍼의 연마에 사용하였다. 그라인더는 30미크론 다이아몬드 돌기(grain)로 표면 처리된 필름이 회전판에 장치된 3헤드 래핑기(HEAD LAPPING MACHINE)를 사용하여 2분간 연마하여 300㎛ 두께를 제거하였고. 슬러리를 이용한 연마 시에는 로델사의 IC1000 PAD 를 장치하여 50초간 연마하고 표1의 항목에 대한 품질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05075534272-pat00001
*주석 1: 전면의 PVA 보호막의 들뜸과 전면상에 이물질 잔류 수준(육안식별가능 :bad/ 육안식별불가 :good))
*주석 2: microscope를 이용하여 연마표면의 wheel mark 잔류 수준(육안식별가능 :bad/ 육안식별불가 :good) 그림 1~3 의 Microscopy 참조
*주석 3: 연마후의 웨이퍼 두께 측정
*주석 4: Tape는 KL680를 사용한, package(66TSOP2) 후 85℃, 습도 65%, 168hr의 조건에서 crack 발생량 평가.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는 연마 후 웨이퍼 표면의 잔류 금속함량을 줄여 주는 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2와 3의 비교에서 금속 킬레이트제의 적절한 농도는 0.05중량% 임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라인딩 후 휠마크가 보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연마 후 휠마크가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용 슬러리를 사용하여 실리콘 웨 이퍼의 연마에 사용하면 높은 연마력효과를 얻을 수 있고, 웨이퍼 표면에 대한 잔류금속성분의 함량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패키지 신뢰성의 개선에 좋은 효과를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10)

  1. 콜로이드 실리카, 아민류, 4급암모늄염기, 금속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수산기이온 완충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0.001 ∼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0.05 ∼ 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는 EDTA계, PDTA계, CyDTA계, NTA계, DTPA계, HEDTA계 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슬러리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0.2 ∼ 40 중량%, 아민류 0.05 ∼ 7 중량%, 4급암모늄염기 0.01 ∼ 2 중량%, 금속 킬레이트제 0.001 ∼ 1 중량%, pH조절제 0.01 ∼ 2 중량%, 수산기이온 완충제 0.01 ∼ 2 중량% 및 잔부로써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구형의 형태로 평균입경이 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류는 에탄올 아민(ethanol amine),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amino ethyl ethanol amine), 아미노 에틸 피파라진(amino ethyl piparazine), 피파라진(piparazi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급암모늄염기는 TMA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이온 완충제는 탄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및 초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연마용 슬러리를 반도체 후 공정인 웨이퍼 후면 연마 공정의 연마용 슬러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방법.
KR1020050128377A 2005-12-23 2005-12-23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KR10064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7A KR100643632B1 (ko) 2005-12-23 2005-12-23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7A KR100643632B1 (ko) 2005-12-23 2005-12-23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632B1 true KR100643632B1 (ko) 2006-11-10

Family

ID=3765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377A KR100643632B1 (ko) 2005-12-23 2005-12-23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956A (ja) 1998-12-02 2000-06-23 Shin Etsu Handotai Co Ltd 半導体シリコンウェーハ研磨用研磨剤及び研磨方法
JP2000230169A (ja) 1999-02-09 2000-08-22 Ind Technol Res Inst 研磨用のスラリー
KR20050005543A (ko) * 2002-06-07 2005-01-13 캐보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저-k 유전 물질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CMP) 방법
KR20050071677A (ko) * 2002-11-08 2005-07-0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연마용 조성물 및 린싱용 조성물
KR20060097786A (ko) * 2005-03-07 2006-09-18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 품질을 개선하는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956A (ja) 1998-12-02 2000-06-23 Shin Etsu Handotai Co Ltd 半導体シリコンウェーハ研磨用研磨剤及び研磨方法
JP2000230169A (ja) 1999-02-09 2000-08-22 Ind Technol Res Inst 研磨用のスラリー
KR20050005543A (ko) * 2002-06-07 2005-01-13 캐보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저-k 유전 물질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CMP) 방법
KR20050071677A (ko) * 2002-11-08 2005-07-07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미인코퍼레이티드 연마용 조성물 및 린싱용 조성물
KR20060097786A (ko) * 2005-03-07 2006-09-18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 품질을 개선하는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667B1 (en) Polishing agent for synthetic quartz glass substrate
JP4113282B2 (ja) 研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ポリッシング方法
JP5133662B2 (ja) シリコンウエハの最終研磨用スラリ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コンウエハの最終研磨方法
US5885334A (en) Polishing fluid composition and polishing method
EP0962508B1 (en) Use of a wafer edge polishing composition
US20070186485A1 (en) Polishing composition and rinse composition
TWI798325B (zh) 研磨用組合物
WO2007127121A1 (en) Polish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ether amine
US6238272B1 (en) Polishing compound and a polishing method for silicon wafer
KR20070037409A (ko) 연마 방법, 연마용 조성물 및 연마용 조성물 키트
JP2010109370A (ja) 半導体ウェーハの両面をポリッシングする方法
CN110914958B (zh) 基板的研磨方法及研磨用组合物套组
CN112908834B (zh) 一种硅晶圆衬底快速绿色环保双面抛光方法
JP2007300070A (ja) 半導体ウエハ研磨用エッチング液組成物、それを用いた研磨用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研磨加工方法
CN108966673B (zh) 硅基板的研磨方法和研磨用组合物套组
JPWO2012105651A1 (ja) 研磨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CN102399496A (zh) 用于晶片粗抛光的研磨组合物
JP5220428B2 (ja) 研磨用組成物を用いた研磨方法
JP2001118815A (ja) 半導体ウェーハエッジ研磨用研磨組成物及び研磨加工方法
KR100643632B1 (ko) 실리콘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방법
JPWO2005029563A1 (ja) シリコンウエハ研磨用組成物および研磨方法
CN101899265B (zh) 用于移除锯痕的化学机械研磨组合物
JP5373250B2 (ja) 半導体ウエハ研磨用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9131450A1 (ja) 研磨用組成物
CN113861848B (zh) 一种再生晶圆化学机械抛光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