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83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9839A KR20090079839A KR1020090003946A KR20090003946A KR20090079839A KR 20090079839 A KR20090079839 A KR 20090079839A KR 1020090003946 A KR1020090003946 A KR 1020090003946A KR 20090003946 A KR20090003946 A KR 20090003946A KR 20090079839 A KR20090079839 A KR 20090079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vity
- small
- partially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는,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실질적으로 둥근 대형 단자(12)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는 소형 단자(13),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대형 단자(12)가 삽입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소형 단자(13)가 삽입되는 소형 캐비티(28)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대형 캐비티(27)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하우징(1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형과 소형 두 가지 타입의 단자 피팅이 단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0-21486호에 개시된 커넥터는, 대형과 소형 두 가지 타입의 단자 피팅이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의 예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실드 전선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의 대형 단자와 절연 전선의 단부가 접속되는 1개의 소형 단자가 하우징(1)에 삽입되고, 대형 단자에 대응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와 소형 단자에 대응하는 1개의 소형 캐비티(3)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형 캐비티(2)와 소형 캐비티(3) 각각은 상기 하우징(1) 내에서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므로, 커넥터는 폭 방향으로 확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 이상의 제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전선의 단부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그리고
제1 단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2개 이상의 제1 캐비티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제2 단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캐비티가 이웃하는 2개의 제1 캐비티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캐비티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의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는 실질적으로 둥근 혹은 타원형 혹은 다각형 형상을 갖고, 제1 캐비티 각각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제1 단자의 외형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대형 캐비티의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형 혹은 타원형 혹은 다각형이므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캐비티 사이의 공간은, 배열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캐비티들의 중앙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제2 캐비티는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각 캐비티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하우징은 제1 캐비티의 배열 방향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실질적으로 둥근 대형 단자와,
전선의 단부가 접속되는 소형 단자,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대형 단자가 삽입되는 2개 이상의 대형 캐비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소형 단자가 삽입되는 소형 캐비티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대형 캐비티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쪽 대형 캐비티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므로,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의 공간은,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 대형 캐비티들의 중앙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소형 캐비티는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각 캐비티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커넥터 하우징은 대형 캐비티의 배열 방향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이하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바람직하다.
(1) 바람직하게는, 삽입된 제1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제1 단자를 구속하는 제1 단자 로킹 랜스(locking lance)가 실질적으로 제2 캐비티를 향하는 제1 캐비티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고, 제2 캐비티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2개의 제1 단자 로킹 랜스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삽입된 대형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대형 단자를 구속하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가 소형 캐비티를 향하는 대형 캐비티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고, 소형 캐비티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형 캐비티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수용될 수는 없더라도, 소형 캐비티의 일부분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2) 바람직하게는, 삽입된 제2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제2 단자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로킹 랜스가 제1 캐비티를 향하는 제2 캐비티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단자 로킹 랜스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이 이웃하는 2개의 제1 캐비티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삽입된 소형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소형 단자를 구속하는 소형 단자 로킹 랜스가 대형 캐비티를 향하는 소형 캐비티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고, 소형 단자 로킹 랜스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형 단자 로킹 랜스를 위한 변형 공간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3) 바람직하게는, 각 단자를 구속하는 리테이너는 커넥터 하우징에 각 캐비 티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며, 제1 단자와 맞물리도록 제1 캐비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제1 단자 로킹부와, 제2 단자와 맞물리도록 하나 이상의 제2 캐비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로킹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 로킹부와 제2 단자 로킹부는 리테이너에 있어서 각 캐비티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장착 방향에 관하여 제1 단자 로킹부와 제2 단자 로킹부의 전방 단부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각 단자를 구속하는 리테이너는 커넥터 하우징에 각 캐비티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며, 대형 단자와 맞물리도록 대형 캐비티에 들어가는 대형 단자 로킹부와, 소형 단자와 맞물리도록 소형 캐비티에 들어가는 소형 단자 로킹부를 포함하고, 대형 단자 로킹부와 소형 단자 로킹부는 리테이너에 있어서 각 캐비티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며, 리테이너의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장착 방향에 관하여 대형 단자 로킹부와 소형 단자 로킹부의 전방 단부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캐비티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는 대형 단자 로킹부와 소형 단자 로킹부가 보강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리테이너의 강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4) 바람직하게는, 제1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캐비티 둘레벽과 제2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캐비티 둘레벽이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결되고, 전선의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가 전선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제1 캐비티 둘레벽 중 실질적으로 제2 캐비티에 대향하는 측 에 있는 부분에 형성된다. 특히, 대형 캐비티를 둘러싸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과 소형 캐비티를 둘러싸는 소형 캐비티 둘레벽이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결되고, 전선의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절결부가 전선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대형 캐비티 둘레벽 중 소형 캐비티에 대향하는 측에 있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형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구부러지더라도, 전선은 절결부의 존재로 인해 대형 캐비티 둘레벽의 간섭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 한편, 대형 캐비티 둘레벽 중에서 소형 캐비티 둘레벽에 연결된 부분은 그대로 남겨져서,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5)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에 접속되는 각 전선은 외부 도체가 내부 도체의 바깥쪽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심 방식으로 배치되는 실드 전선이고, 각 제1 단자는 실드 전선의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접속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외부 도체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단자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혹은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단자 접촉 부재의 제1 캐비티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이 실질적으로 제2 캐비티에 대향하는 제1 캐비티 둘레벽의 부분에 형성된다. 특히, 대형 단자에 접속되는 각 전선은 외부 도체가 내부 도체의 바깥쪽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실드 전선이고, 각 대형 단자는 실드 전선의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접속부를 포함하며, 외부 도체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단자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단자 접촉 부재의 대형 캐비티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이 소형 캐비티에 대향하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의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과 절결부가 소형 캐비티에 대향하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의 부분에 형성되므로, 실드 전선은 구부러질 때 절결부를 통해 빠질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실드 전선이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의 에지에 걸리는 상황을 최대한 피할 수 있다.
(6)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의 일부분인 하나 이상의 안정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기 삽입 홈이 각 제1 캐비티에,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 로킹 랜스의 측부(들)에 형성된다.
(7) 바람직하게는, 제2 캐비티는 이웃하는 제1 캐비티들의 안정기 삽입 홈과 변위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8) 바람직하게는, 제1 단자 로킹 랜스의 폭과 양쪽 안정기 삽입 홈의 폭의 합은 제1 캐비티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9) 바람직하게는, 외부 몸체에 고정된 브래킷이 하우징의 측면에 혹은 하우징의 측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브래킷 장착부가 하우징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상에 따르면, 소형화가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차량 등의 몸체(도시 생략)에 고정된 혹은 고정되는 브래킷(B) 상에 장착되는 수형 커넥터(10)를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직 방향(VD)(높이 방향)에 관해서는 도 6과 도 9를 참조한다.
<브래킷>
우선, 커넥터(10)가 장착되는 브래킷(B)을 설명한다. 브래킷(B)은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며, 실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 고정된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의 형태로 제조된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 구멍(Ba)이 브래킷(B)의 폭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선단부 가까이에 형성된다. 커넥터(10)가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브래킷(B)의 선단부는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사져 있거나, 얇아져 있거나, 혹은 둥글게 되어 있다.
<커넥터의 개요>
이어서, 브래킷(B) 상에 장착되는 커넥터(10)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11)[이하에서는, 간단히 "하우 징(11)"이라 함]과, 전선(바람직하게는 실드 전선)(SW)의 하나 이상의 각 단부가 접속되거나 혹은 접속될 수 있는 (바람직한 제1 단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수형의 대형 단자(12)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거나 혹은 접속될 수 있고 대형 단자(제1 단자)(12)보다 작은 외형 혹은 치수를 갖는 (바람직한 제2 단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수형의 소형 단자(13), 그리고 각 단자(12, 13)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속하는 리테이너(14)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대형 단자(12)와 브래킷(B)의 전기 접속부를 위한 접지 단자(15)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자(12, 13)의 하우징(11)으로의 삽입 방향(ID)과 그 반대 방향[각 전선(SW, W)의 인출 방향]은 각각 전(前)방향과 후(後)방향(FBD)이라 한다.
<대형 단자 혹은 제1 단자(들)>
대형 단자(12)에 접속되는 각 전선(바람직하게는 실드 전선)(SW)은 축 방향 중심측으로부터 내부 도체(SW1)(코어), 내부 절연층(SW2), 외부 도체(SW3)(편조 전선 혹은 필름형 도체) 및 외피(SW4)의 순으로 실질적으로 동심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들 중에서, 내부 도체(SW1)는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을 구성하고, 외부 도체(SW3)는 이러한 전기 회로의 접지선을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12)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둥근 혹은 타원 형상(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을 갖고,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12)는 실드 전선(SW)의 내부 도체(SW1)가 접속되는 내부 도체 접속부(12a)와, 내부 도체 접속부(12a)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접속 부(12b), 그리고 내부 도체 접속부(12a)와 외부 도체 접속부(12b)를 서로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내부 도체 접속부(12a)와 외부 도체 접속부(12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절연체(12c)를 포함한다. 대형 단자(12)의 최외측 부분인 외부 도체 접속부(12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내부 도체 접속부(12a)의 외측을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메인 부분(12b1)과, 실드 전선(SW)의 단부에서 노출된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되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혀서 접속되는) 전선 접속 부분(12b2)이 차례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16)가, 메인 부분(12b1)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 메인 부분(12b1) 및 전선 접속 부분(12b2)과 연속해 있는 바닥판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메인 부분(12b1)의 측부(하측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16)는, 메인 부분(12b1)의 후방 단부에 있는 개방부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하향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판 부재의 형태이다. 후술하는 리테이너(14)는 안정기(들)(16)의 후방 단부면(들)과 맞물릴 수 있고, 이러한/이들 후방 단부면(들)은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 맞물림부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메인 부분(12b1)에 있는 전술한 개방부의 전방 에지에 혹은 그 부근에 랜스 맞물림부(17)가 마련된다. 이러한 랜스 맞물림부(17)는 메인 부분(12b1)으로부터 하향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바깥쪽) 돌출하게 만들어진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18)가, 랜스 맞물림부(17)로부터 소정 각도(바람직하게는 약 90°) 이격된 메인 부분(12b1)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굽힘에 의해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전선 접속 부분(12b2)은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도체 접속부(12a)는 절연체(12c)로부터 외부 도체 접속부(12b)의 메인 부분(12b1)을 향해 돌출하는 탭을 구비하고, 이 탭은 커넥터(10)에 접속되는 도시 생략된 암형 커넥터의 대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소형 단자 혹은 제2 단자>
소형 단자(13)에 접속되는 절연 전선(W)은 코어를 절연 피복으로 덮는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13)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실질상 수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13)는 가늘고 전후 방향(FBD)으로 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 관의 형태인) 메인 부분(13a)과, 실질적으로 메인 부분(13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탭(13b), 그리고 실질적으로 메인 부분(1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선 접속 부분(13c)을 포함한다.
메인 부분(13a)의 외벽의 후방 단부 혹은 그 부근에는 전선 접속 부분(13c)과 연속해 있는 바닥판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하측부)에 하나 이상의 안정기(19)가 마련된다. 안정기(19)는 외벽의 단부로부터 바깥쪽 혹은 아래쪽으로, 즉 대형 단자(12)의 안정기(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 출하는 판 부재의 형태이다. 안정기(19)가 형성된 외벽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는 랜스 맞물림부(20)가 마련된다. 랜스 맞물림부(20)는 바깥쪽 혹은 아래쪽으로, 즉 실질적으로 대형 단자(12)의 랜스 맞물림부(17)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벽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절결부의 전방 에지를 돌출하게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바닥벽에 대향하는 메인 부분(13a)의 후방 단부의 (외벽의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측부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14)와 맞물릴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차 형상인) 리테이너 맞물림부(21)가 마련된다. 전선 접속 부분(13c)은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탭(13b)은 도시 생략된 암형 커넥터의 소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접지 단자>
접지 단자는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판(15a)과, 베이스 판(15a)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단자 접촉 부재(15b)와, 베이스 판(15a)의 측방 에지 혹은 그 부근에서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는 측판(15c), 그리고 측판(15c)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접촉 부재(15d)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각 단자 접촉 부재(15b)는 대응하는 대형 단자(12)의 외부 도체 접속 부(12b)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고, 브래킷 접촉 부재(15d)는 브래킷(B)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접지 단자(15)의 베이스 판(15a)과 측판(15c)은 전방에서 보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이룬다.
베이스 판(15a)은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11)과 맞물릴 수 있는 구속 부재가 베이스 판의 중간 혹은 중앙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굽힘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단자 접촉 부재(15b)는, 베이스 판(15a)의 개방된 전방 단부에 한 쌍의 슬릿을 형성하고 이들 슬릿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는 판 부재를 구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캔틸레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15b)는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판(15c)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판(15a)으로부터 구부러지고, 경사지게 연장된 후, 베이스 판(15a)의 전방 단부 위치에서 베이스 판(15a)을 향해 접히거나 구부러지고, 이렇게 접히거나 구부러진 부분이 대형 단자(12)와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한다. 단자 접촉 부재(15b)는 그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대형 단자(12)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측판(15c)은, 베이스 판(15a)의 측방 에지의 후방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판 부재를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단자 접촉 부재(15b)와 유사하게, 브래킷 접촉 부재(15d)는 후방 단부가 기단부이며 전방 단부가 자유 단부인 캔틸레버 형상이고,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폭 방향(WD)[브래 킷(B)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브래킷 접촉 부재(15d)는, 측판(15c)으로부터 베이스 판(15a)에 대향하는 측을 향해 돌출하는 방식으로 서 있고 중간 위치에 정점을 갖는 실질적으로 완만한 산 형상을 갖고, 상기 정점부는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하우징>
하우징(11)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대략적으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12, 13) 및 접지 단자(1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2)와, 도시 생략된 상대 암형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혹은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23), 그리고 브래킷(B)이 장착되거나 혹은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 장착부(2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23)은 실질적으로 단자 수용부(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전방측이 개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의) 관의 형태이고, 상대 암형 커넥터가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수 있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는 접속 공간이 리셉터클(23) 내에 혹은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된다. 암형 커넥터를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lock arm)(25)과, 로크 아암(25)을 보호하도록 로크 아암(25)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의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크 보호부(26)는 단자 수용부(22)와 리셉터클(23)의 상면에 마련된다.
<대형 혹은 제1 캐비티와 소형 혹은 제2 캐비티>
단자 수용부(22)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이다. 단자 수용부(22)는 각 대형 단자(제1 단자)(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2개 이상의 (바람직한 제1 캐비티로서의) 대형 캐비티(27)와, 소형 단자(제2 단자)(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제2 캐비티로서의) 소형 캐비티(28)를 구비한다. 각 캐비티(27, 28)는 단자 수용부(22)를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고, 대응하는 단자(12, 13)는 개별적으로 각 캐비티에 삽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각 대형 캐비티(27)는 실질적으로 대형 단자(12)의 외형과 일치하게 실질적으로 원형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소형 캐비티(28)는 실질적으로 소형 단자(13)의 외형과 일치하게 실질적으로 작은 크기(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를 갖고, 소형 캐비티의 외형의 치수는 대형 캐비티(27)에 비해 작다.
2개의 대형 캐비티(27)가 폭 방향(WD)으로 나란히,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22)의 측방(상측) 단에 형성된다. 양쪽 대형 캐비티(27)가 둥글거나 둥근 혹은 타원형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폭 방향(WD)으로 배치된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공간이 대형 캐비티(27)의 중심 위치(C)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장 좁고,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상측 및 하측을 향해 갈수록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소형 캐비티는 중심 위치(C)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넓은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형 캐비티(28)는 단자 수용부(22)의 오프셋된 단(바람직하게는 하측 단)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에 있고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중심 위치(C)로부터 아래쪽으로, 즉 대형 캐비티(27)의 배열 방향(W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 랜스와 안정기 삽입 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혹은 제1 단자(12)를 구속하도록 대형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 랜스(29)가, 각 대형 캐비티(27)의 내면의 측면(하면)에, 즉 바람직하게는 소형 캐비티(28)를 향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는 실질적으로 대형 캐비티(27)의 내면의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전방 단부의) 폭 방향 중간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캔틸레버 형상으로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대형 단자(12)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 랜스(29)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30)이 (탄성 변형 방향으로)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아래에 형성되고,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가 그 탄성 한계를 넘어 탄성 변형되기 전에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와 맞물림으로써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막는 과잉 변형 방지부(31)가 변형 공간(30) 부근에 혹은 변형 공간 아래에 형성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대형 캐비티(27)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대형 단자(12)의 일부분인 안정기(1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 삽입 홈(32)이, 각 대형 캐비티(27)(바람직하게는 각 대형 캐비티의 내면의 하부)에서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형성된다. 이들 하나 이상의 안정기 삽입 홈(32)은 대형 캐비티(27)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하면은 안정기 삽입 홈(32)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변형 공간(30) 및 과잉 변형 방지부(31)는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의 폭과 양쪽 안정기 삽입 홈(32)의 폭의 합은, 대형 캐비티(27)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와 안정기 삽입 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혹은 제2 단자(13)를 구속하도록 소형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33)가, 소형 캐비티(28)의 내면의 측면(하면)에 [실질적으로 대형 캐비티(27)에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는 바람직하게는 소형 캐비티(28)의 내면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내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양단부에서 지지되도록 그리고 수직 방향(VD)[소형 단자(13)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34)이 (탄성 변형 방향으로)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의 아래에 형성되고,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가 그 탄성 한계를 넘어 탄성 변형되기 전에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와 맞물림으로써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막는 과잉 변형 방지부(35)가 바람직하게는 변형 공간(34) 아래에 형성된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의 폭은 소형 캐비티(28)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소형 단자(13)의 일부분인 안정기(1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기 삽입 홈(36)이, 소형 캐비티(28)의 내면의 하부에서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의 한 측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안정기 삽입 홈(36)은 소형 캐비티(28)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캐비티(28)의 바닥면의 측방(좌측) 코너에 배치된다.
<소형 캐비티의 상세한 구성>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캐비티(28)는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안정기 삽입 홈(32)과 수직 방향(V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소형 캐비티(28)의 상단부는 폭 방향(W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안정기 삽입 홈(32)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위치 관계로 있다. 또한, 소형 캐비티(28)는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내측 [단자 수용부(22)의 중앙에 가까운] 안정기 삽입 홈(32) 사이에 배치되고, 폭 방향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내측 측방 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소형 캐비티(28)는 양쪽 대형 캐비티(27)와 수직 방향(VD) 및/또는 폭 방향(WD)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중첩을 통해 단자 수용부(22)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다시 말하자면, 소형 캐비티(28)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공간이 가장 좁은 중앙 위치를 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대형 캐비티(27)의 안정기 삽입 홈(3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해 있는 소형 캐비티(28)의 부분, 즉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없는 부분은,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 및 2개의 변형 공간(30) 사이에 폭 방향(WD)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VD)으로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 및 2개의 변형 공간(3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위치 관계로 있다. 간략히 말하자면, 소형 캐비티(28)의 일부분은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 및 2개의 변형 공간(3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대형 캐비티 둘레벽과 소형 캐비티 둘레벽>
대형 캐비티(제1 캐비티)(27)와 소형 캐비티(제2 캐비티)(28)는 단자 수용부(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단자 수용부(22)에서, 대형 캐비티(27)를 둘러싸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대면부[단자 수용부(22)에서의 중앙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과 소형 캐비티(2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소형 캐비티 둘레벽(38)과의 대면부도 또한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전선(SW)의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39)가,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후방 단부[실드 전선(SW)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상측 부분[소형 캐비티(28)에 대향하는 측에 있는 부분]에 형성된다. 절결부(39)는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을 포함하는 단자 수용부(22)의 상부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된다.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상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반부)는 절결부(39)에 의해 제거되므로, 대형 캐비티(27)로부터 인출되는 실드 전선(SW)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혹은 위쪽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소형 캐비티 둘레벽(38)과 연결되어 있는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하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반부)는 남아 있으므로, 대형 캐비티 둘레벽(37)보다 얇은 소형 캐비티 둘레벽(38)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브래킷 장착부>
브래킷 장착부(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11)의 측면에 배치되며, 브래킷 장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 브래킷(B)은 판 면이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는 자세를 취한다. 브래킷 장착부(24)는 개방된 후방 단부를 갖는 백(bag)의 형태이고, 브래킷 장착부의 내부 공간은 브래킷(B)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수용 챔버(24a)로서의 기능을 한다. 브래킷 장착부(24)는 삽입된 브래킷(B)의 로킹 구멍(Ba)과 맞물려서 브래킷(B)을 구속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인) 브래킷 로킹 부재(24b)를 포함한다.
<접지 단자 장착 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15)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거나 혹은 장착될 수 있는 접지 단자 장착 홈(40)이 단자 수용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접지 단자 장착 홈(40)은 단자 수용부(22)에서 후방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홈의 형태이며, 후방에서 보았을 때 접지 단자(15)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만곡되어 있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고, 그리고 접지 단자 장착 홈은, 폭 방향(WD)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판(15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 판 수용부(40a)와,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고 측판(15c)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측판 수용부(40b)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22)에서, 베이스 판 수용부(40a)는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위[소형 캐비티(28)에 대항하는 측]에 배치되고, 측판 수용부(40b)는 도 7에 도시된 우측 대형 캐비티(27)와 브래킷 수용 챔버(24a) 사이에 배치된다.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과 브래킷 접촉 부재 삽입 홈>
단자 수용부(22)에서는, 베이스 판 수용부(40a) 및 양쪽 대형 캐비티(27)와 연통하고 단자 접촉 부재(15b)가 대형 캐비티(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이, 접지 단자 장착 홈(40)의 베이스 판 수용부(40a)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에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에] 형성되며 개방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베이스 판 수용부(40a)와 양쪽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은, 절결부(39)가 형성되어 있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상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반부)에 형성되고, 양쪽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단자 수용부(22)에서는, 접지 단자 장착 홈(40)의 측판 수용부(40b) 및 브래킷 수용 챔버(24a)와 연통하고 브래킷 접촉 부재(15d)의 브래킷 수용 챔버(24a)로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한 브래킷 접촉 부재 삽입 홈(42)이, 측판 수용부(40b)와 브래킷 수용 챔버(24a) 사이에 형성되며 개방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
도 9, 도 10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4)가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이 단자 수용부(22)의 하측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22)의 양쪽 대형 캐비티 둘레벽(37)과 소형 캐비티 둘레벽(38)의 하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양쪽 대형 캐비티(27)와 소형 캐비티(28)에 연통한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은, 각 로킹 랜스(29, 33)의 부근 혹은 후방의 위치에서 각 캐비티(27, 28)의 바닥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은 후술하는 리테이너(14)의 외형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은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를 넘어 연장되는 범위로 형성되며, 장착된 리테이너(14)를 유지하기 위한 제1 리테이너 유지부(43a)와 제2 리테이너 유지부(43b)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의 주위 에지에 있어서 소정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각각 마련된다. 제1 리테이너 유지부(43a)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의 측방 단부의 후방 에지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되는 반면, 제2 리테이너 유지부(43b)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의 측방 단부의 전방 에지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 유지부(43a)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리테이너>
리테이너(14)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긴 베이스부(14a)와, 베이스부(14a)의 폭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로부터 위쪽[하우징(11)으로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뒤쪽]으로 돌출하는 소형 단자 로킹부(14b), 그리고 베이스부(14a)에 있어서 소형 단자 로킹부(14b)의 양 측부의 위치에서 위쪽으로 각각 돌출하는 대형 단자 로킹부(14c)를 포함한다.
리테이너(14)가 하우징(11)에 장착될 때, 소형 단자 로킹부(14b)는 소형 캐비티(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서 소형 단자(13)의 리테이너 맞물림부(21)와 맞물릴 수 있다. 한편, 대형 단자 로킹부(14c)는 대응하는 대형 캐비티(27)[안정기 삽입 홈(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서 대응하는 대형 단자(12)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들)(16)와 맞물릴 수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부(14c)가, 베이스부(14a)에 있어서 각 대형 단자(12)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들)(16)에 폭 방향(WD)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대형 단자 로킹부(14c)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판의 형태이고, 소형 단자 로킹부(14b)보다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한 쌍의 대형 단자 로킹부(14c)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각 대형 단자(12)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들)(16)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대형 단자 로킹부(14c)의 전방 단부는 연결부(14d)에 의해 연결되어 보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연결부(14d)는 대형 단자 로킹부(14) 중에서 안정기(16)와 맞물리는 선단부를 제외한 영역을 연결하며, 또한 베이스부(14a)에도 연결된다.
소형 단자 로킹부(14b)는 베이스부(14a)의 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되는 반면에, 대형 단자 로킹부(14c)는 베이스부(14a)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된다. 소형 단자 로킹부(14b)의 전방 단부와 대형 단자 로킹부(14c)의 후방 단부는 약간 직접 연결되어 있지만, 소형 단자 로킹부(14b)와 대형 단자 로킹 부(14c)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각 캐비티(27, 28)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단자 로킹부(14b)와 대형 단자 로킹부(14c)의 하단부[하우징(11)으로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전방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베이스부(14a)는 소형 단자 로킹부(14b)와 대형 단자 로킹부(14c)를 연결하는 보강부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들 단자 로킹부는 전후 방향(FBD)으로 변위되는 작은 부분에서만 보강을 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옆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e)가 베이스부(14a)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단부(들)에 마련된다. 돌출부(14e)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4a)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리테이너(14)를 하우징(11) 내에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는 제1 유지 아암(14f) 및 제2 유지 아암(14g)은 돌출부(14e)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제1 유지 아암(14f)은 돌출부(14e)의 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2 유지 아암(14g)은 돌출부(14e)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클로(claw)가 유지 아암(14f, 14g)의 선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리테이너(14)는 하우징(11)에 장착될 때 적어도 서로 다른 수직 방향의 두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4)가 리테이너 장착 구멍(43)에 장착되고 제1 유지 아암(14f)이 제1 리테이너 유지부(43a)와 맞물린 상태에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로킹부(14b, 14c)는 각 단자(12, 13)의 캐비티(27, 28)로의 삽입과 캐비티(27, 28)로부터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대응하는 캐비티(27, 28)로부터 아래쪽으로 후퇴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상태를, 리테이너(14)의 하면이 하우징(11)의 하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 돌출해 있는 부분 로킹 위치(혹은 제1 위치)라 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지 아암(14g)이 제2 리테이너 유지부(43b)와 맞물린 상태에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로킹부(14b, 14c)는 대응하는 캐비티(27, 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 대응하는 단자(12, 13)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단자(12, 13)가 구속된다. 이러한 장착 상태를, 리테이너(14)의 하면이 하우징(11)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완전 로킹 위치(혹은 제2 위치)라 한다.
<접지 단자와 리테이너의 장착 작업>
이어서, 전술한 바와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우선,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15)를 하우징(11) 내의 접지 단자 장착 홈(40)에 장착하면서, 리테이너(14)를 하우징(11)에 부분 로킹 위치로 장착한다. 접지 단자(15)가 장착되었을 때, 구속 부재가 접지 단자 장착 홈(40)의 주위 에지에 맞물리거나 걸리고, (한 쌍의) 단자 접촉 부재(15b)가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을 통해 2개의 대형 캐비티(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며, 브래킷 접촉 부재(15d)가 브래킷 접촉 부재 삽입 홈(42)을 통해 브래킷 수용 챔버(24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소형 단자 장착 작업>
이어서,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양쪽 대형 단자(12)(제1 단자) 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는 소형 단자(13)(제2 단자)를 하우징(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시킨다. 소형 단자(13)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13)의 바닥판이 위쪽을 향해 있고 안정기(19)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자세를 취하고서, 소형 캐비티(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안정기(19)는 삽입 작업을 안내하는 안정기 삽입 홈(3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장착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소형 단자(13)의 (둘레 방향의) 자세가 적절한 자세와 다르다면, 안정기(19)는 안정기 삽입 홈(36)과 정렬될 수 없고, 그 대신에 소형 캐비티 둘레벽(38)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잘못된 자세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소형 단자(13)가 소형 캐비티(28) 내에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는 소형 단자(13)에 의해 일시적으로 하향 탄성 변형되어 변형 공간(3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소형 단자(13)가 실질적으로 적정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소형 단자 로킹 랜스(33)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랜스 맞물림부(20)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소형 단자(13)가 1차적으로 로킹된다. 이때, 소형 단자(13)는 그 탭(13b)이 단자 수용부(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리셉터클(23) 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형 단자 장착 작업>
한편, 대형 단자(12)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 로부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12)의 외부 도체 접속부(12b)의 바닥판이 위쪽을 향해 있고 한 쌍의 안정기(16)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자세를 취하고서, 대형 캐비티(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들)(16)는 삽입 작업을 안내하는 대응하는 안정기 삽입 홈(들)(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장착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대형 단자(12)의 자세가 적절한 자세와 다르다면, 소형 단자(13)와 유사하게 (한 쌍의) 안정기(들)(16)에 의해 잘못된 자세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대형 단자(12)가 대형 캐비티(27) 내에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는 대형 단자(12)에 의해 일시적으로 하향 탄성 변형되어 변형 공간(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대형 단자(12)가 실질적으로 적정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을 때,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랜스 맞물림부(17)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대형 단자(12)가 1차적으로 로킹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대형 캐비티(27) 내에서 대기하고 있던 접지 단자(15)의 단자 접촉 부재(15b)가, 랜스 맞물림부(17)에 대향하는 대형 단자(12)의 외부 도체 접속부(12b)의 상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 단자(12)는, 안정기(16)보다 전방에 있는 메인 부분(12b1)의 일부분이 단자 수용부(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리셉터클(23) 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리테이너 이동 작업>
모든 단자(12, 13)의 대응 캐비티(27, 28)로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리테 이너(14)를 부분 로킹 위치로부터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킨다. 리테이너(14)를 도 17에 도시된 부분 로킹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밀면, 제1 유지 아암(14f)은 제1 리테이너 유지부(43a)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리테이너(14)는 장착 방향(MD)[삽입 방향(I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혹은 위쪽으로 이동된다. 리테이너(14)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로킹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2 유지 아암(14g)은 제2 리테이너 유지부(43b)와 맞물려서 리테이너(14)를 완전 로킹 위치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시킨다. 이때, 소형 단자 로킹부(14b)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캐비티(2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소형 단자(13)의 리테이너 맞물림부(21)의 후방 단부면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소형 단자(13)가 2차적으로 로킹된다. 한편, 대형 단자 로킹부(14c)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캐비티(27)의 일부분인 대응하는 안정기 삽입 홈(32) 내에 위치하여 대형 단자(12)의 안정기(16)의 후방 단부면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대형 단자(12)가 2차적으로 로킹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각 단자(12, 13)는 대응하는 로킹 랜스(29, 33)와 리테이너(14)에 의해 이중으로 로킹되고 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 장착 작업>
리테이너(14)가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커넥터(10)를 브래킷(B) 상에 장착한다. 브래킷(B)이 하우징(11)의 브래킷 장착부(24)의 브래킷 수용 챔버(24a) 내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적정 깊이까지 밀어 넣어질 때, 브래킷 로킹 부재(24b)는 로킹 구멍(Ba)과 맞물려 서 리테이너(B)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래킷 수용 챔버(24a) 내에서 대기하고 있던 접지 단자(15)의 브래킷 접촉 부재(15d)가, 브래킷(B)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실드 전선(SW)의 접지선인 외부 도체(SW3)는 대형 단자(12)의 외부 도체 접속부(12b)와 접지 단자(15)를 통해 브래킷(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의해 접지된다.
<실드 전선의 구부러짐>
전술한 장착 상태의 하우징(11)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실드 전선(SW)과 절연 전선(W)에 당김힘이 가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실드 전선(SW)은 예컨대 위쪽으로 당겨져 구부러지고, 실드 전선은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에서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의 에지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실드 전선(SW)이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의 에지의 간섭을 받으면서 더 당겨지면, 실드 전선은 상기 홈의 에지에 걸리거나 혹은 맞물려서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이 형성되어 있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상부에 절결부(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드 전선(SW)이 구부러진 경우에도, 실드 전선은 절결부(39)를 통해 빠질 수 있게 되고,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의 에지의 간섭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고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 이상의 대형 단자(12)(제1 단자)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소형 단자(13)(제2 단자),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고 대형 단자(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2개 의 대형 캐비티(27)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소형 단자(1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소형 캐비티(28)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형 캐비티(27)의 배열 방향[폭 방향(W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수직 방향(V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하우징(11)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양쪽 대형 캐비티(27)의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둥글거나 원형 혹은 타원형이므로,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 사이(27)의 공간은, 배열 방향[폭 방향(WD)]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VD)]에 있어서 대형 캐비티(27)들의 중앙 위치(C)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진다. 소형 캐비티가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각 캐비티가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11)은 대형 캐비티(27)의 배열 방향(WD)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전체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삽입된 대형 단자(12)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대형 단자를 구속하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가 소형 캐비티(28)를 향하는 대형 캐비티(27)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고, 소형 캐비티(28)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형 캐비티(28)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에 완전히 수용될 수는 없더라도, 소형 캐비티(28)의 일부분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29)가 대형 캐비티(27)의 내면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각 단자(12, 13)를 구속하는 리테이너(14)는 하우징(11)에 각 캐비티(27, 28)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M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대형 캐비티(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대형 단자(12)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대형 단자 로킹부(14c)와, 소형 캐비티(2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소형 단자(13)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소형 단자 로킹부(14b)를 포함하고, 리테이너(14)의 대형 단자 로킹부(14c)와 소형 단자 로킹부(14b)는 바람직하게는 각 캐비티(27, 28)의 축선 방향[전후 방향(FBD)]으로 변위되며, 하우징(11)으로의 장착 방향(MD)에 관하여 대형 단자 로킹부(14c)와 소형 단자 로킹부(14b)의 전방 단부는 베이스부(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14)의 강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11)에 있어서, 대형 캐비티(2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대형 캐비티 둘레벽(37)과 소형 캐비티(2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소형 캐비티 둘레벽(38)이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되고, 실드 전선(SW)이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39)가, 실드 전선(SW)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대형 캐비티 둘레벽(37) 중 실질적으로 소형 캐비티(28)에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측부에 있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대형 단자(12)에 접속된 실드 전선(SW)이 구부러지더라도, 실드 전선(SW)은 절결부(39)의 존재로 인해 대형 캐비티 둘레벽(37)의 간섭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 한편, 대형 캐비티 둘레벽(37) 중에서 소형 캐비티 둘레벽(38)에 연결된 부분은 그대로 남겨져서, 하우징(11)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드 타입인 대형 단자(12)는 실드 전선(SW)의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접속부(12b)를 포함하고, 외부 도체 접속부(12b)와 접촉하게 되는 단자 접촉 부재(15b)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15)가 하우징(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며, 단자 접촉 부재(15b)의 대형 캐비티(27)로의 삽입을 허용하는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이 대형 캐비티 둘레벽(37) 중에서 소형 캐비티(28)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실드 전선(SW)은 구부러질 때에 절결부(39)를 통해 빠질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실드 전선(SW)이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의 에지에 걸리는 상황을 최대한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를 촉진하기 위해, 커넥터(10)는,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둥근) 대형 단자(12)(제1 단자)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소형 단자(13)(제2 단자), 그리고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대형 단자(12)가 삽입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소형 단자(13)가 삽입되는 소형 캐비티(28)가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27)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대형 캐비티(27)의 배열 방향[폭 방향(WD)]에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수직 방향(V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2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하우징(11)을 구비한다.
<제2 실시예>
도 26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형 커넥터(10)에 접속 가능한 암형 커넥터(50)를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직 방향(높이 방향)에 관해서는 도 28과 도 30을 참조한다.
<커넥터의 개요>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0)는, 커넥터 하우징(51)[이하에서는, 간단히 "하우징(51)"이라 함]과,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거나 혹은 접속될 수 있는 (바람직한 제1 단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암형의 대형 단자(52)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거나 혹은 접속될 수 있고 대형 단자(제1 단자)(52)보다 작은 외형 혹은 치수를 갖는 (바람직한 제2 단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암형의 소형 단자(53),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 단자(52, 53)를 구속하는 리테이너(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자(52, 53)의 하우징(51)으로의 삽입 방향(ID)과 그 반대 방향[각 전선(SW, W)의 인출 방향]은 각각 전방향과 후방향(FBD)이라 한다. 또한, 실드 전선(SW)과 절연 전선(W)은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설명하지 않는다.
<대형 단자 혹은 제1 단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대형 혹은 제1 단자(52)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둥글거나(실질적으로 원형) 타원 혹은 다각형 형상을 갖고,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52)는 실드 전선(SW)의 내부 도체(SW1)가 접속되는 내부 도체 접속부(52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도체 접속부(52a)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접속부(52b), 그리고 내부 도체 접속부(52a)와 외부 도체 접속부(52b)를 서로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내부 도체 접속부(52a)와 외부 도체 접속부(52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절연체(52c)를 포함한다. 상대 수형 대형 단자의 외부 도체 접속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공간이 외부 도체 접속부(52b)와 절연체(52c) 사이에 형성된다. 외부 도체 접속부(52b)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내부 도체 접속부(52a)의 외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원통 형상을 갖는 메인 부분(52b1)과, 실드 전선(SW)의 단부에서 노출된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되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혀서 접속되는) 전선 접속 부분(52b2)이 차례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전선 접속 부분(52b2)과 실질적으로 연속해 있는 메인 부분(52b1)의 측판(바닥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구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와 맞물릴 수 있는 랜스 맞물림부(55)가 개구(54)의 전방 에지에 혹은 그 부근에 마련되고, 메인 부분(52b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만들어진다. 바깥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56)가 개구(5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 혹은 그 부근에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메인 부분(52b1) 중에서 전선 접속 부분(52b2)과 연속해 있는 바닥판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부분의 후방 단부 혹은 그 부근에는, 도시되지 않은 리테이너와 맞물릴 수 있는 단차 형상의 리테이너 맞물림부(57)가 마련된다. 전선 접속 부분(52b2)은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도체 접속부(52a)는 상대 수형 커넥터의 대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소형 단자 혹은 제2 단자>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소형 혹은 제2 단자(53)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실질상 수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53)는 가늘고 전후 방향(FBD)으로 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 관의 형태인) 메인 부분(53a)과, 메인 부분(5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선 접속 부분(53b)을 포함한다.
메인 부분(53a)의 외벽의 후방 단부 혹은 그 부근에는 전선 접속 부분(53b)과 연속해 있는 바닥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상측부)에 하나 이상의 안정기(58)가 마련된다. 안정기(58)는 외벽의 단부로부터 바깥쪽 혹은 위쪽으로, 즉 대형 단자(들)(52)의 안정기(들)(56)의 돌출 방향에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판 부재의 형태이다. 안정기(58)가 형성된 외벽의 전방 단부에는 랜스 맞물림부(59)가 마련된다. 랜스 맞물림부(59)는 위쪽으로, 즉 실질적으로 대형 단자(들)(52)의 랜스 맞물림부(들)(55)의 돌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벽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절결부의 전방 에지를 돌출하게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실질 적으로 바닥벽에 대향하는 메인 부분(53a)의 후방 단부의 (외벽의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측부에는, 도시 생략된 리테이너와 맞물릴 수 있는 단차 형상 혹은 움푹 들어간 리테이너 맞물림부(60)가 마련된다. 전선 접속 부분(53b)은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대 수형 커넥터의 소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탄성 접촉 부재가 메인 부분(53a)에 마련된다.
<하우징>
하우징(51)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실질적으로 도 28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블록의 형태이며, 수형 커넥터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로크 아암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부(51a)가 하우징(51)의 측면(상면)에 마련된다.
<대형 혹은 제1 캐비티와 소형 혹은 제2 캐비티>
하우징(51)은 대형 단자(제1 단자)(5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2개 이상의 (바람직한 제1 캐비티로서의) 대형 캐비티(61)와, 소형 단자(제2 단자)(5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소형 캐비티(62)를 구비한다. 각 캐비티(61, 62)는 하우징(51)을 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고, 대응하는 단자(52, 53)는 개별적으로 각 캐비티에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각 대형 캐비티(61)는 실질적으로 대형 단자(52)의 외형과 일치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 (실질적으로 둥근) 혹은 타원형 혹은 다각형] 단면을 갖는 반면에, 소형 캐비티(62)는 실질적으로 소형 단자(53)의 외형과 일치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소형 캐비티의 외형의 치수는 대형 캐비티(61)에 비해 작다.
2개의 대형 캐비티(61)가 하우징(51)의 제1 (바람직하게는 상측) 단에 폭 방향(WD)(배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양쪽 대형 캐비티(61)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 혹은 난형(卵形) 혹은 타원형 혹은 다각형인 단면을 갖기 때문에, 폭 방향(WD)으로 배치된 2개의 대형 캐비티(61) 사이의 공간이 대형 캐비티(61)의 중심 위치(C)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장 좁고,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상측 및 하측을 향해 갈수록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소형 캐비티(62)는 중심 위치(C)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넓은 2개의 대형 캐비티(61) 사이의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형 캐비티(62)는 하우징(51)의 하측 단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2개의 대형 캐비티(61) 사이에 있고 양쪽 대형 캐비티(61)의 중심 위치(C)로부터 아래쪽으로, 즉 대형 캐비티(61)의 배열 방향[폭 방향(W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수직 방향(VD)]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 랜스와 안정기 삽입 홈>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52)(제1 단자)를 구속하도록 대형 단자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대형 혹은 제1 단자 로킹 랜스(63)가, 각 대형 캐비티(61)의 내면의 측면(하면)에, 즉 소형 캐비티(62)를 향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는 대형 캐비티(61)의, 바람직하게는 대형 캐비티(61)의 내면 중 하부의 전방 단부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위 치)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VD)[대형 단자(52)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64)이 (탄성 변형 방향으로)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아래에 형성되고,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가 그 탄성 한계를 넘어 탄성 변형되기 전에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와 맞물림으로써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막는 과잉 변형 방지부(65)가 바람직하게는 변형 공간(64) 아래에 형성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대형 캐비티(61)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대형 단자(52)의 일부분인 하나 이상의 안정기(5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 삽입 홈(66)이, 각 대형 캐비티(61)의 내면의 하부에서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형성된다. 이들 안정기 삽입 홈(들)(66)은 대형 캐비티(61)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대향하는 측부들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하면은 바람직하게는 안정기 삽입 홈(66)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변형 공간(64) 및 과잉 변형 방지부(65)는 바람직하게는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의 폭과 양쪽 안정기 삽입 홈(66)의 폭의 합은, 대형 캐비티(61)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와 안정기 삽입 홈>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53)를 구속하도록 소형 단자와 탄성적 으로 맞물리는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67)가, 소형 캐비티(62)의 내면의 상면에 [대형 캐비티(61)를 향하는 측면에] 마련된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는 소형 캐비티(62)의 내면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내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양단부에서 지지되도록 그리고 수직 방향(VD)[소형 단자(53)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위쪽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소형 단자(53)와 맞물릴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하부는 그 폭이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소형 단자 로킹 랜스의 상부는 [대형 캐비티(61)의 중심 위치(C)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단부를 향해 테이퍼져 있다(도 28 참조).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68)이 (탄성 변형 방향으로)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부근에 혹은 위에 형성되고,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가 바람직하게는 그 탄성 한계를 넘어 탄성 변형되기 전에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와 맞물림으로써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막는 과잉 변형 방지부(69)가 변형 공간(68)의 위에 형성된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폭은 소형 캐비티(62)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소형 단자(53)의 일부분인 안정기(5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기 삽입 홈(70)이, 소형 캐비티(62)의 내면의 하부에서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의 한 측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안정기 삽입 홈(70)은 소형 캐비티(62)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캐비티(62)의 상면의 측방(좌측) 코너에 배치된다.
<소형 혹은 제2 캐비티의 상세한 구성>
소형 혹은 제2 캐비티(62)는 양쪽 대형 캐비티(61)의 안정기 삽입 홈(66)과 수직 방향(V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소형 캐비티(62)의 상단부와 이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안정기 삽입 홈(70)은 폭 방향(W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61)의 안정기 삽입 홈(66)에 인접하는 위치 관계로 있다. 또한,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67)와, 변형 공간(68), 그리고 과잉 변형 방지부(69)도 또한 폭 방향(W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61) [안정기 삽입 홈(66) 포함]에 인접하는 위치 관계로 있다. 또한, 소형 혹은 제2 캐비티(62)는 양쪽 대형 캐비티(61)의 내측 [하우징(51)의 중앙에 가까운] 안정기 삽입 홈(66)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폭 방향(WD)으로 양쪽 대형 캐비티(61)의 내측 측방 단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소형 캐비티(62),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 변형 공간(68) 및 과잉 변형 방지부(69)는 양쪽 대형 캐비티(61)와 수직 방향(VD) 및/또는 폭 방향(WD)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러한 중첩(들)을 통해 하우징(51)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다시 말하자면, 소형 캐비티(62)는 2개의 대형 캐비티(61) 사이의 공간이 가장 좁은 중앙 위치를 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대형 캐비티(61)의 안정기 삽입 홈(6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돌출해 있는 소형 캐비티(62)의 부분, 즉 2개의 대형 캐비티(6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없는 부분은,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 및 2개의 변형 공간(64) 사이에 폭 방향(WD)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및/또는 수직 방향(VD)으로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 및 2개의 변형 공간(6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위치 관계로 있다. 간략히 말하자면, 소형 캐비티(62)의 일부분은 2개의 대형 단자 로킹 랜 스(63) 및 2개의 변형 공간(64)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소형 혹은 제2 단자 장착 작업>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실드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 이상의 대형 혹은 제1 단자(52)와 절연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소형 혹은 제2 단자(53)를 하우징(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시킨다. 소형 단자(53)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단자(53)의 바닥판이 아래쪽을 향해 있고 안정기(58)가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자세를 취하고서, 소형 캐비티(6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안정기(58)는 삽입 작업을 안내하는 안정기 삽입 홈(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장착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소형 단자(53)가 소형 캐비티(62) 내에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는 소형 단자(53)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향 탄성 변형되어 변형 공간(6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소형 단자(53)가 실질적으로 적정한 깊이로 삽입되었을 때, 소형 단자 로킹 랜스(67)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랜스 맞물림부(59)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소형 단자(53)가 구속된다.
<대형 혹은 제1 단자 장착 작업>
한편, 대형 단자(52)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단자(52)의 외부 도체 접속부(52b)의 바닥 판이 아래쪽을 향해 있고 양쪽 안정기(56)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자세를 취하고서, 대형 캐비티(6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양쪽 안정기(56)는 삽입 작업을 안내하는 대응하는 안정기 삽입 홈(6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장착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대형 단자(52)가 대형 캐비티(61) 내에 특정(예정된 혹은 예정 가능한) 깊이로 삽입될 때,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는 대형 단자(52)에 의해 일시적으로 하향 탄성 변형되어 변형 공간(6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대형 단자(52)가 실질적으로 적정한 깊이로 삽입되었을 때, 대형 단자 로킹 랜스(63)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랜스 맞물림부(55)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대형 단자(52)가 구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된 소형 혹은 제2 단자(53)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소형 단자를 구속하는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67)가, 소형 혹은 제2 캐비티(62)의 내면에 있어서 대형 혹은 제1 캐비티(61)를 향하는 측에 마련되고, 및/또는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67)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68)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혹은 제1 캐비티(6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형 혹은 제2 단자 로킹 랜스(67)를 위한 변형 공간(68)이 이웃하는 2개의 대형 혹은 제1 캐비티(61)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소형화에 더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한다.
(1) 전술한 각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에 덧붙여서, 소형 캐비티(제2 캐비티)와 2개의 이상의 대형 캐비티(제1 캐비티)가 수직 방향(VD) 및/또는 폭 방향(WD)으로 중첩되는 범위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2)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소형 단자(제2 단자)가 도시되어 있지만, 둥근 소형 단자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대형 단자에 실드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단자에는 따른 외부 도체나 외피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절연 전선(소형 단자에 접속되는 것과 동일한 타입의 전선)이 접속될 수 있다.
(4)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접지 단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지 단자 장착 홈,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 등이 하우징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브래킷 상에 장착되지 않는 수형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5)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2개의 대형 캐비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3개 이상의 대형 캐비티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웃하는 대형 캐비티들 사이에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2개 이상의 소형 캐비티가 각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도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6)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2개의 대형 캐비티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대형 캐비티는 수직 방향으로 혹은 임의의 다른 배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7)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가 대형 캐비티의 내면에 있어서 소형 캐비티를 향하는 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대형 단자 로킹 랜스는 대형 캐비티의 내면에 있어서 소형 캐비티에 대향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8)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대형 단자 로킹 랜스가 일단부에서만 지지되어 있지만, 대형 단자 로킹 랜스는 양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소형 단자 로킹 랜스는 양단부에서 지지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일단부에서만 지지될 수 있다.
(9)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에 있어서 대형 단자 로킹부가 전방 단부에 가까이 배치되고 소형 단자 로킹부가 후방 단부에 가까이 배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자 로킹부의 전후 방향(FBD)에서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테이너를 포함하지 않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절결부가 하우징의 대형 캐비티 둘레벽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절결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단자의 정면도.
도 2는 소형 단자의 정면도.
도 3은 접지 단자의 후면도.
도 4는 접지 단자의 평면도.
도 5는 접지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하우징의 정면도.
도 7은 하우징의 후면도.
도 8은 브래킷 및 하우징의 측면도.
도 9는 하우징, 대형 단자 및 리테이너를 보여주는 도 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하우징, 대형 단자 및 리테이너를 보여주는 도 7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12는 리테이너의 후면도.
도 13은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14는 리테이너가 부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리테이너가 부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리테이너가 부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리테이너가 부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대형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9는 대형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리테이너가 완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1은 리테이너가 완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2는 리테이너가 완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3은 리테이너가 완전 로킹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각 단자와 브래킷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하우징의 후면도.
도 25는 실드 전선이 위쪽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단자의 정면도.
도 27은 소형 단자의 정면도.
도 28은 하우징의 정면도.
도 29는 하우징의 후면도.
도 30은 하우징과 대형 단자를 보여주는 도 29의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1은 하우징과 소형 단자를 보여주는 도 29의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2는 대형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9의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3은 소형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9의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4는 종래 하우징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 커넥터
11, 51 : 하우징
12, 52 : 대형 단자(제1 단자)
12b, 52b : 외부 도체 접속부
13, 53 : 소형 단자(제2 단자)
14 : 리테이너
14a : 베이스부(보강부)
14b : 소형 단자 로킹부(제2 단자 로킹부)
14c : 대형 단자 로킹부(제1 단자 로킹부)
15 : 접지 단자
15b : 단자 접촉 부재
27, 61 : 대형 캐비티(제1 캐비티)
28, 62 : 소형 캐비티(제2 캐비티)
29, 63 : 대형 단자 로킹 랜스(제1 단자 로킹 랜스)
33, 67 : 소형 단자 로킹 랜스(제2 단자 로킹 랜스)
34, 68 : 변형 공간
37 : 대형 캐비티 둘레벽(제1 캐비티 둘레벽)
38 : 소형 캐비티 둘레벽(제2 캐비티 둘레벽)
39 : 절결부
41 :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
SW : 실드 전선(전선)
SW1 : 내부 도체
SW3 : 외부 도체
W : 절연 전선(전선)
Claims (15)
- 전선(SW)의 단부들이 접속되는 2개 이상의 제1 단자(12; 52)와,하나 이상의 전선(W)의 단부가 접속되고, 제1 단자(12; 52)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13; 53), 그리고제1 단자(12; 52)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2개 이상의 제1 캐비티(27; 61)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제2 단자(13; 53)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캐비티(28; 62)가 이웃하는 2개의 제1 캐비티(27; 61)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캐비티(27; 61)의 배열 방향(WD)에 직교하는 방향(VD)으로 2개의 제1 캐비티(27; 6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하우징(11; 51)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자(12; 52)는 둥근 혹은 타원형 혹은 다각형 형상을 갖고, 제1 캐비티(27; 61) 각각의 형상은 제1 단자(12; 52)의 외형과 일치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삽입된 제1 단자(12; 52)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제1 단자를 구속하는 제1 단자 로킹 랜스(lance)(29; 63)가 제2 캐비티(28; 62)를 향하는 제1 캐비 티(27; 61)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고,제2 캐비티(28; 62)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2개의 제1 단자 로킹 랜스(29; 6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삽입된 제2 단자(13; 53)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제2 단자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로킹 랜스(33; 67)가 제1 캐비티(27; 61)를 향하는 제2 캐비티(28; 62)의 내면의 측부에 마련되는 것인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제2 단자 로킹 랜스(33; 67)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이 이웃하는 2개의 제1 캐비티(27; 61) 사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단자(12, 13; 52, 53)를 구속하는 리테이너(14)가, 커넥터 하우징(11; 51)에 각 캐비티(27, 28; 61, 62)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MD)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되며, 제1 캐비티(27; 61)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어가서 제1 단자(12; 52)와 맞물리는 제1 단자 로킹부(14c)와, 하나 이상의 제2 캐비티(28; 62)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어가서 제2 단자(13; 53)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로킹부(14b)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제1 단자 로킹부(14c)와 제2 단자 로킹부(14b)는 리테이너(14)에 있어서 각 캐비티(27, 28; 61, 62)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리테이너(14)의 커넥터 하우징(11; 51)으로의 장착 방향(MD)에 관하여 제1 단자 로킹부(14c)와 제2 단자 로킹부(14b)의 전방 단부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제1 캐비티(27; 61)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1 캐비티 둘레벽(37)과 제2 캐비티(28; 62)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2 캐비티 둘레벽(38)이 하우징(11; 51) 내에서 서로 연결되고,전선(SW; W)의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39)가 전선(SW; W)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제2 캐비티(28; 62)에 대향하는 측에 있는 제1 캐비티 둘레벽(37)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제1 단자(12; 52)에 접속되는 각 전선(SW)은 외부 도체(SW3)가 내부 도체(SW1)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실드 전선(SW)이고,각 제1 단자(12; 52)는 실드 전선(SW)의 외부 도체(SW3)가 접속되는 외부 도 체 접속부(12b; 52b)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10항에 있어서,제1 캐비티(27; 61)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1 캐비티 둘레벽(37)과 제2 캐비티(28; 62)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2 캐비티 둘레벽(38)이 하우징(11; 51) 내에서 서로 연결되고,전선(SW; W)의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39)가 전선(SW; W)이 인출되는 단부에 있어서 제2 캐비티(28; 62)에 대향하는 측에 있는 제1 캐비티 둘레벽(37)의 부분에 형성되며,외부 도체 접속부(12b; 52b)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단자 접촉 부재(15b)를 포함하는 접지 단자(15)가 커넥터 하우징(11; 51)에 장착될 수 있고,단자 접촉 부재(15b)의 제1 캐비티(27; 61)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자 접촉 부재 삽입 홈(41)이 제2 캐비티(13; 53)에 대향하는 제1 캐비티 둘레벽(37)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자(12; 52)의 일부분인 하나 이상의 안정기(16; 56)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정기 삽입 홈(32; 66)이 각 제1 캐비티(27; 61)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제2 캐비티(28; 62)는 이웃하는 제1 캐비티(27; 61)들의 안정기 삽입 홈(32; 66)과 변위 방향(VD)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단자 로킹 랜스(29; 63)의 폭과 양쪽 안정기 삽입 홈(32; 66)의 폭의 합은 제1 캐비티(27; 61)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몸체에 고정된 브래킷(B)이 하우징(11)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브래킷 장착부(24)가 하우징(11)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008092A JP5105170B2 (ja) | 2008-01-17 | 2008-01-17 | コネクタ |
JPJP-P-2008-008092 | 2008-0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839A true KR20090079839A (ko) | 2009-07-22 |
KR101179796B1 KR101179796B1 (ko) | 2012-09-04 |
Family
ID=4049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3946A KR101179796B1 (ko) | 2008-01-17 | 2009-01-16 |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661987B2 (ko) |
EP (1) | EP2081259B1 (ko) |
JP (1) | JP5105170B2 (ko) |
KR (1) | KR101179796B1 (ko) |
CN (1) | CN10148861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19940B2 (ja) * | 2008-01-17 | 2013-01-1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1048945A (ja) * | 2009-08-25 | 2011-03-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5510010B2 (ja) * | 2010-04-07 | 2014-06-04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FR2965413A1 (fr) * | 2010-09-28 | 2012-03-30 | Thomson Licensing | Dispositif comprenant un chassis creux formant une enceinte |
JP2012079552A (ja) * | 2010-10-01 | 2012-04-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5637382B2 (ja) * | 2010-12-13 | 2014-12-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700811B2 (ja) | 2011-03-30 | 2015-04-1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756700B2 (ja) * | 2011-07-19 | 2015-07-2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の組立方法 |
DE102013019874B4 (de) * | 2013-11-28 | 2020-08-06 | Lisa Dräxlmaier GmbH | Stecker und Gegenstecker |
US9882317B1 (en) * | 2016-09-15 | 2018-01-30 | Te Connectivity Corporation |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
JP7084250B2 (ja) * | 2018-08-08 | 2022-06-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構造 |
JP2020087844A (ja) * | 2018-11-30 | 2020-06-04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JP7424247B2 (ja) * | 2020-08-26 | 2024-01-3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93189A (en) * | 1958-03-10 | 1961-07-18 | Belden Mfg Co | Polarized connector |
US4232930A (en) | 1978-05-01 | 1980-11-11 | Pyott-Boone Machinery Corp. | Battery plug and receptacle for use in mines |
JPH0765891A (ja) * | 1993-08-20 | 1995-03-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
US5458496A (en) * | 1993-07-12 | 1995-10-17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harge coupling for electric vehicle |
JP3060354B2 (ja) * | 1994-02-10 | 2000-07-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二重係止コネクタ |
JPH0945411A (ja) * | 1995-07-31 | 1997-02-14 | Yazaki Corp | ホルダ付コネクタ |
JPH10112346A (ja) * | 1996-10-08 | 1998-04-28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防水コネクタ |
DE29706324U1 (de) | 1997-04-09 | 1998-01-02 | Schaltbau AG, 81677 München | Ladesteckverbinder |
JP3405440B2 (ja) * | 1997-08-22 | 2003-05-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
JPH11102752A (ja) | 1997-09-29 | 1999-04-13 | Yazaki Corp | シールドコネクタ |
JP3444526B2 (ja) * | 1998-04-22 | 2003-09-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電線の接続方法 |
JP3311997B2 (ja) * | 1998-07-06 | 2002-08-05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1326034A (ja) * | 2000-05-16 | 2001-11-22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
JP3888172B2 (ja) * | 2002-01-31 | 2007-02-2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223131B2 (en) | 2005-09-02 | 2007-05-29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2007280850A (ja) * | 2006-04-10 | 2007-10-25 | Sumitomo Wiring Syst Ltd | 端子金具 |
EP1883135A1 (en) | 2006-07-28 | 2008-01-30 |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p.A. | Electrical connector |
-
2008
- 2008-01-17 JP JP2008008092A patent/JP5105170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01-05 EP EP20090000041 patent/EP2081259B1/en active Active
- 2009-01-14 US US12/353,316 patent/US7661987B2/en active Active
- 2009-01-16 CN CN2009100025525A patent/CN101488616B/zh active Active
- 2009-01-16 KR KR1020090003946A patent/KR10117979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081259B1 (en) | 2015-05-20 |
US20090186512A1 (en) | 2009-07-23 |
JP2009170303A (ja) | 2009-07-30 |
US7661987B2 (en) | 2010-02-16 |
CN101488616B (zh) | 2011-08-10 |
KR101179796B1 (ko) | 2012-09-04 |
JP5105170B2 (ja) | 2012-12-19 |
EP2081259A1 (en) | 2009-07-22 |
CN101488616A (zh) | 200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9796B1 (ko) | 커넥터 | |
KR102479155B1 (ko) | 동축 커넥터 조립체 | |
US10734762B2 (en) |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 |
US9124016B2 (en) |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 |
EP2602881B1 (en) | Anti-corrosion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section | |
EP0821438B1 (en) | Terminal fitting | |
US6132233A (en) | Lock arm protection structure for connectors | |
KR101015930B1 (ko) | 커넥터 | |
US7011553B2 (en) | Cable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hich serves to hold a cable, to protect a connecting portion, and to prevent undesirable releasing of a contact | |
EP1098397B1 (en) | Equipment direct-mounting type shiel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JP4514356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JPWO2008120632A1 (ja) |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 |
US20200136319A1 (en) | Shielded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 |
JP5359321B2 (ja) | アース接続用配線材、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アース接続用配線材が組み込まれたワイヤハーネス | |
JP5019469B2 (ja) | シールド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 | |
CN102610939A (zh) | 扁平电缆连接器组装体 | |
CN116154557A (zh) | 端子模块及连接器 | |
CN113196581A (zh) | 端子模块及连接器 | |
US11165187B2 (en) | Connector | |
CN113196580B (zh) | 端子模块及连接器 | |
JP7169525B2 (ja) | コネクタ | |
CN113228428A (zh) | 连接器 | |
JP3204887B2 (ja) |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雌端子 | |
JP2006107801A (ja) | 電子素子内蔵シールドコネクタ | |
JPH10189164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