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189A -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189A
KR20090062189A KR1020070129304A KR20070129304A KR20090062189A KR 20090062189 A KR20090062189 A KR 20090062189A KR 1020070129304 A KR1020070129304 A KR 1020070129304A KR 20070129304 A KR20070129304 A KR 20070129304A KR 20090062189 A KR20090062189 A KR 2009006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decarburization
molten steel
oxygen
ferritic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061B1 (ko
Inventor
박주현
변선민
이상범
석민오
이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61B1/ko
Priority to US12/747,451 priority patent/US8277537B2/en
Priority to PCT/KR2008/005745 priority patent/WO2009075464A1/en
Priority to CN2008801206659A priority patent/CN101896298B/zh
Priority to JP2010535869A priority patent/JP5300860B2/ja
Publication of KR2009006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8Decarburising
    • C21C7/0685Decarburising of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중 (Cr2O3) 함량 및 적정 조성과 액상 분율을 제어하여 진공 탈탄 정련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기존의 기술대비 단시간 내에 용강 중 탄소 농도를 극저 수준으로 함유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후 미탈산 상태로 용강을 래들에 출강 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하여 감압 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산소가스를 취입하여 탈탄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개시 시점에 Al을 투입하여 Al2O3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생석회를 투입하여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켜 산소 취련 종료 후 유동성이 양호한 상기 슬래그와 용강의 반응을 통하여 슬래그 중 [Cr2O3]와 용강 중 [C] 간 반응에 의해 진공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산소취련, 슬래그, 진공 탈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escription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ultra low carbon ferritic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극저 수준의 탄소를 함유하는 고순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VOD (Vacuum Oxygen Decarburization) 슬래그 중에서 Cr2O3 함량과 적정 조성 및 액상 분율등을 제어하여 진공 탈탄 정련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롬 Cr 농도가 10~30wt%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고내식/ 고가공성을 요하는 곳에 적용되며, 이때 내식성과 가공성 향상을 위해 침입형 원소인 탄소 농도가 100 ppm 이하의 (특별한 경우 50 ppm 이하)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포함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희석 탈탄 AOD 정련법으로는 한계가 있어 진공 VOD 정련법이 적용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진공 탈탄 기술들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1997-316528호에서는 산소취련 시 스테인리스 용강 비산, 즉 스플래쉬(splash) 현상으로 인해 진공조, 침지관의 내벽 및 산소 랜스 선단에 용강이 융착되는 현상을 줄임과 동시에 Cr 손실을 저감하는 진공 탈탄 정련을 위해, 탈탄 개시 전 염기도 (%CaO/%SiO2, 이하 C/S로 표기) 1~4, (Al2O3) 함량 5~30wt% 조성의 플럭스(flux)를 440~2650kg 가량 침지관 내에 첨가하여 용융 슬래그를 생성한 후 진공정련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슬래그 조성은 실리콘 Si 탈산을 전제로 하 경우에 해당하는 슬래그 조성으로서 알루미늄 Al 탈산이 필요한 페라이트계 용강 제조 시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JP3616423호에서는 VOD 정련법으로 스테인리스 용강 탈탄 시 극저탄소 영역에서의 탈탄속도 저하, 산소취련 종료시점 제어의 정밀도 저하, 과잉의 산소취련에 의한 Cr 산화 및 슬래그 유동성 악화, 이로 인한 Si, Al 등의 환원제 소비량 증가 등을 해결하기 위해, 조탈탄 후 슬래그의 C/S=1.5~3.5로 제어하고, 여기에 CaO-Al2O3계 플럭스를 투입하여 슬래그 조성을 (wt%CaO)/ (wt%SiO2+wt%Al2O3, 이하 C/(S+A)로 표기)=1.2~3.0 범위에서 조정하고, 진공 하 산소취련 후 가스 중의 산소농도로부터 계산된 Cr2O3 발생량이 40% 이하 될 때 취련을 중지한 후 가스 교반에 의해 탈탄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진공 개시 전 C/(S+A)=1.2~3.0 조성을 제어하기 위해 CaO-Al2O3계 플럭스를 투입할 경우, 조탈탄 후 슬래그의 중량 (또는 부피), 슬래그의 C/S 비를 기기측정 및 분석을 통해 알아야만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을 피할 수 없다.
일본특허공보 JP3752801호에서는 감압 하 스테인리스 용강의 탈탄 정련 시, Cr 손실을 억제하고 탈탄 공정을 단축하기 위해, 조탈탄 후 (진공탈탄 전) 용강 중 탄소 농도를 0.25~0.1wt%로 하고, 미탈산 출강 후 감압 하 산소취련을 행할 때 래들 바닥에서의 불활성 가스 공급유량을 5 Nl/min.t-steel 이상으로, 이 때 생성되는 슬래그의 중량을 15kg/t-steel 이하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산소취련 시 발생하는 슬래그의 중량을 15kg/t-steel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진공 하 산소취련 중에 슬래그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취련을 일시적으로 중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심지어는 진공을 해제하고 대기압 하에서 슬래그 중량 측정을 행한 후에 다시 진공 하 산소취련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 KR10-0523105호에서는 VOD법에 의한 극저탄소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정련 시 슬래그에 의한 탈탄반응을 촉진하고, 탈탄 종료 후 용강의 탄소 오염 (C pick-up이라 함) 억제를 위해, 산소취련 종료 후 슬래그 중 (Cr2O3) 함량을 25~45wt%, (wt%CaO)/(wt%Al2O3, 이하 C/A로 표기) 비를 1.0 이하로 제어하고 진공탈탄 단계에서 CaO를 투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약 1700℃에서의 정련 온도에 해당하는 CaO-Al2O3-Cr2O3 슬래그의 평형 상태도로부터, C/A<0.7 조성 범위에서는 슬래그 중 Cr2O3와 Al2O3간 반응으로 인해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코런덤 (corundum, 화학기호 (Cr,Al)2O3) 화합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열역학적 원리에 의해 탈탄 반응의 구동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13960호에서는 탈탄 효율이 높고 C pick-up을 억제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의 탈탄을 위해, 진공 하 산소취련 종료 후 불활성 가스의 교반에 의한 진공탈탄 전후에 용강 중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미리 산출해 놓은 식에 의해 슬래그 중 Cr2O3 함량을 추정하여, 그 최종 함량이 10~30wt% 되도록 탈산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용강 중 산소농도 측정을 위해서는 고가의 산소센서를 매번 사용해야 하며, 이는 비용과 정련 시간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용강 중 산소농도로부터 슬래그 중 Cr2O3의 농도를 추정하더라도, Cr2O3 10~30wt%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탈산제 투입량 산출을 위해서는 슬래그의 중량에 (또는 부피) 관한 정보가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구체적 측정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 VOD 진공 탈탄 정련과정에서 슬래그 중 Cr2O3 함량과 적정 조성 및 액상 분율을 제어하여 진공 탈탄 정련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후 미탈산 상태로 용강을 래들에 출강 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하여 감압 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산소가스를 취입하여 탈탄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개시 시점에 Al을 투입하여 Al2O3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생석회를 투입하여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켜 산소 취련 종료 후 유동성이 양호한 상기 슬래그와 용강의 반응을 통하여 슬래그 중 [Cr2O3]와 용강 중 [C] 간 반응에 의해 진공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후 미탈산 상태로 용강을 래들에 출강 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하여 감압 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산소가스를 취입하여 탈탄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진공 호퍼를 활용하여 CaO.Al2O3 flux를 투입하여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취련 종료 후 유동성이 양호한 상기 슬래그와 용강의 활발한 반응에 의해 슬래 그 중 [Cr2O3]와 용강 중 [C]간 반응에 의해 진공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AOD 조탈탄 종료 후 용강 중 탄소와 질소 농도가 각각 0.2~0.4wt%, 1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산소 취련기에 1000~1600Nm3/hr 유량으로 산소가스를 공급하여 탈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 취련 개시 시점에 1.2~3.8kg/t-steel의 Al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2.5~5.0kg/t-steel의 생석회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aO.Al2O3 플럭스는 10~50mm 크기로 7~10kg/t-steel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래그는 (wt%CaO)/(wt%Al2O3) : 0.5~1.0, Cr2O3 : 15~60wt%, MgO < 7wt% 이며, 상기 CaO.Al2O3 플럭스는 (wt%CaO)/(wt%Al2O3 : 0.5~0.8, (SiO2)+(MgO)+(TiO2) < 15wt%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실시하였던 과도한 산소취련에 의존하던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과 대비하여, 일정량의 산소취련 종료 후 괴상의 CaO.Al2O3 플럭스 투입에 의해 슬래그 중 크롬 산화물의 활동도와 액상 분율의 곱이 높은 최적의 슬래그 조성을 제어하여 저 탄소 영역에서의 진공 미세탈탄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내식성과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탄소의 농도가 매우 낮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극저탄소 페라이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극저탄소 페라이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은,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 정련을 수행하여 100 ppm 이하의 질소와 0.2~0.4wt%의 탄소를 함유하는 용강을 미탈산 (Al 또는 FeSi 등의 탈산제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를 말함) 상태로 래들에 출강하는 단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부유하는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 후 100mbar 이하의 압력으로 감압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1000~1600Nm3/hr 유량의 산소가스 취입에 (산소취련이라 함) 의한 탈탄 반응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산소취련 개시 시점에 1.2~3.8kg/t-steel의 Al을 투입하여 (Al2O3)를 인위적으로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취련 종료 시점에 2.5~5.0kg/t-steel의 생석회를 투입하여 결과적으로 유동성이 양호한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두 단계를 생략하고 산소취련 종료 시점에 진공 호퍼를 활용하여 10~50mm 크기의 CaO.Al2O3 플럭스를 7~10kg/t-steel 투입하여 유동성이 양호한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단계; 산소취련 종료 후 상기 유동성이 양호한 슬래그와 용강의 활발한 반응에 의해 슬래그 중 (Cr2O3)와 용강 중 [C]간 반응에 의해 진공 (10mbar 이하)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1700℃에서 CaO-Al2O3-Cr2O3-5wt%MgO 4원계 슬래그의 액상 분율에 (f liquid) 미치는 크롬 산화물 함량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슬래그 중 크롬 산화물 함량이 20wt% 이하일 경우, 슬래그의 C/A 비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액상이 확보되는 반면, 크롬 산화물 함량이 30wt% 이상일 때에는 슬래그의 C/A 비가 증가함에 따라 f liquid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1700℃에서 CaO-Al2O3-Cr2O3-5wt%MgO 4원계 슬래그의 액상 영역에서 크롬 산화물의 열역학적 활동도를 (a CrOx) 나타낸 그래프로서, 슬래그 중 크롬 산화물 함량이 60wt% 이하일 때 슬래그의 C/A 비가 증가함에 따라 a CrOx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C/A=0.5일 때에는 크롬 산화물 함량에 따라 a CrOx는 증가하다가 30wt%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는 반면, C/A≤1.0인 경우에는 크롬 산화물 함량이 약 60wt%까지 증가함에 따라 a CrOx는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도 2와 도3의 결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슬래그의 액상 분율과 크롬 산화물 활동도의 곱을 크롬 산화물의 함량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슬래그의 C/A 비가 증가할수록 f liquid × a CrOx 값은 감소하며, 동일한 C/A 비에서는 크롬 산화물 농도에 대해 최대값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기 공지된 문헌에 따르면, 탄소농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하기 식 1의 반응에 의해 용강 중 탄소가 CO 가스로 제거되며, 이 때 고유량의 산소 가스를 충분히 공급해줌으로써 탈탄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 + 1/2O2 (g) = CO (g) --- (1)
여기서, (g)는 가스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용강 중 탄소 농도가 수 백 ppm 이하의 농도 영역으로 감소하면, 탈탄 반응 속도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용강의 주 합금성분인 Cr이 하기 식 2에 의해 (Cr2O3)로 산화된다.
2[Cr] + 3/2O2 (g) = (Cr2O3) --- (2)
따라서, 탄소 농도가 낮은 영역에서는 산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고 산소취련기에 발생한 (Cr2O3)와 용강 중 탄소간에 하기 식 3과 같은 반응을 유도한다.
(Cr2O3) + 3[C] = 2[Cr] + 3CO (g) --- (3)
식 3에 보인 탈탄 반응의 평형상수는 하기 식 4와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07089454629-PAT00001
--- (4)
식 4로부터 슬래그 중 크롬 산화물의 활동도인 a Cr2O3가 크고, CO 가스의 분압인 p CO가 낮을수록 탈탄 반응의 구동력이 커지며, 이 때 진공 조건이 일정하다면, 탈탄 반응의 효율은 a Cr2O3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반응은 이와 같은 열역학적 구동력뿐 아니라 속도론적 인자에도 영향을 받으며, 이는 슬래그의 유동성이 탈탄 반응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순수한 (Cr2O3)는 융점이 매우 높은 (약 2330oC) 산화물로서, 일반적인 정련 온도인 1600~1700oC에서는 고체로 존재한다. 따라서 열역학적으로는 순수 (Cr2O3)와 용강 중 탄소가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속도는 매우 느리며, 적정한 시간 내에 원하는 수준의 탄소농도까지 정련을 마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a Cr2O3가 감소하더라도 적절한 슬래그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첨가제를 (이하 플럭스(flux)라 함) 투입함으로써 유동성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도 2~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소취련기에 발생한 (Cr2O3)를 (CaO), (Al2O3), (MgO) 등의 성분 첨가를 통해 희석함에 따른 액상 슬래그의 분율과 (Cr2O3)의 활동도를 열역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값의 곱이 높은 영 역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CaO)는 생석회의 형태로 투입할 수 있으며, (MgO)는 산소취련기에 VOD 래들 내화물로부터 물리화학적 원인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순수한 (Al2O3)는 매우 고가이므로 단독으로 첨가하기 어려우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첫째, 산소취련 초기에 일정량의 Al을 투입함으로써 하기 식 5에 의해 (Al2O3)를 생성시킬 수 있다.
2[Al] + 3[O] = (Al2O3) --- (5)
따라서, 산소취련기에 (Al2O3), (Cr2O3), 그리고 소량의 (MgO)가 생성되며, 산소취련 종료 후 생석회를 투입함으로써 f liquid × a CrOx 값이 높은 CaO-Al2O3-Cr2O3-MgO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이 산소취련 초기에 Al을 투입하여 (Al2O3)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산소공급과 함께 취련 시간이 더 소요된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소취련 종료 후 진공상태에서 괴상의 CaO.Al2O3 flux를 일정량 투입함으로써, f liquid× a CrOx 값이 높은 CaO-Al2O3-Cr2O3-MgO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첫 번째 방법에 비해 정련시간 단축 및 탈탄효율 증대 효과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
도 5는 1650℃, 진공조건에서 슬래그의 C/A 비와 크롬 산화물의 함량에 따른 21wt%Cr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강의 탈탄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 서 탈탄 효율은 하기 식 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탈탄효율 (%) = {1-(최종 탄소농도)/(초기 탄소농도)}×100 --- (6)
슬래그의 C/A 비가 1.3일 때보다 0.6일 때, 그리고 슬래그 중 크롬 산화물 함량이 20wt%일 때보다 60wt%일 때 더 높은 탈탄효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슬래그의 C/A 비가 더 지배적인 인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예에서의 미세 탈탄기 슬래그 조성을 본 발명예에서의 경우와 비교하여 진공 미세탈탄 효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미세 탈탄기 슬래그 조성 진공미세탈탄 전후 탄소농도 차 (ppm) 비 고
C/A 비 Cr 2 O 3 (wt%) [C] 진공미세탈탄 -[C] 산소취련
종래예 1 0.36 50.2 -15
종래예 2 0.27 89.1 -9
종래예 3 0.51 91.5 -6
종래예 4 0.38 68.9 +14 C pick-up
종래예 5 0.41 62.1 -1
종래예 6 0.69 79.0 -7
종래예 7 0.43 82.6 +10 C pick-up
종래예 8 0.21 51.8 -19
발명예 1 0.58 20.5 -26
발명예 2 0.73 16.2 -41
발명예 3 0.82 29.4 -16
발명예 4 0.96 58.2 -38
발명예 5 0.69 59.0 -27
발명예 6 0.60 48.3 -19
발명예 7 0.71 27.7 -39
발명예 8 0.59 39.1 -22
발명예 9 0.74 28.9 -11
발명예 10 0.81 48.1 -1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예에서는 공히, 종래예와 비교하여 C pick-up이 되지 않으면서 미세 탈탄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700℃의 온도에서 5wt%MgO를 함유하는 기존 미세 탈탄 슬래그의 조성은 C/A<1.0, (Cr2O3)>50wt%이며, 주로 액상 슬래그와 함께 MgO.Cr2O3 chromite, (Al,Cr)2O3 corundum, 그리고 (Mg,Al)(Al,Cr)2O4 spinel 화합물들이 상호 공존하는 상태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corundum, spinel과 같은 화합물의 생성은 전술한 상기 식 3과 식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래그 중 (Cr2O3)의 활동도 감소를 의미하므로, 이는 곧 탈탄효율을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한 미세 탈탄 슬래그 조성은 0.5≤(C/A)≤1.0, 15≤(wt%Cr2O3)≤60이며, 주로 액상 슬래그와 함께 크로마이트(chromite)가 공존하며, 소량의 CaO.Cr2O3, Cr2O3, corundum 화합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기 공지된 문헌에 의하면 크로마이트 화합물은 분해 및 용해가 corundum 또는 spinel 화합물에 비해 비교적 용이하므로 탈탄 반응의 효율이 크게 감소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강의 진공 탈탄 시, 미세 탈탄 슬래그의 C/A비와 (Cr2O3) 함량을 최적화하고, 이를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된 CaO.Al2O3 플럭스의 투입 시기, 투입량, 투입방법을 적용하거나 또는 산소취련 개시 전 Al을 투입하고 산소취련 종료 후 생석회를 투입하여 상기 최적 조성을 만족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탄소농도 50 ppm 이하 수준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Fe-18%Cr 조성을 갖도록 전기로에서 고철 및 합금철 등을 용해 후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공정을 거쳐 약 1700℃의 온도로 래들에 출강하였다. 상기 래들에는 용강과 슬래그가 있으며, 진공 탈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계적 방법으로 슬래그를 제거하였다. 이때 용강 온도는 약 1630oC, 탄소 농도는 0.26wt%, 질소 농도는 95ppm으로 측정되었다. 이 때 탄소 농도가 0.2% 미만일 경우에는 진공 정련 시 CO 기포의 발생량이 적어 탈질 반응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며, 탄소 농도가 0.4%를 초과하면 정련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질소 농도가 100ppm을 초과하면 진공정련 시 CO 기포에 의한 탈질반응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원하는 수준의 낮은 질소 농도에 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래들을 진공조가 위치한 탈탄 정련 스탠드로 이동하여 커버를 씌운 후 용강 상부에서 랜스를 이용하여 기체 산소를 공급하여 30분간 탈탄정련을 실시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강 온도는 약 1760℃까지 상승하였고, 용강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이 분석되었다.
성분 Cr Si Mn Al Ti C N
농도 (wt%) 17.1 0.01 0.02 0.002 0.001 0.0063 0.0092
산소 취련 종료 직후, 진공 분위기 하에서 호퍼를 이용하여 10~50mm 크기의 CaO.Al2O3 플럭스를 8.8kg/t-steel 투입하고, 래들 바닥에서 Ar을 공급해주어 강력한 교반에 의한 미세 탈탄을 20분간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에 미세탈탄 실시 후 슬래그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표 4에 용강성분을 나타내었다.
성분 CaO Al 2 O 3 Cr 2 O 3 MgO SiO 2 MnO TiO 2
농도 (wt%) 12.5 18.1 59.3 6.3 1.2 0.5 1.4
성분 Cr Si Mn Al Ti C N
농도 (wt%) 17.2 0.03 0.02 0.008 0.001 0.0039 0.0087
상기 표 3의 슬래그 성분으로부터 슬래그의 C/A=0.69, 크롬 산화물 함량은 59.3wt%, (MgO) 함량은 6.3wt%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범위를 만족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용강 중 탄소 농도 39 ppm을 얻을 수 있었다. 진공 미세탈탄 종료 후 크롬 산화물의 환원 및 용강 탈산의 목적으로 Al과 Ti sponge를 투입하여 Al, Ti 농도를 최종 조정하였다. 하기 표 5에 최종 진공 정련 종료 후 용강 성분을 나타내었다.
성분 Cr Si Mn Al Ti C N
농도 (wt%) 18.1 0.09 0.12 0.078 0.27 0.0044 0.0093
진공 하 각종 합금철 투입에 의해 소량의 C, N pick-up 현상이 있으나, 종래의 기술 적용 시 pick-up 정도에 비해 극히 미미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극저탄소 페라이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1700℃에서 CaO-Al2O3-Cr2O3-5wt%MgO 4원계 슬래그의 액상 분율에 미치는 크롬 산화물 함량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1700℃에서 CaO-Al2O3-Cr2O3-5wt%MgO 4원계 슬래그의 액상 영역에서 크롬 산화물의 열역학적 활동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슬래그의 액상 분율과 크롬 산화물 활동도의 곱을 크롬 산화물의 함량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1600℃에서 진공조건에서 슬래그의 C/A 비와 크롬 산화물의 함량에 따른 21wt%Cr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강의 탈탄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1700℃에서 CaO-Al2O3-Cr2O3-5wt%MgO 4원계 슬래그의 안정상을 나타내는 평형 상태도.

Claims (9)

  1.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서,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후 미탈산 상태로 용강을 래들에 출강 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하여 감압 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산소가스를 취입하여 탈탄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개시 시점에 Al을 투입하여 Al2O3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생석회를 투입하여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켜 산소 취련 종료 후 유동성이 양호한 상기 슬래그와 용강의 반응을 통하여 슬래그 중 [Cr2O3]와 용강 중 [C] 간 반응에 의해 진공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2.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서,
    AOD 정련로에서 조탈탄 및 탈질후 미탈산 상태로 용강을 래들에 출강 후 상기 래들의 용강 상부에 미탈산 슬래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래들을 대형 진공조에 안착하여 감압 후, 상기 용강 상부로부터 랜스를 통해 산소가스를 취입하여 탈탄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진공 호퍼를 활용하여 CaO.Al2O3 플럭스를 투입하여 CaO-Al2O3-Cr2O3-MgO계 슬래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산소취련 종료 후 유동성이 양호한 상기 슬래그와 용강의 활발한 반응에 의해 슬래그 중 [Cr2O3]와 용강 중 [C]간 반응에 의해 진공 미세탈탄이 촉진되는 단계;
    상기 진공 미세탈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래들 바닥의 다공성 플러그를 통해 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OD 조탈탄 종료 후 용강 중 탄소와 질소 농도가 각각 0.2~0.4wt%, 100ppm 이하인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취련기에 1000~1600Nm3/hr 유량으로 산소가스를 공급하여 탈탄하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취련 개시 시점에 1.2~3.8kg/t-steel의 Al을 투입하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취련 종료 시점에 2.5~5.0kg/t-steel의 생석회를 투입하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aO.Al2O3 flux는 10~50mm 크기로 7~10kg/t-steel 투입하는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는 (wt%CaO)/(wt%Al2O3) : 0.5~1.0, Cr2O3 : 15~60wt%, MgO < 7wt% 인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aO.Al2O3 플럭스는 (wt%CaO)/(wt%Al2O3 : 0.5~0.8, (SiO2)+(MgO)+(TiO2) < 15wt%인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20070129304A 2007-12-12 2007-12-12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092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04A KR100922061B1 (ko) 2007-12-12 2007-12-12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US12/747,451 US8277537B2 (en) 2007-12-12 2008-09-30 Method of manufacturing ultra low carbon ferritic stainless steel
PCT/KR2008/005745 WO2009075464A1 (en) 2007-12-12 2008-09-30 Method of manufacturing ultra low carbon ferritic stainless steel
CN2008801206659A CN101896298B (zh) 2007-12-12 2008-09-30 制造超低碳铁素体不锈钢的方法
JP2010535869A JP5300860B2 (ja) 2007-12-12 2008-09-30 極低炭素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04A KR100922061B1 (ko) 2007-12-12 2007-12-12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189A true KR20090062189A (ko) 2009-06-17
KR100922061B1 KR100922061B1 (ko) 2009-10-16

Family

ID=4075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04A KR100922061B1 (ko) 2007-12-12 2007-12-12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77537B2 (ko)
JP (1) JP5300860B2 (ko)
KR (1) KR100922061B1 (ko)
CN (1) CN101896298B (ko)
WO (1) WO20090754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05B1 (ko) * 2011-02-24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극저탄소강 제조용 슬래그 탈산제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CN110918997A (zh) * 2019-11-20 2020-03-27 内蒙古科技大学 用氧化铁皮制备多孔不锈钢的方法
CN115418441A (zh) * 2022-08-24 2022-12-02 武汉尚圆融信新型材料有限公司 转炉出钢过程的高效脱氮剂及其脱氮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9920B (zh) * 2011-10-25 2013-04-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铝低硅超纯铁素体不锈钢的冶炼方法
WO2015061249A1 (en) * 2013-10-21 2015-04-30 Methavrio Llc Production of low carbon chromium iron alloys from chromite concentrates
CN107267850B (zh) * 2017-06-07 2019-02-01 北京科技大学 一种回收熔炼炉渣中铬元素的不锈钢冶炼方法
WO2022219793A1 (ja) * 2021-04-15 2022-10-2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AU2022299766A1 (en) * 2021-06-22 2024-01-18 Jfe Steel Corporation Treatment method of molten steel and steel production method
CN115537504A (zh) * 2021-06-29 2022-12-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钛超低碳钢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4894A (en) * 1972-04-20 1973-08-28 Joslyn Mfg & Supply Co Nitrogen control in argon oxygen refining of molten metal
US4417924A (en) * 1982-09-30 1983-11-29 Schwer John W Steelmaking additive composition
JP2868810B2 (ja) * 1989-11-15 1999-03-10 川崎製鉄株式会社 高温での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3220233B2 (ja) * 1992-06-26 2001-10-22 川崎製鉄株式会社 極低炭・極低硫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JPH07173515A (ja) * 1993-12-20 1995-07-11 Nippon Steel Corp ステンレス鋼の脱炭精錬方法
JP3333795B2 (ja) * 1995-03-03 2002-10-15 川崎製鉄株式会社 溶融金属の脱窒方法および脱窒・脱炭方法
JP3616423B2 (ja) * 1995-03-20 2005-02-02 日新製鋼株式会社 極低炭素ステンレス鋼の真空精錬方法
EP0881304B1 (en) * 1996-11-20 2002-10-23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of vacuum decarburization/refining of molten steel and apparatus therefor
JP3752801B2 (ja) * 1997-10-03 2006-03-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極低炭素及び極低窒素ステンレス鋼の溶製方法
JP3428628B2 (ja) * 1998-11-25 2003-07-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の脱硫精錬方法
KR100361778B1 (ko) 1998-12-21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제어에 의한 극 저탄소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0523105B1 (ko) 2001-07-04 2005-10-19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탄소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정련방법
CN1556865A (zh) * 2001-09-20 2004-12-22 新日本制铁株式会社 含铬熔液的精炼方法和精炼装置
CN1731982A (zh) * 2002-10-25 2006-02-08 西摩·J·库尔茨 治疗胰岛素耐受性、成人发作型糖尿病以及代谢综合症x的方法
CN1257289C (zh) * 2004-01-08 2006-05-24 太原钢铁(集团)有限公司 真空吹氧脱碳精炼炉冶炼不锈钢高碳区脱氮方法
US8078935B2 (en) * 2004-10-26 2011-12-1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with modulation constraints and error control
JP4463701B2 (ja) * 2005-02-03 2010-05-19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テンレス溶鋼の脱炭方法および極低炭素ステンレス鋼の製造法
JP5092245B2 (ja) * 2006-02-09 2012-1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鋼の脱窒方法
DE102006053187A1 (de) * 2006-11-09 2008-05-15 Leica Microsystems Cms Gmbh Akustooptisches Bauteil
US7968831B2 (en) * 2007-06-12 2011-06-28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he aimpoint for a missile
US7862645B2 (en) * 2008-02-01 2011-01-0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moval of gaseous contaminants from argon
US8078577B2 (en) * 2008-04-07 2011-12-13 Installfree, Inc. Method of bi-directional synchronization of user dat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05B1 (ko) * 2011-02-24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극저탄소강 제조용 슬래그 탈산제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CN110918997A (zh) * 2019-11-20 2020-03-27 内蒙古科技大学 用氧化铁皮制备多孔不锈钢的方法
CN115418441A (zh) * 2022-08-24 2022-12-02 武汉尚圆融信新型材料有限公司 转炉出钢过程的高效脱氮剂及其脱氮方法
CN115418441B (zh) * 2022-08-24 2024-02-06 武汉尚圆融信新型材料有限公司 转炉出钢过程的高效脱氮剂及其脱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6720A (ja) 2011-05-26
CN101896298B (zh) 2012-10-10
KR100922061B1 (ko) 2009-10-16
WO2009075464A1 (en) 2009-06-18
CN101896298A (zh) 2010-11-24
US20110041653A1 (en) 2011-02-24
US8277537B2 (en) 2012-10-02
JP5300860B2 (ja)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061B1 (ko) 극저탄소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KR100929468B1 (ko) 용강의 정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망간 저탄소강의제조방법
JP5386825B2 (ja) Mn含有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KR20100035825A (ko) 극저탄소강 제조용 용강의 정련방법
JP4463701B2 (ja) ステンレス溶鋼の脱炭方法および極低炭素ステンレス鋼の製造法
JP4656007B2 (ja) 溶鉄のNdおよびCa添加による処理方法
JP2010248536A (ja) 高Mn含有金属の製造方法
KR100921499B1 (ko) 극저탄소강의 제조 방법
JP3279161B2 (ja) 極低炭素高マンガン鋼の溶製方法
CN108774663B (zh) 超低碳高铬钢rh脱碳过程控温保铬方法
JP3411220B2 (ja) 高窒素低酸素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WO2022259806A1 (ja) 溶鋼の脱窒方法および鋼の製造方法
KR100922058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강의 정련방법
WO2022219793A1 (ja) 含クロム溶鋼の精錬方法
JPH08291319A (ja) 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KR102135159B1 (ko) 저탄소 고망간강의 정련방법
JPH0941028A (ja) 高清浄性極低炭素鋼の製造方法
JPH08283823A (ja) 表面性状に優れた極低炭素鋼の製造方法
KR101408228B1 (ko) 스테인리스강의 탈탄방법
CN113584249A (zh) 一种超低碳高磷钢的制备方法
JP2004238707A (ja) 低Al溶鋼のCa処理方法
JPH0356614A (ja) 低酸素極低炭素鋼製造方法
JPH1030116A (ja) 高純度鋼の製造方法
JP2001107132A (ja) ステンレス鋼の脱窒方法
JPH02166217A (ja) 低炭素鉄クローム合金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