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349A -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349A
KR20090060349A KR1020097008035A KR20097008035A KR20090060349A KR 20090060349 A KR20090060349 A KR 20090060349A KR 1020097008035 A KR1020097008035 A KR 1020097008035A KR 20097008035 A KR20097008035 A KR 20097008035A KR 20090060349 A KR20090060349 A KR 2009006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il spring
elevator
shock absorber
oi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189B1 (ko
Inventor
미츠요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동등한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 전체의 높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고, 완충기 전체 높이의 단축에 의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를 제공한다. 베이스 실린더와 복수단의 플런져로 이루어지고, 각 플런져에는 압축된 각 플런져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하는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대경으로, 그 플런져의 외측에서 또한 당해 플런져의 상부와 베이스 실린더의 상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하단의 플런져에 침입하는 상단의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다른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소경으로, 하단의 플런져의 내측에서 또한 상단의 플런져의 하부와 하단의 플런져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플런져의 신장 상태에서는 대경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 소경의 다른 복귀용 코일 스프링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완충기{BUFFER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로 피트(pit) 바닥부에 배치되고, 어떠한 이상(異常)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가 최하층을 지나쳐 승강로 피트부로 하강했을 때, 충격을 줄여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는 어떠한 이상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가 최하층을 지나쳐 승강로 피트부에 하강했을 때, 충격을 줄여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안전 장치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완충기로서, 오리피스(orifice)-제어봉 방식의 유압 완충기가 있다. 이 유압 완충기의 스트로크는 엘리베이터의 정격(定格)속도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스트로크 = (정격속도 × 1.15)2/2/9.80665), 플런져(plunger)의 축방향 길이는 그 스트로크 이상의 길이가 필요하고, 또, 실린더도 그 플런져의 진입을 받아 들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런져의 길이에 대략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가 필요하고, 축방향으로 긴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 그 만큼, 승강로의 플로어부를 깊게 해야 하고, 승강로의 구축 비용이 커 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장치의 전체 높이가 길기 때문에, 조립이나 현장으로의 반입성이 나빴다.
그래서, 초고속의 엘리베이터의 유압 완충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져를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다단의 유압 완충기의 적용이 유효하다. 다단 유압 완충기는 작동유가 충전된 베이스 실린더와, 이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해 순차적으로 소경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단의 플런져로 이루어지며, 각 단의 플런져가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진입할 때, 작동유의 이동에 수반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완충 기능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가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동시에 진입함과 동시에,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의 진입에 대해서, 각각, 진입 깊이에 따라 유체 저항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단 완충기의 압축 후의 플런져의 복귀 방식으로서, 각 단에 각각 복귀용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4-32487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다단 유압 완충기가 적용되는 초고속 영역에서는 플런져를 다단으로 구성했다고는 해도, 각 단의 플런져의 길이 및 스트로크가 수 미터로 크기 때문에, 플런져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밀착 높이는 커진다. 또, 완충기 동작 후(압축 후)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높이는 당연히 밀착 높이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플런져의 길이도 크게 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해, 완충기 전체의 높이 치수가 커져 버려, 다단식으로 하는 메리트를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지 않다는 현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동등한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 전체의 높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어 완충기 전체 높이의 단축에 의해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조립성이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에서는 작동유가 충전된 베이스 실린더와, 이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해 순차적으로 소경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단의 플런져로 이루어지고, 각 단의 플런져가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진입할 때, 작동유의 이동에 수반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완충 기능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승강로 피트 바닥부에 배치되고, 압축 동작시에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가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동시에 진입함과 동시에,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의 진입에 대해서, 각각 진입 깊이에 따라 유체 저항이 변화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각 플런져에는 압축된 각 플런져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하는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대경으로 그 플런져의 외측에서 또한 당해 플런져의 상부와 베이스 실린더의 상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하단의 플런져에 침입하는 상단의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소경에으로, 하단의 플런져의 내측에서 또한 상단의 플런져의 하부와 하단의 플런져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플런져의 신장 상태에서는 대경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 소경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동등한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 전체의 높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는 다단 유압 완충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완충기 전체 높이의 단축에 의해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조립성이나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것에 비해 승강로의 상부를 얕게 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의 구축 비용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의 신장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의 압축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의 신장시와 압축시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비교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실린더
2 제1 플런져
3 제2 플런져
4 쿠션재
5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
6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
8 바닥판
11 제1 제어 실린더
12 제1 오리피스군(群)
13 베이스 실린더벽
14a 제1 유실(油室)
14b 제2 유실
15 유통로(油通路)
16 공간부
17 피스톤
18 공기 구멍
20 제1 슬라이딩 부재
21 제2 제어 실린더
22 제2 오리피스군
23 제1 플런져의 외주벽
24 유실
25 유통로
30 제2 슬라이딩 부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의 신장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의 압축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에서, 완충기는 작동유가 충전된 베이스 실린더(1)와, 이 베이스 실린더(1)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제어 실린더(11)에 끼워 맞춰져 슬라이딩하여 진입하는 제1 플런져(2)와, 제1 플런져(2)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제어 실린더(21)에 끼워 맞춰져 슬라이딩하여 진입하는 제2 플런져(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 실린더(11)에는 복수의 제1 오리피스군(12)이 실린더 축방향으로 적의 설치되어 있다. 제2 제어 실린더(21)에는 복수의 제2 오리피스군(22)이 실린더 축방향으로 적의 설치되어 있다. 제2 플런져(3)의 꼭대기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 등의 승강체와 플런져와의 금속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쿠션재(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제어 실린더(21)와 제1 플런져(2)의 외주벽(23)과의 사이에는 유실(24)이 형성된다. 또, 제1 플런져(2)의 바닥부에는 유실(24)과 베이스 실린더(1)를 연통시키는 유통로(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플런져(3)의 외주부 하부에는 제2 슬라이딩 부 재(30)가 설치되고, 제2 플런져(3)는 제2 제어 실린더(21)의 내벽을 유밀(油密)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제1 플런져(2) 내로 진입한다. 제2 플런져(3)에 의해 가압된 제1 플런져(2) 내의 작동유는 제2 오리피스군(22)을 통과하는 것으로 감압되고, 유실(24)를 경유하여 유통로(25)로 유도된다. 또, 제1 플런져(2)의 외주부 하부에는 제1 슬라이딩 부재(20)가 설치되고, 제1 플런져(2)는 제1 제어 실린더(11)의 내벽을 유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여 베이스 실린더(1) 내로 진입한다. 제1 플런져(2)에 의해 가압된 베이스 실린더(1) 내의 작동유는 제1 오리피스군(12)을 통과하는 것으로 감압되며, 제1 제어 실린더(11)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유실(14a) 및 제2 유실(14b)로 유도된다. 제1 유실(14a)은 제1 제어 실린더(11)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2 유실(14b)은 제1 유실(14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유실(14a)과 제2 유실(14b)과의 사이에는 베이스 실린더벽(13)이 설치되고, 최외곽에 설치된 제2 유실(14b)은 베이스 실린더벽(13)의 하부에 설치된 유통로(15)에 의해 제1 유실(14a)과 연통하고 있다. 제1 유실(14a) 및 제2 유실(14b)의 높이는 각 플런져(2, 3)를 전압축했을 때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유실(14b) 내에는 내벽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17)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17)은 제2 유실(14b) 내의 작동유를 밀폐함과 동시에, 유압 완충기 내 전체의 작동유에 소정의 압력을 부여하여, 소정의 유면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중량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유실(14b)은 제1 유실(14a)과 같은 높이이고, 각 플런져(2, 3)를 전압축했을 때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지만, 제2 유실(14b)의 내부에는 공간부(16)가 형성된다. 제1 유실(14a)로부터 유통로(15)를 경유하여 제2 유실(14b)로 유도된 작동유는 피 스톤(17)을 공간부(16)로 밀어 올려 제2 유실(14b) 내에 저장된다. 제2 유실(14b)의 꼭대기부에는 피스톤(17)의 상하에 의해서 피스톤에 걸리는 아래로 향한 압력이 변동하지 않도록 공기 구멍(18)이 뚫어져 있다.
또, 제1 플런져(2), 제2 플런져(3)에는 압축된 각 플런져(2, 3)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플런져(2, 3)를 구성하는 구조 부재의 중량은 상기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플런져(2)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은 대경이며, 제1 플런져(2)의 외주벽(23)의 외측에서 또한 제1 플런져(2)의 상단 플랜지(flange)부와 베이스 실린더(1)의 상단부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플런져(3)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은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보다 소경이며, 제1 플런져(2)의 내측에 설치된 제2 제어 실린더(21) 내에서 또한 제2 플런져(3)의 바닥판(8)의 하면과 제1 플런져(2)의 바닥부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플런져(2), 제2 플런져(3)의 신장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의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의 내측에 소경의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완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무부하시의 유압 완충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7)으로 나누어진 제2 유실(14b)의 아래쪽의 공간, 제1 유실(14a), 제1 제어 실린더(11), 유 실(24) 및 제2 제어 실린더(21) 내가 작동유로 채워져 있다. 어떠한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혹은 균형추)이 유압 완충기에 충돌하면, 제2 플런져(3)가 제1 플런져(2)의 제2 제어 실린더(21) 내를 강하한다. 이 때, 제1 제어 실린더(21)와 제2 플런져(3)로 둘러싸인 공간은 제2 오리피스군(22)을 제외하여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제어 실린더(21) 내부의 작동유는 가압되고, 제2 플런져(3)를 위쪽으로 지지하며, 감속력을 엘리베이터 칸에 부여하면서 제1 플런져(2)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린다. 제2 플런져(3)가 제2 제어 실린더(21)에 진입한 체적만큼, 작동유는 제2 오리피스군(22)의 개구부로부터 유실(24) 내에 분출하며, 유체 저항에 의해 감압된다. 또한, 제2 플런져(3)의 하강에 따라서 제2 제어 실린더(21)에 형성한 제2 오리피스군(22)의 총개구 면적은 감소하여 유체 저항은 서서히 커진다. 유실(24)은 유통로(25)를 통하여 제1 제어 실린더(11) 내의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유통로(25)의 개구 면적은 제2 오리피스군(22)의 개구 면적과 비교하여 크게 되어 있으므로, 유실(24)과 제1 제어 실린더(11) 내의 압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제2 제어 실린더(21) 내부의 압력에 의해 제1 플런져(2)는 아래쪽으로 눌러 내려지지만, 이 때 제1 제어 실린더(11) 내부에는 유통로(25)로부터도 작동유가 유입하고 있어, 제1 제어 실린더(11) 내부의 작동유는 가압되고, 제1 플런져(2)를 위쪽으로 지지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한다. 이 상태로 제2 제어 실린더(21) 내부의 압력은 유실(24), 제1 제어 실린더(11) 내부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제어 실린더(21) 내부로의 작동유의 역류 없이 제1 플런져(2)가 제1 제어 실린더(11) 내로 진입한 체적분과, 유통로(25)를 통과해 제1 제어 실린더(11) 내로 유입한 작동유의 체적분만큼, 제1 오리피스군(12)의 개구부로부터 제1 유실(14a)로 작동유가 분출한다. 제1 오리피스군(12)의 개구부로부터 분출하는 작동유는 유체 저항에 의해 감압되고, 피스톤(17)의 질량에 의해 유실(14a)의 작동유에 상시 주어져 있는 압력까지 감압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플런져(2)의 하강에 따라서 제1 제어 실린더(11)에 형성한 제1 오리피스군(12)의 총개구 면적이 감소하여 유체 저항이 커진다. 제1 유실(14a)은 유통로(15)를 통하여 제2 유실(14b)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유실(14a)은 이미 작동유로 채워져 있으므로, 분출한 작동유는 제2 유실(14b)의 피스톤(17)을 밀어 올린다. 유통로(15)의 개구 면적은 제1 오리피스군(12)의 개구 면적과 비교하여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제1 유실(14a)과 제2 유실(14b) 내의 작동유의 압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이 압력은 피스톤(17)의 슬라이딩 저항을 무시하면, 피스톤의 하중에 의한 압력과 대기압과의 합과 동일한 레벨로 항상 유지된다. 이 압력 레벨은 완충 동작시와 같이 유압 완충기에 큰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는 제2 제어 실린더(21) 내나 제1 제어 실린더(11) 내 등의 압력과 비해서 작기 때문에, 제1 유실(14a), 제2 유실(14b) 내의 작동유는 이미 감속 성능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은 압력 변화에 수반하는 변화이므로, 실제로는 동시에 성립한다.
다음으로, 복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 완충기가 전압축 된 상태(도 2)로부터, 제2 플런져(3)에 실려 있는 하중을 제거하면, 제1 플런져(2), 제2 플런져(3) 등의 가동 부분은 복귀용 코일 스프링(5, 6)의 기능과 이하에 서술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의해 서서히 신장하고, 얼마 안가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이 때, 제2 유실(14b)에 저장되어 있던 작동유는 피스 톤(17)의 질량에 의해 밀어넣어지고, 완충 동작시와는 반대의 흐름에 의해, 유통로(15)로부터 제1 유실(14a), 제1 제어 실린더(11)의 제1 오리피스군(12), 유통로(25), 유실(24), 제2 제어 실린더(21)의 제2 오리피스군(22)을 경유하여 각 공간을 서서히 채워 간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유압 완충기와 종래의 유압 완충기의 치수 관계를 비교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유압 완충기의 구조에 의하면, 신장시(도 3a)의 전체 높이는 10000㎜, 압축시(도 3b)의 전체 높이는 4000㎜, 신장시부터 압축시까지의 스트로크는 6000㎜,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의 압축 높이는 1000㎜, 제2 복귀용의 코일 스프링 6의 압축 높이는 1000㎜이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유압 완충기의 구조에 의하면, 신장시(도 4의 (a))의 전체 높이는 10500㎜, 압축시(도 4의 (b))의 전체 높이는 4500㎜, 신장시부터 압축시까지의 스트로크는 6000㎜,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압축 높이는 1000㎜, 제2 복귀용의 코일 스프링의 압축 높이는 1000㎜이다.
따라서, 제1 플런져(2)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을 제1 플런져(2)의 외주벽(23)의 외측에서 또한 제1 플런져(2)의 상단 플랜지부와 베이스 실린더(1)의 상단부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하고, 또, 제2 플런져(3)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을 제1 플런져(2)의 내측에 설치된 제2 제어 실린더(21) 내에서 또한 제2 플런져(3)의 바닥판(8)의 하면과 제1 플런져(2)의 바닥부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신장시부터 압축시까지의 스트로크는 6000㎜로 동등하며, 또한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 및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의 압축길이도 1000㎜로 동등한 것과도 관계없이, 완충기의 전체 높이는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 및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의 압축 높이(1000mm)의 1/2인 500㎜ 작게 단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실린더(1), 제1 플런져(2), 제2 플런져(3)의 길이는 다르지만, 종래와 동등한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의 전체 높이를 제1 복귀용 코일 스프링(5) 및 제2 복귀용 코일 스프링(6)의 압축 높이의 1/2정도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완충기 전체 높이의 단축에 의해서, 완충기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조립성이나 설치성도 향상한다. 또한, 종래에 비해 승강로의 상부를 얕게 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의 구축 비용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완충기는 승강로 피트 바닥부에 배치되어 어떠한 이상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가 최하층을 지나쳐 승강로 피트부에 하강했을 때, 충격을 줄여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다단 유압 완충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작동유가 충전된 베이스 실린더와, 이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하여 순차적으로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단의 플런져로 이루어지고, 각 단의 플런져가 상기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진입할 때, 작동유의 이동에 수반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완충 기능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며, 승강로 피트(pit) 바닥부에 배치되어 압축 동작시에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가 상기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2단 이상의 플런져의 진입에 대해서, 각각 진입 깊이에 따라 유체 저항이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각 플런져에는 압축된 각 플런져를 압축전의 신장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실린더에 진입하는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대경으로, 그 플런져의 외측에서 또한 당해 플런져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 실린더의 상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단의 플런져에 침입하는 상단의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은 소경으로, 하단의 플런져의 내측에서 또한 상단의 플런져의 하부와 하단의 플런져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플런져의 신장 상태에서는 상기 대경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의 내측에 상기 소경의 복귀용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실린더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고, 상단의 플런져와 끼워 맞춤하는 제어 실린더 및 상기 제어 실린더의 외측에 설치되어 높이가 각 단의 플런져를 전(全)압축한 높이보다 낮게 구성된 유실(油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최상단을 제외한 각 단의 플런져 가운데, 적어도 1개의 플런져는 복수의 오리피스를 가지고, 상단의 플런져와 끼워 맞춤하는 제어 실린더, 상기 제어 실린더의 외측에 설치된 유실 및 상기 유실과 베이스 실린더 또는 하단의 플런져를 연통시키는 유통로(油通路)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단의 플런져에 침입하는 상단의 플런져를 복귀시키는 복귀용 코일 스프링을 하단의 플런져의 내측에 설치된 상단의 플런져와 끼워 맞춤하는 제어 실린더 내에 배치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KR1020097008035A 2006-11-28 2006-11-28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KR100975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3644 WO2008065706A1 (fr) 2006-11-28 2006-11-28 Amortisseur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49A true KR20090060349A (ko) 2009-06-11
KR100975189B1 KR100975189B1 (ko) 2010-08-10

Family

ID=394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035A KR100975189B1 (ko) 2006-11-28 2006-11-28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88111A4 (ko)
JP (1) JPWO2008065706A1 (ko)
KR (1) KR100975189B1 (ko)
CN (1) CN101541659B (ko)
WO (1) WO20080657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97B1 (ko) * 2012-02-14 2013-07-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다단식 유압 완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3106B1 (en) * 2012-11-20 2016-02-24 Kone Corporation Elevator with a buffer with adjustable length.
CN103183272B (zh) * 2013-03-18 2015-07-22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延伸调节装置
CN105134869A (zh) * 2013-07-29 2015-12-09 蒋红娟 处理器模块控制的全自动液压成型制砖机
CN104154157B (zh) * 2014-08-15 2016-09-07 湖北民族学院 一种多级减震器
CN104477728A (zh) * 2014-11-30 2015-04-01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递进缓冲阻尼力的电梯系统
CN104495564B (zh) * 2014-11-30 2017-05-24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梯的还原阻尼装置
CN105084152B (zh) * 2015-07-28 2017-10-03 嘉兴川页奇精密自动化机电有限公司 电梯救生安全台
CN106395549A (zh) * 2016-10-28 2017-02-15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电梯缓冲器
CN107165975A (zh) * 2017-07-12 2017-09-15 广东皇冠电梯有限公司 一种防水防冻电梯缓冲器
CN109987475A (zh) * 2019-04-29 2019-07-09 福州快科电梯工业有限公司 嵌入式多级电梯缓冲器及其工作方法
CN111559685B (zh) * 2020-05-21 2021-06-11 中元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冲顶坠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832U (ko) * 1981-04-30 1982-11-06
JPS5997335A (ja) * 1982-11-22 1984-06-05 Teruichi Iimoto 緩衝装置
JP3795792B2 (ja) * 2001-11-05 2006-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段油圧緩衝装置
JP4301837B2 (ja) 2002-05-21 200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4325417B2 (ja) 2003-04-10 2009-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油圧緩衝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97B1 (ko) * 2012-02-14 2013-07-1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다단식 유압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5706A1 (fr) 2008-06-05
CN101541659A (zh) 2009-09-23
CN101541659B (zh) 2011-05-04
EP2088111A4 (en) 2013-08-21
KR100975189B1 (ko) 2010-08-10
EP2088111A1 (en) 2009-08-12
JPWO2008065706A1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189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JP4325417B2 (ja) 油圧緩衝器
KR101126955B1 (ko) 엘리베이터의 유압 완충기
JP5411178B2 (ja) エレベーター用油圧緩衝器
JP5081066B2 (ja) エレベーター用油圧緩衝器
KR101257553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기
KR20030091682A (ko) 엘리베이터의 완충 장치
JP2004324879A5 (ko)
JP2008170313A (ja) 落錘衝撃試験機
CN109027096B (zh) 一种薄壁小孔式液压缓冲器
KR101721792B1 (ko) 유체압 실린더
JP6153130B2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10160A (ja) 油圧緩衝器
KR20170020031A (ko) 개량된 큐션구조를 갖는 복동형 유압 실린더
JPWO2006033135A1 (ja) エレベータ用緩衝装置
JP2005098424A (ja) 油入式緩衝装置
JP3960507B2 (ja) 緩衝装置
KR100904530B1 (ko) 다중 감쇄형 유압실린더 방식을 응용한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승강기
JPH04217577A (ja) エレベータ用油入緩衝器
JP6853688B2 (ja) 建物用衝突防止装置
JP4020353B2 (ja) 緩衝装置
KR101283897B1 (ko) 엘리베이터용 다단식 유압 완충기
JP5953224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2002155908A (ja) 油圧シリンダ
CN115142883A (zh) 抗冲击立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