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971A -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971A
KR20090056971A KR1020097002760A KR20097002760A KR20090056971A KR 20090056971 A KR20090056971 A KR 20090056971A KR 1020097002760 A KR1020097002760 A KR 1020097002760A KR 20097002760 A KR20097002760 A KR 20097002760A KR 20090056971 A KR20090056971 A KR 2009005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amera
wing
bla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433B1 (ko
Inventor
미츠루 스즈키
아키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는, 개구(51)를 가지는 하기판(50)과, 개구(51)를 개폐하는 날개(70)와, 날개(70)의 구동원인 전자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전자 액추에이터는 여자(exitation)용의 코일(40)과,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으로 착자(magnetize)된 회전자(20)와, 회전자(20)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부(52)와, 여자용의 코일(40)에 통전에 의해 회전자(20)에 대해서 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자(10)를 포함하고, 회전자(20)는 그 회동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신하는 완부(31)와, 날개(70)에 걸어맞춤되어 완부(31)에 세워 설치한 핀부(32)를 가지고, 회전자(20), 완부(31) 및 핀부(32)는 축부(52)의 방향에 있어서 코일(40)의 두께 내 B에 배치되어 있다.
Figure P1020097002760
카메라, 셔터 구동 장치, 날개, 코일, 회전자, 걸어맞춤, 핀부

Description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BLADE DRIVE DEVICE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카메라의 셔터 날개(shutter blade)의 구동원으로서는 전자 액추에이터(electromagnetic actuator)가 채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5는 전자 액추에이터를 구동원으로서 채용한 경우의 종래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는, 여자(excitation)용의 코일(140)과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으로 착자(magnetize)된 회전자(rotor)(120)와, 회전자(120)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152)과, 여자용의 코일(140)로 통전에 의해 회전자(120)에 대해서 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자(stator)(110) 등으로 구성되는 전자 액추에이터와, 이 전자 액추에이터를 보유함과 아울러 촬영용의 개구(도시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판(upper plate)(160) 및 하기판(lower plate)(150)과, 하기판(150)과 날개 누름판(180)의 사이에 배치된 날개(170, 171, 172, 173) 등으로 구성된다.
회전자(120)에는 회전자(120)와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 부재(1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출력 부재(130)에 핀부(pin portion)(1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부(131)는 회전자(120)의 구동력을 날개(170∼173)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날 개(170∼173)가 촬영용의 개구를 개폐한다. 또 날개실(blade chamber)을 구성하고 있는 하기판(150)과 날개 누름판(180)의 어느 것에도 핀부(131)의 회동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51, 181)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5-173355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는, 회전자(120)의 회동 축선 방향 상에 포개져서 날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자(120)의 축선 방향에서의 두께가 증대한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채용하는 전자 기기에의 배치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있었다. 또 날개실을 구성하고 있는 하기판(150)과 날개 누름판(180)의 어느 것에도 핀부(131)의 작동 영역을 수용하는 원호(圓弧) 모양의 개구부(151, 181)가 있고, 이러한 개구부는 촬영용의 개구에 이어지는 큰 개구 때문에 먼지가 날개실 내로 진입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진입한 먼지가 날개의 동작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박형화되고,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이 적은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날개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으로 착자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대해서 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를 여자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의 회동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신하는 완부(arm portion)와, 상기 날개와 걸어맞춤되고 상기 완부에 세워 설치하는 핀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자, 상기 완부 및 상기 핀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두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날개의 구동원인 완부 및 핀부를 가지는 회전자는, 회전자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 방향의 코일의 두께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해,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날개의 회전 중심축을 설치한 기판에 의해 가릴 수가 있다. 기판에는 핀부의 회동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완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자의 자극의 위치에 대한 완부 및 핀부의 각도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각도 위치의 설계 변경을 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을 보유하는 상기판 및 하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상기판 및 하기판의 사이에 보유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원을 보유하는 부재와 날개를 보유하기 위한 부재를 병용할 수가 있고 또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의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박형화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이 적은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촬영용의 개구가 전체 열림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촬영용의 개구가 전체 닫힘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인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은 촬영용의 개구가 전체 열림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촬영용의 개구가 전체 닫힘 상태에서의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후술하는 상기판(60)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는, 전자 액추에이터, 하기판(50), 상기판(60), 날개(70)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전자 액추에이터 및 날개(70)는 하기판(50)과 상기판(6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상기판(60)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는 고정자(10), 회전자(20), 코일(40) 등으로 구성된다.
전자 액추에이터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제1 자극부(11), 제2 자극부(12)를 가지는 고정자(stator)(10), 둘레 방향으로 다른 2극으로 착자되고 원통 형상을 이루는 회전자(20), 코일 보빈(coil bobbin)(41)에 감겨지고 통전에 의해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자극부(11) 및 제2 자극부(12)를 발생시키는 코일(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판(60)에는 코일(40)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자 액추에이터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측벽(5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는, 회전자(20)의 회동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부재(30)가 회전자(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자(20)는 둘레 방향으로 2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출력 부재(30)와 회전자(20)의 자극의 위치 관계가 소정 위치로 되도록 출력 부재(30)가 회전자(20)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력 부재(30)는 회전자(20)와 일체적으로 소정 각도 범위를 회동한다. 전자 액추에이터는 하기판(50)에 세워 설치된 위치 결정용의 위치 결정 핀부(55)에 의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회전자(20)는 하기판(50)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축부(52)로 관통되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부재(30)는 회전자(20)의 촬상 소자측의 단부에 고정되고,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인 축부(5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신하는 완부(31)와, 그 완부(31)로부터 날개(70)를 향하여 광축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핀부(32)로 이루어지고, 회전자(20)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회전자(20), 완부(31) 및 핀부(32)는,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40)의 두께 내 B의 범위(도 3 참조)에 배치된다. 핀부(32)는 날개(70)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한 모양의 걸어맞춤부(71)와 걸어맞춤되고, 핀부(32)의 요동이 날개(70)로 전달된다. 이 걸어맞춤부(71)는 핀부(32)를 측부로부터 사이에 끼워 놓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회전자(20), 완부(31), 핀부(32)를 동일 부품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전자(80)는 회전자(80)의 회동 중심축인 축부(5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신하는 완부(31)와, 그 완부(31)로부터 날개(70)를 향하여 광축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핀부(32)를 가지고, 회전자(80)와 완부(31) 및 핀부(32)는,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40)의 두께 내 B의 범위(도 4 참조)에 배치된다. 핀부(32)는 날개(70)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한 모양의 걸어맞춤부(71)와 걸어맞춤되고, 핀부(32)의 요동이 날개(70)로 전달된다. 이 걸어맞춤부(71)는 핀부(32)를 측부로부터 사이에 끼워 놓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기판(50) 및 상기판(60)은, 각각 촬영용의 개구(51, 61)를 가지고, 하기 판(50)과 상기판(60)의 사이에 배치된 날개(70)의 구동에 의해 개구(51)는 전체 닫힘 또는 전체 열림 상태로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하기판(50)의 하방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피사체측에서의 상(像)을 결상하는 촬상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판(60)에는 출력 부재(30)에 설치된 핀부(32)의 회동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62)이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핀부(32)는 수용 구멍(62)을 관통하여 소정 범위의 요동이 허용된다.
날개(70)는 하기판(50)에 형성된 축부(53)와 걸어맞춤되고, 축부(53)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를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날개(70)는 출력 부재(30)에 설치된 핀부(32)가 걸어맞춤부(71)와 걸어맞춤됨으로써 기판(50)에 형성된 축부(53)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를 요동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날개(70)는 축부(52)와 직교하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부(52)의 길이가 두께를 가지고, 축부(52)에 직교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자(20)의 두께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회전자(20), 완부(31) 및 핀부(32)는,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코일(40)의 두께 내 B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날개를 회전자의 회동 축선 방향 상에 포개어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에 있어서 회전자(20)의 회동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40)의 두께 범위 B와 전자 액추에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하기판(50)의 두께의 합이 카메라용 셔 터 구동 장치의 두께로 되므로, 상기 코일(40)의 두께와 하기판(50)의 두께의 합을 작게 함으로써, 더욱 박형화된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듯이, 회전자(20)와 완부(31) 및 완부(31)로부터 세워 설치된 핀부(32)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자(20)에 대한 출력 부재(30)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여 압입(壓入)할 수가 있다. 즉, 회전자(20)는 외주 방향으로 복수의 극성으로 착자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20)의 자극의 위치에 대해서 출력 부재(30)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여 압입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각도 위치의 설계 변경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에서, 다른 부품 등의 배치 위치를 우선하여 설계하고, 그 후에 회전자(20)에 대한 출력 부재(30)의 각도 위치의 설정을 변경,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양산 전의 제품의 검사(check)에 의해 문제가 생긴 것 같은 경우, 즉시 회전자(20)에 대한 출력 부재(30)의 각도 위치를 검토하여, 최적인 각도 위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하기판(50)은 촬영용의 개구 이외에, 핀부(32)의 회동을 수용하기 위한 큰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핀부(32)의 회동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판(60)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부로부터 날개실로의 먼지의 진입을 줄일 수가 있다. 또 상기판(60)에 형성된 수용 구멍(62)을 폐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을 한층 더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날개(70)를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출력 부재(30)의 핀부(32)를, 종래와는 상반되는 방향을 향하여 세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즉, 종래는 회전자(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핀부(32)가 세워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셔터 구동 장치에서는, 축부(52)와 직교하는 평면 내에 배치된 날개(70)를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핀부(32)는 출력 부재(30)가 고정된 회전자(20)의 단부와는 다른 단부측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자(20)의 구동을 날개(70)로 전달할 수가 있다. 핀부(32)는 축부(52)와 직교하는 평면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날개(70)는 날개실을 구성하는 상기판(60)과 하기판(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판(60) 및 하기판(50)은 전자 액추에이터를 보유한다. 따라서 종래, 날개를 보유하기 위한 부재(예를 들면 날개 누름판)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판(60) 및 하기판(50)에 의해 전자 액추에이터를 보유함과 아울러 날개(70)를 보유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더욱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판(60)이 피사체측이 되는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하기판(50)이 피사체측이 되어도 좋다.

Claims (3)

  1. 개구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날개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으로 착자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대해서 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를 여자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의 회동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신하는 완부와, 상기 날개와 걸어맞춤되어 상기 완부에 세워 설치한 핀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자, 상기 완부 및 상기 핀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두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완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을 보유하는 상기판 및 하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상기판 및 하기판의 사이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KR1020097002760A 2006-12-19 2007-12-12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KR101055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1597A JP4781251B2 (ja) 2006-12-19 2006-12-19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JP-P-2006-341597 2006-12-19
PCT/JP2007/073951 WO2008075597A1 (ja) 2006-12-19 2007-12-12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971A true KR20090056971A (ko) 2009-06-03
KR101055433B1 KR101055433B1 (ko) 2011-08-08

Family

ID=3953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760A KR101055433B1 (ko) 2006-12-19 2007-12-12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0069B2 (ko)
JP (1) JP4781251B2 (ko)
KR (1) KR101055433B1 (ko)
CN (1) CN101517476B (ko)
WO (1) WO2008075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474B2 (ja) * 2006-12-27 2012-03-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備えた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EP2279451A4 (en) * 2008-04-17 2011-04-06 Sung Woo Electronics Co Ltd SHUTTER DEVICE FOR PHOTOGRAPHIC APPARATUS
DE102010021478B4 (de) * 2010-01-28 2012-12-27 Leica Camera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Zentralverschlusses
CN102193271A (zh) * 2010-03-18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械快门及具有该机械快门的手机
US8537271B2 (en) 2010-09-28 2013-09-17 Apple Inc. Mechanical camera shutter mechanism
US20120107750A1 (en) * 2010-11-02 2012-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gniting a combustor
CN102591096B (zh) * 2012-03-23 2014-07-16 中国兵器工业导航与控制技术研究所 一种自锁型抗高冲击快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491A (en) * 1956-01-03 1960-10-18 Bulova Res And Dev Lab Inc Automatic diaphragm control device
JPS59153527U (ja) * 1983-03-31 1984-10-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切替カメラの露出調節装置
US4984003A (en) * 1988-07-22 1991-01-08 Copal Company Limite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 blade without bounce
US5325142A (en) * 1992-12-22 1994-06-28 Eastman Kodak Company Variable close loop controlled aperture/shutter system
US6331741B1 (en) * 1998-11-16 2001-12-1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JP2001117136A (ja) * 1999-10-18 2001-04-27 Seiko Precision Inc カメラ用駆動装置
US6363222B2 (en) * 1999-12-01 2002-03-26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for a camera
US6798093B2 (en) * 2000-07-28 2004-09-28 Canon Kabushiki Kaisha Dual coil permanent magnet motor having inner annular member
US6960848B2 (en) * 2003-05-09 2005-11-01 Nisca Corporation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and light quantity adjustment device using the same
JP4467295B2 (ja) 2003-12-12 2010-05-2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
JP4012170B2 (ja) * 2004-01-06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量調節装置
JP4477362B2 (ja) * 2004-01-06 2010-06-0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
JP4368287B2 (ja) * 2004-10-28 2009-11-1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カメラ用シャッタ
JP2006153915A (ja) * 2004-11-25 2006-06-15 Seiko Precision Inc カメラ用セクタ駆動装置
JP2007233053A (ja) * 2006-03-01 2007-09-13 Canon Electronics Inc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撮像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5597A1 (ja) 2008-06-26
KR101055433B1 (ko) 2011-08-08
CN101517476B (zh) 2010-10-13
US20090148154A1 (en) 2009-06-11
JP2008152129A (ja) 2008-07-03
US7670069B2 (en) 2010-03-02
CN101517476A (zh) 2009-08-26
JP4781251B2 (ja)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433B1 (ko) 카메라용 날개 구동 장치
KR101180130B1 (ko)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US20130322866A1 (en) Blade drive device and optical equipment
KR101627864B1 (ko) 전자 액튜에이터 및 노광조건 전환장치
JP5336152B2 (ja) アクチュエータ、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US8137011B2 (en) Actuator and blade drive device for camera
JP2005249812A (ja) シャッターアイリス
JP2008236840A (ja) 電動機及び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4869912B2 (ja) コイルボビン、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5117315B2 (ja)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6770450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この羽根駆動装置を備えた撮像機器
JP5113713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4936945B2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10039077A (ja)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06098625A (ja) 電動絞り装置
JP5090286B2 (ja)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2011075909A (ja) 絞り装置
JP5342179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110025546A (ko) 카메라의 조리개용 셔터장치
JP3963901B2 (ja) 光量調節装置
JP2008083646A (ja) カメラ用シャッタ駆動装置
JP2017103975A (ja) 回転駆動装置及び絞り装置
JP2015106037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09271126A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2000292828A (ja) カメラ用羽根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