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905A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905A
KR20090054905A KR1020080116708A KR20080116708A KR20090054905A KR 20090054905 A KR20090054905 A KR 20090054905A KR 1020080116708 A KR1020080116708 A KR 1020080116708A KR 20080116708 A KR20080116708 A KR 20080116708A KR 20090054905 A KR20090054905 A KR 2009005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edium
copy
ima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500B1 (ko
Inventor
구니히로 다카하시
마리오 후세
츠카사 마츠다
에이조 구리하라
쇼지 야마구치
히로요시 이노우에
야스노리 고다
이부틴 드미트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4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6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ased on detection of a dedicated indication, e.g. mar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복사가 금지된 원고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판독하는 광학계(42)와, 복사가 금지된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8)와, 광학계(42)에 의해 기록 매체의 화상이 판독되기 전에,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8)에 의해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인 것이 검지된 경우, 당해 기록 매체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갖는다.
원고 판독 장치, 플래튼 글래스, 원고 탑재 배치대,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복합기 등, 원고를 판독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이 사용될 경우,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 누설의 방지를 목적으로, 예를 들어 복제가 금지된 원고가 스캐너 등에 의해 판독된 때에 그 판독 화상으로부터 특정 패턴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수법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모노크롬 복사기와 컬러 복사기의 구별에 관계없이, 복사한 경우에, 복사물로서 판별할 수 있는 복사 방지 수단을 갖는 복사 방지 인쇄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복수의 소재(素材) 화상을 모자이크처럼 조합시켜 모자이크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출력 트레이에 부착된 용지 검지 장치에 의해, 그 출력 트레이의 비어 있음을 검출하는 프린트 서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7-7619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평11-34533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02-12006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원고가 판독됨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화상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에 기억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복사가 금지된 원고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의 화상이 판독되기 전에,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가 검지된 경우, 당해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복사가 금지된 원고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자성 부재가 발생시키는 자화 반전을 검지함으로써,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가 금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화상을 원고에 매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원고를 인쇄하기 위한 토너량을 삭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기 위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탑재 배치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탑재 배치된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기록 매체 검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검지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경우,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플래튼 글래스를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플래튼 글래스에 대향하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 또는 이것에 탑재 배치된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에 설치되고,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과, 상기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고,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 2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을 더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검지되지 않고,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는, 상기 제 2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고,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한 후에는, 상기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튼 커버에 원고 검지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 경우, 당해 기록 매체에 대한 복수의 처리로부터 선택된 처리를, 당해 기록 매체에 대하여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가 금지된 원고에 대한 동작의 선택지(選擇肢)가 증가하기 때문에, 복사의 금지가 검지된 경우의 그 다음 동작의 선택에 대해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복사 금지 매체인 기록 매체가 검지된 경우, 그 취지를 음성으로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탑재 배치 수단과, 상기 탑재 배치 수단으로부터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플래튼 커 버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과, 이송 수단과,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스텝이며, 상기 탑재 배치 수단 또는 상기 반송로에서 행해지는 제 1 검지 스텝과, 상기 플래튼 커버에서 행해지는 제 2 검지 스텝을 갖는 스텝과,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탑재 배치된 상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서 검지되지 않고,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경우,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는, 상기 제 2 검지 스텝에서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하면,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복사가 금지된 원고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부(12), 원고 판독 장치(14), 용지가 적재된 예를 들어, 2단의 급지 트레이(16a, 16b), 수동 급지 트레이(18) 및 제어부(60)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예를 들어, 인쇄 기능, 복사 기능 및 판독 기능을 갖는 복합기이고, 원고 판독 장치(14)에 의해 판독된 판독 화상 또는 외부의 단말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묘화된 화상을, 급지 트레이(16a, 16b) 또는 수동 급지 트레이(18)로부터 용지 반송로(20)에 공급된 용지에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12)는 상유지체(22), 이 상유지체(22)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기(24), 이 대전기(2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상유지체(22)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26), 이 노광 장치(26)에 의해 형성된 상유지체(22) 상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 가시화하는 현상기(28), 이 현상기(28)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30), 및 상유지체(22)에 잔류한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너(32)를 갖는다. 노광 장치(26)는 예를 들어, 레이저 주사 방식의 것으로, 판독 화상 등에 의거하여 레이저의 온/오프(on/off) 신호로 바꾸어 출력한다. 전사 장치(30)는 예를 들어, 전사 롤러로 구성되고, 이 전사 장치(30)에 의해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가 정착 장치(34)로 보내지고, 이 정착 장치(34)에 의해 토너상이 용지에 정착되며, 이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가 배출 트레이(36)로 배출된다.
용지 반송로(20)에는, 복수의 반송 롤러(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롤러(38)의 하나로서, 전사 장치(30) 상류 측 근방에는, 레지스트 롤러(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지스트 롤러(40)는 공급된 용지를 일시 정지시키고, 상유지체(22)에 잠상이 형성되는 타이밍과 동기(同期)하여 전사 장치(30)에 용지를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원고 판독 장치(14)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학계(42)(화상 판독 수단) 및 ADF(Auto Document Feeder) 등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를 갖는다. 광학계(4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46), 원고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미러(48a, 48b, 48c), 이 반사 미러(48a∼48c)로부터의 광을 수속(收束)시키는 렌즈(50), 및 이 렌즈(50)에 의해 수속한 광을 판독하는 판독 센서(52)를 갖는다. 판독 센서(52)는 예를 들어, CCD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학계(42)는 후술하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에 의해 보내진 원고를 판독하는 기능, 및 반사 미러(48a∼48c) 등을 주사하여 플래튼 글래스(54) 상에 탑재 배치된 원고를 판독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원고는 기록 매체(예를 들어, 용지) 및 그 위에 기록된 화상으로 이루어진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는 다수의 원고가 탑재 배치되는 원고 탑재 배치대(56), 원고 반송로(58),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62) 및 화상을 판독한 후의 원고가 배출되는 배출대(59)를 갖는다. 또한,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는 개폐 가능하고,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하면(下面)은 원고를 플래튼 글래스(54) 상에 가압하는 플래튼 커버로서 기능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탠덤식일 수도 있고, 로터리식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2)는 잉크젯 방식 등, 다른 방식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에는,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탑재 배치된 원고를 검지하는 원고 검지 센서(68), 이 원고 검지 센서(68)에 검지된 원고 중 복사 금지 매체를 검지하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 및 원고 탑재 배치대(56)로부터 원고 반송로(58)에 반송되는 원고의 후단 (後端)을 검지하는 후단 검지 센서(6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에서, 원고 검지 센서(68)는 예를 들어, 발광 소자 및 수광(受光) 소자를 포함하는 반사식의 광센서이다. 원고 검지 센서(68)는 반사광이 있을 경우, 용지가 탑재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원고 검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60)에 대하여 출력한다. 후단 검지 센서(64)는 원고 검지 센서(68)와 마찬가지로 반사식의 광센서이다. 후단 검지 센서(64)는 용지의 후단을 검지하면, 후단 검지 신호를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에 대하여 출력한다.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설치되어 있고, 발생된 자계의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예를 들어, 297㎜×55㎜ 정도의 삽입 안테나이고, 큰 바크하우젠(Barkhausen) 효과에 의해, 원고에 포함되는 기록 매체를 검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큰 바크하우젠 효과를 나타내는 자성 와이어 등의 자성 부재가 혼입된 용지가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탑재 배치된 경우, 원고의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자성 부재가 발생시키는 자화 반전을 검지하고, 복사 금지의 매체를 검지한 취지의 신호(복사 금지 신호)를 제어부(60)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플립플롭 동작의 세트 신호로서 복사 금지 신호를 출력한다.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복사 금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이, 후단 검지 센서(64)로부터 출력되는 후단 검지 신호를 접수하고 나서 경과한 후, 리셋 동작에 의해 복사 금지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다음의 복사 금지 매체의 검지가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CPU(100)가 판독 동작을 정지시키는데 충분한 시간이,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가 후단 검지 신호를 접수하고 나서 경과한 경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의 리셋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제어부(60)에 의해 리셋될 수도 있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부(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CPU(100), 메모리(102), 외부의 단말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104),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106),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108)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10)를 갖는다. 이들 구성요소는 버스(11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6) 및 입력 장치(108)는 터치 패널로서 실현될 수도 있다.
CPU(100)(제어 수단)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CPU(100)는 광학계(42)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판독되기 전에,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에 의해 원고의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인 것이 검지된 경우, 이 원고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100)는 원고 검지 센서(68)로부터 출력되는 원고 검지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로부터 출력되는 복사 금지 신호를 입력한 경우, 원고 판독 장치(14)의 광학계(42)를 제어하여, 판독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CPU(100)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를 제어하여, 반송되는 원고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또한, CPU(100)는 복사 금지의 원고가 검지된 취지를 음성으로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0)는 스피커(110)를 제어하여 그 취지를 통지시킨 다.
또한, CPU(100)는 검지된 복사 금지의 원고에 대한 복수의 처리를 표시 장치(106)에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의 처리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리를 입력 장치(108)를 통하여 접수하여, 당해 처리를 당해 원고에 대하여 행한다. 복수의 처리에는, 예를 들어 복사를 정지하는, 패스워드 입력 등 소정의 시큐리티 처리 후에 복사를 행하는, 복사되는 원고의 내용에 예를 들어, 해칭(hatching)을 행하는 등의 제한을 가한 후 복사를 행하는 등이 포함된다.
또한, CPU(100)는 복수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통신 장치(104)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통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리에 관한 정보를 통신 장치(104)를 통하여 접수할 수도 있다. 또한, CPU(100)는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한 경우, 원고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 후,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를 리셋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동작(S1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100(S100)에서, 제어부(60)의 CPU(100)는 원고 검지 신호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원고 검지 신호를 접수한 경우에는 S102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0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원고를 놓으면, 원고 검지 센서(68)는 원고가 탑재 배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고, 원고 검지 신호를 제어부(60)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텝 102(S102)에서, CPU(100)는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한 경우에는 S108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복사 금지 신호가 접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카피 버튼(도시 생략)이 눌려져 카피 동작이 지시되면, 스텝 104(S104)에서, 원고가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에 의해 반송되고, 광학계(42)에 의해 판독되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스텝 106(S106)에서, 화상이 급지 트레이(16) 등으로부터 반송된 용지에,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부(12)에 의해 형성되고, 용지가 배출 트레이(36)로 배출된다.
한편, 복사 금지 신호가 접수된 경우, 스텝 108(S108)에서, CPU(100)는 복사 금지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계(42)에 의한 판독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는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CPU(100)는 복사 금지의 용지가 검지된 취지를 음성으로 통지한다.
스텝 110(S110)에서, CPU(100)는 검지된 복사 금지의 용지에 대한 복수의 처리를 표시 장치(106)에 표시한다.
스텝 112(S112)에서, CPU(100)는 복수의 처리로부터 선택된 처리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선택된 처리를 접수한 경우에는 S11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1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106)에 표시된 복수의 처리 중에서 처리를 선택하고, 입력 장치(108)를 사용하 여 입력한다.
스텝 114(S114)에서, CPU(100)는 선택된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가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원고 반송로(58)를 반송되는 원고의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인 것을 검지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진 각 구성 중, 도 2에 나타내진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원고 반송로(58)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원고 반송로(58)에서, 원고 판독 장치(14)의 광학계(42)보다 상류 측으로서,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이 원고 탑재 배치대(56)로부터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62)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원고 탑재 배치대(56)로부터 원고 반송로(58)로 반송되고, 원고 판독 장치(14)의 광학계(42)에 의해 판독되기 전의 복사 금지 매체를 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PU(100)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로부터 출력되는 복사 금지 신호를 입력한 경우, 원고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면 되고, 원고 검지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 복사 금지 신호를 입력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가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원고가 복사 금지인 것을 검지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진 각 구성 중, 도 2에 나타내진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플래튼 글래스(54)에 대향하는 플래튼 커버(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되고, 원고 판독 장치(14)의 광학계(42)에 의해 판독되기 전의 복사 금지 매체를 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CPU(100)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로부터 출력되는 복사 금지 신호를 입력한 경우, 원고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면 되고, 원고 검지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 복사 금지 신호를 입력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를 설명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배경을 설명한다.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는, 실수로, 용지에 섞여 들어가 있는 자성 부재 이외의 물체에 반응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용지에만 반응하도록, 용지가 검지될 경우에만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튼 커버에 탑재 배치된 원고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플래튼 커버에 원고 검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프리스캔(pre-scan)하면 된다. 그러나, 플래튼 커버에 원고 검지 센서를 설치할 경우에는, 모든 사이즈의 용지를 검지하기 위해, 복수의 원고 검지 센서를 설치해야만 하여, 복사 금지 매체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어려워지게 된다. 한편, 프리스캔할 경우에는, 원고가 판독되고,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 커버에 용지 센서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가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탑재 배치된 원고가 복사 금지인 것에 더하여,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원고가 복사 금지인 것을 검지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와는 상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진 각 구성 중, 도 2에 나타내진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는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플래튼 글래스(54)에 대향하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는 원고 탑재 배치대(56) 또는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되고, 원고 판독 장치(14)의 광학계(42)에 의해 판독되기 전의 복사 금지 원고를 검지한다.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는 별개의 안테나로 하여,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다. 안테나가 검지하는 신호의 증폭률 및 오프셋 값은 별개로 설정되지만, 별개의 회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PU(100)는 원고 검지 센서(68)에 의해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원고가 없는 것이 검지되고,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각도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것이 검지된 경우,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것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경우에는, 플래튼 글래스(54)에 원고가 놓여진 것으로 하여,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한다. CPU(100)는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것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가 전환되고, 원고 탑재 배치대(56) 또는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복사 금지 매체가 검지된다.
이상,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가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고,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탑재 배치된 원고 및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원고가 복사 금지인 것을 검지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는 원고 반송로(58)의 근방 및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고, 원고 반송로(58)로 반송된 원고 및 플래튼 글래스(54)에 탑재 배치된 원고가 복사 금지인 것을 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원고 탑재 배치대(56) 및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가 명시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원고 탑재 배치대(56)의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하는 수신부(도시 생략) 및 플래튼 커버의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하는 수신부(도시 생략)를 병렬로 접속하여, CPU(100)가 복사 금지 신호를 접수하면, 모든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의 출력 여부에 관계없이, 원고의 복사가 금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동작(S2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200(S200)에서, 제어부(60)의 CPU(100)는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설치된 원고 검지 센서(68)로부터, 원고 검지 신호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원고 검지 신호를 접수한 경우에는 S21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202의 처리로 진행된다. 상술한 S10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원고 탑재 배치대(56)에 원고를 두면, 원고 검지 센서(68)는 원고를 검지하여, 원고 검지 신호를 제어부(60)에 대하여 출 력한다.
스텝 202(S202)에서, CPU(100)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각도 센서로부터, 플래튼 커버를 닫는 신호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플래튼 커버를 닫는 신호를 접수한 경우에는 S20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214의 처리로 진행된다. 사용자가 플래튼 커버를 닫으면, 각도 센서는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고, 플래튼 커버를 닫는 신호를 제어부(60)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텝 204(S204)에서, CPU(100)는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S206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210의 처리로 진행된다. CPU(100)는 예를 들어,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것을 검지한 때에 타이머를 기동하여,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경과한 시간을 계측한다.
스텝 206(S206)에서, CPU(100)는 원고 탑재 배치대(56)(또는 원고 반송로(58)의 근방)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매체 신호를 접수하고, 스텝 208(S208)에서, CPU(100)는 원고 탑재 배치대(56)(또는 원고 반송로(58)의 근방)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 복사 금지 매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사 금지 매체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S21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2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210(S210)에서, CPU(100)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66)로부터의 복사 금지 매체 신호를 접수하고, 스텝 212(S212)에서, CPU(100) 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된 복사 금지 매체 센서(66)로부터, 복사 금지 매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사 금지 매체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S21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20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214(S214)에서, CPU(100)는 복사 금지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S108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는, CPU(100)는 광학계(42)에 의한 판독 동작을 정지시키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S108과 마찬가지로, CPU(100)는 복사 금지의 용지가 검지된 취지를 음성으로 통지할 수도 있다.
CPU(100)는 복사 금지 처리를 종료하면, S20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술한 S110∼114와 마찬가지로, 복사 금지 처리를 종료하면, 검지된 복사 금지의 용지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고, S200의 처리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부(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동작(S1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자동 원고 이송 장치(4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동작(S2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2: 화상 형성부
14: 원고 판독 장치 42: 광학계
44: 자동 원고 이송 장치 54: 플래튼 글래스
56: 원고 탑재 배치대 58: 원고 반송로
59: 배출대 60: 제어부
62: 반송 롤러 64: 후단 검지 센서
66: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센서 68: 원고 검지 센서
100: CPU 102: 메모리
104: 통신 장치 106: 표시 장치
108: 입력 장치 110: 스피커

Claims (11)

  1. 기록 매체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의 화상이 판독되기 전에,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 인지의 여부가 검지된 경우, 당해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자성 부재가 발생시키는 자화 반전을 검지함으로써,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기 위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탑재 배치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탑재 배치된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기록 매체 검지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검지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경우,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를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플 래튼 글래스를 더 갖고,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플래튼 글래스에 대향하는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 또는 이것에 탑재 배치된 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에 설치되고,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과,
    상기 플래튼 커버에 설치되고, 당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제 2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검지되지 않고,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경우,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는, 상기 제 2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한 후에는, 상기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한 경우, 당해 기록 매체에 대한 복수의 처리로부터 선택된 처리를, 당해 기록 매체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사 금지 매체 검지 수단에 의해 복사 금지 매체인 기록 매체가 검지된 경우, 그 취지를 음성으로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기록 매체를 탑재 배치하는 탑재 배치 수단과, 상기 탑재 배치 수단으로부터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플래튼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과, 이송 수단과, 정착 수 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스텝이며, 상기 탑재 배치 수단 또는 상기 반송로에서 행해지는 제 1 검지 스텝과, 상기 플래튼 커버에서 행해지는 제 2 검지 스텝을 갖는 스텝과,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 탑재 배치된 상기 기록 매체를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탑재 배치 수단에서 검지되지 않고,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경우, 플래튼 커버가 닫혀진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는, 상기 제 2 검지 스텝에서 기록 매체가 복사 금지 매체인 것이 검지된 때, 당해 기록 매체 상의 화상의 복사를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스텝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80116708A 2007-11-27 2008-11-24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1214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5891 2007-11-27
JPJP-P-2007-00305891 2007-11-27
JP2008239095A JP4518201B2 (ja) 2007-11-27 2008-09-18 画像形成装置
JPJP-P-2008-00239095 200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905A true KR20090054905A (ko) 2009-06-01
KR101214500B1 KR101214500B1 (ko) 2012-12-24

Family

ID=4074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708A KR101214500B1 (ko) 2007-11-27 2008-11-24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18201B2 (ko)
KR (1) KR101214500B1 (ko)
CN (1) CN101446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5862A (zh) * 2009-11-06 2011-05-11 樊晓青 一种复印、传真、扫描查询、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277A (ja) * 1992-07-16 1994-02-10 Ricoh Co Ltd スキップモードを有する複写装置
JPH10222033A (ja) * 1997-02-10 1998-08-21 Minolta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161769A (ja) * 2003-12-04 2005-06-2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89822B2 (ja) * 2005-03-23 2009-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読取装置および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3098A (ja) 2009-07-09
JP4518201B2 (ja) 2010-08-04
CN101446785A (zh) 2009-06-03
CN101446785B (zh) 2013-08-07
KR101214500B1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02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32924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700913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404059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3017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1450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JP2006103283A (ja) 印刷システム
JP490994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9013544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4075570B2 (ja) 記録装置
JP3840775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8017193A (ja) 画像処理装置
JP201820715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5732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705761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原稿読取装置
JP2006229896A (ja) 画像読取装置
JP2001111790A (ja) イメージスキャナ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におけるページの存在を検出する方法
JP4142979B2 (ja) 原稿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原稿画像読取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9210971A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21341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2117735A (ja) 画像形成装置
JP2925623B2 (ja) 原稿読取装置
JP2006025256A (ja) 画像読取装置
JP2003319129A (ja) 画像形成装置
JP530923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