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373A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373A
KR20090047373A KR1020080109979A KR20080109979A KR20090047373A KR 20090047373 A KR20090047373 A KR 20090047373A KR 1020080109979 A KR1020080109979 A KR 1020080109979A KR 20080109979 A KR20080109979 A KR 20080109979A KR 20090047373 A KR20090047373 A KR 2009004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s
light
light shiel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787B1 (ko
Inventor
노부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지향성 표시에서의 복수의 화상 간에서 화상의 밝기에 차이가 생기기 쉽다.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72)를 적어도 포함하고,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가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와, 평면에서 보아 상기 복수의 화소에 겹치는 차광 소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2개의 상기 화소마다, 상기 2개의 화소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43)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차광 소자에는, 화소군(43)마다, 평면에서 보아 상기 2개의 화소에 겹치는 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에는, 각 상기 화소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방해하는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사이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Figure P1020080109979
전기 광학 장치, 화상, 화소, 차광 소자, 차광 영역, 개구부, 전자 기기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광학 장치 중 하나로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각각의 보는 방향마다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이하, 지향성 표시라고 함)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로서는, 개구부와 차광부를 갖는 배리어를 통하여 복수의 시점(視點)의 각각에,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108501호 공보(제4쪽∼제5쪽, 도 18)
여기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의 배리어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 2개의 방향으로 지향성 표시를 행하는 구조에 대하여,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표시 패널(600)은,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소(601)와,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소(603)를 갖고 있다. 배리어(605) 의 차광부(607)는, 제1 화소(601)의 일부(601a)와, 제2 화소(603)의 일부(603a)에 겹쳐 있다. 즉, 차광부(607)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609)는, 제1 화소(601)의 타부(601b)와, 제2 화소(603)의 타부(603b)에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609)를 통하여 제1 화소(601)를 시인할 수 있는 제1 범위(611)에 제1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개구부(609)를 통하여 제2 화소(603)를 시인할 수 있는 제2 범위(613)에 제2 화상이 표시된다. 즉, 제1 범위(611) 내에 시점이 있는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제1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제2 범위(613) 내에 시점이 있는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제1 범위(611) 및 제2 범위(613)는, 서로 겹치는 범위(615)를 갖고 있다. 범위(615)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한 상태로 시인된다. 제1 범위(611)로부터 범위(615)를 제외한 범위(619a)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1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범위(613)로부터 범위(615)를 제외한 범위(619b) 내에 있는 시점으로부터는, 제2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범위(619a) 및 범위(619b)는, 각각, 적시 범위(619a) 및 적시 범위(619b)라고 불린다.
그런데, 표시 패널(600)에는, 일반적으로, 각 화소(601 및 603)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는, 각 화소(601 및 603)로부터의 광의 사출과 광의 차단을 절환한다. 각 화소(601 및 603)에서는, 평면도인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 등에 의해 광의 사출이 방해되는 영역인 차광 영역(62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각 화소(601 및 603)로부터 개구부(609)를 통하여 각 적시 범위(619a 및 619b)에 미치는 광은, 도 26 중의 Z-Z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 영역(621)에 의해 적시 범위(619a)와 적시 범위(619b)에서 서로 다른 양으로 된다.
즉,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지향성 표시에서의 복수의 화상 간에서 화상의 밝기에 차이가 생기기 쉽다고 하는 미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될 수 있다.
[적용예 1]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가 제1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와, 평면에서 보아 상기 복수의 화소에 겹치는 차광 소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2개의 화소마다, 상기 2개의 화소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차광 소자에는, 상기 화소군마다, 평면에서 보아 상기 2개의 화소에 겹치는 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에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방해하는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1의 전기 광학 장치는, 복수의 화소와 차광 소자를 갖고 있다. 복수의 화소에는, 적어도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포함되어 있다. 제1 화소 및 제2 화소는, 제1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는,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2개의 화소마다, 이들 2개의 화소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차광 소자는, 평면에서 보아 복수의 화소에 겹쳐 있다. 차광 소자에는, 화소군마다, 화소군을 구성하는 2개의 화소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적용예 1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차광 소자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화소군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제1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이하, 제1 범위라고 부름)에서 제1 화상이 시인되고, 제2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이하, 제2 범위라고 부름)에서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적용예 1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차광 소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적용예 1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에, 각 화소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방해하는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사이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화소로부터 개구부를 거쳐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과, 제2 화소로부터 개구부를 거쳐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을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적용예 2]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상기 제1 화소에서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각 상기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상기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2에서는, 각 제1 화소에서의 각 차광 영역은, 각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화소군을 구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사이에서는, 각각의 차광 영역이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2 화소에서의 각 차광 영역도, 각 제2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다. 이 결과, 각 제1 화소로부터 각 개구부를 거쳐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과, 각 제2 화소로부터 각 개구부를 거쳐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을,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가, 상기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도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각 상기 제1 화소에서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각 상기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제1 화소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3에서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도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에도, 복수 조의 화소군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적용예 3에서는, 각 제1 화소에서의 각 차광 영역은, 각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화소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다. 이 결과, 각 제1 화소로부터 각 개구부를 거쳐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과, 각 제2 화소로부터 각 개구부를 거쳐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을,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서로 선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5]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서로 점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6]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차광 소자의 각 상기 개구부에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7]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차광 소자의 각 상기 개구부의 윤곽보다도 외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적용예 7에서는, 각 화소군을 구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차광 소자의 각 개구부의 윤곽보다도 외측에 있으므로, 각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의 양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밝게 표시할 수 있다.
[적용예 8]
상기의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적용예 8의 전자 기기는, 표시부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가, 복수의 화소와 차광 소자를 갖고 있다. 복수의 화소에는, 적어도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포함되어 있다. 제1 화소 및 제2 화소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는,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2개의 화소마다, 이들 2개의 화소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차광 소자는, 평면에서 보아 복수의 화소에 겹쳐 있다. 차광 소자에는, 화소군마다, 화소군을 구성하는 2개의 화소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차광 소자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화소군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제1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이하, 제1 범위라고 부름)에서 제1 화상이 시인되고, 제2 화소를 시인할 수 있는 범위(이하, 제2 범위라고 부름)에서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이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차광 소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적어도 2개의 방향에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에, 각 화소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방해하는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제1 화소 및 제2 화소의 사이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화소로부터 개구부를 거쳐 제1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과, 제2 화소로부터 개구부를 거쳐 제2 범위에 미치는 광의 양을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용예 8의 전자 기기는,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전기 광학 장치 중 하나인 표시 장치를 예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과, 조명 장치(5)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3)에는, 복수의 화소(7)가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화소(7)는, 표시 영역(8) 내에서, 도면 중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X 방향을 행 방향으로 하고, Y 방향을 열 방향으로 하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표시 패널(3)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7)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하여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사출함으로써, 표시면(9)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8)이란, 화상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다. 도 1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소(7)가 과장되고, 또한 화소(7)의 개수가 감소되어 있다.
표시 패널(3)은, 도 1 중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1)과, 편광판(13a 및 13b)과, 배리어 기판(14)을 갖고 있다.
액정 패널(11)은, 구동 소자 기판(15)과, 대향 기판(17)과, 액정(19)을 갖고 있다.
구동 소자 기판(15)에는, 표시면(9)측, 즉 액정(19)측에, 복수의 화소(7)의 각각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스위칭 소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7)은, 구동 소자 기판(15)보다도 표시면(9)측에서 구동 소자 기판(15)에 대향하고, 또한 구동 소자 기판(15)과의 사이에 간극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7)에는, 표시 패널(3)에서의 표시면(9)의 이면에 상당하는 면인 저면(23)측, 즉 액정(19)측에, 후술하는 대향 전극 등이 설치되어 있다.
액정(19)은, 구동 소자 기판(15)과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표시 패널(3)의 주연보다도 내측에서 표시 영역(8)을 둘러싸는 시일재(25)에 의해, 구동 소자 기판(15)과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밀봉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19)으로서, TN(Twisted Nematic)형이 채용되어 있다.
배리어 기판(14)은, 대향 기판(17)보다도 표시면(9)측에서 대향 기판(17)에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3a)은, 구동 소자 기판(15)보다도 저면(23)측에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3b)은, 배리어 기판(14)보다도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편광판(13a 및 13b)은, 편광판(13a)에서의 광의 투과축의 방향과, 편광판(13b)에서의 광의 투과축의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편광판(13a 및 13b)은, 각각, 투과축의 방향에 편광축을 갖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조명 장치(5)는, 표시 패널(3)의 저면(23)측에 형성되어 있고, 도광판(31)과 광원(33)을 갖고 있다. 도광판(31)은, 도 2에서 보아 표시 패널(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표시 패널(3)의 저면(23)에 대향하는 광 사출면(35b)을 갖고 있다.
광원(33)은,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나 냉음극관 등이 채용되고, 도 2에서 보아 도광판(31)의 측면(35a)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광원(33)으로부터의 광은, 도광판(31)의 측면(35a)에 입사된다. 도광판(31)에 입사된 광은, 도광판(31) 내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광 사출면(35b)으로부터 사출된다. 광 사출면(35b)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표시 패널(3)의 저면(23)으로부터, 편광판(13a)을 통하여 표시 패널(3)에 입사된다. 또한, 도광판(31)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 사출면(35b)에 확산판이 형성되고, 저면(35c)에 반사판이 형성된다.
표시 패널(3)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7)는, 각각, 표시면(9)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색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계통(R), 녹색계통(G) 및 청색 계통(B)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R의 광을 사출하는 화소(7r)와, G의 광을 사출하는 화소(7g)와, B의 광을 사출하는 화소(7b)를 함유하고 있다.
여기에서, R의 색은, 순수한 적의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주황 등을 포함한다. G의 색은, 순수한 녹의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청록이나 황록을 포함한다. B의 색은, 순수한 청의 색상에 한정되지 않고, 청자나 청록 등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으로부터, R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가시광 영역에서 570nm 이상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G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500nm∼565nm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B의 색을 나타내는 광은, 광의 파장의 피크가 415nm∼495nm의 범위에 있는 광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매트릭스 M에서는, Y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7)가, 1개의 화소 열(41)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X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7)가, 1개의 화소 행(42)을 구성하고 있다. 1개의 화소 열(41) 내의 각 화소(7)는, 광의 색이 R, G 및 B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은, 복수의 화소(7r)가 Y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열(41r)과, 복수의 화소(7g)가 Y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열(41g)과, 복수의 화소(7b)가 Y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 열(41b)을 갖고 있다. 그리고, 매트릭스 M에서는, 화소 열(41r), 화소 열(41g) 및 화소 열(41b)이, 이 순서대로 X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화소(71)와, 복수의 제2 화소(72)로 나누어져 있다. 표시 장치(1)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하여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사출함으로써, 표시면(9)에 제1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입사된 광을,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 선택적으로 표시면(9)을 통하여 표시 패널(3)의 밖으로 사출함으로써, 표시면(9)에 제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상과 제2 화상은, 서로 다른 화상인 것과, 서로 동일한 화상인 것을 불문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화소(7)라는 표기와, 화소(7r, 7g 및 7b)라는 표기와,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라는 표기가 적절하게 분류되어 사용된다. 또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각각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 제1 화소(7r1, 7g1 및 7b1), 및 제2 화소(7r2, 7g2 및 7b2)라는 표기가 이용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가, X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1개의 화소 열(41)은, 복수의 제1 화소(71) 또는 복수의 제2 화소(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M은, 복수의 제1 화소(71)가 Y 방향을 따라 배열된 화소 열(411)과, 복수의 제2 화소(72)가 Y 방향을 따라 배열된 화소 열(412)을 갖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화소 열(41)이라는 표기와, 화소 열(41r), 화소 열(41g) 및 화소 열(41b)이라는 표기와, 화소 열(411) 및 화소 열(412)이라는 표기가 적절하게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소 열(411) 및 화소 열(412)의 각각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 화소 열(41r1, 41g1 및 41b1), 및 화소 열(41r2, 41g2 및 41b2)이라는 표기가 이용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는, X 방향에 인접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2개의 화소(7)마다, 이들 2개의 화소(7)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43)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화소군(43)에서의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배열순은, 복수조의 화소군(43) 사이에서 통일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가, 도 4에서 보아, X 방향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이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배열순은, 복수조의 화소군(43) 사이에서 통일되어 있으면, 모두가 좌측이어도 우측이어도 된다.
매트릭스 M에서, 복수조의 화소군(4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즉, 복수조의 화소군(43)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액정 패널(11)의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 및 배리어 기판(14)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설명한다.
구동 소자 기판(15)은, 도 4 중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51)을 갖고 있다. 제1 기판(51)은, 예를 들면 글래스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제1 면(53a)과, 저면(23)측으로 향해진 제2 면(53b)을 갖고 있다.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에는, 게이트 절연층(5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는, 절연층(57)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57)의 표시면(9)측에는, 배향막(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소자 기판(15)에는, 화소(7)마다 구동 소자(61)가,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7)에 대응하는 구동 소자(61)는, 스위칭 소자 중 하나인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63)와, 화소 전극(65)을 갖고 있다. TFT 소자(63)는, 게이트 전극(67)과, 반도체층(69)과, 소스 전극(71)과, 드레인 전극(73)을 갖고 있다.
게이트 전극(67)은, 제1 기판(51)의 제1 면(53a)에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층(55)에 의해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67)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몰리브덴, 텅스텐, 크롬 등의 금속이나,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나 SiN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반도체층(69)은, 예를 들면 아몰퍼스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층(55)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67)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71)은,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고, 일부 가 반도체층(69)에 겹쳐 있다. 드레인 전극(73)은, 게이트 절연층(55)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고, 일부가 반도체층(69)에 겹쳐 있다. 또한, 소스 전극(71)이나 드레인 전극(7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TFT 소자(63)는, 반도체층(69)이 게이트 전극(67)과, 소스 전극(71) 및 드레인 전극(7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소위 보텀 게이트형이다. 그리고, TFT 소자(63)는, 절연층(57)에 의해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또한, 절연층(57)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 SiN, 아크릴계의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화소 전극(65)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등의 산화 도전막이나, Mg 및 Ag 등의 금속이 광 투과성을 갖도록 박막화된 것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절연층(57)의 표시면(9)측에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65)은, 절연층(57)에 형성된 컨택트 홀(75)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73)에 연결되어 있다.
배향막(59)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절연층(57) 및 화소 전극(65)을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 배향막(59)에는,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대향 기판(17)은, 제2 기판(81)을 갖고 있다. 제2 기판(81)은, 예를 들면 글래스나 석영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외향면(82a)와, 저면(23)측으로 향해진 대향면(82b)을 갖고 있다.
제2 기판(81)의 대향면(82b)에는, 각 화소(7)를 구획하는 광 흡수층(83)이 영역(8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각 화소(7)는, 광 흡수층(83)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광 흡수층(83)은,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이나 크롬 등의 광 흡수성이 높은 재료를 함유하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기판(81)의 대향면(82b)에는, 광 흡수층(83)에 의해 둘러싸여진 각 영역, 즉 각 화소(7)의 영역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는 컬러 필터(8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컬러 필터(85)는, 입사된 광 중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컬러 필터(85)는, 화소(7r), 화소(7g) 및 화소(7b)마다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된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소(7r)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85)는, R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화소(7g)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85)는 G의 광을 투과시키고, 화소(7b)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85)은 B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각 컬러 필터(85)에 대하여 R, G 및 B가 식별되는 경우에, 컬러 필터(85r, 85g 및 85b)라는 표기가 이용된다.
광 흡수층(83) 및 컬러 필터(85)의 저면(23)측에는, 오버코트층(86)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86)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 흡수층(83) 및 컬러 필터(85)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오버코트층(86)의 저면(23)측에는, 대향 전극(87)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87)은, 예를 들면 ITO 등의 산화 도전막이나, Mg 및 Ag 등의 금속이 광 투과성을 갖도록 박막화된 것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87)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일련 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대향 전극(87)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화소(7) 사이에 걸쳐 공통되어 기능한다. 또한, 대향 전극(87)은, 도시하지 않은 공통선에 연결되어 있다.
대향 전극(87)의 저면(23)측에는, 배향막(89)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89)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대향 전극(87)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배향막(89)에는, 배향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구동 소자 기판(15)과 대향 기판(17)의 사이에 개재하는 액정(19)은, 배향막(59)과 배향막(89)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시일재(25)는, 도 6에 도시한 제1 기판(51)의 제1 면(53a)과, 제2 기판(81)의 대향면(82b)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액정(19)은, 제1 기판(51) 및 제2 기판(81)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시일재(25)는, 배향막(59) 및 배향막(8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액정(19)은, 구동 소자 기판(15) 및 대향 기판(17)에 유지되어 있다고 간주될 수 있다.
배리어 기판(14)은, 제3 기판(91)을 갖고 있다. 제3 기판(91)은, 예를 들면 글래스나 석영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면(9)측으로 향해진 외향면(92a)과, 저면(23)측으로 향해진 대향면(92b)을 갖고 있다.
제3 기판(91)의 대향면(92b)에는, 차광막(93)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93)은, 예를 들면, 카본 블랙 등을 함유하는 수지나, 크롬 등의 광 흡수성이 높은 재 료로 구성될 수 있다. 차광막(93)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 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차광막(93)은, 매트릭스 M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7)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93)의 저면(23)측에는, 오버코트층(95)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95)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차광막(93)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배리어 기판(14)은, 대향면(92b)이 제2 기판(81)의 외향면(82a)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오버코트층(95)이 외향면(82a)에,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제(97)를 통하여 접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TFT 소자(63)는, 도 6에서 보아 좌측의 영역(84) 내에 형성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73)이 영역(84) 내로부터 화소(7)의 영역 내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 전극(65)는, 평면에서 보아 주연부가 영역(84) 내에 미치고 있다.
또한, 차광막(93)에는, 차광막(93)과 화소군(43)의 평면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개구부(9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 7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차광막(93)에 해칭이 가해져 있다.
각 개구부(99)는, 도 6 중의 D-D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군(43)을 구성하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99) 내에는, 오버코트층(95)이 미치고 있 다. 즉, 오버코트층(95)은, 차광막(93) 및 제3 기판(91)의 대향면(92b)을, 저면(23)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구동 소자 기판(15)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스선 S를 갖고 있다. 복수의 소스선 S는, 게이트 절연층(55) 위에 형성되어 있고, 절연층(57)에 의해 표시면(9)측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Y 방향에 인접하는 TFT 소자(63) 사이에서, 소스 전극(71)끼리는, TFT 소자(63) 및 화소 전극(65)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선 S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X 방향에 인접하는 TFT 소자(63) 간에서, 게이트 전극(67)끼리는, 게이트선 T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9에서는, 구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게이트선 T 및 화소 전극(65)의 각각에 해칭이 가해져 있다.
여기에서, 게이트 전극(67)은, X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7) 간에 걸쳐 일련된 게이트선 T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7)마다 게이트선 T에 대향하는 위치에 반도체층(69)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게이트선 T에서, 평면에서 보아 반도체층(69)에 겹치는 영역이 게이트 전극(67)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의 구동 소자(61)의 단면은, 도 9 중의 E-E선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표시 장치(1)에서는, 구동 소자 기판(1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게이트선 T와,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소스선 S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 n개의 게이트선 T 및 m개의 소스선 S의 각각이 식별되는 경우에, 게이트선 T(n)이라는 표기와, 소스선 S(m)이라는 표기가 이용된다.
n개의 게이트선 T 및 m개의 소스선 S는, 격자 형상으로 배선되어 있다. n개의 게이트선 T는, Y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m개의 소스선 S는, X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화소(7)는, 각 게이트선 T와 각 소스선 S의 교차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각 소스선 S는, Y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7), 즉 각 화소 열(41)에 대응하고 있다. 각 게이트선 T는, X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7), 즉 각 화소 행(42)에 대응하고 있다.
각 화소군(43)에서는, 제1 화소(71)에 대응하는 구동 소자(61)와, 제2 화소(72)에 대응하는 구동 소자(6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 간에서 서로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동 소자(61)는,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 간에 가상적으로 위치하는 대칭축 L에 관하여, 서로 선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군(43)에서의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각각에 대응하는 TFT 소자(63)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차광막(93)의 개구부(99)의 윤곽보다도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1)에서는, 조명 장치(5)로부터 표시 패널(3)에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액정(19)의 배향 상태를 화소(7)마다 변화시킴으로써, 표 시가 제어된다. 액정(19)의 배향 상태는, TFT 소자(63)의 OFF 상태 및 ON 상태를 절환함으로써 변화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TFT 소자(63)가 OFF 상태일 때의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b)는, TFT 소자(63)가 ON 상태일 때의 편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1)에서는, 편광판(13a)의 투과축의 방향(111)은,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113)에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고 있다. 배향막(59)의 배향 방향(115)은, 평면에서 보아 투과축의 방향(113)에 직교하고 있다. 배향막(89)의 배향 방향(117)은, 평면에서 보아 투과축의 방향(113)을 따르고 있다.
또한,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서, X' 방향 및 Y' 방향은, X' 방향이 평면에서 보아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113)을 따른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이 XY 평면 내에서 X'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 방향 및 Y' 방향은, XY 평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임의의 2방향이다.
조명 장치(5)로부터 편광판(13a)에 입사된 입사광은, 편광판(13a)의 투과축의 방향(111), 즉 Y' 방향을 따른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119)으로서 액정(19)에 입사된다.
액정(19)에 입사된 직선 편광(119)은, TFT 소자(63)가 OFF 상태일 때에,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19)의 선광성에 의해 X' 방향을 따른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121)으로서 편광판(13b)을 향하여 사출된다. 편광판(13b)을 향하 여 사출된 직선 편광(121)은, 편광축의 방향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113)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13b)을 투과한다.
한편으로, TFT 소자(63)가 ON 상태일 때에, 직선 편광(119)은,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상태가 유지된 채 직선 편광(119)으로서 편광판(13b)을 향하여 사출된다. 편광판(13b)을 향하여 사출된 직선 편광(119)은, 편광축의 방향이 편광판(13b)의 투과축의 방향(113)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13b)에 의해 흡수된다.
표시 장치(1)에서는, TFT 소자(63)가 OFF 상태일 때에 표시면(9)으로부터 광이 사출되고, TFT 소자(63)가 ON 상태일 때에 표시면(9)으로부터의 광의 사출이 차단되는 소위 노멀리 화이트의 표시 모드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모드는, 노멀리 화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노멀리 블랙도 채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개구부(99)가 형성된 차광막(93)을 갖고 있다. 조명 장치(5)로부터 각 화소(7)에 입사된 광은, 개구부(99)를 통하여 표시면(9)을 향하여 사출된다.
이 때, 각 제1 화소(71)로부터 표시면(9)측을 향하여 사출된 광(123a)은, 복수조의 화소군(43) 및 차광막(93)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개구부(99)를 통하여 제1 범위(125)에 미친다.
또한, 각 제2 화소(72)로부터 표시면(9)측을 향하여 사출된 광(123b)은, 각 개구부(99)를 통하여 제2 범위(127)에 미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단면은, 도 9 중의 F-F선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제1 범위(125)로부터는, 개구부(99)를 통하여 제1 화소(71)로부터의 광(123a)이 시인될 수 있다. 제2 범위(127)로부터는, 개구부(99)를 통하여 제2 화소(72)로부터의 광(123b)이 시인될 수 있다. 제1 범위(125) 내에 시점이 있으면,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의 광(123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제2 범위(127) 내에 시점이 있으면,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의 광(123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화상이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제1 화상을 제1 범위(125)에 표시하고, 제2 화상을, 제1 범위(125)와는 다른 제2 범위(127)에 표시하는 소위 지향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제1 범위(125) 및 제2 범위(127)는, 서로 중복되는 범위(129)를 갖고 있다. 이 범위(129)로부터는,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된 상태에서 시인된다. 제1 범위(125)로부터 범위(129)를 제외한 범위(131a)(이하, 적시 범위(131a)라고 부름)로부터는, 제1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제2 범위(127)로부터 범위(129)를 제외한 범위(131b)(이하, 적시 범위(131b)라고 부름)로부터는, 제2 화상만이 시인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제1 화소(71)로부터 사출된 광(123a)이 제1 범위(125)의 양단의 각각에서 교차하고, 복수의 제2 화소(72)로부터 사출된 광(123b)이 제2 범위(127)의 양단의 각각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X 방향 에 인접하는 개구부(99)끼리 사이의 간격 Pa를,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의 간격 Pb보다도 짧게 설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시 범위(131a) 내에 있는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시인되는 광의 양을, 복수의 제1 화소(71) 간에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시 범위(131b) 내에 있는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시인되는 광의 양을, 복수의 제2 화소(72) 간에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명 장치(5)로부터 액정 패널(11)에 조사되는 광(14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소자 기판(15)을 거치고나서 액정(19)에 입사된다. 이 때, 광(141)의 일부는, 게이트 전극(67)(게이트선 T)이나, TFT 소자(63), 소스선 S등에 의해, 액정(19)에의 입사가 가로막혀진다. 즉, 평면에서 보아, 게이트 전극(67), 게이트선 T, TFT 소자(63), 소스선 S 등에 겹치는 영역은, 차광 영역으로 된다.
이들 차광 영역 중에서 각 드레인 전극(73)에 의해 형성되는 각 차광 영역(이하, 드레인 차광 영역이라고 부름)은, 각 화소(7)의 영역에 미치고 있다. 즉, 각 화소(7)에서는, 드레인 차광 영역에 의해, 표시면(9)측에의 광의 사출이 저해된다. 따라서, 광(141) 중에서 드레인 차광 영역에 이르는 것은,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다.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각각으로부터 차광막(93)의 개구부(99)를 통하여 표시면(9)측에 사출되는 광(123a 및 123b)이 미치는 범위(142a 및 142b)는, 도 9 중의 K-K선에서의 단면도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차광 영역(143)에 의해 감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서는, 게이트 전극(67), 게이트선 T, TFT 소자(63), 소스선 S 등이, 대칭축 L에 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각 차광 영역이 대칭축 L에 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위(142a)와 범위(142b)를 동등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각 화소군(43)에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각각으로부터 개구부(99)를 통하여 표시면(9)측에 사출되는 광(123a 및 123b)의 양을,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서 서로 대칭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자는, 개구부(99)를 통하여 표시면(9)측에 사출되는 광(123a 및 123b)의 양이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서 서로 다르면, 이들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에서 콘트라스트비에 차이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차광막(93)에 의한 광(123a 및 123b)의 회절 현상이,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서 서로 비대칭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서는, 개구부(99)를 통하여 표시면(9)측에 사출되는 광(123a 및 123b)의 양을,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서 서로 대칭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들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 서, 콘트라스트비를 서로 대칭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향성 표시에서의 표시 품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 차광막(93)이 차광 소자에 대응하고 있다.
표시 장치(1)에서는,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에 소스선 S가 배선되어 있는 경우(도 10)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소스선 S의 배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선 S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을 구성하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 배선되어 있어도 된다.
화소군(43)을 구성하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 소스선 S가 배선된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10)에서는, 각 화소군(43)의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 소스선 S에 의한 소스 차광 영역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이 소스 차광 영역에 겹치도록 광 흡수층(83)(도 8)을 형성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 영역(84)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의 영역(84)을,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의 영역(84)보다도 넓게 할 수 있다.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의 영역(84)을 넓게 함으로써, 제1 화상과 제2 화상이 중첩하는 범위(129)(도 13)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나 표시 장치(10)에서는, 각 화소군(43)에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구동 소자(61)가, 이들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사이에서 서로 선대칭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구동 소자(61)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화소군(43)에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구동 소자(61)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사이에 가상적으로 위치하는 대칭점 Q에 관하여, 서로 점대칭이어도 된다. 각 화소군(43)에서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구동 소자(61)가, 이들 제1 화소(71) 및 제2 화소(72)의 사이에서 점대칭인 표시 장치(20)나 표시 장치(30)는, 표시 장치(1)나 표시 장치(1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표시 장치(1, 10, 20 및 30)에서는, 차광막(93)의 각 개구부(99)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차광막(93)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광막(93)은, 평면도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에 인접하는 화소군(43)끼리 사이의 각각에 대응하고, 또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화소군(43) 사이에 걸쳐 차광막(93)을 형성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개구부(99)는,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군(43) 사이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표시 장치(1, 10, 20 및 30)에서는, 복수조의 화소군(43)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의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복수조의 화소군(43)의 배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조의 화소군(43)의 배열은,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된 배열도 채용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배열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는, X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음과 함께, Y 방향으로도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 10, 20 및 30)에서는, 차광막(93)의 각 개구부(99)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군(43)마다 형성된다. 이 경우, 각 화소군(43)에 대응하는 2개의 구동 소자(61)의 방향이,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화소군(43) 간에서 통일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범위(125) 및 제2 범위(127)의 각각으로부터 시인되는 각 차광 영역의 방향을, Y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하는 복수조의 화소군(43) 간에서 통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 장치(1, 10, 20 및 30)에서는, TN형의 액정(19)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액정(19)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FS(Fringe Field Switching)형, IPS(In Plane Switching)형, VA(Vertical Alignment)형 등의 여러가지의 형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장치(1, 10, 20 및 30)는, 각각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500)의 표시부(5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전자 기기(500)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의 표시 기기이다. 전자 기기(500)에서는, 표시 장치(1, 10, 20 또는 30)가 적용된 표시부(510)에 의해, 예를 들면, 운전석측으로부터 제1 화상으로서 지도 등의 화상이 시인되고, 조수석측으로부터 제2 화상으로서 영화 등의 화 상이 시인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0)로서 표시 장치(1, 10, 20 또는 30)가 적용되어 있으므로, 지향성 표시에서의 제1 화상과 제2 화상 사이에서, 화상의 밝기를 일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500)에서는, 표시 장치(1, 10, 20 또는 30)에서, 각 화소군(43)에서의 제1 화소(71)와 제2 화소(72) 사이에서, 콘트라스트비를 서로 대칭으로 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지향성 표시에서의 표시 품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전자 기기(500)로서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의 표시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차량 탑재 기기, 오디오 기기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 중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의 화소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조의 화소군의 배열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4 중의 C-C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과 화소군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6 중의 D-D선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에서의 TFT 소자 및 화소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11은 실시 형태에서의 TFT 소자 및 화소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편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조의 화소군 및 차광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도 9 중의 K-K선에서의 단면도.
도 15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에서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16은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에서의 TFT 소자 및 화소 전극 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에서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18은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에서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19는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실시 형태에서의 복수조의 화소군의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실시 형태에서의 차광막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에서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23은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에서의 복수의 화소 간의 등가 회로도.
도 24는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사시도.
도 25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6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20, 30: 표시 장치
3: 표시 패널
7: 화소
71: 제1 화소
72: 제2 화소
8: 표시 영역
9: 표시면
11: 액정 패널
14: 배리어 기판
15: 구동 소자 기판
17: 대향 기판
19: 액정
23: 저면
43: 화소군
51: 제1 기판
61: 구동 소자
63: TFT 소자
65: 화소 전극
67: 게이트 전극
69: 반도체층
71: 소스 전극
73: 드레인 전극
81: 제2 기판
83: 광 흡수층
84: 영역
85: 컬러 필터
91: 제3 기판
93: 차광막
99: 개구부
125: 제1 범위
127: 제2 범위
129: 범위
131a, 131b: 적시 범위
143: 드레인 차광 영역
500: 전자 기기
510: 표시부
L: 대칭축
M: 매트릭스
S: 소스선
T: 게이트선
Q: 대칭점

Claims (8)

  1. 제1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소 및 제2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가 제1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와, 평면에서 보아 상기 복수의 화소에 겹치는 차광 소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제1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2개의 화소마다, 상기 2개의 화소를 1조로 하는 복수조의 화소군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차광 소자에는, 상기 화소군마다, 평면에서 보아 상기 2개의 화소에 겹치는 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에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로부터의 광의 사출을 방해하는 각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화소에서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각 상기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조의 상기 화소군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가, 상기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도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각 상기 제1 화소에서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각 상기 제1 화소에 대한 평면에서 본 위치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제1 화소의 사이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서로 선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서 서로 점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차광 소자의 각 상기 개구부에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각 상기 차광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차광 소자의 각 상기 개구부의 윤곽보다도 외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109979A 2007-11-07 2008-11-06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543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9321 2007-11-07
JP2007289321A JP5145878B2 (ja) 2007-11-07 2007-11-07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31A Division KR20150068344A (ko) 2007-11-07 2015-05-26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73A true KR20090047373A (ko) 2009-05-12
KR101543787B1 KR101543787B1 (ko) 2015-08-11

Family

ID=402636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979A KR101543787B1 (ko) 2007-11-07 2008-11-06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150073231A KR20150068344A (ko) 2007-11-07 2015-05-26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31A KR20150068344A (ko) 2007-11-07 2015-05-26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9881B2 (ko)
EP (1) EP2058696B1 (ko)
JP (1) JP5145878B2 (ko)
KR (2) KR101543787B1 (ko)
CN (1) CN101430443B (ko)
DE (1) DE6020080012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240B2 (en) * 2007-08-06 2013-03-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bsolute position sensor for field-oriented control of an induction motor
KR101622655B1 (ko) 2012-03-14 2016-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3522B1 (ko) * 2015-06-26 2022-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시각 표시 장치
JP6648737B2 (ja) * 2017-06-30 2020-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3891B2 (ja) * 1995-05-30 1999-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3096613B2 (ja) * 1995-05-30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US6040936A (en) * 1998-10-08 2000-03-21 Nec Research Institute, Inc. Optical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tilizing metal films perforated with subwavelength-diameter holes
US6643067B2 (en) * 2000-11-22 2003-11-04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3610967B2 (ja) * 2001-07-27 2005-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電子機器
JP4068942B2 (ja) * 2001-12-17 2008-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066731B2 (ja) * 2002-07-09 2008-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6735009B2 (en) * 2002-07-16 2004-05-11 Motorola, Inc. Electroptic device
JP3897011B2 (ja) * 2003-09-19 2007-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58176A (ja) * 2004-03-12 2005-09-2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304786B2 (en) * 2005-02-23 2007-12-04 Pixtroni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i-stable actuation of displays
JP4017007B2 (ja) * 2005-03-29 2007-12-0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935045B2 (ja) 2005-10-14 2012-05-2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7768707B2 (en) * 2006-02-06 2010-08-03 Seiko Epson Corporation Converging substrate, electro-optic device, substrate for electro-optic device, proj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111905A (ja) * 2006-10-30 2008-05-1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素子
JP5665255B2 (ja) * 2007-10-15 2015-02-0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端末装置及び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0443A (zh) 2009-05-13
JP5145878B2 (ja) 2013-02-20
KR101543787B1 (ko) 2015-08-11
EP2058696B1 (en) 2010-05-12
US20090116094A1 (en) 2009-05-07
CN101430443B (zh) 2012-05-16
EP2058696A1 (en) 2009-05-13
JP2009116059A (ja) 2009-05-28
KR20150068344A (ko) 2015-06-19
US7589881B2 (en) 2009-09-15
DE602008001238D1 (de)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621B2 (en) Display device
KR10216430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442679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7190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50068344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1016038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84609A (ko)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
JP5230183B2 (ja) 電気光学装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447548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905347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24211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JP2008170506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80051366A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98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6395903B2 (ja) 表示装置
JP745750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86126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16466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6956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52222A (ko) 액정표시장치
JP200905358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3107192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09702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464634B2 (ja) 電気光学装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0039028A (ja) 電気光学装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