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609A -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609A
KR20080084609A KR1020080019954A KR20080019954A KR20080084609A KR 20080084609 A KR20080084609 A KR 20080084609A KR 1020080019954 A KR1020080019954 A KR 1020080019954A KR 20080019954 A KR20080019954 A KR 20080019954A KR 20080084609 A KR20080084609 A KR 2008008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pixels
slit
sl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752B1 (ko
Inventor
쥰이치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슬릿의 단부의 수를 저감시켜 도메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전계 구동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는, 화소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직사각형의 서브 화소(4)를 갖고 있다. 당해 액정 장치는,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당해 기판 간에 배치된 액정과, 한쪽의 기판의, 액정에 대향하는 면에 서브 화소(4)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끼워서 적층되고, 서브 화소(4)의 변의 하나에 평행한 슬릿(27)을 복수 갖는 공통 전극(26)을 구비하고 있다. 슬릿(27)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분의 서브 화소(4)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서브 화소(4)에는, 슬릿(27)의 단부(28)가 동일수 포함되어 있다.
전계 구동, 슬릿 단부, 공통 전극

Description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IC FIELD DRIV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계 구동형 장치의 하나로, 전계에 의해 액정을 구동함으로써 투과광을 변조하는 액정 장치가 있다. 이 액정 장치의 한 형태로서, 액정을, 기판에 평행한 횡전계(橫電界)에 의해 구동하는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의 액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액정 장치는, 한쪽의 기판 중 액정에 대향하는 면에, 화소 전극과, 당해 화소 전극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끼워서 적층된 공통 전극을 갖고 있고, 이 중 공통 전극에는 다수의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공통 전극의 상면으로부터 나와서, 슬릿을 지나, 화소 전극의 상면에 이르는 전기력선을 갖는 전계가 생긴다. 이때, 액정 분자는, 상기 전계 중, 공통 전극의 상방에 생기는 기판에 평행한 성분(횡전계)에 의해 구동되어, 배향 방향이 변화한다. FFS 모드의 액정 장치는, 이렇게 하여 액정 분자를 구동하여, 그 편광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입사광을 변조하는 장치이다.
FFS 모드의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은, 예를 들면 적, 녹, 청의 어느 하나의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의 집합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에 형성되는 슬릿의 길이는, 서브 화소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고, 슬릿은, 각 서브 화소마다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96611호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각 서브 화소에 슬릿의 단부(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端))가 다수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슬릿의 단부의 근방에서는, 전계가 흐트러지는 결과, 액정의 배향 상태가 흐트러져, 도메인이 생기는 등 하여 표시 품위(display quality)의 저하로 이어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의 사이에서 슬릿의 단부의 수가 다르면, 전계의 흐트러짐(disturbance) 방식이 서브 화소마다 다른 것에 기인하여 표시 품위에 불균일이 생긴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화소가,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도록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는 복수의 슬릿을 갖고, 상기 슬릿의 적어 도 일부는, 각각 복수개분(分)의 상기 서브 화소에 대하여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상기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는, 상기 복수의 슬릿의 단부가 동일수 포함되어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릿이 복수개분의 서브 화소에 걸쳐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각 서브 화소 내에 독립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계를 흐트러뜨리는 슬릿의 단부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계 구동형 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에 포함되는 슬릿의 단부의 수가 같아짐으로써, 동색의 서브 화소의 사이에서 슬릿의 단부에 기인하는 전계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non-uniformity)이나 거칠거리는 느낌(roughness)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슬릿의 단부란, 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端)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통 전극을, 서브 화소의 변의 하나를 따라 연재하는(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extend)하는) 띠 형상부와, 서로 이웃하는 띠 형상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로 이루어지는 전극으로 본 경우에는, 상기 접속부의 근방이, 슬릿의 단부에 상당한다.
[적용예 2]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m개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소 블록을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통 전극은,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 있어서 m×n개의 상기 슬릿을 갖고, 상기 슬릿은, 상기 화소 블록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짐과 함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는 전계 구 동형 장치. 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며, n은, 1개의 상기 서브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슬릿의 단부의 최대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에, 같은 수(최대 n개)의 슬릿의 단부가 배치된다. 환언하면, 각 화소의 양단에 배치된 서브 화소에, 모두 n개의 슬릿의 단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각 화소에는, 동일하게 2n개의 슬릿의 단부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색의 서브 화소의 사이에서 슬릿의 단부에 기인하는 전계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단부의 배치 위치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대칭인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계의 흐트러짐이 서브 화소 내의 위 또는 아래에 치우치는 일이 없이,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위 또는 아래는, 슬릿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가리킨다.
[적용예 4]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화소에는, 당해 화소에 형성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슬릿의 단부가 적어도 포함되고, 당해 단부는, 당해 화소 중 서로에 대향하는 변(side)에 각각 위치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렇게 하면, 서로 이웃하는 슬릿의 단부의 위치가, 1화소분씩 어긋나는 구 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전계의 흐트러짐의 발생 위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이,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5]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서브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브 화소의 4개분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릿이 적어도 4개분의 서브 화소에 걸쳐 연속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4개의 서브 화소의 양단을 제외한 2개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는, 슬릿이, 당해 서브 화소의 일단으로부터 이것에 대향하는 타단까지 횡단하는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전계를 흐트러뜨리는 슬릿의 단부의 수가 저감된다. 또한, 슬릿의 단부가 서브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됨으로써, 서브 화소의 중심부 근방에 있어서 전계의 흐트러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들에 따라, 투과율의 향상이나 표시 품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6]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화소는,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적어도 4개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4색 이상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로 이루어지는 화소를 갖는 전계 구동형 장치에 있어서, 슬릿의 단부의 수를 저감시킴으로써, 투과율의 향상이나 표시 품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7]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슬릿은, 상기 화소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렇게 하면, 슬릿은, 각 화소에 포함되는 모든 서브 화소를 횡단하여 연속하는 한편, 인접하는 화소로는 연속하지 않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각 화소는, 4개의 변을 공통 전극의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화소 내에 독립한 슬릿을 갖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 내의 레이아웃은, 화소를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 내에 포함되는 슬릿의 단부의 수를 저감시켜 투과율의 향상이나 표시 품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화소 영역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용예 8]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서브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끼워서 적층된 공통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복수의 슬릿을 갖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슬릿을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슬릿은,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있어서 연속하고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계를 흐트러뜨리는 슬릿의 단부(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가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화소 영역 내에 있어서의 전계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화소에 슬릿의 단부가 포함되지 않음 으로써, 각 서브 화소의 유효 표시 면적이 같아짐과 함께, 인접 서브 화소간의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화소간 영역)의 폭도 같아지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를 갖는 경우이어도,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의 사이에서, 슬릿의 단부에 기인하는 전계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계의 흐트러짐에 의한 화질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고, 투과율이 높은 전계 구동형 장치가 얻어진다.
[적용예 9]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화소 영역의 외부에, 상기 화소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더미(dummy) 화소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내부로부터 상기 더미 화소에 걸쳐 연속하고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영역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서브 화소와, 화소 영역 내의 그 외의 서브 화소와의 사이에서, 전계의 흐트러짐 방식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적용예 10]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물질은 액정이고, 전압 무(無)인가 시의 상기 액정의 배향 방향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이 1도 이상 10도 이하인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을 일관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방향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도메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11]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화소 영역의 외부에 있어서, 공통 전위를 공급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영역 내의 유효 표시 면적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이 공통 전극에 공통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적용예 12]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주사선을 추가로 갖는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영역 내의 유효 표시 면적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이 주사선을 배치할 수 있다.
[적용예 13]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화소가,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 상 중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도록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띠 형상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띠 형상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띠 형상부 및 상기 접속부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는 복수의 슬릿을 갖고, 동일한 상기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는, 상기 접 속부가 동일수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접속부의 수는,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띠 형상부의 수를 p,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화소의 수를 q로 하면, (p-1)×(q+1)보다 적은 전계 구동형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화소에 포함되는 접속부의 수가 (p-1)×(q+1)보다 적은 것에 기인하여,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개분의 서브 화소에 걸쳐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각 서브 화소 내에 독립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계를 흐트러뜨리는 슬릿의 단부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계 구동형 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에 포함되는 슬릿의 단부의 수가 같아짐으로써, 동색의 서브 화소의 사이에서 슬릿의 단부에 기인하는 전계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14] 상기 전계 구동형 장치를 표시부에 구비하는 전자 기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과율이 높고, 고품위인 표시가 가능한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도면 상에서 인식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의 수치나 비율을 실제의 것과는 적절히 다르게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 은,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1)의 모식도이며, (a) 는 사시도, (b) 는 (a) 중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액정 장치(1)는, 틀 형상의 시일재(seal material; 52)를 개재해 대향하여 접합된 소자 기판(10a) 및 대향 기판(20a)을 갖고 있다. 소자 기판(10a)에는, 한쪽의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10)이 포함되어 있고, 대향 기판(20a)에는, 유리 기판(20)이 포함되어 있다. 소자 기판(10a), 대향 기판(20a), 시일재(5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액정(50)이 봉입(seal)되어 있다. 소자 기판(10a)은 대향 기판(20a)보다 크고, 일부가 대향 기판(20a)에 대하여 튀어나온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 튀어나온 부위에는, 액정(50)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IC(51)가 실장되어 있다. 액정(50)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 에 대응한다.
액정(50)이 봉입된 영역에는,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4)(도2)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 화소(4)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화소 영역(5)이라고도 부른다.
도2 는, 화소 영역(5)의 확대 평면도이다. 화소 영역(5)에는, 직사각형의 서브 화소(4)가 다수 배치되어 있다. 서브 화소(4)는, 적, 녹, 청 중 어느 하나의 색의 표시에 기여한다. 이하에서는, 적, 녹, 청의 표시를 행하는 서브 화소를 특히 서브 화소(4R, 4G, 4B)라고도 부른다. 도1(b) 에 있어서, 대향 기판(20a)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20)의 액정(50)측 표면에는, 인접하는 서브 화소(4)의 사이에 형 성된 차광층(13)과, 도시하지 않는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는, 입사한 빛의 특정의 파장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투과광을 착색할 수 있는 수지이다. 서브 화소(4R, 4G, 4B)에는, 각각 적, 녹, 청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가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서브 화소(4R, 4G, 4B)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경우이어도, 대응하는 색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서브 화소(sub-pixel; 4)」라고도 부른다.
서브 화소(4)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 화소(4)의 매트릭스를 규정하는 방향, 즉 서브 화소(4)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을, 행 방향 및 열 방향이라고 부른다. 어떤 열에 배치되는 서브 화소(4)의 색은 모두 동일하다. 환언하면, 서브 화소(4)는, 대응하는 색이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늘어선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서브 화소(4R, 4G, 4B)의 집합에 의해 화소(3)가 구성된다. 화소(3)는, 표시의 최소 단위(픽셀)가 된다. 액정 장치(1)는, 각 화소(3)에 있어서, 서브 화소(4R, 4G, 4B)의 휘도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색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3 은, 화소 영역(5)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4)에 있어서의 각종 소자, 배선 등의 등가회로도이다. 화소 영역(5)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게이트 전극선(12)과 복수개의 신호선(14)이 교차하도록 배선되고, 게이트 전극선(12)과 신호선(14)으로 구획된 영역에 화소 전극(16)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선(12)과 신호선(14)이 교차하는 위치의 근방에는, 서브 화소(4)마다 TFT(Thin Film Transistor)(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TFT(30)의 드레인 영역에는, 화소 전극(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선(12)은, 주사선에 대응한다.
TFT(30)는, 게이트 전극선(12)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G1, G2, …, Gm)에 포함되는 ON 신호에 의해 ON이 되고, 이때 신호선(14)에 공급된 화상 신호(S1, S2, …, Sn)를 화소 전극(16)에 공급한다. 그리고,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6)(도4, 도5)과의 사이의 전압에 따른 전계가 액정(50)에 걸리면, 액정(50)의 배향 상태가 변화한다. 액정 장치(1)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에 따른 편광 변환 기능과, 액정 장치(1)의 외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편광판의 편광 선택 기능에 의해 투과광을 변조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장치이다.
TFT(30)의 드레인 영역에는, 화소 전극(16)과 병렬로 축적 용량(7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축적 용량(70)은, 정전위로 된 용량선(7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축적 용량(70)에 의해, 화소 전극(16)의 전압은, 소스 전압이 인가된 시간보다도 예를 들면 3자릿수나 긴 시간에 걸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압 유지 특성이 개선되면, 표시의 콘트라스트비(比)가 향상한다. 이상의 각종 소자, 배선 등은, 주로 소자 기판(10a)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서브 화소(4)의 구성 요소를, 도4 및 도5 를 이용하여 상술한다. 도4 는, 소자 기판(10a) 중, 1개의 서브 화소(4)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5 는, 도4 중의 B-B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층」 또는 「하층」 이란, 도5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된 층을 가리킨다.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 화소(4)에는, 게이트 전극선(12)과 신호선(14)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교차에 대응하여 TFT(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TFT(30)에는, 대략 장방형의 화소 전극(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10) 상에는, 반도체층(31)이 적층되어 있다. 반도체층(31)은, 예를 들면 폴리 실리콘층으로부터 구성할 수 있고, 게이트 전극선(12)으로부터의 전계에 의해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영역과, 이것을 사이에 끼우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갖고 구성된다. 또한, 리크 전류(leakage current)를 더욱 저감시키기 위해, 반도체층(31)은,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일부에 저농도 영역을 형성한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31)과 유리 기판(10)과의 사이에는, 추가로 하지(base) 절연막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반도체층(31)의 상층에는, 산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42)을 사이에 끼우고, 티탄, 크롬, 텅스텐, 탄탈, 몰리브덴 등의 고융점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선(12)이 적층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선(12)은, 후술하는 공통 전극(26)의 슬릿(27)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의 반도체층(31), 게이트 절연막(42), 게이트 전극선(12)으로부터, TFT(30)가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반도체층(31)은, 유리 기판(10)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U자형을 이루고 있고, 게이트 전극선(12)은, 반도체층(31)의 U자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TFT(30)는, 게이트 전극 선(12)과 반도체층(31)이 다른 2개소에서 대향하는 더블 게이트 구조를 갖고 있다.
게이트 전극선(12)의 상층에는, 산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43)을 사이에 끼워서 신호선(14)이 적층되어 있다. 신호선(14)은, 알루미늄, 크롬, 텅스텐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으로 구성되어, 차광성을 갖는다. 신호선(14)은,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선(12)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반도체층(31)의 U자의 한쪽의 선단에 있어서 반도체층(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선(14)은, 게이트 절연막(42) 및 층간 절연막(43)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트홀(21)을 통하여, 반도체층(31)의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14)과 동일층에는, 신호선(14)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계 전극(15)이 형성되어 있다. 중계 전극(15)은, 반도체층(31)의 U자의 다른 한쪽의 선단에 있어서, 게이트 절연막(42) 및 층간 절연막(434)을 관통하여 형성된 콘택트홀(22)을 통하여 반도체층(31)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14) 및 중계 전극(15)의 상층에는, 산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44)을 사이에 끼워서, 투광성을 갖는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16)이 적층되어 있다. 화소 전극(16)은, 층간 절연막(44)에 형성된 콘택트홀(23)을 통하여 중계 전극(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16)은, 중계 전극(15)을 통하여 반도체층(31)의 드레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16)의 상층에는, 산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으로서의 층간 절연막(45)을 사이에 끼워서 ITO로 이루어지는 투광성을 갖는 공통 전극(26)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6)은, 도4 에 있어서 도트(dot)가 배치된 띠 형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공통 전극(26)은, 화소 전극(16) 상에,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화소 전극(16)에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45)은,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6)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6)에는, 평면에서 볼 때 화소 전극(16)에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서브 화소(4)의 단변(短邊)에 평행한 슬릿(27)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슬릿(27)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서브 화소(4)의 가로의 배열 방향(행 방향 또는 단변의 연재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슬릿(27)은 서로 평행이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4 에서는, 서브 화소(4)에 배치된 모든 슬릿(27)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한 슬릿(27)이 적어도 2개 포함되어 있으면 좋고, 이들의 슬릿(27)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지 않는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화소 전극(16), 공통 전극(26) 및 이것에 끼워진 층간 절연막(45)은, 도3 에 있어서의 축적 용량(70)의 역할을 한다. 또한, 층간 절연막(45)은, 절연층에 대응한다.
공통 전극(26) 상에는, 폴리 이미드로 이루어지는 배향막(18)이 적층되어 있다. 배향막(18)은, 액정(50)(도1(b))에 접하는 부재이며, 배향막(18)을 러빙(rubbing)함으로써, 구동 전압 무인가 시에, 액정(50)을 당해 러빙의 방향을 따라 배향시킬 수 있다. 이 러빙 방향(즉, 전압 무인가 시의 액정(50)의 배향 방향)과, 슬릿(27)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은, 1도 이상 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6)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액정 분자(50a)(도6)의 회전 방향을 일관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방향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도메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6 은,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공통 전극(26)과 화소 전극(16)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생기는 전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schematic view)이다.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공통 전극(26)과 화소 전극(16)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면, 공통 전극(26)의 상면으로부터 나와 슬릿(27)을 지나 화소 전극(16)의 상면에 이르는 전기력선을 갖는 전계가 생긴다. 이때 공통 전극(26)의 상부, 즉 액정(50)의 층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10)과 평행한 전계가 생긴다. 액정(50)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50a)는, 이 횡전계를 따라 유리 기판(10)에 평행한 면 내에서 배향 방향을 바꾼다. 그 결과, 소자 기판(10a), 대향 기판(20a)의 외측에 배치된 편광판(도시 안함)의 투과축과의 상대 각도가 변화하고, 그 상대 각도에 따른 편광 변환 기능에 기초하여 투과광이 변조된다.
이러한 액정 모드는, FFS 모드라고 불린다. FFS 모드는, 상기와 같이 항상 액정 분자가 유리 기판(10)에 대략 평행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시각에 의한 리타데이션(retardation)의 변화가 적고, 광시야각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극(26)에 형성된 슬릿(27)에 단부(슬릿(27)의 길이 방향의 단)가 있는 경우는, 그 근방의 전계는, 그 외의 영역의 전계와 방향이 다르게 된다. 이 전계의 흐트러짐은, 액정(50)의 배향 상태에 흐트러짐을 생기게 한다. 그 결과, 액정(50)에 도메인이 생기는 등 하여, 액정 장치(1)의 표시 품위의 저하의 원 인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런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7 은, 화소 영역(5)의 전체에 있어서의 공통 전극(26)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공통 전극(26)에 형성된 슬릿(27)은, 화소 영역(5)의 내부에 있어서 연속하고 있다. 즉, 슬릿(27)은, 화소 영역(5)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이것에 대향하는 타단까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영역(5)의 외부에는, 화소 영역(5)에 인접하는 더미 화소(6)가 배치되어 있고, 슬릿(27)은, 화소 영역(5)의 내부로부터 더미 화소(6)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릿(27)의 단부(28)는, 더미 화소(6)에 있어서만 존재하고, 화소 영역(5)의 내부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소 영역(5) 내에 있어서, 액정(50)의 배향 상태를 흐트러뜨리는 슬릿(27)의 단부(28)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화소 영역(5) 내에 있어서의 액정(50)의 도메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화소(4)에 슬릿(27)의 단부(28)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각 서브 화소(4)의 유효 표시 면적이 같아짐과 함께, 인접 서브 화소(4)의 사이의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화소간 영역)의 폭도 같아지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슬릿(27)의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극(26)은, 화소 영역(5)의 외부에 형성된 콘택트홀(24)을 통하 고, 공통 전위를 공급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화소 영역(5)의 유효 표시 면적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이 공통 전극(26)에 공통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로부터, 공통 전극(26), 슬릿(27)의 배치 및 화소(3)의 구성에 변경을 가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각 도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기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8 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 중, 인접하는 2개의 화소(3)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소(3)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4색의 서브 화소(4)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3)는, 적, 녹, 청, 시안의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4R, 4G, 4B, 4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향 기판(20a)에는, 서브 화소(4R, 4G, 4B, 4C)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적, 녹, 청, 시안의 컬러 필터(도시 안함)가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6)의 슬릿(27)은, 각 서브 화소(4)에 9개씩 형성되어 있고, 각 슬릿(27)은, 4개분의 서브 화소(4)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환언하면, 각 슬릿(27)은, 화소(3)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슬릿(27)의 단부(28)는,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슬릿(27)의 단부(28)는, 서브 화소(4R)와 서브 화소(4C)의 일변에 9개소씩 존재하고, 서브 화소(4G, 4B)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서브 화소(4)마다 독립한 슬릿(27)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액정(50)의 배향 상태를 흐트러뜨리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메인의 발생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정 장치(1)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 화소(4R, 4G, 4B, 4C)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는, 각각 9, 0, 0, 9이며, 이 특징은 모든 화소(3)에 있어서 공통이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공통 전극(26)은, 서브 화소(4)의 단변에 평행한(슬릿(27)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즉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서브 화소(4)의 가로의 배열 방향(행 방향 또는 단변의 연재 방향)에 평행한) 띠 형상부(26a)와, 서로 이웃하는 띠 형상부(26a)를 접속하는 접속부(26b)로 이루어지는 전극으로 볼 수도 있다. 이 시점에 서면, 슬릿(27)은, 띠 형상부(26a)와 접속부(26b)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이며, 슬릿(27)의 단부(28)는, 접속부(26b)의 근방에 상당한다. 또한, 슬릿(27)의 단부(28)를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하는 것은, 접속부(26b)를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배치하는 것에 상당한다. 도8 에 있어서는, 접속부(26b) 는,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만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화소(3)의 좌우의 변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슬릿(27)은, 각 화소(3)에 포함되는 모든 서브 화소(4)를 횡단하여 연속하는 한편, 인접하는 화소(3)로는 연속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 화소(3)는, 4개의 변을 공통 전극(26)의 부재(띠 형상부(26a) 또는 접속부(26b))에 의해 둘러싸이고, 화소(3) 내에 독립한 슬릿(27)을 갖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공통 전극(26)을 포함하는 화소 영역(5) 내의 레이아웃은, 화소(3)를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3) 내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를 저감시켜 투과율의 향상이나 표시 품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화소 영역(5)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횡일렬로 늘어선 서브 화소(4R, 4G, 4B, 4C)에 의해 화소(3)가 구성되어 있지만, 4색의 서브 화소(4)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브 화소(4R, 4G, 4B, 4C)를 2행 2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해도 좋다. 이 경우는, 어느 화소열에는 서브 화소(4R, 4G)가 반복 배열되고, 그 상하의 화소열에는 서브 화소(4B, 4C)가 반복 배열되게 된다. 이때에는, 슬릿(27)의 길이를 2개분의 서브 화소(4)의 폭과 같은 길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서브 화소(4)에는 슬릿(27)의 단부(28)가 모두 9개 포함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적, 녹, 청, 시안의 4색의 표시를 행하는 구성이지만, 이것 이외의 조합의 4색이어도 좋고, 5색 이상의 표시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4색의 조합의 그 외의 예로서는, 적, 황녹, 청, 에메랄드 그린의 4색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파장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가시광 영역(380∼780nm) 중, 청색계의 색상의 표시, 적색계의 색상의 표시와, 청에서 황까지의 색상 중에서 선택된 2종의 색상의 표시로 이루어지도록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계」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청색계이면 순수한 청의 색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자나 청녹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적색계의 색상이면, 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황을 포함한다. 각 화소(3)가 5색 이상의(즉 5개 이상) 서브 화소(4)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슬릿(27)의 길이는, 서브 화소(4)의 5개분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하면 좋다.
(제3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로부터, 공통 전극(26), 슬릿(27)의 배치 및 화소(3)의 구성에 변경을 가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도9 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의 화소(3)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2색의 서브 화소(4)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3)는, 적, 녹의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2개의 화소(3)의 집합을, 화소 블록(2)이라고 부른다. 공통 전극(26), 슬릿(27)의 패턴을 포함한, 화소 영역(5)의 레이아웃은, 화소 블록(2)을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 화소(4)에는, 공통 전극(26)의 띠 형상부(26a)가 9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브 화소(4)에는, 띠 형상부(26a)에 끼워진 슬릿(27)이 8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7)은, 화소 블록(2)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다. 화소 블록(2)은, 4개의 서브 화소(4)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슬릿(27)의 길이는, 서브 화소(4)의 4개분의 폭과 대략 같아진다. 또한, 슬릿(27)의 단부(28)는,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맞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9 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은, 단부(28)의 위치가 행 방향으로 1개의 화소(3)의 폭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각의 화소(3)에는, 당해 화소(3)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슬릿(27)의 단부(28)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당해 단부(28)는, 당해 화소(3) 중 좌우의 변에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슬릿(27)을 배치하면, 각 서브 화소(4R, 4G)에는, 슬릿(27)의 단부(28)가 각각 4개씩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 블록(2)에 포함되는 화소(3)의 수(m(=2))와,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최대수(n(=4))와의 곱은, 각 서브 화소(4)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27)의 수(=8)와 같다. 역으로, 각 서브 화소(4)에 형성되는 슬릿(27)의 수를 m×n개로 함으로써(즉, 각 서브 화소(4)에 형성되는 띠 형상부(26a)의 수를 m×n+1개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전극(26)을 구성하는 띠 형상부(26a) 및 접속부(26b)의 배치에 대해서 상술한다. 상기와 같이, 각 화소(3)에는, 행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띠 형상부(26a)가 9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3)에는, 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화소(3)와의 경계 영역에 4개의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고, 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다른 한쪽의 화소(3)와의 경계 영역에도 4개의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3)에 포함되는 1개의 슬릿(27)에 주목하면, 상기 경계 영역 중 한쪽 측에만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6b)는, 열 방향에 대해서 가장 가까운 다른 접속부(26b)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슬릿(27)을 끼우고 있다. 도9 에서는, 접속부(26b)는, 1개 걸러의 슬릿(27)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1화소분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의 접속부(26b)는, 열 방향으로 슬릿(27)의 배치 피치분만큼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각 화소(3)에는 8개의 접속부(26b)가 포함된다.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는, 화소(3)에 포함되는 띠 형상부(26b)의 수를 p(=9), 화소(3)에 포함되는 서브 화소(4)의 수를 q(=2)라고 하면, (p-1)×(q+1)(=24)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단부(28)의 수)를 저감시킴으로써, 화소(3)에 있어서의 전계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슬릿(27)의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위치가, 행 방향으로 1화소분씩 어긋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화소(3)의 사이에서, 액정(50)의 도메인의 발생 위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어,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각 화소(3)가 2색의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지만, 이를 대신해, 예를 들면 도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3)가 3색의 서브 화소(4R, 4G, 4B)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슬릿(27)의 단부(28)는, 서브 화소(4R)와 서브 화소(4B)의 일변에 4개소씩 존재하고, 서브 화소(4G)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서브 화소(4R, 4G, 4B)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는, 각각 4, 0, 4이며, 이 특징은 모든 화소(3)에 있어서 공통이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진다.
이 경우에도, 각 화소(3)에는 8개의 접속부(26b)가 포함된다.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는, 화소(3)에 포함되는 띠 형상부(26b)의 수를 p(=9), 화소(3)에 포함되는 서브 화소(4)의 수를 q(=3)라고 하면, (p-1)×(q+1)(=32)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로부터, 공통 전극(26), 슬릿(27)의 배치 및 화소(3)의 구성에 변경을 가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3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도11 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의 화소(3)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2색의 서브 화소(4)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3)는, 적, 녹의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4개의 화소(3)의 집합을, 화소 블록(2)이라고 부른다. 공통 전극(26), 슬릿(27)의 패턴을 포함한, 화소 영역(5)의 레이아웃은, 화소 블록(2)을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 화소(4)에는, 공통 전극(26)의 띠 형상부(26a)가 9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브 화소(4)에는, 띠 형상부(26a)에 끼워진 슬릿(27)이 8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7)은, 화소 블록(2)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다. 화소 블록(2)은, 8개의 서브 화소(4)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슬릿(27)의 길이는, 서브 화소(4)의 8개분의 폭과 대략 같아진다. 또한, 슬릿(27)의 단부(28)는,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1 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은, 단부(28)의 위치가 행 방향으로 1개의 화소(3)의 폭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각의 화소(3)에는, 당해 화소(3)에 형 성되고 그리고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슬릿(27)의 단부(28)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당해 단부(28)는, 당해 화소(3) 중 좌우의 변에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슬릿(27)을 배치하면, 각 서브 화소(4R, 4G)에는, 슬릿(27)의 단부(28)가 각각 2개씩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각 화소 블록(2)에 포함되는 화소(3)의 수(m(=4))와,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최대수(n(=2))와의 곱은, 각 서브 화소(4)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27)의 수(=8)와 같다.
여기서, 공통 전극(26)을 구성하는 띠 형상부(26a) 및 접속부(26b)의 배치에 대해서 상술한다. 상기와 같이, 각 화소(3)에는, 행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띠 형상부(26a)가 9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3)에는, 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화소(3)와의 경계 영역에 2개의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고, 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다른 한쪽의 화소(3)와의 경계 영역에도 2개의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3)에 포함되는 1개의 슬릿(27)에 주목하면, 상기 경계 영역 중 많아봐야 한쪽의 측에만 접속부(26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6b)는, 열 방향에 대해서 가장 가까운 다른 접속부(26b)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슬릿(27)을 끼우고 있다. 도11 에서는, 접속부(26b)는, 열 방향에 대해서 사이에 3개의 슬릿(27)을 끼우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1화소분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의 접속부(26b)는, 열 방향으로 슬릿(27)의 배치 피치분만큼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각 화소(3)에는 4개의 접속부(26b)가 포함된 다.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는, 화소(3)에 포함되는 띠 형상부(26a)의 수를 p(=9), 화소(3)에 포함되는 서브 화소(4)의 수를 q(=2)라고 하면, (p-1)×(q+1)(=24)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단부(28)의 수)를 저감시킴으로써, 화소(3)에 있어서의 전계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각 화소(3)가 2색의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지만, 이를 대신해, 예를 들면 도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3)가 3색의 서브 화소(4R, 4G, 4B)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는, 슬릿(27)의 단부(28)는, 서브 화소(4R)와 서브 화소(4B)의 일변에 2개소씩 존재하고, 서브 화소(4G)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서브 화소(4R, 4G, 4B)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는, 각각 2, 0, 2이며, 이 특징은 모든 화소(3)에 있어서 공통이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각 화소(3)에는 4개의 접속부(26b)가 포함된다.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는, 화소(3)에 포함되는 띠 형상부(26a)의 수를 p(=9), 화소(3)에 포함되는 서브 화소(4)의 수를 q(=3)라고 하면, (p-1)×(q+1)(=32)보다 적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로부터, 공통 전극(26), 슬릿(27)의 배치 및 화소(3)의 구성에 변경을 가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4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도13 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의 화소(3)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2색의 서브 화소(4)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3)는, 적, 녹의 표시에 기여하는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6개의 화소(3)의 집합을, 화소 블록(2)이라고 부른다. 공통 전극(26), 슬릿(27)의 패턴을 포함한, 화소 영역(5)의 레이아웃은, 화소 블록(2)을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 화소(4)에는, 공통 전극(26)의 띠 형상부(26a)가 9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브 화소(4)에는, 띠 형상부(26a)에 끼워진 슬릿(27)이 8개 형성 되어 있다. 슬릿(27)의 단부(28)는, 인접하는 화소(3)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서브 화소(4)에 있어서의 슬릿(27)의 단부(28)의 배치 위치는, 도13 의 상하 방향(슬릿(27)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대칭이다.
이와 같이, 단부(28)가 상하 대칭이 되도록 슬릿(27)을 배치하면, 액정(50)의 도메인이 서브 화소(4)의 위 또는 아래에 치우치는 일이 없이,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 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은, 단부(28)의 위치가 행 방향으로 1개의 화소(3)의 폭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각의 화소(3)에는, 당해 화소(3)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슬릿(27)의 단부(28)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당해 단부(28)는, 당해 화소(3) 중 좌우의 변에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화소(3)에 포함되는 접속부(26b)의 수(단부(28)의 수)를 저감시킴으로써, 화소(3)에 있어서의 전계의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화소(3)의 사이에서, 액정(50)의 도메인의 발생 위치가 급격히 변화하는 일이 없어,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화소(4R, 4G)에는, 슬릿(27)의 단부(28)가 각각 2개씩 포함되어 있고,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각 화소(3)가 2색의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지만, 이를 대신해, 예를 들면 도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소(3)가 3색의 서브 화소(4R, 4G, 4B)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슬릿(27)의 단부(28)는, 서브 화소(4R)와 서브 화소(4B)의 일변에 2개소씩 존재하고, 서브 화소(4G)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서브 화소(4R, 4G, 4B)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의 수는, 각각 2, 0, 2이며, 이 특징은 모든 화소(3)에 있어서 공통이다. 따라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각 화소(3)가 2색의 서브 화소(4R, 4G)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릿(27)의 단부(28)는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은, 단부(28)의 위치가 행 방향으로 1화소분씩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따라,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로부터, 공통 전극(26), 슬릿(27)의 배치 및 화소(3)의 구성에 변경을 가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이다.
도15(a) 내지 (d) 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의 화소(3)는, 3색의 서브 화소(4R, 4G, 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5(a) 내지 (d) 에서는, 모두 공통 전극(26)의 슬릿(27)이 서브 화소(4)의 장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슬릿(27)은, 모두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서브 화소(4)의 세로의 배열 방향(장변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15(a) 에서는, 슬릿(27)은, 서브 화소(4)의 장변의 2배(즉 화소(3)의 종방향의 폭의 2배)로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고, 도의 좌우 방향(슬릿(27)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의 단부(28)는, 화소(3)의 1개분의 폭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서브 화소(4R, 4G, 4B)는, 모두 4개의 단부(28)를 포함하고 있다.
도15(b) 에서는, 슬릿(27)은, 서브 화소(4)의 장변의 4배(즉 화소(3)의 종방향의 폭의 4배)로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고, 도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27)의 단부(28)는, 화소(3)의 2개분의 폭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서브 화소(4R, 4G, 4B)는, 모두 2개의 단부(28)를 포함하고 있다.
도15(c) 에서는, 슬릿(27)은, 서브 화소(4)의 장변(즉 화소(3)의 종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공통 전극(26)의 접속부(26b)는, 화소(3)의 상하의 변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15(d) 에서는, 슬릿(27)은, 화소 영역(5)의 내부에 있어서 연속하고 있고, 화소 영역(5) 내에 단부(28)를 갖지 않는다. 즉, 도7 에 있어서 공통 전극(26)만을 90도 회전시킨 구성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은 도15(a) 내지 (d) 의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의 사이에서 단부(28)에 기인하는 액정(50)의 배향 상태의 흐트러짐 방식에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
전술한 액정 장치(1)는, 예를 들면, 도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100)에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00)는, 표시부(110) 및 조작 버튼(120)을 갖고 있다. 표시부(110)는, 내부에 조입(incorporate)된 액정 장치(1)에 의해, 조작 버튼(120)으로 입력한 내용이나 착신 정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정보에 대해서,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이 없는, 고품위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장치(1)는, 상기 휴대 전화기(100) 외에,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차량 탑재 기기, 오디오 기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제3∼제5의 실시 형태는, 각 서브 화소(4)에 8개의 슬릿(27)을 갖는 구성이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슬릿(27)의 개수는, 각 화소 블록(2)에 포함되는 화소(3)의 수(m)와,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슬릿(27)의 단부(28) 의 최대수(n)와의 곱, 즉 m×n개이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가 같아지게 되는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2)
서브 화소(4)는 직사각형이 아니어도 좋다. 서브 화소(4)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을 기본형으로 하여, 이 중 대향하는 2변 중 1개를 비평행으로 한 사다리꼴 형상의 것, 또는 어느 한 변을 곡선으로 한 것, 또는 직사각형의 네 모퉁이 중 1개소를 절결한 형상의 것, 평행사변형 등이어도 좋다.
(변형예 3)
슬릿(27)은, 반드시 서브 화소(4)의 변과 평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슬릿(27)을 서브 화소(4)의 각 변의 방향에 대하여 기울여서 형성하면, 예를 들면 러빙 방향이 서브 화소(4) 중 어느 한 변에 평행한 경우에는, 구동 전압이 인가됐을 때에, 액정 분자(50a)의 회전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의 슬릿(27)은, 서브 화소(4)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를 비스듬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그 길이는, 서브 화소(4)의 1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어진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계 구동형 장치의 일 예로서 액정 장치(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전계 구동형 장치는,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6)과의 사이의 전위차(구동 전압)에 기인하여 생기는 전계에 의해 물질을 구동하는 구성이면 좋고, 액정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5)
공통 전극(26)을 구성하는 띠 형상부(26a), 또는 슬릿(27)은, 화소(3) 내 또는 서브 화소(4) 내에 있어서 서로 비평행이 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16 은, 본 변형예에 따른 액정 장치(1)의 화소 영역(5)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각 화소(3) 내 또는 서브 화소(4) 내에 있어서, 슬릿(27a)과 슬릿(27b)은 서로 비평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동일한 색에 대응하는 각 서브 화소(4)에 포함되는 단부(28)의 수를 같게 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고르지 못함이나 거칠거리는 느낌 등에 의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6 에서는, 슬릿(27a)끼리 또는 슬릿(27b)끼리는 평행이지만, 이들을 서로 비평행으로 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동일 화소(3) 내 또는 동일 서브 화소(4) 내의 슬릿(27)을 모두 서로 비평행으로 해도 좋다.
도1 은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의 모식도이며, (a) 는 사시도, (b) 는 (a) 중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2는 화소 영역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3 은 화소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각종 소자, 배선 등의 등가회로도이다.
도4 는 소자 기판 중, 1개의 서브 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 는 도4 중의 B-B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6 은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과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생기는 전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schematic view)이다.
도7 은 화소 영역의 전체에 있어서의 공통 전극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 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 중, 인접하는 2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 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 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 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 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 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 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 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5 의 (a) 내지 (b) 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6 은 변형예 5에 따른 액정 장치의 화소 영역의 일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7 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
2 : 화소 블록
3 : 화소
4, 4R, 4G, 4B, 4C : 서브 화소(sub-pixel)
5 : 화소 영역
6 : 더미(dummy) 화소
10, 20 : 기판으로서의 유리 기판
10a : 소자 기판
12 : 게이트 전극선
14 : 신호선
15 : 중계 전극
16 : 화소 전극
18 : 배향막
20a : 대향 기판
26 : 공통 전극
26a : 띠 형상부
26b : 접속부
27 : 슬릿
28 : 단부(端部)
30 : TFT
31 : 반도체층
45 : 절연층으로서의 층간 절연막
50 : 액정
50a : 액정 분자
100 :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

Claims (14)

  1.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화소가,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도록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는 복수의 슬릿(slit)을 갖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복수개분(分)의 상기 서브 화소에 대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상기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는, 상기 복수의 슬릿의 단부가 동일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m개의 화소로 이루 어지는 화소 블록을 반복의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통 전극은,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 있어서 m×n개의 상기 슬릿을 갖고,
    상기 슬릿은, 상기 화소 블록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짐과 함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며, n은, 1개의 상기 서브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슬릿의 단부의 최대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단부의 배치 위치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화소에는, 당해 화소에 형성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슬릿의 단부가 적어도 포함되고, 당해 단부는, 당해 화소 중 서로 대향하는 변(side)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서브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브 화소의 4개분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선 적어도 4개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화소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상기 슬릿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화소의 경계에 맞춰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8.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서브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끼워서 적층된 공통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복수의 슬릿을 갖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슬릿을 적어도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슬릿은,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있어서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의 외부에, 상기 화소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더미(dummy) 화소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내부로부터 상기 더미 화소에 걸쳐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액정이며, 전압 무(無)인가 시의 상기 액정의 배향 방향과,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이 1도 이상 1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화소 영역의 외부에 있어서, 공통 전위를 공급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주사선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13. 서로 다른 색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서브 화소로 구성되는 화소가, 기판 상의 화소 영역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계 구동형 장치로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서브 화소마다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 상 중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도록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기인하여 생긴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띠 형상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띠 형상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띠 형상부 및 상기 접속부에 둘러싸인,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소 전극에 겹치는 복수의 슬릿을 갖고,
    동일한 상기 색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서브 화소에는, 상기 접속부가 동일수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접속부의 수는,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띠 형상부의 수를 p, 상기 화소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화소의 수를 q라고 하면, (p-1)×(q+1)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구동형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계 구동형 장치를 표시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19954A 2007-03-13 2008-03-04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451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2970 2007-03-13
JP2007062970 2007-03-13
JP2007298917A JP5167780B2 (ja) 2007-03-13 2007-11-19 電界駆動型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7-00298917 2007-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09A true KR20080084609A (ko) 2008-09-19
KR101451752B1 KR101451752B1 (ko) 2014-10-16

Family

ID=3998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54A KR101451752B1 (ko) 2007-03-13 2008-03-04 전계 구동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5167780B2 (ko)
KR (1) KR101451752B1 (ko)
CN (1) CN101266369B (ko)
DE (1) DE602008000520D1 (ko)
TW (1) TWI442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7891A (ja) * 2009-07-09 2011-01-2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01036B1 (ko) * 2009-09-14 2011-1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2566157B (zh) * 2010-12-16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液晶显示器
KR20130114998A (ko) * 2012-04-10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209212A (ja) * 2013-03-29 2014-1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686870B (zh) * 2015-03-03 2020-03-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顯示裝置及使用該顯示裝置之電子裝置
CN113140191A (zh) * 2021-04-16 2021-07-2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14B1 (ko) * 1999-06-29 2001-11-02 박종섭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TW460731B (en) * 1999-09-03 2001-10-21 Ind Tech Res Inst Electrode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of wide viewing angle LCD
KR100671509B1 (ko) * 2000-06-01 2007-01-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TWI281582B (en) * 2001-01-20 2007-05-21 Ind Tech Res Inst Silicon wafer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3949897B2 (ja) * 2001-01-29 2007-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590932B1 (ko) * 2004-09-23 2006-06-1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648223B1 (ko) * 2005-05-11 2006-11-2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반투과형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JP4813842B2 (ja) * 2005-07-29 2011-11-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7226175A (ja) * 2006-01-26 2007-09-06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061416B2 (ja) * 2006-02-22 2008-03-1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952246B2 (ja) * 2006-12-29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65048A (ja) 2013-04-11
TWI442129B (zh) 2014-06-21
KR101451752B1 (ko) 2014-10-16
TW200844555A (en) 2008-11-16
CN101266369A (zh) 2008-09-17
DE602008000520D1 (de) 2010-03-04
JP5522243B2 (ja) 2014-06-18
JP2008257177A (ja) 2008-10-23
JP5167780B2 (ja) 2013-03-21
CN101266369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181B1 (ko) 전계 구동형 장치,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840470B1 (ko) 수직배향형의 액정표시소자
EP1970752B1 (en) Electric field driving device
JP3685795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70171319A1 (e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440843B1 (ko) 컬러 액정 표시 장치
JP5522243B2 (ja) 電界駆動型装置及び電子機器
US8704990B2 (en) Electro-optical display apparatus
US9766525B2 (en) Active-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020031455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4601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diod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52626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044529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145366A (ja) 電界駆動型装置及び電子機器
JP406564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20040100903A (ko) 전기광학장치 그리고 전자기기 및 투사형 표시장치
KR200600621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83365B1 (ko) 액정표시장치
JP507542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71289A (ko)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