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788A -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788A
KR20090046788A KR1020097001328A KR20097001328A KR20090046788A KR 20090046788 A KR20090046788 A KR 20090046788A KR 1020097001328 A KR1020097001328 A KR 1020097001328A KR 20097001328 A KR20097001328 A KR 20097001328A KR 20090046788 A KR20090046788 A KR 2009004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upport
concrete
guide bloc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032B1 (ko
Inventor
다이에트마르 푸겔
마틴 메이어
Original Assignee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4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2Self-hois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27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static support, e.g. c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807Articulated or swinging flow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층 콘크리트 빌딩(multi-storey concrete building)의 건축을 위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층 플로어(storey floors, 48', 48'', 48''')인 빌딩의 완성 부분에 높이가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는 관절 접합식 붐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된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 및 로터리 유닛(rotary unit, 12)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트는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이 장착되고, 상기 이송 라인은 상기 암 어셈블리(14)로 지지 기둥(10)의 높이 너머로 안내되며 액체 콘크리트가 공급된다. 이송 작동 및 상승 작동 과정 중에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취급(handling)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기둥(10)이 기둥의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channel-shaped surface depression, 36, 38)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 에서 상기 지지 기둥(10) 너머로 전개되는 이송 라인(16)의 부분 및/또는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 52)의 신장된 부분이 가라 앉아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CONVEYING CONCRETE WITH A HEIGHT-ADJUSTABLE CONCRETE-DISTRIBUTING MAST}
본 발명은 다중 층의 빌딩(multi-storey building)을 건축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는 빌딩의 완성된 부분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concrete-distributing mast)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는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관절 접합식 붐(articulated boom)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되는 암 조립체과 로터리 유닛(rotary unit)을 가지고, 상기 마스트는 암 조립체로 상기 지지 기둥 높이를 넘어 안내되어 액체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이송 라인(conveying line)을 가진다.
높이가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이러한 형태의 장치가 알려지고, 관형 기둥의 형태에 있는 지지 기둥이 빌딩 작업의 시작에서 X-베이스에서 자유롭게 서 있는 상태(free-standing manner)로 구성되고, 이로부터 초기에 빌딩의 2개 플로어(floor)가 콘크리트 구현된다. 플로어 구멍을 통해 상기 관형 기둥이 구 현되고, 플로어 구멍은 거푸집틀(formwork) 내에서 형성된다. 각각의 플로어 구멍은 자동으로 피벗 가능한 래칫(ratchet)이 장착되고, 유압식 상승 장치(hydraulic climbing apparatus)를 위한 수용 수단(accommodating means)이 장착된다. 상기 유압식 상승 장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식 실린더, 상기 관형 기둥에 안내된 하나 이상의 클로우 및 상승 작동을 위한 자동 피벗 회전 래칫을 포함한다. 플로어 구멍을 가지는 제 1 , 제 2 플로어가 콘크리트 형성되면, 상승이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 상기 관형 기둥은 한 번에 어느 한 플로어 높이를 넘어 점차적으로 교체된다(displace). 추가적으로, 상승 리프트가 전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이후, 대응 길이의 연장 피스(extension piece)가 이송 라인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공개된 상승 마스트의 경우에 있어(US-6,226,955B1 및 DE-4200669A1), 상기 콘크리트 이송 라인과 상승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실린더 기둥의 형태인 지지 기둥 외측부에서 암 조립체로 상부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는 플로어 구멍 영역에서 추가적인 예방 수단이 요구되고, 상기 지지 기둥을 움직일 때 이러한 부분이 불리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는 빌딩에서 상승 작동 과정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며, 보다 용이한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 제 11 항, 제 20 항 및 제 26 항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와 추가적인 실시예는 상기 종속항으로부터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해결책은 상승 작동의 과정 중 상승 마스트 취급이 지지 기둥 넘어로 전개되는 콘크리트 이송 라인(concrete-conveying line) 및/또는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가 지지 부분의 윤곽 이내에서 가라 앉음에도(sunk) 불구하고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치되는 점에 있어 간편하게 수행되는 개념으로부터 주로 진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기둥이 기둥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제시하고, 무엇보다도 상기 오목부에서 지지 기둥을 넘어 연장되는 이송 라인 부분이 아래로 가라 앉을 수 있지만, 용이하게 접근 처리 가능한 방식으로 위치된다.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 기둥은 추가적인 제 2 채널 형태 표면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채널형 표면 오목부에서 상승 레일을 가지는 상승 마스트의 신장된 상승 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는 직경으로 마주보는 지지 기둥 표면의 측부에 유리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지지 기둥이 2개의 기둥 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2개의 기둥 섹션은 단부 접촉부에서 부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 결합 지점의 영역에서 결합하는 채널형 표면 오목부(merging channel-shaped surface depression)를 가진다.
상승 마스트는 완성 층 플로어(completed storey floor) 내 구멍을 통하여 유리하게 상기 마스트 지지 기둥과 닿으며, 상기 구멍의 횡단면 개구부가 적용되어 다소 크게 형성되고, 상기 층 플로어의 경계 변부에서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세기가 강화된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목적을 위해 구멍 변부에서 채택될 수 있다. 지지(supporting)를 위해, 지지 래칫 또는 지지 저널(supporting ratchet 또는 supporting journal)들이 상기 지지 기둥의 특별한 상승 피스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 기둥을 보다 낮게 형성시킴으로써 상승 작동 이후 최하부 층 플로어에 대한 상기 래칫 또는 저널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지지 기둥 또는 이의 기둥 섹션이 직사각형 튜브의 형태이고, 상기 채널형 표면 오목부가 마주보게 위치된 상기 직사각형 튜브의 측부 접촉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표면 오목부는 U형 또는 V형 내부 프로파일(profile)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는 상승 장치를 가지고, 상기 상승 장치는 지지 기둥에 고정된 상승 레일, 상기 상승 레일에 안내된 하부 가이드 블록 및 상부 가이드 블록,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 지지된 리프팅 메카니즘(lifting mechanism)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은 상기 지지 기둥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지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은 상기 상승 레일로 선택적으로 커플 결합 가능한 블록킹 요소(blocking element)를 각각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상승 레일이 이격되어 위치된 여러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를 가지고, 상기 블록킹 요소는 상기 상승 레일에 대하여 가압되며, 상기 윈도우 개구부 내 윈도우 개구부의 레벨(level)에서 잠금 가능하고, 변부를 상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정지 변부(stopping edge)를 갖는 윈도우 개구부의 상부 변부에 대하여 블록킹 방식으로 인접한다. 상기 블록킹 요소는 스프링 효과로 윈도우 개구부 중 어느 한 개구부로 적합하게 잠금된다.
리프팅 메카니즘은 유리하게 유압식 실린더의 형태이며, 상기 실린더 및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의 지지 부재는 피벗 회전하는 클로우의 형태이며, 이는 상기 가이드 블록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피벗 회전된 변위 위치와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인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피벗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상승 장치가 상승 레일의 상부 단부 영역에 위치되는 풀링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풀링 메카니즘은 풀링 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 작동하게 연결되고, 블록킹 요소가 잠기지 않고 상승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리프팅 메타니즘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변위 위치와 지지 위치 사이에서 피벗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변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가 최하부 기둥 섹션에 위치된다. 편의상, 상기 최하부 기둥은 하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커플링 결합 브래킷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은 그라운드(ground)에 고정되는 X-베이스로 부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구의 구현은 상기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가 층 플로어에 위치된 하부 가이드 블록의 지지 부재와 블록킹 부재에 의해 윈도우 개구부로 잠금되는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에 의해 지지 기둥의 타기(entrainment)와 함께, 점차적으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팅 메카니즘의 연장 단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의 블록킹 부재는 윈도우 개구부로 잠금되고, 이에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다음의 리프팅 단계를 위해 상부 가이드 블록과 함께 재차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반면 상기 지지 기둥은 이의 블록킹 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에 의해 보유된다. 이러한 작동은 지지 요소를 가지는 상기 하부 기둥 섹션이 다음의 층 플로어 상부로 위치되고, 상기 지지 기둥을 고정함으로써 위치가 잠금될 수 있을 때까지 반복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2개의 가이드 블록과 이들 사이에 위치된 리프팅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전체 상승 장치는 풀링 메카니즘의 보조로 적절한 층 플로어 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상승 레일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끌어 당김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 부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층 플로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후, 다음의 층 플로어는 상기 위치로부터 콘크리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지지 기둥은 뒤집어 짐(tipping over)에 반대하여 층 플로어의 구멍에서 쐐기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 콘크리트 분배 장치의 상승 마스트를 위한 지지 기둥에 관한 것이고, 상기 지지 기둥은 이송 라인, 상승 장치 또는 유압식 라인 및 전기 케이블링(electric cabling)과 같은 신장된 작동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기둥의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오목부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보유 요소는 대응 작동 요소 또는 신장된 상승 장치의 이송 라인을 고정하기 위해 표면 오목부에서 위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식적인 방식으로 표시된 실례의 실시예에 의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상승 장치의 측부 및 튜빙 측부에서 바라보며, 시작 위치에서 X-베이스를 갖는 높이-조절식 콘크리트-분배 마스트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c 및 도 1d는 상승 장치의 측부 및 튜빙 측부에서 바라보며, 시작 위치에 대해 마주보며 상승된 위치에 있는 미리 콘크리트 형성된 층 플로어(storey floor)의 장치를 통하여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분배 마스트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이송 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기둥 섹션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2의 기둥 섹션을 어느 한 부분이 다른 한 부분에 대해 90°로 회전된 2개의 측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b에서 A-A 라인을 따르는 섹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관절 접합식 붐은 아니지만 로터리 유닛을 가진, X-베이스 상에 서 있으며 3개의 기둥 섹션으로 구성되는, 지지 기둥의 2개의 측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로터리 유닛을 가진 지지 기둥의 개별적인 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조립도.
도 7a 내지 도 7c는 2개의 층 플로어 사이 리프팅 메카니즘을 가지고, 가이드 블록의 3개 위치를 가지며, 상승 장치를 들어 올리는 과정 중에 상승 마스트로부터 컷 아웃(cutout)을 도시하는 도면.
도 7d는 상승 장치와 이송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형 표면 오목부를 가지는 상승 마스트의 상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2개의 상승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과 측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d는 상승 장치를 갖는 지지 기둥의 컷아웃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블록킹 위치(blocking position)와 릴리즈 위치(release position)에 있는 블록킹 래칫(blocking ratchet)을 갖는, 상부 가이드 블록 또는 하부 가이드 블록으로부터 컷아웃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에서 나타난 높이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는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 상기 지지 기둥(10)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 로터리 유닛(rotary unit, 12), 관절 접합식 붐(articulated boom)의 형태인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 및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을 본질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송 라인은 상기 암 어셈블리(14)로 상기 지지 기둥(10)보다 높이 안내되고, 액체 콘크리트와 작용한다(impinged upon).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 기둥은 직사각형 튜브 형태인 3개의 기둥 섹션(column section, 18, 20', 20")을 가지고, 상기 기둥 섹션은 볼트(bolt, 24)에 의해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레이트(plate, 22)에서 서로 일직선으로 이들의 단부에서 강성하게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에 보다 낮고 보다 짧은 기둥 섹션(18)은 상승 피스(climbing piece)를 형성하고, 빌딩 작업의 시초에서 상기 상승 피스는 베드플레이트(bedplate, 28) 영역 내 X 베이스(X-base, 26)에 고정된다. 2개의 보다 긴 기둥 섹션(20', 20")은 번갈아 교대되는 위치로 배치된다. 보호 케이스(protective cage)가 제공된 베이스 사다리(base ladder, 30)와 2개의 사다리 요소(30'', 30''')가 구성된 사다리는 상기 상부 기둥 섹션(20'')의 외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사다리는 상부 지지 기둥(10)의 상부 단부에서 위치된 작업 플랫폼(working platform, 32)을 향해 외부로 개방된다. 상기 로터리 유닛(rotary unit, 12)은 상부 기둥 섹션(20'')의 단부 접촉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로터리 유닛에 장착되는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를 통하여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이 단부 호스(end hose)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둥 섹션(18, 20', 20'')을 갖는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은 마주보게 위치된 2개의 측부 벽의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에 채널형 표면 오목부(channel-shaped surface depression, 36, 38)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채널형 표면 오목부는 V형 내부 프로파일(profile)을 가진다(도 2, 4 및 7d 참조). 2개의 표면 오목부 중 어느 한 오목부는 조립 상태에서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을 형성하는 튜브 섹션(40)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며, 상기 튜브 섹션은 튜브 지지부(tube support, 42)에서 위치되어 이들이 상기 표면 오목부(surface depression, 36)로 완전히 내려가도록 한다(도 4 및 도 7d 참조). 또한, 상기 표면 오목부(36, 38)는 공급 라인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보다 길고 보다 낮은 기둥 섹션(20')의 경우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 44)가 제공된 연장 상승 레일(elongate climbing rail, 46)를 갖는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 5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빌딩(building) 작업 시작시, 지지 기둥(10)을 갖는 분배 마스트는 X-베이스(X-base, 20)에서 독립하여 있다(도 1a 및 도 b 참조). 상기 빌딩의 2개 플로어(floor, 48, 48'')는 그 위치로부터 초기에 콘크리트 형성된다(concreted). 플로어 구멍(50', 50'')은 거푸집틀(formwork) 내에서 허용되고, 상기 지지 기둥(10)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형성된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자동 콘크리트 펌프(concreting pump)를 사용하여 빌딩의 제 1 플로어 및 제 2 플로어(48', 48'')를 미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로어 구멍(50', 50'')을 통하여 상기 X-베이스(20) 상으로 2개의 미리 조립된 기둥 섹션(18, 2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로 이들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기둥 섹션으로 사다리(ladder, 30', 30'', 30'')와 하나 이상의 작업 플랫폼(working platform, 32) 부분은 미리 부착되고, 상기 상부 기둥 섹션(20'')은 상기 기둥 섹션(20')의 상부 변부 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암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2가지 경우에 있어, 3층 플로어(48''')는 시작 위치로부터 구현된다.
구멍(50', 50'') 영역에서 제 1 층 플로어, 제 2 층 플로어(48', 48'')는 지지 기둥(10)이 플로어의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새로운 층(48''')을 구체화시키는 동안에, 상기 지지 기둥은 층 플로어(storey floor, 48', 48'')로 상기 구멍(50', 50'')의 영역에서 쐐기 고정함으로써 고정된다.
구멍(50''')을 갖는 제 3 플로어(48''')가 구체화되는 경우, 상승(climbing)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모든 쐐기 고정은 구멍(50', 50'')으로부터 제거된다. 추가적으로,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은 제 1 리프팅 운동(lifting movement) 이전에 상기 X-베이스(20)로부터 분리된다. 이 후, 상기 지지 기둥(10)은 각각의 가장 낮은 플로어 높이 상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교체된다(displace). 이는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 52)의 보조로 , 상기 상승 장치는 기둥 섹션(20')의 표면 오목부(38)에 위치되는 상승 레일(climbing rail, 46)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레일(46)에 안내된 하부 및 상부 가이드 블록(guide block, 54, 56)을 포함하며, 리프팅 메카니즘(lifting mechanism, 58)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 위치되며 유압식 실린더(hydraulic cylinder)의 형태가 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54)은 피벗 회전 클로우(pivoting claw)의 형태인 지지 부재(supporting member, 60)를 가지며, 이는 상기 가이드 블록에 대해 하부로 피벗 회전하는 변이 위치(displacement position)(도 8b 참조)와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위치(support position)(도 8c 및 도 8d 참조) 사이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피벗 회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54, 56)은 래칫(ratchet)과 같은 블록킹 부재(blocking member, 62, 64)를 가지고, 상기 블록킹 부재는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 44) 영역 내 상승 레일(46)로 선택적으로 커플 결합가능하다. 각각의 블록킹 부재(62, 64)는 스프링(66)의 영향 아래 상 기 상승 레일에 대해 가압되어, 이들이 상승 레일(46)의 윈도우 개구부(44)로 고정되고, 블록킹 방식(blocking manner)으로 윈도우 개구부의 상부 변부에 대해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54, 56)에 위치된 리프팅 메카니즘(58)과 상기 블록킹 부재(62, 64)를 가지는 상기 상승 장치는 지지 기둥을 점진적인 방식(in a gradual manner)으로 상승 레일(46)을 따라 리프트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 영역에서 정밀하게 안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래칫(rectangular ratchet, 78)을 갖는 안내 플레이트(guide plate, 76)는 구멍 코너에서 층 플로어(storey floor)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 기둥(10)은 상기 래칫(ratchet)으로 지지 기둥 단부 영역 내에서 안내된다. 상기 표면 오목부(surface depression, 36, 38)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내부 방향으로 다소 오프셋되어 상기 표면 영역이 상기 래칫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래칫(78) 변부와 인접되도록 한다(도 7b 참조). 지지 기둥(10)을 쐐기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쐐기 고정(wedge, 80)은 이러한 위치에 위치된다(도 7a 내지 도 7d 참조).
상승 작동에 있어,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이 가이드 블록의 지지 부재(60) 도움으로 제각각으로 가장 낮은 층 플로어에 지지되고, 반면 상부 가이드 블록(56)은 가이드 블록의 블록킹 부재(62)로 상기 상승 레일(46)의 윈도우 개구부(44)로 고정 잠금된다. 그 후 리프팅 메카니즘(58)의 리프팅 실린더는 압력 오일(pressure oil)작용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46)이 상부 방향으로 움직여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 기둥(10)을 반출한다(entraining). 리프팅 메카니즘(58)의 상부 단부 위치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54)의 블록킹 부재(64)는 결합된 스프링(associated spring, 66)의 효과 아래 상승 레일의 인접한 윈도우 개구부로 잠금되고, 상기 블록킹 부재의 상승된 위치에 있는 지지 기둥을 고정하며, 반면 상부 가이드 블록(46)이 리프팅 메카니즘(58)에 의해 재차 후방 하부로 이동되고, 이의 블록킹 부재(64)와 함께 윈도우 개구부(44)로 재차 잠금된다. 그 후 또 다른 리프팅 단계가 유발된다. 지지 기둥의 최하부 기둥 섹션(18)이 기둥 섹션의 지지 요소(90)와 함께 적절한 층 플로어(48)의 구멍(50)을 통하여 구현될 때까지 이러한 작동은 반복된다. 이에 상기 지지 요소(90)가 연장되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전방으로 콘크리트-분배 마스트(concrete-distributing mast)의 지지(supporting)를 인수하며, 반면 다음의 층 플로어가 콘크리트 형성된다.
콘크리트 형성 작동 전에,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이 플로어(48'', 48''')의 구멍(50'', 50''')에서 재차 쐐기 고정되고,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의 리프팅 메카니즘(85)과 함께 상기 가이드 블록(54, 56)은 층 플로어(storey floor, 48'') 내 구멍(50'')을 통하여 한 층(one storey)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끌어 당김된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기 상승 장치(52)는 풀링 메카니즘(pulling mechanism, 68)을 가지고, 일 실례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풀링 메카니즘은 케이블 윈치(cable winch)의 형태이고, 상기 케이블 윈치는 상승 레일(38)의 상부 영역에서 고정되고 홀링 케이블(hauling cable, 70)에 의해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85)과 가이드 블록(54, 56)으로 작동하게 연결된다.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 블록(54, 56)을 끌어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킹 부재(62, 64)는 이들의 피벗 회전된 위치로 끌어 당김되어야 하고, 이는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에 위치되는 피벗 회전 레버(pivoting lever, 74)를 사용하는 홀링 케이블(70)에 의해 스프링 하중에 대해 반대로 효과될 수 있다(도 9a 및 도 9b 참조). 결합된 기둥 섹션(20')의 표면 오목부(38)에서 가라 앉아 위치된 가이드 블록(54, 56)은 층 플로어(storey floor)의 직사각형 구멍(50', 50'', 50''')을 리프팅 메카니즘(58)과 함께 관통한다. 들어 올림 작동 중에, 보다 낮은 가이드 블록(54) 내 상기 지지 부재(60)는 하부 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상기 지지 부재는 적절한 구멍을 관통한다. 상부 방향으로 끌어 당김된 단부 위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60)는 재차 외부 방향으로 피벗 회전되고, 층 플로어(storey floor) 상으로 내려진다(lowered). 그 결과로,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구멍과 함께 다음의 층 플로어가 완전히 구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또 다른 리프팅 운동(lifting movement)을 준비한다. 리프팅 작동은 최종 층 플로어가 완성될 때까지 임의적인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개방 플로어 구멍(50', 50'', 50''')은 콘크리트 커버(concrete cover)에 의해 폐쇄된다.
다음은 요약하여 강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다중 층 콘크리트 빌딩(multi-storey concrete building)을 건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예를 들어, 층 플로어(storey floor, 48', 48'', 48''')인, 빌딩의 완성된 부분에서 높이가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는 관절 접합식 붐(articulated boom)의 형태인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 로터리 유닛(12) 및 지지 기둥(10)을 포함하고, 이송 라인(16)을 가지며, 상기 이송 라인은 암 어셈블리(14)로 지지 기둥(10)의 높이 넘어 로 안내되고, 액체 콘크리트가 가해져서 작용된다. 이동(movement) 및 상승 작용(climbing operation) 중에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간단한 취급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 기둥(10)이 기둥의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channel-shaped surface depression, 36, 38)를 가지는 것을 제시하고, 상기 지지 기둥(10) 너머로 전개되는 이송 라인(16)의 부분 및/또는 상승 장치(climbing apparatus, 52)의 신장 부분이 상기 표면 오목부에서 가라 앉아 형성되도록(sunk)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4)

  1. 다중 층 콘크리트 빌딩의 건축을 위한 이송 콘크리트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빌딩의 완성 부분에 높이가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concrete-distributing mast)를 가지고, 상기 마스트는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 로터리 유닛(rotary unit, 12) 및 관절 접합식 붐으로써 바람직하게 설계되는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를 포함하며,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를 가지고 상기 이송 라인은 암 어셈블리로 지지 기둥의 높이 너머로 안내되고 액체 콘크리트(liquid concrete)가 충진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10)은 상기 기둥의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channel-shaped surface depression, 36, 3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10) 너머로 전개되는 이송 라인(16)의 부분이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내에 가라 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의 신장된 상승 장치(elongate climbing apparatus)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38)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승 장치는 표면 오목부(38) 내에 가라 앉은 상승 레일(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38)는 지지 기둥(10)의 직경으로 마주 보는 표면 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10)은 단부 접촉면에서 상호 연결되는 2개 이상의 기둥 섹션(18, 20', 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10)을 가진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가 완성된 층 플로어(completed storey floor) 내 개구부(50', 50'', 50''')를 통하여 구현되고 상기 개구부 코너에서 고정된 안내 플레이트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10) 또는 이의 기둥 섹션(18, 20', 20'')은 직사각형 튜브의 형태이고,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38)는 직사각형 튜브의 2개의 마주 보게 위치되는 측부 접촉면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38)는 U형 또는 V형 내부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 장치(52)는 지지 기둥(10)에 고정된 상승 레일(climbing rail, 46), 상기 상승 레일(46)에 안내된 하부 및 상부 가이드 블록(guide block, 54, 56),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지지된 리프팅 메카니즘(lifting mechanism, 58)을 가지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54)은 상기 지지 기둥(10)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가이드 블록(54, 56)은 상기 상승 레일(46)에 선택적으로 커플 결합가능한 블록킹 요소(blocking element, 62, 64)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1. 다중 층 콘크리트 빌딩의 건축을 위한 이송 콘크리트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빌딩의 완성 부분에 높이가 조절 가능한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concrete-distributing mast)를 가지고, 상기 마스트는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 10), 로터리 유닛(rotary unit, 12) 및 관절 접합식 붐으로써 바람직하게 설계되는 암 어셈블리(arm assembly, 14)를 포함하며, 이송 라인(conveying line, 16)를 가지고 상기 이송 라인은 암 어셈블리로 지지 기둥의 높이 너머로 안내되고 액체 콘크리트(liquid concrete)가 충진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지지 기둥(10)에 고정된 상승 레일(climbing rail, 46)을 포함하는 상승 장치(52), 상기 상승 레일(46)에 안내된 하부 가이드 블록 및 상부 가이드 블록(54, 56),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기 상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지지된 리프팅 메카니즘(lifting mechanism, 58)에 의해 특징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54)은 지지 기둥(10)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지지 부재(supporting member, 60)를 가지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부 가이드 블록(54, 56)은 상승 레일(46)로 선택적으로 커플 결합가능한 블록킹 요소(blocking element, 62, 64)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승 레일(56)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어 위치된 여러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 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블록킹 요소는 상승 레일(46)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의 윈도우 개구부(44)에서 잠금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접촉 정지 변부(facing stopping edge)를 가진 윈도우 개구부의 상부 변부에 대하여 블록킹 방식(blocking)으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킹 요소(62, 64)는 스프링(66)의 효과 아래 윈도우 개구부에서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팅 메카니즘(58)은 수압식 실린더의 형태이고, 상기 수압식 실린더의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piston rod)는 상기 가이드 블록(54, 56) 중 어느 한 가이드 블록으로 각각 커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회전하는 클로우(pivoting claw)의 형태인 지지 부재(60)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위치와 가이드 블록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피벗 회전된 변위 위치(displacement position) 사이에서 선택적인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피벗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 장치(52)는 상승 레일(46)의 상부 단부 영역에 위치되는 풀링 메카니즘(pulling mechanism, 68)을 포함하고, 상기 풀링 메카니즘은 풀링 메카니즘(70)을 통하여 가이드 블록(54, 66)으로 작동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은 잠금되지 않은 블록킹 요소(62, 64)를 이용하여 상승 레일(46)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5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메카니즘(68)은 풀-리프트 장치(pull-lift device)의 형태이고, 보다 상세하게 케이블 윈치(cable winch) 또는 블록(block) 및 풀리(pull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8. 제 6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에 대하여 변위 위치(displacement position)와 지지 위치(support position) 사이에서 피벗 회전가능하거나 또는 변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90)는 상승 피스(climbing piece)의 형태인 최하부 기둥 섹션(lowermost column section, 18)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19. 제 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하부 기둥 섹션(18)은 하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커플링 결합 브래킷(bracket)을 가지고, 상기 커플링 결합 브래킷은 그라운드(ground)에 고정되는 X-베이스(X-base, 26)로 부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20. 고정 콘크리트-분배 장치(stationary concrete-distributing arrangement)의 상승 마스트(climbing mast)용 지지 기둥(supporting column)에 있어서, 연장된 작동 요소(이송 라인(16), 상승 레일(46))를 수용하기 위한 기둥의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1. 제 20 항에 있어서, 단부 접촉부에서 부착식으로(detachably) 상호 연결되는 2개 이상의 기둥 섹션(18, 20', 2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기둥 섹션(18, 20', 20'')은 직사각형 튜브의 형태이고, 상기 직사각형 튜브는 직경으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 표면상에 채널형 표면 오목부(36, 3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표면 오목부(36, 38)는 U형 또는 V형 내부 프로파일(inner profil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 42)는 이송 라인(16)를 고정하기 위하여 표면 오목부(36, 38) 중 어느 한 오목부에서 가라 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된 상승 레일(46)은 표면 오목부(36, 38) 중 어느 한 오목부에 가라 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10)에 고정된 상승 레일(46)을 갖는 상승 장치(52), 상기 상승 레일(46)에 안내된 하부 가이드 블록 및 상부 가이드 블록(54, 56)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과 상부 가이드 블록 사이에서 지지된 리프팅 메카니즘(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54)은 상기 지지 기둥(10)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지지 부재(60)를 가지며, 상기 하부 가이드 블록 및 상부 가이드 블록(54, 56)은 상기 상승 레일(46)로 선택적으로 커플 결합가능한 블록킹 요소(62, 64)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콘크리트-분배 장치(stationary concrete-distributing arrangement)의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승 레일(56)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된 여러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 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블록킹 요소는 상승 레일(46)에 대해 가압되며 윈도우 개구부(44)에서 잠금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윈도우 개구부의 상부 변부에 대하여 블록킹 방식으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부재(62, 64)는 스프링(66)의 효과 하에 윈도우 개구부에서 잠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팅 메카니즘(58)은 유압식 실린더(hydraulic cylinder)의 형태이고,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 블록(54, 56) 중 어느 한 블록으로 제각각 커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회전하는 클로우(pivoting claw)의 형태인 지지 부재(60)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위치와 가이드 블록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피벗 회전된 변위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인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피벗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31. 제 2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 장치(52)는 상승 레일(46)의 상부 단부 영역에 위치된 풀링 메카니즘(68)을 포함하고, 상기 풀링 메카니즘은 가이드 블록(54, 66)으로 풀링 부재(70)를 통하여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잠금되지 않은 블록킹 요소(54, 66)와 함께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승 레일(46)을 따라 안내되고 리프팅 메카니즘(5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32. 제 31 항에 있어서, 풀링 메카니즘(68)은 풀-리프트 장치의 형태이고, 보다 상세하게 케이블 윈치 또는 블록 및 풀리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33. 제 2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에 대하여 지지 위차와 변위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거나 또는 피벗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90)는 최하부 기둥 섹션(18)에 위치되고, 상기 최하부 기둥 섹션은 상승 피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34. 제 2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기둥 섹션(18)은 하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커플링 결합 브래킷(22)을 가지며, 그라운드에 고전된 X-베이스로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마스트용 지지 기둥.
KR1020097001328A 2006-08-28 2007-06-27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101240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0092A DE102006040092A1 (de) 2006-08-28 2006-08-28 Anordnung zum Fördern von Beton mit hö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DE102006040092.5 2006-08-28
PCT/EP2007/056405 WO2008025582A1 (de) 2006-08-28 2007-06-27 Anordnung zum fördern von beton mit hö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788A true KR20090046788A (ko) 2009-05-11
KR101240032B1 KR101240032B1 (ko) 2013-03-06

Family

ID=3851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328A KR101240032B1 (ko) 2006-08-28 2007-06-27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109291B2 (ko)
EP (1) EP2057328B1 (ko)
KR (1) KR101240032B1 (ko)
CN (1) CN101512082B (ko)
AT (1) ATE462055T1 (ko)
BR (1) BRPI0715940A2 (ko)
DE (2) DE102006040092A1 (ko)
EA (1) EA014347B1 (ko)
ES (1) ES2340630T3 (ko)
MX (1) MX2009002128A (ko)
PL (1) PL2057328T3 (ko)
UA (1) UA95973C2 (ko)
WO (1) WO2008025582A1 (ko)
ZA (1) ZA20090047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537A (ko) * 2016-04-08 2018-12-07 페리 게엠베하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WO2020054944A1 (ko) * 2018-09-14 2020-03-19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20220060752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케이씨피 콘크리트플레이싱붐 승강장치
KR20220108473A (ko) * 2021-01-27 2022-08-03 코리아머신주식회사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4601A1 (en) * 2011-11-03 2013-05-1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Fluid transfer hose manipulat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WO2012135865A1 (en) * 2011-03-31 2012-10-04 Mooney Daniel J Relocation and support device
CN102277969B (zh) * 2011-04-19 2013-01-02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机械的爬升装置和布料杆
CN102392537B (zh) * 2011-09-14 2015-02-18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建筑机械
DE102012213729A1 (de) * 2012-08-02 2014-02-0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Betonverteilermast für Betonpumpen
DE102013203886A1 (de) * 2013-03-07 2014-09-11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rbeitsgerät mit Stationärmast und Drehkopf
DE102013203885A1 (de) * 2013-03-07 2014-09-11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rbeitsgerät mit Stationärmast und Drehkopf
NL2014696B1 (en) * 2015-04-23 2017-01-18 Safeway B V Vessel and gangway construction.
US10253462B1 (en) * 2015-06-17 2019-04-09 Revolutionice Inc. Concrete patching robot
CN106639324A (zh) * 2016-11-29 2017-05-10 蒋旭峰 建筑物轮廓成型的供料系统
CN108821133A (zh) * 2018-09-04 2018-11-16 上海峙狄机械设备有限公司 基于风电机组塔筒本体的自爬式起重机
ES2804038B2 (es) * 2019-07-30 2021-11-18 Hws Concrete Towers S L Anclaje para estructura autotrepante
CN111874831B (zh) * 2020-07-31 2021-11-26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化的建筑物料提升机
CN112459490A (zh) * 2020-10-27 2021-03-09 同济大学 一种三关节回转式混凝土布料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3098A (fr) * 1958-07-11 1960-01-15 Potain & Cie Ets F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grues pour la construction des bâtiments
FR1305537A (fr) * 1961-08-22 1962-10-05 Potain & Cie Ets F Perfectionnements aux grues à mât réglable en hauteur à l'intérieur d'un bâtiment
GB964058A (en) * 1961-10-24 1964-07-15 Hilgers Ag An improved safety device for cranes
GB994728A (en) * 1963-08-07 1965-06-10 Novelle D Exalditation Des Ets Telescopic tower crane
DE2042338A1 (de) * 1970-08-26 1972-03-02 Reich Fa Wilhelm Kletterkran
DE7207104U (de) * 1972-02-25 1976-01-02 Hochtief Ag Fuer Hoch- Und Tiefbauten Vorm. Gebr. Helfmann, 4300 Essen Vorrichtung zum verteilen von beton im zuge der errichtung von hochbauten
FR2255251B1 (ko) * 1973-12-20 1976-11-19 Creusot Loire
JPH0390777A (ja) * 1989-09-01 1991-04-16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DE4200669A1 (de) * 1992-01-14 1993-07-15 Putzmeister Maschf Anordnung zum foerdern von beton mit hoe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US6226955B1 (en) * 1998-12-28 2001-05-08 Jerry L. Lorriga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ilding materials and implements
US6142180A (en) * 2000-04-12 2000-11-07 Woodling; Roger M. Crane-mounted concrete pump apparatus
DE10112086A1 (de) * 2001-03-12 2002-09-26 Putzmeister Ag Verteilervorrichtung für Dickstoffe
CN2483472Y (zh) * 2001-06-18 2002-03-27 大连佳云高层建筑机械有限公司 动、平臂起重带倒节爬升塔式起重混凝土布料两用机
US6588448B1 (en) * 2002-01-07 2003-07-08 Glazer Enterprises, Inc. Telescopic boom-mounted concrete pump apparatus
CN1666948A (zh) * 2005-01-21 2005-09-14 魏纯玉 内爬升多钩塔式起重机和深矿井绞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537A (ko) * 2016-04-08 2018-12-07 페리 게엠베하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WO2020054944A1 (ko) * 2018-09-14 2020-03-19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20220060752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케이씨피 콘크리트플레이싱붐 승강장치
KR20220108473A (ko) * 2021-01-27 2022-08-03 코리아머신주식회사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2082B (zh) 2011-11-23
DE502007003239D1 (de) 2010-05-06
DE102006040092A1 (de) 2008-03-06
KR101240032B1 (ko) 2013-03-06
US20090252575A1 (en) 2009-10-08
EP2057328B1 (de) 2010-03-24
CN101512082A (zh) 2009-08-19
US8109291B2 (en) 2012-02-07
EA200970229A1 (ru) 2009-06-30
ATE462055T1 (de) 2010-04-15
WO2008025582A1 (de) 2008-03-06
EA014347B1 (ru) 2010-10-29
ZA200900474B (en) 2009-12-30
PL2057328T3 (pl) 2010-08-31
UA95973C2 (ru) 2011-09-26
EP2057328A1 (de) 2009-05-13
MX2009002128A (es) 2009-05-28
ES2340630T3 (es) 2010-06-07
BRPI0715940A2 (pt)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32B1 (ko) 높이 조절식 콘크리트 분배 마스트로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US6557817B2 (en) Wall climbing form hoist
US20030213765A1 (en) Tower crane with raising platform
KR101459309B1 (ko) 벽돌운반구
US5645395A (en) Building crane apparatus climbable on building walls
US20080314853A1 (en) Climbing and support system for pumping tower
JP5264581B2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工事用リフト
US11098490B2 (en)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CN113167072A (zh) 具有爬升模板和升降机系统的建筑工地设备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US6340070B1 (en) Adjustable cantilever scaffolding
FI108636B (fi) Laite kevytelementtien asentamiseksi
KR100514133B1 (ko) 커튼월 설치용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CN211198533U (zh) 一种用于建筑装饰材料打包的升降平台
WO2012109825A1 (zh) 锁定装置、顶升机构、布料机以及顶升机构自动提升方法
JPH11293679A (ja) 法枠昇降装置、法枠昇降式削孔機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スライド用保護枠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法枠交点部の削孔方法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1039829B1 (ko) 핸드 건 거치대
JP3892196B2 (ja) 斜面機材運搬作業装置及びこの装置の構築方法
RU2793508C2 (ru) 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рельсовой подъемной системы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JPH05149080A (ja) アンカードリル用昇降作業台
KR200356598Y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RU2276244C2 (ru) Подвижная опалубка с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м комплексом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междуэтажных перекрытий
NL1038891C2 (en) A building method using a climbing scaffolding, and a climbing scaff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