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135A -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135A
KR20090036135A KR1020097003197A KR20097003197A KR20090036135A KR 20090036135 A KR20090036135 A KR 20090036135A KR 1020097003197 A KR1020097003197 A KR 1020097003197A KR 20097003197 A KR20097003197 A KR 20097003197A KR 20090036135 A KR20090036135 A KR 2009003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lactose
free
solution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928B1 (ko
Inventor
위퀴안 얀
하이시아 왕
메이잉 카오
이모우 얀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상롱 다이어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상롱 다이어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상롱 다이어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4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22Inorganic compounds; Minerals, including organic salts thereof, oligo-elements; Amino-acids, peptides, protein-hydrolysates or derivatives; Nucleic acids or derivative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Vitamins; Antibiotics; Bacterioc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03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other than lactobacteriaceae
    • A23C9/1209Proteolytic or milk coagulating enzymes, e.g. tryp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4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 A23C9/14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by dialysis, reverse osmosis or ultrafiltration
    • A23C9/1425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by dialysis, reverse osmosis or ultrafiltration by 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or diafiltration of whey, e.g. treatment of the UF perme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Reconstituted or recombined milk products containing neither non-milk fat nor non-milk proteins
    • A23C9/1512Reconstituted or recombined milk products containing neither non-milk fat nor non-milk proteins containing isolated milk or whey proteins, caseinates or cheese; Enrichment of milk products with milk proteins in isolated or concentrated form, e.g. ultrafiltration reten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6Agglomerating or granulating milk powder; Making instant milk powder; Products obtained thereb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airy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일종의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인 바, 우유를 원료로 하고 탈지(혹은 탈지하지 않음), 응고, 침전, 한외여과, 재용해, 혼합, 회복 등 절차를 거쳐 유당제거 우유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유당제거 우유는 액상유 혹은 고체상태의 분유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우유와 혼합하여 저유당 액상유 혹은 저유당 분유를 제조할 수도 있다.
유당, 우유, 응고, 침전, 재용해

Description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LACTOSE-REMOVING MILK}
본 발명은 일종의 우유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인 바,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유를 원료로 하여 무유당 우유제품 혹은 저유당 우유제품을 제조하는 일종의 가공방법이다. 이 무유당 우유제품 혹은 저유당 우유 제품은 무유당 혹은 저유당의 액상유 및 무유당 혹은 저유당의 고체상태 분유일 수도 있다.
유당은 포유동물 유즙 중 일종의 특유한 이당류이며 우유 중에서 가장 중요한 탄수화합물(총 당류의 99.8% 이상 차지)이기도 하다. 정상적 신선우유의 유당함량은 4.8%~5.2%이며 우유 무지유고형분의 약 52%, 유청고체의 약 70%를 차지한다. 의학백과전서(Medical Encyclipedia, A service of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nd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기재된 바, 유당이 소화관에 들어가면 소장내 충족한 락타아제의 분해, 소화 및 흡수과정을 거쳐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복부 팽창, 복통, 설사 등 소화관 증상이 발생하는데 의학상에서 이런 증상을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이라 한다. 유당불내증은 아시아주, 아프리카주, 라틴아메리카주 지역의 사람에게 자주 발생한다. 유당은 주요하게 유제품 중에 존재하므로 유당불내증을 회피하기 위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음식 섭취방법을 변화하게 되는데 우유 혹은 우유제품을 먹지 않거나 적게 먹는 것이다. 그러나, 세계 위장병학 잡지(World journal of gastorenterolgy 2006, Vol 12, No.2, p187-191)중에서 보도된 바에 의하면, 만약 이로하여 우유 혹은 우유제품을 포기하게 되면 음식구조 결여, 유기체 영양실조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한다. 우유로 인한 유당불내증을 해결하기 위해 USP6881428, USP20050170044 와 European Food Tech Award to Valio lactose free milk technology 2006/5/4 에서 모두 기재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우유가공 과정에서 우유에 락타아제를 첨가하여 먼저 유당을 분해시켜 유당을 감소하는 방법으로 우유를 마셔서 발생되는 불편감을 개선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같은 몰농도의 포도당과 반유당을 발생하게 되어 제품 총당류의 함량은 결코 감소되지 않았다. 장기적 혹은 대량 복용하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온전하게보존시키는데 불리하다. 우유 중의 유당을 제거하여 우유의 총당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소비자의 건강을 보장함에 있어서 매우 적극적인 의의가 있다.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우유 중의 유당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보도한 것이 있다. 미국 특허에 의하면, 우유를 응유효소와 결합하여 발효하는 제조방법을 채용하여 맛있는 유락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유락은 영양도 있고 유당도 적지만 귀중한 유청 영양성분을 잃은 것이다(U.S.P. 5429829). USP20050214409의 기재에 의하면, 막분리와 칼럼크로마토 그래피 방법을 채용하여 우유 중의 유당을 직접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생산효율이 낮고 공업화 생산을 실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일종의 유효한 우유 중의 유당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유액을 먼저 탈지 처리하여 각기 저지방 우유액과 우유지방을 얻는다. 저지방 우유액을 교반하는 한편 응유제와 칼슘염을 첨가하여 응고우유를 형성한다. 응고우유를 가열하고 교반 절단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한다. 응고우유 알갱이는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상청액은 막분리를 진행해 유당을 제거하여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얻는다. 다음 재용해액과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혼합용해하고 또한 원우유지방를 첨가하거나 비첨가하며 또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반응을 진행시켜 무유당 우유액을 얻는다. 혹은 또 다시 무유당 우유액을 균질, 소독하여 액상유를 제조하거나 건조시켜 무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만일 탈지처리를 하지 않는다면 우유액을 직접 응고하고,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며, 상청액은 막분리하여 유당을 제거하며, 회복하는 등 절차를 통해 저유당 액상유 혹은 저유당 분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관건기술은 응고우유 알갱이를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고 다시 유당제거 상청액과 혼합하여 유당제거 액상유 혹은 유당제거 분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양유을 원료로 하여 유당제거 액상양유 혹은 유당제거 양분유를 제조하는데도 적용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우유 중의 유당을 제거하는 일종의 유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유를 원료로 하고 탈지(혹은 탈지하지 않음), 침전, 한외여과, 재용해, 혼합, 회복 등 절차를 거쳐 유당제거 우유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며 이 유당제거 우유는 무유당 액상우유, 무유당 고체분유, 저유당 액상우유 또는 저유당 고체분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양유을 원료로 하여 무유당 액상양유 또는 저유당 액상양유 및 무유당 양분유 또는 저유당 양분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발명의 내용
최근 발명자가 우유와 유당에 대한 연구결과:
1. 일정한 응유법을 채용하면 우유구조를 개변시킬 수 있으며 응집시키는 방법으로 지방, 단백질, 비타민, 광물질 등을 응고우유 중에 집결시킬 수 있다. 만일 먼저 우유를 탈지하면 우유의 응집밀도를 높일 수 있어 응고우유 알갱이 중의 유당 잔류량을 진일보 감소시킬 수 있다. 유당은 주요하게 유청 중에 집중되어 있어 수용성을 나타내며 분자량이 비교적 작다. 이 기초상에서 또 막기술을 응용해 유청액을 처리하여 우유 중 유당의 분리효과를 배로 제고시킬 수 있다.
2. 이전에 사람들은 응유효소를 채용하여 우유에 대해 응고화 가공을 진행하였으며 그 주요 산물은 유락 혹은 카세인으로 그 성상, 입맛, 성분은 원우유와 현저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용매, 유화제와 균질조합 방안을 채용하면 효소법 응유, 재용해, 회복을 거쳐 응고우유 재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3. 상술한 1, 2 중의 유당제거 유청액과 응고우유 재용해액을 혼합하여 유당을 제거한 우유액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우유의 성질과 온정성은 원우유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다.
4. 본 발명이 표명한 바, 원래 장내 락타아제 저하자와 당뇨병 환자가 본 발명의 무유당 우유제품을 마셔도 유당불내증과 혈당이상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가표준 GB 13432-2004 프리패키지 특수음식용 식품라벨 통칙에서 제품 중의 당류(모든 단당류와 이당류를 가리킴) 함량≤0.5% 이면 무당제품이라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우유제품 중의 유당을 20%~50% 감소시키면 우유를 마셔서 발생되는 유당불내증을 기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서술한 저유당 액상유 중 유당함량≤2.5%(유당함량 50% 감소)이며 저유당 전지분유 중 유당함량≤20%(유당함량 50% 감소)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해결을 설명하면:
먼저 우유를 탈지하고 식용급 응유제를 첨가하여 유즙의 지방, 단백질, 광물질을 침전시켜 유청액과 분리시킨다. 침전물을 수집하여 용매로 재용해한다. 수집한 유청액은 막분리법으로 그 중의 유당을 제거한 다음 지방, 유당제거 유청액을 재용해액과 혼합한다. 이 혼합한 유당제거 유액을 균질처리하고 살균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제조하거나 건조시켜 무유당분유를 제조하며, 혹은 일반 우유와 혼합하여 저유당 유제품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유당제거 우유제품의 제조방법은 아래 4가지 절차를 거쳐 제조한다. 절차 A(1)~(6)를 거쳐 무유당 우유액을 얻고, A(1)~(7) 절차를 거쳐 무유당 액상유를 얻으며, 더 나아가 건조시켜 무유당 분유를 제조하거나 저유당 액상유를 제조하며,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절차 B(1)~(5)를 거쳐 저유당 우유액을 얻거나, 혹은 절차 B(1)~(6)를 거쳐 저유당 액상유를 얻거나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A.
(1) 우유액을 먼저 탈지처리하여 각기 저지방 우유액과 우유지방을 얻는다.
(2) A(1)의 저지방 우유액을 가열하며 교반하는 한편 응유제와 칼슘염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우유를 형성한다.
(3) 응고우유를 가열하며 또한 교반절단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하며 분리시켜 각기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얻는다.
(4) 응고우유 알갱이를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며 재용해액의 pH치는 6.6~7.0으로 제어한다.
(5) A(3)에서 얻은 상청액을 막분리기술로 유당을 제거하여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얻는다.
(6) A(4)의 재용해액과 A(5)의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혼합용해하며 또한 A(1)의 우유지방을 첨가 혹은 비첨가 하며 또 유화제를 첨가하여 전단유화(Shear emulsification) 반응을 진행시켜 무유당 우유액을 얻는다.
(7) A(6)의 무유당 우유액을 균질, 소독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얻고 건조시켜 무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혹은 A(6)의 무유당 우유액과 일반 우유액을 혼합하고 균질, 소독하여 저유당 액상유를 얻고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B.
(1) 우유액을 가열하며 교반하는 한편 응유제와 칼슘염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우유를 형성한다.
(2) 응고우유를 가열하며 또한 교반절단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하며 분리시켜 각기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얻는다.
(3) 응고우유 알갱이를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며 재용해액의 pH치는 6.6~7.0으로 제어한다.
(4) B(2)에서 얻은 상청액을 막분리기술로 유당을 제거하여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얻는다.
(5) B(3)의 재용해액과B(4)의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혼합용해하며 또한 유화제를 첨가하여 전단유화반응을 진행시켜 저유당 우유액을 얻는다.
(6) 저유당 우유액을 균질, 소독하여 저유당 액상유를 얻거나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무유당 우유제품은 무유당 액상유, 무유당 분유를 포함하며 저유당 우유제품은 저유당 액상유, 저유당 분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우유액은 신선우유 혹은 식품급 분유를 음용수로 용해하여 제조한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응유제는 응유효소, 산제제 또는 응유효소와 산제제의 합제를 포함한다. 응유효소는 동물성 응유효소, 식물성 응유효소와 미생물 응유효소를 포함한다. 그 중의 동물성 응유효소는 송아지 혹은 어린양 주름위의 효소를 가리키며, 식물성 응유효소는 파파인 응유효소를 가리키며, 미생물 응유효소는 털곰팡이 응유효소를 가리킨다. 서술한 산제제는 염산, 유산, 레몬산 또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가리킨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용매는 탄산염-레몬산제제 완충액, 레몬산염-레몬산 완충액 혹은 인산염 완충액를 포함하며 서술한 인산염 완충액은 인산이칼륨-인산일칼륨의 완충액일 수 있다. 서술한 재용해액의 염농도는 0.005~0.03M로 제어해야 하며 재용해액의 pH치는 6.6~7.0로 제어해야 한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유화제는 당에스테르와 레시틴을 포함한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유화반응에 있어서 그 전단유화의 조건은 회전속도가 1000~4000rpm이며 25~60℃에서 10~60min 반응하는 것이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막분리기술은 한외여과와 나노여과를 포함하며 한외여과막과 나노여과막의 규격사이즈는 모두 막재질과 분획분자량으로 표시한다. 한외여과막의 규격사이즈: 재질은 PES (폴리에테를설폰) 혹은 도자기이며 막의 분획분자량은 5000-20000 이다. 나노여과막의 규격사이즈는 GS-NF-48이며 재질은 복합막 혹은 도자기막이며 나노여과막의 분획분자량은 100-350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종의 저유당 액상유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무유당 액상유 혹은 무유당 분유를 일반 우유와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저유당 우유를 조제한 다음 균질, 살균을 거쳐 저유당 액상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종의 저유당 분유의 제조방법은 먼저 무유당 액상유 또는 무유당 분유를 일반 우유와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저유당 우유를 제조한 다음 균질, 살균을 거치고 나중에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 중에서 서술한 무유당 혹은 저유당 우유의 제조방법은 또한 무유당 혹은 저유당 양유제품의 제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
1. 먼저 응유법으로 응고우유를 침전시킴으로 하여 막기술로 유청 중의 유당을 제거하는 효율을 제고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춘다.
2. 응고우유, 유당제거 유청, 지방을 재조합하였기에 원유에서 유당을 제외한 절대부분의 영양물질을 보존할 수 있다.
3. 본 방법으로 제조한 유당제거 우유제품은 유당을 감소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당류의 함량도 감소시켰으며 또한 원유의 맛을 유지하였다.
4. 본 제품은 또한 기타 제품과 조합하여 진일보로 기타 무유당 혹은 저유당 건강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진일보 상세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한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1:
건강한 암소가 분비한 유즙 100kg을 취해 원심분리하여 탈지한 다음 61℃로 가열하여 30분간 소독한다. 온도를 41℃까지 내린 후, 유액을 교반소독하는 한편 10% CaCl2 100ml와 0.2% 송아지 주름위의 응유효소 용액 1000ml를 천천히 고르게 유액에 첨가한다. 45분간 그대로 방치한다. 우유의 응고반응이 끝난 다음 유액을 신속히 45℃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응고우유를 분쇄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한다. 여과하여 얻은 상청액에 또 100kg의 45℃ 맑고 깨끗한 물을 첨가하여 계속 교반하며 재차 여과하여 상청액을 얻는다. 세척후의 응고우유 알갱이를 수집하며 최종농도가 0.01ml인 레몬산칼륨-렌몬산 완충액으로 교반용해하여 pH6.7인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수집한 상청액은 한외여과막과 나노여과막으로 여과처리하여 유당을 제거해 광물질과 비타민을 함유한 유당제거 유청액을 얻는다. 재용해액, 유당제거 유청액, 지방을 혼합하고 60℃로 가열하며 20MPa 균질한 다음 살균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제조한다. 검측결과 이 유당제거 액상유의 함량은 유당≤0.5%, 총당류≤0.5%, 지방≥3.0%, 단백질≥2.9%이다. 혹은 더 나아가 건조시켜 분말을 제조해 무유당분유를 제조하며, 검측한 결과 이 유당제거 분유의 함량은 유당≤5%, 총당류≤5%, 단백질≥30% 이다.
실시예2:
식품급 탈지분유(지방함량≤2.0%) 10kg을 취해 90kg 물로 용해하여 복원우유를 조제한다. 복원우유액을 교반하는 한편 10% 유산칼슘 3000ml와 0.2% 파파인 응유효소 용액 1000ml를 동시에 천천히 유액에 첨가한다. 39℃까지 온도를 올려 20분간 온도를 유지한다. 우유의 응고반응이 끝난 다음 유액을 신속히 55℃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응고우유를 분쇄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한다. 여과하여 얻은 상청액에 또 100kg의 45℃ 맑고 깨끗한 물을 첨가하여 계속 교반하며 재차 여과하여 상청액을 얻는다. 여과하여 세척후의 응고우유 알갱이를 수집하며 최종농도가 0.01ml인 탄산칼륨 -렌몬산 복합완충액과 0.2% 당에스테르로 교반용해하고 유화하여 pH7.0인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수집한 상청액을 한외여과막과 나노여과막으로 여과처리하면 분획액은 광물질을 함유한 유당제거 유청액이다. 재용해액과 유당제 거 유청액을 혼합균질하고 가열살균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제조한다. 검측결과 이 유당제거 액상유의 함량은 유당≤0.5%, 총당류≤0.5%, 지방≤1.5%, 단백질≥2.9%이다.
실시예3:
건강한 암소가 분비한 유즙 100kg을 취해 원심분리하여 탈지한 다음, 교반하는 한편CaCl2 1000ml를 천천히 첨가하고 계속하여 2N염산용액을 천천히 고르게 유액중에 첨가한다. 동시에 41℃까지 가열하여 유액의 pH치를 5.0으로 떨어지게 한 다음, 45분간 그대로 방치한다. 우유의 응고반응이 끝난 다음 교반하여 응고우유를 분쇄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한다. 여과하여 얻은 상청액에 또 100kg의 맑고 깨끗한 물을 첨가하여 계속 교반하며 재차 여과하여 상청액을 얻는다. 상술한 절차를 상청액의 pH치가 6.5로 될 때까지 계속 반복한다. 세척후의 응고우유 알갱이를 수집하며 인산이칼륨- 인산일칼륨 완충액으로 교반용해하여 pH6.8인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수집한 상청액을 막여과 처리하여 유당을 제거하면 분획액은 광물질을 함유한 유당제거 유청액이다. 재용해액과 유당제거 유청액을 혼합하여 80kg의 무유당 유액을 얻으며 또 80kg의 일반 신선우유와 혼합하고 균질, 가열, 살균을 거쳐 저유당 액상유를 제조한다. 검측결과 이 저유당 액상유의 함량은 유당≤2.5%, 총당류≤2.5%, 지방≥1.5%, 단백질≥2.9% 이다.
실시예4:
식품급 탈지분유(지방함량≤2.0%) 10kg을 취해 90kg의 물로 용해하여 저지방 유액을 제조한다. 유산제제로 응고하고 레몬산 완충액으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1kg 유당제거 고단백질 유청분말, 1kg 우유지방과 0.02kg 레시틴을 재용해액 중에 혼합하여 균질하고 가열살균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제조한다. 검측결과 이 유당제거 액상유의 함량은 유당≤0.5%, 총당류≤0.5%, 지방≥1.5%, 단백질≥2.9%이다.
실시예5:
건강한 암소가 분비한 유즙 100kg을 취해 교반하는 한편 10% CaCl2 100ml를 천천히 첨가하고 0.2% 털곰팡이 응유효소 용액 1000ml와 1N 염산용액을 천천히 고르게 유액중에 첨가한다. 동시에 39℃까지 가열하고 pH치를 6.5로 떨어지게 한 다음, 45분간 그대로 방치한다. 우유의 응고반응이 끝난 다음 교반하여 응고우유를 분쇄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한다. 여과하여 얻은 상청액에 또 100kg의 45℃ 맑고 깨끗한 물을 첨가하여 계속 교반하며 재차 여과하여 상청액을 얻는다. 세척후의 응고우유 알갱이를 수집하여 레몬산나트륨-렌몬산 완충액으로 교반용해하여 pH6.8인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수집한 상청액을 막여과처리로 유당을 제거하면 분획액은 광물질을 함유한 유당제거 유청액이다. 재용해액과 유당제거 유청액을 혼합하여 80kg의 무유당 유액을 얻으며 균질, 가열살균을 거쳐 저유당 액상유를 제조한다. 검측결과 이 저유당 액상유의 함량은 유당≤2.5%, 총당류≤2.5%, 지방≥3.0%, 단백질≥2.9%이다.
실시예6:
양유1kg을 취해 피신(응유효소), CaCl2 로 응고시켜 각기 응고유와 상청액을 얻는다. 응고유는 pH7.0인 레몬산 완충액으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한다. 상청액은 막여과방식으로 유당을 제거한다. 재용해액과 유당제거 유청액을 균질혼합하여 무유당 양유을 얻는다. 검측결과 이 유당제거 양유의 함량은 유당≤0.5%, 총당류≤0.5%, 지방≥1.5%, 단백질≥2.9%이다.

Claims (12)

  1. 일종의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서술한 유당제거 우유는 아래 A(1)~(6), A(1)~(7), B(1)~(5) 또는 B(1)~(6) 4가지 절차를 거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1) 우유액을 먼저 탈지처리하여 각기 저지방 우유액과 우유지방을 얻는다.
    (2) A(1)의 저지방 우유액을 가열하며 교반하는 한편 응유제와 칼슘염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우유를 형성한다.
    (3) 상기 응고우유를 가열하고 또한 교반절단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하며 분리시켜 각기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얻는다.
    (4) 상기 응고우유 알갱이를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며 재용해액의 pH치는 6.6~7.0으로 제어한다.
    (5) A(3)에서 얻은 상청액을 막분리기술로 유당을 제거하여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얻는다.
    (6) A(4)의 재용해액과 A(5)의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혼합용해하며, 또한 A(1)의 우유지방을 첨가 혹은 비첨가 하며, 또 유화제를 첨가하여 전단유화(Shear emulsification) 반응을 진행시켜 무유당 우유액을 얻는다.
    (7) A(6)의 무유당 우유액을 균질, 소독하여 무유당 액상유를 얻거나 건조시켜 무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혹은 A(6)의 무유당 우유액과 일반 우유액을 혼합한 다음 균질, 소독하여 저유당 액상유를 얻거나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B.
    (1) 우유액을 가열하며 교반하는 한편 응유제와 칼슘염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우유를 형성한다.
    (2) 상기 응고우유를 가열하며 또한 교반절단하여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형성하며 분리시켜 각기 응고우유 알갱이와 상청액을 얻는다.
    (3) 상기 응고우유 알갱이를 용매로 용해하여 재용해액을 형성하며 재용해액의 pH치는 6.6~7.0으로 제어한다.
    (4) B(2)에서 얻은 상청액을 막분리기술로 유당을 제거하여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얻는다.
    (5) B(3)의 재용해액과 B(4)의 유당제거 유청액 혹은 유당제거 유청분말을 혼합용해하며 또한 유화제를 첨가하여 전단유화반응을 진행시켜 저유당 우유액을 얻는다.
    (6) 상기 저유당 우유액을 균질, 소독하여 저유당 액상유를 얻거나 건조시켜 저유당 분유를 제조한다.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1) 중의 우유액은 신선우유 혹은 식품급 분유를 음용수로 용해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1) 중 저지방 우유액의 지방함량은 0.2~2.0%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2) 혹은 B(1) 중의 응유제는 응유효소, 산제제 또는 응유효소와 산제제의 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2) 혹은 B(1)중의 칼슘염은 염화칼슘, 레몬산칼슘 또는 유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응유효소는 동물성 응유효소, 식물성 응유효소 또는 미생물 응유효소이며, 상기 동물성 응유효소는 송아지 혹은 어린양 주름위의 효소이며, 상기 식물성 응유효소는 파파인 응유효소이며, 상기 미생물 응유효소는 털곰팡이 응유효소이며, 상기 산제제는 염산, 유산, 레몬산 혹은 이산화탄소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5) 또는 B(4) 중의 막분리기술은 분획분자량이 1000~10000인 한외여과막과 분획분자량이 100~350인 나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6) 중에서 우유지방의 첨가량에 의하여 각기 무유당 탈지 우유액 혹은 무유당 저지방 우유액 또는 무유당 전지방 우유액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4) 또는 B(3)에서 서술한 용매는 탄산염-레몬산 완충액, 레몬산염-레몬산 완충액 또는 인산염 완충액이며 상기 재용해액의 염농도는 0.005~0.03M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6) 또는 B(5)에서 서술한 전단유화반응은 그 반응 조건은 회전속도가 1000~4000rpm이며 25~60℃에서 10~60min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절차 A(7)에서 얻은 무유당 액상유 또는 무유당 분유는 일반 우유 또는 분유와 배합하여 저유당 액상유 또는 저유당 분유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12. 청구항1에서 서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유을 원료로하는 무유당 액상양유, 무유당 양분유, 저유당 액상양유, 저유당 양분유의 제조에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097003197A 2006-07-17 2007-07-16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KR101122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029014.1 2006-07-17
CNA2006100290141A CN1899054A (zh) 2006-07-17 2006-07-17 去糖牛奶的制作方法
PCT/CN2007/002170 WO2008011801A1 (fr) 2006-07-17 2007-07-16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lait délactos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135A true KR20090036135A (ko) 2009-04-13
KR101122928B1 KR101122928B1 (ko) 2012-03-20

Family

ID=3765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197A KR101122928B1 (ko) 2006-07-17 2007-07-16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580323B2 (ko)
EP (1) EP2050341B1 (ko)
JP (1) JP2009543563A (ko)
KR (1) KR101122928B1 (ko)
CN (2) CN1899054A (ko)
AU (1) AU2007278715B2 (ko)
BR (1) BRPI0715046A2 (ko)
CA (1) CA2659806C (ko)
DK (1) DK2050341T3 (ko)
ES (1) ES2636544T3 (ko)
MX (1) MX2009000609A (ko)
RU (1) RU2443116C2 (ko)
UA (1) UA93265C2 (ko)
WO (1) WO2008011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89B1 (ko) * 2011-11-11 2013-09-17 주식회사 빙그레 단백질이 강화된 우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3672A (ko) * 2016-12-02 2018-06-12 매일유업 주식회사 소화가 잘되는 우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2659A2 (en) * 2004-05-21 2005-12-01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xtended shelf life and bulk transport of perishable organic liquids with low pressure carbon dioxide
US20100310743A1 (en) * 2009-06-04 2010-12-09 Dean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Inc. Removing gas additives from raw milk
US20110076359A1 (en) * 2009-09-28 2011-03-31 Dean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Inc. Removing gas additives from raw milk
CN101779703B (zh) * 2010-04-09 2013-07-17 黑龙江省完达山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低乳糖奶粉及其制备方法
US20130059033A1 (en) * 2010-05-12 2013-03-07 Abdulvahit ECE Method of obtaining fresh spun cheese
FI123201B (fi) 2010-10-29 2012-12-14 Valio Oy Maitopohjainen tuote ja valmistusmenetelmä
FI124711B (fi) 2011-07-06 2014-12-15 Valio Oy Maitopohjainen formulaatio
MY190309A (en) * 2013-07-12 2022-04-13 A2 Milk Co Ltd Beta-casein a2 and reducing or preventing symptoms of lactose intolerance
DK2907393T3 (en) * 2014-02-17 2018-11-12 Dmk Deutsches Milchkontor Gmbh Lactose-free milk products
DK3158871T3 (en) * 2015-10-19 2018-08-06 Dmk Deutsches Milchkontor Gmbh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LACTOSE-FREE MILK PRODUCTS
MX2016000156A (es) * 2016-01-07 2017-07-06 Com De Lácteos Y Derivados S A De C V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leche deslactosada con alto contenido de proteina y calcio y leche sin dulzor.
WO2018009486A1 (en) * 2016-07-02 2018-01-11 Clark George H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actose-free and reduced phosphorus skim milk
EP3788881B1 (en) 2016-12-02 2022-07-06 Fairlife, LLC Non-browning lactose-free milk powd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RU2662956C2 (ru) * 2017-01-10 2018-07-31 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Залогин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фазы истинного раствора полидисперсной системы молока и получение малолактозной или безлактозной продукции
CN108835257A (zh) * 2018-07-02 2018-11-20 崔刚 一种一次发酵后脱除乳糖的灭菌型搅拌无糖酸奶的制备方法
CN109169911A (zh) * 2018-09-19 2019-01-11 成都连接流体分离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高活性蛋白、低乳糖牛奶的新工艺
CN109984198A (zh) * 2019-04-29 2019-07-09 飞潮(无锡)过滤技术有限公司 一种高蛋白低乳糖脱脂奶粉生产工艺
US11109604B2 (en) 2019-05-09 2021-09-07 Memtec LLC Dairy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11758786A (zh) * 2020-07-24 2020-10-13 杭州利项科技有限公司 一种有助于糖尿病人健康的奶粉及其生产设备、生产方法
CN113519626A (zh) * 2021-07-15 2021-10-22 青岛圣桐营养食品有限公司 一种无乳糖奶粉及其制备方法
CN115251164A (zh) * 2022-08-04 2022-11-01 奶酪博士(上海)科技有限公司 原制奶酪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8315A (en) * 1958-06-02 1961-08-29 Foremost Dairies Inc Low sodium milk and process of manufacture
JPS5320583B1 (ko) * 1969-11-20 1978-06-27
JPS5134466B2 (ko) 1971-08-30 1976-09-27
CH600787A5 (ko) * 1975-03-20 1978-06-30 Nestle Sa
JPS5320583A (en) 1976-08-11 1978-0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Branching part insulating machining process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
US4511590A (en) * 1981-09-17 1985-04-16 Caldwell Marion J Low-lactose, low-galactose imitation milk product
DK18884D0 (da) 1984-01-16 1984-01-16 Hansens Lab Fremgangsmade til fremstilling af ost
JPS60192545A (ja) * 1984-03-12 1985-10-0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糸状組織を保有するチ−ズ製品の製造方法
JP3150504B2 (ja) * 1993-02-26 2001-03-26 雪印乳業株式会社 低乳糖乳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29829A (en) * 1993-05-17 1995-07-04 Ernster, Sr.; John H. Cheese manufacturing method
CN1084700A (zh) * 1993-08-26 1994-04-06 上海科隆生物工程有限公司 低乳糖含量的鲜奶和乳制品及其加工方法
RU2142711C1 (ru) * 1996-01-18 1999-12-20 Лотте Ко., Лтд. Безлактозное молоко (варианты),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JP3290145B2 (ja) * 1998-09-30 2002-06-10 雪印乳業株式会社 乳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CA2260673A1 (en) * 1999-02-04 2000-08-04 Natrel Inc. A process for making a lactose-free milk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the organoleptic properties thereof; and milk so processed
FI115752B (fi) * 2002-05-14 2005-07-15 Valio Oy Menetelmä käytettäväksi vähälaktoosisen tai laktoosittoman maitotuotteen valmistamiseksi
US7169428B2 (en) 2002-08-27 2007-01-30 Select Milk Producers Inc. Dairy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NZ527434A (en) * 2003-08-07 2006-03-31 Fonterra Co Operative Group Production of protein composition from a dairy stream and its use as an ingredient in the manufacture of a cheese
CA2456790A1 (en) * 2004-02-03 2005-08-03 Saputo Inc. Lactose-free milk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245881C (zh) * 2004-10-15 2006-03-22 石家庄三鹿集团股份有限公司 低乳糖调配奶
KR20040103818A (ko) * 2004-10-19 2004-12-09 최석호 저유당우유 및 그 제조 방법
CN1757289A (zh) * 2005-09-19 2006-04-12 王永强 去乳糖乳制品及其制造方法
CN1784998A (zh) * 2005-12-06 2006-06-14 方雅悯 一种同时生产低钠无糖牛奶和乳糖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89B1 (ko) * 2011-11-11 2013-09-17 주식회사 빙그레 단백질이 강화된 우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3672A (ko) * 2016-12-02 2018-06-12 매일유업 주식회사 소화가 잘되는 우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050341T3 (en) 2017-08-28
CN101426375B (zh) 2011-06-01
CN101426375A (zh) 2009-05-06
RU2443116C2 (ru) 2012-02-27
WO2008011801A1 (fr) 2008-01-31
ES2636544T3 (es) 2017-10-06
CA2659806A1 (en) 2008-01-31
AU2007278715A1 (en) 2008-01-31
RU2009102850A (ru) 2010-08-27
CN1899054A (zh) 2007-01-24
US20090123602A1 (en) 2009-05-14
BRPI0715046A2 (pt) 2013-05-28
JP2009543563A (ja) 2009-12-10
US8580323B2 (en) 2013-11-12
AU2007278715B2 (en) 2014-09-11
MX2009000609A (es) 2009-03-04
EP2050341A1 (en) 2009-04-22
KR101122928B1 (ko) 2012-03-20
CA2659806C (en) 2014-12-09
EP2050341B1 (en) 2017-05-10
UA93265C2 (uk) 2011-01-25
EP2050341A4 (en)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928B1 (ko) 유당제거 우유의 제조방법
RU2585236C2 (ru) Молочны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TWI527522B (zh) 製備富含半乳寡醣及低乳糖之易吸收乳製品之方法及以該方法製備之機能性乳製品
AU2012203568C1 (en) Oligosaccharide mixture
CN102986874B (zh) 开菲尔活菌型酸乳饮料及其生产方法
JP6378978B2 (ja) 低減されたラクトース濃度を有するガラクト−オリゴ糖含有チーズ製品
CN102302060B (zh) 一种金钗石斛酸奶的制作方法
WO2010035825A1 (ja) 改質乳の製造方法
CN105379835A (zh) 一种乳酸菌乳味饮料制备方法及配方
CN109287749B (zh) 一种富含活性植物乳杆菌的双蛋白发酵乳及其制备方法
CN104824170B (zh) 一种酶解大豆蛋白发酵酸乳的生产方法
CN102972522A (zh) 益生菌牛乳及其制备方法
JPWO2006043478A1 (ja) 乳酸菌発酵豆乳およびその製造法
CN101455237A (zh) 干酪乳杆菌发酵乳及其制备方法
CN102342555A (zh) 小麦胚芽、芝麻蛋白发酵饮料及其制备工艺
CN101380042A (zh) 去糖牛奶的制备方法
JP2004154086A (ja) 麹・豆乳入りヨーグルト食品とその製造方法
CN114468312A (zh) 一种适合儿童的易消化乳蛋白组合物及其用途
CN114568538A (zh) 一种奶酪及其制备方法
CN110547356A (zh) 一种功能性豆类乳清蛋白及其生产方法和应用
CN115606648A (zh) 一种乳扇副产物益生菌乳清饮料及其制备方法
CN116268093A (zh) 一种常温型无乳糖酸奶及其制备方法
CN108013312A (zh) 一种水蜜桃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JP2001169725A (ja) 低脂肪ヨーグル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