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357A -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357A
KR20090034357A KR1020097001729A KR20097001729A KR20090034357A KR 20090034357 A KR20090034357 A KR 20090034357A KR 1020097001729 A KR1020097001729 A KR 1020097001729A KR 20097001729 A KR20097001729 A KR 20097001729A KR 20090034357 A KR20090034357 A KR 2009003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etection
electric steering
detection switch
dete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447B1 (ko
Inventor
히로아키 사카쿠라
가즈히사 야부모토
가즈오 쯔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9003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5Arrangement of the steering colum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와,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로크 부재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스위치(SW1)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스위치(SW2) 및 제3 검지스위치(SW3)와, 제1 검지스위치(SW1)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에 기초하여 로크부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로크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제2 검지스위치(SW2) 및 제3 검지스위치(SW3)의 검지 출력을 차량측 제어부(31)에 출력했다.

Description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ELECTRIC STEERING-LOCK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로크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 2005-214118호(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101)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로크 부재(102)와,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1 스위치(SW1)와,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2 스위치(SW2)와, 제1 검지스위치(SW1)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에 기초하여 로크 부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로크 부재(10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인 CPU(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 CPU(103)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은, 차량측 제어부인 스타터 제어장치(104)에 공급되고 있다. 스타터 제어장치(104)는 이들 입력 상태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101)의 로크 상태·로크해제 상태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만 엔진 스타트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을 시 동하거나 한다.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엔진 스타트 지령이 있어도 엔진의 시동을 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데,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한다는 오정보를 스타터 제어장치(104)에 출력하여, 스타터 제어장치(104)가 엔진을 시동하는 사태를 확실히 회피할 필요가 있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제2 검지스위치(SW2)의 출력과 CPU(103)의 출력을 스타터 제어장치(104)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2 검지스위치(SW2)의 고장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데 로크해제 정보를 오출력한 경우에는, CPU(103)로부터의 로크 정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CPU(103)의 폭주 등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01)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데 로크해제 상태를 오출력한 경우에는, 제2 검지스위치(SW2)로부터의 로크 정보(정확하게는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취지의 정보)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타터 제어장치(104)에 대한 제2 검지스위치(SW2)와 CPU(103)의 출력 정보가 모두 오정보(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취지의 오정보)인 경우에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의 고장을 판정할 수 없다. 즉, 제2 검지스위치(SW2)의 고장과, CPU(103)의 폭주 등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00)의 고장을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전동 스티어링 로 크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10)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로크 부재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스위치(SW1)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2, 제3 및 제4 검지스위치(SW2, SW3, SW4)와, 제1 검지스위치(SW1)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에 기초하여 로크 부재의 위치를 판단하여 로크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111)를 구비하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111)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제3 검지스위치(SW3)와 제4 검지스위치(SW4)의 검지 출력을 차량측 제어부(도시 생략함)에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로크해제 위치를 검지하는 제3 검지스위치(SW3)측과 제4 검지스위치(SW4)측 중 어느 하나의 고장과,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111)의 폭주 등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10)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제3 검지스위치(SW3)와 제4 검지스위치(SW4) 내의 고장나지 않은 스위치로부터 차량측 제어부가 로크 위치 정보(정확하게는,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취지)를 얻기 때문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10)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111)가 잘못된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제3 검지스위치(SW3)가 고장으로 L신호를 출력(도 16에서 파선으로 나타낸다)한 경우에도 제4 검지스위치(SW4)가 H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111)의 고장과 제3 검지스위치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10)에는, 4개의 스위치(SW1~SW4)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10)가 코스트업 및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검지수단측의 고장과 제어측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해도 고장을 판정할 수 있는 신호를 차량측 제어부에 출력하고, 게다가 검지수단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기초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는, 이하를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로크 부재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수단 및 제3 검지수단과; 및 상기 제1 검지수단과 제2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로크 부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로크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종속하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기초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은, 차량측 제어부에 출력된다.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로부터 종속하는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기초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1 형태 내지 제2 형태에 의하면, 로크해제 위치를 검지하는 제2 검지수단측과 제3 검지수단측 중 어느 하나의 고장과,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의 폭주 등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제2 검지수단과 제3 검지수단 내의 고장나지 않은 검지수단으로부터 차량측 제어부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취지의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이로써, 검지수단측의 고장과 제어측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해도 고장을 판정할 수 있는 신호를 차량측 제어부에 출력하고, 게다가 검지수단의 개수가 3개이면 충분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검지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제1 내지 제3 검지수단의 장착 및 배선 등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의 동작 개소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U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L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U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L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U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L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U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L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도, (b)는 R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어계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2는 각 부의 출력 파형도이다.
도 13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상태에서, 정상시 및 여러 가지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로의 출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예의 제어계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5은 다른 종래예의 제어계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6은 각 검지스위치의 출력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1은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동작 개소의 주요부 사시도, 도 3~도 10의 (a), (b)는 각각 동작 설명도, 도 11은 제어계의 회로 블럭도, 도 12는 출력 파형도, 도 13은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상태에서, 정상시 및 여러 가지의 고장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로의 출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장착되어, 내부에 부품 수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2) 및 커버(3)와, 이 부품 수용실 내에 수용되어, 그 내부에 또한 드라이브 유닛실을 형성하는 드라이브 유닛 하우징(4) 및 드라이브 유닛 커버(5)와, 이 드라이브 유닛실 내에 배치되는 구동원인 모터(6)와, 이 모터(6)의 회전축(6a)에 고정된 웜기어(7)와, 이 웜기어(7)에 서로 맞물려, 드라이브 유닛실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웜휠(8)과, 이 웜휠(8)의 일방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1 캠부(9)와, 웜휠(8)의 타방면에 일체로 설치된 제2 캠부(10)와,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상하로 움직이는(a화살표 방향) 로크 부재(11)와, 제2 캠부(10)에 추종하여 요동(b화살표 방향)하는 유지 레버(12)와, 부품 수용실에 배치 된 회로 기판(13)을 주된 구성부품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로크 부재(11)는, 도 2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이며, 또한 절결에 의해 스프링 받침면(14a)이 형성된 플랫 로드부(14)와, 이 플랫 로드부(14)의 상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캠 걸림부(15)와, 캠 걸림부(15)의 반대측에 돌출된 레버용 걸림 돌기(16)와, 플랫 로드부(14)의 하단에 형성된 샤프트 걸림 돌기(17)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 로드부(14)는, 하우징(2)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2a, 2b)에 의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11)는, 샤프트 걸림 돌기(17)가 하우징(2)의 구멍(2c)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도 3 및 도 7의 각 (a), (b)의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도 6 및 도 10의 (a), (b)의 위치) 사이에서 변위한다. 스프링 받침면(14a)과 드라이브 유닛 하우징(4)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인 압축 스프링(18)이 개재되고, 이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 부재(11)가 제1 캠부(9)를 압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유지 레버(12)는, 도 2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지지핀(19)(도 7~도 10의 (a), (b)에 나타낸다)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플랫 플레이트부(20)와, 이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상단의 일방에서 크게 전방으로 돌출된 캠 걸림부(21)와,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캠 걸림부(21)의 하방 위치에서 조금 돌출하여 형성된 로크용 걸림부(22)(도 1에 나타낸다)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레버(12)는, 로크 부재(11)의 이동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도 7~도 9의 (a), (b)의 위치)와, 로크용 걸림부(22)가 로크 부재(11)의 레버용 걸림 돌기(16)에 걸려, 로크 부재(11) 의 로크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유지 위치(도 10의 (a), (b)의 위치) 사이에서 요동한다. 회전 지지핀(19)에는 제2 스프링인 코일 스프링(23)(도 1 등에 나타낸다)이 유지되고, 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유지 레버(12)가 제2 캠부(10)를 압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크 부재(11) 및 유지 레버(1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로크 부재(11)의 위치 검출 수단은, 제1 캠부(9)에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된 피검출부(24)(도 5(b))와, 이 피검출부(24)의 근접 위치에서 대향 배치되는 회로 기판(13)에 고정된 제1 검지스위치(SW1) 및 제2 검지스위치(SW2)로 구성되어 있다. 피검출부(24)는 웜휠(8)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검지수단인 제1 검지스위치(SW1)는, 로크 부재(11)의 로크 위치를 검지하고, 제2 검지수단인 제2 검지스위치(SW2)는 로크 부재(11)의 로크해제 위치를 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검지스위치(SW1)~상기 제3 검지스위치(SW3)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 1~도 10에 있어서는, 각각, S1, S2, S3으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회로 블럭도, 출력 파형도 등을 나타내는 도 11~도 13에 있어서는, 각각, SW1, SW2, SW3으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유지 레버(12)의 위치 검출 수단은, 유지 레버(12)의 플랫 플레이트부(20)의 상단의 타단측에서 조금 전방으로 돌출된 피검출부(25)와, 이 피검출부(25)에 근접하는 회로 기판(13)의 위치에 고정된 제3 검지스위치(SW3)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검지수단인 제3 검지스위치(SW3)는, 유지 레버(12)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오프하고,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온한다. 즉, 로크 부재(11)의 로크해제 위치를 검지한다. 제1~제3 검지스위치(SW1, SW2, SW3)는, 정상시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출력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제어계를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13)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CPU)(30)가 설치되고, 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에는 제1 검지스위치(SW1)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이 공급되고 있다.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는, 제1 검지스위치(SW1)와 제2 검지스위치(SW2)의 검지 출력으로부터 로크 부재(11)의 위치를 인식하고, 모터(6)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는, 차량측 제어부(31)에 로크·로크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로부터는, 제2 검지스위치(SW2)와 제3 검지스위치(SW3)의 검지 출력이 차량측 제어부(31)로 출력되고 있다.
차량측 제어부(31)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예를 들면 엔진 시동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을 시동한다.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제2 검지스위치(SW2) 및 제3 검지스위치(SW3)의 검지 정보로부터 판정한다. 이 판정 내용에 대해서는, 하기하는 동작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 도 3(b)에 나타낸 로크 부재(11)의 로크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11)의 샤프트 걸림 돌기(17)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에 걸리고, 이것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이 로크 위치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검지스위치(SW1)의 출력은 High 신호(이하, H신호), 제2 검지스위치(SW2)의 출력은 Low 신호(이하, L신호), 제3 검지스위치(SW3)의 출력은 H신호이다.
이 로크 상태에서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드라이버 등이 스티어링 로크·언로크 버튼(도시 생략함)을 압하한다. 그러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는, 우선, 제1 및 제2 검지스위치(SW1, SW2)의 출력 상태로부터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 위치를 확인한 후,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휠(8)이 언로크방향 A로 회전하고, 로크 부재(11)가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로크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한다(도 4 및 도 5의 (a), (b) 참조). 제1 검지스위치(SW1)의 출력은, 제1 캠부(9)가 조금 회전한 위치에서 H신호에서 L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와 상관없이 모터(6)의 구동이 속행된다. 그리고,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검지스위치(SW2)의 출력이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한다(도 12). 이 신호 변화에 의해 모터(6)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 의해,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레버(12)는 로크 위치에서는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모터(6)의 구동으로 웜휠(8)이 언로크 방향 A로 회전하면, 유지 레버(12)가 제2 캠부(10) 상을 슬라이드 이동한다. 유지 레버(12)는 로크 부재(11)의 로크해제 위치의 직전까지는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도 8 및 도 9의 (a), (b) 참조). 그리고,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비로소 대기 위치에서 유지 위치로 이동된다. 유지 레버(12)가 유지 위치로 이동하면, 유지 레버(12)의 로크용 걸림부(22)가 로크 부재(11)의 레버용 걸림 돌기(16)에 걸린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검지스위치(SW3)의 출력이 H신호에서 L신호로 변화한다. 이상에 의해, 로크해제 위치로의 동작이 완료된다.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또, 로크 부재(11)가 유지 레버(12)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강한 충격력이 로크 부재(11)에 가해져도, 로크 부재(11)가 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차량 주행 중 등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가 로크하는 사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로크 부재(11)의 로크해제 위치에서,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드라이버 등이 스티어링 로크·언로크 버튼(도시 생략함)을 압하한다. 그러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는, 우선 제1 검지스위치(SW1)의 출력이 L신호, 제2 검지스위치(SW2)의 출력이 H신호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다. 위치를 확인한 후,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휠(8)이 로크 방향 B로 회전하고, 유지 레버(12)가 제2 캠부(10)에 추종 이동하여 유지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즉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3 검지스위치(SW3)의 출력은 L신호에서 H신 호로 변화한다. 대기 위치로 변위한 유지 레버(12)는, 제2 캠부(10)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도 9, 도 8, 도 7의 각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위치까지 이동해도 대기 위치에 계속 위치한다.
한편,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웜휠(8)이 로크 방향 B로 회전하면, 로크 부재 (11)는 유지 레버(12)의 대기 위치로 변위한 후, 제1 캠부(9)에 추종하여 로크해제 위치측으로 이동한다(도 5 및 도 4의 (a), (b) 참조). 제2 검지스위치(SW2)의 출력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부(9)가 조금 회전한 위치에서 H신호에서 L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가 변화한 후에도 모터(6)의 구동이 속행되어, 로크 부재(11)가 로크해제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제1 검지스위치(SW1)의 출력이 L신호에서 H신호로 변화한다. 이 신호 변화에 의해 모터(6)의 구동이 정지되어,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11)가 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로크 부재(11)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의 회전이 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주차 중에 있어서의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측 제어부(31)는, 엔진 시동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시동을 개시할 때에, 스티어링 샤프트(도시 생략함)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측 제어부(31)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제2 및 제3 검지스위치(SW2, SW3)의 검지 정보가 공급되고 있다. 모든 정보가 정상이면, 제2 스위치(SW2)로부터 H신호, 제3 검지스위치(SW3)로부터 L신호가 공급된다.
여기서, CPU의 폭주 등에 의해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가 H신호를 출 력하는 경우에는, 제2 및 제3 검지스위치(SW2, SW3)의 출력 상태로부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 제2 검지스위치(SW2)의 고장에 의해 제2 검지스위치(SW2)가 H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가 고장 취지의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제3 검지스위치(SW3)의 출력으로부터 제2 검지스위치(SW2)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 제3 검지스위치(SW2)의 고장에 의해 제3 검지스위치(SW3)가 L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와 제2 검지스위치(SW2)가 모두 로크해제 위치를 나타내는 L신호를 출력하는 점에서 제3 검지스위치(SW3)에 고장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2 검지스위치(SW2)의 고장과,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의 폭주 등에 의한 고장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제2 검지스위치(SW2)가 H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는 L신호 또는 H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제3 검지스위치(SW3)의 출력으로부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에 고장이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검지스위치(SW3)의 고장과,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30)의 폭주 등에 의한 고장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장이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차량측 제어부(31)는, 고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알람 경고를 발하거나,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를 재체크하는 등의 대응책을 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검지스위치측의 고장과 제어측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해도, 제2 검지스위치(SW2)와 제3 검지스위치(SW3) 내의 고장나지 않은 검지스위치 로부터 차량측 제어부가 로크해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취지의 정보를 얻기 때문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이로써, 검지스위치측의 고장과 제어측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해도 고장을 판정할 수 있는 신호를 차량측 제어부(31)에 출력하고, 게다가 검지스위치의 개수가 3개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검지스위치가 3개이면 되기 때문에,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1)가 코스트 다운 및 소형화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검지스위치(SW1) 및 제2 검지스위치(SW2)는, 제1 캠부(9)를 검지 대상으로 하고, 제3 검지스위치(SW3)는, 유지 레버(12)를 검지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제1 검지스위치(SW1)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로크 위치를, 제2 검지스위치(SW2) 및 제3 검지스위치(SW3)는, 모두 스티어링 샤프트의 로크해제 위치를 검지할 수 있으면, 검지 대상은 불문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제3 검지스위치(SW1, SW2, SW3)는, 모두 회로 기판(13) 상에 탑재했으므로, 제1~제3 검지스위치(SW1, SW2, SW3)의 장착, 배선 등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07994호(2006년 7월 31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당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크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로크 부재;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수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2 검지수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크 해제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3 검지수단; 및
    상기 제1 검지수단과 제2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로크 부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로크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이 출력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스티어링 로크 제어부로부터의 로크·로크해제 정보와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의 검지 출력은, 차량측 제어부에 출력되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20097001729A 2006-07-31 2007-07-30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KR101079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07994 2006-07-31
JP2006207994A JP4857045B2 (ja) 2006-07-31 2006-07-31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357A true KR20090034357A (ko) 2009-04-07
KR101079447B1 KR101079447B1 (ko) 2011-11-03

Family

ID=3899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729A KR101079447B1 (ko) 2006-07-31 2007-07-30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9628B2 (ko)
EP (1) EP2048045B1 (ko)
JP (1) JP4857045B2 (ko)
KR (1) KR101079447B1 (ko)
CN (1) CN101489842B (ko)
WO (1) WO2008015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62B1 (ko) * 2002-05-24 2005-03-22 학교법인 을지학원 초음파 및 오존발생을 위한 시분할 제어장치
KR101338543B1 (ko) 2008-09-30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버튼시동시스템
TWI373425B (en) * 2009-02-20 2012-10-01 Delta Electronics Inc Electronic ignition-lock apparatus for motorcycle
DE102011012040A1 (de) * 2010-02-26 2011-09-01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EP2479073B1 (fr) * 2011-01-21 2014-01-15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1203221B1 (ko) 2011-04-18 2012-11-2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DE102012016933A1 (de) * 2011-12-17 2013-06-20 Marquardt Gmbh Verriegl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und Verfahren zum Sichern eines Fahrzeugs
US9336357B2 (en) * 2012-09-28 2016-05-10 Intel Corporation Secure access management of devices
EP3219356A1 (en) * 2016-03-14 2017-09-20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 pulses to living myocardial tissue
CN106925536B (zh) * 2017-04-28 2023-07-28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机械智能自锁旋转装置
CN107101815B (zh) * 2017-05-08 2019-10-15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检验机械智能自锁旋转装置工装
CN107933497B (zh) * 2017-11-20 2022-12-13 杭州国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转向管柱锁及其外壳的制作工序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2A (ja) * 1982-07-15 1984-01-25 Kokusan Kinzoku Kogyo Co Ltd キ−レス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DE19809295C1 (de) * 1998-03-05 1999-05-12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121714C1 (de) * 2001-05-04 2003-01-02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ß, insbesondere zum Verriegel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4031690B2 (ja) * 2002-09-19 2008-0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320154B3 (de) 2003-05-06 2005-0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4494736B2 (ja) * 2003-08-08 2010-06-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5214118A (ja) 2004-01-30 2005-08-11 Tokai Rika Co Ltd スタータ制御装置、スタータ電力供給経路のスイッチ回路、作動制限回路
JP4364764B2 (ja) * 2004-09-30 2009-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222284B2 (ja) * 2004-10-05 2009-0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およ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方法
JP4310701B2 (ja) * 2004-10-28 2009-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4774295B2 (ja) 2004-12-28 2011-09-14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バポレータ
DE102005027777A1 (de) * 2005-06-15 2006-12-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Lenkspindel mit wählbarer Abschaltposition bei Bewegung der Sperrbolzenanordnung in Richtung einer Freigabeendposition
JP5512087B2 (ja) * 2008-02-01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59366A1 (en) 2009-10-15
JP2008030669A (ja) 2008-02-14
CN101489842A (zh) 2009-07-22
CN101489842B (zh) 2011-04-20
EP2048045B1 (en) 2012-09-12
EP2048045A1 (en) 2009-04-15
WO2008015990A1 (fr) 2008-02-07
KR101079447B1 (ko) 2011-11-03
EP2048045A4 (en) 2011-06-22
JP4857045B2 (ja) 2012-01-18
US8229628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447B1 (ko) 전동 스티어링 로크 장치
JP2008137644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50246070A1 (en) Vehicle remote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registration process
JP467178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90260408A1 (en) Motor-driven steering lock apparatus
JP5512087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58774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8712647B2 (en) Steering lock driving circuit and steering lock device
JPH10119722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002714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4121897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715496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462949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291246B2 (ja) 車両用制御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遠隔制御装置
JP2008105647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4201128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786394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JP434148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およ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方法
JP2003104172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023104152A (ja) ドアロックシステム
JP2006219967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7090966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22010910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492407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システム
KR19980069333A (ko) 핸들 로킹 금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