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470A - 로즈힙 및 다른 활성 약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로즈힙 및 다른 활성 약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470A
KR20090033470A KR1020097002869A KR20097002869A KR20090033470A KR 20090033470 A KR20090033470 A KR 20090033470A KR 1020097002869 A KR1020097002869 A KR 1020097002869A KR 20097002869 A KR20097002869 A KR 20097002869A KR 20090033470 A KR20090033470 A KR 2009003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acid
methyl
butenyl
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래더스토르프
요셉 슈바거
카린 베르츠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3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3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 A61K31/635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having a heterocyclic ring, e.g.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즈힙; 및 예를 들어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하이드록시티로솔, 제니스타인, 마그놀롤, 호노키올,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캐슈 과실 추출물 및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한 조성물, 및 약제로서의, 특히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로서의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즈힙 및 다른 활성 약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ROSEHIP AND OTHER A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Devil's Claw),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Amorfrutin)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Glycyrrhiza foetida)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한 조성물, 및 약제로서의, 특히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로서의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은 전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 문제중 하나이다. 염증은 일반적으로 외부 물질 또는 해로운 자극에 의한 숙주 침입에 대한 신체 조직의 국소화된 보호 반응이다. 염증의 원인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원인; 화상 또는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원인; 또는 독소, 약물 또는 산업적 시약과 같은 화학약품; 또는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반응과 같은 면역적 반응, 또는 산화성 스트레스와 관련된 이상상태일 수 있다.
염증은 통증, 적화현상, 팽윤, 열 및 감염된 영역의 궁극적인 기능 손상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증상은 면역계의 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세포의 반응은 여러 군의 염증 매개자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야기한다: 단백질(예를 들어, 사이토카인, 효소(예를 들어, 프로테아제, 퍼옥시다제), 주된 염기성 단백질, 점착 분자(ICAM, VCAM), 지질 매개자(예를 들어, 에이코사노이드,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라이엔,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반응 성 산소 종(예를 들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 산화질소(NO) 등). 그러나, 염증의 매개자중 대부분은 또한 정상적인 세포 활성의 조절자이다. 따라서, 염증 반응의 결핍은 제어되지 않고 손상된 숙주를 야기하고(즉, 감염), 따라서 만성 염증은 상기 매개자중 다수가 과다 생성됨으로써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염증성 질병을 야기한다.
급성 및 만성 염증은 관절염(예를 들어,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염증성 대장 질병, 피부 염증성 질병(예를 들어, 접촉 피부염(특히, 기저귀 영역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조증, 습진, 장미증, 지루, 건선, 신경피부염, 여드름, 열적 및 방사선 화상, 예컨대 일광화상) 및 만성 염증성 질환, 예를 들어 죽상경화증, 심장 질환, 대사 증후군 X, 암, 알츠하이머병 및 이의 전 단계, 예를 들어 가벼운 인지 손상, 또는 만성 피부 염증과 관련된 광노화와 같은 다수의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염증 매개자의 과도한 생합성으로부터 발생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고, 관절염의 다수의 상이한 형태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관절증, 통풍 관절염, 골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프스 및 청소년 관절염을 포함한다. 천식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분자 수준의 특징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키닌 및 이의 수용체, 점착 분자 및 이들 각각의 수용체, 및 염증 효소가 만성적으로 불안정하게 발현된다는 점이다.
건선은 가장 흔한 피부 문제중 하나이고, 인간중 1 내지 3%가 감염되어 있 다. 염증성 대장 질병은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 병과 같은 위장관 질병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혈관내 지질 점착 과정 외에도, 내피 세포(즉, 혈관) 벽의 염증 반응은 죽상 경화증(즉, 죽종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죽상경화증은 염증을 야기하는 혈관 손상으로부터 유발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 T-림프구 및 평활근 세포가 죽상경화증 플라크에 존재한다. 단핵구/대식세포 및 림프구 활성화는 죽상경화성 플라크의 형성 및 궁극적인 파열뿐만 아니라, 내피 세포 손상과 관련된 에이코사노이드, 사이토카인 및 메탈로프로테인아제(MMP)의 방출을 야기한다. 최종적으로, 순환되는 염증 표지자, 예를 들어 C-반응성 단백질(CRP), 피브리노겐, 및 인터류킨이 고위험성 관상 동맥 질병(CAD)의 군에서 증가하거나 변경된다. 여러 임상 시험이 증가된 CRP 농도가 증가된 관상 및 혈관 사건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염증은 죽종 형성의 개시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염증성 질환은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병리생리학과 관련되어 있다. 사이토카인 및 활성화된 미세신경교 세포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 염증의 증거가 존재한다. 따라서, 염증은 전형적인 염증성 질환(예를 들어, 관절염, 천식, 대장 질환)뿐만 아니라 많은 만성 염증성 질환(예를 들어, 죽상경화증, 심장 질병, 대사 증후군 X, 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되어 있다.
염증 사건은 또한 상이한 유형의 암(예를 들어, 위암, 내장암, 흑색종)의 병리생리학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의 유방암, 직장암, 폐암 및 췌장암에서 증가된 수준의 염증 매개자, 예컨대 프로스타글란딘이 발견되어 왔다.
현재, 2가지 주요 부류의 약물인 코티코스테로이드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NSAID 및 코티코스테로이드는 필수적인 증후 경감을 제공한다.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의 심각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의 사용은 감소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중에서 NSAID는 주로 통증과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특히 관절염의 치료(즉, 통증 완화)를 위해 사용된다. 역학 연구는 NSAID를 복용한 환자가 NSAID를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할 위험이 더 낮음을 시사한다. NSAID의 보호 효과는 사이클로옥시제나제가 신경퇴행 과정에 관여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역학 연구는 NSAID를 복용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NSAID를 복용한 사람에게서 직장결장암, 위암, 식도암 및 유방암의 위험이 상당이 감소됨을 보여준다. 동물 모델에서, NSAID는 종양 발달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관절염과 같은 만성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 NSAID의 장기 사용은 심각한 위장 합병증, 신장 독성 또는 천식 반응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부작용이 약하거나 전혀 없는 새로운 소염제가 요구되고 있다. 염증성 질병 환자는 질병 예방 및 보조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주된 부작용이 없고 약한 소염 효과를 갖는 "천연"으로 간주되는 치료 유형에 특히 관심을 갖는다. 또한, 사용된 치료는 과도한 염증성 반응 및 불충분한 염증성 반응 사이의 평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소염 작용을 나타나는 "천연" 약품의 많은 예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화합물의 단점은 이의 생물학적 활성 및 이에 따른 억제 활성이 종종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2개 이상의 천연 물질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이의 작용은 부가적으로, 또는 심지어 상승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는 질병 발견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각각의 물질의 요구되는 양을 저하시킨다. 개별적인 천연 물질 각각의 더욱 적은 투여량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유해한 수준에 도달할 가망성 및 또한 만성적인 사용에 기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가망성이 더 적어진다.
도 1은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내의 개별 성분이 이의 소염 활성에 있어서 상승적으로 작용함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예를 들어 심장 질병, 다발성 경화증,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경화증 및 골다공증의 치료, 병용-치료 및 예방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절염, 특히 골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병용-치료 및 예방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절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및 예방, 특히 관절 염증의 감소, 관절 건강의 유지 및/또는 증가, 관절 강직의 예방, 관절 운동성의 증가, 유연하고/하거나 가요성인 관절의 제공, 관절의 윤활, 관절 염증과 관련된 통증의 완화, 관절 팽윤의 감소, 관절 문제의 경감, 및 관절 보호의 제공을 위한 약품으로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캐슈 과실 추출물 및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제니스타인,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캐슈 과실 추출물 및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및 제니스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로즈힙, 및 올리브 유도성 (폴리)페놀, 예컨대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 특히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로즈힙 및 제니스타인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로즈힙, 및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및/또는 마그놀롤 및/또는 호노키올, 특히 마그놀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절염 또는 피부 염증, 가장 바람직하게는 골 관절염 및/또는 일광화상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품으로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절염 또는 피부 염증, 가장 바람직하게는 골 관절염 및/또는 일광화상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약학 조성물,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량"을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의 염증성 질환, 특히 관절염, 더욱 특히 골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가장 바람직하게는 골 관절염이다.
용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량"은 생리학적인 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양을 지칭한다. 생리학적인 효과는 단일 투여량, 또는 반복 투여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론, 투여된 투여량은 공지된 인자, 예컨대 특정 조성물 및 이의 형태, 및 투여 경로의 생리학적 특징; 수용자의 연령, 건강 및 체중; 증상의 성질 및 정도; 병용-치료의 종류; 치료의 빈도; 및 목적 효과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격에서, 동물은 포유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이의 예는 인간을 포함한다.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의 바람직한 예는 고양이, 개, 단봉낙타, 낙타, 코끼리 및 말을 포함하는 비-반추 동물 또는 반추 동물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품, 식료품,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이 식품 제품, 식료품,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인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식품은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 제품은 인간 또는 동물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식품 또는 사료를 의미한다. 식품 제품은 제조되고 포장된 식품(예를 들어,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빵 또는 치즈 식품) 또는 동물 사료(예를 들어, 압출되고 펠렛화된 동물 사료, 조질의 혼합된 사료 또는 애완 동물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식료품은 인간 또는 동물 소비에 맞춘 임의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식이 보충제는 단일 또는 다중 투여 단위로 포장된 인간 또는 동물의 규정식을 보충하기 위한 소량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식이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칼로리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른 미세영양분(예를 들어, 비타민 또는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영양 보충제는 칼로리 공급원과 조합된 식이 보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영양 보충제는 식사 대용물 또는 보충제(예를 들어, 영양 또는 에너지 바 또는 영양 음료 또는 농축물)이다.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예를 들어 음료, 예컨대 비-알콜성 및 알콜 음료, 및 음료수와 액체 제품에 첨가되는 액체 제제이고, 비-알콜성 음료는 예를 들어 청량 음료, 스포츠 음료, 과일 쥬스, 예를 들어 오렌지 쥬스, 사과 쥬스 및 그레이프프루트 쥬스; 레모네이드, 차, 니어워터 음료 및 우유 및 다른 낙농 음료, 예를 들어 요구르트 음료, 및 다이어트 음료이다. 다른 양태에서,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식품을 의미한다. 이들 형태는 비제한적으로 구워진 제품, 예를 들어 케이크 및 쿠키, 푸딩, 낙농 제품, 과자, 스낵 식품, 또는 냉동된 과자 또는 신상품(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밀크 쉐이크), 조제된 냉동 식사, 캔디, 스낵 제품(예를 들어, 칩), 액체 제품, 예를 들어 스프, 스프레드, 소스, 샐러드 드레싱, 조제된 고기 제품, 치즈, 요구르트 및 다른 임의의 지방 또는 오일 함유 식품, 및 식품 성분(예를 들어, 밀가루)을 포함한다. 용어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은 또한 기능성 식품 및 조제된 식품 제품을 포함하고, 후자는 인간의 소비를 위해 승인된 임의의 미리 포장된 식품을 의미한다.
애완 동물 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는, 트리트(예를 들어, 개 비스킷) 또는 다른 식품 보충제뿐만 아니라, 유리하게는 필요한 식사 요구량을 공급하는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는 무수 조성물(예를 들어, 개 먹이(kibble)), 반-습윤 조성물, 습윤 조성물 또는 이의 임의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동물 사료는 보충제, 예를 들어 그레이비, 음료수, 요구르트, 분말, 현탁액, 츄, 트리트(예를 들어, 비스켓) 또는 임의의 다른 전달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임의의 적합한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경구 전달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의 성분은 경구 소비를 위해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에 함유되어 있다. 담체, 및 이에 따른 식이 보충제 그 자체의 실제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담체는 액체, 젤, 젤캡, 캡슐, 분말, 고체 정제(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음), 차 등일 수 있다. 식이 보충제는 바람직하게는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질 (껍질) 캡슐의 형태이다. 적합한 부형제 및/또는 담체는 말토덱스트린, 탄산 칼슘, 인산 이칼슘, 인산 삼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덱스트로스, 쌀 가루,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포비돈, 수크로스, 식물성 검, 락토스, 메틸셀룰로스, 포비돈,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등(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담체는 탄산 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말토덱스트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성분 및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혼합하고, 바람직한 형태로 성형한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을 약 6.0 내지 7.0의 pH에서 용해되는 장내 코팅으로 코팅시킬 수 있다. 소장에서는 용해되지만 위장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적합한 장내 코팅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이다. 제형화하고 투여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ack Publising Co., Easton, PA)]의 최신 판본에서 발견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소비자가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분말 또는 액체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부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분말의 형태로, 예를 들어 음료에 혼합되어 이용되거나, 반-고체 식품, 예를 들어 푸딩, 토핑, 소스, 퓌레, 요리된 시리얼 또는 샐러드 드레싱으로 교반되어서 이용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소비되기 직전에 방출되기 위해 식품 또는 음료 용기의 캡에 밀봉되어 식품 또는 식이 보충제에 첨가되어 이용됨으로써 개인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히 식이 보충제에 의해 규정식에 첨가되는 칼로리 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식이 보충제는 하나 이상의 불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는 또한 예를 들어 허브, 비타민, 무기물, 강화제, 착색제, 감미료, 향료, 불활성 성분 등을 포함하는 선택적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비제한적으로 인산 칼슘 또는 아세트산 칼슘, 삼염기물; 인산 칼륨, 이염기물; 황산 마그네슘 또는 산화 마그네슘; 염(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또는 아세트산 칼륨; 아스코르브산; 오르토인산 제2철; 니아신아마이드; 황화 아연 또는 산화 아연; 판토텐산 칼슘; 글루콘산 구리; 리보플라빈; 베타-카로틴;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아민 모노나이트레이트; 엽산; 비오틴; 염화 크롬 또는 피콜론산 크롬; 요오드산 칼륨; 셀렌산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필로퀴논; 비타민 D3; 사이아노코발라민; 셀렌산 나트륨; 황산 구리; 비타민 A; 비타민 C; 이노시톨; 요오드산 칼륨을 포함하는 비타민 및 무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비타민 및 무기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예를 들어 U.S. RDA 안내를 참조하여 수득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 보충제(예를 들어, 에너지 바 또는 식사 대용물 바 또는 음료)를 제공한다. 영양 보충제는 식사 또는 스낵 대체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영양 칼로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양 보충제는 균형잡힌 양의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을 제공한다. 영양 보충제는 탄수화물, 단순 쇄 길이 당류, 중간 쇄 길이 당류 또는 다당류, 또는 이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순 당은 바람직한 감각수용성 성질을 위해 선택된다. 조리되지 않은 옥수수 전분이 복합 탄수화물의 한 예이다. 고분자량 구조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경우, 열이 복합 탄수화물을 단순 탄수화물(여기서 단순 탄수화물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임)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조리되거나 열 가공되지 않은 식품 제형 또는 이의 일부분에만 포함되어야 한다. 한 양태에서, 영양 보충제는 3가지 수준(단순, 중간 및 복합; 예를 들어 수크로스, 말토덱스트린 및 조리되지 않은 옥수수 전분)의 쇄 길이의 탄수화물 공급원의 조합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영양 보충제로 혼입되는 단백질 공급원은 영양 제형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단백질일 수 있고, 유장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 유장 분말, 계란, 콩 가루, 두유 콩 단백질, 콩 단백질 단리물, 카제인에이트(예를 들어, 나트륨 카제인에이트, 나트륨 칼슘 카제인에이트, 칼슘 카제인에이트, 칼륨 카제인에이트), 동물 및 식물 단백질 및 이의 가수분해물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 공급원을 선택하는 경우, 단백질의 생물학적 가치가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만 하고, 가장 높은 생물학적 가치는 카제인에이트, 유장, 락트알부민, 계란 알부민 및 전체 계란 단백질에서 발견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단백질은 밀 단백질 농축물과 칼슘 카제인에이트의 조합이다. 이들 단백질은 높은 생물학적 가치를 갖고 있다. 즉, 이들은 높은 비율의 필수 아미노산을 갖고 있다(문헌[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eighth edition, Lea & Febiger, publishers, 1986, especially volume 1, pages 30-32] 참조). 영양 보충제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비타민, 무기물, 산화방지제, 섬유 및 다른 식이 보충제(예를 들어, 단백질, 아미노산, 콜린, 레시틴)중 하나 또는 이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은 제형, 고안, 소비자 선호도 및 최종 사용자의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식이 보충제에 첨가되는 이들 성분의 양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양에 대한 안내가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미국 RDA 투여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추가의 비타민 및 무기물은 비제한적으로 인산 칼슘 또는 아세트산 칼슘, 삼염기물; 인산 칼륨, 이염기물; 황산 마그네슘 또는 산화 마그네슘; 염(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또는 아세트산 칼륨; 아스코르브산; 오르토인산 제2철; 니아신아마이드; 황산 아연 또는 산화 아연; 판토텐산 칼슘; 글루콘산 구리; 리보플라빈; 베타-카로틴;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아민 모노나이트레이트; 엽산; 비오틴; 염화 크롬 또는 피콜론산 크롬; 요오드산 칼륨; 셀렌산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필로퀴논; 비타민 D3; 사이아노코발라민; 셀렌산 나트륨; 황산 구리; 비타민 A; 비타민 C; 이노시톨; 요오드산 칼륨을 포함한다.
영양 보충제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생산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식품 바를 제조하기 위해서 액체 성분을 조리하고, 무수 성분을 혼합기중의 액체 성분에 첨가하고, 반죽 상에 이를 때까지 혼합하고; 반죽을 압출기로 밀어넣고 압출하고; 압출된 반죽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제품을 냉각시킨다. 바는 본원에 구체적으로 열거된 성분에 추가하여, 맛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른 영양분 및 충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당업자는 영양 보충제의 가공 또는 제조를 위해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충진제, 유화제, 방부제 등이 본원에 개시된 것들에 첨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향료, 착색제, 향신료, 견과 등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향료는 가향 추출물, 휘발성 오일, 초콜렛 향, 땅콩 버터 향, 쿠키 부스러기, 파삭파삭한 쌀, 바닐라 또는 임의의 시판중인 향료의 형태일 수 있다. 유용한 향료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순수한 아니스 추출물, 모조 바나나 추출물, 모조 체리 추출물, 초콜렛 추출물, 순수한 레몬 추출물, 순수한 오렌지 추출물, 순수한 페퍼민트 추출물, 모조 파인에플 추출물, 모조 럼 추출물, 모조 딸기 추출물 또는 순수한 바닐라 추출물; 또는 휘발성 오일, 예를 들어 발삼 오일, 월계수 오일, 베르가못 오일, 히말라야삼목 오일, 호두 오일, 체리 오일, 계피 오일, 정향 오일, 페퍼민트 오일; 땅콩 버터, 초콜렛 향, 바닐라 쿠키 부스러기, 버터 캔디 또는 토피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식이 보충제는 코코아 또는 초콜렛을 함유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유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레시틴(예를 들어, 계란 또는 콩으로부터), 및/또는 모노- 및 다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유화제는 당업자에게 명확하고, 적합한 유화제의 선택은 부분적으로 제형 및 최종 생성물에 따라 다르다.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방부제가 또한 기능성 보충제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륨 소르베이트, 나트륨 소르베이트, 칼륨 벤조에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또는 칼슘 이나트륨 EDTA와 같은 방부제가 사용된다.
상기 개시된 탄수화물에 추가하여,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인공 (바람직하게는 저 칼로리) 감미료, 예를 들어 당류, 사이클라메이트, 아스파타민, 아스파탐, 아세설팜 K 및/또는 소르비톨을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 보충제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개인, 또는 고혈당증에 걸리기 쉬운 II형 당뇨병이 있는 개인에 의해 섭취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인공 감미료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규정식에는 빠져 있는 적절한 양의 필수 영양분을 수득하기 위해 멀티-비타민 및 무기물 보충제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멀티-비타민 및 무기 보충제는 또한 생활 패턴으로 인한 영양 손실 및 결핍에 대한 보호 및 질병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기능성 식품을 통해 투여되는, 로즈힙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의 투여량 및 비는, 물론 특정한 조성물 및 이의 형태 및 투여 경로의 생리학적 특징; 수용자의 연령, 건강 및 체중; 증상의 성질 및 정도; 병용-치료의 종류; 치료 빈도; 및 일상적인 시험 또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형에 대한 통상적인 고려에 의해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는 바람직한 효과와 같은 공지된 인자에 따라 변할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기능성 식품은 말린 로즈힙 농축물, 및 하기 양을 갖는 하기 성분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회 분량 당 0.1 내지 10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g,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g의 로즈힙을 포함한다:
· 리구스틸라이드: 0.5 내지 500mg, 및/또는
· 하이드록시티로솔: 0.2 내지 500mg, 및/또는
· 호노키올 및/또는 마그놀롤: 바람직하게는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의 형태로 각각 0.2 내지 500mg, 및/또는
· 제니스타인: 0.2 내지 1000mg, 및/또는
·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 바람직하게는 캐슈 과실 추출물(아나카디움 오시덴탈레)의 형태로 각각 0.2 내지 1000mg, 및/또는
·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또는 화학식 III 내지 XI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리자 포에티다의 추출물의 형태로 각각 0.5 내지 1000mg.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는 어떤 담체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안다. 적합한 약학 담체는 예를 들어, 당해 분야의 표준 참고문헌인 상기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무기 및 유기 담체 물질 둘다이고, 경구/비경구/주사 투여에 적합하고, 물, 젤라틴, 아라비아 검, 락토스,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식물성 오일 등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물, 임의 유래의 젤라틴, 식물성 검, 리그닌설포네이트, 활석, 당, 전분, 아라비아 검, 식물성 오일, 폴리알킬렌 글리콜, 향료, 방부제, 안정화제, 유화제, 완충제, 윤활제, 착색제, 습윤제, 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약학 첨가제 및 보조제,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분말, 정제, 캡슐, 젤, 액체 또는 고체 양태의 형태이다.
약학 조성물내의 개별 성분의 투여량 및 비는 통상적인 임상전 및 임상 시험,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형에 관한 통상적인 고려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로즈힙은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3mg/kg 체중/일 이상의 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50mg/kg 체중/일의 양,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40mg/kg 체중/일의 양으로 단일 투여량 또는 다중 투여량의 형태로 약학 조성물을 통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은 인체를 포함한 동물의 신체에 투여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생약 형태, 보다 특히 경구 투여에 통상적인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고체 형태,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용 첨가제/보충제), 식품 또는 사료 프리믹스, 강화 식품 또는 사료, 정제, 환제, 과립, 당제, 캡슐 및 비등성 제형, 예를 들어 분말 및 정제, 또는 액체 형태, 예를 들어 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 형태, 예를 들어 음료, 페이스트 및 오일성 현탁액 형태일 수 있다. 페이스트는 경질 또는 연질 껍질 캡슐에 충진될 수 있다. 다른 적용 형태의 예는 경피, 비경구, 국소 또는 주사 투여 형태이다. 기능성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은 제어된(지연된) 방출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의 예는 또한 국소 적용에 적합한 조성물, 예를 들어 크림, 젤, 비말, 무수 스틱, 분말 등을 포함한다.
로즈힙의 예는 로즈힙 농축물, 바람직하게는 말린 로즈힙 농축물, 로즈힙의 친유성 추출물(로즈힙 오일, 로즈힙 씨 오일, 또는 분별증류된 친유성 추출물), 로즈힙의 친수성 추출물(로즈힙의 수용성 부분, 예컨대 다당류를 포함하는 로즈힙 추출물), 또는 로즈힙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로드힙 추출물은 야생 장미 나무, 예컨대 로사 카니나(Rosa canina; "도그 로즈힙(dog rosehip)"), 로사 갈리카(Rosa gallica), 로사 콘디타(Rosa condita), 로사 루고사(Rosa rugosa), 로사 후고니스(Rosa hugonis), 로사 니티다(Rosa nitida), 로사 펜둘리나(Rosa pendulina), 로사 핌피넬리폴리아(Rosa pimpinellifolia) 및 로사 세리시아(Rosa sericea)로부터의 과실, 꽃잎 및/또는 씨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즈힙 추출물은 과실(즉, 로즈힙)로부터 제조된다.
로즈힙은 천연 제품이고, 따라서, 이의 조성은 다소 변할 수 있다. 친수성 추출물은, 예를 들어 0.6 내지 1.5mg/g의 범위일 수 있는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가지고, 또한 다른 비타민 및 무기물을 함유한다. 로즈힙 추출물의 예는 미국특허 제US6,024,960호의 기재내용에 따라 제조된다. 물론, 특정 비타민 및 무기물의 양은 종에 의해, 또는 상이한 추출/농축 방법의 사용을 통해 변할 수 있다. 예시적인 로즈힙 추출물은 비제한적으로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02/342274호의 표 1(4 및 5면)에 제시된다.
말린 로즈힙 농축물은 분말로 감축된 말리고 분쇄된 로즈힙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로즈힙 농축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로즈힙을 힙이 완전히 익었을 때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수확한다. 로즈힙은 로사(Rosa) 과에 속하는 임의의 다양한 식물 종으로부터, 예를 들어 야생 장미 나무, 예컨대 로사 카니나("도그 로즈힙"), 로사 갈리카, 로사 콘디타, 로사 루고사, 로사 후고니스, 로사 니티다, 로사 펜둘리나, 로사 핌피넬리폴리아 및 로사 세리시아로부터의 로즈힙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사 카니나의 힙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힙을 수확한 후, 힙을 조각으로 자른다. 추가의 처리가 지연되는 경우, 힙을 냉동 저장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다음 단계는 잘라진 로즈힙을 약 5중량% 이하의 수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는 로즈힙의 비타민 함량이 보존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공기중의 50℃ 미만의 온도에서, 일광을 피하면서 로즈힙을 건조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어서, 말리고 잘라진 로즈힙이, 수확하는 동안에 로즈힙에 수반될 수 있는 외래 물질, 예를 들어 견과 및 모용 등을 제거하는 분리 단계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잔여 과육을 연마 밀에서 분쇄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득된 물질은 1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mm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말리고 분쇄된 로즈힙 농축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힙이 완전히 익었을 때 로즈힙을 수확하는 단계;
(b) 수확된 로즈힙을 조각으로 자르는 단계;
(c) 잘라진 로즈힙을 5중량% 이하의 수 함량으로 건조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말리고 잘라진 로즈힙이, 외래 물질이 제거되는 분리 단계를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
(e) 선택적으로, 과육 및 씨를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단계; 및
(f) 연마 밀에서 잔여 물질은 1mm 미만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분획)은 적어도, 사이아니딘-3-o-글루코사이드, 사이아니딘-3-o-루티노사이드 또는 다이아실글리세롤의 글리코사이드, 예컨대 3-베타-D-갈락토피라노실옥시-2-(옥타데카-9Z,12Z,15Z-트라이엔오일옥시)프로판일 옥타데카-9Z,12Z,15Z-트라이엔오에이트(GOPO), 특히 적어도 GOPO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로즈힙은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형태이다.
로즈힙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 체중)에게,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2g/일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g/일의 양이 사용된다.
따라서,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일일 투여량은 0.3mg/kg 체중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50mg/kg 체중의 평균 투여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40mg/kg 체중이 사용된다.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인 경우, 이에 포함되는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약 0.1 내지 약 1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g의 범위이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고체 투여 단위, 예컨대 캡슐 또는 정제 당 20mg 내지 1g의 양, 또는 예를 들어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500mg 내지 6000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말린 로즈힙 농축물 대신에, 로즈힙 (씨) 오일 또는 개별적인 로즈힙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된 양은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최적 투여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통상적인 실험의 문제이다.
리구스틸라이드는 다양한 식물, 예컨대, 안젤리카 글라우카(Angelica glauca), 안젤리카 아쿠틸로바(Angelica acutiloba), 안젤리카 시넨시스(Angelica sinensis), 안젤리카 다후리카에(Angelica dahuricae), 리구스티쿰 아쿠틸로붐(Ligusticum acutilobum), 리구스티쿰 오피시날레(Ligusticum officinale), 리구스티쿰 시넨스(Ligusticum sinense), 리구스티쿰 왈리치(Ligusticum wallichii), 크니디움 오피시날레(Cnidium officinale), 리조마 쿠안시옹(Rhizoma Chuanxiong), 플레우로스퍼뭄 후커리(Pleurospermum hookeri), 트라키스퍼뭄 록스버기아눔(Trachyspermum roxburghianum), 메움 아타만티쿰(Meum athamanticum), 로마티움 토레이(Lomatium torreyi),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 오포파낙스 키로니움(Opopanax chironium), 세놀로피움 데누다툼(Cenolophium denudatum), 코리안드룸 사티부움(Coriandrum sativuum), 실라움 실라우스(Silaum silaus)로부터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단리될 수 있지만(예를 들어, 문헌[Beck J.J. and Stermitz F.R., J. Natural Products, Vol. 58, No. 7, pp. 1047-1055, 1995] 참조),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구스틸라이드는, 본원에 이의 내용이 참조로서 혼입된 유럽특허출원 제05 002333.2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50중량% 이상의 리구스틸라이드, 및 10중량% 이하의 지방산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리구스티쿰(Ligusticum) 종, 특히 L. 왈리치로부터 정제된 식물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리구스틸라이드는 0.01 내지 50mg/kg 체중/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mg/kg 체중/일의 효과적인 투여량으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0.5mg 내지 500mg의 리구스틸라이드를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500mg의 양이거나,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 내지 2000mg의 양인 리구스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올리브 유도성 (폴리)페놀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은 합성 유래일 수 있거나, 또는 추출 및/또는 정제에 의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도된 생산품 및 부산품과 같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올리브 나무의 생산품 또는 부산품은 비제한적으로 올리브, 올리브 나무 잎, 올리브 펄프, 올리브 오일, 올리브-유래 식물수 및 올리브 오일 앙금을 포괄한다. 추출 과정에 기초한 양, 개별적으로 (폴리)페놀, 예컨대 하이드록시티로솔의 비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 예컨대 하이드록시티로솔은 통상적이고 상업상 이용가능한 공급원, 예컨대 재배자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올리브로부터 유래한다.
부가적으로, 용어 하이드록시티로솔은, 예를 들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래하는 생산품 및 부산품으로부터 수득가능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포괄하고, 용어 올레우로페인(I)은, 예를 들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래하는 생산품 및 부산품으로부터 수득가능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올레우로페인(I)을 포괄하고, 용어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은, 예를 들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래하는 생산품 및 부산품으로부터 수득가능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을 포괄하고, 용어 티로솔은, 예를 들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래하는 생산품 및 부산품으로부터 수득가능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티로솔을 포괄한다.
본원에 사용된 페놀계 화합물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가공되어 기술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는 올리브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리브 및/또는 올리브 잎을 압착하여 올리브 오일, 식물수 및 고체 부산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페놀계 화합물을 상기 혼합물로부터 직접 수득할 수 있거나, 상기 혼합물을 분별증류하고/하거나 정제하여 페놀계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조성물을 분별증류하고/하거나 정제할 수 있다. 분별증류 방법의 예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할,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초임계 유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올리브 잎으로부터의 올레우로페인 및/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추출을 다룬 참고문헌의 예는 90% 이상의 존재하는 올레우로페인이 전환될 때까지 2 내지 12개월 동안 올리브 식물수의 산 가수분해를 위한 방법를 개시하고 있는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02/18310 A1호, 미국특허공개공보 제US2002/0198415 A1호, 제WO2004/005228 A1호, 미국특허 제US6,416,808호 및 제US2002/0058078 A1호이다. 올리브, 올리브 펄프, 올리브 오일 및 오일 밀 폐수로부터의 페놀게 화합물의 추출 방법은 올리브 잎으로부터의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추출을 기술하는 제US6,361,803호, 제WO01/45514 A1호, 및 제US2002/0004077 Al호, 유럽특허공개공보 제EP1 582 512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씨를 뺀 올리브의 식물수로부터 하이드록시티로솔 및/또는 올레우로페인을 수득하는 방법이 제US2004/0039066 A1호의 문단[0080] 내지 [009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즈힙과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는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판중인 하이드록시티로솔은, 예를 들어 올리브 과실로부터의 추출물, 예컨대 라이프 엑스텐션(Life Extension)으로부터의 폴리펜-오일(Polyphen-Oil; 상표명), 인데나(Indena)로부터의 올레아셀렉트(OleaSelect; 상표명), 제노사(Genosa)로부터의 하이트올리브(Hytolive; 등록상표명), 셉픽(Seppic)으로부터의 프롤리볼스(Prolivols), 랄리랩(Lalilab)으로부터의 올레아 유로피아(Olea europea)의 올리브 리프(OLIVE LEAF) 또는 올리브 워터 엑스트랙트(OLIVE Water Extract), 에비서(Ebiser)로부터의 올리페(Olife; 상표명) 및 히토풀빅(Hitofulvic), 유럽특허 제EP158251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가수분해된 올리브 잎 추출물, 퍼푸랄(Furfural)로부터 시판중인 올레우로페인이 풍부한 올리브 잎 추출물, 및/또는 크레아그리(CreAgri)로부터의 하이드록스(HIDROX; 등록상표명)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로즈힙은 크레아그리로부터의 하이드록스(등록상표명), 예컨대 하이드록스(등록상표명) 2% 분무 건조된 분말, 하이드록스(등록상표명) 골드(Gold) 냉동 건조된 분말(9%) 및/또는 하이드록스(등록상표명) 6% 냉동 건조된 분말 유기 올리브 쥬스 추출물과, 또는 순수한 형태의 하이드록시티로솔(합성 또는 정제된 하이드록시티로솔)과 조합된다.
페놀계 화합물은 합성 유래일 수 있거나, 또는 천연 공급원, 예컨대 추출 및/또는 정제에 의해 올리브 나무로부터 유도된 생산품 및 부산품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올리브 나무의 생산품 및 부산품은 비제한적으로 올리브, 올리브 나무 잎, 올리브 펄프, 올리브 오일, 올리브-유도된 식물수 및 올리브 오일 앙금을 포괄한다. 추출 과정에 기초한 양, 개별적으로 페놀 화합물의 비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합성 또는 정제된 하이드록시티로솔(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에탄올)의 경우에, 하이드록시티로솔은 90% 이상의 순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이상의 순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의 순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의 순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 이상의 순도,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95% 이상의 순도, 구체적으로는 96% 이상의 순도,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의 순도,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98% 이상의 순도, 가장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순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HPLC 또는 LC-M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이 90% 초과의 순도로 제조될 수 있는 합성 방법의 예는 귀금속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 C1-10-알칸올중 3,4-다이하이드록시만델산 또는 3,4-다이하이드록시만델산 C1-10-알킬 에스터를 수소화시키고, 형성된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C1-10-알킬 에스터를 선택적으로 환원시켜 2-(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에탄올(즉,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이의 특정 예는 하기 기술되어 있다. 페놀계 화합물의 순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HPLC 또는 LC-M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수소화는 본래 공지된 방법으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내에서, Pd 및 Rh와 같은 귀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촉매의 활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활성화 탄소, 알루미나 또는 규조토와 같은 담체상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한 수소화 촉매는 Pd/C이다.
수소화는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소화 온도에서의 용매의 증기압보다 높은 수소압에서, 바람직하게는 강산, 바람직하게는 염산의 존재하에, 저급 알칸올, 즉, C1-10-알칸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압력은 정상압, 즉 대기압 내지 100바 이상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체 공정으로서 바람직하게 수행되는 반응은 2개의 개별 단계, 즉 3,4-다이하이드록시만델산의 에스터가 산의 에스터화에 의해 축적되는 제 1 단계, 및 3,4-다이하이드록시만델산 저급 알킬 에스터가 수소화되는 제 2 단계로 달성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을 생성하는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C1-10-알킬 에스터의 환원은 공지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환원제는 알루미늄 및 붕소의 복합 하이드라이드, 예컨대 LiAlH4 및 NaBH4이다. 출발 물질 3,4-다이하이드록시만델산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글리옥실산과의 카테콜의 축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페놀계 화합물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1 내지 2000mg/일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0.5 내지 1000mg의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20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 내지 3000mg의 양인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마그놀롤"은 5,5'-다이알릴-2,2'-바이페닐다이올 또는 5,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2'-다이올(CAS [528-43-8])로서 공지된 순수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용어 마그놀롤은 또한 5,5'-다이알릴-2,2'-바이페닐다이올 또는 5,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2'-다이올로부터 에터화되거나 에스터화된 하이드록시 유도체를 포함한다. 에스터 또는 에터 기는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 C1-26-알킬 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6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방향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에터화된 하이드록시 기의 예는 글리코사이드 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에스터화된 하이드록시 기의 예는 글루쿠로나이드 또는 설페이트 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람직한 마그놀롤은 5,5'-다이알릴-2,2'-바이페닐다이올 또는 5,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2'-다이올이다.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마그놀리아 오보바타(Magnolia obovata), 마그놀리아 로스트라타(Magnolia rostrata), 마그놀리아 빌보아(Magnolia bilboa), 마그놀리아 비온디(Magnolia biondii), 마그놀리아 퀸퀘페타(Magnolia quinquepeta), 마그놀리아 스프렌게리(Magnolia sprengeri), 만글리에티아 인시그니스(Manglietia insignis), 만글리에티아 스제추아니카(Manglietia szechuanica), 만글리에티아 유유아넨시스(Manglietia yuyuanensis), 서시다이필룸 자포니쿰(Cercidiphyllum japonicum) 등으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마그놀롤은 공지된 소염제이고, 바람직하게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되지만, 물론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마그놀롤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1 내지 2000mg/일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2 내지 500mg의 마그놀롤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5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5 내지 2000mg의 양인 마그놀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호노키올"은 3',5-다이알릴-2,4'-바이페닐다이올 또는 3',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4'-다이올(CAS [35354-74-6])로서 공지된 순수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용어 호노키올은 또한 3',5-다이알릴-2,4'-바이페닐다이올 또는 3',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4'-다이올로부터 에터화되거나 에스터화된 하이드록시 유도체를 포함한다. 에스터 또는 에터 기는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 C1-26-알킬 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6의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방향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에터화된 하이드록시 기의 예는 글리코사이드 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에스터화된 하이드록시 기의 예는 글루쿠로나이드 또는 설페이트 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사용된 바람직한 "호노키올"은 3',5-다이알릴-2,4'-바이페닐다이올 또는 3',5-다이-2-프로펜일-[1,1'-바이페닐]-2,4'-다이올이다.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 마그놀리아 오보바타, 마그놀리아 로스트라타, 마그놀리아 빌보아, 마그놀리아 비온디, 마그놀리아 퀸퀘페타, 마그놀리아 스프렌게리, 만글리에티아 인시그니스, 만글리에티아 스제추아니카, 만글리에티아 유유아넨시스, 서시다이필룸 자포니쿰, 마칠루스 툰버기(Machilus thunbergii) 등으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호노키올은 공지된 소염제이고, 바람직하게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되지만, 물론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호노키올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1 내지 2000mg/일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2 내지 500mg의 호노키올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5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5 내지 약 2000mg의 양인 호노키올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놀리아 수피(선택적으로 말리거나 연마된 형태임)는 환류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에탄올 또는 다이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것은 SF 카보다이옥사이드와 같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물을 사용한 수피의 증기 증류 및 이어지는 증류된 유기체 부분의 샘플화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샘플화는 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지는 용매의 제거는 목적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렇게 수득된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은 마그놀롤 및/또는 호노키올의 함량을 강화시키는 추가의 가공 단계를 거쳐 마그놀롤 및/또는 호노키올이 강화된 마그놀리아 수피의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양태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그놀롤 및 호노키올을 포함하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 유도된 추출물을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니스타인"은 아글리콘(4',5,7-트라이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제니스타인 글리코사이드, 제니스타인 설페이트, 제니스타인 글루쿠로나이드를 포함한다.
제니스타인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0.5 내지 20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0.2 내지 500mg의 제니스타인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0.5 내지 5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0.5 내지 2000mg의 양인 제니스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
메틸설포닐메탄(MSM)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성인 인간(약 70kg의 체중)에 의한 메틸설포닐메탄의 일일 섭취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000m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mg/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50mg/일이다.
기능성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5 내지 3000mg의 MSM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0 내지 10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250 내지 750mg의 양인 MS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격내에서, SAMe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서 정의된다. SAMe는 시판중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0mg/일로 투여된다. 시판중인 제품에 사용되는 양의 예는 200mg의 SAMe(400mg의 SAMe-토실레이트 다이설페이트로부터), 400mg의 S-아데노실 L-메티오닌(SAMe로부터), 200mg의 S-아데노실 메티오닌, 또는 400mg의 SAMe(S-아데노실메티오닌 1,4-부탄다이설폰에이트로서)이다.
기능성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5 내지 1000mg의 SAMe를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0 내지 10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0 내지 3000mg의 양인 SAMe를 포함할 수 있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동물 연골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단백질 혼합물이다. 이는 많은 보충제 회사에서 시판중이다.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콜라겐은 시판중이고, 성인 인간(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이의 일일 섭취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mg/일,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mg/일이다.
"콜라겐"으로서 본원에 지칭되는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변성되지 않은 콜라겐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닭 흉골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기능성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5 내지 5000mg의 콜라겐 또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0 내지 10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0 내지 5000mg의 양인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아스코르브산의 모노- 및 폴리-인산 에스터의 금속 염을 나타내고, 이때 아스코르브산 분자의 인산화된 하이드록시 기는 하나 이상의 인산(포스페이트) 단위 및 금속 양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및/또는 마그네슘 또는 칼슘 이온이 또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한다. 용어 "폴리"는 일반적으로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의 포스페이트 단위를 나타낸다.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또한 일반적으로 모노- 및 폴리-포스페이트를 둘다 포괄하는 "아스코르빌 (폴리)포스페이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L-아스코르브산 포스페이트 에스터 염, 예컨대 나트륨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칼륨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칼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마그네슘 L-아스코르빌-2-모노포스페이트이다. 시판중인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 아게(DSM Nutritional Products AG; 스위스 4303 카이세르아우그스트 소재)로부터 스테이-C(STAY-C; 등록상표명) 50으로서 시판중인 삼나트륨 L-아스코르빌-2-모노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L-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쇼와 덴코(Showa Denko)에서 시판중), 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 아게(스위스 4303 카이세르아우그스트 소재)로부터 로비믹스(ROVIMIX; 등록상표명) 스테이-C(등록상표명) 35로서 시판중인 L-아스코르브산-모노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마그네슘 L-아스코르빌-2-모노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바람직한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삼나트륨 L-아스코르빌-2-모노포스페이트이다.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투여량으로 기능성 식품, 약학,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에 혼입될 수 있다.
라이코펜(ψ,ψ 카로틴; C40H56; CAS [502-65-8])은 카로티노이드 과에 속하고, 11개의 공액된 이중 결합 및 부가적인 2개의 비공액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 라이코펜은 주요한 식이 카로티노이드중 하나이고, 다양한 과일 및 채소, 특히 토마토 및 토마토 생산품에서 발견된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수박, 핑크 그레이프프루트 및 구아바에서 발견된다.
라이코펜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0.05 내지 50m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0.05 내지 50mg의 라이코펜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또는 액체 제형 당 0.5 내지 50mg의 양인 라이코펜을 포함할 수 있다.
카돌 다이엔의 화학식은 도 1의 화학식 XII로 주어진다. 카돌 트라이엔의 화학식은 도 1의 화학식 XIII으로 주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카돌 다이엔(XII)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1 내지 2000mg/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0.2 내지 1000mg의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인 경우,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의 양은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0.5 내지 2000mg,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 내지 3000mg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추출물, 예를 들어 캐슈 식물(아나카디움 오시덴탈레(Anacardium occidentale)) 또는 캐슈 식물의 부분의 추출물(바람직하게는 유기 상 또는 초임계 유체임), 예를 들어 캐슈 과실의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되거나 추출되고/되거나 정제될 수 있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이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급원, 예컨대 재배자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캐슈 식물로부터 유도된다. 다수의 페놀계 화합물이 아나카디움 오시덴탈레, 캐슈 견과, 캐슈 견과 껍질, 캐슈 애플, 및 다양한 톡시코덴드론(Toxicodendron) 종, 예컨대 T. 라디칸스(T. radicans), T. 디버실로붐(T. diversilovum), 또한 루스 베르니시플루아(Rhus verniciflua) 및 멜라노로에아 우시타타(Melanorrhoea usitata)로부터 발견된다.
본원에 사용된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슈 애플을 추출하여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상기 혼합물로부터 직접 수득될 수 있고, 혼합물을 분별증류하고/하거나 정제하여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을 수득할 수 있다. 조성물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분별증류하고/하거나 정제할 수 있다. 분별증류 방법의 예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할,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초임계 유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은 예를 들어 메탄올:메틸 t-부틸 에터(9:1)를 사용한 아나카디움 오시덴달레의 말린 식물 물질의 추출 및 이어지는 완충된 용매 시스템중에서의 제조용 HPLC에 의한 상기 수득된 조질 추출물의 분별증류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캐슈 과실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카돌 다이엔(XII) 및/또는 카돌 트라이엔(XIII)의 양이 상기한 바와 같은 양으로 사용된다.
용어 보스웰산은 순수한 보스웰산 및 이의 유도체, 및 보스웰산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3-O-아세틸-11-케토-베타-보스웰산을 포함하는 보스웰산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는 5-록신(LOXIN; 등록상표명)(피엘 토마스(PL Thomas))으로 지칭되는 식이 보충제로 시판중이다. 추출물 자체는 제니 허브스(Geni Herbs)에서 워크벨(WokVel; 등록상표명)로 시판중이다. 이는 또한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성인 인간(약 70kg의 체중)에 의한 보스웰산(추출물)의 일일 섭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mg/일,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mg/일이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회 분량 당 5 내지 500mg의 보스웰산 또는 보스웰산 추출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50 내지 500mg의 양,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50 내지 1000mg의 양인 보스웰산 또는 보스웰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로즈힙은 글리시리자 포에티다와 조합될 수도 있다. 용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는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유도된 식물의 모든 부분, 및 이의 유도된 추출물을 포괄한다. 바람직하게는, 로즈힙은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유도된 추출물과 조합된다.
로즈힙은 또한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단리된 화합물, 예컨대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또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더욱 바람직하게는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 및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강화된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전체 또는 이의 부분, 예컨대 실생 식물, 어린 식물, 잎, 꽃(선택적으로 말리거나 연마된 형태), 또는 종자로서의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는 말리고 연마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환류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에탄올 또는 다이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것은 SF 이산화 탄소와 같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물을 사용한 식물의 증기 증류 및 이어지는 증류된 유기체 부분의 샘플화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샘플화는 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지는 용매의 제거는 목적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추출물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렇게 수득된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추출물은 특정 화합물의 함량을 강화시키는 추가의 가공 단계를 거쳐 글리시리자 포에티다의 추출물,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또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더욱 바람직하게는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 아모프루틴 B 및 아모프루틴 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강화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합물 III 내지 XI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화합물 III 내지 XI은, 예를 들어 메탄올:메틸 t-부틸 에터(MTB)(9:1)를 사용한 글리시리자 포에티다의 말린 식물 물질의 추출 및 이어지는 완충된 용매 시스템중에서의 제조용 HPLC에 의한 상기 수득된 조질 추출물의 분별증류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합성될 수 있다. 분별증류 방법의 예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할,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초임계 유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물론, 화학식 III 내지 XI의 화합물은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접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III 내지 XI은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유도된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이로부터 유도된 추출물 및/또는 이에 함유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이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급원, 예컨대 재배자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유도된다.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이로부터 유도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0.5 내지 2000mg/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mg의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추출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2000mg,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 내지 3000mg의 양인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부터 단리된 개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예를 들어, 약 70kg의 체중)에 의한 일일 소비가 0.5 내지 2000mg/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g/일의 범위인 농도로 사용된다.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0mg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또는 정제 당 1 내지 2000mg, 또는 액체 제형의 일일 투여량 당 1 내지 3000mg의 양인, 글리시리자 포에티다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화합물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개별 화합물의 양이 상기한 바와 같은 양으로 사용된다.
하파고파이툼 프로쿰벤스(Harpagophytum procumbens; 악마의 발톱)의 추출물은 시판중이다. 악마의 발톱내의 활성 성분은 하파고사이드로 지칭되는 글리코사이드이다. 악마의 발톱의 다른 구성 성분은 베타-시토스테롤, 하파가이드, 프로쿰빈, 당, 검 수지 및 쓴 성분을 포함한다. 악마의 발톱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판중인 것과 동일한 범위내이다.
유단백질 농축물은 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브란덴부르그 너트리션(Brandenburg nutrition)으로부터의 마이크로락틴(MicroLactin; 상표명) 또는 디에스엠 푸드 스페셜리티스(DSM Food Specialities)로부터의 펩토프로(Peptopro)로서 시판중이다. 이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판중인 것과 동일한 범위내이다.
마로니에 추출물은 사포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애스쿨루스 히포카스타눔(Aesculus hippocastanum)으로부터 수득된 추출물을 지칭한다.
로즈힙이 조합되어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화합물의 다른 예는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된 지방산, 카니틴, 티모퀴논, 루테인, 제아잔틴 및 β-크립토잔틴,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이의 유도체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미용적으로 또는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후자의 제형은 투정 유형의 약학 조성물임)에 관한 것이다.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미용 및 피부과용 각각의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 및/또는 부가적인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은 피부 염증, 특히 자외선-방사에 의해 유발되는 일광화상, 접촉성 피부염(특히 기저귀 영역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조증, 습진, 장미증, 지루, 건선, 신경피부염, 열적 화상 및 광피부 노화를 치료하거나, 병용-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보호 제형, 또는 불순한 피부를 치료하거나, 병용-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부 보호 제형이다. 깨끗하지 못한 피부의 예는 뽀루지, 여드름, 및 염증 양상을 갖는 다른 피부 불순 상태를 포함한다.
용어 "효과량"은 바람직하게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열거된 각각의 활성 약품의 0.001중량% 이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은 0.01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양의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약품을 포함한다.
피부에 적용되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의 양은 제형내의 활성 성분의 농도 및 목적하는 미용 또는 약학 효과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적용은 크림이 피부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크림은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2mg 크림/cm2 피부의 양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피부에 적용되는 조성물의 양은 중요하지 않으며, 특정 양의 적용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목적 효과가 달성될 수 없는 경우에는, 더욱 많은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더욱 높은 농도의 활성 제형이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염증을 미용 치료하거나, 병용-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한, 특히 일광화상, 접촉성 피부염(특히 기저귀 영역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조증, 습진, 장미증, 지루, 건선, 신경피부염, 열적 화상 및 광피부 노화를 미용 치료하거나, 병용-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한 미용 제형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염증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인간에게 효과량의 본 발명의 피부과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피부 염증, 특히 일광화상, 또는 예컨대 여드름과 같은 불순한 피부, 또는 만성 피부 염증과 관련된 광피부 노화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피부 염증, 특히 일광화상 또는 불순한 피부의 미용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광차단제와 조합하여 국소 적용함으로써 일광화상을 바람직하게 예방한다.
본 발명의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은 용매 또는 지방 물질 중의 현탁액 또는 분산액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유화액 또는 미세 유화액(특히, O/W 또는 W/O 유형, O/W/O 또는 W/O/W 유형, 여기서 O는 오일 상을 나타내고 W는 수 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크림, 페이스트, 로션, 증점된 로션 또는 밀크이거나, 연고, 젤, 고체 튜브 스틱 또는 에어로졸 무쓰의 형태인 소포성 분산액일 수 있고, 무쓰, 포말 또는 분무 포말, 비말, 스틱 또는 에어로졸 또는 와이프(wipe)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의 예는 피부 보호 제형, 특히 바디 오일, 바디 로션, 바디 젤, 치료 크림, 피부 보호 연고, 보습 젤, 보습 스프레이, 리바이탈라이징(revitalizing) 바디 스프레이, 애프터 썬(after sun) 제형 또는 썬스크린 제형이다.
피부 염증, 예를 들어 일광화상, 광피부 노화 또는 불순한 피부를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은 그 예가 상기에 개시되어 있는 경구 투여에 통상적인 형태일 수 있고, 또한 미용 식품 및 보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 예를 들어 썬스크린 제형 또는 애프터 썬 제형은 통상적인 미용 및 피부과용 각각의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 예를 들어 방부제/산화방지제, 지방 물질/오일, 물, 유기 용매, 실리콘, 증점제, 연화제, 유화제, 추가의 광차단제, 소포제, 보습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충진제, 포획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 추진제, 산성화제, 염기성화제, 염료, 착색제, 안료 또는 나노안료, 광 안정화제, 곤충 기피제, 피부 태닝제, 피부 백화제, 항균제, 방부 활성 성분 또는 화장품으로 일반적으로 제형화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 예를 들어 태양광 차단 제형내로 혼입될 수 있는 광차단제는 자외선-A, 자외선-B, 자외선-C 및/또는 광대역 필터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다. 자외선-B 또는 넓은 스펙트럼 차단제, 즉 약 290 내지 340nm에서 흡수 최대치를 갖는 물질은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일 수 있다. 유기 자외선-B 또는 광대역 차단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 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옥토크릴렌, 파솔(PARSOL; 등록상표명) 340), 에틸 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4-메틸 벤질리덴 캠퍼(파솔(등록상표명) 5000), 3-벤질리덴 캠퍼, 캠퍼 벤즈알코늄 메토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캠퍼, 설포 벤질리덴 캠퍼, 설포메틸 벤질리덴 캠퍼, 테레프탈리덴 다이캠퍼 설폰산 등과 같은 캠퍼 유도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파솔(등록상표명) MCX), 에톡시에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다이에탄올아민 메톡시신나메이트[파솔(등록상표명) 하이드로(Hydro)], 이소아밀 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및 실록산에 결합된 신남산 유도체와 같은 신나메이트 유도체; p-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p-다이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N-옥시프로필렌화된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 p-아미노벤조에이트와 같은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벤조페논-3, 벤조페논-4,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등과 같은 벤조페논; 다이-(2-에틸헥실)-4-메톡시벤잘말론에이트와 같은 벤잘말론산의 에스터; 유럽특허 제EP 0895 776호에 기재되어 있는 2-(4-에톡시 아닐리노메틸렌)프로판다이오산 다이에틸 에스터와 같은 2-(4-에톡시-아닐리노메틸렌)프로판다이오산의 에스터; 폴리실리콘-15(파솔(등록상표명) SLX)와 같은 유럽특허 제EP 0358584 B1호, 제EP 0538431 B1호 및 제EP 0709080 A1호에 기재되어 있는 벤즈말론에이트 기 함유 유기 실록산 화합물; 드로메트리졸 트라이실록산(멕소릴(Mexoryl) XL); 예를 들어 2-페닐 벤즈이미다졸 설폰산 및 이의 염(파솔(등록상표명) HS)과 같은 이미다졸 유도체(2-페닐 벤즈이미다졸 설폰산의 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 같은 알칼리금속 염; 암모늄 염, 모폴린 염; 모노에탄올아민 염, 다이에탄올아민 염 등과 같은 1급, 2급 및 3급 아민의 염임); 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부틸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파솔(등록상표명) EHS, 네오 헬리오판(NEO Heliopan) OS), 이소옥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호모살레이트, 파솔(등록상표명) HMS, 네오 헬리오판 OS) 등과 같은 살리실레이트 유도체; 에틸헥실 트라이아존(유비눌(Uvinul) T-150), 다이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라이아존(유바솔브(Uvasorb) HEB)과 같은 트라이아진 유도체; 캡슐화된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유솔렉스(Eusolex) 자외선-펄) 또는 제EP 1471995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자외선-필터가 부하된 마이크로캡슐과 같은 캡슐화된 자외선-필터이다. 무기 화합물은 미립자화된 TiO2, ZnO 등과 같은 안료이다. 용어 "미립자화된"은 약 5 내지 약 200nm, 특히 약 15 내지 약 100nm의 입자 크기를 지칭한다. TiO2 입자를 예컨대 산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지르코늄과 같은 금속 산화물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폴리올, 메티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알킬 실란과 같은 유기 코팅에 의해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넓은 스펙트럼 또는 자외선-A 차단제, 즉 약 320 내지 400nm에서 흡수 최대치를 갖는 물질의 예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어 4-3급-부틸-4'-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파솔(등록상표명) 1789), 다이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이소프로필다이벤조일메탄 등과 같은 다이벤조일메탄 유도체;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티노솔브(TINOSORB) M] 등과 같은 벤조트라이아졸 유도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라이아진(티노솔브 S) 등; 2,2-(1,4-페닐렌)-비스-(1H-벤즈이미다졸-4,6-다이설폰산)(네오 헬리오판 AP)과 같은 페닐렌-1,4-비스-벤즈이미다졸설폰산 또는 염; 유럽특허 제EP 1046391호에 기재되어 있는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에스터(유비눌 A 플러스)와 같은 아미노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조페논;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 2005080341 A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온성 자외선-A 필터; 미립자화된 ZnO 또는 TiO2 등과 같은 안료일 수 있다. 용어 "미립자화된"은 약 5 내지 약 200nm, 특히 약 15 내지 약 100nm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지르코늄과 같은 다른 금속 산화물에 의해, 또는 예컨대 폴리올, 메티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알킬 실란과 같은 유기 코팅에 의해 입자를 코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다이벤조일메탄 유도체는 제한된 광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자외선-A 차단제를 광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통상적인 자외선-A 차단제"는 또한 예컨대 유럽특허 제EP 0 514 491 B1호 및 제EP 0 780 119 A1호에 기재되어 있는 3,3-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미국특허 제5,605,680호에 기재되어 있는 벤질리덴 캠퍼 유도체; 유럽특허 제EP 0358584 B1호, 제EP 0538431 B1호 및 제EP 0709080 A1호에 기재되어 있는 벤즈말론에이트 기 함유 유기 실록산으로 안정화된 파솔(등록상표명) 1789와 같은 다이벤조일메탄 유도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미용 또는 피부과용 제형에 포함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비타민 Q, D 및 K, 레티놀, 레티날, 레틴산, 레티놀 아세테이트, 레티놀 팔미테이트, 비오틴, 카로티노이드 유도체, 예를 들어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아스타잔틴, 식물성 추출물, 항균 성분, 다이펩타이드, 올리고 펩타이드 및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불안정한 아미노산, 예를 들어 메티오닌, 시스테인, 시스틴,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티로신, 페놀, 폴리페놀 또는 플라바노이드, 비사볼롤, 알란토인, 피탄트라이올, 판텐올, AHA 산, 유비퀴논, 예를 들어 조효소 Q 10,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정유, 식물 추출물 데옥시리보핵산, 피탄산이다.
바람직한 제품을 기준으로 하는, 미용 및 피부과용 보조제, 첨가제 및/또는 추가의 활성 성분의 필수적인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되고, 비제한적으로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 특히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및 제니스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및/또는 제니스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구스틸라이드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올리브 유도성 (폴리)페놀, 예컨대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및/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 특히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마그놀롤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니스타인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 특히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및 제니스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효과량을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효과량"은 상승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양을 지칭한다. 물론, 투여량은 공지된 인자, 예컨대 특정 조성물 및 이의 형태 및 투여의 경로의 생리학적 특성; 수용자의 연령, 건강 및 체중; 증상의 성질 및 정도; 병용-치료의 종류; 치료의 빈도; 및 목적 효과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리구스틸라이드를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효과량의 올리브 유도성 (폴리)페놀, 예컨대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및/또는 하이드록시티로솔, 특히 하이드록시티로솔을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마그놀롤을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효과량의 제니스타인을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관절 질환, 즉 관절에서의 연골 퇴행 또는 연골 손상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그리고, 관절 질환, 예를 들어 퇴행성 관절 질환, 예컨대 골 관절염 또는 스포츠 손상의 연골 퇴행 요소의 치료를 위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골 퇴행은 연골 퇴행 효소, 예컨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의 증가된 생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관절 연골의 대사성 질환으로서 본 발명의 골격내에서 정의된다.
골 관절염은 노화하는 동안 관절의 마모 및 찢김에 의해 발생하고, 통증 및 감소된 관절 기능을 야기하는, 비염증성 유래의 관절의 만성 퇴행성 질병이다. 골 관절염의 증상은 하나 이상의 관절에서의 통증, 강직 및 운동성의 손실을 포함한다. 과도한 관절 부하는 골 관절염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골 관절염은 주로 체중-부하 관절, 예컨대 척추, 무릎 및 힙에 영향을 주지만, 엄지 및 손가락 관절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관절 질환은 손상, 즉, 미세손상 또는 둔기 외상, 골절, 힘줄, 슬관절 또는 인대의 손상으로부터 유발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손상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발되는 과도한 기계적인 스트레스 또는 다른 생체역학적 불안정의 결과일 수 있다.
연골 퇴행에 기인한 관절 질환은 노인의 장애 및 기능부전의 원인을 야기하고, 60세 이상의 사람중 거의 80%는 이러한 질환의 일부 증거를 나타낸다. 연령, 유전적인 인자, 근육 불용 및 무름, 외상, 비만 및 해부학적 비정상은 이러한 질환의 발생에 기여한다.
관절 질환은 치료하기가 어렵다. 현재까지, 치료는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하는 증상의 처리로 대개 제한되어 있었다. 이러한 약물은 통증을 조절하고, 팽윤을 억제하지만, 연골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지는 못한다. 심각한 연골 손상을 빈번하게 경험하는 환자는 관절 대체 수술을 비롯한 수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연골 손실 및 손상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약품에 대한 큰 요구가 존재하고, 이러한 요구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관절 건강의 유지 및/또는 개선, 관절 강직의 예방, 관절 운동성의 증진, 유연하고/하거나 가요성인 관절의 제공, 관절의 윤활, 관절염 통증의 완화, 관절 문제의 경감, 관절 보호의 제공, 관절 퇴행의 치료 또는 예방, 관절 보전, 관절 손상의 진행의 지연 또는 예방, 관절 기능의 지속, 관절 건강 및 기능의 증진, 활동적인 개인을 위한 관절 건강 및 운동성의 자연적인 지속, 관절의 활동적인 가요성의 유지, 관절 가요성의 증진 및 관절 운동성의 증진.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골 재생 및 유지 약품으로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 관절 건강의 유지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 관절 연골의 유지 및 재생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 및
· (관절) 연골의 재생 및/또는 유지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효과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관절) 연골의 재생 및/또는 유지 방법.
본 발명은 비제한적으로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군 A"는 하기 군의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 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
생물학적으로 표준화된 로즈힙 분말을 덴마크 랑엘란 소재의 하이벤 바이탈 인터내셔날(Hyben Vital International)로부터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상승효과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및 제니스타인의 소염 효과를 산화 질소 및/또는 염증전 프로스타글란딘(PG)의 합성의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평가하였다. PGE2는 염증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산화 질소(NO)는 다양한 형태의 관절염, 위장관 질병 및 대사 증후군을 비롯한 다양한 만성 염증성 질병에서의 염증의 특징이다.
생물학적으로 표준화된 로즈힙 분말을 덴마크 랑엘란 소재의 하이벤 바이탈 인터내셔날로부터 수득하고, DMSO에 용해시켰다. 리구스틸라이드 및 제니스타인을 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에서 합성하였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을 케이만 케미칼스(Cayman Chemicals)로부터 수득하거나, 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에서 합성하였다. 마그놀롤을 영국 소재의 아핀 케미칼스 리미티드(Apin Chemicals Ltd.)로부터 수득하였다. 공급자의 데이터 시트에 따라서, 모든 제품은 90% 초과의 순도를 가졌고, 분말 형태로 수득되었다. 이들은 농축된 형태로 DMSO에 용해되었고, 분석을 방해하는 부산물을 함유하지 않았다. 최종 비히클(DMSO) 농도는 분석시 0.2%(v/v)를 초과하지 않았다.
화합물의 소염 효과를 아메리칸 타이프 컬쳐 콜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고, ATCC에 의해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DMEM에서 배양한 쥐 대식세포 지표 세포주 RAW 267.7을 사용하는 세포 분석으로 시험하였다. 세포(약 50,000/웰)를 바닥이 평평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0.25% 소 태아 혈청(FCS)(D-025)을 함유하는 완전한 매질에서 단식시켰다.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매질을 제거하고, 최종 농도의 2배인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100㎕의 D-025로 대체하였다. 이어서, 2㎍/㎖의 지질다당류(LPS)를 함유하는 100㎕의 D-025를 첨가하고(즉, 1㎍/㎖의 최종 LPS 농도),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물질을 2배 희석 단계중 0.2 내지 50μM의 농도 범위로 통상적으로 시험하였다. 로즈힙 추출물의 경우, 농도 범위는 3 내지 2000㎍/㎖이었다. 세포에 의해 방출된 산화 질소로부터 생성된 아질산염의 농도를 표준물로서 아질산 나트륨을 사용하는 그리스(Griess) 반응에 의해 측정하였다(예를 들어, 문헌[Imai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 197, 105[1993]] 참조). 간단히 말해서, 50㎕의 상청액을 그리스 시약 1(25㎕) 및 그리스 시약 2(25㎕)와 혼합하고, 원심분리하고, 540nm에서의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 매질로 분비된 PGE2를 케이만 케미칼스(미국 위스콘신주 앤 하버 소재)로부터 수득하고 제조자의 설명서에 따라 사용된 EIA에 의해 측정하였다. IC50 값을 베스트-피트 곡선(엑셀 피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매개변수 2개의 최소 자승법 피팅 방정식[y=A+((B-A)/(1+((C-x)^D))]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개별적으로 모든 물질이 염증성 매개자의 생성을 억제함이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이는 IC50 값에 의해 나타나고, 물질-특이적 생물학적 효능을 반영하며 물질 사이에서 변한다.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즈힙은 리구스틸라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OH-티로솔), 마그놀롤 또는 제니스타인과 조합되는 경우 산화 질소를 억제한다. Δ(측정치-합계치)에 대한 양의 값은 2개의 물질이 혼합물의 2개의 개별적인 성분의 억제력보다 효능이 좋음을 의미한다. "측정치"는 실제 측정된 억제를 의미한다. "합계치"는 2개의 화합물의 억제의 이론적인 합계를 의미한다.
마그놀롤과 조합되는 경우 로즈힙이 PGE2 생성을 상승적으로 억제함이 하기 표 3에 제시된다.
Figure 112009008693043-PCT00001
Figure 112009008693043-PCT00002
Figure 112009008693043-PCT00003
실시예 2
연질 젤라틴 캡슐
연질 젤라틴 캡슐을 700mg의 말린 로즈힙 농축물 및 50mg의 상기 정의된 군 A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예: 하이드록시티로솔)의 투여량을 제공하는 통상적인 과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적합한 일일 투여량은 1 내지 8개의 캡슐이다.
기타 성분: 글리세롤, 물, 젤라틴, 식물성 오일.
실시예 3
경질 젤라틴 캡슐
경질 젤라틴 캡슐을 650mg의 로즈힙 및 100mg의 상기 정의된 군 A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예: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의 투여량을 제공하는 통상적인 과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적합한 일일 투여량은 1 내지 5개의 캡슐이다.
기타 성분:
충진제: 락토스, 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적량;
윤활제: 필요한 경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0.5%).
실시예 4
정제
정제를 활성 성분으로서 정제 당 100mg의 로즈힙 및 100mg의 상기 정의된 군 A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예: 리구스틸라이드), 및 부형제로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이산화 규소(SiO2),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크로스포비돈 NF(붕해제임)를 500mg이 되게 제공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청량 음료
로즈힙 및 상기 정의된 군 A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베타-카로틴 10% CWS로 착색된 오렌지 쥬스 음료를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성분 [g]
당 시럽 64°브릭스 156.2
나트륨 벤조에이트 0.2
아스코르브산, 미세 분말 0.2
시트르산 50%(w/w) 5.0
펙틴 용액 2%(w/w) 10.0
로즈힙 0.5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0.3
쥬스 화합물* 30.0
250.0이 되도록 하는 양
제조
- 나트륨 벤조에이트를 교반하면서 물에 용해시켰다.
- 교반을 계속하면서, 당 시럽,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펙틴 용액, 쥬스 화합물을 차례로 첨가하였다. 고속 혼합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 병입 시럽을 (탄산가스로 포화시킨) 물과 함께 1ℓ의 음료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쥬스 화합물의 성분 [g]
오렌지 쥬스 농축물 65°브릭스 483.3
레몬 쥬스 농축물 45°브릭스 173.3
오일성 오렌지 향료 5.0
10% 저장 용액으로서 베타-카로틴 10% CWS 10.0
탈이온수 328.4
쥬스 화합물의 제조
- 탈이온수를 쥬스 농축물에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여 쥬스 농축물이 수화되도록 하였다.
- 오일성 향료 및 베타-카로틴 10% CWS 저장 용액을 첨가하고, 로터-스테이터-균질기에서 예비 유화시켰다.
- 200바의 고압 균질기에서 균질화시켰다.
실시예 6
일광화상에 의해 야기된 피부 염증의 (미용)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로즈힙을 포함하는 피부과용 조성물(치료 크림)의 제조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2.00
로즈힙 추출물 0.20
제니스타인 0.01
세틸 알콜 0.50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0
다이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5.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2.00
BHT 0.05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0.60
이나트륨 EDTA 0.10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2.00
B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프로필렌 글리콜 2.00
판테놀 2.00
에탄올 5.00
알란토인 0.20
카보머 0.30
C 수산화 칼륨 1.50
D 방향제 적량
과정: 부분 A 및 B를 교반하면서 85℃까지 가열하였다. 균질화되면, 진탕하에 부분 B를 A에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약 45℃까지 냉각시켰다. 부분 C를 첨가하였다. 11000rpm에서 균질화시켜 작은 입자 크기를 달성하였다. 교반하면서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부분 D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7
O/W 썬 밀크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다이메티코 다이에틸벤잘말론에이트 폴리실리콘-15 6.00
네오 헬리오판 AP 3.00
수소화된 코코글리세라이드 3.00
세트아릴 알콜 2.00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6.00
광유 2.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0
이소스테아릴 알콜 4.00
B 이나트륨 EDTA 0.10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0.60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2.00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프로필렌 글리콜 5.00
카보머 0.30
메틸렌 비스-벤조트라이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6.00
수산화 칼륨 2.10
C 로즈힙 추출물 0.20
군 A로부터 선택된 성분 0.05
과정: 부분 A 및 B를 교반하면서 85℃까지 가열하였다. 균질화되면, 진탕하에 부분 B를 A에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상온까지 냉각시키고, 부분 C를 첨가하였다. 균질화시켜 작은 입자 크기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8
방수처리된 썬 밀크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폴리실리콘-15 다이메티코 다이에틸벤잘말론에이트 6.00
부틸 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2.00
4-메틸벤질리덴 캠퍼 4.00
에틸헥실트라이아존 2.00
다이메티콘 1.00
세트아릴 알콜 2.00
수소화된 코코글리세라이드 3.0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6.00
다이부틸 아디페이트 7.0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2.00
BHT 0.05
이나트륨 EDTA 0.10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0.60
세틸 포스페이트 DEA 2.00
B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프로필렌 글리콜 5.00
카보머 0.30
수산화 칼륨 1.50
C 로즈힙 추출물 1.00
군 A로부터 선택된 성분 0.10
과정: 부분 A 및 B를 교반하면서 85℃까지 가열하였다. 균질화되면, 진탕하에 부분 B를 A에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부분 C를 첨가하였다. 균질화시켜 작은 입자 크기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9
유아 및 소아를 위한 썬 밀크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5.00
스테아릴 다이메티콘 2.00
세틸 알콜 1.00
BHT 0.05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4.00
이나트륨 EDTA 0.10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0.60
세틸 포스페이트 2.00
B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카보머 0.6
글리세린 3.00
수산화 칼륨 2.4
C 로즈힙 추출물 2.00
군 A로부터 선택된 성분 0.01
과정: 부분 A 및 B를 교반하면서 85℃까지 가열하였다. 균질화되면, 진탕하에 부분 B를 A에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상온까지 냉각시키고, 부분 C를 첨가하였다. 균질화시켜 작은 입자 크기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10
항-뽀루지 스킨-토닉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알콜 15.00
글리세린 3.00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이나트륨 EDTA 0.10
로즈힙 추출물 2.00
군 A로부터 선택된 성분 0.05
과정: 부분 A의 모든 성분을 첨가하고, 균질한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격렬하게 혼합하였다.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11
스테이-C 50을 사용한 항-여드름 치료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1.50
세틸 알콜 1.50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4.00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 이소부틸파라벤 0.80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00
스테아레스-2 1.50
스테아레스-21 1.50
B 부틸렌 글리콜 2.00
글리세린 3.00
이나트륨 EDTA 0.10
잔탄 검 0.3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 0.25
로즈힙 추출물 1.00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C 물(탈이온수) 10.00
나트륨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3.00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0.05
과정: 부분 A를 85℃까지 가열하고, 부분 B를 또한 85℃까지 가열하였다. 둘다 동일한 온도를 가지면 격렬하게 균질화시키면서 부분 B를 부분 A에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부분 C를 첨가하고, 다시 격렬하게 균질화시켰다. 유화액을 생성하는 동안 진공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추천된다.
실시예 12
보호용 데이 크림
성분/INCI 명명법 중량%
A 폴리실리콘-15 다이메티코 다이에틸벤잘말론에이트 4.00
부틸 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1.50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2.00
세틸 알콜 0.50
카프필산/카프르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0
다이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5.00
토코페닐 아세테이트 2.00
BHT 0.05
페녹시에탄올 & 메틸파라벤 & 에틸파라벤 & 프로필파라벤 & 부틸파라벤 0.60
이나트륨 EDTA 0.10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2.00
B 물(탈이온수) 100이 되도록 하는 양
프로필렌 글리콜 2.00
판테놀 2.00
에탄올 5.00
알란토인 0.20
카보머 0.30
수산화 칼륨 1.50
C 물(탈이온수) 10.00
나트륨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0.50
D 로즈힙 추출물 0.50
군 A로부터 선택된 성분 0.2
E 방향제 적량
과정: 부분 A, B 및 C를 교반하면서 85℃까지 가열하였다. 균질화되면, 진탕하에 부분 B 및 C를 A에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부분 D 및 E를 첨가하였다. 균질화시켜 작은 입자 크기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13
로즈힙 및 제니스타인을 포함하는 무수 개 사료
시판중인 무수 개 사료(독일 데-22113 리비그스트라쎄 2-20 소재의 힐스 펫 너트리션 게엠베하(Hill's Pet Nutrition GmbH)에서 시판중인 개용 힐스 사이언스 다이어트 "카닌 메인트넌스 드라이"(Hill's Science diet "Canine Maintenance dry"))에 말린 로즈힙 농축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kg 체중 당 200mg 내지 1g의 로즈힙 및 0.1 내지 3mg의 제니스타인의 일일 투여량을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충분한 양의 로즈힙 및 제니스타인(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에 의해 공급됨)의 수용액을 분무하였다. 추가로 L-아스코르브산-모노포스페이트(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 아게로부터의 로비믹스(등록상표명) 스테이-C(등록상표명) 35), 비타민 E 및 베타-카로틴을 완전한 배합물로 압출되기 전에 최종 사료 조성물중 30mg/kg의 로비믹스(등록상표명)(스테이-C(등록상표명) 35), 300IU/kg의 비타민 E 및 280mg/kg의 베타-카로틴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혼입하였다. 사료 조성물이 약 90중량%의 무수 물질을 함유하도록 건조하였다.
실시예 14
로즈힙 및 제니스타인을 포함하는 습윤 고양이 사료
시판중인 습윤 고양이 사료(독일 데-22113 리비그스트라쎄 2-20 소재의 힐스 펫 너트리션 게엠베하에서 시판중인 고양이용 힐스 사이언스 다이어트 "펠린 메인트넌스 웨트"(Hill's Science diet "Feline Maintenance wet"))를 말린 로즈힙의 중량을 기준으로 kg 체중 당 200mg 내지 1g의 로즈힙 및 0.1 내지 3mg의 제니스타인의 일일 투여량을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충분한 양의 로즈힙 및 제니스타인의 수용액과 혼합하였다. 추가로 L-아스코르브산-모노포스페이트(디에스엠 너트리셔널 프로덕츠 아게로부터의 로비믹스(등록상표명) 스테이-C(등록상표명) 35), 비타민 E 및 베타-카로틴을 완전한 배합물을 조리하기 전에 최종 사료 조성물중 30mg/kg의 로비믹스(등록상표명) 스테이-C(등록상표명) 35, 300IU/kg의 비타민 E 및 208mg/kg의 베타-카로틴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혼입하였다. 사료 조성물이 약 90중량%의 무수 물질을 함유하도록 건조하였다.
실시예 15
시리얼 바/굽지 않음
성분 양[g]
138.0
54.0
소금 1.5
글루코스 시럽 DE38, 43°Be 130.0
전화 당 시럽(74 내지 76%) 95.0
소르비톨 시럽 35.0
팜 커넬 지방 60.0
비스코핀 N 40.0
레시틴 1.5
모노물스 90-35-5(유화제) 2.5
말리고 잘린 사과 63.0
건포도 27.0
콘플레이크 100.0
쌀 크리스피 140.0
미니 크리스피, 밀 90.0
볶은 개암 54.0
탈지유 분말 45.0
사과 향료 74863-33 2.0
시트르산* 5.0
말린 로즈힙 농축물 1.85
제니스타인 TG 0.34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0.28
β-카로틴 10% B 0.77
1000.0
*: 사과 향료를 지지하도록 사용됨
제조
1 말린 로즈힙 농축물, 제니스타인 TG, 마그놀리아 수피 추출물, β-카로틴 10% B를 탈지유 분말과 예비 혼합하고, 켄우드(Kenwood) 유형 혼합기에 위치시켰다.
2 콘플레이크, 쌀 크리스피를 첨가하고 상기 1의 혼합물과 천천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말린 사과 및 건포도와 같은 보다 습윤한 성분을 첨가하였다. 모든 성분을 무수 성분의 양호한 분포가 가능하도록 천천히 혼합하였다.
3 하기 성분을 칭량하여 각각 개별적인 사발에 넣었다: · 당, 물 및 소금; · 글루코스, 전화 및 소르비톨 시럽; · 비스코핀 N, 팜 커넬 지방, 레시틴 및 유화제.
4 당, 물 및 소금의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였다.
5 상이한 시럽의 혼합물을 113℃로 가열하고, 조리 과정을 멈추기 위하여 냉수 욕에서 냉각시켰다.
6 상기 4 및 5의 용액을 조합하였다.
7 비스코핀 N, 팜 커넬 지방, 레시틴 및 유화제의 혼합물을 75℃에서 수 욕에 용융시켰다.
8 지방의 혼합물(7)을 조합된 당 용액(6)에 첨가하였다. 후자는 계속 고온이어야 한다.
9 향료 및 시트르산을 액체 매스(8)에 첨가하였다.
10 액체 매스를 켄우드 혼합기내의 무수 성분(2)에 첨가하고 무수 성분과 잘 혼합하였다.
11 매스를 마르모르(marmor) 플레이트 상에 놓고, 목적하는 두께로 롤링하였다. 이어서, 매스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12 예를 들어, 1회 분량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봉지에 포장하였다.

Claims (23)

  1. 로즈힙; 및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Devil's Claw),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Amorfrutin)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Glycyrrhiza foetida)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
    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이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마그놀리아 수피 수출물, 캐슈 과실 추출물 및 글리시리자 포에티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로즈힙이 말린 로즈힙 농축물인 조성물.
  4.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품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5. 관절 건강의 유지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6. 관절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품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적으로 허 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식품 제품, 식료품, 식이 보충제, 영양 보충제, 또는 식품 제품용 또는 식료품용 보충 조성물인 기능성 식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로즈힙의 양이 0.1 내지 10g/1회 분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g/1회 분량인 기능성 식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1.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관절염인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피부 염증인 용도.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분말, 정제, 캡슐, 젤, 액체 또는 고체의 형태인 약학 조성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피부과 용도를 위한 약학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피부 보호 제제인 미용 조성물.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량을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동물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관절염인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피부 염증인 방법.
  22.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 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소염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로즈힙의 용도.
  23. 리구스틸라이드, 올레우로페인(I), 올레우로페인 아글리콘(II), 티로솔, 하이드록시티로솔,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의 수피로부터의 추출물, 마그놀롤, 호노키올, 제니스타인, 메틸설포닐메탄, SAMe, 콜라겐 가수분해물, 콜라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β-크립토잔틴, 악마의 발톱, 유단백질 농축물, 가용화 케라틴, 셀러리 씨 추출물, 세틸화 지방산, 카르니틴, 티모퀴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III), 아모프루틴 B(IV), 아모프루틴 A(V), 2-하이드록시-4-메톡시-3-(3-메틸-2-부텐일)-6-펜틸-벤조산(VI), 칸나비게롤산 모노메틸 에터(VII), 2-하이드록시-4-메톡시-3-(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펜틸-벤조산(VIII), 3-메톡시-2-(3-메틸-2-부텐일)-5-(2-페닐에틸)-페놀(IX), 화학식 X의 화합물, 2-하이드록시-4-메톡시-5-(2-하이드록시-3-메틸-3-부텐일)-6-(2-페닐에틸)-벤조산(XI), 카돌 다이엔(XII), 카돌 트라이엔(XIII), 캐슈 과실 추출물, 보스웰산, 카노스산, 우르솔산, 마로니에 추출물, 다이오스메틴, 트립탄트린, 다이오스게닌, 쿠르쿠민 및 유도체, 글리시리자 포에티다 및 백버들 수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효과량을 로즈힙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함을 포함하는, 로즈힙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방법.
KR1020097002869A 2006-07-14 2007-07-12 로즈힙 및 다른 활성 약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90033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14642.0 2006-07-14
EP06014642 2006-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470A true KR20090033470A (ko) 2009-04-03

Family

ID=3699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869A KR20090033470A (ko) 2006-07-14 2007-07-12 로즈힙 및 다른 활성 약품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55218A1 (ko)
EP (1) EP2049134A2 (ko)
JP (1) JP5170577B2 (ko)
KR (1) KR20090033470A (ko)
CN (1) CN101516386B (ko)
WO (1) WO20080065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6364B (zh) * 2006-07-14 2011-12-28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组合物及其用于治疗、共治疗或预防炎性病症的用途
CN101795732B (zh) 2007-04-19 2014-08-20 玫琳凯有限公司 含木兰提取物的组合物
EP2070524A1 (en) * 2007-12-11 2009-06-17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ol and/or Honokiol and glucosamine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co-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EP2070525A1 (en) * 2007-12-11 2009-06-17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ol and/or Honokiol and chondroitin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co-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DE602008002206D1 (de) * 2007-12-11 2010-09-30 Dsm Ip Assets Bv Zusammensetzung enthaltend Magnolol und Honokiol in synergistischen Mengen
ES2539453T3 (es) * 2007-12-21 2015-07-01 Finzelberg Gmbh & Co. Kg Preparaciones con extractos de escaramujo así como procedimientos para la preparación de extractos de escaramujo
NZ567712A (en) * 2008-04-24 2010-11-26 Fonterra Cooperative Group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bone health or reducing bone loss
WO2009135880A1 (de) 2008-05-06 2009-11-12 Finzelberg Gmbh & Co. Kg Zistrosenextrakt mit angereicherten sekundären pflanzeninhaltsstoffen
FR2935084B1 (fr) * 2008-08-19 2011-05-06 Pancosma Sa Pour L Ind Des Produits Biochimiques Additif pour l'alimentation anima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DE102009030351A1 (de) * 2009-06-22 2010-12-23 Gelita Ag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degenerativen Gelenkerkrankungen
EP2613762B1 (en) 2010-09-10 2018-10-17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jaboticaba fruit pulp
WO2012067641A2 (en) * 2010-11-17 2012-05-24 Nestec S.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arthritis
US9180155B2 (en) * 2010-11-29 2015-11-10 Bio Nexus, Ltd Compositions from Nigella sativa
CN102258191B (zh) * 2010-12-23 2012-12-19 天津天狮生物发展有限公司 预防慢性炎症的抗氧化保健食品及制备方法
IE20110008A1 (en) * 2011-01-12 2012-08-01 Patrick Thomas Prendergast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aiding with weight loss
WO2012099980A2 (en) * 2011-01-18 2012-07-26 Equine Nutriceuticals, Llc Equine nutritional supplement
CN103313718B (zh) * 2011-03-04 2016-09-14 狮王株式会社 生长激素分泌促进剂
DK2872135T3 (en) * 2012-07-06 2016-11-28 Orkla Health As Process for making rose powder
CA3056759C (en) 2016-03-22 2024-01-23 Avicenna Nutraceutical, Llc Hydrolyzed collag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FR3067593B1 (fr) * 2017-06-20 2019-12-20 Jean-Noel Thorel Utilisation d'extraits de plantes pour le traitement dermatocosmetique des etats inflammatoires lies a une surproduction de il-17
MX2020007358A (es) * 2017-12-21 2020-09-07 Pepsico Inc Capsula de bebida efimera de multiples ingredientes para preparar una bebida.
US11700869B2 (en) * 2018-06-27 2023-07-18 Pepsico, Inc. Mouthfeel enhancing composition
WO2020046478A1 (en) * 2018-08-31 2020-03-05 Innophos, Inc. Botanical modulator of metabolic disorders
WO2020046476A1 (en) * 2018-08-31 2020-03-05 Innophos, Inc. Botanical antioxidants
WO2020046479A1 (en) * 2018-08-31 2020-03-05 Innophos, Inc. Anti-inflammatory botanical extract
CN109395055A (zh) * 2019-01-07 2019-03-01 琪庆生物医药(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关节软组织损伤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529480A (zh) * 2020-06-18 2020-08-14 广东景兴健康护理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丝素蛋白美肌配方及其制备方法
CN113661992B (zh) * 2021-08-25 2022-08-23 河南农业大学 藁本内酯及含其的植物精油在防治花生白绢病方面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478A (ja) * 1982-11-29 1984-06-12 Sunstar Inc リグスチライドを安定に配合した水系組成物
LU86703A1 (fr) 1986-12-08 1988-07-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hotostable contenant un filtre uv-a et un filtre uv-b,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contre les rayons uv et procede de stabilisation du filtre uv-a par le filtre uv-b
FR2636338B1 (fr) 1988-09-09 1990-11-23 Rhone Poulenc Chimie Diorganopolysiloxane a fonction benzalmalonate
FR2658075B1 (fr) 1990-02-14 1992-05-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trante photostable contenant un filtre uv-a et un beta,beta-diphenylacrylate ou alpha-cyano-beta,beta-diphenylacrylate d'alkyle.
EP0500233A2 (en) 1991-02-14 1992-08-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ipolar transistor structure & BICMOS IC fabrication process
GB9110123D0 (en) 1991-05-10 1991-07-03 Dow Corning Organosilicon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2839778B2 (ja) * 1991-12-10 1998-12-16 恒雄 難波 センキュウエキス中精油成分の薬物皮膚透過促進効果を利用した浴湯剤
ATE212536T1 (de) 1994-10-14 2002-02-15 Hoffmann La Roche Lichtstabile kosmetische sonnenschutzmittel
US6033649A (en) 1995-12-18 2000-03-07 Roche Vitamins Inc. Light screening agents
US6069170A (en) 1997-08-05 2000-05-30 Roche Vitamins Inc. Light screening compounds and compositions
FR2768621B1 (fr) * 1997-09-22 2000-04-07 Oreal Utilisation d'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e la famille des rosacees
US5904924A (en) * 1997-11-04 1999-05-18 Oncologics, Inc. Green nutritional powder composition
US6024960A (en) * 1998-04-17 2000-02-15 Otto Torbjorn Hansen And Marianne Hansen Rose-hip formulations as anti-inflammatory natural medicine for alleviating/reducing symptom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arthritis
DE19917906A1 (de) 1999-04-20 2000-10-26 Basf Ag Verwendung von aminosubstituierten Hydroxybenzophenonen als photostabile UV-Filter in kosmetischen und pharmazeutischen Zubereitungen
AU2000258901A1 (en) * 2000-04-06 2001-10-23 Nicholas V. Perricone Treatment of skin damage using olive oil polyphenols
EP1278533A2 (en) * 2000-05-05 2003-01-29 Bioniche Life Sciences Inc. Use of echinacea as a hematinic agent
US6485752B1 (en) * 2000-10-23 2002-11-26 Otto Torbjorn Hans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alleviating joint pain and stiffness
JP2002226322A (ja) * 2001-01-31 2002-08-14 Masumi Kinoshita 化粧品原料及び皮膚用化粧品
JP2002265995A (ja) * 2001-03-08 2002-09-18 Shizuko Watanabe 石 鹸
GB0202853D0 (en) 2002-02-07 2002-03-27 Dow Corning Encapsulation process and encapsulated compositions
AU2002327094A1 (en) * 2002-08-14 2004-03-03 Fancl Corporation Cosmetics
JP2004113141A (ja) * 2002-09-26 2004-04-15 Daawinzu:Kk Msm含有の健康食品
US20050043253A1 (en) * 2003-08-19 2005-02-24 Cook Bradley R. Use of wound healing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f infections and allergies
CN102309573B (zh) * 2003-09-12 2013-11-20 捷通国际有限公司 细胞因子调节剂及相关用法
KR20060121887A (ko) * 2003-09-23 2006-11-2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진성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EP1716117B1 (en) 2004-02-13 2011-05-04 DSM IP Assets B.V. Ionic uv-a sunscreen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20060140885A1 (en) * 2004-12-29 2006-06-29 Abdul Gaffar Method of reducing oral tissue inflammation using magnolia extract
CN101184484B (zh) * 2005-05-24 2011-10-05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用于治疗炎性失调的藁本内酯衍生物
US20070196296A1 (en) * 2005-12-13 2007-08-23 Rosemarie Osborne Personal care compositions
WO2007112996A2 (en) * 2006-03-31 2007-10-11 Dsm Ip Assets B.V. Novel use of compounds and combinations of compunds for improving the physical appea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6589A3 (en) 2008-02-28
CN101516386B (zh) 2013-05-15
JP5170577B2 (ja) 2013-03-27
JP2010500965A (ja) 2010-01-14
EP2049134A2 (en) 2009-04-22
CN101516386A (zh) 2009-08-26
WO2008006589A2 (en) 2008-01-17
US20100055218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0577B2 (ja) 炎症障害の治療のためにバラの実および他の活性剤を含んでなる組成物
KR101435228B1 (ko)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병용-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
WO200800658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ol or honokiol and other a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JP5633856B2 (ja) 炎症性障害および/または関節障害の治療、共治療または予防のための三環式ジテルペンおよびそれらの誘導体の使用
US2014016297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xytyrosol and chondroitin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co-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KR20110120334A (ko) 염증성 질환용 카자누스 추출물 및 글루코사민
KR20080096662A (ko) 신규한 기능성 식품 및 약학 조성물, 및 염증 질환의 치료,보조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
EP207052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ol and/or Honokiol and chondroitin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co-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EP2070524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agnolol and/or Honokiol and glucosamine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co-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