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203A -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203A
KR20090033203A KR1020090021017A KR20090021017A KR20090033203A KR 20090033203 A KR20090033203 A KR 20090033203A KR 1020090021017 A KR1020090021017 A KR 1020090021017A KR 20090021017 A KR20090021017 A KR 20090021017A KR 20090033203 A KR20090033203 A KR 2009003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lve
chamber
pressur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199B1 (ko
Inventor
소키치 히비노
시로 하야시
마사키 오타
마사히로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9003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68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81Suction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Abstract

(과제) 흡입 맥동에 기인하는 진동 및 이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전체 유량 범위에 걸쳐 성능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제공에 있다.
(해결 수단)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 (39) 와 흡입된 냉매 가스를 수용하는 흡입실 (32) 사이의 흡입 통로 (37) 에, 이 흡입 통로 (37) 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 (43) 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되고, 밸브체 (43) 를 흡입 포트 (39) 측에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44) 이 형성된 밸브실 (41) 을 구비한 압축기 (10) 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에 있어서,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을 상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 (45) 과,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을 상시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 (46) 을 형성하고, 밸브체 (43) 에 흡입 포트 (39) 와 밸브실 (41) 을 연통하는 밸브 구멍 (47) 을 형성한다.
압축기, 스로틀 밸브

Description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SUCTION THROTTLE VALVE OF A COMPR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 공조 설비 등에 사용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가변 용량 운전시의 흡입 맥동에 기인하는 진동 및 이음 (異音) 의 저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 설비 등에 사용되는 압축기로서, 토출 용량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 (이하, 간략히 「압축기」라고 한다) 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압축기에 있어서는, 저유량시에 흡입 맥동에 의한 이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그 이음 대책으로서 흡입 포트와 흡입실 사이에 흡입 냉매 유량에 따라 개구 통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흡입 스로틀 밸브가 사용된다.
특허 문헌 1 에서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흡입 포트와 흡입실 사이에는 가스 통로가 형성되고, 가스 통로와 흡입 포트 사이에는 밸브 작동실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작동실에는 개도 제어 밸브가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개도 제어 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밸브 작동실 내에는 스프링이 수용된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다. 개도 제어 밸브는 상하동에 의해 가스 통로의 개구 면적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실에 흡입되는 냉매 유량에 따라 개구 면적이 변화된다. 또 밸브실은 연통 구멍을 통하여 흡입실에 연통되어 있고, 개도 제어 밸브에는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는, 저유량시에는 흡입 포트와 흡입실의 압력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개도 제어 밸브는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승하여 가스 통로의 개구 면적은 작아진다. 저유량시에 있어서의 흡입 밸브의 자여 (自勵) 진동에 의한 냉매 가스의 흡입 맥동은, 상기 개도 제어 밸브의 스로틀 효과에 의해 저감된다. 그러나, 댐퍼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취하면, 냉방 능력이 필요한 고유량시에 있어서도 개도 제어 밸브의 개도를 충분히 얻지 못하여, 냉방 필링의 악화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특히 운전 유량 범위가 넓은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서 문제가 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2 에서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흡입 포트와 흡입실을 연통하는 흡입 통로에 개도 제어 밸브의 밸브 작동실이 형성되고, 밸브 작동실의 내벽면에 개구된 메인 흡입구및 서브 흡입구를 개재하여 밸브 작동실과 흡입실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작동실 내에는 흡입 통로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밸브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밸브 작동실 내에는 밸브체와 밸브 작동실의 내벽으로 둘러싸인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실과 크랭크실은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에서 개시된 종래 기술은, 크랭크실압을 밸브실에 도입하고 흡입 압력과의 차압에 의해 개도 제어 밸브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최대 용량 운전시에는 크랭크실압은 저하되고 흡입 압력과 거의 동일해져, 개도 제어 밸 브의 밸브체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메인 흡입구를 폐색하는 방향의 탄성 지지력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고유량의 냉매 가스가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실로 유입되면, 밸브체는 밸브 작동실 내를 하방으로 이동하고, 메인 흡입구는 전개 (全開) 상태가 된다. 한편, 가변 용량 운전시에는 크랭크실압은 상승하여 흡입 압력보다 높아지고, 밸브체는 밀어 올려져 메인 흡입구를 폐색하는 방향의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여 흡입 통로의 개도가 좁혀진다. 이 때, 크랭크실압에 따라 댐퍼 효과도 커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6776호 (2 ∼ 3 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37232호 (4 ∼ 5 페이지, 도 1 ∼ 도 3)
그러나 특허 문헌 2 에서 개시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특히 용량이 작은 저유량시에 있어서 크랭크실압 (Pc) 도 상당히 높아지고 그에 따라 댐퍼 효과도 커지는데, 크랭크실압 (Pc) 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 필요 이상으로 흡입 통로의 개도가 좁혀지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필요한 흡입 유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운전 조건에 따른 압축기의 성능 유지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맥동에 기인하는 진동 및 이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압축기의 전체 유량 범위에 걸쳐 성능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와 흡입된 냉매 가스를 수용하는 흡입실 사이의 흡입 통로에, 이 흡입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흡입 포트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가 형성된 밸브실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는 흡입 압력과 밸브실 압력 및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과의 합력에 따라 상기 밸브실 내를 이동하며 상기 흡입 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과 상기 흡입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과, 상기 밸브실과 크랭크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 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실과 흡입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과, 밸브실과 크랭크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과 크랭크실의 압력의 중간 압력이 되어 댐퍼 효과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맥동에 의한 이음이 문제가 되는 흡입 유량이 적은 가변 용량 운전시에는, 크랭크실의 압력은 상당히 높아지는데, 밸브실에 있어서는 크랭크실의 압력과 흡입실의 압력의 중간 압력이 됨으로써, 댐퍼 효과에 양호한 압력 분위기로 할 수 있고, 압축기의 운전 상황에 따른 필요한 흡입 유량을 얻을 수 있어 냉방 필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입 맥동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흡입 유량이 많고 흡입 맥동에 의한 이음이 문제가 되기 어려운 최대 용량 운전시에는, 크랭크실의 압력은 흡입실의 압력까지 낮아져 있고, 밸브실의 압력도 크랭크실의 압력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실의 압력에 의한 댐퍼 효과는 억제되고, 밸브체는 탄성 지지 부재에 대항하여 흡입 포트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냉방 필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유량 범위에 걸쳐 압축기의 성능 유지가 가능해져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흡입 포트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에 밸브실과 흡입 포트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 (charge) 하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압축기 내부로부터 밸브실을 경유시켜 흡입 포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진공화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에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흡입실을 상시 연통시키는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흡입 통로에 흡입 포트와 흡입실을 상시 연통시키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하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압축기 내부로부터 노치를 경유시켜 흡입 포트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진공화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실의 압력은 크랭크실의 압력보다 흡입실의 압력의 영향을 크게 받음으로써, 크랭크실의 압력에 의해 밸브실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기재의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연통 구멍 및 상기 밸브 구멍의 개구 면적의 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실의 압력은 크랭크실의 압력보다 흡입 실 및 흡입 포트의 압력의 영향을 크게 받음으로써, 크랭크실의 압력에 의해 밸브실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밸브실과 크랭크실 및 밸브실과 흡입실을 연통시킴으로써 댐퍼 효과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고, 흡입 맥동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 형태)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이하, 간략히 「압축기」라고 한다) 의 흡입 스로틀 밸브를 도 1 ∼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압축기 (10) 에는 압축기 (10) 의 외각인 하우징 (11)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하우징 (11) 은 복수의 실린더 보어 (12a) 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 (12) 과, 그 실린더 블록 (12) 의 전부 (前部) 측에 접합되는 프런트 하우징 (13) 과, 실린더 블록 (12) 의 후부 (後部) 측에 접합되는 리어 하우징 (14)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 하우징 (13) 으로부터 리어 하우징 (14) 까지 통과하는 관통볼트 (15) 의 전후 방향의 체결에 의해 프런트 하우징 (13), 실린더 블록 (12) 및 리어 하우징 (14) 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하우징 (11) 이 형성된다.
프런트 하우징 (13) 에는, 크랭크실 (16) 이 후부측을 실린더 블록 (12) 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11) 내에는 구동축 (17) 이 그 크랭크실 (16) 의 중앙 부근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구동축 (17) 은 프런트 하우징 (13) 에 형성되는 레이디얼 베어링 (18) 과, 실린더 블록 (12) 에 형성되는 다른 레이디얼 베어링 (19)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축 (17) 의 전부를 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 (18) 의 전방에, 구동축 (17) 의 둘레면에 걸쳐 슬라이딩 접촉하는 축봉 (軸封) 기구 (20) 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축 (17) 의 전단은,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실 (16) 에 있어서의 구동축 (17) 에는, 회전체로서의 래그 플레이트 (21) 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래그 플레이트 (21) 의 후방에 있어서의 구동축 (17) 에는, 용량 변경 기구를 구성하는 사판 (22) 이 구동축 (17) 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 및 경동 (傾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판 (22) 과 래그 플레이트 (21) 사이에는 힌지 기구 (23) 가 개재되고, 이 힌지 기구 (23) 를 개재하여 사판 (22) 이 래그 플레이트 (21) 및 구동축 (17) 에 대하여 동기 회전 가능 및 경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 (17) 에 있어서의 래그 플레이트 (21) 와 사판 (2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24) 이 감겨 있는 것 이외에 코일 스프링 (24) 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구동축 (17) 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형상체 (25) 가 구동축 (17) 에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사판 (22) 은 코일 스프링 (24) 의 탄성 지지력을 받은 통형상체 (25) 에 의해 항상 후방, 즉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을 향하여 가압된다. 또한, 사판 (22) 의 경사 각도란 여기에서는 구동축 (17) 에 직교하는 면과 사판 (22) 의 면에 의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사판 (22) 의 전부에는 스토퍼부 (22a)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토퍼부 (22a) 가 래그 플레이트 (21) 에 맞닿음으로써 사판 (22) 의 최대 경사각 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사판 (22) 의 후방에 있어서의 구동축 (17) 에는 스냅 링 (26) 이 장착되고, 이 스냅 링 (26) 의 전방에서 코일 스프링 (27) 이 구동축 (17) 에 감겨 있다. 이 코일 스프링 (27) 의 전부에 맞닿음으로써 사판 (22) 의 최소 경사각 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판 (22) 은 최대 경사각 위치에 있고,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사판 (22) 은 최소 경사각 위치에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 (12) 의 각 실린더 보어 (12a) 에는 편두형의 피스톤 (28) 이 각각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이들의 피스톤 (28) 의 네크부에는 오목부 (28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 (28) 의 오목부 (28a) 에는 한쌍의 슈 (29) 가 수용되고, 한쌍의 슈 (29) 사이에 사판 (22) 의 외주부 (22b) 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걸어서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 (17) 의 회전에 수반하여 사판 (22) 이 구동축 (17) 과 동기 회전하면서 구동축 (17) 의 축선 방향으로 요동 운동될 때, 각 피스톤 (28) 은 슈 (29) 를 개재하여 실린더 보어 (12a) 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한편,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 (14) 의 전부측과 실린더 블록 (12) 의 후부측은 밸브 플레이트 (31) 를 개재시켜 접합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4) 내의 중심측에는 흡입실 (32) 이 형성되어 있고, 리어 하우징 (14) 내의 외주측에는 토출실 (33) 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32) 및 토출실 (33) 은, 밸브 플레이트 (31) 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 포트 (31a) 및 토출 포트 (31b) 에 의해 실린더 보어 (12a) 내의 압축실 (30) 과 각각 연통되어 있다. 흡입 포트 (31a) 및 토출 포트 (31b) 에는 각각 흡입 밸브 (31c) 및 토출 밸브 (31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각 피스톤 (28) 이 상사점 위치에서 하사점 위치로 이동할 때에, 흡입실 (32) 내의 냉매 가스는 흡입 포트 (31a) 를 개재하여 실린더 보어 (12a) 내의 압축실 (30) 에 흡입된다. 압축실 (30) 내에 흡입된 냉매 가스는 피스톤 (28) 하사점 위치에서 상사점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까지 압축되고, 토출 포트 (31b) 를 개재하여 토출실 (33) 로 토출된다.
또한, 이 압축기 (10) 에서는 사판 (22) 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켜 피스톤 (28) 의 스트로크, 즉 압축기 (10) 의 토출 용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리어 하우징 (14) 에 용량 제어 밸브 (3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용량 제어 밸브 (34) 는 크랭크실 (16) 과 토출실 (33) 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 (35) 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 블록 (12) 에는 크랭크실 (16) 과 흡입실 (32) 을 연통하는 추기 통로 (36) 가 형성되어 있다.
용량 제어 밸브 (34) 의 밸브 개도의 조정을 개재하여 토출실 (33) 에서 크랭크실 (16) 로 도입되는 고압의 냉매 가스의 도입량과, 추기 통로 (36) 를 통하여 크랭크실 (16) 에서 흡입실 (32) 로 도출시키는 냉매 가스의 도출량의 밸런스에 의해, 크랭크실 (16) 내의 압력이 결정된다.
이로써, 피스톤 (28) 을 사이에 둔 크랭크실 (16) 내와 압축실 (30) 내의 압력의 차가 변경되고,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 (14) 에는 바닥이 있는 둥근 구멍 형상의 흡입 통로 (37)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 통로 (37) 의 외부로의 개구부에는 통형상의 캡 (38) 이 끼워맞춰지고, 캡 (38) 의 입구부에 흡입 포트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 통로 (37) 의 도중에는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 작동실 (48) 이 형성되고, 밸브 작동실 (48) 의 내벽면에 개구된 흡입구 (42) 를 개재하여 밸브 작동실 (48) 과 흡입실 (32) 은 접속되어 있다. 밸브 작동실 (48) 내에는 흡입 통로 (37) 를 개폐하기 위한 원통형의 밸브체 (43) 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밸브 작동실 (48) 에는 밸브체 (43) 를 흡입 포트 (39) 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스프링 (44) 이 장착되어 있고, 밸브 작동실 (48) 내에는 스프링 (44) 이 수용된 밸브실 (41) 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은 제 1 연통 구멍 (45) 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고,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은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 (43) 에는 밸브실 (41) 과 흡입 포트 (39) 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 (4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체 (43) 는 밸브 작동실 (48) 내를 상하동함으로써 흡입구 (42) 의 개구 면적, 즉 흡입 통로 (37) 의 개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밸브체 (43) 가 최대로 하강하여 밸브 작동실 (48) 내의 저부 (41a) 와 맞닿았을 때에는 흡입구 (42) 의 개구 면적을 최대 (전개 상태) 로 하고, 또 밸브체 (43) 가 최대로 상승하여 캡 (38) 의 하단부 (38a) 와 맞닿았을 때에는 흡입구 (42) 의 개구 면적을 최소 (전폐 상태) 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흡입 포트 (39) 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의 저압측에 접속되어 있고, 흡입 포트 (39) 를 통과하여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여기서, 흡입 포트 (39) 의 흡입 압력을 Ps, 흡입실 (32) 의 흡입실 압력을 Pt,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을 Pc, 그리고 밸브실 (41) 의 밸브실 압력을 Pv 로 하면,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체 (43) 에는 흡입 포트 (39) 를 향하는 전면에 흡입 압력 (Ps) 이, 밸브실 (41) 의 저부 (41a) 를 향하는 후면에 밸브실 압력 (Pv) 이 각각 작용하고 있고, 또한 스프링 (44) 에 의해 밸브체 (43) 는 흡입 포트 (39) 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 (43) 는 흡입 압력 (Ps) 과 밸브실 압력 (Pv) 의 차압과, 스프링 (44) 의 스프링력의 합력 (合力) 에 따라 밸브 작동실 (48)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은 제 1 연통 구멍 (45) 및 밸브 구멍 (47) 의 개구 면적의 합보다 적어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고, 밸브 구멍 (47) 의 개구 면적을 B2 로 하면, A < B1 + B2 의 관계가 있다. 밸브실 (41) 은 제 1 연통 구멍 (45)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연통되고,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크랭크실 (16) 과 연통되며. 그리고 밸브 구멍 (47) 을 통하여 흡입 포트 (39) 와 연통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된다. 그러나, 상기 A < B1 + B2 의 관계가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및 흡입실 압력 (Pt)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어,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축 (17) 의 회전에 수반하여 사판 (22) 은 요동 회전 운동하고, 사판 (22) 과 연결된 피스톤 (28) 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피스톤 (28) 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입실 (32) 의 냉매 가스는 흡입 포트 (31a) 및 흡입 밸브 (31c) 를 개재하여 압축실 (30) 에 흡입되고, 이어지는 피스톤 (28) 의 왕복 동작, 즉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압축실 (30) 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후, 토출 포트 (31b) 및 토출 밸브 (31d) 를 개재하여 토출실 (33) 로 토출된다.
용량 제어 밸브 (34) 의 개도를 바꾸어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변경되면, 피스톤 (28) 을 사이에 둔 크랭크실 (16) 내와 압축실 (30) 내의 압력 차가 변경되고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변화된다. 그 결과, 피스톤 (28) 의 스트로크, 즉 압축기 (10) 의 토출 용량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낮춰지면,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증가하여 피스톤 (28) 의 스트로크가 증대되고, 토출 용량이 커진다. 반대로,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이 높여지면,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감소되어 피스톤 (28) 의 스트로크가 축소되고, 토출 용량이 작아진다.
여기서, 도 3(a) 에는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가 되는 최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은 저하되어 흡입 압력 (Ps) 과 거의 동일해진다. 또, 밸브실 (41) 의 밸브실 압력 (Pv) 도 흡입 압력 (Ps) 과 거의 동일해짐 (Pc ≒ Pv ≒ Ps) 으로써, 밸브체 (43) 에 작용하는 차압은 대부분 제로가 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 (43) 에는 스프링 (44) 에 의한 흡입 포트 (39) 측으로의 탄성 지지력만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고유량의 냉매 가스가 흡입 통로 (37) 를 통과하여 흡입 포트 (39) 에서 흡입실 (32) 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흡입 가스류에 의해 밸브체 (43) 는 밸브체 (43) 를 저부 (41a) 측으로 밀어 내리는 방향의 힘을 받고,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밸브 작동실 (48) 내를 저부 (41a) 로 향해 이동하고, 흡입구 (42) 는 전개 상태가 된다. 이 때,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체 (43) 에는 차압은 거의 작용하지 않고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만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댐퍼 효과는 억제되고 밸브체 (43) 가 부드럽게 이동함으로써 냉방 필링의 악화가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3(b) 에는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최대와 최소 사이의 중간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은 상승되어 흡입 압력 (Ps) 보다 높아진다. 여기서, 밸브실 (41) 은 제 1 연통 구멍 (45)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연통되고,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크랭크실 (16) 과 연통되며, 그리고 밸브 구멍 (47) 을 통하여 흡입 포트 (39) 와 연통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된다. (Pc > Pv > Ps)
이 흡입 압력 (Ps) 과 밸브실 압력 (Pv) 의 차압에 의해, 밸브체 (43) 에는 스프링 (44) 에 의한 흡입 포트 (39) 측으로의 탄성 지지력에 더하여, 밸브체 (43) 를 흡입 포트 (39) 측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밸브체 (43) 는 밸브 작동실 (48) 내를 흡입 포트 (39) 측을 향해 이동하고, 흡입구 (42) 는 개구 면적의 일부가 폐쇄되어 흡입 통로 (37) 가 좁혀진 상태가 된다. 이 때,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체 (43) 에는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에 더하여 흡입 압력 (Ps) 과 밸브실 압력 (Pv) 의 차압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댐퍼 효과가 얻어져 흡입 맥동에 의한 압력 변동이 억제된다.
특히, 가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는 크랭크실 압력 (Pc) 은 상당히 높아지는데,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됨으로써, 지나치게 높지 않고 지나치게 낮지 않아 댐퍼 효과에 양호한 압력 분위기로 할 수 있고, 필요 이상으로 흡입 통로 (37) 의 개도가 좁혀지지 않고, 또 저 유량시에 있어서의 흡입 맥동에 의한 진동 및 이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 에는 사판 (22) 의 경사 각도가 최소가 되는 최소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은 더욱 상승되어 최대치가 되고, 흡입 압력 (Ps) 보다 상당히 높아진다. 또, 밸브실 (41) 의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도 3(b) 의 가변 용량시의 상태보다 상당히 높아진다. (Pc > Pv > Ps)
이 흡입 압력 (Ps) 과 밸브실 압력 (Pv) 의 차압에 의해, 밸브체 (43) 에는 스프링 (44) 에 의한 흡입 포트 (39) 측으로의 탄성 지지력에 더하여, 밸브체 (43) 를 흡입 포트 (39) 측에 밀어 올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밸브체 (43) 는 밸브 작동실 (48) 내를 흡입 포트 (39) 측을 향해 이동하고, 밸브체 (43) 가 캡 (38) 의 하단부 (38a) 와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흡입구 (42) 는 개구 면적의 전체부가 폐쇄된 전폐 상태가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를 포함한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하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압축기 (10) 는 정지 상태에 있고, 흡입 스로틀 밸브 (40) 의 밸브체 (43) 는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만을 받아 캡 (38) 의 하단부 (38a) 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흡입구 (42) 는 막힌 상태에 있다.
압축기 내부의 진공화는 예를 들어, 흡입 포트 (39) 에 도시하지 않은 진공 펌프를 연결하고 진공 펌프를 운전시켜 실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 (43) 에 밸브실 (41) 과 흡입 포트 (39) 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 (47) 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및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은 각각 제 1 연통 구멍 (45) 및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 내부의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과 흡입 포트 (39) 는 이어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흡입 포트 (39) 측으로부터 진공화함으로써,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내부의 혼입 기체를 배기할 수 있어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40) 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1)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을 상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 (45) 과,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을 상시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 (46)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 (41) 의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포트 (39) 의 흡입 압력 (Ps) 과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고, 댐퍼 효과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특히, 흡입 유량이 적은 가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는 크랭크실 압력 (Pc) 은 상당히 높아지는데, 밸브실 압력 (Pv) 은 크랭크실 압력 (Pc) 과 흡입 압력 (Ps) 의 중간 압력이 됨으로써, 댐퍼 효과에 양호한 압력 분위기로 할 수 있고, 밸브실 압력 (Pv) 에 크랭크실 압력 (Pc) 만을 작용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 이상으로 흡입 통로 (37) 의 개도가 좁혀지지 않고 필요한 흡입 유량을 얻을 수 있어, 냉방 필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입 맥동에 의한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이음 및 진동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흡입 유량이 많은 최대 용량 운전시에는, 크랭크실 (16) 의 크랭크실 압력 (Pc) 은 저하되어 흡입 압력 (Ps) 과 거의 동일해지고, 밸브실 (41) 의 밸브실 압력 (Pv) 도 흡입 압력 (Ps) 과 거의 동일해진다 (Pc ≒ Pv ≒ Ps). 이 때문에, 밸브체 (43) 에는 차압은 작용하지 않고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만이 작용하고 댐퍼 효과는 억제되며, 밸브체 (43) 는 스프링 (44) 에 저항하여 흡입 포트 (39) 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냉방 필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유량 범위에 걸쳐 압축기의 성능 유지가 가능해져 있다.
(3)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며, 밸브 구멍 (47) 의 개구 면적을 B2 로 하고, 개구 면적 (A) 이 개구 면적 (B1) 과 개구 면적 (B2) 의 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 압력 (Ps) 및 흡입실 압력 (Pt)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흡입실 압력 (Pt) 및 흡입 압력 (Ps)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어, 크랭크실 압력 (Pc) 에 의한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이 방지된다.
(4) 밸브체 (43) 에 밸브실 (41) 과 흡입 포트 (39) 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 (47) 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및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은 각각 제 1 연통 구멍 (45) 및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 내부의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과 흡입 포트 (39) 는 이어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압축기를 포함한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하 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흡입 포트 (39) 측으로부터 진공화를 실시함으로써,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내부의 혼입 기체를 배기할 수 있어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50) 를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서, 그 이외의 구성은 공통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일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며, 변경된 곳만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 스로틀 밸브 (50) 는, 밸브 작동실 (48)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밸브체 (51) 에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밸브실 (41) 은 제 1 연통 구멍 (45)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연통되고,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크랭크실 (16) 과 연통되어 있다. 또,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면, 개구 면적 (A) 은 개구 면적 (B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실 압력 (Pt)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상기 A < B1 의 관계가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 입 압력 (Ps)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고, 크랭크실 압력 (Pc) 에 의한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이 방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50) 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a) ∼ 도 3(c) 에서 나타내어지는 가변 용량 운전시의 작동 설명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50) 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 ∼ (2) 의 효과는 동일하고, 그 이외의 효과를 기재한다.
(5)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면, 개구 면적 (A) 이 개구 면적 (B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실 압력 (Pt)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흡입실 압력 (Pt)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고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이 방지된다.
(6) 밸브체 (51) 에 밸브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밸브체 (51)의 가공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를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서, 그 이외의 구성은 공통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일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며 변경된 곳만 설명한다.
도 6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입 스로틀 밸브 (60) 는, 밸브 작동실 (48)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밸브체 (61) 에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흡입구 (42) 의 상부의 흡입 통로 (37) 의 내벽면에 흡입 포트 (39) 와 흡입실 (32) 을 상시 연통하는 노치 구멍 (62) 을 형성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밸브실 (41) 은 제 1 연통 구멍 (45)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연통되고,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크랭크실 (16) 과 연통되어 있다. 또, 흡입 포트 (39) 는 노치 구멍 (62)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상시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면, 개구 면적 (A) 은 개구 면적 (B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실 압력 (Pt)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상기 개구 면적 (A) 이 개구 면적 (B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크랭크실 압력 (Pc) 보다 흡입실 압력 (Pt)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고, 크랭크실 압력 (Pc) 에 의한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이 방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60) 의 동 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a) ∼ 도 3(c) 에서 나타내어지는 가변 용량 운전시의 작동 설명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압축기를 포함한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하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흡입 스로틀 밸브 (60) 의 밸브체 (61) 는 스프링 (44) 에 의한 탄성 지지력만을 받고, 캡 (38) 의 하단부 (38a) 에 맞닿은 상태에 있고, 흡입구 (42) 는 막힌 상태에 있다. 그러나, 노치 구멍 (62)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입 포트 (39) 와 흡입실 (32) 은 이어진 상태에 있고, 흡입 포트 (39) 에 도시하지 않은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화되면 흡입실 (32) 의 혼입 기체를 배기할 수 있다. 도 6(b)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실 (32) 뿐만 아니라 밸브실 (41) 을 개재하여 연통된 크랭크실 (16) 의 배기도 실시할 수 있어 압축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60) 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 ∼ (2) 의 효과는 동일하여 그 이외의 효과를 기재한다.
(7)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을 A 로 하고,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을 B1 로 하면, 개구 면적 (A) 은 개구 면적 (B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밸브실 압력 (Pv) 은 흡입실 압력 (Pt) 과 크랭크실 압력 (Pc) 의 중간 압력이 되는데, 흡입실 압력 (Pt) 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되고 밸브실 압력 (Pv) 의 지나친 상승이 방지된다.
(8) 흡입 포트 (39) 는 노치 구멍 (62) 을 통하여 흡입실 (32) 과 상시 연통되어 있고, 밸브실 (41) 과 흡입실 (32) 및 밸브실 (41) 과 크랭크실 (16) 은 각각 제 1 연통 구멍 (45) 및 제 2 연통 구멍 (46) 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 내부의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과 흡입 포트 (39) 는 이어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압축기를 포함한 에어컨 시스템에 냉매를 차지하기 전에 실시하는 진공화에 있어서는 흡입 포트 (39) 측으로부터 진공화함으로써, 흡입실 (32) 및 크랭크실 (16) 내부의 혼입 기체를 배기할 수 있어 압축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제 1 ∼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밸브를 리드 밸브 타입으로서 설명하였는데, 로터리 밸브 (회전 밸브) 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로터리 밸브 회전시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의 흡입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 3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 구멍을 흡입구에 연접하여 상방에 형성한다고 하여 설명하였는데, 흡입 포트와 흡입실을 상시 연통시킬 수 있으면 흡입구와 떨어진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 제 1 ∼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스프링 (44) 은 도면 상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있는데, 이 스프링 (44) 은 밸브체를 흡입 포트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이면 되고, 접시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 제 1 ∼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은 제 1 연통 구멍 (45) 및 밸브 구멍 (47) 의 개구 면적, 또는 제 1 연통 구멍 (45) 의 개구 면적보다 적어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동등하여도 되고 또한 제 2 연통 구멍 (46) 의 개구 면적이 제 1 연통 구멍 (45) 및 밸브 구멍 (47) 의 개구 면적보다 커도 된다.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 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가변 용량 운전시에 있어서의 작용 설명용의 모식도이다. (a) 최대 용량 운전시를 나타낸다. (b) 중간 용량 운전시를 나타낸다. (c) 최소 용량 운전시를 나타낸다.
도 4 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진공화시에 있어서의 작용 설명용의 모식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의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이다. (a) 가변 용량 운전시를 나타낸다. (b) 진공화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축기
16 크랭크실
32 흡입실
37 흡입 통로
39 흡입 포트
40 흡입 스로틀 밸브
41 밸브실
43 밸브체
44 스프링
45 제 1 연통 구멍
46 제 2 연통 구멍
47 밸브 구멍

Claims (5)

  1.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와 흡입된 냉매 가스를 수용하는 흡입실 사이의 흡입 통로에, 이 흡입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흡입 포트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가 형성된 밸브실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흡입 압력과 밸브실 압력 및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과의 합력에 따라 상기 밸브실 내를 이동하며 상기 흡입 통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압축기의 전체 유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과 상기 흡입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과,
    압축기의 전체 유량 범위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과 크랭크실을 상시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흡입 포트를 연통시키는 밸브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에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흡입실을 상시 연통시키는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연통 구멍 및 상기 밸브 구멍의 개구 면적의 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KR1020090021017A 2006-11-03 2009-03-12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KR100947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9706A JP4706617B2 (ja) 2006-11-03 2006-11-03 圧縮機の吸入絞り弁
JPJP-P-2006-299706 2006-11-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90A Division KR100899972B1 (ko) 2006-11-03 2007-09-14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203A true KR20090033203A (ko) 2009-04-01
KR100947199B1 KR100947199B1 (ko) 2010-03-11

Family

ID=387288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90A KR100899972B1 (ko) 2006-11-03 2007-09-14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KR1020090021017A KR100947199B1 (ko) 2006-11-03 2009-03-12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90A KR100899972B1 (ko) 2006-11-03 2007-09-14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8656B2 (ko)
EP (1) EP1918583B1 (ko)
JP (1) JP4706617B2 (ko)
KR (2) KR100899972B1 (ko)
CN (1) CN101173654B (ko)
AT (1) ATE529637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862A (ko) * 2018-03-30 2019-10-1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피스톤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2989A (ja) * 2007-10-19 2009-05-14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5065120B2 (ja) * 2008-03-28 2012-10-31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US20110229348A1 (en) 2008-11-25 2011-09-22 Hiroshi Honda Variable Displacement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100143162A1 (en) * 2008-12-10 2010-06-10 Delphi Technologies, Inc. Suction shutoff valve
JP2012202394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5182393B2 (ja) * 2011-03-31 2013-04-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KR101915968B1 (ko) * 2012-04-27 2018-11-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101904002B1 (ko) * 2012-06-20 2018-10-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CN104109101B (zh) * 2013-06-06 2016-12-28 上海志诚化工有限公司 一种半导体用超纯电子级化学试剂纯化装置
US9488289B2 (en) 2014-01-14 2016-11-08 Hanon Systems Variable suction device for an A/C compressor to improve nvh by varying the suction inlet flow area
DE102014206952A1 (de) * 2014-04-10 2015-10-15 Magna Powertrain Bad Homburg GmbH Verdichter mit elektrischer Regelung und mechanischem Zusatzventil
US9863421B2 (en) * 2014-04-19 2018-01-0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ulsation dampening assembly
CN109281820A (zh) * 2017-07-21 2019-01-29 浙江盾安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空压机的进气阀结构
JP6819502B2 (ja) * 2017-07-28 2021-0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DE102018103610B3 (de) * 2018-02-19 2019-02-14 Hanon Systems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uckpulsationen für einen Verdichter eines gasförmigen Fluids
JP7151037B2 (ja) * 2018-03-30 2022-10-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210105536A (ko) * 2020-02-19 2021-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177A (ja) * 1986-09-05 1988-03-23 Hitachi Ltd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2650378B2 (ja) * 1988-12-13 1997-09-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連続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の容量判別装置
JPH07310654A (ja) * 1994-05-12 1995-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ラッチレス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JPH0960589A (ja) * 1995-08-21 1997-03-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JPH11148457A (ja) * 1997-11-13 1999-06-02 Zexel:Kk 可変容量型斜板式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JP4181274B2 (ja) * 1998-08-24 2008-11-12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JP2001003861A (ja) * 1999-06-21 2001-01-09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JP2001221157A (ja) * 2000-02-04 2001-08-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3933369B2 (ja) * 2000-04-04 2007-06-20 サンデン株式会社 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JP2002081371A (ja) * 2000-06-19 2002-03-22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4479504B2 (ja) 2004-04-28 2010-06-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4412184B2 (ja) * 2005-01-27 2010-02-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JP4429931B2 (ja) * 2005-02-07 2010-03-10 サンデン株式会社 開度調整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862A (ko) * 2018-03-30 2019-10-1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피스톤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18656B2 (en) 2011-04-05
KR100947199B1 (ko) 2010-03-11
EP1918583B1 (en) 2011-10-19
JP4706617B2 (ja) 2011-06-22
US20080107544A1 (en) 2008-05-08
ATE529637T1 (de) 2011-11-15
EP1918583A3 (en) 2009-08-12
CN101173654A (zh) 2008-05-07
CN101173654B (zh) 2010-06-16
KR20080040561A (ko) 2008-05-08
KR100899972B1 (ko) 2009-05-28
EP1918583A2 (en) 2008-05-07
JP2008115762A (ja)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199B1 (ko) 압축기의 흡입 스로틀 밸브
JP4656044B2 (ja) 圧縮機の吸入絞り弁
KR10160771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9759206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8439652B2 (en) Suction throttle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KR101541998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5345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15175269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US9709045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JP2015187417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8112118A (ja) 圧縮機
KR20120090529A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JP200424519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110035597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KR20120018259A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JP2016166532A (ja) 容量可変型両頭斜板式圧縮機
JP2016169700A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2364528A (ja) 斜板式圧縮機
JP2004052623A (ja) 斜板式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JP3873861B2 (ja) 斜板型可変容量圧縮機
KR20140014852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40014853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20015840A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JP2006132447A (ja) 可変容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