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820A -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820A
KR20090031820A KR1020080088702A KR20080088702A KR20090031820A KR 20090031820 A KR20090031820 A KR 20090031820A KR 1020080088702 A KR1020080088702 A KR 1020080088702A KR 20080088702 A KR20080088702 A KR 20080088702A KR 20090031820 A KR20090031820 A KR 2009003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697B1 (ko
Inventor
시게루 나마타메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3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체 통신단말로 고정전화회선을 이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셀룰러통신에 의해서 이동체 통신망(10)을 통한 통신을 실행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고정전화기나 무선LAN액세스포인트 등의 통신장치(200)와 무선통신(비셀룰러통신)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이다.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하고, 통신장치(200)에 접속된 고정전화회선(21)을 통한 발신을 실행할 때,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용 가능한 셀룰러통신으로 이용하고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 (100)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하고, 통신장치(200)에 송신한다. 통신장치 (20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통지된 전화번호가 발신처에 통지되도록 고정전화회선(21)을 통한 발신을 실행한다.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고정전화회선, 듀얼모드 단말, 셀룰러, 비셀룰러

Description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체 통신단말로부터 고정전화회선을 통한 통신을 실행할 경우에 매우 적합한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단말의 하나로서, 이동체 통신망(이른바, 셀룰러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통신기능 외에, 예를 들면, 무선LAN(Local Area Network)이나 블루투스 등이라고 하는 다른 계통의 무선통신기능(이하, 「비셀룰러통신기능」이라고 한다)도 탑재한, 이른바 듀얼모드 단말이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듀얼모드 단말에 의해 고정전화망을 통한 통신에 이동체 통신단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른바 FMC(Fixed Mobile Convergence)가 실현된다. 이 FMC에 의해 고정전화망이나 IP전화망에 접속하고 있는 무선LAN액세스포인트나 고정전화기 등의 통신장치에, 비셀룰러통신기능에 의해서 이동체 통신단말이 접속되는 것으로, 고정전화망에 접속하는 전화기로서 이동체 통신단말을 이용하거나, 고정전화기의 자기(子耭)로서 이동체 통신단말을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동체 통신망보다도 일반적으로 낮은 요금의 고정전화망을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고정전화망과 접속된 통신장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환경하(예를 들면, 사무실이나 자택 등이라고 하는 특정의 옥내 등)에서는 비셀룰러통신기능으로 고정전화망을 이용하고, 통신장치로 액세스할 수 없는 환경하에서는 셀룰러통신망을 통한 통신으로 하는 것으로, 통신비용의 저감과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전화망을 사용한 통신으로 발신할 경우, 고정전화망이 직접 접속되어 있는 통신장치가 발호(發呼)하게 되므로, 발신처에는 해당 통신장치가 수용하고 있는 고정전화회선의 번호(전화번호)가 발신원의 번호로서 통지되게 된다. 즉, 발신에 사용한 이동체 통신단말이 누구의 것인 지에 관계없이, 기업이나 가정에서 계약하고 있는 전화번호가 상대에게 통지되게 된다.
한편, 셀룰러망을 통한 이동체 통신단말끼리의 통신에 있어서는, 이동체 통신단말마다 개별의 전화번호를 통지하고 있으므로, 주소록 기능과의 링크에 의해서 누구로부터의 발신을 착신했는지 개별적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이동체 통신단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편리성의 하나로서 정착하고 있다. 따라서, FMC를 이용한 경우에 한해서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가 통지되지 않고서는, 이동체 통신단말의 편리성을 현저하게 손상시켜버리게 된다.
다른 한편, 일본국 특개 2006-67192호 공보에는, 이동체 통신단말과 고정전화를 제휴시키는 기술에 있어서, 이동체 통신단말이 갖는 주소록 기능을 고정전화에서 이용할 경우에,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를 상대에게 통지하지 않는 기술이 개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단지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를 통지하지 않도록 할 뿐인 것이며,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통지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6-67192호 공보의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집어넣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동체 통신단말로 고정전화망을 이용한 경우라도, 이동체 통신단말의 번호통지를 실행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동체 통신회선(10)으로의 무선액세스에 의한 이동체 통신과, 상기 무선액세스와는 다른 통신방식의 무선통신을 실행 가능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서, 상기 이동체 통신회선(10)과는 다른 비이동체 통신회선(20)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장치(200)와 상기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통신가부판별부(112)와, 상기 통신가부판별부(112)에 의해서 상기 통신장치(20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에 의해서 해당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하고,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100)을 특정 가능한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 (20)을 통하여 실행하도록 해당 통신장치(200)에 지시하는 발신지시부(1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단말로부터 고정전화회선을 통한 통신을 실행할 때에, 이동체 통신단말의 식별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시스템(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통신장치(200)로 구성되어 있다. 또, 통신시스템(1)은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의한 이동체 통신(이른바, 셀룰러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체 통신망(셀룰러망, 10)과, 통신장치(200)가 고정전화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고정전화망(20)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동체 통신망(10)과 통신장치(200)에 무선액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고정전화망(20)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FMC(Fixed Mobile Convergence)를 실현할 수 있다.
이동체 통신망(10)은 이동체 통신캐리어에 의해서 제공되는 셀룰러망이며, 무선액세스네트워크나 코어네트워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무선액세스네트워크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무선액세스하는 복수의 무선기지국이나, 복수의 무선기지국을 제어하는 복수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코어네트워크는 복수의 RNC끼리를 접속하는 중계교환기나, 다른 통신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관문교환기, 이동체 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홈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와 같은 이동체 통신망(10)에 무선액세스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회선을 확립해서 이동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고정전화망(20)은 고정전화기 등의 비이동체 통신단말을 이용한 일반가입자 전화나 IP전화를 실현하기 위한 통신네트워크(비이동체 통신망)이며, 회선교환방식의 전화회선망이나, IP(Internet Protocol)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패킷교환방식의 통신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선교환방식의 전화회선망으로서는, 예를 들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을 들 수 있다. 또, 패킷교환방식의 통신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면 광섬유망이나 DSL(Digital Subscriber Line)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전화망(20)과 통신장치(200)는 액세스회선인 고정전화회선(21. 비이동체 통신회선)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FMC에 의해, 통신장치(200)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전화회선 (21)을 통한 통신(비이동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예를 들면 휴대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이라고 하는, 이른바 셀룰러통신에 의한 이동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전화단말이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동체 통신망(10)을 통하여 실행하는 음성통화나 데이터통신 등의 통신기능(이하, 「셀룰러통신기능」이라 한다)을 기본 기능으로서 갖는 것 외에, 예를 들면 무선LAN(Local Area Network)이나 블루투스 등이라고 하는 셀룰러통신과는 다른 계통의 무선통신기능(이하, 「비셀룰러통신기능」이라 한다)을 구비한, 이른바 듀얼모드 단말이다.
이와 같은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 셀룰러통신부(120), 비셀룰러통신부 (130), 인터페이스부(140), 음성처리부(150), 및 기억부(1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작업영역이 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동작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각부를 제어한다. 즉,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각 구성은, 제어부(110)에 의해서 제어되는 동시에, 각 구성간의 정보전달 등은 제어부(110)를 통하여 실행된다.
셀룰러통신부(12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의한 셀룰러통신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한 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셀룰러통신부(120)는 해당 통신방식에 대응한 안테나(121)에 의한 무선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근방의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셀룰러통신부 (120)에 의해, 이동체 통신망(10)으로의 무선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다.
비셀룰러통신부(13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의한 비셀룰러통신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IEEE802.11계의 무선LAN규격이나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규격 등에 준거한 무선통신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셀룰러통신부(130)는 해당 통신규격에 대응한 안테나(131)에 의한 무선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당 무선통신방식에 대응한 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셀룰러통신부(130)의 무선통신방식에 통신장치(200)가 대응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비셀룰러통신부(130)의 동작에 의해서 통신장치(200)와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그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관련되는 구성이며, 예를 들면 조작부(141)나 표시부(1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141)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외면상에 구성된 버튼이나 키 등으로 구성되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조작부(141)는 각 버튼이나 키 등과 접속된 입력회로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해서 제어부(110)에 입력한다.
표시부(142)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된 표시출력장치이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서 화상 등을 표시한다.
음성처리부(150)는, 예를 들면 음성데이터용의 코덱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음성입력, 음성출력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처리부(150)는 셀룰러통신부(120)나 비셀룰러통신부(130)에서 수신한 디지털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151)로부터 출력하는 수화동작을 실행한다. 또, 음성처리부(150)는 마이크로폰(152)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발화음성을 디지털음성데이터로 변환해서 셀룰러통신부(120)나 비셀룰러통신부 (130)에 송출하는 송화동작 등도 실행한다.
기억부(160)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로 구성되고, 제어부 (110)가 실행하는 동작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1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이나,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2), 주소정보격납영역(163), 프로그램격납영역(164) 등의 기억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은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셀룰러통신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설정정보(셀룰러통신설정)를 격납하는 기억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는 이동체 통신캐리어와의 계약에 의해서 할당되는 이동체 통신단말마다 일의의 전화번호나 전자메일주소 등이라고 하는 식별정보나 여러 가지의 인증키 등이 격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셀룰러통신의 설정정보는 통신캐리어와의 계약에 따른 가입자정보를 기억한, 이른바, UIM(User Identity Module)카드 등에 의해서 제공할 수 있다. 즉,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은 기억부(160) 내에 구비되어 있어도,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UIM카드 등의 기억소자상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160)의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는 하나의 설정정보가 디폴트설정으로서 미리 격납되어 있는 동시에, 이동체 통신단말 (100)에 장착된 UIM카드의 기억정보가 판독되어 격납된다.
여기에서,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와 같은 UIM카드를 적어도 1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2 이상)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체 통신단말(100) 은 1대로 2 이상의 전화번호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이다. 이와 같은 듀얼모드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비즈니스용과 프라이빗용으로 전화번호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2 이상의 전화번호 등이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예를 들면 법인계약 등에 의해서 비즈니스이용을 주목적으로 이용된다. 이로 인해,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1)에는 비즈니스용의 전화번호 등(예를 들면 고객이나 거래처 등과의 통신에 이용하는 전화번호 등)이 디폴트의 설정정보로서 격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프라이빗용의 전화번호 등(예를 들면 가족이나 친구 등과의 통신에 이용하는 전화번호 등)의 설정정보는 UIM카드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UIM카드를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장착하는 것으로, 1대의 이동체 통신단말(100)을 사용한 통신을, 비즈니스용과 프라이빗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은 통신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비셀룰러통신을 위해 필요한 설정정보(비셀룰러통신설정)를 격납하는 기억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FMC의 이용계약에 의거한 설정정보가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2)에 격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예를 들면 법인계약 등에 의해 비즈니스용도의 FMC이용계약이 이루어져 있을 경우, 그 사용자가 속하는 사업체의 건조물 내 등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장치(200)와 통신하는 것으로 해당 사업체가 계약하고 있는 고정전화회선을 사용한 FMC가 실현된다.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는 이와 같은 FMC의 이용계약에 의거하여 할당되는 설정정보가 격납된다. 구체적으로,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는 예를 들면 통신장치(200)와의 통신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정보 외에, 해당 FMC계약에 의해서 이용 가능한 고정전화회선의 전화번호 등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FMC계약에 의해서 할당되는 설정정보도 UIM카드 등에 의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은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의 경우와 똑같이,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장착되는 UIM카드 등의 기억소자상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장착된 UIM카드 등의 기억소자상에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동체 통신단말(100)에는 셀룰러통신(프라이빗용)의 UIM카드와 비셀룰러통신의 UIM카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3개의 전화번호(셀룰러통신용의 2개와 비셀룰러통신용의 1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a∼도 3c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 및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2)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 3a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고, 도 3b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폴트로 등록되어 있는 비즈니스용의 셀룰러통신설정과, UIM카드로부터 판독된 프라이빗용의 셀룰러통신설정이 격납되어 있다. 각 설정정보에는 각각에서 이용하는 전화번호나 전자메일주소 외에, 이용목적에 따른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기록된다.
이하에서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디폴트로 등록되어 있는 비즈니스용의 셀룰러통신설정을 「UIM1」로 하고, UIM카드로부터 판독된 프라이빗용의 셀룰러통신설정을 「UIM2」로 한다. 이 경우,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IM1에 대한 용도로서 「비즈니스」가 기록되고, UIM2에 대한 용도로서 「프라이빗」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된다.
또,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MC계약에 의거하여 이용 가능하게 된 통신장치(200)와의 통신에 필요한 인증정보나, 해당 통신장치(200)를 통하여 FMC에 이용 가능한 고정전화회선(이하, 「FMC회선」이라 한다)의 전화번호 등과 함께,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용도가 기록된다. 이하에서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설정된 비셀룰러통신설정을 「UIM3」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대해서는, 비즈니스이용의 FMC계약이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IM3에 대한 용도로서 「비즈니스」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셀룰러통신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FMC의 계약시 등에 FMC서비스의 제공자 등에 의해서 설정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은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주소록 기능(전화번호부기능)을 실현할 때에 필요한 주소정보를 격납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전화번호 등의 각각에 대응해서 등록된 주소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도 3c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격납되어 있는 주소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편의 명칭이나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등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주소정보에 부가해서 각 주소정보의 속성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소정보격납영역 (163)에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UIM1이나, UIM2, UIM3 등)가 속성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는 등록되어 있는 통신상대에게 통지하고 싶은 전화번호가 어느 것인가에 따라서 사용할 통신이 임의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UIM1에 대응하는 이동체 통신용의 전화번호를 통지하고 싶은 상대(예를 들면, 도 3c에 있어서의 「A님」)에 대해서는 속성정보로서 「UIM1」이 등록되어 있다. 또, UIM2에 대응하는 이동체 통신용의 전화번호를 통지하고 싶은 상대(예를 들면, 도 3c에 있어서의 「B님」)에 대해서는 속성정보로서 「UIM2」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FMC가 이용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FMC에서 사용할 고정전화회선(21)의 전화번호를 통지하고 싶은 상대(예를 들면, 도 3c에 있어서의 「C님」)에 대해서는 속성정보로서 「UIM3」이 등록되어 있다.
UIM카드를 이용한 경우,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는 해당 UIM카드에 대응하는 주소정보가 격납된다. 이에 따라,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는 지금까지 이동체 통신단말(100)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UIM카드에 대응하는 주소정보가 격납되기 때문에, UIM카드의 삽발(揷拔)에 의해 이용 가능한 전화번호 등이 불특정적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큐리티상의 이유 등에 의해, UIM카드에 대응하 는 주소정보가 해당 UIM카드에만 기록되도록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장착된 UIM카드를 주소정보격납영역(163)의 일부로서 주소정보를 해당 UIM카드로부터 직접 참조하도록 하면 좋다.
프로그램격납영역(164)은 제어부(11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기 위한 영역이다. 프로그램격납영역에는 이동체 통신단말(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OS(Operating System)나,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여러 가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 등이 격납되어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그램격납영역 (164)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발신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제어부(110)가 프로그램격납영역(164)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도 4의 기능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능이 실현된다. 제어부(1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제어부(111),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 이용회선선택부(113), 통지정보취득부(114) 및 발신동작제어부(115) 등으로서 기능한다.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고, 조작부(141)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접수하는 동시에, 여러 가지의 화면을 생성해서 표시부(142)에 출력한다.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셀룰러통신부(120) 및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하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이용 가능한 회선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셀룰러통신부(120) 및 비셀룰러통신부(130)의 동작을 모니 터하는 것으로, 셀룰러통신 및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셀룰러통신부(120)가 근방의 무선기지국과 통신 가능한지 모니터하는 것으로, 셀룰러통신의 권(圈) 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비셀룰러통신부(130)가 통신장치 (200)와 통신 가능한지 모니터하는 것으로, 통신장치(200)와의 통신권 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조작부(141)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소망하는 통신 상대에게 이용하는 회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용회선선택부(113)는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에 의한 판별결과와 조작부 (141)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이용할 회선을 선택한다.
통지정보취득부(114)는 이용회선선택부(113)가 선택한 회선과 조작부(141)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발신시에 통지할 전화번호 등(통지정보)을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 또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2)으로부터 취득한다.
발신동작제어부(115)는 이용회선선택부(113)가 선택한 회선에 따라 셀룰러통신부(120) 또는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해서 발신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셀룰러통신에 의해서 발신할 경우, 발신동작제어부(115)는 통지정보취득부(114)에 의해 취득된 통지정보가 통신 상대에게 통지되도록 셀룰러통신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비셀룰러통신에 의해서 발신할 경우, 발신동작제어부(115)는 통지정보취득부 (114)에 의해 취득된 통지정보가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통신장치(200)가 실행하도록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발신동작제어부(115)는 통신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비셀룰러통신부(130)로부터 통신장치(20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10)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각 기능이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서 설명하는데, 이들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상기한 각 구성은 이동체 통신단말(100)을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며, 이동체 통신단말로서의 기본기능이나 부가기능에 관련되는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다음으로 통신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장치 (200)는, 예를 들면 고정전화회선(21)에 접속된 고정전화기나, 고정전화회선(21)에 접속된 무선통신액세스포인트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장치(20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고정전화망(20)을 중개하는 통신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통신장치 (200)에 의해서 FMC가 실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일반 가정 등에 있어서 FMC를 이용할 경우에는, 무선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통신)에 의해 서 이동체 통신단말(100)을 자기로서 이용 가능한 고정전화기가, 통신장치(200)로서 이용된다. 또, 사무실 등에 있어서 FMC를 이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무실 내에 구축되어 있는 LAN에 접속된 무선LAN액세스포인트 등이, 통신장치(200)로서 이용된다. 또한, FMC의 이용장소와 통신장치(200) 형태의 조합은 임의이며,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통신장치(2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통신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장치(2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10), 회선수용부(220), 무선통신부(230), 인터페이스부(240) 및 기억부(2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CPU나 작업영역이 되는 RAM 등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동작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통신장치(200)의 각부를 제어한다. 즉, 통신장치(200)의 각 구성은 제어부(210)에 의해서 제어되는 동시에, 각 구성간의 정보전달 등은 제어부(210)를 통하여 실행된다.
회선수용부(220)는 고정전화망(20)과 접속하기 위한 고정전화회선(21)을 수용하고, 해당 고정전화회선(21)을 이용해서 고정전화망(20)을 통한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회선수용부(220)에는 적어도, FMC계약이 이루어진 전화번호의 고정전화회선(21)이 수용되어 있으면, 복수의 회선이 수용되어도 좋다.
또, 회선수용부(220)는 기존의 FMC용 통신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구성에 의해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채용할 FMC의 규격에 의해, IP망을 통한 액세스가 FMC의 실행시에 필요한 경우 등에는, 회선수용부(220)에 고정전화망 이외의 통신네트워크 로의 액세스 회선이 수용되면 좋다. 또, 회선수용부(220)와 고정전화회선(21) 또는 고정전화망(20) 등의 통신네트워크의 사이에는, 회선이나 통신네트워크에 따른 통신장치(예를 들면 모뎀이나, 라우터, PBX(Private Branch Exchange), 게이트웨이장치, 회선종단장치 등)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개재하고 있다.
무선통신부(23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비셀룰러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이다. 이로 인해, 무선통신부(230)는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통신장치(200)의 비셀룰러통신에 채용되고 있는 통신방식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무선통신부(230)는 해당 무선통신방식으로 동작하는 안테나(231)에 의한 무선전파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인터페이스부(240)는 통신장치(200)의 설정이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통신장치(200)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200)로서 고정전화기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기의 핸드셋이나 다이얼버튼 등이 인터페이스부(240)에 포함된다. 또, 통신장치(200)로서 무선LAN액세스포인트 등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나 스위치 등 외에, LAN 등을 통하여 외부장치(퍼스널컴퓨터 등)와 접속하기 위한 구성이 인터페이스부(240)에 포함된다.
기억부(250)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의 기억장치로 구성되고, 제어부 (210)가 실행하는 동작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 외에,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250)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억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억영역에는 소정의 정보가 격납된다. 기억부(250)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선정보격납영역(251), 단말정보격납영역(252) 및 프로그램격납영역(253) 등의 기억영역에 의해서 구성된다.
회선정보격납영역(251)은 회선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있는 고정전화회선 (21)에 대한 정보(회선정보)를 격납하는 영역이다. 도 6b는 회선정보격납영역 (251)에 격납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선정보격납영역(251)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된 고정전화회선(21)의 전화번호 외에, FMC에 이용되는 회선(FMC회선)이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선정보는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한 조작에 의해서 회선정보격납영역(251)에 기록되고, 예를 들면 수용한 회선을 제공하는 통신사업자나 FMC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통신장치(200)의 사용자 등에 의해서 설정된다.
단말정보격납영역(252)은 통신장치(200)에 의해서 FMC를 실행하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대한 정보(단말정보)를 격납하는 영역이다. 도 6c는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격납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해서 FMC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면,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 IP주소 및 MAC주소 등이라고 하는 일의의 식별정보)나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통신시에 필요하게 되는 시큐리티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암호화 키 등) 외에,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FMC에 이용할 수 있는 회선(FMC회선)의 전화번호 등이 기록된다. 이와 같은 단말정보는 인터페이스부 (240)를 통한 조작에 의해서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기록되고, 예를 들면 FMC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나 통신장치(200)의 사용자 등에 의해서 설정된다.
프로그램격납영역(253)은 제어부(21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기 위한 영역이다. 프로그램격납영역(253)에는 통신장치(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OS나, 통신장치(200)의 여러 가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격납된다. 제어부(210)는 프로그램격납영역(253)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액세스에 의해서 FMC에 의한 발신동작을 실행할 때에는 제어부(210)가 프로그램격납영역(253)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도 7의 기능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능이 실현된다. 제어부(2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제어부(211), 단말인증부(212), 회선선택부(213), 통지정보취득부(214) 및 발신동작제어부(215) 등으로서 기능한다.
무선통신제어부(211)는 무선통신부(23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무선통신(비셀룰러통신)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단말인증부(212)는 통신장치(200)에 무선액세스한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해당 통신장치(200)를 사용한 FMC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인지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인증부(212)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액세스시에 송신하는 식별정보와 회선정보격납영역(251)이나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격납되어 있 는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FMC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인지 판별한다.
회선선택부(213)는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한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FMC에 이용할 회선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회선선택부(213)는 회선정보격납영역(251)이나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회선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있는 회선으로부터, 액세스한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FMC에서 이용 가능한 고정전화회선(21)을 선택한다.
통지정보취득부(214)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FMC에 의해서 발신할 때에, 발신처에 통지할 통지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발신원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 한다.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통지정보가 지정된 경우, 통지정보취득부 (214)는 지정된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 한편,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통지정보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지정보취득부(214)는 회선선택부 (213)가 선택한 회선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
발신동작제어부(215)는 회선수용부(220)를 제어하고,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FMC에 의한 발신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발신동작제어부(215)는 소정의 발호제어에 관련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지정하는 발신처로, FMC회선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고정전화회선(21, (고정전화망(20))을 통하여 발호한다. 발신동작제어부(215)는 발호제어에 관련되는 제어정보에 통지정보취득부(214)가 취득한 통지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당 통지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10)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각 기능이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이들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ASIC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상기한 각 구성은 고정전화기나 액세스포인트장치 등을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며, 고정전화기나 액세스포인트장치로서의 기본기능이나 부가기능에 관련되는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시스템(1)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통신장치(200)를 통하여 FMC에 의한 발신동작을 실행할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이동체 통신단말(100)에서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할 경우에, 이동체 통신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단말측 발신처리(1)」을 도 8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단말측 발신처리(1)는 조작부(141)를 구성하는 발신버튼이 조작된 것을 계기로 개시된다.
발신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110)에는 조작부(141)로부터 발신버튼이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인터페이스제어부(111)에 의해서 접수된다.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조작부(141)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발신버튼이 조작되었다고 판별하면,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에 문의한다.
인터페이스제어부(111)로부터의 문의에 응답하여,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해서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11). 구체적으로,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비셀룰러통신부(130)에 의한 무선통신동작에 의거하여,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FMC에 이용할 통신장치 (200)와의 통신권 내에 있는지 판별하는 것으로,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통신장치(200)와의 통신권 내에 없고,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불가라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111: No), 단말측 발신처리(1)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는 셀룰러통신부(120)의 동작에 의한 셀룰러통신이 별도 실행되는 것으로, 셀룰러통신에 의한 발신동작이 실행된다.
한편,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통신장치(200)와의 통신권 내에 있고,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111: Yes),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그 취지를 이용회선선택부(113)에 통지한다. 이용회선선택부(113)는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여,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액세스해서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설정되어 있는 회선을 FMC에 이용할 회선 (FMC회선)으로서 선택하고, 그 취지를 통지정보취득부(114)에 통지한다.
통지정보취득부(114)는 이용회선선택부(113)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여,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액세스해서 선택된 회선(FMC회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를 특정한다(스텝S11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MC 회선의 용도로서 「비즈니스」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통지정보취득부(114)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액세스하여 스텝S112에서 특정한 용도와 같은 용도가 설정되어 있는 셀룰러통신설정을 특정한다(스텝S113). 상기한 바와 같이, FMC회선의 용도가 「비즈니스」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통지정보취득부(114)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격납되어 있는 셀룰러통신설정(본 실시형태의 경우, UIM1와 UIM2) 중에서, 용도에 「비즈니스」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IM1의 용도가 「비즈니스」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통지정보취득부(114)는 FMC회선의 용도와 같은 용도의 셀룰러통신설정으로서 UIM1을 특정한다.
계속해서, 통지정보취득부(114)는 스텝S113에서 특정한 셀룰러통신설정에 기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스텝S114).
또한, 통지정보취득부(114)는 발신동작제어부(115)에 취득한 통지정보와 사용할 회선을 통지하는 동시에, 해당 통지정보를 발신시에 부가하도록 지시한다.
여기에서, 본 처리는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발신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이로 인해,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는 조작부(141)를 구성하고 있는 숫자 키를 조작하는 것으로, 소망하는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발신을 지시하는 키 조작 등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가 조작부(141)로부터 제어부(110)에 입력되면,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발신이 지시되었다고 판별하고(스텝S115: Yes), 입력된 전화번호를 발신동작제어부(115)에 통지하는 동시에, 해당 전화번호 앞으로의 발신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발신동작제어부(115)는 인터페이스제어부(111)로부터의 지시를 계기로 발신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발신동작제어부(115)는 통지정보취득부(114)로부터 통지된 회선에 따라 셀룰러통신부(120) 또는 비셀룰러통신부(130)의 어느 하나를 제어해서 발신동작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텝S111에서 통신장치(20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되고, 스텝S113에서 FMC회선이 선택되므로, 발신동작제어부 (115)는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하는 것으로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한다(스텝S116).
이 경우, 발신동작제어부(115)는 FMC를 실행할 때에 규정되어 있는 순서에 의거하여,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격납되어 있는 인증정보 등을 통신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으로, 통신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을 확립한다.
그 후, 발신동작제어부(115)는 인터페이스제어부(111)로부터 통지된 전화번호 앞으로의 발신을 통신장치(200)에 요구하는 동시에, 통지정보취득부(114)가 취득한 통지정보를 발신원을 나타내는 통지정보로 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해서 통신장치(200)에 송신하고 나서(스텝S117), 단말측 발신처리(1)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제어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통신장치(200)에서 실행되는 「통신장치측 발신처리」를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통신장치측 발신처리는 도 8에 나타내는 스텝S116에서 통신장치(200)에 액세스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통신이 확립한 것을 계기로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통신장치(200)는 무선통신제어부(211)의 동작에 의해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무선통신(비셀룰러통신)을 실행한다. 그리고, 통신장치(200)는 단말인증부(212)에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정보와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격납되어 있는 단말정보의 대조 등에 의해 이동체 통신단말(100)을 인증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그 후, 단말인증부(212)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송신한 제어정보를 취득해서 회선선택부(213)에 통지한다. 이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제어정보에는 발신처의 전화번호와 함께, 발신처에 통지해야 할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회선선택부(213)는 단말인증부(212)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회선정보격납영역 (251) 및 단말정보격납영역(252)에 액세스하여 FMC에 이용하는 회선을 선택한다(스텝S121). 또, 회선선택부(213)는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취득한 제어정보와 함께, 선택한 회선을 통지정보취득부(214)에 통지한다.
통지정보취득부(214)는 회선선택부(213)로부터 통지된 제어정보에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지정한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없는지 판별한다(스텝S122). 여기에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제어정보에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스텝S122: Yes), 통지정보취득부(214)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제어정보로부터 발신시에 부가해야 할 통지정보를 취득한다(스텝S123).
한편,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제어정보에 통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122: No), 통지정보취득부(214)는 회선정보격납영역(251)에 액세스해서 회선선택부(213)가 선택한 FMC회선에 대한 설정정보로부터 해당 FMC회선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스텝S124).
그리고, 통지정보취득부(214)는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제어정보가 나타내는 발신처의 전화번호, 회선선택부(213)가 선택한 회선의 전화번호, 및 스텝S123 또는 S124에서 취득한 통지정보를 발신동작제어부(215)에 통지하는 것으로, FMC회선을 이용한 발신을 지시한다.
발신동작제어부(215)는 통지정보취득부(21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회선수용부(220)를 제어하고, 선택된 FMC회선을 사용하여 지정된 발신처의 전화번호 앞으로 발신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발신동작제어부(215)는 통지정보취득부(214)로부터 통지된 통지정보가 나타내는 전화번호를 발신원 번호로 한 발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당 전화번호를 상대편에게 통지하고 나서(스텝S125), 통신장치측 발신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단말측 발신처리(1)에서는 FMC회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와 같은 용도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본 실시형태에서는 UIM1의 전화번호)가 자동적으로 통지정보로서 취득된다. 이로 인해, 이 통신장치측 발신처리에서는 FMC회선의 전화번호는 아니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가 발신원 전화번호로서 상대편에 통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고정전화망(20)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고정전화회선의 전화번호는 아니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가 발신원 전화번호로서 발신처에 통지된다.
또,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복수 회선의 설정정보를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미리 격납하여 두는 것으로, 고정전화망(20)을 이용할 때의 용도와 같은 용도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가 발신원 전화번호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사무실 내에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발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비즈니스용으로 설정하여 두는 전화번호를 발신원 전화번호로서 고정전화망(20)을 통한 발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편이 발신원을 개인레벨로 인식할 수 있는 편리성과, 고정전화망(20)을 이용하는 경제성의 양립을 사용자에 의한 번잡한 조작을 요하는 일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발신원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했는데, 표시부(142)에 소정의 선택화면을 표시시키는 등으로 하여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소망의 발신원 전화번호를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주소록 기능을 이용해서 발신하는 경우에, 이동체 통신단말(10)에서 실행되는 「단말측 발신처리(2)」를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단말측 발신처리(2)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조작부(141)를 조작해서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주소록 기능의 실행을 지시한 것을 계기로 개시된다.
주소록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의 키가 조작된 것에 대응한 입력신호가 조작부(141)로부터 제어부(110)에 입력되면,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격납되어 있는 주소정보에 의거한 주소록 화면을 생성해서 표시부 (142)에 표시하는 것으로, 주소록 기능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2)에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등록되어 있는 명칭을 선택 가능하게 일람 표시한 주소록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십자 키 등을 조작하는 것으로, 발신처로서 소망하는 명칭을 일람으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명칭 앞으로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키 조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조작부(141)로부터 제어부(110)에 입력되면,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주소록으로부터의 발신지시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한다(스텝S211: Yes). 이 경우, 인터페이스제어부(111)는 주소록으로부터 지정된 송신처에 설정되어 있는 회선이 이용 가능한지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에 문의하는 동시에, 지정된 송신처를 이용회선선택부(113)에 통지한다.
인터페이스제어부(111)로부터의 문의에 응답하고,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액세스하여, 주소록으로부터 지정된 발신처에 대응하는 통신설정, 즉 해당 송신처로의 발신에 이용할 회선(이하, 「기정(旣定)회선」이라 한다)을 특정한다(스텝S212). 예를 들면 도 3c에 나타내는 주소정보로부터 명칭 「A님」이 송신처로서 지정된 경우,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기정회선으로서 명칭 「A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속성정보 「UIM1」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 및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액세스하고, 특정한 기정회선에 대한 설정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스텝S212에서 UIM1이 특정된 경우,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기록되어 있는 UIM1의 설정을 검색결과로서 취득한 다.
계속해서,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검색된 설정정보를 참조하는 것으로, 특정한 기정회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를 특정한다(스텝S213). 또한,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액세스해서 비셀룰러통신설정에 기록되어 있는 용도가 스텝S213에서 특정한 기정회선의 용도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14).
여기에서, 기정회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와 비셀룰러통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214: No), 단말측 발신처리(2)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한 기정회선에 대한 셀룰러통신설정에 의거하여, 셀룰러통신부(120)에 의한 셀룰러통신에서의 발신이 실행된다.
한편, 기정회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와 비셀룰러통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가 동일하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214: Yes),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해서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15).
여기에서, 통신장치(200)와의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불가라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215: No), 단말측 발신처리(2)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도 셀룰러통신부 (120)에 의한 셀룰러통신에서의 발신이 실행된다.
한편,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스텝S215: Yes), 이용가능회선판별부(112)는 스텝S213에서 특정한 기정회선과 함께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이용회선선택부(113)에 통지한다. 그리고, 이용회선선택부 (113)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설정되어 있는 비셀룰러통신을 이용회선으로서 선택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제어부(111)로부터 통지된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주소정보격납영역(163)으로부터 취득한다.
이용회선선택부(113)는 주소정보격납영역(163)으로부터 취득한 발신처 전화번호와 특정된 기정회선과 사용할 회선을 통지정보취득부(114)에 통지한다. 통지정보취득부(114)는 비셀룰러통신에 의해서 통신할 경우, 이용회선선택부(113)로부터 통지된 기정회선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스텝S216).
다음으로, 통지정보취득부(114)는 비셀룰러통신에 의한 발신처 전화번호 앞으로의 발신요구와 함께, 스텝S216에서 취득한 통지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취지를 발신동작제어부(115)에 통지한다. 통지정보취득부(114)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고, 발신동작제어부(115)는, 비셀룰러통신부(130)를 제어하는 것으로, 통신장치 (200)에 액세스한다(스텝S217).
이 경우, 발신동작제어부(115)는 FMC를 실행할 때에 규정되어 있는 순서에 의거하여,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격납되어 있는 인증정보 등을 통신장치(200)에 송신하는 것으로, 통신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을 확립한다.
그 후, 발신동작제어부(115)는 지정된 발신처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통신장치 (200)에 요구하는 동시에, 통지정보취득부(114)가 취득한 통지정보를, 발신원을 나타내는 통지정보로 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통신장치(200)에 송신하고 나서(스텝S218), 단말측 발신처리(2)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 통신장치(200)에 제어정보가 송신되면, 통신장치(200)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통신장치측 발신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100)로부터의 제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통지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발신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주소록 기능으로 발신처를 선택해서 발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발신처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와 비셀룰러통신에 설정되어 있는 용도가 동일할 때에는, 비셀룰러통신이 사용회선으로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동시에, 해당 비셀룰러통신의 전화번호는 아니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가 발신처에 통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발신원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했는데, 표시부(142)에 소정의 선택화면을 표시시키는 등으로 하여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소망의 발신원 전화번호를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지금까지 사용된 적이 있는 주소정보가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격납되고, 주소정보마다 속성정보가 기록되는 것으로 했는데, 셀룰러통신설정마다 주소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주소록으로부터 상대를 선택해서 고정전화회선(21)으로부터 발신할 때에 통지하는 전화번호를, 예를 들면 「주소록의 설정에 따르는」, 「대응하는 셀룰러통신설정의 전화번호로 하는」, 및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로 하는」의 어느 하나로 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한 설정정보를, 예를 들면 주소정보격납영역(163)에 격납하여 두는 것으로, 설정에 의거하여 통지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선택된 주소정보의 속성정보로서 고정전화회선(21)에 대응하는 「UIM3」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격납되어 있는 고정전화회선(21)의 전화번호를 통지정보로서 취득한다, 또는, 통신장치(200)로의 제어정보에 통지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통신장치(200)로부터의 발호에 의해서 통지되는 전화번호를 고정전화회선(21)의 전화번호로 한다. 이에 따라, 일률적으로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통지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예를 들면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는 알고 있는데, 이동체 통신용의 전화번호는 모른다고 하는 상대에 대해서는,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는 아니고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셀룰러통신의 설정으로서 비즈니스 용도와 프라이빗 용도가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했는데, 용도가 동일한 복수의 셀룰러통신설정이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1)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UIM카드의 추가 등에 의해서, 복수의 비셀룰러통신의 설정이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162)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FMC에 의한 발신을 실행할 때에 통지하는 발신원 전화번호를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의 조건을 기억부(160) 등에 미리 설정해 두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이 조건설정에 따라서 통지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면 좋다. 예를 들면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근무장소나 소속처가 바뀌는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셀룰러통신설정과 복수 의 비셀룰러통신설정의 각각에 해당 설정을 이용하는 요일이나 시간대를 나타내는 일시정보를 기억부(160) 등에 대응지어 격납하여 두는 것으로, 조건설정을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이동체 통신단말(100)은 발신동작이 지시되었을 때의 일시에 해당하는 비셀룰러통신이 이용 가능한 경우, 해당 일시가 해당하는 셀룰러통신설정에 대한 전화번호를 발신원 전화번호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은 조건설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같은 용도의 설정이 복수 있는 경우라도, 적절한 발신원 전화번호를 발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건 설정은 일시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적용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로부터 고정전화회선을 통한 발신을 실행할 경우에는,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에 대한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원을 개인레벨로 식별할 수 있는 편리성과 고정전화회선을 이용하는 경제성을 양립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할 이동체 통신단말이 용도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인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고정전화망에 대해 설정한 용도와 동일한 용도의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선택해서 통지한다. 이로 인해, 용도에 따라 전화번호를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또, 이동체 통신단말의 주소록 기능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정보에 소망하는 통신설정(전화번호)을 등록하여 두는 것으로, 고정전화망을 통한 발신을 주소록으 로부터 실행할 경우에도, 등록된 통신에 대한 전화번호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발신원 전화번호로서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에 의해서 전화번호를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적절한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주소록으로부터 발신을 실행할 때에 통지하는 전화번호를 「주소록의 등록에 따르는」, 「대응하는 통신의 전화번호로 하는」 및 「고정전화의 전화번호로 하는」의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한 설정정보를 등록하여 두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의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셀룰러통신설정과 복수의 비셀룰러통신설정이 이동체 통신단말에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통지를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예를 들면 일시 등에 의거한 조건설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이동체 통신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전화번호를 동일한 용도로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적절한 전화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또, 셀룰러통신에 관한 설정 및 비셀룰러통신에 관한 설정의 각각은, UIM카드 등이라고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에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전화회선에서 통지하는 발신원 전화번호의 확충이나 변경과, 적절한 통지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동체 통신단말로부터의 고정전화회선을 통한 발신을 중개하는 통신장치는, 예를 들면 고정전화기와 같은 고정전화회선과의 접속을 주기능으로 하는 장치에 이동체 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외에, 예를 들면 무선LAN액세스포인트와 같은, 이동체 통신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주기능으로 하는 장치에 고정전화회선으로의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 고정전화기나 무선액세스포인트에 기능을 부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형태의 통신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이며,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여러 가지의 응용이 가능하고, 모든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 통신단말(100)이 고정전화망(20)을 통한 통신(FMC)을 실행할 때의 이용용도를 비즈니스로 했는데, 셀룰러통신설정 및 비셀룰러통신설정으로서 설정되는 용도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일반 가정에 있어서의 고정전화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이면, 가족의 각각이 소유하고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 각각에 대한 전화번호를 상대편에 통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즈니스용과 프라이빗용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셀룰러통신설정이 이동체 통신단말(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는데, 셀룰러통신설정의 등록수는 복수일 필요는 없고 1개라도 좋다. 즉, 비셀룰러통신으로 발신을 실행하는 통신장치가 통상 이용하는 전화번호와는 다른 전화번호가 1 이상 등록되어 있으면 좋다.
또, 이동체 통신단말이 고정전화회선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통신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는 사무실이나 가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숙박시설의 각 방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기를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장치로 한 경우에는, 숙 박객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을 사용하면, 자신의 이동체 통신단말로부터 고정전화망을 통하여 발신할 수 있는 동시에, 자신의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그 밖에, 이동체 통신단말의 비셀룰러통신기능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의 통신장치를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장치로 하는 것으로, 고정전화망이 이용 가능한 여러 가지의 장소에서 이동체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통지하여 발신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셀룰러통신으로 이용하는 전화번호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것으로 했는데, 이동체 통신단말 또는 그 사용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이면, 통지정보는 전화번호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메일주소나 사용자명 등을 통지정보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이동체 통신단말(100)과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미리 구비하고 있는 이동체 통신단말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프로그램의 적용에 의해서, 이들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존의 이동체 통신단말 등을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셀룰러통신과는 다른 계통의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이동체 통신단말에 상기한 이동체 통신단말(100)의 각 기능을 실현시킨 프로그램과 똑같은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해당 이동체 통신단말을 제어하는 컴퓨터(CPU 등)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체 통신단말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통신장치에 대해서도 똑같이 프로그램의 적용에 의해서 기존의 통신장치 등을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장치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고정전화망으로의 액세스와 이동체 통신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에, 상기한 통신장치(200)의 각 기능을 실현시킨 프로그램과 똑같은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해당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CPU 등)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적용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소정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메모리카드나, USB(Universal Serial Bus)메모리, FD(Flexible Disc), MO(Magneto-Optical)디스크,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HD(High-Definition)-DVD, BD(Blu-ray Disc) 등)에 프로그램을 격납해서 배포하는 것으로 임의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것 외에,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BBS(Bulletin Board System)에 이 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이것을 통신매체를 통하여 배신하면 좋다. 또, 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변조하고, 얻어진 변조파를 전송하며, 이 변조파를 수신한 장치가 변조파를 복조해서 이들의 프로그램을 복원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OS의 제어하에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똑같이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OS가 처리의 일부를 분담할 경우, 또는, OS가 본원 발명의 하나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구성할 경우에는, 기록매체에는 그 부분을 제외한 프로그램을 격납해도 좋다. 이 경우도, 이 발명에서는, 그 기록매체에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각 기능 또는 스텝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영역 및 기술사상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영역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영역은 실시형태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의 균등성 의미 내에서 그리고 청구항 내에서 구현된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영역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2007년 9월 25일에 제출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7-247845호에 의거하며, 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도면 및 요약을 참조로서 본 발명에 병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관련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이동체 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도 3c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억부에 격납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에 격납되는 셀룰러통신설정의 예를 나타내고, 도 3b는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에 격납되는 비셀룰러통신설정의 예를 나타내며, 도 3c는 주소정보격납영역에 격납되는 주소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제어부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도 6c는 도 5에 나타내는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기억부를 구성하는 기억영역을 나타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회선정보격납영역에 격납되는 회선정보의 예를 나타내며,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단말정보격납영역에 격납되는 단말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제어부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되는 「단말측 발신처리(1)」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장치측 발신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되는 「단말측 발신처리(2)」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신시스템 10: 이동체 통신망
20: 고정전화망 21: 고정전화회선
100: 이동체 통신단말 110: 제어부
111: 인터페이스제어부 112: 이용가능회선판별부
113: 이용회선선택부 114: 통지정보취득부
115: 발신동작제어부 120: 셀룰러통신부
121: 안테나 130: 비셀룰러통신부
131: 안테나 140: 인터페이스부
141: 조작부 142: 표시부
150: 음성처리부 151: 스피커
152: 마이크로폰 160: 기억부
161: 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2: 비셀룰러통신설정격납영역
163: 주소정보격납영역 164: 프로그램격납영역
200: 통신장치 210: 제어부
211: 무선통신제어부 212: 단말인증부
213: 회선선택부 214: 통지정보취득부
215: 발신동작제어부 220: 회선수용부
230: 무선통신부 231: 안테나
240: 인터페이스부 250: 기억부
251: 회선정보격납영역 252: 단말정보격납영역
253: 프로그램격납영역

Claims (11)

  1. 이동체 통신회선으로의 무선액세스에 의한 이동체 통신과, 상기 무선액세스와는 다른 통신방식의 무선통신을 실행 가능한 이동체 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회선과는 다른 비이동체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통신가부판별부와,
    상기 통신가부판별부에 의해서 상기 통신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에 의해서 해당 통신장치로 액세스하고,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을 특정 가능한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도록 해당 통신장치에 지시하는 발신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동체 통신설정정보를 격납하는 통신설정격납부와,
    상기 통신가부판별부에 의해서 상기 통신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이동체 통신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식별정보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발신지시부는 상기 식별정보취득부가 취득한 식별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도록 상기 통신장치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정격납부는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이동체 통신의 이용용도를 포함한 상기 이동체 통신설정정보와,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한 비이동체 통신의 이용용도를 포함하는 비이동체 통신설정정보를 추가로 격납하고,
    상기 식별정보취득부는 상기 비이동체 통신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비이동체 통신의 이용용도와 동일한 이용용도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이동체 통신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발신처의 주소정보와, 각 발신처로의 발신에 사용하는 통신을 대응지어 격납하는 주소정보격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식별정보취득부는 발신처로서 지정된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에 대한 상기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정보격납부는 발신처에 통지해야 할 식별정보가 어느 것인지를 지정하는 통지지정정보를 추가로 격납하고,
    상기 식별정보취득부는 상기 주소정보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통지지정정보 에 의거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6. 제 2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통신마다의 조건설정을 격납하는 조건설정격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식별정보취득부는 상기 조건설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통신에 대한 상기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정격납부는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에 착탈 가능한 기억매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단말.
  8. 청구항 1에 기재한 이동체 통신단말과, 상기 통신장치를 구비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발신지시부로부터의 지시를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을 특정 가능한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은 상기 이동체 통신에 이용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 동체 통신설정정보를 격납하는 통신설정격납부와,
    상기 통신가부판별부에 의해서 상기 통신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이동체 통신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식별정보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발신부는 상기 식별정보취득부가 취득한 식별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지시부는 상기 식별정보취득부에 의해서 취득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사용한 발신에 관련되는 제어정보를 상기 통신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발신지시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정보를 취득하는 제어정보취득부와,
    상기 제어정보취득부에 의해서 취득한 상기 제어정보에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식별정보판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발신부는 상기 식별정보판별부에 의해서 상기 제어정보에 상기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별한 경우, 해당 제어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발신처에 통지하는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1. 이동체 통신회선으로의 무선액세스에 의한 이동체 통신과, 상기 무선액세스와는 다른 통신방식의 무선통신을 실행 가능한 이동체 통신단말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이동체 통신회선과는 다른 비이동체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장치와 상기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통신가부판별순서와,
    상기 통신가부판별순서에 의해서 상기 통신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에 의해서 해당 통신장치로 액세스하고, 상기 이동체 통신단말을 특정 가능한 발신을, 상기 비이동체 통신회선을 통하여 실행하도록 해당 통신장치에 지시하는 발신지시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080088702A 2007-09-25 2008-09-09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KR100960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7845 2007-09-25
JP2007247845A JP4483921B2 (ja) 2007-09-25 2007-09-25 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20A true KR20090031820A (ko) 2009-03-30
KR100960697B1 KR100960697B1 (ko) 2010-05-31

Family

ID=4013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702A KR100960697B1 (ko) 2007-09-25 2008-09-09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9648B2 (ko)
EP (1) EP2043340B1 (ko)
JP (1) JP4483921B2 (ko)
KR (1) KR100960697B1 (ko)
CN (2) CN1022813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29B1 (ko) * 2010-03-02 2012-02-14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발신자 번호 변환 어플리케이션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2878B2 (ja) 2011-02-07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無線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3042455A (ja) * 2011-08-19 2013-02-28 Hikari Tsushin Inc 発信者番号通知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発信者番号通知システム及び発信者番号の通知方法
CN103051761A (zh) * 2011-10-17 2013-04-17 青牛(北京)技术有限公司 通话底座以及移动终端与通话底座共享通话数据的方法
GB201118992D0 (en) 2011-11-03 2011-12-14 Clever Call Ltd A method of routing call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673656B2 (ja) * 2015-08-20 2020-03-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無線装置及び送信方法
CN105450866A (zh) * 2015-12-02 2016-03-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通信方法及装置
US11129213B2 (en) * 2018-10-12 2021-09-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 identification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3487A1 (en) * 1994-02-24 1995-08-31 Gt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rporation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with remotely programmed mobile stations
JP2003339083A (ja) 2002-03-15 2003-11-2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通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3742029B2 (ja) * 2002-04-15 2006-02-0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4193802A (ja) 2002-12-09 2004-07-08 Sharp Corp 電話通信装置
JP2004289551A (ja) 2003-03-24 2004-10-14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に接続自在な電話機装置
US7058415B2 (en) * 2003-05-12 2006-06-06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US20050064853A1 (en) * 2003-09-23 2005-03-24 Sbc Knowledge Ventures, L.P. Unified telephone handset for personal communications based on wireline and wireless network convergence
JP4208076B2 (ja) * 2004-01-22 2009-01-14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構内交換システム
KR100584640B1 (ko) * 2004-03-02 2006-05-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유선 전화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08792B1 (ko) * 2004-05-28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통신망 식별 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발신통신망 식별 방법
KR100810752B1 (ko) * 2004-08-02 2008-03-10 주식회사 유시드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JP2006067192A (ja) 2004-08-26 2006-03-0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13648A (ja) * 2005-06-30 2007-01-18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EP1750421B1 (en) * 2005-08-04 2017-11-08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lugging on cradle for charging
JP4389854B2 (ja) * 2005-09-01 2009-1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4197335B2 (ja) * 2005-12-28 2008-12-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4160981B2 (ja) * 2006-01-30 2008-10-0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30461B2 (ja) * 2006-02-15 2008-08-0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無線端末および携帯無線端末の処理プログラム
CN100413363C (zh) * 2006-02-15 2008-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融合终端
JP4593492B2 (ja) * 2006-02-16 2010-12-0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4741958B2 (ja) 2006-02-17 2011-08-1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022291B (zh) * 2007-03-23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主叫线路号码显示的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29B1 (ko) * 2010-03-02 2012-02-14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발신자 번호 변환 어플리케이션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3340A2 (en) 2009-04-01
CN101400183B (zh) 2011-10-05
CN102281355B (zh) 2014-09-10
US8249648B2 (en) 2012-08-21
EP2043340A3 (en) 2013-03-06
CN102281355A (zh) 2011-12-14
CN101400183A (zh) 2009-04-01
KR100960697B1 (ko) 2010-05-31
EP2043340B1 (en) 2014-06-25
US20090082060A1 (en) 2009-03-26
JP4483921B2 (ja) 2010-06-16
JP2009081559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697B1 (ko)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JP3836371B2 (ja) 緊急呼番号のアルファタグ付けおよび型の指摘
WO2003096659A1 (fr) Terminal mobile a fonction et systeme de numerotation internationale
JP2007529140A (ja) 選択可能な発信者識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5223915A (ja) 公衆網と私設網が連動したネットワークで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60029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ode based subscriber communications
US20080077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mode
JP5520285B2 (ja) デュアルモードで移動体端末から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JP2011217008A (ja) 携帯電話端末、及び携帯電話端末の動作方法
EP2833609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64384A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2218556A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718083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交換機、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25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ddress book entry between wireless devices
JP2007096956A (ja) 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設定装置、アドレス管理装置、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4096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JP4877565B2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43856A1 (ja) 通話接続において適切な電話番号を用い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806067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WO200611787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H102248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142924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構内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111122A (ja) ネットワーク交換システム及びローカル無線交換網
JPH1021547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交換装置
JP200508628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