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692A -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 - Google Patents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692A
KR20090028692A KR1020087028763A KR20087028763A KR20090028692A KR 20090028692 A KR20090028692 A KR 20090028692A KR 1020087028763 A KR1020087028763 A KR 1020087028763A KR 20087028763 A KR20087028763 A KR 20087028763A KR 20090028692 A KR20090028692 A KR 2009002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mounting force
fabric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660B1 (ko
Inventor
아키라 구시하시
마사미쓰 이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에 압박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벗었을 때도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입구 고무부(7)에는,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과, 이들의 경계(7c)를 형성한다. 영역의 경계(7c)에서는 편사(21)가 경계(7c)를 넘어서 이동하지 않도록 구분된다. 각 영역에 속하는 편사(21)는, 실장력이 강한 인접하는 영역으로 인출되거나, 실장력이 약한 인접하는 영역의 편사(21)를 끌어 들이지 않는다. 착용시에는,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이 늘어나기 쉬워져, 착용시에 압박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벗었을 때도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에서는 실장력이 약하지 않으므로, 착용시의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바닥의 장심부(4)나 발목후방의 잘록부(6)를, 실장력을 강화하여 편성하면, 고피트성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KNITTING FABRIC AND KNITTING METHOD FOR IT, AND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絲張力; 실이 가지는 장력)이 다른 구간을 가지는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 모양으로 주회편성(周回編成) 되는 단(端)이 없는 편성포에서는, 동일한 코스가 주회하여 형성되고, 왕복편성(往復編成) 되는 단이 있는 편성포에서는, 코스는 편성단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일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코스로서, 편성포에 따라, 주회하는 것과, 일방향의 것을 각각 대상으로 한다.
종래로부터, 양말 편성기 등에 고무사(rubber thread) 등의 탄성특성을 가지는 실을 공급할 때에, 이송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장력을 거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서는, 고무사 반송 롤러와 고무사 가이드 롤에 의하여, 고무사를 끼운 상태에서, 고무사 반송 롤러를 스텝 모터(step motor)로 회전구동 하여 급사(給絲)를 한다.
도6은, 특허문헌1에 도7로서 기재되어 있는 양말(70)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양말(70)은, 동일한 편사를 주회시키는 코스의 편성이 반복되어, 통 모양의 편성포로서 제조되어 있다. 양말(70)에서는, 소정의 부위, 범위에, 고무사를 짜 넣은 고무사부(71, 72, 73)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사부(71)는, 양말(70)의 입구부에 형성되어, 착용시에 양말(70)이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한다. 발목부의 고무사부(72)나 발바닥의 장심부(掌心部)의 고무사부(73)는, 그 부위를 죄는 것이 건강상 좋기 때문에 만들어져 있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발목부의 고무사부(72)에는, 극단적으로 좁은 고무폭 부분(72')이 형성된다. 고무사부(72) 중에 고무폭 부분(72')을 형성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 경우, 고무사부의 길이방향의 고무사의 양을 감소시켜서, 당해 극단적으로 좁은 고무폭 부분(72')만으로 고무사부를 형성하는 것은, 비용 등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재로부터, 고무사는, 양말(70)의 고무사부(71, 72, 73)로 사용되고, 고무사부(72) 중의 고무폭 부분(72')에서는 급사할 때에 실 이송 롤러를 역회전시켜서, 장력을 높인 상태에서 편성하고, 편성이 이루어지면 풀어진다. 고무사부(72) 중에서의 장력변경은 주회편성으로 형성하는 코스 마다 이루어지고, 코스 내에서의 장력변화는 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특허문헌1의 양말 편성기는, 원형 편성기(circular knitting machine)라고 생각되지만, 양말은, 전후의 니들베드가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횡편기로 편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횡편기를 사용 하여 통 모양의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양말의 전면부(前面部)를,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후면부(後面部)를 편성하면서, 전체로서는 주회편성을 한다. 주회편성으로 제조되는 양말 등의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동일한 편사를 주회시킴으로써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코스의 편성포가 니들베드의 편성단에서 연결되어, 양방의 니들베드에서 각각 편성한 코스 부분이 하나의 주회하는 코스로 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2에서는, 발뒤꿈치부의 편성을 담당하는 측의 니들베드의 편침을 사용하여 발바닥의 장심부 및 발목 후방부를 덮는 스티치를 발등부, 장딴지부 등을 덮는 부분의 스티치의 크기에 비해서 작은 스티치가 되도록 하여 고피트 양말을 편성하고 있다. 작은 스티치로의 편성은, 캐리지에 설치되는 스티치 캠의 조정에 의한 타이트 스티지(tight stitch)의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2의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 코스에 있어서 작은 스티치부분과 통상의 크기의 스티치를, 2단 스티치 캠 장치 등을 편성기에 추가하면 편성 가능하다는 취지도 기재되어 있다.
양말의 입구부를, 둘레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게 하여 편성하는 양말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특허문헌3에서는, 기준탄성력을 가지는 기본 고무부를 원주방향으로 구비하는 입구부에서, 기준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상하방향의 약한 고무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입구부의 지름을 넓히면, 약한 고무부가 먼저 늘어나고, 약한 고무부가 다 늘어나고 나서 기본 고무부가 늘어나게 되므로, 굵은 다리에 착용하는 경우, 기본 고무부만 있는 경우보다 조임력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3의 도2에는, 기본 고무부와 약한 고무부를 동일한 실로 편성하여, 스티치가 약한 고무부 쪽이 커지게 되도록 편성하는 방법을 바꾸어서 편성한 상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3의 도2에 나타나 있는 스티치 루프의 조직에서는, 좌우의 화살표 E가 웨일 방향이고, 코스 방향은 상하로 되어 있다. 약한 고무부와 기본 고무부의 탄성력의 차이는, 특허문헌3에는, 도2와 같은 편성방법의 차이뿐만 아니라, 실의 고무 심의 재질의 차이로도 실현 가능하다는 취지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13044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12408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등록실용신안 제3118916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1과 같은 코스 마다의 실장력의 변경에서는, 증대시킨 실장력이 코스 전체 둘레에 미치기 때문에, 양말 등의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전체가 잘록해져서,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성포를 착용하면, 코스 전체 둘레에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벗었을 때에는 착용자의 피부에 자국이 남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2와 같이 스티치의 크기를 부분적으로 변경하면,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나, 착용시의 압박과 착용후의 자국의 문제는 해결 가능하다. 그러나 코스 내의 장력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착용시의 피트감이 부족하게 된다.
특허문헌3과 같은 기본 고무부 중에 상하 방향의 약한 고무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양말의 입구부는, 어떻게 편성하면 실현 가능한 것인지 불분명하다. 특허문헌3의 0002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이, 양말은 원형 편성기를 사용하여 대부분 편성되어 있다. 원형 편성기의 경우에는 입구 고무부에서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끝이 편성의 마지막 측이 되도록 통 모양으로 편성된다. 원형 편성기에서 편성하는 통 모양의 편성포에서는, 둘레방향이 코스 방향이 된다. 특허문헌3의 도2에 나타나 있는 스티치의 조직에서는, 분명하게 E로 나타내는 좌우의 둘레방향이 횡편성 조직의 웨일 방향이다. 0016단락에는, 입구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둘레방향이 웨일 방향이 되는 입구부와 둘레방향이 코스 방향이 되는 다른 부분으로, 양말 전체를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고, 입구부를 별도로 편성하여 꿰매어 합치는 것이라면, 번거롭다고 생각된다. 또한 횡편성 조직에서는, 코스 방향과 비교하여 웨일 방향은 늘어나기 어려우므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스티치 조직의 입구부는, 지름이 확대될 때에, 약한 고무부가 충분히 늘어나기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에 압박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벗었을 때도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해결수단)
본 발명은, 실장력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에서 탄성사를 편사로서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로서,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이 다른 구간이 형성되고,
구간의 경계에,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장력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에서 탄성사를 편사로서 사용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서의 실장력 조정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하고,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처리를 하고,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이 다른 구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기는,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고,
상기 동일한 코스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를 주회하고,
상기 경계는, 상기 구간이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연속하도록, 전후의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폭의 도중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기는,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고,
상기 동일한 코스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를 주회하고,
상기 구간의 경계는, 편사가 전후에 걸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실장력 조정은, 편사의 수축으로 편성 후의 편성포의 형상에 변화를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 상호간에서, 동일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시켜서,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는, 경계의 전후에서의 편사의 출입을 곤란하게 하도록, 편사의 편성처리에 의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편사의 편성처리는, 턱, 휘감기 또는 노팅(kno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사로서 탄성사를, 실장력을 조정하여 공급 가능한 급사장치와,
편성 데이터를 따라서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 제어장치로서,
급사장치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서의 편사의 실장력을, 인접하는 구간에서의 조정상태가 다르도록,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하고,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편성처리를 하고,
인접하여 편성하는 코스 상호간에서, 동일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시켜서,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시키는 편성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장력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에서 탄성사를 편사로서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는,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이 다른 복수의 구간을 가진다. 편성포가 양말 등이면, 착용시에 실장력이 약한 구간이 늘어나기 쉬워져, 착용시에 압박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벗었을 때에도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장력이 약하지 않은 구간에서는, 착용시의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간의 경계에,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다른 실장력을 차단하여 구간마다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장력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에 의하여 탄성사를 편사로서 사용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서의 실장력의 조정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한다.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처리를 하므로, 동일한 코스 내의 구간에서 다른 실장력을 차단하여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편성폭의 도중에, 실장력이 다른 구간의 경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간의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통 모양의 편성포에서 주회하는 코스 내에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연속하도록 하는 구간을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가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횡편기에서, 주회편성으로 형성하는 통 모양의 편성포의 주회하는 코스에는, 전후의 니들베드에 걸치는 부분에 경계를 형성한다. 앞 니들베드와 뒤 니들베드를 다른 실장력 조정상태로 편성하여, 다른 실장력을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장력이 다른 구간을 통 모양의 편성포의 코스 내에 형성하여, 편사의 수축으로 편성 후의 통 모양의 편성포의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 상호간에서, 동일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시킨다.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시키므로, 형성하는 영역이 유지하는 실장력을 인접하는 영역과는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편사의 편성처리에 의하여, 경계의 전후에서의 편사의 출입이 곤란하게 되도록, 실장력을 구분한다. 경계의 전후의 실장력이 달라도 편사가 출입하지 않고, 다른 실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장력을 구분하는 편사의 편성처리로서, 턱(tuck), 휘감기 또는 노팅(kno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를 한다. 편성동작을 조합하여, 실장력의 구분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사로서의 탄성사를, 실장력을 조정하여 공급하여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실장력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조정한다. 구간은,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 형성되고, 편사의 실장력을, 인접하는 구간에서의 조정상태가 다르도록 조정한다.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편성처리를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로서의 편성포의 기본적인 구성을, 종래기술에 의한 편성포의 구성과 대비하여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양말(1) 등을 편성 가능한 횡편기(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은, 도2의 횡편기(20)를 사용하여, 1개의 편성 코스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도1(a)의 입구 고무부(7)를 편성하는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도4는, 도3의 경계(22c)에서의 구분하는 처리로서 턱을 하는 예를 나타내는 간략화한 편성도이다.
도5는 도3의 경계(22c)에서의 구분하는 처리로서 휘감기를 하는 예를 나타내는 간략화한 편성도이다.
도6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말(70)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양말
4 발바닥의 장심부
6 발목후방의 잘록부
7 입구 고무부
7a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
7b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
7c, 22c 경계
20 횡편기
21 편사
22 편성포
22a 실장력을 강화한 구간
22b 실장력을 약하게 한 구간
23 니들베드
24 니들베드 갭
29 실장력 조정장치
32 편성 제어장치
33 급사 제어장치
39 실 이송 롤러
40 실장력 센서
45 휘감기부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로서의 편성포의 기본적인 구성을,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포의 구성과 대비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도1(a)에 나타나 있는 양말(1)은, 횡편기에서 통 모양 편성포로서, 발끝부(2)를 닫은 상태에서 편성하기 시작하여, 발등부(3), 발바닥의 장심부(4), 발뒤꿈치부(5), 발목부 후방의 잘록부(6) 및 개구한 입구가 되는 입구 고무부(7)까지를 일체적으로 편성한다. 입구 고무부(7)에는,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과, 이들의 경 계(7c)를 형성한다. 영역의 경계(7c)에서는 편사가 출입하지 않도록, 편사의 저항을 크게 하도록 하는 처리에 의하여, 편사가 경계(7c)를 넘어서 이동하지 않도록 구분되어진다. 경계(7c)로 구분하는 것에 의하여 각 영역에 속하는 편사는, 인접하는 영역으로 인출되거나, 인접하는 영역의 편사를 끌어 들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여 횡편기에서 일체적으로 편성 가능한 양말(10)은,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부분은 도1(a)에 나타나 있는 양말(1)과 동등하여도, 입구 고무부(11)가 다르게 된다. 양말(10)의 입구 고무부에서는, 코스 내의 실장력은 일정하고, 코스 마다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11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11b)이 형성된다.
입구 고무부(7, 11)는, 고무사 등의 탄성사를 다른 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와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편성포에 삽입하거나 하여 편성된다. 삽입하는 경우는, 각 영역 내에서는 반드시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연속하는 미스와 턱 걸기로 편성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 같은 편성조직이 된다. 양말(1)의 입구 고무부(7)에서는, 편사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각 영역에서 실장력을 다르게 하여 편성하고, 경계(7c)로 구분함으로써 다른 실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고무사는, 고무 등의 고탄성의 심선(芯線)을 사용하는 커버링 사(covering yarn)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양말(1)에서는, 탄성사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가 실장력이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서, 적어도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을 구비한다. 착용시에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이 늘어나기 쉬워져, 착용시에 압박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벗었을 때도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에서는 실장력이 약하지 않으므로, 착용시의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이 인접하는 부분을 지나는 코스에서는, 각각의 영역에 속하는 구간의 경계(7c)에,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가 실시된다.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로, 영역 마다 다른 실장력을 차단하여 각각의 구간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서는 작은 스티치의 영역으로서 편성하고 있는 발바닥의 장심부(4)나 발목후방의 잘록부(6)를, 실장력을 강화하여 편성하면, 고피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2는, 도1(a)에 나타나 있는 양말(1) 등을 편성 가능한 횡편기(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20)는, 편사(21)를 공급하면서 편성포(22)를 편성한다. 편성포(22)의 편성은, 니들베드(23)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편침을, 니들베드 갭(24)으로 진퇴시켜서 한다. 니들베드(23)는 도면의 배면(背面)측에도 설치된다. 횡편기(20)에서는, 니들베드 갭(24)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23)가 대향하고 있다. 편침의 진퇴의 구동은, 니들베드(23)의 길이방향인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주행하는 캐리지(25)에 탑재되는 캠 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캐리지(25)의 주행 시에, 얀 피더(yarn feeder)(26)를 연동하여, 얀 피더(26)의 선단으로부터 편사(21)를 니들베드 갭(24)에 진출하여 있는 편침에 공급한다. 도면에서는 생략하 고 있지만, 얀 피더(26)는 복수 설치되고, 캐리지(25)는 연동하는 얀 피더(26)를 선택 가능하다. 각 얀 피더(26)에는, 급사부(27)의 콘(corn)(28)으로부터 편사(21)가 공급된다. 편사(21)가 고무사인 경우, 실장력 조정장치(29)를 통하여 얀 피더(26)에 공급된다. 즉 고무사와 같은 탄성사를 편사(21)로 하는 경우에는, 급사부(27)와 실장력 조정장치(29)를 포함하는 급사장치가 사용된다.
횡편기(20)는,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편성포(22)를 자동으로 편성한다. 편성포(22)의 편성은,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컨트롤러(30)는, 입력장치(31), 편성 제어장치(32), 급사 제어장치(33) 및 기억장치(34)를 포함한다. 입력장치(31)에는, 편성포(22)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 데이터나, 횡편기(20)의 조작자로부터의 조작명령 등이 입력된다. 편성 제어장치(32)는, 편성 데이터에 따라 캐리지(25)의 주행 등을 제어한다. 급사 제어장치(33)는, 급사부(27)로부터의 편사(21)의 공급을 제어하고, 편사(21)가 고무사인 경우에는, 실장력 조정장치(29)에 의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설정도 한다. 실장력 조정장치(29)에는, 편사를 보내는 실 이송 롤러(39) 및 실장력 센서(40)가 설치되고, 고무사를 급사하는 경우에, 실장력 센서(40)로 실장력을 검출할 수 있다. 실 이송 롤러(39)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하면, 실장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편사(21)로서 탄성사를 사용하는 경우, 실장력을 강화해서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면, 스티치 루프가 편침으로부터 분리되어 완성되는 편성포를 구성하게 될 때의 수축량이 커지고, 루프 길이가 감소한다. 예를 들면 특표2004-094712호 공보에는, 실장력이 다른 경우에, 편성기에 대한 공급 길이를 조정하여 편성 후의 편성포에서의 루프 길이의 완성상태를, 실장력이 일정한 경우와 동등하게 하는 탄성사를 사용한 편성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 길이 제어의 기술을 적용하면, 다른 실장력의 영역을 가져도 촉감에 위화감이 없도록 하는 편성포나, 실장력의 변화로 형상에 변화를 주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 이송 롤러(39)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실장력의 증대에 대응하도록 편사(21)의 송출량도 증대시키면, 완성되는 편성포 중에서의 루프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실장력이 변해도 완성되는 편성포 중에서의 루프 길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편사(21)의 공급 길이를 제어하면, 편성된 편성포에서의 형상이 실장력이 다른 영역 사이에서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 촉감에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장력에 대하여 루프 길이가 일정해지는 공급 길이보다 편사(21)의 공급을 억제하면, 일부만이 잘록한 형상의 편성포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실장력에 대하여 루프 길이가 일정해지는 공급 길이보다 편사(21)의 공급을 촉진시키면, 일부만이 부풀어 오른 형상의 편성포를 얻을 수도 있다.
도3은, 도2의 횡편기(20)를 사용하여, 1개의 편성 코스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도1(a)의 입구 고무부(7)를 편성하는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낸다. (a)는, 도2의 캐리지(25)에 의하여 우측방향으로 연동되는 얀 피 더(26)로부터 편사(21)를 하나의 구간에 속하는 편침에 공급하면서 스티치(41)를 형성하여, 편성포(22)를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편사(21)의 실장력은, 실 이송 롤러(39)의 회전을 되돌려 감기나 송출하기 등으로 변화시킬 때에, 도2의 장력 센서(40)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b)에서는 (a)에서 편성한 편성포(22)의 편성단에서, 후술하는 것 같은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를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분하는 처리는, 편사(21)의 저항을 크게 하여, 경계(22c)의 전후에서의 편사(21)의 출입을 곤란하게 하는 처리로서 한다.
(c)는, (b)에서 편성하는 구간의 경계(22c)에서 구분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일단 우측방향으로 통과한 얀 피더(26)를 역방향인 좌측방향으로 편성을 하지 않고 되돌리고, 실 이송 롤러(39)를 역회전시켜서 실장력을 높이는 상태를 나타낸다. (b)의 구분하는 처리의 마지막에서 경계(22c)의 좌측방향으로 얀 피더(26)를 연동하는 것이라면, 되돌림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경계(22c)가 편성포의 우단(右端)이면, 되돌림은 불필요하게 된다. 실 이송 롤러(39)의 역회전으로 실장력을 강화하기 전에, 경계(22c)로 구분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a)에서 편성된 편성포(22)의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실장력이 유지되어, 실장력을 약하게 한 구간(22b)이 된다.
(b)에서의 경계의 처리 후에, 실 이송 롤러(39)를 역회전시키지 않고, 송출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면, 실장력을 더 약하게 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되돌림과 실장력의 변경을 하는 순서는, 바꾸어서, 실장력의 변경 후에 되돌림을 하더라도 좋다. 또한 편사(21)를 삽입 실로서 사용하는 인레이 편성(inlay 編成)의 경우, 구분하는 처리나, 실장력의 변경, 되돌림은, 삽입 실에 대해서만 하면 된다.
(d)에서는 우측방향으로의 주행을 재개한 캐리지에 연동되는 얀 피더(26)로부터의 편사(21)의 급사로, 다음 구간의 편성포(22)가 편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 구간의 편성단에서도, (b)와 같이, 구분하는 처리가 이루어지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e)에서는 다음 경계(22c)에서, (c)와 동일한 되돌림이 이루어진다. 다만 (e)에서는 (c)과 같은 실 이송 롤러(39)의 역회전은 하지 않고, 편사(21)를 풀어내어 장력을 약하게 한다. 이 결과, (b)에서 구분하는 처리를 한 경계(22c)와 (d)의 편성단에서 구분하는 처리를 한 경계(22c) 사이의 구간에서는, 실장력을 약하게 한 구간(22b)과 비교하여 실장력이 강하게 되어, 실장력을 강화한 구간(22a)이 된다. 이하, (f)에서는 다음 구간의 편성포(22)의 편성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편성하는 실장력을 강화한 구간(22a)과 실장력을 약하게 한 구간(22b)을, 구간의 경계(22c)에서의 구분하는 처리로 실장력의 차이를 차단하면서, 웨일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7a), 실장력을 약하게 한 영역(7b) 및 경계(7c)가 각각 형성된다. 각 영역이 되는 구간의 폭을, 코스 마다 변화시키면, 경계(7c)는 곡선모양이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 이, 입구 고무부에서 탄성사인 편사(21)가 편성포에 삽입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구간의 도중의 편침에는 필요에 따라 턱을 할 뿐이고, 대부분을 미스로 하도록 편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경계(22c)로 구분하는 처리를 하면, 인접하는 구간에서의 실장력을 다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구분하는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0993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풀림 방지 방법을 적용하여 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02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코빼기 처리(bind off)도 구분하는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코빼기 처리와 같이, 구분하는 처리에서는, 스티치를 2분하여 분할된 스티치의 일방을 다른 바늘에 걸치도록 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퍼 니트, 스플릿 니트(split knit) 등으로 불리는 소위 코늘림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분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횡편기에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성단에서 실시되는 노팅(knotting) 등의 풀림방지 처리를, 구분하는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분하는 처리는, 경계(22c) 및 근방의 편침으로의 1회 또는 복수회의 턱 걸기로도 할 수 있다. 경계(22c)에 형성되는 스티치 루프에, 1회 또는 복수회 편사(21)를 휘감아도 좋다. 이러한 풀림방지 처리에서는, 얀 피더(26)를 경계(22c)의 좌우로 연동시킨다.
도4는, 구분하는 처리로서 턱을 하는 예를 나타낸다. 또, 턱에서는, 도3(a)나 도3(d)에 나타나 있는 편성포(22)의 우단의 복수의 편침(42, 43) 을 사용한다. 도4(a)에서는, 편사(21)를 편침(42)에 턱한다. (b)에서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켜서, 편사(21)를 편침(43)에 턱한다. (c)에서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을 또한 반전시켜서, 편사(21)를 편침(43, 42)에 급사하여 연속적으로 니트 편성을 한다. 이 결과, 복수의 편침(42, 43)으로 도3(b)에 나타나 있는 경계(22c)를 구분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편사(21)가 삽입 실인 경우, (a) (b)의 턱만을 하면, 바탕 실의 니트 편성에 편성된다.
도5는, 구분하는 처리로서 휘감기를 하는 예를 나타낸다. 휘감기에서도 복수의 편침(42, 43)을 사용한다. (a)는, 도3(a)나 도3(d)에서, 편성포(22)의 우단의 복수의 편침(43, 42)에 니트 편성을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5(b)에서는 캐리지를 반전시켜, 우단의 편침(42)으로부터 얀 피더(26)를 좌측의 편침(43)을 넘어갈 때 까지 되돌린다. 도5(c)에서는 편침(43)이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44)으로 코이동한다. 도5(d)에서는 캐리지를 반전시켜, 얀 피더(26)로부터 편사(21)를 편침(44)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의 싱커 루프 부분에 포개어지도록 급사한다. 도5(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의 편침(44)으로부터 스티치 루프를 편침(43)으로 코이동에 의하여 되돌리면, 편침(43)이 결합하는 스티치 루프의 싱커 루프 부분에 편사(21)의 휘감기부(45)를 형성할 수 있다. (b)∼(e)를 반복하면, 복수회의 휘감기를 할 수 있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양말(1)은,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23)를 구비하는 횡편기(20)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로서 편성할 수 있다. 예 를 들면 앞 니들베드에서는 전반부분, 뒤 니들베드에서는 후반부분을 각각 편성하면서, 편성폭의 양측에서는 각각 동일한 편사(21)에 의한 루프가 연속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연결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형성한다. 발바닥의 장심부(4)를 뒤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때에는, 앞 니들베드에서 발등부(3)를 편성한다. 편사(21)는, 전체적으로 전후의 니들베드를 주회하도록 급사된다. 따라서 1개의 주회 코스에는, 발등부(3)에 속하는 구간과 발바닥의 장심부(4)에 속하는 구간이 존재한다. 1개의 주회 코스 중에서 발바닥의 장심부(4)에 속하는 구간을, 실장력을 강화한 구간(22a)으로서 편성하도록 반복하면, 발바닥의 장심부(4)는,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하여 실장력을 강화한 영역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구간의 경계(22c)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걸치는 부분에서 편성포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편성단이 되어, 풀림방지 처리를, 편성포(22)의 중간에서 할 경우보다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니들베드의 편성단을 구간의 경계로 하지 않고, 편성폭의 도중에 구간의 경계를 형성하면,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걸치는 부분을 포함하여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포가 연속하도록 하는 구간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도1에서는 양말(1)을 통 모양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통 모양의 편성포에 관해서는, 스웨터의 흉부나 복부, 팬츠의 요부나 장갑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횡편기에서는, 통 모양이 아닌 시트나 부분품으로서의 편성포도 편성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카디건과 같이, 말하자면 열린 통 모양의 편성포도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그러한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하도록 편성하는 것도, 양말(1)과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또한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기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횡편기(20) 뿐만 아니라, 양말 편성기나 원형 편성기 등이어도 좋다. 실장력 조정장치(29)와 동등한, 실장력 센서(40)로 실장력을 검출하여 조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어도, 실장력의 강약을 조정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대한 변화 및 변경이 되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어떻든 간에,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시의 압박감을 억제하는 것이나, 일부만을 조이거나 부풀리거나 하는 형상의 편성포를 얻는 등, 지금까지 없는 부가가치를 가지는 편성포가 얻어진다.

Claims (9)

  1. 실장력(絲張力)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編成機)에서 탄성사(彈性絲)를 편사로서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로서,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이 다른 구간이 형성되고,
    구간의 경계에,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2. 실장력이 조정 가능한 편성기에서 탄성사를 편사로서 사용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서의 실장력 조정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하고,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처리를 하여,
    동일한 코스 내에, 실장력이 다른 구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기는,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고,
    상기 동일한 코스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를 주회(周回)하고,
    상기 경계는, 상기 구간이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연속하도록, 전후의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폭의 도중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기는, 니들베드 갭에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고,
    상기 동일한 코스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를 주회하고,
    상기 구간의 경계는, 편사가 전후에 걸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 조정은, 편사의 수축으로 편성 후의 편성포의 형상에 변화를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 상호간에서, 동일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시켜서,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을 구분하는 처리는, 경계의 전후에서의 편사의 출입을 곤란하게 하도록, 편사의 편성처리에 의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의 편성처리는, 턱(tuck), 휘감기 또는 노팅(knot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9. 편사로서 탄성사를, 실장력을 조정하여 공급 가능한 급사장치와,
    편성 데이터를 따라서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 제어장치로서,
    급사장치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코스에서의 편사의 실장력 을, 인접하는 구간에서의 조정상태가 다르도록,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하고,
    구간의 경계에서는, 인접하는 구간의 실장력을 막는 편성처리를 하고,
    인접하여 편성하는 코스 상호간에서, 동일한 실장력 조정상태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웨일 방향으로도 연속시켜서, 편성포 중에 실장력이 다른 영역을 형성시키는 편성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기.
KR1020087028763A 2006-07-05 2007-07-04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 KR101347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5403 2006-07-05
JP2006185403 2006-07-05
PCT/JP2007/000731 WO2008004345A1 (fr) 2006-07-05 2007-07-04 tissu tricoté, procédé pour le tricoter et métier à trico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692A true KR20090028692A (ko) 2009-03-19
KR101347660B1 KR101347660B1 (ko) 2014-01-03

Family

ID=3889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763A KR101347660B1 (ko) 2006-07-05 2007-07-04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10600B2 (ko)
KR (1) KR101347660B1 (ko)
CN (1) CN101479415B (ko)
WO (1) WO20080043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28B1 (ko) * 2012-06-11 2014-07-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021B (zh) * 2012-12-31 2015-01-21 加宝利服装有限公司 一种织物织造工艺、织造设备和系统
CN105019121B (zh) * 2014-04-24 2018-10-26 山德霓股份公司 制造具有可变紧缩的针织纺织物品的方法和圆型纬编针织机以及针织纺织物品
DE102015120264B3 (de) * 2015-11-23 2016-12-29 Memminger-Iro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Fadenlieferung mindestens eines Fadenliefergerätes und Textilmaschine mit einem System mit mindestens einem Fadenliefergerät
CN108588992B (zh) * 2018-05-16 2020-08-11 兰善兵 一种横编织机吊目编织的工艺
PT3802935T (pt) * 2018-05-25 2023-02-21 Feetness S R L Peça de vestuário de malha e método de fabrico
CN114960014B (zh) * 2022-06-07 2023-08-1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高领两侧凸起的编织方法及针织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7B2 (ja) * 1978-01-27 1985-01-0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メリヤス編地の横方向への柄製造方法
JP2631923B2 (ja) * 1991-09-24 1997-07-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装置
JP3135438B2 (ja) * 1993-11-08 2001-02-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伏せ目処理方法
JP3099304B2 (ja) * 1994-09-01 2000-10-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解れ止め方法
JP3164507B2 (ja) * 1996-05-20 2001-05-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1×1リブ編地の伏せ目処理方法
JP3608042B2 (ja) * 2000-06-22 2005-01-05 株式会社タケダレース 衣料用ジャカード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3706816B2 (ja) * 2001-01-30 2005-10-19 和歌山県 柄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1207355A (ja) * 2001-01-30 2001-08-03 Wakayama Prefecture 柄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04094712A1 (ja) * 2003-04-18 2004-11-04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弾性糸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6183189A (ja) * 2004-12-28 2006-07-13 Knit Glove Kk 履き口部分にスリットを有する靴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28B1 (ko) * 2012-06-11 2014-07-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04345A1 (ja) 2009-12-03
WO2008004345A1 (fr) 2008-01-10
JP5010600B2 (ja) 2012-08-29
CN101479415A (zh) 2009-07-08
CN101479415B (zh) 2011-06-08
KR101347660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660B1 (ko)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 및 편성기
US9637847B2 (en)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TWI585255B (zh) 編織物之編織方法、及編織物
KR20130094257A (ko) 스티치-크기 제어 니트 제품
TW201634774A (zh) 經組態用於編織一編織組件之編織機及用一編織機製造一編織組件之方法
CN106062265B (zh) 套脚衣物、用于制造这种套脚衣物的方法及用于针织品或袜类的圆机
JP4791898B2 (ja) 編み終わり側に開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6748770B2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CA2325369C (en) Sock with an asymmetrical tip
JP2018048427A (ja) 編地及び靴下
US7013680B1 (en) Method to prevent deknitting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2005060885A (ja) ジャカード柄を有する靴下の編成方法
JP5346877B2 (ja) 部分的に締め込み部を形成した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6230733B1 (ja) フットカバーの編成方法、及びフットカバー
JP2010065332A (ja) 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およびつまさき部分に孔あき柄を形成した靴下素材もしくは靴下の編成方法
JP3009854B2 (ja) 筒状立体編み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2936095B2 (ja) 左右対称型爪先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CN109804111A (zh) 在机器上针织多个鞋面的方法和用于鞋类物品的鞋面
JPH09291446A (ja) 無縫製二重靴下の編成方法
JPH10131002A (ja) ゴムレス成形靴下及びゴムレス成形靴下の編成方法
EP4377506A1 (en) Hosiery with improved uniform appearance and fit
JPH09296303A (ja) 靴下及び靴下の製造方法
JP2006028693A (ja) 靴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