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089A -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089A
KR20090027089A KR1020070092293A KR20070092293A KR20090027089A KR 20090027089 A KR20090027089 A KR 20090027089A KR 1020070092293 A KR1020070092293 A KR 1020070092293A KR 20070092293 A KR20070092293 A KR 20070092293A KR 20090027089 A KR20090027089 A KR 2009002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tem
server
edi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027B1 (ko
Inventor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27B1/ko
Priority to US12/173,953 priority patent/US8856208B2/en
Publication of KR2009002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5Digital image input from a still imag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3Photography assistance, e.g. displaying suggestions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9/00Telephonic communications
    • Y10S379/90Internet, e.g. Internet phone, webphone, internet-based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템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은 후,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함으로써 사용자들간에 화상 보정 기능을 가진 아이템들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쉽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등의 이미지를 변환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가 많이 보급되면서,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한 포토 프린터나 복합기 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한 사진들을 그대로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얻기 위해서 촬영한 사진에 특수한 효과를 넣거나 촛점 보정이나 밝기 조정 등의 화상 편집 작업을 하여 인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포토 프린터나 복합기 등에서 지원이 가능한 촛점 보정 기능이나 밝기 조정 기능과 같은 단순한 화상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을 편집할 수 있었다. 그런데, 보다 복잡한 화상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촬영한 사진들을 PC로 다운로드하여, PC의 포토샵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진들에 특수한 효과를 넣는 등의 화상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포토샵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법도 따로 알아야 하며, 원하는 편집을 얻기 위해 많은 시 간이 걸리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들간에 화상의 편집 기능을 가진 아이템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래의 화상으로부터 쉽게 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함을 통해 원하는 화상을 쉽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게 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템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는 단계; 및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화상 형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아이템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는 입력 패널부; 및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상 방법 및 장치는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템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은 후,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함으로써 사용자들간에 화상 편집 기능을 가진 아이템들의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호스트(110), 서버(120) 및 화상 형성 장치(130)로 구성되고, 서로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다.
먼저, 호스트(110)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아이템을 생성한다. 이러한 아이템은 이미지에 특정 효과를 부여하여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파일을 말하며, 하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 편집 명령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 예로서, 포토샵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아이템은 액션 아이템이라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포토샵에서 사용되는 액션 아이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에는, 호스트(110)는 포토샵과 같은 액션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액션 아이템을 생성한다. 액션(Action)은 포토샵 등의 이미지를 수정, 편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된 작업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여, 필요할 때 다시 적용시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액션 아이템은 일련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액션 파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액션 아이템에는 그림자를 제작하면서 물에 비친듯한 효과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water reflection" 및 갈색 모노톤의 부드러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Sepia Toning Layer"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액션 아이템들은 ATN의 확장자를 가지며,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을 가진다.
그리고, 호스트(110)는 서버(120)에 접속하여, 이 생성된 액션 아이템을 등록시킨다.
서버(120)에는 사용자들 간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인 UCC(User Created Content)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는 이 UCC 중에서 액션 아이템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서버(120)는 호스트(110)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액션 아이템들을 등록 및 저장하고, 이 등록된 액션 아이템들을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서버(120)는 사용자들로부터 등록된 액션 아이템들에 대한 코멘트나 사용 후의 이미지의 결과 등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화상 형성 장치(130)는 하나 이상의 액션 아이템을 이용하여 이미지 변환을 수행한 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이용되는 액션 아이템은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된 액션 아이템이거나, 화상 형성 장치(1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작업은 변환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스캐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인쇄하는 작업, 스태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작업 및 변환된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에 전송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130)는 사진의 인쇄가 가능한 포토 프린터나 복합기 등이 될 수 있 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30)는 디스플레이부(310), 입력 페널부(320), 메모리부(3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40), 제어부(350), 이미지 처리부(360) 및 작업 수행부(37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LCD 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130)에서 지원이 가능한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등을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10)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특정 이미지를 작업 대상 이미지로 선정, 액션 아이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의 선택,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의 목록을 업데이트할지 여부의 선택, 및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도 4는 디스플레이부(310)에서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도 4의 오른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액션 아이템 목록과 내 액션 아이템 목록(My action Item List)으로 크게 구분된 액션 아이템 목록들이 있으며, 사용자가 일반 액션 아이템 목록을 선택하면 프레임 폴더와 효과 폴더를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사용자가 효과 폴더를 선택하면 효과 폴더 내에 저장된 아이템의 목록들인 'flatten polaroid colors, Water Reflection, Sepia Toning Layer'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왼쪽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으로 'flatten polaroid colors' 를 선택하면 이 아이템에 대한 설명인 '원본 칼라를 단조롭게 만들고 얇은 흰색 테두리를 생성'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액션 아이템이 선택된 후 프리뷰 명령이 입력되면, 도 4의 왼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액션 아이템을 이미지에 적용하여 이미지를 변환한 후 변환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입력 패널부(320)는 화상 형성 장치(13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설정 또는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며,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이나 복수의 키 버튼들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패널부(320)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에서 작업 대상 이미지를 선정하는 명령, 액션 아이템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하라는 명령,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명령, 및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 등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이때,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으로 하나 이상의 명칭이 입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330)는 입력 패널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서버(120)로부터 액션 아이템들의 목 록, 액션 아이템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고, 다운로드된 액션 아이템을 해석하여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330)는 각종 이미지들과,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및 액션 아이템들을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40)는 화상 형성 장치(130)와 서버(120)간의 액션 아이템의 목록이나 액션 아이템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350)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입력 패널부(320)를 통해 업데이트 명령이 전달되면 서버(120)에 액션 아이템의 목록을 요청하여 액션 아이템 목록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입력 패널부(320)를 통해 액션 아이템 명칭이 입력되면 선정된 액션 아이템이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120)에 요청하여 액션 아이템이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액션 아이템의 목록만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고, 그 목록에 따른 액션 아이템은 메모리부(330)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고 서버(120)에 저장된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가정한 것이다.
이미지 처리부(36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을 해석하고, 해석된 액션 아이템에 따라 선정된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변환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다운로드된 액션 아이템이 Water Reflection 이면, 이미지 처리부(360)는 이 액션 아이템을 해석하여, 이 해석에 따라 물결 무늬를 넣고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고, 명도나 채도 색상 등을 변환함으로써 이미지를 변환한다.
그리고, 작업 수행부(37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360)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의 작업은 변환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스캐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인쇄하는 작업, 스태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작업 및 변환된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에 전송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은 호스트(510), 서버(520) 및 화상 형성 장치(530)로 구성되고, 서로 네트워크(540)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530)는 디스플레이부(531), 입력 패널부(532), 메모리부(5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4), 제어부(535) 및 작업 수행부(536)로 구성된다.
먼저, 호스트(510)는 도 1에 도시된 호스트(110)와 같이,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아이템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템을 서버(520)에 등록시킨다. 이러한 아이템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포토샵에서 사용하는 액션 아이템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액션 아이템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520)에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20)와 같이, 사용자들 간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인 UCC(User Created Content)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UCC 중에서 특히 액션 아이템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특 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520)는 화상 형성 장치(530)로부터 이미지와 액션 아이템의 명칭을 전송받으면, 이 전송된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따른 액션 아이템을 해석하여 전송된 이미지를 변환한다. 그리고, 서버(520)는 이 변환된 이미지를 화상 형성 장치(530)에 제공한다.
화상 형성 장치(530)는 이미지와 이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을 서버(520)에 전송하고, 서버(520)로부터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디스플레이부(531)는 메모리부(533)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특정 이미지를 작업 대상 이미지로 선정 및 메모리부(533)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부(53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입력 패널부(532)는 메모리부(533)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에서 작업 대상 이미지를 선정하는 명령 및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 등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이때,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으로 하나 이상의 명칭이 입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533)는 입력 패널부(532)를 통해 선정된 이미지 및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을 서버(520)에 전송할 수 있게 하고, 서버(5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533)는 각종 이미지들과, 서버(5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서버(5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는 서버(520)에서 이미지 변환된 후에 화상 형성 장치(530)에 수신된 이미지를 말한 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4)는 화상 형성 장치(530)와 서버(520) 간에 이미지,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 및 변환된 이미지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535)는 입력 패널부(532)를 통해 액션 아이템 명칭이 입력되면 입력된 액션 아이템의 명칭과 선정된 이미지가 서버(520)에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서버(5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53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35)는 입력 패널부(532)를 통해 소정의 작업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작업 수행부(536)는 제어부(535)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의 작업은 변환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스캐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인쇄하는 작업, 스태닝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작업 및 변환된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에 전송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에도 적용된다.
6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3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130)와 연결된 USB 메모리, 디지털 카메라 등 을 비롯한 외부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목록을 독출하여, LCD 판넬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이미지들의 목록은 이미지들의 파일명이 될 수 있다.
61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선정받는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30)는 터치 스크린이나 복수의 키 버튼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선정받을 수 있다. 이때의 작업은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이미지를 저장하는 작업 및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로 전송하는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15 단계에서 작업 대상 이미지가 선정되면, 사용자에로부터 액션 아이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사용함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 1 메뉴를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LCD 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디스플레이된 제 1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액션 아이템을 사용한다는 입력을 받는다.
62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2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액션 아이템을 사용한다는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업데이트할지 여부룰 입력받을 수 있는 제 2 메뉴를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LCD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디스플레이된 제 2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업데이트할지 여부를 입력받는다.
6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625 단계에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업데이트한다는 입력이 있으면,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서버(120)와 접속하고, 이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다운로드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13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업데이트한다.
63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LCD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은 크게 두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첫번째 카테고리는 내 액션 아이템(my action item)이라 하여, 사용자로부터 특별히 지정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말한다. 이러한 내 액션 아이템은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사용자가 특히 자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으로서 사용자가 따로 지정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이다.
두번째 카테고리는 일반 액션 아이템이라 하여,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해 놓지 않은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말한다.
6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35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615 단계에서 선정된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을 사용자로부터 선정받는다.
64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40 단계에서 선정된 액션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는, 액션 아이템의 목록만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으나, 그 목록에 따른 액션 아이템은 메모리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고 서버(120)에 저장된 경우에는 서버(120)로부터 액션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65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45 단계에서의 검사 결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120)와 접속하여 640 단계에서 선정된 액션 아이템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65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40 단계에서 선정된 액션 아이템을 615 단계에서 선정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이미지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640 단계에서 선정된 액션 아이템이 'Water Reflection'이라면, 화상 형성 장치(130)는 615 단계에서 선정된 이미지에 대해, 'Water Reflection' 을 해석하여 물결 무늬를 넣고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고 명도나 채도 또는 색상 등을 변환함으로써 그림자를 제작하면서 물에 비친 듯한 효과를 이미지에 부여한다.
66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는 655 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의 작업은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이미지를 저장하는 작업 및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로 전송하는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30)는 655 단계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프리뷰와 같은 형식으로 먼저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작업 수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 한하여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 용이라 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에도 적용된다.
7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530)와 연결된 USB 메모리, 디지털 카메라 등을 비롯한 외부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목록을 독출하여, LCD 판넬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이미지들의 목록은 이미지들의 파일명이 될 수 있다.
71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7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선정받는다.
7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715 단계에서 작업 대상인 이미지가 선정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을 LCD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72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7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715 단계에서 선정된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7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710 단계에서 선정된 이미지와 725 단계에서 입력된 액션 아이템의 명칭을 서버(520)에 전송한다.
73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서버(5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가 전송된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따른 액션 아이템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7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735 단계에서 수신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74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작업 명령이 입력되면, 735 단계에서 수신된 이미지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의 작업은 이미지를 인쇄하는 작업, 이미지를 저장하는 작업 및 이미지를 팩스로 외부로 전송하는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일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부(310)에서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션 아이템들의 목록 중 이미지에 적용할 액션 아이템의 명칭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17)

  1.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는 단계; 및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서버에 등록된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편집 명령들로 구성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아이템의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된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아이템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 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하는 단계는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프리뷰(priview)하는 단계; 및
    작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프리뷰된 이미지에 대하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인쇄, 복사, 스캔 및 팩스 작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별도의 카테고리에 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8. 작업 대상인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아이템의 목록에 따른 아이템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방법.
  9.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선택받는 입력 패널부; 및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서버에 등록된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진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편집 명령들로 구성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이템의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되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된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아이템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작업 대상인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프리뷰(priview)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작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프리뷰된 이미지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별도의 카테고리에 따로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5. 작업 대상인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목록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아이템의 목록에 따른 아이템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용 아이템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16. 이미지 편집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호스트;
    상기 전송된 아이템을 등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고, 작업 대상 이미지를 상기 다운로드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작업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092293A 2007-09-11 2007-09-11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1208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93A KR101208027B1 (ko) 2007-09-11 2007-09-11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US12/173,953 US8856208B2 (en) 2007-09-11 2008-07-16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93A KR101208027B1 (ko) 2007-09-11 2007-09-11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89A true KR20090027089A (ko) 2009-03-16
KR101208027B1 KR101208027B1 (ko) 2012-12-04

Family

ID=4043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93A KR101208027B1 (ko) 2007-09-11 2007-09-11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6208B2 (ko)
KR (1) KR101208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410A (ja) * 2008-11-28 2010-06-10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WO2011065949A1 (en) * 2009-11-25 2011-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page layout system and method
KR101859100B1 (ko) * 2011-07-1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9023C2 (de) * 1986-08-29 1995-03-16 Canon Kk Bildbearbeitungsgerät
DE69840846D1 (de) * 1997-01-28 2009-07-09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Datenverarbeitungsnetzwerk für ein kommunikationsnetzwerk
JP3634556B2 (ja) * 1997-05-12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6304277B1 (en) * 1999-01-15 2001-10-16 Colorcentric.Com, Inc. Remote modification of digital images using scripts
JP2002099529A (ja) * 2000-07-18 2002-04-05 Sanno Consulting Corp 出版物編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287088B1 (en) * 2000-10-06 2007-10-23 Fotomedia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bandwidth and memory requirements reduction in a portable image capture device by eliminating duplicate image transmissions
JP3646931B2 (ja) * 2001-08-29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メージレタッチプログラム
US7024658B1 (en) * 2001-09-28 2006-04-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Extensible help facility for a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
KR100501173B1 (ko) * 2003-08-07 2005-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고해상도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화상 포맷변환 시스템
KR100571961B1 (ko) * 2004-01-10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가공/편집하여 일괄적으로 인쇄 출력하는 방법및 그 장치
US20050174349A1 (en) * 2004-02-05 2005-08-11 Watson Brian S. Image rendering apparatus with print preview projection mechanism
US20060072166A1 (en) * 2004-09-24 2006-04-06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0678691B1 (ko) 2005-04-22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85083B1 (ko) * 2005-12-26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과 포토드라마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이미지 편집 저장방법
US7631252B2 (en) * 2006-05-05 2009-12-08 Google Inc. Distributed processing when editing an image in a brow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6208B2 (en) 2014-10-07
US20090067757A1 (en) 2009-03-12
KR101208027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676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multifunction peripheral control system, and multifunction peripheral control method for preparing information display screen including changing default conditions
JP675925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4228686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010110333A (ko) 화상프린트장치 및 방법, 화상을 프린트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화상관리시스템
US110799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oftware key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07042023A (ja) 印刷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管理装置
US7096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routing of tasks across a distributed network
KR20060097570A (ko) 컨텍스트를 보존하면서 출력 경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9167112B2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converter,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61571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08027B1 (ko)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JP65893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331446A (ja) 画像処理装置のパラメータ設定方法および装置
JP3864412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92259A (ja) 複合機及び複合機のパネル設定方法
JP2004288055A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
JP2003296088A (ja) 画像データの色調整を容易にする方法
JP6972973B2 (ja) 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サーバ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86689A (ja) 複合機、複合機制御システム、複合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2002232682A (ja) 画像データ出力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
JP2002118765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07006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61894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75015A (ja) スライドショーを表示可能な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401659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