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600A -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600A
KR20090025600A KR1020070090571A KR20070090571A KR20090025600A KR 20090025600 A KR20090025600 A KR 20090025600A KR 1020070090571 A KR1020070090571 A KR 1020070090571A KR 20070090571 A KR20070090571 A KR 20070090571A KR 20090025600 A KR20090025600 A KR 2009002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pindle
adjusting device
cushion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583B1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5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시트 쿠션의 랙 스핀들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충돌시 충돌성능을 향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 시트 트랙(11)의 어퍼 레일(12)에 설치한 트랙 셋 브라켓(14)과, 양 쿠션 사이드 멤버(16)의 전후를 전후방 링크(15a)(15b)로 연결하고, 상기 양 쿠션 사이드 멤버(16)의 후방 사이를 크로스 바(17)로 연결하여 시트 쿠션(10)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레일(12)의 전후방 링크(15a)(15b)사이에 어퍼 레일(12)과 직각으로 브라켓(21)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21)의 저면에 기어 하우징(22)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 하우징(22)의 측면에 구동 모터(23)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 하우징(22)에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후진하는 스핀들(25)을 관통되게 설치하여 상기 스핀들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후방링크(15b)를 조작하는 높낮이 조절기구(20)를 설치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5)의 일측 상면에 랙 기어(41)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링크(15b)의 하단에 조작판(42)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면에 호상 피니온(43)을 상기 랙 기어(41)와 이물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스핀들(25)의 일측과 상기 조작판(42)사이에 스톱퍼 수단(5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후방 링크, 높낮이 조절 기구, 구동 모터, 스핀들, 스톱퍼, 랙 기어, 조작판, 호상 피니온, 스톱퍼 수단

Description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HIGH AND LOW CONTROL DEVICE OF FRONT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시트 쿠션의 랙 스핀들형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프론트 시트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워 패널(미도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양 시트 트랙(11)의 각 로워 레일(13)에 어퍼 레일(12)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각 어퍼레일(12)에 트랙 셋 브라켓(14)을 설치하고, 상기 각 트랙 셋 브라켓(14)의 전후에 전후방 링크(15a)(15b)의 하단을 지지핀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 링크(15a)(15b)의 상단에 쿠션 사이드 멤버(16)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각 후방 링크(15b)의 상단 사이에 상기 쿠션 사이드 멤버(16)에 연결되는 크로스 바(17)를 연겸함과 아울러 상기 쿠션 사이드 멤버(16)의 후단에 도시하지 않은 시트 백을 리클라이너로서 폴딩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일측의 시트 트랙(11)에 높낮이 조절기구(20)를 설치 한 것이다.
상기 높낮이 조절기구(20)는 상기 어퍼 레일(12)의 전후방 링크(15a)(15b) 사이에 어퍼 레일(12)과 직각으로 브라켓(21)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21)의 로워 레일(12)의 내측 하면에 기어 하우징(22)을 설치하여서 상기 기어 하우징(22)의 하방 측면에 구동 모터(23)를 지지핀(24)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구동 모터(23)의 축에 상기 기어 하우징(22)내에 위치되는 피니온(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22)에 시트 트랙(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니온에 이물림하는 랙 기어(미도시)를 형성한 스핀들(25)을 관통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핀들(25)의 일측을 상기 후방 링크(15b)의 하단의 지지핀(27) 하부 위치에 일체로 형성한 조작 링크(26)를 일체로 형성하여 핀(27)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스핀들(25)의 양측에는 상기 기어 하우징(22)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무제 스톱퍼 (28a)(28b)를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시트 쿠션(10)의 높낮이 조절 장치는 도4b와 같은 시트 쿠션(10)의 하강 상태에서 탑승자가 구동 모터(2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모터(23)의 축에 설치한 피니온이 스핀들(25)을 좌측(후방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조작 링크 (26)를 후방측으로 밀므로써 전후 링크(5a)(5h)및 조작 링크(26)가 세워져 쿠션 사이드 멤버(16)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시트 쿠션(10)의 높이가 상승하고(도4a참조), 상기와 같이 시트 쿠션(10)의 높이가 상승할 때 조작 링크(26)가 세워짐에 따라 스핀들(25)의 조작 링크(26) 연결 부위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구동 모터(23)는 지지핀(24)을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니온 및 랙 기어의 이물림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스핀들(25)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스톱퍼(28a)가 기어 하우징(22)에 접촉되면 구동 모터(23)의 회전은 정지되고 시트 쿠션(10)의 상승은 종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는 시트 쿠션(10)의 높낮이가 낮은 상태일때의 전방 충돌시 그 충돌에너지가 구동 모터(23)의 피니온과 스핀들(25)의 랙 기어의 이물림력보다 클 경우 스핀들(25)이 후진함으로써 조정된 높낮이가 변경되어 탑승자의 상해치가 증가하게 되고, 또한 높낮이 조작력은 피니온과 랙 기어의 기어비에만 의존함으로써 조작력의 가변이 불가능하기때문에 설계및 성능 자유도에 제한을 받으며, 시트 쿠션(10)의 높낮이 조절시 구동 모터(23)가 회전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고, 구동 모터(23)의 고정구조가 복잡하여 중량이 무겁고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전방충돌시 충돌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시트 트랙의 어퍼 레일에 설치한 트랙 셋 브라켓과, 양 쿠션 사이드 멤버의 전후를 전후방 링크로 연결하고, 상기 양 쿠션 사이드 멤버의 후방 사이를 크로스 바로 연결하여 시트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레일의 전후방 링크사이에 어퍼 레일과 직각으로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저면에 기어 하우징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 하우징의 측면에 구동 모터를 설치 하며, 상기 기어 하우징에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후진하는 스핀들을 관통되게 설치하여 상기 스핀들의 전후이동에 의 하여 후방 링크를 조작하는 높낮이 조절기구를 설치 한것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일측 상면에 랙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링크의 하단에 조작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면에 호상 피니온을 상기 랙 기어와 이물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스핀들의 일측과 상기 조작판사이에 스톱퍼 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핀들(25)의 양측에 스톱퍼(28a)(28b)를 설치하고, 스핀들(25)의 일측과, 후방 링크(15b)에 일체로 형성한 조작판(42)에 스톱퍼 수단(50)을 설치하여 후방링크(15b)를 이중으로 구속함으로써 전방 충돌시 특히 시트 쿠션(10)의 최대 높이시에 조정된 시트 쿠션(10)의 높낮이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성능을 향상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양호하게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한바와 같이, 플로워 패널(미도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양 시트 트랙(11)의 각 로워 레일(13)에 어퍼 레일(12)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삽입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각 어퍼 레일(12)에 트랙 셋 브라켓(14)을 설치하고, 상기 각 트랙 셋 브라켓(14)의 전후에 전후방 링크(15a)(15b)의 하단을 지지핀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 링크(15a)(15b)의 상단에 쿠션 사이드 멤버(16)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각 후방 링크(15b)의 상단 사이에 상기 쿠션 사이드 멤버(16)에 연결되는 크로스 바(17)를 연겸함과 아울러 상기 쿠션 사이드 멤버(16)의 후단에 도시하지 않은 시트 백을 리클라이너로서 폴딩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일측의 시트 트랙(11)에 높낮이 조절기구(20)를 설치 한 것이다.
상기 높낮이 조절기구(20)는 상기 어퍼 레일(12)의 전후방 링크(15a)(15b) 사이에 어퍼 레일(12)과 직각으로 브라켓(21)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21)의 로워 레일(12)의 내측 하면에 기어 하우징(22)을 설치하여서 상기 기어 하우징(22)의 측면에 구동 모터(23)를 설치하며, 상기 기어 하우징(22)에 구동 모터(23)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 즉 상기 구동 모터(23)의 축에 피니온(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온과 이물림하는 랙 기어(미도시)를 형성한 스핀들(25)을 관통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핀들(25)의 양축에 고무제 스톱퍼(28a)(28b)를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서 스핀들(25)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후방 링크(15b)를 조작함으로써 시트 쿠션(10)의 높낮이를 조절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5)의 일측 상면에 랙 기어(41)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링크(15b)의 하단 즉 하단 지지핀 (27) 하부에 조작판(42)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면에 호상 피니온(43)을 상기 랙 기어(41)에 이물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스핀들(25)의 일측 [랙 기어(41)형성부위] 과 상기 조작판(42)사이에 스톱퍼 수단(50)을 설치하여서 전방 충돌시 상기 후방 링크(15b)를 상기 스톱퍼 수단(50)및 스톱퍼(28a)에 의하여 이중으로 구속할 수 있게 한것이다.
상기한 스톱퍼 수단(50)은 상기 스핀들(25)의 일측에 직선상의 가이드홈(51)을, 상기 조작판(42)에 호상 가이드홈(5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후방 링크(15b)의 하단의 지지핀(27')에 연결편(53)의 상단을 상기 조작판(42)의 일측에 위치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편(53)의 하방부를 상기 직선상및 호상의 가이드홈(51)(52)에 삽입 지지된 스톱퍼 핀(54a)(54b)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스톱퍼 핀(54a)(54b)의 연결편(53)의 반대측에 핀 지지편(55)을 설치하여서 호상 피니온(43)이 랙 기어(41)와 이물림되어 이동할 때 스톱퍼 핀(54a)(54b)이 직선 및 호상 가이드홈(52)(51)에 이중구속됨으로써 전방충돌시 특히 시트 쿠션(10)의 최대 높이위치시에 조정된 위치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어 탑승자의 보호를 더욱 더 안정되게 한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3)는 기어 하우징(22)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구동 모터(23)의 구동시 특히 정역회전변환시 소음을 양호하게 저감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2b와 같은 시트 쿠션(10)의 하강상태에서 탑승자가 구동 모터(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모터(23)의 축에 설치한 피니온이 스핀들(25)에 형성한 랙 기어에 이물림되어 스핀들(25)을 후방으로 직선운동시키고 상기 스핀들(25)이 후방으로 직선 운동함에 따라 스핀들(25)의 일측에 형성한 랙 기어(41)가 조작판(42)의 하면에 형성한 호상 피니온(43)에 이물림되어 조작판(4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후방 링크(15a)(15b)가 세워져 시트 쿠션(1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핀들(25)이 후방이동할때 스톱퍼(28a)는 기어 하우징(22)의 측면에 접촉되고, 한편 스톱퍼 수단(50)은 조작판(42)및 스핀들(25)의 일측을 구속함으로써 전방충돌시 특히 시트 쿠션(10)의 최대 높이시에 충돌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랙 기어(41)및 호상 피니온(43)의 기어비를 조절하면 시트 쿠션(10)의 높낮이 조작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설계및 성능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동 모터(23)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것의 사시도
도 4a, 4b는 종래의 것의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 설명>
15b : 후방 링크 20 : 높낮이 조절 기구 23 : 구동 모터
25 : 스핀들 28a, 28b : 스톱퍼 41 : 랙 기어
42 : 조작판 43 : 호상 피니온 50 : 스톱퍼 수단

Claims (4)

  1. 양 시트 트랙의 어퍼 레일에 설치한 트랙 셋 브라켓과, 양 쿠션 사이드 멤버의 전후를 전후방 링크로 연결하고, 상기 양 쿠션 사이드 멤버의 후방 사이를 크로스 바로 연결하여 시트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 레일의 전후방 링크사이에 어퍼 레일과 직각으로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저면에 기어 하우징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 하우징의 측면에 구동 모터를 설치 하며, 상기 기어 하우징에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후진하는 스핀들을 관통되게 설치하여 상기 스핀들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후방 링크를 조작하는 높낮이 조절기구를 설치 한것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일측 상면에 랙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후방 링크의 하단에 조작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면에 호상 피니온을 상기 랙 기어와 이물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스핀들의 일측과 상기 조작판 사이에 스톱퍼 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톱퍼 수단은, 스핀들의 일측에 직선상의 가이드홈을, 조작판에 호상 가이드홈을 각각 형성하고, 후방 링크의 하단의 지지핀에 연결편의 상단을 조작판의 일측에 위치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편의 하방부를 상기 직선및 호상의 가이드홈에 삽입 지지된 스톱퍼 핀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스톱퍼 핀의 연결편의 반대측에 핀 지지편을 설치한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모터는 기어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한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랙 기어및 호상 피니온의 기어비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한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0070090571A 2007-09-06 2007-09-06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88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71A KR100888583B1 (ko) 2007-09-06 2007-09-06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571A KR100888583B1 (ko) 2007-09-06 2007-09-06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600A true KR20090025600A (ko) 2009-03-11
KR100888583B1 KR100888583B1 (ko) 2009-03-12

Family

ID=4069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571A KR100888583B1 (ko) 2007-09-06 2007-09-06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5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848B1 (ko) * 2010-12-01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회전방지장치
KR200469422Y1 (ko) * 2009-08-03 2013-10-11 주식회사다스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CN105383335A (zh) * 2015-12-21 2016-03-09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座椅及其升降驱动装置
US11332044B2 (en) * 2018-05-25 2022-05-17 Magna Seating Inc Manual pitch easy-entry seat with power return
US11338708B2 (en) * 2019-09-13 2022-05-24 Faurecia Autositze Gmbh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seat
KR102425635B1 (ko) * 2021-03-22 2022-07-2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리클라이너용 록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용 구동장치
US11420538B2 (en) * 2020-04-14 2022-08-23 Daechang Seat Co., Ltd-Dongtan Seat elev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13Y1 (ko) * 1994-12-19 1997-07-02 대우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시이트 트랙(power seat track)의 동시 높이조절장치
KR200150390Y1 (ko) * 1995-12-02 1999-07-01 정몽규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JPH1159244A (ja) 1997-08-18 1999-03-02 Aisin Seiki Co Ltd パワーシート装置
KR100506678B1 (ko) * 2003-09-01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상하 조절장치의 모터 및 기어박스 지지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22Y1 (ko) * 2009-08-03 2013-10-11 주식회사다스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KR101219848B1 (ko) * 2010-12-01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프레임의 회전방지장치
US8408510B2 (en) 2010-12-01 2013-04-0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rotation of seat frame for vehicle
CN105383335A (zh) * 2015-12-21 2016-03-09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座椅及其升降驱动装置
US11332044B2 (en) * 2018-05-25 2022-05-17 Magna Seating Inc Manual pitch easy-entry seat with power return
US11338708B2 (en) * 2019-09-13 2022-05-24 Faurecia Autositze Gmbh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seat
US11420538B2 (en) * 2020-04-14 2022-08-23 Daechang Seat Co., Ltd-Dongtan Seat elevating device
KR102425635B1 (ko) * 2021-03-22 2022-07-2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리클라이너용 록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583B1 (ko)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83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CN208306408U (zh) 滑动装置
US7571964B2 (en)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US7648200B2 (en) Headrest device
JP510416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69711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846391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CN112744136A (zh) 车辆座椅装置
JP2010000960A (ja)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シート・リフター
KR101904976B1 (ko)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JP4000858B2 (ja) シート用パワースライド装置
KR20200074713A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US9387777B2 (en) Seat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seats
CN218948999U (zh) 零重力车辆座椅及座椅骨架
JP201305269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221169B2 (ja) 車両用回転シート
WO1997022493A1 (en) Anti-rotational link for vehicle power seat adjuster
CN115723639A (zh) 用于车辆座椅的调节装置及车辆座椅
KR101945797B1 (ko) 파워 헤드레스팅 장치
KR20210126849A (ko) 자동차용 시트의 다방향 조절 장치
CN114206667A (zh) 座椅框架
KR20210067581A (ko)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
KR100461319B1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보호용 시트
KR101296028B1 (ko) 헤드레스트 연동형 백 익스텐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