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22Y1 -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22Y1
KR200469422Y1 KR2020090010140U KR20090010140U KR200469422Y1 KR 200469422 Y1 KR200469422 Y1 KR 200469422Y1 KR 2020090010140 U KR2020090010140 U KR 2020090010140U KR 20090010140 U KR20090010140 U KR 20090010140U KR 200469422 Y1 KR200469422 Y1 KR 200469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cushion frame
bracket
forward movement
rai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405U (ko
Inventor
국중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20090010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이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돌기(53a)의 접촉으로 인해 구속됨으로써, 부품수 감소, 원가 절감,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보호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쿠션, 시트쿠션프레임, 전방충돌, 전방이동

Description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Apparatus for restraint a forward movement of seat cushion frame}
본 고안은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이 시트쿠션프레임의 최대 상승위치보다 차량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백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10) 및 시트백프레임(20)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과 상기 시트백프레임(20)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시트백프레임(20)의 전후방향 회전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3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11)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브라켓(11)에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높낮이(승하강)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펌핑장치(40; 일명 펌핑디바이스 또는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라고도 한다)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10-0722849호, 등록특허 10-0784620호, 등록특허 10-0821099호 등에 이미 자세하게 기재한 바 있다.
그 중, 등록특허 10-0784620호에 기재한 바 있는 펌핑장치는 대체로, 입력축과 브레이크샤프트 사이에 2개의 클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두 클러치기구 사이에는 연결드럼을 배치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핸들레버를 조작하여, 입력축에 중립상태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조작력이 가해지면 입력축 쪽의 클러치기구가 상기 연결드럼에 록킹되고, 상기 연결드럼이 상기 조작력에 의해 약간 회전되면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쪽의 클러치기구(이하, 브레이크기구)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결드럼이 브레이크샤프트를 회동시켜서 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을 중립상태로 복원하면, 상기 브레이크기구가 즉시 록킹되어, 조절된 시트쿠션의 높이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의 작동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승하강(업;UP, 다운;DOWN) 동작을 위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은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과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의 일단은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는 전방힌지볼트(57)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의 타단은 후방힌지볼트(59)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의 일단은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는 전 방힌지볼트(61)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의 타단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11)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브라켓(11)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파이프(13)에 용접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에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결합된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결합된 타단보다 차체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에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결합된 일단은 상기 링크파이프(13)에 결합된 타단보다 차체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63은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일체로 결합된 이동레일(어퍼레일)이고, 도면부호 65는 상기 이동레일(6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로어레일)이다.
따라서, 상기 펌핑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과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이 각각의 전방힌지볼트(57,6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브라켓(1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베이스브라켓(11)의 최대 하강시 상태이고, 도 3은 베이스브라켓(11)의 최대 상승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전방충돌사고가 발생하면 베이스브라켓(11)을 포함한 시트쿠션프레임(10)은 관성력에 의해 전,후방회전링크브라켓(53,55)의 회전으로 차체의 전방쪽 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물론, 보통의 충격력을 발생하는 전방충돌사고 시에는 펌핑장치를 구성하는 클러치기구와 브레이크기구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회전 및 전방이동을 억제하게 되지만, 충격력이 커서 펌핑장치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은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시트 착석자의 부상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에 걸림턱돌기(5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11)에 스토퍼 핀(67)이 용접 결합된 구조가 있었다.
즉,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베이스브라켓(11)을 포함한 시트쿠션프레임(10)이 관성력에 의해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면, 상기 걸림턱돌기(53a)가 상기 스토퍼 핀(67)에 걸려져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이 더 이상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돌기(67)는 펌핑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에도 도 3과 같이 상기 스토퍼 핀(67)에 걸려져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상승을 구속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스토퍼 핀(67)이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수 증가 및 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 핀(67)을 베이스브라켓(11)에 용접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과다 소요 및 생산성 감소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토퍼 핀(67)은 용접부위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하면 걸림턱돌기(53a)와의 접촉시 파단의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 핀(67)의 파단이 발생하게 되면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레일셋팅브라켓의 구조적 형상변경을 통해 스토퍼 핀을 사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감소, 원가 절감,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보호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는, 이동레일셋팅브라켓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는 끝단부가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방지플랜지와; 양단이 전,후방힌지볼트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 및 시트쿠션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이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에 대해 상승하면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방지 플랜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돌기를 구비한 전방회전링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이동이 이동레일셋팅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방지플랜지와 전방회전링크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돌기의 접촉으로 인해 구속됨으로써, 부품수 감소, 원가 절감,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 보호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백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10) 및 시트백프레임(20)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과 상기 시트백프레임(20)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시트백프레임(20)의 전후방향 회전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3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11)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브라켓(11)에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높낮이 (승하강)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펌핑장치(40; 일명 펌핑디바이스 또는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라고도 한다)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11)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양쪽 측면을 구성하는 부품이다.
한편, 상기 펌핑장치의 작동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승하강(업;UP, 다운;DOWN) 동작을 위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은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과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도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의 일단은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는 전방힌지볼트(57)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의 타단은 후방힌지볼트(59)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의 일단은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는 전방힌지볼트(61)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의 타단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브라켓(11)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브라켓(11)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파이프(13)에 용접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에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결합된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1)과 결합된 타단보다 차체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에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결합된 일단은 상기 링크파이프(13)에 결합된 타단보다 차체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63은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과 일체로 결합된 이동레일(어퍼레일)이고, 도면부호 65는 상기 이동레일(6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로어레일)이다.
따라서, 상기 펌핑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과 상기 후방회전링크브라켓(55)이 각각의 전방힌지볼트(57,6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브라켓(1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베이스브라켓(11)의 최대 하강시 상태이고, 도 6은 베이스브라켓(11)의 최대 상승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전방충돌사고가 발생하면 베이스브라켓(11)을 포함한 시트쿠션프레임(10)은 관성력에 의해 전,후방회전링크브라켓(53,55)의 회전으로 차체의 전방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물론, 보통의 충격력을 발생하는 전방충돌사고 시에는 펌핑장치를 구성하는 클러치기구와 브레이크기구가 시트쿠션프레임(10)의 회전 및 전방이동을 억제하게 되지만, 충격력이 커서 펌핑장치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은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하여 시트 착석자의 부상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 회전방지플랜지(5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에 걸림턱돌기(53a)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방지플랜지(51a)는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는 끝단부가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이동레일셋팅브라켓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주 대하는 이동레일셋팅브라켓쪽을 향하는 방향이 내측방향이 되고, 상기 내측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 외측방향이 된다.)
상기 걸림턱돌기(53a)는 상기 전방힌지볼트(57)로부터 인접한 상기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의 바깥 테두리 둘레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이 도 6과 같이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 대해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 상기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또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베이스브라켓(11)을 포함한 시트쿠션프레임(10)이 관성력에 의해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할 때에도, 상기 걸림턱돌기(53a)가 상기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은 최대 상승위치일 때보다 더 이상 차체의 전방쪽으로 회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이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전 방회전링크브라켓(53)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돌기(53a)의 접촉으로 인해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은 스토퍼 핀(67)의 사용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수 감소, 원가 절감,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걸림턱돌기(53a)와 접촉하는 회전방지플랜지(51a)의 파손(파단)염려가 없기 때문에,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 보호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시트쿠션프레임 및 시트백프레임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쿠션프레임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시트쿠션프레임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쿠션프레임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회전방지플랜지부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시트쿠션프레임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일 때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쿠션프레임 11 - 베이스브라켓
51 - 이동레일셋팅브라켓 51a - 회전방지플랜지
57 - 전방힌지볼트 59 - 후방힌지볼트
53 - 전방회전링크브라켓 53a - 걸림턱돌기

Claims (2)

  1.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서 차체의 전방을 향하는 끝단부가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양단이 전,후방힌지볼트(57,59)를 매개로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 및 시트쿠션프레임(10)을 구성하는 베이스브라켓(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이 상기 이동레일셋팅브라켓(51)에 대해 상승하면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방지플랜지(51a)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전방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돌기(53a)를 구비한 전방회전링크브라켓(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돌기(53a)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의 최대 상승시 상기 회전방지플랜지(51a)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KR2020090010140U 2009-08-03 2009-08-03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KR200469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140U KR200469422Y1 (ko) 2009-08-03 2009-08-03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140U KR200469422Y1 (ko) 2009-08-03 2009-08-03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05U KR20110001405U (ko) 2011-02-10
KR200469422Y1 true KR200469422Y1 (ko) 2013-10-11

Family

ID=4420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140U KR200469422Y1 (ko) 2009-08-03 2009-08-03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61B1 (ko) * 2012-10-26 2013-10-11 대원강업주식회사 충돌 또는 추돌시 편측 쏠림 방지에 따른 충격 저감형 차량용 시트
CN104773100B (zh) * 2015-04-21 2017-07-25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具有防下潜功能的汽车座椅座垫骨架
KR20220014920A (ko) 2020-07-29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지지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172A (ja) 1999-03-02 2000-09-12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KR2001005890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90025601A (ko) * 2007-09-06 2009-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시트 트랙 로크구조
KR20090025600A (ko) * 2007-09-06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172A (ja) 1999-03-02 2000-09-12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KR2001005890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90025601A (ko) * 2007-09-06 2009-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시트 트랙 로크구조
KR20090025600A (ko) * 2007-09-06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05U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33B1 (ko)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JP2856550B2 (ja) 自動車内の安全装置
KR20120064265A (ko) 차량 시트의 목상해 방지장치
JP2009132314A (ja) 後席乗員保護装置
KR200469422Y1 (ko)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시트쿠션프레임의 전방 이동 구속장치
JP2010179753A (ja) 乗物用シート
US20140339863A1 (en)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reducing the backward displacement of a vehicle sea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JP531585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053515B1 (ko) 차량시트용 충격흡수장치
JP4692036B2 (ja) 自動車の可動フロア装置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KR20040013862A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JP2006192986A (ja)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JP522851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143979B1 (ko) 조정 가능하고 기계식으로 잠글 수 있는 조향 칼럼
KR100991659B1 (ko) 자동차용 시트
JP5235058B2 (ja) 車両用シート
JP4050137B2 (ja)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JP2016210228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03515492A (ja) 自動車用の調整可能な座席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JP4024662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080016060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KR100461106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KR101438849B1 (ko)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