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11A - 발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11A
KR20090012211A KR1020087023486A KR20087023486A KR20090012211A KR 20090012211 A KR20090012211 A KR 20090012211A KR 1020087023486 A KR1020087023486 A KR 1020087023486A KR 20087023486 A KR20087023486 A KR 20087023486A KR 20090012211 A KR20090012211 A KR 2009001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
weight
dichloroethylene
blowing ag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앙노
로렝 라띠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9001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9Mixtures of blowing agent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J9/141 - C08J9/14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2Organic compounds only containing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e.g. ketone or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08J2203/142Halogenated saturated hydrocarbons, e.g. H3C-CF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08J2203/146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xygen and halogen atoms, e.g. F3C-O-CH2-CH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클로로에틸렌, 및 할로케톤, 플루오로산, 플루오로에스테르, 플루오로아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티오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사이클릭(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요오도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C 를 함유하는 발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제 조성물{BLOW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발포체 (foam) 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발포체 분야, 그리고 다른 적용 분야에서, 오존층의 손상 제한을 목표로 하는 몬트리올 의정서는 불소화 생성물의 사용에 대하여 엄격한 규칙을 부여하였다. 불소화 생성물은, 그 ODP (오존 고갈 잠재성) 이 특징이다. CFC (클로로플루오로카본) 이 첫번째 생성물이고, HCFC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가 두번째 생성물이고, 이 둘은 모두 ODP 가 없거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는 세번째로 발생되는 생성물, 소위 HFC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러한 생성물은 발포체 분야에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된다.
온실 효과를 가지는 기체의 방출을 제어하는 것에 대한 교토 의정서의 비준은 이러한 불소화 생성물에 대한 추가적인 제한을 두어, 즉 그의 GWP (지구 온난화 잠재성) 을 낮춘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기재 발포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HFC 의 용도는 특허 EP 381 986 에 기재되어 있다. 점점 더 강화되는 환경 규 제에 직면하면서 발포제 조성물 내 HFC 의 부분적 교체가 제안되고 있다. 문헌 WO 02/099006 에는 발포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 HFC 및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의 공비등 조성물이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무시할만한 ODP 및 낮은 GWP 의 기준을 동시에 만족하는 발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대상은 디클로로에틸렌, 및 할로케톤, 플루오로산, 플루오로에스테르, 플루오로아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티오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사이클릭(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요오도플루오로(하이드로)탄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C 를 함유하는 발포제 조성물이다.
유리하게, 발포제 조성물은 디클로로에틸렌, 및 할로케톤, 플루오로산, 플루오로에스테르, 플루오로아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티오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사이클릭(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요오도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C 를 함유하는 발포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무시할만한 ODP 뿐 아니라 낮은 GWP, 바람직하게 150 미만의 GWP 를 가진다.
발포제 조성물은 1 내지 94 중량% 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99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바람직하게 50 내지 94 중량% 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50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유리하게 70 내지 94 중량% 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30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를 함유한다.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가 화합물 C 로서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는 탄소, 불소, 하나 이상의 에테르 작용기 및 임의적으로 수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로서, 특히 일반식 (Rh-0)x-Rf (여기서, x 는 1 또는 2 이고, Rh 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임의 불소화 알킬기를 나타내고, Rf 는 탄소수 2 이상, 바람직하게 2 내지 9 의 (과)불소화 지방족기를 나타냄, Rf 는 또한 헤테로원자, 예컨대 산소, 질소 및 황을 함유할 수 있음) 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는 x 값이 1 인 것이다. 특히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n-C4F90CH3, CF3CF(CF3)CF20CH3 및 (CF3)3COCH3, 및 1-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n-C4F9OC2H5, CF3CF(CF3)CF20C2H5 및 (CF3)3COC2H5 를 언급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 또한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로서 적합할 수 있다: C8F170CH3, C5F11OC2H5, C3F70CH3 또는 1,1-디메톡시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산.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n-C4F90CH3, CF3CF(CF3)CF20CH3 및 (CF3)3COCH3, 및 1-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n-C4F90C2H5, CF3CF(CF3)CF20C2H5 및 (CF3)3COC2H5 가 유리하게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로 선택된다.
디클로로에틸렌으로서,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또는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이 유리하게 선택된다.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플루오로아민으로서, 특히 N-(디플루오로메틸)~N,N-디메틸아민을 언급할 수 있다.
(하이드로)플루오로티오에테르로서, 특히 1,1,1,2,2-펜타플루오로-2-[(펜타플루오로에틸)티오]에탄을 언급할 수 있다.
사이클릭(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의 예는 헵타-플루오로사이클로펜탄이다.
특히 요오도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으로서, 요오도트리플루오로메탄(CF3I), 요오도펜타플루오로에탄(C2FsI), 1-요오도헵타플루오로프로판(CF3CF2CF2I), 2-요오도헵타플루오로프로판(CF3CFICF3), 요오도-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CHF2CF2I), 2-요오도-1,1,1-트리플루오로에탄(CF3CH2I), 요오도트리플루오로에틸렌 (C2F3I), 1-요오도-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CF3CHFCF3I) 또는 2-요오도노나플루오로-tert-부탄 ((CF3)3CI) 를 언급할 수 있다. 요오도트리플루오로메탄 및 요오도펜타플루오로에탄이 바람직하다.
할로케톤은 탄소, 불소, 하나 이상의 케톤 작용기 및 임의적으로 수소, 염소 및 브롬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할로케톤은 일반식 R1COR2 (여기서,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이는 수소, 브롬 또는 염소를 임의적으로 함유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플루오로카본 라디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라디칼의 탄소 원자의 사슬이 선형 또는 분지형 및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고, R1 및 R2 은 임의적으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음) 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할로케톤은 3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 4 내지 8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할로케톤은 부가적으로 기타 헤테로원자, 예컨대 산소를 함유하여, 부가적인 케톤 작용기 또는 에테르, 알데하이드 또는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할로케톤으로서, 특히 1,1,1,2,2,4,5,5,5-노나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펜타논, 1,1,1,2,4,5,5,5-옥타플루오로-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 1,1,1,2,4,4,5,5-옥타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 1,1,1,2,4,4,5,5,6,6,6-운데카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3-헥사논, 1,1,2,2,4,5,5,5-옥타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 1,1,1,3,4,4,4-헵타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2-부타논, 1,1,1,2,2,5,5,5-옥타-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 또는 2-클로로-1,1,1,4,4,5,5,5-옥타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을 언급할 수 있다. 1,1,1,2,2,4,5,5,5-노나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3-펜타논이 바람직하다.
또한 할로케톤으로서 브로모플루오로케톤, 예를 들어 모노브로모퍼플루오로케톤, 모노하이드로모노브로모퍼플루오로케톤, (퍼플루오로-알콕시)모노브로모퍼플루오로케톤, (플루오로알콕시)모노브로모퍼플루오로케톤 및 모노클로로모노브로모퍼플루오로케톤을 언급할 수 있다.
적합한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은 일반식 CF3CY=CXnHp (여기서, X 및 Y 은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 및 p 는 0, 1 또는 2 의 정수이고, (n+p) 는 2 임) 의 3,3,4,4,5,5,6,6,6-노나플루오로-1-헥센 또는 플루오로프로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F3CH=CF2, CF3CH=CFH, CF3CBr=CF2, CF3CH=CH2, CF3CF=CF2, CF3CCI=CF2, CF3CH=CHCI, CF3CCI=CHF, CF3CH=CCI2 및 CF3CF=CCI2 를 언급할 수 있다.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펜 (HFO-1225zc), 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HFO-1234ze)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HFO-1234yf) 의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발포제 조성물은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를 함유한다.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및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을 함유하는 발포제 조성물은 매우 유리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이는 트랜스-l,2-디클로로에틸렌 및 1-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은 양호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발포체를 유리하게 제공한다. 이는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다.
여러 적용에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성분은 미리 배합된다. 더 일반적으로, 발포체의 제형은 두 성분으로 미리 배합된다. "성분 A" 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첫번째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한다. "성분 B" 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두번째 성분은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 계면활성제, 촉매 또는 촉매들 및 발포제 또는 발포제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대상은 따라서,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 및 첫번째 대상의 발포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두번째 대상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에멀젼 형태이다.
발포제는 바람직하게 두번째 대상의 조성물 내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1 및 60 중량부로 존재한다. 유리하게 이는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5 내지 35 중량부이다.
폴리올로서 특히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알킬렌 옥사이드,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와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을 축합하여 수득되는 것,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카르복실산, 특히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에서 수득되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알킬렌 옥사이드,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방향족 아민, 특히 2,4- 및 2,6-톨루엔디아민 혼합물에 첨가하여 수득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한 적합하다.
기타 유형의 폴리올로서 특히 하이드록실 말단,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및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폴리티오에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특히 강성 (rigid)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포함) 를 두번째 대상에 따른 조성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반응은 아민 및/또는 기타 촉매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이외에, 화학적 발포제, 예컨대 물의 존재하에서도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특히, 탄소수 18 이하 범위일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탄소수 15 이하 범위일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사이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탄소수 6 내지 15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15 의 아릴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아릴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 및 2,6-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다. 또한 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카르보디이미드기, 우레탄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우레아기 또는 디우레아기를 함유하는 기가 적합하다.
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절차.
100 중량부의 폴리올 Stepanpol PS2412 (폴리에스테르 유형), 1.5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Tegostab B8465, 3 중량부의 물 및 1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 조성물을 비커에 넣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직 기계적 교반기로 평균 속도 2000 rev/분으로 1 분 동안 교반하였다.
110 중량부의 Desmodur 44V70L (이소시아네이트) 를 이어서 비커에 넣고, 평균 속도 3500 rev/분으로 15 초 동안 교반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는 동안, 2.82 중량부의 Dabco K 15 (2-에틸헥사논산의 포타슘 염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및 0.18 중량부의 Polycat 5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을 함유하는 촉매를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입하였다. (총) 25 초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종이로 덮은 직사각형 몰드에 부었다. 5 분 동안 기다린 후, 몰드에서 발포체를 제거하고, 24 시간 후, 발포체를 띠톱을 사용하여 잘라내었다.
잘라낸 발포체의 부피는 오븐에 넣기 전에 측정하고, 70 ℃ 오븐 내에서 72 시간 동안 둔 후 측정하였다.
오븐에 넣기 전/후 발포체 부피의 차이는 치수 안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데이터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백분율로 표현한 부피 차이는 하기 방식으로 계산되었다:
부피 차이 (%) = (최종 부피 - 처음 부피) / 처음 부피.
실시예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름): 75 중량% 의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TDCE) 및 25 중량% 의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스토빙(stoving) 전 치수 (cm) 스토빙 전 두께 (cm) 스토빙 전 부피 (cm3) 스토빙 후 발포체 부피 (cm3) 부피 차이 (%)
실시예 1 10.10 10.10 3.27 333.57 355.00 6.42
TDCE 10.10 10.10 3.20 326.43 97.00 -70.28

Claims (8)

  1. 디클로로에틸렌, 및 할로케톤, 플루오로산, 플루오로에스테르, 플루오로아민,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티오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사이클릭(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및 요오도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C 를 함유하는 발포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1 내지 94 중량% 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99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바람직하게 50 내지 94 중량부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50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유리하게 70 내지 94 중량% 의 디클로로에틸렌 및 30 내지 6 중량% 의 화합물(들)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을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클로로에틸렌이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 C 가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및/또는 1-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폴리올 100 중량부 당 1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 5 내지 35 중량부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foam) 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20087023486A 2006-03-31 2007-03-26 발포제 조성물 KR20090012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2797 2006-03-31
FR0602797A FR2899234B1 (fr) 2006-03-31 2006-03-31 Composition d'agent d'expansion
US80046406P 2006-05-15 2006-05-15
US60/800,464 2006-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11A true KR20090012211A (ko) 2009-02-02

Family

ID=3759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486A KR20090012211A (ko) 2006-03-31 2007-03-26 발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174008A1 (ko)
EP (1) EP2024431A2 (ko)
JP (1) JP2009535432A (ko)
KR (1) KR20090012211A (ko)
CN (1) CN101679661A (ko)
AU (1) AU2007232416A1 (ko)
CA (1) CA2643856A1 (ko)
FR (1) FR2899234B1 (ko)
MX (1) MX2008012351A (ko)
WO (1) WO20071134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50A (ko) * 2020-04-22 2021-11-01 강대권 폴리우레탄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3820A1 (en) * 2006-03-21 2009-10-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oaming agent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ine sustituted olefins and methods of foaming
US20110152392A1 (en) * 2009-12-17 2011-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talysts For Polyurethane Foam Polyol Premixes Containing Halogenated Olefin Blowing Agents
US8318038B2 (en) 2007-02-06 2012-11-27 Solvay Fluor Gmbh Nonflammable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inated compounds and use of these compositions
FR2921665A1 (fr) * 2007-09-28 2009-04-03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trans-1,2 dichloroethylene.
JP6134470B2 (ja) 2008-03-07 2017-05-24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ロロ−3,3,3−トリフルオロプロペンによる安定した処方系
US8454853B2 (en) * 2008-03-07 2013-06-04 Arkema Inc. Halogenated alkene heat transfer composition with improved oil return
JP2012508778A (ja) * 2008-11-13 2012-04-12 ゾルファイ フルーオ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ヒド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ヒド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の製造およびヒド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を用いる方法
WO2011069203A1 (en) * 2009-12-08 2011-06-16 Barry Branscombe Walker Blowing agents for foams
CN102858829A (zh) * 2010-04-28 2013-01-02 阿科玛股份有限公司 改善含有卤化烯烃发泡剂的聚氨酯多元醇共混物的稳定性的方法
CA2817556C (en) 2010-11-17 2014-12-30 Fomo Products, Inc. Method for filling wall cavities with expanding foam insulation
CN104448377A (zh) * 2014-12-10 2015-03-25 江苏蓝色星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1,2-二氯乙烯和二氟二氯乙烯的发泡剂组合物
CN104448226A (zh) * 2014-12-10 2015-03-25 江苏蓝色星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1,2-二氯乙烯的发泡剂组合物
CN105968400A (zh) * 2016-06-04 2016-09-28 王金明 一种用作聚氨酯发泡剂的组合物
KR102258805B1 (ko) * 2019-06-26 2021-05-31 한국가스공사 경질 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3336A1 (de) * 1989-02-04 1990-08-09 Bayer Ag Verwendung von c(pfeil abwaerts)3(pfeil abwaerts)- bis c(pfeil abwaerts)5(pfeil abwaerts)-polyfluoralkanen als treibgase
US5026499A (en) * 1990-03-21 1991-06-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nary azeotropic compositions of hexafluoropropylene/ethylene cyclic dimer with trans-1,2-dichloroethylene and methanol
DE4121161A1 (de) * 1991-06-27 1993-01-0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 oder urethan- und isocyanuratgruppen enthaltenden hartschaumstoffen und treibmittel enthaltende emulsionen hierfuer
US5827446A (en) * 1996-01-31 1998-10-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onafluoromethoxybutane compositions
US5851436A (en) * 1996-06-13 1998-12-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onafluoromethoxybutane compositions
AU3622899A (en) * 1998-05-15 1999-12-06 Kingspan Industrial Insulation Limited A closed cell phenolic foam
US6951835B1 (en) * 1999-03-22 2005-10-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1,3,3-pentafluorobutane
US6646020B2 (en) * 2001-05-23 2003-11-11 Vulcan Chemicals A Division Of Vulcan Materials Company Isopropyl chloride with hydrofluorocarbon or hydrofluoroether as foam blowing agents
US6790820B2 (en) * 2001-06-01 2004-09-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of hydrofluorocarbons and trans-1,2-dichloroethylene
AU2002360653A1 (en) * 2001-12-18 2003-06-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entafluorpropane-based compositions
US7105578B2 (en) * 2002-06-03 2006-09-12 Arkema Inc. Blowing agent blends
ES2645949T3 (es) * 2002-10-25 2017-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étodo de esterilización que utiliza composiciones que contienen olefinas sustituidas con flúor
US7144926B2 (en) * 2003-01-02 2006-12-05 Arkema Inc. Blowing agent blends
US6793845B1 (en) * 2003-04-22 2004-09-21 Atofina Chemicals, Inc. Foam premix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US7022658B2 (en) * 2003-09-29 2006-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zeotrope-like compositions containing hexafluoropropylene dimer and use thereof
US7524805B2 (en) * 2004-04-29 2009-04-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propene and hydrofluorocarbons
US20050176830A1 (en) * 2004-02-09 2005-08-11 Jinhuang Wu Pentane-blown foams
FR2868428B1 (fr) * 2004-04-06 2006-06-23 Arkema Sa Composition non inflammable utilisable comme agent gonflant
FR2868427B1 (fr) * 2004-04-06 2006-09-08 Arkema Sa Composition non inflammable et son utilisation
US20050269549A1 (en) * 2004-06-02 2005-12-08 Jinhuang Wu Polyol premixes incorporating trans-1, 2-dichloroethylene
US20060052468A1 (en) * 2004-09-08 2006-03-09 Chris Janzen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a froth spraying system
FR2887889B1 (fr) * 2005-06-29 2007-08-31 Arkema Sa Procede de preparation d'articles moules en polyurethane
US7524806B2 (en) * 2005-07-07 2009-04-28 Arkema Inc. Trans-1, 2-dichloroethylene and hydrofluorocarbon or alkoxy perfluoroalkane compositions having elevated flash poi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50A (ko) * 2020-04-22 2021-11-01 강대권 폴리우레탄 발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4431A2 (fr) 2009-02-18
WO2007113435A3 (fr) 2009-12-10
FR2899234B1 (fr) 2017-02-17
AU2007232416A1 (en) 2007-10-11
FR2899234A1 (fr) 2007-10-05
WO2007113435A2 (fr) 2007-10-11
US20100174008A1 (en) 2010-07-08
JP2009535432A (ja) 2009-10-01
CN101679661A (zh) 2010-03-24
CA2643856A1 (fr) 2007-10-11
MX2008012351A (es)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211A (ko) 발포제 조성물
KR20090012210A (ko) 발포제 조성물
JP6148365B2 (ja) ヒドロクロロフルオロオレフィン発泡剤組成物
EP4063440A1 (en) Mixtures containing 1,1,1,4,4,4-hexafluorobutene and 1-chloro-3,3,3-trifluoropropene
KR20080015404A (ko) 탄화수소 또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으로 발포된 astme-84 클래스 i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EP2511329A2 (en) Method for making foams using blowing agents comprising unsaturated fluorocarbons
JP2011037912A (ja) 1−クロロ−3,3,3−トリフルオロプロペンを含む発泡剤組成物
US20060160911A1 (en) Process for making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using mixtures of a hydrofluorocarbon and methyl formate as a blowing agent
CN107641214A (zh) 包含1,1,3,3,3‑五氟丙烷和环戊烷的组合物
JP2005023259A (ja) 不燃性組成物および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20070004902A (ko) 발포제로 사용할 수 있는 불연성 조성물
JP3105054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触媒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FR2921664A1 (fr) Composition non inflammable et son utilisation.
JP3952185B2 (ja) 低い蒸気圧を有する発泡剤、プレミックス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KR20070015167A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AU2004220348B2 (en) Hydrofluorocarbon compositions
JPH07179560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4002642A (ja) 合成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7258452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9316222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