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167A -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167A
KR20070015167A KR1020067020644A KR20067020644A KR20070015167A KR 20070015167 A KR20070015167 A KR 20070015167A KR 1020067020644 A KR1020067020644 A KR 1020067020644A KR 20067020644 A KR20067020644 A KR 20067020644A KR 20070015167 A KR20070015167 A KR 2007001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fc
weight percent
tr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까롱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7001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04Aerosol, e.g. polyurethane foam spr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09K2205/122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중합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365 mfc),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및 히드로클로로카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NON-FLAMMABL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열경화성 중합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주제는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365 mfc),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불연성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이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와 같은 발포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문서 US 6 451 867 은, 강성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체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포제로서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을 포함하는 2 성분의 혼합물의 사용을 교시한다.
더욱이, 문서 WO 02/099006 은,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및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대략 23 중량% 를 포함하는 3 성분의 혼합물을 개시한다. 문서 WO 02/099006 의 교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365 mfc/245 fa 의 일정 비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끓는점을 나타내는, 즉 끓는점이 혼합물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의 양에 따라 거의 변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발포제의 존재 하에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 를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나 폴리올의 혼합물 사이의 반응은 아민 및/또는 기타 촉매 및 표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많은 적용에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성분은 전혼합물 (premix) 이다. 더욱 일반적으로는, 상기 발포체의 제제는 2 가지 성분으로서 전혼합된다. "성분 A" 로서 더 잘 알려진 제 1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한다. "성분 B" 로서 더 잘 알려진 제 2 성분은 폴리올이나 폴리올의 혼합물, 표면-활성제, 촉매(들) 및 발포제(들) 를 포함한다.
성분 B 는, 전혼합물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발포제가 불연성인 경우에조차, 가연성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또한, 성분 B 를 포함하는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은 종종 그의 보관 동안에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주제는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365 mfc) 5 내지 74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4 내지 93 중량%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2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365 mfc 8 내지 61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4 내지 46 중량%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365 mfc 14 내지 60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5 내지 40 중량%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한다.
365 mfc 5 내지 25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65 내지 90 중량% 및 245 fa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1 주제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7 ea)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준 측정 조건 (ASTM Standard D 3828) 하에 인화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경화성 중합체 발포체의 제조에서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것들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에 매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 주제는 제 1 주제에 따른 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제이다.
본 발명의 제 3 주제는 폴리올이나 폴리올의 혼합물 및 제 2 주제에 따른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폴리올로서,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폴리에테르폴리올, 예를 들어 알킬렌 옥시드의 축합 또는 알킬렌 옥시드와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축합에 의해 수득되는 것들,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이 있는 폴리카르복실산, 특히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수득되는 것들을 특히 언급할 수 있다.
알킬렌 옥시드, 특히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방향족 아민, 특히 2,4- 및 2,6-톨루엔디아민의 혼합물에의 첨가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3 주제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제 2 주제에 따른 발포제 1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발포제 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365 mfc 8 내지 61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4 내지 46 중량%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로 구성된 발포제 5 내지 35 중량% 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7 ea)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하게 바람직한 조성물은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 100 중량부 당 365 mfc 14 내지 60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5 내지 46 중량% 및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로 구성된 발포제 5 내지 35 중량% 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바람직한 조성물은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7 ea) 을 포함할 수 있다.
365 mfc 5 내지 25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65 내지 90 중량% 및 245 fa 5 내지 20 중량% 로 구성된 발포제 5 내지 35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리하다. 상기 조성물은 227 ea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주제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기타 발포제(들), 표면-활성제 및 하나 이상의 촉매(들)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3 주제에 따른 조성물은 작동 온도 범위 (-30℃ 내지 61℃) 내에서 인화점을 나타내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주제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에 따르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 는 제 2 주제에 따른 발포제의 존재 하에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과 반응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방법은 임의로 전혼합물의 형태로, 본 발명의 제 3 주제에 따른 조성물을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18 개 이하의 탄소 원자일 수 있는 탄화수소성 기가 있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 개 이하의 탄소 원자일 수 있는 탄화수소성 기가 있는 시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성 기가 있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8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지방족 탄화수소성 기가 있는 아릴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 및 2,6-디-이소시아나토톨루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다. 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카르보디이미드기, 우레탄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우레아기 또는 비우레아기를 포함하는 것들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주제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용매, 에어로졸 및/또는 냉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4 가지 발포제 조성물 (테스트 1 - 4) 을 제조하였다. 다음, 각 조성물의 5 중량부를 폴리올 스테판올 PS2412 (폴리에스테르형의 폴리올) 100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어서, 각 혼합물의 인화점을 표준 조건 (ASTM Standard D 3828) 하에 -30℃ 내지 61℃ 의 온도 범위 내에서 결정하였다.
비교로서,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조성물 (테스트 5) 을 제조하였다.
각 테스트의 결과를 하기 표에 열거하였다.
테스트 중량% 로 있는 발포제의 조성 365 mfc/245 fa 비율 인화점 (℃)
365 mfc 트랜스 245 fa
1 33 34 33 1 > 61
2 30 25 45 2/3 > 61
3 30 45 25 1.2 > 61
4 50 25 25 2 > 61
5 70 20 10 7 55

Claims (9)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365 mfc) 5 내지 74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4 내지 93 중량% 및 1,1,1,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245 fa) 2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365 mfc 8 내지 61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4 내지 46 중량% 및 1,1,1,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65 mfc 14 내지 60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25 내지 40 중량% 및 1,1,1,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245 fa) 15 내지 46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365 mfc 5 내지 25 중량%, 트랜스-1,2-디클로로에틸렌 65 내지 90 중량% 및 245 fa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7 e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6 항에 따른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발포체의 제조 방법.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에어로졸 및/또는 냉각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7020644A 2004-04-06 2005-03-16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70015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3591 2004-04-06
FR0403591A FR2868427B1 (fr) 2004-04-06 2004-04-06 Composition non inflammable et son ut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167A true KR20070015167A (ko) 2007-02-01

Family

ID=3494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644A KR20070015167A (ko) 2004-04-06 2005-03-16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732977B1 (ko)
JP (1) JP2007531814A (ko)
KR (1) KR20070015167A (ko)
CN (1) CN1942513A (ko)
AT (1) ATE398646T1 (ko)
DE (1) DE602005007587D1 (ko)
FR (1) FR2868427B1 (ko)
WO (1) WO2005108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234B1 (fr) * 2006-03-31 2017-02-17 Arkema Composition d'agent d'expan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9006A1 (en) * 2001-06-01 2002-1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of hydrofluorocarbons and trans-1,2-dichloroethylene
PL372655A1 (en) * 2002-03-14 2005-07-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7587D1 (de) 2008-07-31
CN1942513A (zh) 2007-04-04
FR2868427A1 (fr) 2005-10-07
ATE398646T1 (de) 2008-07-15
EP1732977B1 (fr) 2008-06-18
JP2007531814A (ja) 2007-11-08
EP1732977A1 (fr) 2006-12-20
WO2005108478A1 (fr) 2005-11-17
FR2868427B1 (fr)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79419B2 (en) Compositions and use of cis-1,1,1,4,4,4-hexafluoro-2-butene foam-forming composition in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based foams
AU2008331468B2 (en) Compositions and use of cis-1,1,1,4,4,4-hexafluoro-2-butene foam-forming composition in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based foams
EP2567994B1 (en) Foam-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azeotrope-like mixture containing z-1,1,1,4,4,4-hexafluoro-2-butene and dimethoxymethane and their uses in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based foams
US20100210747A1 (en) Compositions and use of trans-1,1,1,4,4,4-hexafluoro-2-butene foam-forming composition in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based foams
US4511688A (en) Flame retardant for use in rigid polyurethane foams
MX2007013972A (es) Espumas de poliuretano rigidas de clase 1 de astm e-84 de insuflado con hidrocarburo o fluorohidrocarburo.
JP2019522098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形成組成物、その組成物を使用した低密度フォームの製造方法、そこから形成したフォーム
KR20090012211A (ko) 발포제 조성물
AU2010210806B2 (en) Foam-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cis-1,1,1,4,4,4-hexafluoro-2-butene and 1,1,1,3,3-pentafluoropropane and their uses in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based foams
KR101959644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올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MX2007004404A (es) Espumas rigidas con buenas propiedades de aislamiento y proceso para su produccion.
EP2603559B1 (en) Polyisocyanurate composition
US20230272212A1 (en) Polyol blends and rigid foam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r-values
JP5136750B2 (ja) 断熱材組成物、ポリウレタン発泡断熱材及び断熱施工方法
KR20070004902A (ko) 발포제로 사용할 수 있는 불연성 조성물
EP1344787B1 (de) Flammwidrig eingestellte Hartschaumstoffe
EP1401930B2 (de) Nichtbrennbare polyesterpolyol- und/oder polyetherpolyolvormischung zur herstellung von schaumprodukten
US20080105848A1 (en) Non-Flammabl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070015167A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4340497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006347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593031A (ja) ポリウレタン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の製造法
JP2000063476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7179560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917626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