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344A -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344A
KR20090005344A KR1020087026528A KR20087026528A KR20090005344A KR 20090005344 A KR20090005344 A KR 20090005344A KR 1020087026528 A KR1020087026528 A KR 1020087026528A KR 20087026528 A KR20087026528 A KR 20087026528A KR 20090005344 A KR20090005344 A KR 2009000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pavement
asphalt
electromagnetic induction
pavemen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658B1 (ko
Inventor
겐이치 하라카와
히데토시 하야시다
세이이치 다케우치
고타로 도야마
신스케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그린 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non-powered tools, e.g. 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4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for heating or drying foundation, paving, or materials thereon, e.g. pa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작은 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겨서 블록 모양으로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강판(12)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 하면을 용융시킨다. 그리고 열전도성을 가지고 박리층(70)이 상면에 형성된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60)를, 아스팔트 포장체(22) 하면의 용융된 층(74)에 삽입하고 강판(12)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긴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길 수 있고,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블록 모양으로 취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METHOD FOR REMOVING ASPHALT PAVEMENT, SYSTEM FOR REMOVING ASPHALT PAVEMEN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UNIT, DEVICE FOR REMOVING ASPHALT PAVEMENT, AND METHOD FOR STRIPPING ASPHALT PAVEMENT}
본 발명은, 고주파의 전자유도 코일(電磁誘導 coil)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 도로의 개수공사(改修工事) 등의 경우에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방법으로서, 인력 치핑 공법(人力 chipping 工法)이나 워터 제트 공법(water jet 工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교량 등의 강상판 덱 플레이트(鋼床版 deck plate) 위에 포장된 아스팔트 포장체에 치핑 공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강상판을 손상시키기 쉽고, 큰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작업효율도 극히 낮기 때문에 소규모의 시공에 한정된다.
또한 워터 제트 공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체와 강상판의 경계부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므로, 강상판 상면의 접착층까지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치핑 공법과 마찬가지로 큰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대량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급수나 배수처리를 위한 대형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과 같은 박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발진기(200)로부터 발진(發振)된 마이크로파가, 마이크로파 조사기(202)로부터 아스팔트 노면(204)에 조사(照射)되어, 아스팔트 층(206)의 온도를 높여 연화(軟化)시킨다. 그리고 연화된 아스팔트 층(206)이, 가압 칼날(208)에 의하여 절단 박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층(206)을 벗길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아스팔트 층(206) 전체의 온도를 높여 연화시키는 것이므로, 큰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체가 연화된 아스팔트 층(206)은 철거하는 경우에 다루기 어렵고, 이를 실어내는 작업이 곤란하다. 또한 실어내는 작업시에, 아스팔트 층(206) 속의 골재나 모래 등이 넘쳐 흘러 흩어지므로 청소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2의 가열 박리장치(210)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주파전력이 공급되는 전자유도 코일(212)로부터 교번자계(交番磁界; alternating magnetic field)를 발생시켜, 금속판(214)의 표면에 과전류를 흐 르게 함으로써 금속판(214)을 자기가열(自己加熱)하여, 이 금속판(214) 위의 피막(216)을 가열 박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피막(216)과 같이 0.1∼5.0mm정도의 두께의 것이라면, 가열에 의하여 벗겨져 자연히 박리되지만, 아스팔트 포장체와 같이 두께가 있는 것을 가열만에 의하여 벗기는 것은 어렵다. 전자유도 코일(212)에 많은 고주파전력을 공급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전부가 연화되었다고 하여도, 인용문헌1과 마찬가지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의 취급이 곤란하고, 또한 금속판(214)이 과잉 가열되어 열에 의한 열화(劣化)의 우려도 있다.
인용문헌3의 유도가열 장치(230)는,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맨홀 테두리(220) 내부에 설치된 전자유도 코일(222)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자로부재(磁路部材)로서의 플랜지(224)를 통하여 맨홀 테두리(220) 내부를 통과하는 교번자속이 발생한다. 이 교번자속에 의한 유도전류가 맨홀 테두리(220)에 흐르고, 맨홀 테두리(220)가 쥴 열(joule熱)에 의하여 가열된다. 그리고 이 열에 의하여 구스아스팔트(gussasphalt)(228)를 유동화 시켜, 맨홀 테두리(220)의 외주면과 기설포장(旣設鋪裝)(226)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 내에 구스아스팔트(228)를 충전(充塡)하는 것이다.
그러나 열유동화성(熱流動化性)의 구스아스팔트(228)를 아스팔트 포장체로서 사용하여, 인용문헌2와 같은 가열 박리장치(210)에 의하여 가열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전부가 연화되었다고 하여도, 인용문헌1과 마찬가지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의 취급은 곤란하게 된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303408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67091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98905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관계되는 사실을 고려하여,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작은 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겨서 블록 모양으로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해결수단]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으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공정과,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공정과, 상기 취출공정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동시키는 이동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강판 위에 아스팔트 포장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화층 형성공정에 의하여, 하면이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연화층은,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다.
또한 취출공정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을 이 연화층과 접촉하는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또한 이동공정에 의하여, 취출공정에 의하여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에 의하여,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가 강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므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연화층 이외의 아스팔트 포장체는 고화상태에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덩어리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힐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가열 되는 것은 강판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강판부근에 연화층을 형성시키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연화층의 온도를 55도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연화층의 온도를 55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기에 적당한 점도의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한,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1커팅 라인 공정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제1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진다.
따라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반송차량 등으로의 짐싣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협지장치에 의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경우에, 확실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1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1커팅 라인이,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2커팅 라인 공정에 의하여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제2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2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2커팅 라인이, 강판 또는 강판 위에 형성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리거나 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취출공정에 있어서, 지지수단으로 지지한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거나 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한다. 그리고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낼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도록 누름 부재를 대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구부림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취출공정에 있어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도록 누름 부재를 댄다. 그리고 이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구부리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작업에 의하여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구부림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취출공정에 있어서, 지지수단으로 지지한 아스팔트 포장체를 구부림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한다. 그리고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제2커팅 라인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를 구부릴 수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강판과 상기 연화층의 사이 또는 상기 연화층에 삽입하는 박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하방향에서 잡는 상하 협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지지수단이,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하방향에서 잡는 상하 협지 장치이다. 또한 이 상하 협지 장치는, 강판과 연화층과의 사이 또는 연화층에 삽입하는 박리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흡인하여 지지하는 흡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지지수단으로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흡인하여 지지하는 흡인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협지장치보다 짧은 시간에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속도가 빨라진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측방 협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지지수단으로서,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측방 협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표면을 클로 부재로 잡는 파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지지수단으로서, 아스팔트 포장체의 표면을 클로 부재로 잡는 파지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협지장치보다 짧은 시간에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속도가 빨라진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하는 계측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팅 라인 및 상기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계측공정에 의하여 계측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계측공정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한다. 그리고 제1커팅 라인 및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계측공정에 의하여 계측된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취출공정에 있어서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송공정에 의하여 취출공정에서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한다.
따라서 취출공정에서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철거할 수 있다.
또한 취출공정에서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철거하기 전의 아스팔트 포장체 위에, 아스팔트 덩어리를 적재하는 반송차량 등을 배치하게 되므로, 반송차량 등의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반송차량 등의 교체작업이 아스팔트 포장체의 취출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으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장치와,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장치와, 상기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이, 연화층 형성장치, 취출장치 및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한다.
또한 연화층 형성장치는,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한다. 이에 따라 하면이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또한 취출장치는,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을 이 연화층과 접촉하는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또한 이송장치는,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가 강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므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연화층 이외의 아스팔트 포장체는 고화상태에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덩어리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가열 되는 것은 강판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강판부근에 연화층을 형성시키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한,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1커팅 라인 장치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이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다. 제1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한다.
또한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진다.
따라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반송차량 등으로의 짐싣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협지장치에 의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경우에, 확실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1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1커팅 라인이,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2커팅 라인 장치에 의하여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이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다. 제2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소정의 크기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2커팅 라인은,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제2커팅 라인이, 강판 또는 강판 상에 형성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할 수 있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하는 계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커팅 라인 및 상기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계측장치에 의하여 계측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계측장치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한다. 그리고 제1커팅 라인 및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계측장치에 의하여 계측된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강판 또는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로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 측에, 상기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제1그룹과,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보아 상기 진행방향과 반대측에, 상기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제2그룹과,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상기 제1그룹의 상기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각각의 중심이 상기 제2그룹의 인접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에 의하여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한다. 그리고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가,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한다. 이에 따라 하면이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는,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이 나란하게 설치된 제1그룹과,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이 나란하게 설치된 제2그룹과, 이러한 제1그룹과 제2그룹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그룹은,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 측에, 이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이다.
제2그룹은, 제1그룹으로부터 보아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과 반대측에, 이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이다.
그리고 제1그룹의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의 인접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프레임 부재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그룹 및 제2그룹의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의 전체 면을 가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를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자유도가열 하는 경우, 전자유도 코일 중심부근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에는 과전류가 충분하게 흐르지 않으므로, 이 부분의 가열이 약해진다. 그러나 제1그룹을 구성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을 구성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프레임 부재에 배치함으로써, 전방의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에 의하여 충분하게 가열할 수 없었던 강판의 부분은, 그 후에 후방의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에 의하여 가열되므로, 강판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그룹은 2개 이상의 전자유도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보다 하나 많은 전자유도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전자유도 코일로 제1그룹이 구성되고,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보다 하나 많은 전자유도 코일로 제2그룹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그룹을 구성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을 구성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제1그룹 및 제2그룹을 프레임 부재에 배치함으로써, 전자유도 코일을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자유도가열 하는 경우에, 강판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진행방향의 전방에 있는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보다 진행방향의 후방에 있는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의 수가 많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직전까지 강판의 더 많은 면적을 강하게 가열할 수 있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장치와,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장치와, 상기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연화층 형성장치, 상기 취출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가 탑재된 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동체에, 연화층 형성장치, 취출장치 및 이송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한다.
또한 연화층 형성장치는,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한다. 이에 따라 하면이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한다.
또한 취출장치는,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을 이 연화층과 접촉하는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낸다.
또한 이송장치는,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가 강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므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연화층 이외의 아스팔트 포장체는 고화상태에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덩어리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가열 되는 것은 강판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강판부근에 연화층을 형성시키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낼 수 있다.
또한 연화층 형성장치, 취출장치 및 이송장치를 이동체에 탑재함으로써 각 장치의 설치 및 철거의 작업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21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커팅 라인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분할공정과,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강판을 가열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시키는 용융공정과, 열전도성을 가지고, 용융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이 부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박리층이 상면에 형성된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삽입하는 박리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커팅 라인이,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다. 또한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전자유도 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우선,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면, 전자유도에 의한 과전류가 강판에 발생하고, 강판이 가지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그리고 가열된 강판과 접촉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이 용융된다.
다음에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삽입하여 강판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긴다. 용융된 층은, 단시간에 국소적으로 가열된 것이므로, 전체의 열량은 작다. 따라서 열전도성을 가지는 박리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면,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 간다. 이 때, 박리부재의 상면에는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온도가 내려 갈 때에,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이 박리부재에 붙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박리작업 시작시의 상태로서, 박리부재를 강판 위에 배치하는 공간 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겨 두면, 이후의 박리작업은, 전자유도 코일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시키고, 이 용융된 층에 박리부재를 삽입하는 것 뿐이므로,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길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이 가열하는 것은 강판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만이 용융되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길 수 있다.
또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는 연화되어 있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에 있어서도 박리부재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 간다. 또한 박리층에 의하여, 온도의 하강시에 아스팔트 포장체가 박리부재에 붙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를 블록 모양으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철거작업 등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2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박리층은, 불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21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과 아울러, 내마모성, 내열성을 가지는 불소수지를 박리층에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박리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2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박리층은, 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저렴하고 용이한 방법에 의하여 청구항21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24에 기재된 발명은,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커팅 라인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분할공정과,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강판을 가열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하는 용융공정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삽입하는 박리공정과, 상기 박리부재에 설치된 분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박리부재에 달라붙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기 박리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커팅 라인이,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된다. 또한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전자유도 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우선,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면, 전자유도에 의한 과전류가 강판에 발생하고, 강판이 가지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그리고 가열된 강판과 접촉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이 용융된다.
다음에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삽입하여 강판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긴다. 용융된 층은, 단시간에 국소적으로 가열된 것이므로, 전체의 열량은 작다. 따라서 열전도성을 가지는 박리부재의 상면과 접촉하면,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간다. 이 때,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면이 박리부재에 붙는다.
다음에 소정의 장소에서, 분리수단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박리부재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박리작업 시작시의 상태로서, 박리부재를 강판 위에 배치하는 공간 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겨 두면, 이후의 박리작업은, 전자유도 코일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하고 이 용융된 층에 박리부재를 삽입하는 것 뿐이므로,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길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이 가열하는 것은 강판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만이 용융하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길 수 있다.
또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는 연화되어 있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에 있어서도 박리부재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간다. 따라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를 블록 모양으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철거작업 등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부재에 대한 부착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부재로부터의 분리를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의 철거작업 등에 있어서, 박리부재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박리부재의 상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박리부재의 상면을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하여 박리부재에 달라붙은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다시 용융시킨다. 이에 따라 박리부재와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접착력이 약해져 아스팔트 포장체를 박리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한 분리수단을 사용하여 청구항2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2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박리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압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박리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압출수단에 의하여 박리부재에 달라붙은 아스팔트 포장체를 밀어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박리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면을 다시 용융시키지 않고, 청구항2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작은 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겨서 블록 모양으로 취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코일 유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코일 유니트의 판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리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리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리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종래의 아스팔트 노면의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14는 종래의 가열박리장치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15는 종래의 유도가열장치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제1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지지수단을 나타 내는 설명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아스팔트 포장체의 깊이에 대한 온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아스팔트 포장체의 깊이 에 대한 온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험체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강판
22 아스팔트 포장체
32 코일 유니트(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36 전자유도 코일
60 리퍼(박리부재)
64 백호우(취출장치)
70 테플론(등록상표)(불소수지, 박리층)
72 커팅 라인
74 용융층(용융한 층)
76 리퍼(박리부재)
78 히터(가열수단, 분리수단)
82 리퍼(박리부재)
90 테플론(등록상표)(불소수지, 박리층)
126 리퍼(박리부재)
130 리퍼(박리부재)
250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252 진행방향
256 아스팔트 덩어리
258 제1커팅 라인
260 커팅 라인 장치(제1커팅 라인 장치, 제2커팅 라인 장치)
274 계측장치
276 첨접판(부속물)
278 볼트(부속물)
280A, 280B 벨트 컨베이어(이송장치)
290 협지 부재(제2커팅 라인 장치)
292 상하 협지 장치(지지수단, 취출장치)
296 액추에이터(제2커팅 라인 장치)
298 칼날(제2커팅 라인 장치)
302 연화층
304 누름 부재
308 흡인장치(지지수단, 취출장치)
310 파지장치(지지수단, 취출장치)
312 측방 협지 장치(지지수단, 취출장치)
314 클로 부재
318 제2커팅 라인
320 제2커팅 라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의 강상판 덱 플레이트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유도 코일의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가능한 강판위로 아스팔트 포장체가 설치된 구조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구스아스팔트(gussasphalt)(14)와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16)가 적층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전자유도 코일에 의하여 하면(下面)이 용융되는 여러 가지 구성의 아스팔트 포장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두께를 12mm라고 하였지만, 여러 가지 두께의 강판에 적용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설 비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량의 강상판 덱 플레이트의 상부부재가 되는 두께 12mm의 강판(12) 위에,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성하는 두께 35mm의 구스아스팔트(14)와 두께 40mm의 아스팔트 콘크리트(16)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16) 위에는, 10톤(ton)의 덤프 트럭(18)이 놓여 있다. 이 덤프 트럭(18)의 전진방향이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박리방향(20)이 된다.
본 발명은, 강판(12)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겨 아스팔트 블록(24)으로서 꺼내는 것이지만, 이후, 박리방향(20)을 세로방향, 박리방향(20)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가로방향으로 기재한다. 또한 도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블록(24)의 세로방향의 길이를 아스팔트 블록 길이(L1)라고 하고 아스팔트 블록(24)의 가로방향의 길이를 아스팔트 블록 폭(L2)이라고 한다.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에는, 미리, 소정의 아스팔트 블록 폭(L2)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분할하는 커팅 라인(72)이 커팅 블레이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통, 도로폭은 한 쪽이 3,500mm정도이므로, 예를 들면 아스팔트 블록 폭(L2)을 1,000∼1,800mm, 아스팔트 블록 길이(L1)를 600∼1,200mm로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2∼3분할하도록 커팅 라인(72)을 형성하면 된다. 도7(A) 에는 아스팔트 포장체(22)를 3개의 레인(30A, 30B, 30C)으로 분할한 예가 나타나 있다.
커팅 블레이드에 의한 커팅 라인(72)은 강판(12)에 닿는 깊이로 할 필요는 없고, 80% 정도의 깊이면 된다. 이에 따라 강판(12)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커팅 블레이드는,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커팅 라인(7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아, 회전 톱니가 있는 둥근 톱이나 아스팔트를 녹이면서 잘라 가는 가압 칼날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덤프 트럭(18) 후방의 아스팔트 콘크리트(16) 상면에는, 코일 유니트(32)가 놓여 있다. 도2(B)의 코일 유니트(32)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RP제의 상자 모양의 프레임 부재(34) 내의 후방에는 3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이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늘어서고, 전방에는 2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이 후방의 전자유도 코일(36)의 배치에 대하여 대략 반 코일 정도의 거리를 비켜 놓고 가로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도2(B)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인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34)의 바닥(34A) 위에는, 전자유도 코일(36)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4)의 바닥(34A)은, 전자유도 코일(36)의 커버부재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어, 사용시의 전자유도 코일(3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방법으로서, 프레임 부재(34)가 대향하는 내벽 사이를 걸쳐서 설치된 수평재의 하면에, 페라이트(ferrite)(38) 및 전자유도 코 일(36)의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페라이트(38) 및 전자유도 코일(36)을 수평재에 고정하더라도 좋다.
전자유도 코일(36)의 상면에는, 페라이트(38)가 전자유도 코일(36)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놓여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페라이트(38)가 전자유도 코일(36)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였지만, 전자유도 코일(36)의 상면,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전자유도 코일(36)의 상면,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전부를 덮도록 하여도 좋다.
프레임 부재(34)의 연직방향의 중간층에는, 도3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페라이트(38)와 대략 같은 두께의 판재(40)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판재(40)에는, 페라이트(38)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절취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취부(41)에 페라이트(38)를 위치시킴으로써 소정의 위치로부터 페라이트(38)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없다.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한 가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을 가능한 한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하여,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H)는 100mm로 되어 있다. 즉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과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 사이에는, 25mm의 간격이 있다.
프레임 부재(34)의 천장부(34B)는, 떼어낼 수 있는 FRP제의 커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자유도 코일(36)이 고온상태인 경우, 작업자 등이 이 전자유도 코일(3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프레임 부재(34)의 외부로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부(34B)을 떼어냄으로써 전자유도 코일(36)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34)의 네 구석 부근에는, 바퀴(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유니트(32)는,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프레임 부재(34)의 재료를 FRP라고 하였지만, 절연성을 가지고, 전자유도 코일(36) 및 페라이트(38)의 설치가 가능한, 상자체(箱子體)로서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이면 좋아, 합성수지 패널재(合成樹脂 panel材)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제1실시예에서는 보강재(43, 45)에 의하여 프레임 부재(34)의 강성을 더 높이고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34)의 천장부(34B)는, 절연성을 가지고 열전도율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도2(B)에는, 천장부(34B), 판재(40), 보강재(43) 등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덤프 트럭(18)의 짐받이에는, 전기 케이블(58)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는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와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의 전원이 되는 발전기(48)가 탑재되어 있다.
덤프 트럭(18)의 짐받이 후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주(50)가 고 정되어 있고, 그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연결부(52)와 코일 유니트(32)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부(54)가 견인 와이어(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유니트(32) 후방의 강판(12) 위에는, 박리부재가 되는 리퍼(ripper)(60)가 암(arm)(62)의 선단에 부착된 소선회형(小旋回型)의 백호우(backhoe)(64)가 놓여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퍼(60)는, 열전도성을 가지는 쐐기 모양의 베이스 부재(66)의 상면에 끝이 뾰족한 철로 만든 클로 부재(68)가 교환 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서, 이 클로 부재(68)의 상면에는 테플론(Teflon)(등록상표)(70)이 코팅되어 있다. 또한 리퍼(60)의 가로방향의 폭은, 아스팔트 블록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열전도성을 가지는 쐐기 모양의 베이스 부재(66)는, 용융된 아스팔트 포장체(22) 하면의 열이 이 베이스 부재(66)에 전달되어 발산되는 것이고, 아울러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박리작업에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 재료이면 좋으므로, 강재(鋼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플론(등록상표)(70)은, 내마모성,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에, 장기간 리퍼(6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로 부재(68)는 교환 가능하므로, 장시간의 박리작업에 의하여 클로 부재(68)의 끝이 둥글게 되어버리거나, 테플론(등록상표)(70)이 벗겨져 버렸을 경우에 있어서도, 새로운 클로 부재(68)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클로 부재(68)를 떼어내서 선단부분을 재정형(再整形) 하거나, 테플론(등록상표)(70)의 코팅을 다시 하여 재사용할 수 있 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박리작업을 시작할 때에는, 백호우(64) 및 리퍼(60)를 강판(12) 위에 배치하는 공간 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겨서 제거한 상태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7에는 덤프 트럭(18) 및 코일 유니트(32)가 생략되어 있다.
우선,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아스팔트 블록 폭(L2)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분할하는 커팅 라인(72)을 커팅 블레이드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체(22)는, 3개의 레인(30A, 30B, 30C)으로 분할된다.
다음에 최초로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영역(B, C)에 코일 유니트(32)를 1대씩 싣는다. 제1실시예에서는 백호우(64) 전방의 레인(30A, 30B)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교대로 벗겨 가므로, 2대의 코일 유니트(32)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1대의 덤프 트럭(18)으로 견인한다.
우선, 영역(B, C)에 있는 코일 유니트(32)의 전자유도 코일(36)에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로부터 전기 케이블(58)을 통하여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면, 코일 유니트(32)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12)에 전자유도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하고, 강판(12)이 가지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그리고 가열된 강판(12)과 접촉하는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용융하 여 용융층(74)이 형성된다.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은, 구스아스팔트(14) 하면만이 용융하는 온도로 강판(12)이 가열되도록 조정한다.
강판(12)의 온도가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용융점보다 지나치게 낮으면 잘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강판(12)의 온도가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용융점보다 지나치게 높으면 아스팔트 포장체(22) 전체가 연화되어버려 블록 모양으로 취급할 수 없어지고, 또한 강판(12)이 변형되어버릴 우려도 있다.
구스아스팔트(14)는, 보통, 80도 정도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80도보다 조금 높은 온도로 강판(12)이 가열되도록 고주파전력을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열 시작과 함께, 덤프 트럭(18)을 전진시켜서 코일 유니트(32)를 견인하고, 박리방향(20)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코일 유니트(32)의 이동 스피드는, 코일 유니트(32)의 가열능력이나 박리작업의 시공 속도에 따라 적당하게 정한다.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유도 코일(36)은,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므로, 영역(B, C)의 강판(12) 전체 면을 가열할 수 있다.
전자유도 코일(36) 중심부근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12)에는, 과전류가 충분하게 흐르지 않으므로, 이 부분의 가열이 약해지지만, 전방의 2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이 후방의 전자유도 코일(36)의 배치에 대하여 대략 반 코일 정도의 거리를 비켜 놓고 가로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따라서 코일 유니트(32)가 박리방향(20)으로 이동하면, 전방의 2개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충분하게 가열할 수 없었던 강판(12)의 부분은, 그 후에 후방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가열되므로, 영역(B, C)의 강판(12)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38)가 전자유도 코일(36)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전자유도 코일(36) 주위의 자기회로저항이 작아지므로, 과전류를 효율적으로 강판(12)에 흐르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용융되면, 즉시 영역(B)의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용융층(74)에 리퍼(60)를 삽입하여 강판(12)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긴다.
다음에 리퍼(60)의 밑부분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들어 올려지지 않는 아스팔트 포장체(22)는, 자체 중량 및 강판(12)과의 접착력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아스팔트 포장체(22)를 하방으로 되돌리려고 하기 때문에 리퍼(60)의 선단부근에 전단력(剪斷力)이 발생하여, 하방으로부터 균열이 생긴다.
그리고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들어 올려진 아스팔트 포장체(22)가 들어 올려지지 않은 아스팔트 포장체(22)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때 까지, 리퍼(60)를 수평으로 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레인(30A)으로부터 아스팔트 블록(24)이 꺼내진다.
용융층(74)은, 단시간에 국소적으로 가열된 것이므로, 전체의 열량은 작다. 따라서 열전도성을 가지는 리퍼(60)의 상면과 접촉하면,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구스아스팔트의 경우에는 보통 70도 정도)까지 내려간다. 이 때, 리퍼(60)의 상면에는 테플론(등록상표)(70)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아스팔트 블록(24) 하면의 온도가 내려 갈 때에, 아스팔트 블록(24) 하면이 리퍼(60)에 붙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도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블록(24)이 리퍼(6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리퍼(60)의 선단을 조금 올린 상태에서 리퍼(60)를 더 상방으로 들어 올리고, 암(62)을 레인(30C)의 상방까지 10∼30도 정도 선회시킨다. 아스팔트 블록(24)이 리퍼(6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예를 들면 아스팔트 블록(24)을 상하에서 잡는 장치 등과 같은 낙하방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시공상, 안전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6(E),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인(30C) 상면에 아스팔트 블록(24)을 천천히 떨어뜨려 임시로 놓는다. 임시로 놓인 아스팔트 블록(24)은, 별도로 준비된 짐을 싣는 기계에 의하여 덤프 트럭 등에 실린다. 이 싣기작업은, 박리작업과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도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인(30B) 상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가열된 영역(C)의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용융층(74)에 리퍼(60)를 삽입하여 강판(12)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긴다. 그리고 지금까지 말한 도5(A)∼(C)의 순서를 반복하여 레인(30A, 30B)의 아스팔 트 포장체(22)를 교대로 벗긴다.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22)가 없어지면, 도7(D)∼(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코일 유니트(32)를 레인(30C) 상에 놓고, 덤프 트럭(18)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레인(30A, 30B)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인(30C)의 모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박리작업 시작시의 상태로서 백호우(64) 및 리퍼(60)를 강판(12) 위에 배치하는 공간 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겨서 제거해 두면, 이후의 작업은,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을 용융하고, 이 용융층(74)에 리퍼(60)를 삽입하는 것 뿐이므로,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치핑 공법(chipping technique)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길 수 있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36)이 가열하는 것은 강판(12)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구스아스팔트(14) 하면만이 용융하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길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는 연화되지 않고, 구스아스팔트(14) 하면에 있어서도 리퍼(60)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까지 내려 간다. 또한 테플론(등록상표)(70)에 의하여 온도의 하강시에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리퍼(60)에 붙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블록 모양의 아스팔트 블록(24)으로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철거작업 등이 용이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레인(30C) 상면에 아스팔트 블록(24)을 임시로 놓지만, 백호우(64)의 암(62)을 180도 선회시켜 백호우(64)의 후방에 임시로 놓더라도 좋다.
또한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형성된 박리층을 테플론(등록상표)(70)으로 하였지만, 온도의 하강시에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리퍼(60)에 붙지 않는 것이면 좋아, 폴리이미드 수지,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변성 불소수지, 나일론, 폴리에틸렌, 염화 비닐, 테플론(등록상표) 수지나, 듀라콘(Duracon)(등록상표), MC나일론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이러한 수지와, 유리섬유, 카본파이버(carbon fiber) 또는 아라미드 섬유 등과의 복합재료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수지는, 내마모성,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에 장기간 리퍼(60)를 사용할 수 있다. 내열성에 대해서는, 구스아스팔트(14)의 용융온도가 80도 정도이므로, 120도 정도까지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내마모성, 내열성에 우수한 테플론(등록상표)(70)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간단하게 박리층을 형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박리층으로서 경유(輕油), 네파란(NEPPARAN)(등록상표) 등의 기름을 사용하여 클로 부재(68)의 상면을 도포하거나, 모래 등을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뿌려도 좋다. 네파란은, 아스팔트 합재(asphalt 合材)의 부착 방지제로서, 경유보다 높은 박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네파란W는, 광물계 유지(鑛物系 油脂), 계면활성제 및 상수(上水)를 성분으로 한 것이고, 네파란/에코W는, 식물유, 계면활성제, 수용성용제, 유용성 용제 및 상수를 성분으로 한 것이다.
또한 리퍼(60)를 빗 모양으로 하면, 용융된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리퍼(60)에 더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설비구성 및 시공순서와,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리퍼(6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66)의 상면에 부착된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테플론(등록상표)(70)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같은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적당하게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퍼(76)는, 열전도성을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쐐기 모양의 베이스 부재(66)의 상면에 끝이 뾰족한 철로 만든 클로 부재(68)가 교환 가능하게 부착된 것이다. 또한 리퍼(76)의 가로방향의 폭은, 아스팔트 블록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클로 부재(68)는 교환 가능하므로, 장시간의 박리작업에 의하여 클로 부재(68)의 끝이 둥글게 되어버렸을 경우에 있어서도, 새로운 클로 부재(68)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클로 부재(68)를 떼어내고 선단부분을 재정형 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수단이 되는 히터(78)가 베이스 부재(66)에 내장되어 있다. 이 히터(78)는, 전기 2중층 콘덴서(電氣 2重層 condenser)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클로 부재(68)를 순간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도5(A)∼(C)의 순차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벗겨서 아스팔트 블록(24)을 꺼내지만, 도5(C)에서 아스팔트 블록(24) 하면의 온도가 내려갈 때에, 아스팔트 블록(24) 하면이 리퍼(76)에 붙는다.
따라서 도6(D)에 있어서, 암(62)을 레인(30C)의 상방까지 10∼30도 정도 선회시킬 때에, 아스팔트 블록(24)이 리퍼(76)로부터 떨어질 염려가 없다.
그리고 도6(E)의 시점에, 순간적으로 클로 부재(68)를 히터(78)에 의하여 가열하여, 아스팔트 블록(24) 하면과 클로 부재(68) 상면의 접착력을 약하게 하여, 리퍼(76)로부터 아스팔트 블록(24)을 떼어낸다. 이 때, 용융된 아스팔트의 부착 방지 처리가 표면에 실시된 시트나 각재 등의 위에 아스팔트 블록(24)을 임시로 놓는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아스팔트 블록(24)의 리퍼(76)에 대한 부착 및 아스팔트 블록(24)의 리퍼(76)로부터의 분리를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꺼내어진 아스팔트 블록(24)의 철거작업 등에 있어서, 아스팔트 블록(24)이 리퍼(76)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에서는 클로 부재(68)를 히터(78)에 의하여 가열하여 리퍼(76)로부터 아스팔트 블록(24)을 떼어내었지만, 아스팔트 블록(24) 하면과 클로 부재(68) 상면의 접착력을 약하게 하는 정도의 가열을 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전기 2중층 콘덴서를 전원으로 하면, 히터(78)는 순간적으로 클로 부재(68)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피에조 소자(piezo 素子)를 설치하거나, 유압 잭(油壓 jack)이나 전기 모터를 사용한 기구에 의하여 아스팔트 블록(24)을 물리적으로 밀도록 하여 분리를 하더라도 좋다. 피에조 소자는, 동작 리스판스,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스트로크가 모자라는 경우에는, 피에조 소자를 복수의 구조로 사용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설비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리퍼(60)와 동일한 박리부재를 스스로 움직이는 대차(臺車)(80)의 선단에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적당하게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느슨한 비탈을 가진 산 모양으로 되어 있는 대차(80)가, 강판(12) 위에 놓여 있다. 대차(80)의 주행장치로서, 전기 또는 내연기관을 동력으로 하는 캐터필러(caterpillar)(등록상표)(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터필러(등록상표)(84)는 고무제이므로, 뒤에 설명하는 리퍼(82)를 용융층(74)에 삽입할 때에 충분한 수평방향의 반력(反力)을 얻을 수 있다.
대차(80)의 선단에는, 리퍼(82)가 설치되어 있고, 제1실시예의 리퍼(60)와 동일한 재료인 베이스 부재(86), 클로 부재(88), 테플론(등록상표)(90)으로 구성되고, 리퍼(82)의 가로방향의 폭은, 아스팔트 블록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리퍼(82)의 선단은, 유압 실린더(96)를 신축시킴으로써 상하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용융층(74)의 적절한 위치에 리퍼(82)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박리작업 이외에 이동할 때에는, 리퍼(82)의 선단을 올려 두면, 대차(80)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대차(80)의 상면의 산 모양을 따르도록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92)가 설치되어 있고, 화살표(94)의 방향으로 움직여 도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아스팔트 블록(24)을 반송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최초에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22) 상의 영역(B)에 코일 유니트(32)를 1대 싣고, 이것을 1대의 덤프 트럭(18)으로 견인한다. 즉 1개의 레인씩 박리작업을 한다.
우선,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을 용융시키고, 즉시 대차(80)를 박리방향(20)으로 주 행시켜, 용융층(74)에 리퍼(82)를 삽입한다.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리퍼(82)의 상면과 접촉하면, 단시간에 재부착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구스아스팔트의 경우에는 보통 70도 정도)까지 내려간다. 이 때, 리퍼(82)의 상면에는 테플론(등록상표)(90)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온도가 내려 갈 때에,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이 리퍼(82)에 붙는 경우가 없다.
또한 벗겨진 아스팔트 포장체(22)는, 리퍼(82)의 상면의 경사를 따르도록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리퍼(82)의 선단의 상방에 위치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상면부근이 꺾여 구부러지는 상태가 되어 리퍼(82)의 선단부근에 균열이 발생한다.
다음에 벗겨진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우단 하부는, 벨트 컨베이어(92)에 걸리므로, 화살표(98)의 방향으로 올려진다. 이에 따라 벗겨진 아스팔트 포장체(22)는 완전하게 분리되어 아스팔트 블록(24)으로서 꺼낼 수 있다.
다음에 꺼내진 아스팔트 블록(24)은, 벨트 컨베이어(92)에 의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반송되고, 대차(80) 후방의 강판(12) 위에 순차적으로 놓여진다. 대차(80) 상면 및 벨트 컨베이어(92)의 하행하는 비탈은 완만하므로, 강판(12) 위로 부드럽게 놓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 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박리가 끝난 대차(80) 후방의 강판(12) 위에 아스팔트 블록을 임시로 놓기 때문에 박리작업이 모두 끝난 후에, 아스팔트 블록(24)의 덤프 트럭 등으로 싣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레인(30A, 30B, 30C)에 대차(80)를 각각 배치하고 동시에 박리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백호우(64)의 선회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제1실시예보다 연속적인 박리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벨트 컨베이어(92)에 의하여, 벗겨진 아스팔트 포장체(22)를 화살표(98) 방향으로 올려서 벗겨진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분리하였지만,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퍼(82)의 선단을 상방으로 올려서 분리하더라도 좋다.
또한 대차(80) 및 리퍼(82)의 가로방향의 폭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아스팔트 블록 폭(L2)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캐터필러(등록상표)(84)에 의한 대차(80)의 주행조작은, 대차(80)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control box)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더라도 좋고, 원격조작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바퀴식으로 하여 대차(80)를 덤프 트럭(18)으로 견인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설비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커팅 블레이드, 코일 유니트(32), 리퍼(60)를 1대의 자동차에 일체화하여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적당하게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강판(12)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아스팔트 콘크리트(16) 위에는, 밴 타입의 자동차(100)가 놓여 있다. 또한 자동차(100) 내에는,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 발전기(48)가 탑재되어 있다.
자동차(100)의 중앙부근에는,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커팅 라인(72)을 형성하는 둥근 톱 타입의 커팅 블레이드(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팅 블레이드(102)는, 자동차(100)의 차체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커팅 라인(72)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커팅 블레이드(102) 후방의 차체 섀시(chassis) 하면에는, 코일 유니트(104)가 고정되어 있다. 코일 유니트(104)는, 제1실시예의 코일 유니트(32)에 바퀴(4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자동차(100)의 차체 후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칼날(106)이 설치되어 있고, 칼날(106)의 선단은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100)의 차체 후부의 상방에는, 화살표(112, 114)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108)가 설치되고, 차체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부재(108)는, 화살표(116, 118)의 전후방향으로 신축하기 때문에 지지부재(108)의 후단부에 설치된 핀(11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암 부재(arm部材)(120)의 상단부가, 핀(110)을 통하여 지지부재(108)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암 부재(120)가 화살표(122, 124)의 원주방향으로 선회한다.
암 부재(120)의 하단부에는, 리퍼(126)가 부착되어 있다. 리퍼(126)는, 제1실시예의 리퍼(60)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을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쐐기 모양의 베이스 부재(128)의 상면에 철로 만든 클로 부재(68)가 부착되고, 이 클로 부재의 상면에 테플론(등록상표)(70)이 코팅된 것이다. 리퍼(126)의 가로방향의 폭은, 아스팔트 블록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클로 부재(68)의 선단이 차체로 향하도록 암 부재(12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화살표(122)방향으로의 선회에 의하여 리퍼(126)를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의 용융층(74)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아스팔트 블록 폭(L2)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분할하는 커팅 라인(72)을 커팅 블레이드(102)에 의하여 형성한다.
다음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블록 폭(L2)으로 분할된 구스아스팔트(14) 하면을 용융시키고, 즉시 암(120)을 화살표(122)의 원 주방향으로 선회시켜, 용융층(74)에 리퍼(126)를 삽입하여 강판(12)으로부터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벗긴다. 상하방향의 삽입위치의 조정은, 지지부재(108)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한다.
다음에 리퍼(126)의 삽입에 의하여 리퍼(126) 선단부근의 아스팔트 포장체(22) 하부로부터 균열이 형성된다. 이 때, 리퍼(126)를 상방으로 올리면, 균열의 상방에 위치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상면이 칼날(106)에 닿아서 절단되어, 아스팔트 블록(24)으로서 꺼낼 수 있다.
다음에 지지부재(108)를 화살표(118)의 방향으로 신장시켜, 리퍼(126)가 아스팔트 블록(24)을 들어 올린 상태 그대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한 후, 화살표(124) 방향으로 암(120)을 선회시켜, 아스팔트 블록(24)을 강판(12) 위에 부드럽게 놓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모든 설비를 일체화 함으로써, 우수한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리퍼(126)를 제1실시예의 리퍼(6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2실시예의 리퍼(76)와 같은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제1∼제4실시예에서는 리퍼(60, 76, 82, 126)의 베이스 부재(66, 86, 128)를 열전도성을 가지는 부재라고 하였지만, 보다 큰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냉각 핀이나 냉각 팬을 리퍼의 뒷편에 설치함으로써, 용융된 아스팔트 블록(24) 하면의 냉각을 빠르게 하여, 시공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
클로 부재(68, 88)를 철제로 하였지만, 선단부가 둥글게 되기 어려운 경질재료로서, 내열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는 부재이면 된다.
또한 리퍼(60, 76, 82, 126)를 쐐기 모양이라고 하였지만, 적어도 리퍼의 선단부가 예리하면 되어,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두께의 부재의 선단부만이 칼날 모양으로 되어 있는 리퍼(130)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리퍼(60, 76, 82, 126)의 용융층(74)으로의 삽입을 쉽게 하기 위하여, 클로 부재(68, 88)의 선단부분을 진동시켜도 좋다.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면, 강판을 손상시키거나,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 우려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퍼(60, 76, 82, 126)의 상면의 비탈을 크게 하면, 리퍼를 용융층(74)에 삽입했을 때에 아스팔트 포장체(22)에 균열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벗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분리할 때에, 쐐기 모양의 칼날을 위로부터 대서 절단하거나, 미리 커팅 블레이드로 커팅 라인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36)의 사양(코일 심선의 단면지름, 코일의 지름, 코일의 권수 등)은, 대상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나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온도 에 따라 적당하게 정하면 된다.
코일 심선의 단면지름이나 코일의 지름을 크게 또는 코일의 권수를 많게 하는 편이 전자유도 코일(36)의 강판(12)에 대한 가열능력이 올라간다. 또한 코일 심선에 리츠선(litz線)을 사용하거나, 전자유도 코일(36)을 냉각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코일 유니트(32, 104)에 전자유도 코일(36)의 설치 높이를 조정하는 기구를 설치하면, 전자유도 코일(36)의 설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강판(12)에 대한 가열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유니트(32)가, 덤프 트럭(18)에 의하여 견인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덤프 트럭 이외의 차량으로 견인하더라도 좋고, 코일 유니트(32)를 스스로 움직이는 형태로 하거나, 덤프 트럭(18)의 섀시 하면에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코일 유니트(32, 104) 내에 전자유도 코일(36)을 가로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이동 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전자유도 코일(36)의 수를 줄여도 좋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아스팔트 블록 폭(L2)에 대한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7에서는, 2개의 코일 유니트(32)를 가로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영역(B, C)의 강판(12)을 동시에 가열하였지만, 2개의 코일 유니트(32)를 박리방향(20)으로 비켜 놓아 연결하여 영역(B)의 코일 유니트(32)가 영역(C)의 코일 유니트(32)에 선행하여 이동하도록 덤프 트럭(18)에 의하여 잡아 당기면, 레인(30A, 30B) 모두, 보다 더 가열 직후의 용융층(74)에 리퍼(60, 76)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30A, 30B의 각 레인에 덤프 트럭(18) 및 코일 유니트(32)를 1대씩 배치하고, 각각의 코일 유니트(32)를 견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1∼제4실시예에서는 리퍼(60, 76, 82, 126)의 폭을 아스팔트 블록 폭(L2)보다 작게 하였지만, 가변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호우(64)의 암(62)의 선단에 리퍼(60, 76)를 부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퍼(60, 76)를 부착할 수 있고, 선회하는 암을 구비한 차량이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및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250)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교량의 강상판 덱 플레이트의 상부부재가 되는 두께 12mm의 강판(12) 위에,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성하는 두께 35mm의 구스아스팔트(14)와 두께 40mm의 아스팔트 콘크리트(16)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16) 위에는, 반송차량으로서 10톤의 덤프 트럭(254)이 놓여 있다. 즉 뒤에 설명하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내는 위치(R)보다 덤프 트럭(254)의 전진방향의 전방에 덤프 트럭(254)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5실시예에서는 이 덤프 트럭(254)의 전진방향이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250)의 진행방향(252)이 된다. 또한 진행방향(252)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도로 폭 방향으로 기재한다. 또한 도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지는 아스팔트 덩어리(256)의 진행방향(252)의 길이를 아스팔트 덩어리의 길이(S1)로 하고 아스팔트 덩어리(256)의 도로 폭 방향의 길이를 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으로 한다.
도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폭을 복수의 폭(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으로 분할한, 진행방향(252)과 평행한 제1커팅 라인(258)이, 제1커팅 라인 장치로서의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하여 형성된다.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는, 도1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덤프 트럭(254)의 후방의 위치에서 아스팔트 포장체(22) 상에 재치된 캐터필러(등록상표)식의 보행대차(26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행대차(264)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재(266)의 선단부로부터 레일 부재(268)가 아래로 내려져 있다. 레일 부재(268)는 도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그리고 이 레일 부재(26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재(2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270)에는, 구동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진행방향(252) 전후로 이동하는 암 부재(272)가 관통되어 있다.
암 부재(272)의 양단에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를 계측하는 계측장치(274)와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가 고정되어 있다. 계측장치(274)는, 진행방향(252)의 전방에 설치되고,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는, 진행방향(25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암 부재(272)가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계측장치(274)와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가 동시에 전후로 이동한다.
계측장치(27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계측장치(27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커팅 블레이드(262)의 커팅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는 순서는, 우선, 도1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270)에 대하여 암 부재(272)를 진행방향(252)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를 이동부재(270)에 대하여 가장 후방의 위치에 도달시킨다. 이 때,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있어, 커팅 블레이드(262)가 아스팔트 포장체(22)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되어있다. 또, 도18(A)에는,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하방의 위치까지 이미 제1커팅 라인(258)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다음에 계측장치(274)에 의하여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로서의 첨접판(添接板)(276), 첨접판(276)을 강판(12)에 접합하는 볼트(278), 맨홀(manhole) 등까지의 거리(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를 계측한다.
다음에 도1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커팅 블레이드(26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커팅하여,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한다. 이 때, 제1커팅 라인(258)의 깊이가,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가 되도록, 계측장치(274)에 의하여 계측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에 의거하여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한다.
다음에 도1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커팅을 계속하면서, 이동부재(270)에 대하여 암 부재(272)를 소정의 방향(252)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커팅 라인(258)을 전방으로 형성하여 간다. 이 때, 커팅 블레이드(262)의 제1커팅 라인(258)의 깊이가,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가 항상 되도록, 계측장치(274)에 의하여 계측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에 의거하여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상하 위치를 계속하여 조절한다.
그리고 도1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를 이동부재(270)에 대하여 가장 전방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 계측장치(274)는, 금속을 감지하고, 그 금속까지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계측장치(274)로서는, 전자유도방식의 계측장치가 적합하다. 전자파방식의 계측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배수성 포장(排水性 鋪裝)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등과 같이 유전율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위치에서 전자파가 반사되어, 오계측을 발생시키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전자유도방식은, 금속을 감지하는 계측방법이므로, 이러한 오계측을 방지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커팅 라인(258)의 깊이를,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하였지만,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이면 된다.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만큼, 뒤에 설명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가장 얕은 위치에 있는 볼트(278)의 두부까지의 깊이보다 조금 얕은 위치를 일정한 깊이로 하는 경우에는,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20mm정도의 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남기고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는,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어, 다이아몬드 커터 등의 커팅 블레이드(262) 이외에, 가압 칼날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통상, 도로폭은 한 쪽이 3,500mm정도이므로, 예를 들면 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을 1,000∼1,800mm, 아스팔트 덩어리의 길이(S1)를 600∼1,200mm으로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2∼3분할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면 된다. 도17(A)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22)를 3개의 레인으로 분할한 예가 나타나 있다.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수 및 배치는, 제1커팅 라인(258)의 개수(아스팔트 포장체(22)의 도로 폭 방향의 분할수)에 따라 적당하게 정하면 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행대차(264) 후방의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코일 유니트(32)가 놓여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이 코일 유니트(32)가, 연화층 형성장치로서의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가 된다. 즉 코일 유니트(32)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250)에 있어서, 강판(12)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강판(12)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한다.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유니트(32)는, 2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이 나란하게 설치된 제1그룹과, 3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이 나란하게 설치된 제2그룹과, 이러한 제1그룹과 제2그룹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34)를 구비하고 있다.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은, 진행방향(252)(도2(B)에서는 박리방향(20))측에, 이 진행방향(25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 다.
또한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은, 제1그룹에서 보아 진행방향(252)과 반대측에, 이 진행방향(25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그룹의 2개의 전자유도 코일(36)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의 인접하는 전자유도 코일(36)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제1그룹과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을 프레임 부재(34)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그룹 및 제2그룹의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36)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유니트(32)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12)의 전체 면을 가열할 수 있다.
전자유도 코일(36) 중심부근의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12)에는 과전류가 충분하게 흐르지 않으므로, 이 부분의 가열이 약해진다. 그러나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프레임 부재(34)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코일 유니트(32)를 진행방향(252)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하여 가열하면, 전방에 있는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충분하게 가열할 수 없었던 강판(12)의 부분은, 그 후에 후방에 있는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가열된다. 이에 따라 강판(12)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진행방향(252)의 전방에 있는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보다 진행방향(252)의 후방에 있는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의 수가 많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기 직전까지 강판(12)의 더 많은 면적을 강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한 가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을 가능한 한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하고, 강판(12)의 상면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상면에서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H)는 100mm로 되어 있다. 즉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상면과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 사이에는, 25mm의 간격이 있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행대차(264)의 짐받이에는, 전기 케이블(58)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는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와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의 전원이 되는 발전기(48)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보행대차(264)의 상방에는, 이송장치로서의 2개의 벨트 컨베이어(280A, 280B)가 진행방향(252)의 전후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벨트 컨베이어(280A, 280B)에 의하여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보행대차(264)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송하고, 덤프 트럭(254)의 짐받이에 싣는다. 즉 이송장치로서의 벨트 컨베이어(280A, 280B)가, 코일 유니트(32) 및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상방에 배치되어,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 리(256)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낸 위치(R)의 전방으로 이송한다.
2개의 벨트 컨베이어(280A, 280B) 중, 전방에 있는 벨트 컨베이어(280A)의 대략 중앙에서는, 하단부가 보행대차(264)의 전면(前面)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액추에이터(282)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282)의 신축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280A)의 전방부분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또한 덤프 트럭(254)을 진행방향(252)의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덤프 트럭(254)의 짐받이의 소정의 위치에 내리게 할 수 있다.
보행대차(264)의 후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주(284)가 고정되어 있고, 그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연결부(286)와 코일 유니트(32)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부(54)가 견인 와이어(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일 유니트(32) 후방의 강판(12) 위에는, 박리부재로서의 리퍼(288)와 협지 부재(290)를 구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상하 협지 장치(292)를 암(62)의 선단에 부착한 소선회형의 백호우(64)가 놓여 있다.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는 칼날(29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협지 장치(292)와 백호우(64)에 의하여 취출장치(取出裝置)를 구성하고 있다.
리퍼(288)는, 제1실시예의 리퍼(60)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을 가지는 쐐기 모양의 베이스 부재(66)의 상면에 끝이 뾰족한 철로 만든 클로 부재(68)를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것으로서, 이 클로 부재(68)의 상면에는 테플론(등록상표)(70)이 코팅되어 있다. 또한 리퍼(288) 및 협지 부재(290) 의 도로 폭 방향의 폭은, 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백호우(64)의 암(62)의 선단에는, 지지판(294)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리퍼(288)의 말단부는, 지지판(294)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94)의 대략 중앙에서, 협지 부재(290)의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94)의 상부에는, 하단부가 협지 부재(290)의 대략 중앙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액추에이터(296)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296)를 신축시켜서 협지 부재(290)를 개폐 시킴으로써, 리퍼(288)와 협지 부재(290)로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상하면으로 끼우거나, 또한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칼날(298)이 설치된 협지 부재(290)와 액추에이터(296)에 의하여 제2커팅 라인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말한 것 같이, 도16의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250)은,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 연화층 형성장치로서의 코일 유니트(32), 상하 협지 장치(292)와 백호우(64)로 이루어지는 취출장치, 이송장치로서의 벨트 컨베이어(280A, 280B) 및 반송차량으로서의 덤프 트럭(254)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철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작업 시작시에는, 백호우(64) 및 리퍼(288)를 강판(12) 위에 배치하는 공간 만큼의 아스팔트 포장체(22)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철거방법은, 우선, 도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폭을 3개의 폭(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으로 분할한 진행방향(252)과 평행한 4개의 제1커팅 라인(258)이, 제1커팅 라인 장치로서의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하여 형성된다(제1커팅 라인 공정).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체(22)는, 3개의 레인(300A, 300B, 300C)(진행방향(252)을 향하여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레인 300A, 300B, 300C)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레인(300A, 300C)의 외측의 테두리가 이미 커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인(300A, 300C)의 외측에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제1커팅 라인(258)은, 도18에 나타낸 방법으로 형성된다. 즉 계측장치(274)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를 계측하고(계측공정), 이 계측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제1커팅 라인(258)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커팅 라인(258)의 깊이는,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최초에 절단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 위로 도로 폭 방향으로 연결한 2대의 코일 유니트(32)를 놓는다. 이 코일 유니트(32)는 함께 보행대차(264)에 의하여 견인된다.
다음에 코일 유니트(32)의 전자유도 코일(36)에 고주파전력 발생장치(46)로부터 전기 케이블(58)을 통하여 고주파전력을 공급하면, 코일 유니트(32) 하방에 위치하는 강판(12)에 전자유도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하고, 강판(12)이 가지는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한다.
그리고 이 전자유도가열에 의하여 가열된 강판(12)에 하면이 접촉하는 연화층(302)을 구스아스팔트(14)에 형성한다(연화층 형성공정).
연화층(302)의 두께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성상(性狀)이나 두께 등에 따라 적당하게 정하고, 이 두께의 연화층(302)을 형성하도록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한다. 따라서 구스아스팔트(14)에만 연화층(302)을 형성하더라도 좋고, 구스아스팔트(14)와 아스팔트 콘크리트(16)의 양방에 연화층(302)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즉 하면이 강판(12)과 접촉하는 연화층(302)이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되는 연화층의 온도가 55도 이상이 되도록,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하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기에 적당한 점도이며 또한 10mm정도 이상의 두께의 연화층(302)을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도로용 아스팔트인 개질 아스팔트(改質 asphalt)를 사용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이나 구스아스팔트를 사용한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80도에서 용융하고,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은 96도에서 용융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연화층의 온도가,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서는 80도 이상,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에서는 96도 이상이 되 도록,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하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보다 박리시키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하면이 이러한 80도 이상의 고온에 도달했을 때에 있어서도, 연화층(302)은,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16mm정도 이하까지 밖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아스팔트 포장체의 대부분은 고화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스아스팔트(14)에 연화층(302)이 형성된 상태에서, 보행대차(264)를 전진시켜서 코일 유니트(32)를 견인하여 코일 유니트(32)를 소정의 방향(252)으로 아스팔트 덩어리의 길이(S1)만큼 이동시킨다.
이 때에, 코일 유니트(32)를 진행방향(252)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하여 가열하면, 전방에 있는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충분하게 가열할 수 없었던 강판(12)의 부분은, 그 후에 후방에 있는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가열된다. 이에 따라 강판(12)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스아스팔트(14)에 연화층(302)이 형성되면, 즉시 레인(300A)의 구스아스팔트(14)에 형성된 연화층(302)과 강판(12)의 사이에 박리부재로서의 리퍼(288)를 삽입한다. 또, 리퍼(288)는, 강판(12)의 상면부근의 연화층(302)에 삽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리퍼(288)의 삽입은, 백호우(64)를 전진시키거나, 암(62)을 동작시켜서 하지만, 상하 협지 장치(292)에 리퍼(288)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설치하고, 이 기구를 사용하여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96)를 신장시켜 협지 부재(290)를 닫아, 리퍼(288)와 협지 부재(290)에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하방향에서 잡는다. 이 때,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눌러 잘라, 아스팔트 포장체(22)에는, 제1커팅 라인(258)과 교차하는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된다(제2커팅 라인 공정).
제2커팅 라인의 깊이는, 제1커팅 라인(258)과 마찬가지로,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다. 제2커팅 라인의 깊이는,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이면 된다.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깝게 한 만큼, 뒤에 설명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장 얕은 위치에 있는 볼트(278)(도18(A) 참조)의 두부까지의 깊이보다도 조금 얕은 위치까지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20mm정도의 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남기고 제2커팅 라인(25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1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협지 장치(292)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된 연화층(302)을 이 연화층(302)과 접촉하는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낸다(취출공정). 이 상태가, 도17(B)에 나타나 있다.
아스팔트 포장체(22)에는,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에 의하여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꺼내지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이 된다.
다음에 도1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더 들어 올려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보행대차(264)의 상방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80B) 위에 내려놓는다(이동공정). 이 상태가, 도17(C)에 나타나 있다.
다음에, 취출공정에 의하여 꺼내지고 이동공정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280B) 위에 놓인 아스팔트 덩어리(256)는, 벨트 컨베이어(280B, 280A)에 의하여 보행대차(264)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송되어, 덤프 트럭(254)의 짐받이에 실린다(이송공정). 즉 취출공정에 의하여 꺼내진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이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낸 위치(R)의 전방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연화층 형성공정, 취출공정, 이동공정 및 이송공정)에 의하여 강판(12)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철거한다.
다음에 레인(300A)의 아스팔트 포장체(22)로부터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철거한 것과 같은 방법(도19(A)∼(D))으로, 레인(300B, 300C)의 아스팔트 포장체(22)로부터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철거한다. 각 레인(300A, 300B, 300C)에서 여러 번의 취출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각 레인에는,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되게 된다.
도17(D)는, 레인(300B)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꺼낸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벨트 컨베이어(280B)에 내려 놓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17(E)는, 레인(300C)의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꺼낸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벨트 컨베이어(280B)에 내려 놓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17(A)∼(E)의 작업을 반복하여 강판(12) 위에 설치된 모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철거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및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코일 유니트(3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된 연화층(30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가 강판(12)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므로, 치핑 공법과 같이 큰 진동이나 소음을 내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연화층(302) 이외의 아스팔트 포장체(22)는 고화상태에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스팔트 덩어리(256)의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덤프 트럭(254) 등의 반송차량 등으로의 짐싣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커팅 라인(258)과 제2커팅 라인은 모두,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유니트(32)가 가열하는 것은 강판(12)이므로,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강판(12) 부근에 연화층(302)을 형성시키는 가열량이면 된다. 따라서 작은 전력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낼 수 있다.
또한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잡고, 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들어 올림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므로, 간단한 장치 및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하방향에서 잡는 상하 협지 장치(292)를 사용함으로써, 아스 팔트 포장체(22)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258)이나 제2커팅 라인이,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철거하기 전의 아스팔트 포장체(22) 위로 덤프 트럭(254)을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덤프 트럭(254)의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는 위치(R)보다 전방에 덤프 트럭(25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덤프 트럭(254)의 교체작업이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취출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순서와 같은 순서가 되도록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 연화층 형성장치(코일 유니트(32)), 취출장치(상하 협지 장치(292), 백호우(64)), 이송장치(벨트 컨베이어(280B, 280A)) 및 반송차량(덤프 트럭(254))을 배치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꺼낸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벨트 컨베이어(280B)로 이동시킬 때에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밑에서부터 위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백호우 등의 양중기계(揚重機械; lifting machine)를 사 용한 경우에,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지지한 상태에서의 선회동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5실시예에서는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협지 장치(292)를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20에서는,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 협지 장치(292)를 전방으로 잡아 당긴다. 이렇게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낸다.
또한 제5실시예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을, 상하 협지 장치(292)의 협지 부재(290)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에 의하여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가 제2커팅 라인 장치가 된다.
도21에서는, 커팅 블레이드(2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팅 라인이 진행방향(252)과 교차하도록, 보행대차(264)의 후방에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를 설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한다. 이 때, 커팅 블레이드(262)의 커팅 라인의 깊이가,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 가 되도록, 도18로 나타낸 계측장치(274)에 의하여 계측된 값에 의거하여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및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와,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을 누름 부재로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림으로써 절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5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적당하게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협지 장치(292)의 협지 부재(290) 선단에는 누름 부재(304)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304)는 쐐기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는 철로 만든 판재로서, 협지 부재(290)의 도로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서는 도19에 나타낸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취출방법이 제5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5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하면(연화층 형성공정), 즉시 레인(300A)의 구스아스팔트(14)의 하면과 강판(12)의 사이에 리퍼(288)를 삽입한다. 또, 리퍼(288)는, 강판(12)의 상면부근의 연화층(302)에 삽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2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96)를 신장시 켜 협지 부재(290)를 닫고, 리퍼(288)와 협지 부재(290)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하면에서 잡는다. 이 때, 누름 부재(304)의 쐐기 모양의 선단부가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소정의 길이의 위치에서 제1커팅 라인(258)과 교차하도록, 아스팔트 포장체(22)와 접촉한다.
다음에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한 상태에서, 누름 부재(304)의 쐐기 모양의 선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리도록 하여 상하 협지 장치(292)를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도2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낸다(취출공정).
아스팔트 덩어리(256)에는, 협지 부재(290)의 선단에 설치된 누름 부재(304)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폴딩 라인(folding line)이 형성된다. 따라서 꺼내지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이 된다.
다음에 도2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더 상방으로 들어 올려 보행대차(264)의 상방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80B) 위에 내려 놓는다(이동공정).
이렇게 하여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잡고, 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리도록 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간단한 장치 및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하여, 판 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작업에 의하여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하층은, 형성된 연화층에 의하여 강도가 약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또, 제6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304)로서 쐐기 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철로 만든 부재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폴딩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단단함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절단되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도로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누름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도로 폭 방향에 걸쳐서 누름 부재가 부분적으로 닿는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5, 6실시예로 나타낸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258)이나 제2커팅 라인은, 도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지름이 작아지도록 포갠 복수의 커팅 블레이드(306A, 306B, 306C)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쐐기 모양의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커팅 라인을 형성하기 쉽고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절단도 용이하게 된다(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 절단하기 쉽다 또는 전방으로 잡아 당겨서 절단하기 쉽다).
또한 제6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304)의 쐐기 모양의 선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리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4)를 사용하지 않고,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소정의 길이의 위치에서 제1커팅 라인(258)과 교차하도록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고,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려도 좋다. 이에 따라보다 용이하게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릴 수 있다.
제2커팅 라인의 깊이는,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까지의 깊이와 가능한 한 가까우면서도 이들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가 되도록 한다. 제2커팅 라인의 깊이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두께의 반 정도보다 깊게 하는 것이, 아스팔트 포장체(22)가 보다 구부러지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도24에는, 도23에 나타낸 방법으로 쐐기 모양의 제2커팅 라인(318)을 형성한 후에, 상하 협지 장치(292)에 의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잡고, 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구부리도록 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하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 있다.
이렇게 하면, 간단한 장치 및 방법으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은,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까지밖에 형성되어 있 지 않으므로, 강판(12) 또는 강판(12) 위에 설치된 부속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수단으로서 상하 협지 장치(292)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도25, 26에 나타내는 흡인장치(308), 파지장치(310)를 지지수단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도25에 나타내는 흡인장치(308)는, 제2커팅 라인(320)이 형성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상면을 흡인하여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한다. 그리고 흡인장치(308)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시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낸다.
이에 따라 협지장치보다 짧은 시간에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속도가 빨라진다.
도26에 나타내는 파지장치(310)는, 제2커팅 라인(320)이 형성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표면을 파지장치(310)에 설치된 클로 부재(314)로 잡는다. 그리고 파지장치(3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시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낸다.
이에 따라 협지장치보다 짧은 시간에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제5실시예나 도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 체(22)에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27에 나타내는 측방 협지 장치(312)를 지지수단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도27에 나타내는 측방 협지 장치(312)는, 제2커팅 라인(320)이 형성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양쪽 측면 방향에서 협지 클로(316)로 잡는다. 그리고 파지장치(3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시켜서 아스팔트 덩어리(256)로서 꺼낸다.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꺼내는 아스팔트 덩어리(256)는 사각형 블록이므로, 측방 협지 장치(312)에 의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경우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다.
도25∼27의 제2커팅 라인(320)은, 제5실시예에서 나타낸 상하 협지 장치(292)의 협지 부재(290) 선단에 설치된 칼날(298)이나, 도21, 23에 나타낸 커팅 라인 형성장치(260)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면 된다.
도25∼27에는,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제2커팅 라인(320)이 형성된 상태에서, 흡인장치(308), 파지장치(310) 또는 측방 협지 장치(312)에 의하여 지지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시키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흡인장치(308), 파지장치(310) 또는 측방 협지 장치(312)에 의하여 지지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구부림으로써 제5, 6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흡인장치(308), 파지장치(310) 또는 측방 협지 장치(312)를 사용하는 경우에 는, 아스팔트 포장체(22)를 절단시킬 때에 아스팔트 포장체(22)(연화층(302))의 하면을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22) 위로 도로 폭 방향으로 연결한 2대의 코일 유니트(32)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2대 이상의 코일 유니트를 연결시켜도 좋고, 절단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의 전부를 1대의 코일 유니트로 처리하게 하여도 좋고, 절단하는 아스팔트 포장체(22)보다 도로 폭 방향의 길이가 작은 1대의 코일 유니트를 도로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자유도 코일(36)의 사양(코일 심선의 단면지름, 코일의 지름, 코일의 권수 등), 형상, 배치 및 수 등은,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전자유도 코일(36)의 하면까지의 거리나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열성능 등에 따라 적당하게 정하면 된다.
또한 코일 유니트(32)에 의한 강판(12)의 가열은, 제5, 6실시예와 같이, 단속적으로 하더라도 좋고, 코일 유니트(32)를 진행방향(252)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강판(12)을 가열하더라도 좋다.
코일 유니트(32)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전방의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충분하게 가열할 수 없었던 강판(12)의 부분은, 그 후에 후방의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에 의하여 가열되므로, 강판(12)의 전체 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제1∼6실시예에 나타낸 코일 유니트(32)는,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 일(36)을 2개,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36)을 3개로 하였지만, 제1그룹의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36)의 각각의 중심이 제2그룹의 인접하는 전자유도 코일(36)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프레임 부재(34)에 배치하고 있으면, 전자유도 코일(36)을 얼마 배치하더라도 좋고, 제1∼6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을 2개 이상으로 하고 제2그룹의 전자유도 코일을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보다 하나 많은 전자유도 코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반송차량으로서 덤프 트럭(254)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는 차량 등이면 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꺼낸 위치(R)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에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이송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이송장치로서 벨트 컨베이어(280A, 280B)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꺼낸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덤프 트럭(254)의 짐받이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이송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꺼낸 아스팔트 덩어리(256)를 백호우(64) 부근에 임시로 놓고 별도로 철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백호우(64)의 암(62)의 선단에, 지지수단으로서의 상하 협지 장치(292), 흡인장치(308), 파지장치(310) 또는 측방 협 지 장치(312)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수단이 부착되고 선회하는 암을 구비한 장치이면 된다.
또한 제5실시예에서는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한 후에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하고, 그 후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들의 순서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한 후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고, 그 후에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하더라도 좋고, 아스팔트 포장체(22)에 연화층(302)을 형성한 후에 제1커팅 라인(258)을 형성하고, 그 후에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5, 6실시예에 나타낸 리퍼(288)의 클로 부재(68)에 있어서, 이 상면에 박리층으로서의 테플론(등록상표)(70)을 코팅하였지만, 박리층은 연화된 아스팔트 포장체(22)의 하면이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붙지 않는 것이면 된다.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연화된 아스팔트 포장체(22)가 붙을 걱정이 없는 경우에는,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박리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클로 부재의 상면에 연화된 아스팔트 포장체(22)가 부착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테플론(등록상표)(70) 코팅 이외에, 경유, 네파란(등록상표) 등의 기름을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도포하거나, 모래 등을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뿌려도 좋다. 또한 제2실시예와 같이, 분리수단이 되는 히터(78)를 베이스 부재(66)에 내장하거나, 클로 부재(68)의 상면에 피에조 소 자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리퍼(288)를 쐐기 모양으로 하였지만, 적어도 리퍼(288)의 선단부가 예리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구스아스팔트(14)의 하면과 강판(12) 사이에 리퍼(288)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클로 부재(68)의 선단부분을 진동시켜도 좋다.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면, 강판을 손상시키거나,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 우려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6의 실시예에서는 리퍼(288) 및 협지 부재(290)의 도로 폭 방향의 폭을, 아스팔트 덩어리의 폭(S2)보다 작게 하였지만, 가변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퍼(288)를 빗 모양으로 하면,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된 연화층(302)이 리퍼(288)에 더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5, 6실시예로 나타낸 것 같은 커팅 라인 장치, 연화층 형성장치, 취출장치 및 이송장치를 1개의 이동체에 탑재한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축하면, 각 장치(커팅 라인 장치, 연화층 형성장치, 취출장치 및 이송장치)의 설치 및 철거의 작업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6실시예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도28, 29는, 도30에 나타내는 아스팔트 포장체(시험체(326))의 가열실험의 결과이다.
도30의 측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험체(326)는, 두께 12mm의 강판(322) 위에 설치된 두께 38mm의 기층 아스팔트(324)와, 이 기층 아스팔트(324) 위에 설치된 두께 38mm의 표층 아스팔트(32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는 76mm(=38mm×2)로 되어 있다.
기층 아스팔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에는, 연화점이 67.5도인 개질 아스팔트를 사용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이후,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로 기재한다)을 사용하고 있다.
강판(322)의 평면치수는, 90cm×180cm이며, 강판(322)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기층 아스팔트(324)가 설치되고 또한 기층 아스팔트(324)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표층 아스팔트(328)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층 아스팔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의 평면치수도 90cm×180cm로 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에, 표층 아스팔트(328)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전자유도에 의하여 강판(322)을 가열하는 전자유도 코일(330)이 놓여져 있다. 전자유도 코일(330)은, 고주파전류 213HFA, 전력 14.0kw, 출력 70%의 가열특성을 가진다.
전자유도 코일(330)의 대략 중심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층 아스팔 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 중에는, 온도센서로서의 5개의 열전대(熱電對)(332, 334, 336, 338, 340)가 강판(322)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열전대가 설치되어 있는 각 지점의 온도가 계측된다.
열전대(332)는 강판(3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강판(322) 상면으로부터 열전대(334, 336, 338, 340)까지의 거리는, 각각 9.5mm, 19mm, 38mm, 76mm으로 되어 있다. 즉 열전대(338)는 기층 아스팔트(324)의 상면에 설치되고, 열전대(340)는 표층 아스팔트(328)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28(A)∼(D), 도29(E)∼(I)에는, 열전대(332, 334, 336, 338, 340)에 의하여 계측된 기층 아스팔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의 깊이(세로축)에 대한 온도(가로축)가 나타나 있다.
도28(A)∼(D), 도29(E)∼(I)의 점 332A, 334A, 336A, 338A, 340A는, 열전대(332, 334, 336, 338, 340)에 의하여 계측된 값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28(A)∼(D)는, 전자유도 코일(330)의 가열을 시작한 때로부터, 각각 15(s), 30(s), 60(s), 90(s) 지났을 때의 값이며, 도29(E)∼(I)는, 전자유도 코일(330)의 가열을 시작한 때로부터, 각각 120(s), 150(s), 210(s), 270(s), 360(s) 지났을 때의 값이다.
실험에서는, 전자유도 코일(330)의 가열을 시작한 때로부터 210(s)경과한 도29(G)의 경우에, 강판(322)과 접촉하는 5mm정도의 용융층이 기층 아스 팔트(32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때 용융층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5mm정도의 두께(표층 아스팔트(328)상면으로부터 66mm의 깊이)까지 기층 아스팔트(324)가 연화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하였다. 즉 강판(322)과 접촉하는 두께 10mm정도의 연화층이 기층 아스팔트(324)에 형성되고, 이 연화층의 하면의 두께 5mm정도가 용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는 76mm이므로, 도29(G)에서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의 약1/8(=10mm/76mm)이 연화층이 되어 있고, 나머지인 약7/8이 고화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더 가열을 계속한 도29(H), (I)에서는 온도가 55도로 되어 있는 위치가, 가열시간과 함께 얕아지게 되어 있다. 즉 연화층의 두께가 10mm이상이 된다.
또한 쐐기 모양의 부재를 이 연화층에 사람의 힘으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화층은, 제1∼제6실시예에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충분히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드럽기라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연화점(67.5도) 이하의 온도에서도,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드럽기의 연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체(326)의 가열실험에 의하여 전자유도 코일(330)로 강판(322)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체(기층 아스팔트(324))에, 강판(322)과 접촉하는 연화층 및 용융층이 형성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29(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강판(322) 상면으로부터 10mm정도 상방의 위치(=표층 아스팔트(328) 상면으로부터 깊이 66mm의 위치)의 온도는 약55도이므로, 아스팔트의 온도를 55도 이상으로 하면,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박리시키기에 적당한 점도이며 또한 10mm정도 이상의 두께의 연화층(302)을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28, 29로부터 알 수 있는 것 같이, 전자유도 코일(330)에 의한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강판(322) 상면의 온도도 상승한다.
또한 도29(G)∼(I)로부터 알 수 있는 것 같이, 강판(322)을 210(s) 이상 가열하고, 기층 아스팔트(324)의 하면(열전대(332)의 위치)이 80도 이상의 고온에 도달했을 때에 있어서도, 아스팔트 포장체 (표층 아스팔트(328)) 상면으로부터 60mm정도의 깊이까지는 온도가 55도 이하가 되므로, 아스팔트 포장체(표층 아스팔트(328)) 상면으로부터 60mm정도의 깊이까지는 연화되지 않는다.
즉 연화층은, 강판(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16mm(=76mm-60mm)정도 이하까지밖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아스팔트 포장체(기층 아스팔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의 대부분은 고화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층 아스팔트(324) 및 표층 아스팔트(328)에, 연화점이 67.5도인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였지만, 기층 아스팔트(324) 를 구스아스팔트를 사용한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이후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이라고 기재한다)로 하고 표층 아스팔트(328)를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열의 전달되는 방법의 경향은 같다.
또한 도29(G)∼(I)로부터 알 수 있는 것 같이, 전자유도 코일(330)에 의한 가열을 210(s) 이상 하면, 강판(322)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10mm정도의 위치(열전대(334))의 온도는 55도 이상이 된다. 이에 따라 전자유도 코일(330)에 의한 가열을 210(s) 이상 하면 아스팔트 포장체에 연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도로용 아스팔트인,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이나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에 있어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연화점은 55도 이상 75도 이하이며,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연화점은 50도 이상 65도 이하이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되는 연화층의 온도가 55도 이상이 되도록, 전자유도 코일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하면,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기에 적당한 점도의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화층의 두께를 10mm 이상으로 하면, 아스팔트 포장체의 취출작업을 하기 쉬워지므로, 연화층의 두께를 10mm 이상으로 하고 이 연화층의 온도를 55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에 있어서, 연화층의 온도가 55도 이상이 되도록 전자유도 코일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하면,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시키기에 적당한 점도의 연화층을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할 수 있다는 것에 관해서는, 시험체(326)의 가열실험에 의하여도 검증되어 있다.
또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80도에서 용융하는 것이 시험체(326)의 가열실험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점도 특성으로부터, 80도의 온도에 있어서의 점도를 구하면 137P(포아즈; poise)가 된다. 그리고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점도특성으로부터, 137P(포아즈)의 점도가 되는 온도를 구하면 96도가 된다. 즉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에는, 96도에서 용융하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22)에 형성하는 연화층의 온도가,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서는 80도 이상, 경질 아스팔트 혼합물에서는 96도 이상이 되도록, 전자유도 코일(36)에 공급하는 고주파전력을 조정하면, 연화층의 하면에 용융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포장체(22)를 강판(12)으로부터 보다 박리시키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Claims (26)

  1.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asphalt 鋪裝體)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으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電磁誘導加熱)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공정과,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공정(取出工程)과,
    상기 취출공정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이동시키는 이동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층의 온도를, 55도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한,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리거나 전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도록 누름 부재를 대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구부림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공정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구부림으로써,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강판과 상기 연화층의 사이 또는 상기 연화층에 삽입되는 박리부재(剝離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하방향에서 잡는 상하 협지 장치(上下挾持裝置; upper/lower surface clamping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흡인하여 지지하는 흡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10.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커팅 라인이 형성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양쪽 측면 방향에서 잡는 측방 협지 장치(側方挾持裝置; side-surface clamping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11. 제5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표면을 클로 부재(claw 部材)로 잡는 파지장치(把持裝置; gripping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하는 계측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팅 라인 및 상기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계측공정에 의하여 계측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공정에 있어서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14.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으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電磁誘導加熱)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장치와,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장치와,
    상기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폭을 복수의 폭으로 분할한,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1커팅 라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는, 판자 모양의 사각형 블록으로서 꺼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커팅 라인과 교차하는, 상기 강판 또는 상기 강판 위에 설치된 부속물에 도달하지 않는 깊이의 복수의 제2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제2커팅 라인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를 계측하는 계측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커팅 라인 및 상기 제2커팅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계측장치에 의하여 계측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
  18.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電磁誘導 coil unit)로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의 진행방향 측에, 상기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제1그룹과,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보아 상기 진행방향과 반대측에, 상기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제2그룹 과,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상기 제1그룹의 상기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의 각각의 중심이 상기 제2그룹의 인접하는 전자유도 코일의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심시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은 2개 이상의 전자유도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그룹의 전자유도 코일보다 하나 많은 전자유도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20.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철거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로서,
    상기 강판을 전자유도가열 함으로써, 하면이 상기 강판과 접촉하는 연화층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연화층 형성장치와,
    형성된 상기 연화층을 상기 연화층과 접촉하는 상기 강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절단하여 아스팔트 덩어리로서 꺼내는 취출장치와,
    상기 취출장치에 의하여 꺼내진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상기 아스팔트 덩어리를 꺼낸 위치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장소 또는 복수의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연화층 형성장치, 상기 취출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가 탑재된 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21.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 분할하는 커팅 라인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분할공정과,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강판을 가열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시키는 용융공정과,
    열전도성을 가지고, 용융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하면이 부착되는 것을 저지하는 박리층이 상면에 형성된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삽입하는 박리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은, 불소수지(弗素樹脂)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은, 기름(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24. 강판 위에 설치된 아스팔트 포장체를 벗기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폭으로 분할되는 커팅 라인을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에 형성하는 분할공정과,
    소정의 폭으로 분할된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유도 코일에 고주파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강판을 가열하여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을 용융시키는 용융공정과,
    열전도성을 가지는 쐐기 모양의 박리부재를,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 하면의 용융된 층에 삽입하는 박리공정과,
    상기 박리부재에 설치된 분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박리부재에 달라붙은 상기 아스팔트 포장체를 상기 박리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박리부재의 상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加熱手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박리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압출수단(押出手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KR1020087026528A 2006-03-29 2007-03-28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KR101093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92423 2006-03-29
JPJP-P-2006-092423 2006-03-29
PCT/JP2007/000312 WO2007111025A1 (ja) 2006-03-29 2007-03-28 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方法、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システム、電磁誘導コイルユニット、アスファルト舗装体撤去装置、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体の剥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44A true KR20090005344A (ko) 2009-01-13
KR101093658B1 KR101093658B1 (ko) 2011-12-15

Family

ID=3854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528A KR101093658B1 (ko) 2006-03-29 2007-03-28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34063B2 (ko)
EP (1) EP2003248A4 (ko)
JP (1) JP4330639B2 (ko)
KR (1) KR101093658B1 (ko)
CN (1) CN101415886B (ko)
AU (1) AU2007230512B2 (ko)
CA (1) CA2647593C (ko)
WO (1) WO2007111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373B2 (ja) * 2006-06-20 2011-03-09 大成ロテック株式会社 舗装体の撤去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研削機
FR2924225B1 (fr) * 2007-11-27 2016-12-09 Genoptics Biopuces fonctionnalisees pour le couplage spr-ms
JP5073540B2 (ja) * 2008-03-14 2012-11-14 ボンドテック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
US8562247B2 (en) 2009-01-02 2013-10-22 Heatwurx, Inc. Asphalt repair system and method
US8556536B2 (en) 2009-01-02 2013-10-15 Heatwurx, Inc. Asphalt repair system and method
JP5173901B2 (ja) * 2009-03-13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受給電装置
US9416499B2 (en) 2009-12-31 2016-08-16 Heatwurx,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managing pothole location and pothole characteristics
US8801325B1 (en) 2013-02-26 2014-08-12 Heatwurx,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sphalt repair apparatus
CN102979032A (zh) * 2012-12-27 2013-03-20 南京英达公路养护车制造有限公司 起撬收集沥青路面旧料的方法
CN103205923B (zh) * 2013-04-07 2016-06-01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桥面铺装混凝土快速、微震破除方法
USD700633S1 (en) 2013-07-26 2014-03-04 Heatwurx, Inc. Asphalt repair device
CN104480842B (zh) * 2014-12-05 2016-05-18 阮成瑞 公路废旧沥青剔除再生施工一体装置及其施工方法
JP6208199B2 (ja) * 2015-11-04 2017-10-04 グリーンアーム株式会社 道路構造体、該道路構造体に用いられる耐腐食性導電シート、及びアスファルト層剥離方法
JP5946948B1 (ja) * 2015-12-07 2016-07-06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鋼床版及び鋼床版のコンクリート層の撤去方法
JP6550017B2 (ja) * 2016-06-30 2019-07-24 大成ロテック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層撤去方法
CN106290449A (zh) * 2016-08-03 2017-01-04 山西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模拟沥青路面感应慢速加热自愈合的试验装置及方法
CN106245542A (zh) * 2016-08-24 2016-12-21 北京中交桥宇科技有限公司 快速凿除桥面混凝土施工工艺
CN108411730B (zh) * 2016-11-21 2020-04-28 杭州众新新型建材有限公司 自贴合道路修补用沥青模块的使用方法
USD845354S1 (en) * 2017-03-22 2019-04-09 Cams S.R.L. Shredding and sifting machine
JP7084594B2 (ja) 2017-08-21 2022-06-15 ベルテクス株式会社 鋼床版における基層の除去方法
CN108103918A (zh) * 2017-11-27 2018-06-01 广东和立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剥离钢筋混凝土桥面的施工方法
CN108867295A (zh) * 2018-06-08 2018-11-23 湘潭大学 一种可调宽度沥青混凝土路面分层切割回收机
CN109024187B (zh) * 2018-10-11 2020-09-01 徐州徐工养护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加热沥青输送喷洒系统及其稀浆封层车
JP6824331B2 (ja) * 2019-05-30 2021-02-03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鋼床版にコンクリートを被覆する方法
CN112323602B (zh) * 2020-10-27 2022-06-14 合肥工业大学 感应加热与微波加热的沥青铺面多功能热铣刨施工方法
CN112323603B (zh) * 2020-10-27 2022-02-01 合肥工业大学 基于电磁加热与微波加热的沥青功能铺面自愈合施工方法
CN112323652B (zh) * 2020-10-27 2022-09-13 合肥工业大学 基于感应加热的钢桥面铺装层坑槽修复方法
CN112326463B (zh) * 2020-10-27 2024-07-05 合肥工业大学 用于确定钢桥面感应加热铣刨最佳温度的实验方法
CN112359693A (zh) * 2020-10-30 2021-02-12 张国彦 道路路面修补装置及其补强方法
JP2021014786A (ja) * 2020-11-19 2021-02-12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鋼床版にコンクリートを被覆する方法
US11566384B2 (en) 2021-04-22 2023-01-31 Ivan Elfimov Asphalt paving and stri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hydrophobic microwave absorbing material
US11732424B2 (en) 2021-04-22 2023-08-22 Ivan Elfimov Asphalt pave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hydrophobic microwave absorbing material
CN116026711B (zh) * 2023-03-30 2023-06-20 江苏腾达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剪切疲劳度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5610A (en) * 1919-12-23 Mining system
US640464A (en) * 1899-03-28 1900-01-02 William J Gillett Sheet-pavement softener.
US910922A (en) * 1905-08-14 1909-01-26 Barber Asphalt Paving Co Process of removing asphalt pavement.
US2388461A (en) * 1944-07-04 1945-11-06 Henry E Baker Paving stripping apparatus
US2673395A (en) * 1949-07-05 1954-03-30 Lawrence E Spotswood Heated scraping tool
US2706321A (en) * 1952-06-28 1955-04-19 Harold W Herr Pipe joint runner
US2996111A (en) * 1958-12-15 1961-08-15 Augustus P Mocerino Material handling device
DE1898473U (de) * 1964-05-21 1964-08-13 Karl Walter Bell Vorrichtung zur abtragung und erneuerung von strassendecken aus teersplitt.
US3542435A (en) * 1967-10-27 1970-11-24 George E Herrmann Curb and gutter section extractor
US3601448A (en) * 1969-04-21 1971-08-24 Gas Dev Corp Method for fracturing concrete and other materials with microwave energy
US3592509A (en) * 1969-12-05 1971-07-13 Vernon R Soderlund Continuous pavement cutter
US3807886A (en) * 1971-03-30 1974-04-30 Cutler Repaving Ass Method for heating asphalt concrete roadways and the like
US3822956A (en) * 1972-04-15 1974-07-09 Wirtgen Reinhard Machine for cutting or stripping pavement
GB2039519B (en) * 1978-12-28 1983-10-12 Nihon Sanka Kogyo Kk Fusing agent
JPH0637083Y2 (ja) * 1984-09-10 1994-09-28 株式会社エスケ− 舗装アスファルト剥離掘削用バケット
JP2598942B2 (ja) 1988-01-31 1997-04-09 株式会社エポ 道路占用物周囲の舗設工法並びにその舗設工法の実施に使用する道路占用物の誘導加熱装置及び舗装材付き道路占用物
US4927003A (en) * 1989-06-02 1990-05-22 Martin Engineering Company Heated conveyor belt cleaner
JP3187443B2 (ja) 1991-02-21 2001-07-11 東邦石油株式会社 金属表面被膜の加熱剥離装置
US5664907A (en) * 1995-06-30 1997-09-09 Betsinger; Thomas 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d pulverizing steel reinforced pavement
DE19702739A1 (de) * 1997-01-27 1998-07-30 Philips Patentverwaltung Röntgeneinrichtung mit einer Primärblendenanordnung
US5888279A (en) * 1997-10-30 1999-03-30 Morton International, Inc. Asphalt release agent for truck beds
DE19827577C1 (de) * 1998-06-20 1999-10-28 Abg Allg Baumaschinen Gmbh Einbaubohle für einen Straßenfertiger
JP2000303408A (ja) 1999-04-23 2000-10-31 Tokyo Denshi Kk アスファルト路面の剥離方法
DE19940732B4 (de) * 1999-08-27 2009-07-09 Starkstrom-Anlagen-Gesellschaft 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auf Stahlgittermasten von Hochspannungsfreileitungen befindlichen Farbbeschichtungen
US6401637B1 (en) * 2001-01-08 2002-06-11 Harold Earl Haller Microwave energy applicator
FI109304B (fi) * 2001-01-15 2002-06-28 Metso Paper Automation Oy Menetelmä ja laite telan lämmittämiseksi
JP2004011406A (ja) 2002-06-07 2004-01-15 Hidemi Yoshizawa 再生アスファルト移動プラント工法
JP4087208B2 (ja) 2002-10-03 2008-05-21 株式会社Nippoコーポレーション 路上再生方法
JP3849124B1 (ja) 2004-12-03 2006-11-22 グリーンアーム株式会社 舗装のアスファルト混合物層を路上で連続的に再生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自走車両システム
JP2007146459A (ja) * 2005-11-28 2007-06-14 Taisei Rotec Corp 橋面アスファルト舗装誘導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658B1 (ko) 2011-12-15
US8834063B2 (en) 2014-09-16
AU2007230512A1 (en) 2007-10-04
CA2647593C (en) 2014-05-13
CN101415886B (zh) 2011-06-15
US20090297268A1 (en) 2009-12-03
AU2007230512B2 (en) 2013-07-04
CN101415886A (zh) 2009-04-22
CA2647593A1 (en) 2007-10-04
EP2003248A4 (en) 2012-12-19
JP2007291839A (ja) 2007-11-08
EP2003248A9 (en) 2009-04-15
JP4330639B2 (ja) 2009-09-16
WO2007111025A1 (ja) 2007-10-04
EP2003248A2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658B1 (ko)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방법,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 시스템,전자유도 코일 유니트, 아스팔트 포장체 철거장치 및 아스팔트 포장체의 박리방법
US20060045621A1 (en) Asphalt-removing work machine having a storage bin
US7413376B2 (en) Asphalt-removing machine having a funnel-shaped ramp
US7419328B2 (en) Asphalt-remov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blade members
CN102985617A (zh) 沥青路面建造机械及其操作方法
CN202271433U (zh) 多功能自动出板机
CN114427209B (zh) 一种基于界面柔性融化剥离技术的除冰系统
JP2009052259A (ja) 道路補修用のロードヒータ装置
JP2006264678A (ja) ゴムクローラの分離装置とその分離方法
EP3266935A1 (en) A cut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road markings on a road surface
KR100738015B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CN105672107A (zh) 公路废旧沥青剔除再生施工一体装置及其施工方法
CN115030000B (zh) 一种基于公路废旧沥青剔除再生施工装置
CN111395132A (zh) 一种伸缩缝切割机构、混凝土摊铺机构和混凝土摊铺机
CN212533901U (zh) 一种公路桥梁用除冰装置
KR101845333B1 (ko) 제설 패드
SE525222C2 (sv) Halkreducerande förfarande
GB2362671A (en) Thoroughfare marking removal
CN117758659A (zh) 一种适用于多样地形的除冰机
US20080277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inuous form structures with used tires
KR101154033B1 (ko) 피니셔
KR200409309Y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KR20200099753A (ko) 폐아스팔트 처리장치
CN111691269A (zh) 用于整平件覆盖物的保持设备
CN1282822A (zh) 一种路面冰雪清除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