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33A -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33A
KR20090004933A KR1020087024740A KR20087024740A KR20090004933A KR 20090004933 A KR20090004933 A KR 20090004933A KR 1020087024740 A KR1020087024740 A KR 1020087024740A KR 20087024740 A KR20087024740 A KR 20087024740A KR 20090004933 A KR20090004933 A KR 20090004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layer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medium
polariz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224B1 (ko
Inventor
히데카즈 호시노
이츠오 다케우치
스즈시 니시무라
고로우 스자키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니폰 오일 코포레이션 (신 니혼 세키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니폰 오일 코포레이션 (신 니혼 세키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1/0256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having specific functional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72Substrate bearing the hologr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18Particular processing of hologram record carriers, e.g. for obtaining blazed hologra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8View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07D7/207Matching patterns that are created by the interaction of two or more layers, e.g. moiré patterns
    • B42D2033/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91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4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1/0244Surface relief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G03H2001/0016Covert holograms or holobjects requiring additional knowledge to be perceived, e.g. holobject reconstructed only under IR illumin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8Liquid cryst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41Polarisation active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 기능이 높은 식별 매체를 제공한다.
식별 매체(100)로서 광흡수층(101), 콜레스테릭 액정층(102) 및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적층한 구조로 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우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설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우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통해 관찰하면, 우원편광(111)이 액정층(103)에 있어서 좌원편광(112)으로 변환되므로,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반사광은 관찰할 수 없다. 한편,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제거하고 관찰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식별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IDENTIFICATION MEDIUM,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광학적인 성질을 이용한 식별 매체에 관한 것으로, 1/2 파장판과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조합한 구조, 또한 1/4 파장판과 광반사층을 조합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식별 매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식별 매체에 있어서는, 소정의 선회 방향 및 파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광학적인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광학적인 식별이 행해진다.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6377
그러나,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식별 매체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원료를 입수함으로써 위조가 가능해질 가능성이 의심된다. 이 때문에,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다고 해도, 보다 위조를 곤란하게 할 수 있는 식별 매체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출회되고 있는 식별 매체와 비교하여, 보다 식별 능력이 높고 위조가 곤란한 식별 매체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식별 매체는,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자연광을 입사시키면, 소정 파장이고 또한 우선회 또는 좌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액정의 층이다. 도 3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갖는 광학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는, 자연광을 입사시키면, 특정 파장의 우원편광이 반사되고, 좌원편광, 또한 그 외의 파장의 자연광이 콜레스테릭 액정층(401)을 투과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층형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층에 주목한 경우, 층 중에 있어서 액정 분자의 분자 장축은 그 방향이 가지런하고 또한 층의 면에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다. 그리고 배향의 방향은, 인접하는 층에 있어서 조금씩 어긋나 있고, 전체적으로는 입체적인 스파이럴형으로 배향이 회전하면서 각층이 중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층에 수직인 방향에서 생각하여, 분자 장축이 360° 회전하여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의 거리를 피치(P), 각층 내의 평균 굴절률을 n으로 한다. 이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λs=n×P를 만족하는, 중심 파장 λs에서 특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즉, 특정한 편광 성분에 치우치지 않는 백색광을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입사시키면, 특정한 파장을 중심 파장으로 하는 우회전 또는 좌회전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한다. 이 경우, 동일한 파장 λs로 반사한 원편광과 반대의 선회 방향을 갖는 원편광과 그 외의 파장의 자연광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투과한다.
반사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회전 방향)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스파이럴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즉, 광의 입사 방향에서 보아, 오른쪽 나사의 방향으로 나선을 그려 각 층에서의 분자 장축이 배향하고 있는지, 왼쪽 나사의 방향으로 나선을 그려 각 층에서의 분자 장축이 배향하고 있는지를 선택함으로써, 반사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은 시야각에 의해서 색이 바뀌는 칼라 시프트라 불리는 광학적인 성질을 나타낸다. 이것은, 시야각이 커지면, 피치(P)가 외관상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중심 파장 λs가 단파장측으로 이행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에서 관찰하여 적색으로 색을 띄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반사색은, 시야각을 크게 함에 따라 적→주황→황→녹→청으로 차례차례 변화하도록 관찰된다. 또한, 시야각은, 시선과 식별 매체 표면의 수선이 이루는 각도로서 정의된다.
1/2 파장판이란, 1/2 위상차판이라고도 불리고, 광이 통과할 때에, 복굴절 효과에 의해, 직교하는 편광 성분의 사이에 반파장(위상차 π(180°))의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광학 소자를 말한다. 1/2 파장판에 원편광이나 타원편광을 통과시키면, 그 선회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층이 갖는 복굴절성을 이용하여, 1/2 파장판을 구성한다. 액정층을 1/2 파장판으로서 기능시키려면, 액정 분자를 1축 배향시킨 액정층의 두께를 조정하면 된다. 이론적으로는, 1축 배향한 액정층에 있어서,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의 굴절률과 단축 방향의 굴절률의 차이(△n)와, 액정층의 두께 d와의 곱(△nd)(리타데이션이라고 함)의 값의 설정에 의해서, 당해 액정층을 1/2 파장판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1/2 파장판을 액정층에 의해서 구성함으로써, 임의의 패턴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두께를 임의로 그리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1 /2 파장판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두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의도적으로 1/2 파장판으로부터 위상차의 발생 조건을 늦춘 설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것은, 반사광이 보이거나, 혹은 안보인다는 광의 ON/OFF에 의한 식별만이 아니라, 계조를 수반한 식별 기능을 발현시키는 경우에 중요해진다. 또한 액정층을 이용하여, 1/2 파장판을 구성함으로써, 박형화, 경량화, 저비용을 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흡수층 상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배치하고, 또한 그 위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배치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술한 광학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식별 대상인 물품의 표면이 광흡수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검은색 등의 진한 색의 표면을 갖고 있는 경우)는, 광흡수층을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광흡수층이란, 식별에 이용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층을 말한다. 식별에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경우, 광흡수층으로서 검은색이나 진한 색의 층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별 매체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발명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식별 매체가 보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식별 매체가 보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의 인식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별 매체,
101 : 광흡수층,
102 : 콜레스테릭 액정층,
103 :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
104 : 우선회 투과 필터,
113 : 좌선회 투과 필터,
200 : 식별 매체,
201 : 광반사층,
202 :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
203 : 직선 편광 투과 필터,
607 : 식별 매체,
901 : 식별 수단,
902 : 제1 화상 인식 수단,
902c : 우선회 투과 필터,
903 : 제2 화상 인식 수단.
이하, 본 발명에서의 식별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별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식별 매체(100)가 나타나 있다. 이 식별 매체(100)는, 광흡수층(101) 상에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구비하고, 또 그 위에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이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식별 기능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 우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우선회 투과 필터 : 104)를 통해 관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설치한 구성(즉, 도 1의 구성)을,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통해 관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상태가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가 밀착되어 있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은, 우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설정으로 한다. 또, 원편광의 선회 방향(회전 방향) 은, 광축의 방향(광이 진행되는 방향)을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전계 벡터 성분이 회전하는 것을 우선회, 그 반대를 좌선회라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A)의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이 없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자연광(105)은,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통과함으로써, 우원편광(106)이 된다. 이 우원편광(106)은,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있어서 우원편광(107)으로서 반사된다. 이 우원편광(107)은,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투과하고, 직선 편광(109)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통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본 경우에는, 반사광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좌선회 투과 필터(좌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와 교환하면, 부호 106에 상당하는 광선이 좌선회의 원편광이 된다. 따라서, 이 광선은,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있어서 반사되지 않고, 광흡수층(101)에 있어서 흡수된다. 그 때문에, 반사광을 인식할 수 없다. 이것이, 종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도 2(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식별 매체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이 있으므로, 동작이 상기의 경우와는 상이하고, 보이는 것도 상이한 것이 된다. 즉, 우선, 입사광인 자연광(110)은,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투과함으로써, 우원편광(111)이 된다. 이 우원편광(111)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통과할 때에 좌원편광(112)이 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입사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은, 우원편광을 반사하는 설정이었으므로, 좌원 편광(112)은,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을 투과하고 광흡수층(101)에 흡수된다. 따라서, 이 경우, 식별 매체(100)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없다. 즉,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통해 식별 매체(100)를 관찰해도, 반사광을 인식할 수 없다(혹은 인식 하기 어렵다).
다음에,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매체(100)를, 좌선회 투과 필터(좌원편광을 투과하는 광학 필터 : 113)를 통해 관찰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입사광인 자연광(114)은, 좌선회 투과 필터(113)를 투과함으로써, 좌원편광(115)이 되고, 또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투과함으로써 우원편광(116)이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은 우원편광을 반사하므로, 우원편광(116)은, 우원편광(117)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으로부터 반사된다. 우원편광(117)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투과할 때에, 좌원편광(118)으로 변환되고, 또한 좌선회 투과 필터(113)를 투과하며, 직선 편광(119)으로서 인식된다. 즉, 좌선회 투과 필터(113)를 통해 식별 매체(100)를 관찰한 경우, 반사광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한 식별 매체는, 종래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이용한 식별 매체와는 광학적인 기능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의 액정층의 두께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치수가 어긋난 상태에 따라, 전술한 광학 기능이 불명확해지는 경향이 증대해 가지만, 상응하는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에 관한 치수의 어긋남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 내이면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명확한 식별 기능을 추구한다면, ±5% 이내, 바람직하게는 ±3% 이내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별 매체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홀로그램 가공은, 엠보싱에 의해,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층 구조에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액정층을 이용한 1/2 파장판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층을 이용하여, 광학적인 기능을 발현하는 층을 구성한 경우, 이 층에 홀로그램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홀로그램을 이용한 복잡한 무늬의 형성도 용이하고, 의장성이나 식별성이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소정 선회 방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이용한 관찰에 있어서, 홀로그램에 의해서 표시되는 표시가 조합되므로, 높은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에 있어서, 그 두께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와 상이한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태양에 의하면, 식별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한 식별에 더하여, 식별 매체의 표시에 계조 표시를 도입할 수 있다. 또, 이 원리를 이용하면, 장소에 의해 단계적 혹은 연속적으로 계조가 변화하는 표시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장소에 의해 표시의 계조가 변화하는 표시 형태를 실현하려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의 두께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단계적 혹은 연속적으로 변화해 가는 영역을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층을 이용한 1/2 파장판은, 그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1/ 2 파장판으로서의 기능을 발현시키고 있다. 따라서, 액정층의 두께를 1/2 파 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미묘하게 어긋나게 함으로써, 생기는 위상차를 π로부터 미묘하게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즉, 액정층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1/2λ±△λ) 파장판을 실현할 수 있다. 원편광이 입사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파장판으로서의 기능이, 위상차 1/2λ의 조건으로부터 어긋남에 따라서, 투과광은 서서히 어스펙트비가 큰 역선회 방향의 타원편광이 된다. 따라서, 이 투과광을 소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관찰한 경우, 상기의 △λ이 커짐에 따라서 광학 필터에서의 투과 손실이 증대한다. 이 때문에,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어긋난 두께로 변화시켜 가면, 소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그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에 농담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농담은, 액정층의 두께를 조정하면 되기 때문에,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별에 이용하는 표시 내용을 복잡 혹은 미묘한 모양으로 할 수 있고, 식별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위조가 곤란한 식별 매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광흡수층과, 이 광흡수층 상에 설치된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으로서, 소정의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단계와,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단 계를 구비하는 식별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 식별 방법에 의하면, 제1 화상 인식 단계에 있어서 인식되는 화상과, 제2 화상 인식 단계에 있어서 인식되는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진정(眞正) 판정을 행할 수 있다. 화상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는,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하는 방법, 소정의 검출 포인트로부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광 검출 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는 방법, 촬상 장치로 촬상한 화상, 또는 그것을 화상 처리한 화상을 판정인이 모니터에 의해서 관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성질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광학 필터는,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것이 선택된다. 또한, 제2 화상 인식 단계로서는, 광학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식별 매체의 화상 인식을 행하는 경우와, 제1 화상 인식 단계에 있어서 이용한 광학 필터와 역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이용하여 화상 인식을 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식별 매체를 식별할 때에 이용되는 식별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광흡수층과, 이 광흡수층 상에 설치된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로서, 소정의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로서 파악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화상 인식 수단과 제2 화상 인식 수단은, 부분적으로 구성을 공유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 인식 수단으로서 촬상 장치(카메라)가 채용되는 경우, 양 화상 인식 수단에 있어서 촬상 장치를 공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별 매체의 제2 구성은,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파장판이라고 하는 것은, 직교하는 편광 성분의 사이에 π/2(90°)의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파장판을 말한다. 1/4 파장판을 이용하면,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혹은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1/4 파장판도 액정층에 의해서 구성된다. 1/4 파장판을 액정층에 의해서 구성하는 우위성(優位性)은, 1/2 파장판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의 발명에서의 식별 기능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5(A)는, 상기의 발명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식별 매체(200)는, 광반사층(201) 상에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202)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5(B)는, 식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5(B)에 있어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202)을 광반사층(201)으로부터 떨어뜨린 상태가 기재되어 있다.
이하, 도 5의 X축 방향으로 편광한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를 통해, 식별 매체(200)를 보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자연광(204) 중의 소정의 직선 편광 성분(이 경우는 도면 중의 X축 방향으로 전계 성분을 가진 직선 편광)이,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를 통과하고, X축 직선 편광(205)이 된다. X축 직선 편광(205)은,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202)을 투과함으로써, 원편광(이 경우는 우원편광 : 206)으로 변환된다. 이 우원편광(206)은, 광반사층(201)에 있어서 반사되고 좌원편광(207)이 된다.
좌원편광(207)은,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202)을 투과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계 성분을 갖는 Y축 직선 편광(208)이 된다. 즉, 액정층(202)은 X축 편광한 직선 편광을 우원편광으로 하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X축에 직교한 Y축 직선 편광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그것을 역선회 방향의 좌원편광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액정층(202)에 좌원편광(207)이 입사하면, Y축 직선 편광(208)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Y축은,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서 정의된다.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는, X축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편광 필터이기 때문에, Y축 직선 편광(208)은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즉,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를 통해, 식별 매체(200)를 관찰한 경우에는, 반사광을 인식할 수 없다(혹은 인식하기 어렵다). 한편, 직선 편광 필터(203)를 제거하면, 편광의 차이에 의한 필터 작용이 없어지므로, 식별 매체(200)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반사광의 유무를 이용함으로써,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치수가 어긋난 상태에 따라, 전술한 광학 기능이 불명확해지는 경향이 증대해 가지만, 상응하는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에 관 한 치수의 엇갈림은,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 내이면 허용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명확한 식별 기능을 추구한다면, ±5% 이내, 바람직하게는 ±3% 이내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정층을 1/4 파장판으로서 이용하는 발명에 있어서, 이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광학적인 성질에 홀로그램 표시가 조합되고, 보다 복잡하게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액정층에,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부터 어긋난 두께의 영역을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1/2 파장판의 경우와 동일하게, 1/4 위상차 조건으로부터 어긋난 두께의 액정층의 부분의 표시를 연하게 할 수 있다. 또, 그 연함 가감을 액정층의 두께의 설정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농담을 가진 무늬 표시를 이용한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식별 기능과 높은 위조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액정층을 1/4 파장판으로서 이용하는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의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으로서,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단계와,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단계를 구비하는 식별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액정층을 1/4 파장판으로서 이용하는 식별 매체의 식별 장치의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즉,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로서,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식별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면서, 식별 능력이 높고, 위조가 곤란한 식별 매체를 얻을 수 있다.
1. 제1 실시 형태
(1-1)제1 실시 형태의 제조 공정
이하,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보호층(601)으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준비한다. 투명 보호층(601)은,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혹은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로의 영향이 적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층(601)에는, 미리 후술하는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한 사전 처리(러빙 처리)를 실시해둔다. 배향 처리는, 액정 패널의 제조 기술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행하면 된다.
투명 보호층(601)을 준비한다면, 전술한 배향 처리를 실시한 표면 상에 액정 재료를 인쇄하고, 소정의 패턴을 가진 액정층(602)을 형성한다. 액정층(602)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설정한다. 또 그 인쇄 패턴은, 소정의 무늬(문자나 도형)로 한다. 또, 액정 재료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배향 상태가 고정되는 것이나 사용하는 환경 온도보다 충분히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액정 고분자를 이용한다. 구체적인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일상적인 사용 환경을 상정한 경우에는 6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낮은 경우는, 예를 들면 직사광선이 닿는 차내에 방치되는 경우와 같이 사용 중의 환경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아져 액정의 배향 상태가 변화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액정층(602)을 형성한다면, 가열하여 배향 처리를 행하고,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배향 상태를 고정한다. 액정의 배향 상태는, 액정 분자가 층에 평행하게, 또한 그 분자 장축이 일 방향으로 가지런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는다. 액정층(602)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법으로서는,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볼록판 인쇄법, 오목판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층(603)으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준비한다. 투명 기재층(603)의 표면에도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배향 상태를 결정하는 사전 처리를 실시해 둔다. 그리고, 투명 기재층(603) 상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구성하기 위한 액정 재료를 전면에 도포하고, 또한 배향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을 형성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6(B)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으면, 액정층(602)과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을 서로 마주 보게 하여 양자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한다. 이렇게 하여, 도 6(C)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는다. 즉, 투명 보호층(601), 패터닝되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 콜레스테릭 액정층(604), 투명 기재층(603)과 적층된 상태를 얻는다. 액정층(602)과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액정층(602)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의 굴절률 또는 단축 방향의 굴절률에 가까운 값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굴절률과 액정층(602)의 장축 방향 또는 단축 방향의 굴절률이 크게 차이가 나면, 굴절률의 차이에 기인하여, 직접 눈으로 본 경우에 액정층(602)의 패턴이 희미하게 인식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증대한다. 전술한 접착제의 굴절률의 선택을 행함으로써, 직접 눈으로 본 경우에, 액정층(602)의 패턴이 연하게 보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직접 눈으로 본 경우에 액정층(602)의 패턴이 안보이게 되는 광학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어 높은 식별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으면,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은색의 안료를 더한 점착 재료를 투명 기재층(603)이 드러낸 표면 상에 도포하고, 점착층 겸 광흡수층(605)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층겸 광흡수층(605)에 이형지(606)를 붙인다. 이렇게 하여 식별 매체(607)를 얻는다. 도 6(E)은, 도 6(D)에 나타내는 상태를 상하 역상으로 한 것이다. 도 6(E)에는, 이형지(606), 점착층 겸 광흡수층(605), 투명 기재층(603), 콜레스테릭 액정층(604), 패터닝되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 투명 보호층(601)과 적층된 구조의 식별 매체(607)가 나타나고 있다. 식별 매체(607)를 식별 대상의 물품에 고정하는 경우, 이형지(606)를 점착층 겸 광흡수층(605)으로부터 벗기고, 점착층 겸 광흡수층(605)을 식별 대상의 물품에 붙인다. 그리고 식별을 행할 때에는, 투명 보호층(601)측으로부터 관찰을 행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액정층(602)의 패턴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에 더하여, 이 홀로그램 가공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를 식별의 대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하는 데에는, 도 6(B) 상태에 있어서, 틀을 가압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요철 구조를 부여하면 된다.
또,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층(602)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액정층(602)의 패턴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에 더하여, 이 홀로그램 가공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를 식별의 대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액정층(602)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하는 데에는, 도 6(A) 상태에 있어서, 틀을 가압하여 액정층(602)에 요철 구조를 부여하면 된다.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을 소정의 패턴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전면에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형성해 두고, 서멀 프린터 등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가열을 행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적인 가열을 행한 부분의 배향성이 변화되고, 그 부분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 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선택적인 가열이 행해지지 않은 부분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 패턴이 된다. 또한, 투명 보호층(601)을 배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투명 보호층(601) 대신에 적당한 기재층을 이용하여 그것을 도 6(C) 이후의 단계에서 제거하면 된다.
(1-2) 제1 실시 형태의 동작
이하, 도 6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의 식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에 의해서 ABC와 무늬 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은, 빨간색의 우회전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직접 관찰의 경우)
도 7은, 도 6의 식별 매체(607)가 보이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A)은, 편광 필터를 통하지 않고, 식별 매체(607)를 그대로 직접 관찰한 경우의 보이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전면이 빨간색으로 보인다. 즉,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에 다양한 편광 상태를 포함하는 자연광이 입사되므로, 1/2 파장판으로서의 광학 작용은, 액정층(6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구별할 수 없다(혹은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의해서 반사된 빨간색의 우원편광이 관찰되고 전면이 빨간색으로 보인다.
또한, 식별 매체(607)를 기울여, 시야각을 서서히 크게 해 가면, 적→주황→황→녹→청으로 단파장측으로 시프트해가는 칼라 시프트를 관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면, 시야각을 변화 시켜 간 경우에, 칼라 시프트를 수반한 홀로그램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우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관찰)
다음에 우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인 우선회 투과 필터를, 도 6(E)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의 투명 보호층(601) 상에 겹쳐 식별 매체(607)를 관찰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B)에 나타내는 원리에 의해, 빨간색 배경 안에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가 검게 떠오른다(도 7(B)).
즉,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매체(100)에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겹친 경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을 투과한 광은,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의해서 반사되지 않는다. 즉, 도 6(E)의 식별 매체(607)의 투명 보호층(601)에 우선회 투과 필터를 겹친 경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을 투과한 입사광은 좌원편광이 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있어서 반사되지 않으며, 그것을 투과하여 점착층 겸 광흡수층(605)에 있어서 흡수된다. 따라서, 액정층(602)의 패턴은 검게 보인다.
이것에 대해서, 액정층(6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으로부터의 빨간색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액정층(6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은 붉게 보인다. 따라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빨간색 배경 안에 검게 무늬 ABC가 떠오른다. 또, 이 우선회 투과 필터(104)를 겹친 경우에 있어서, 시야각을 크게 해가면, 배경의 빨간색의 표시색이 칼라 시프트에 의해서 서서히 단파장측의 색으로 시프트한다. 즉, 적→주황→황→녹→청으로 단파장측으로 시프트해 가는 배경색 중에, 검게 무늬 ABC가 표시되는 상태가 관찰된다.
(좌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관찰)
다음에 좌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인 좌선회 투과 필터를, 도 6(E)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의 투명 보호층(601) 상에 겹쳐 식별 매체(607)를 관찰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C)에 나타내는 원리에 의해, 검은 배경 안에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가 붉게 떠오른다(도 7(C)).
즉,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선회 투과 필터(113)를 겹친 경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103)에는 좌원편광(115)이 입사한다. 그리고, 액정층(103)을 투과 후에는, 우원편광(116)이 되고,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의해서 반사된다.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102)에 의해서 반사된 우원편광(117)은, 액정층(103)에 재입사하고, 액정층(103)의 1/2 파장판으로서의 기능에 의해, 좌원편광(118)으로 변환된다. 이 좌원편광(118)은, 좌선회 투과 필터(113)를 투과하므로 관찰 가능해진다. 즉, 도 6(E)의 식별 매체(607)의 투명 보호층(601)에 좌선회 투과 필터를 겹친 경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을 투과한 입사광은,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있어서 반사된다.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있어서 반사된 빨간색의 우원편광은, 액정층(602)에 재차 입사하고, 좌원편광이 되며, 투명 보호층(601) 상에 겹친 좌선회 투과 필터를 투과한다. 따라서, 액정층(602)의 패턴은 붉게 보인다.
이것에 대해서, 액정층(6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좌원편광이 입사하므로,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없고(혹은 약하고), 반사광은 관찰되지 않는다(혹은 약하게 관찰된다). 따라서, 액정층(6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은, 검게(혹은 진한 색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은 배경 안에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의 패턴이 붉게 떠올라 보인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식별 매체(607)를 기울이면,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가, 칼라 시프트를 나타내고, 그 발색이 적→주황→황→녹→청으로 단파장측에 시프트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광학 특성)
이와 같이, 도 6의 식별 매체(607)는 시야각 0°에서(즉 수직으로) 직시한 경우에 전체가 붉게 보이고, 또 시야각을 크게 하면, 전체가 칼라 시프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식별 매체(607)에 우선회 투과 필터를 겹쳐 시야각 0°에서 보면,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가 붉은 배경의 안에 검게 떠올라 보인다. 또, 시야각을 크게 해가면, 배경만이 칼라 시프트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 매체(607)에 좌선회 투과 필터를 겹쳐 시야각 0°에서 보면, 액정층(602)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가 검은 배경 안에 붉게 떠올라 보인다. 또, 시야각을 크게 해 가면, 무늬 ABC만이 검은 배경 안에서 칼라 시프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이한 보이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식별 매체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604)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하면, 전술한 칼라 시프트 현상이 홀로그램의 무늬를 떠오르게 하도록 작용하므로, 더욱 복잡한 보이는 방식을 관찰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도 6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에 있어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602)의 두께를 패턴마다 미묘하게 다르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도 7의 무늬 ABC의 각 문자의 외관의 진함에 농담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늬 A 및 C를 구성하는 액정층(602)의 두께를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설정하고, 무늬 B를 구성하는 액정층(602)의 두께를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보다 약간 얇게(혹은 약간 두껍게)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무늬 B에서의 액정층(602)의 1/2 파장판으로서의 기능이 약간 불완전해진다. 이 결과, 도 7(C)에 나타내는 좌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전술한 조건으로부터의 어긋남에 기인하여, 무늬 B를 투과하여 관찰되는 광의 좌선회 투과 필터를 투과할 때의 손실이 증대한다. 이 결과, 무늬 A 및 C와 비교하여, 무늬 B의 표시가 약하게 보인다. 이 결과, 무늬 B가 무늬 A 및 C와 비교하여 약간 희미하게(약간 약한 광강도) 관찰된다.
이 원리를 응용하면, 하나의 문자(혹은 적당한 무늬) 중에서 농담(그라데이션)을 부여한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도 6의 액정층(602)에 의해서 무늬 ABC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각 문자를 구성하는 액정층(602)의 두께를 정면 왼쪽에서 세로 줄무늬형으로 서서히 감소시킨 설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각 문자 패턴에 있어서, 액정층(602)의 제일 좌측을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하여, 그로부터 세로 줄무늬형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두께를 얇게 하는 설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도 7(C)에 나타내는 좌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무늬 ABC의 각 문자가, 세로 줄무늬형으로 왼쪽에서 단계적으로 희미해지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원리에 의해, 액정층(602)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 연속적으로 농담이 변화한 표시를 관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액정층(602)의 두께는, 인쇄 시에서의 액정 재료의 기재로의 부착량이나 도포량의 조정에 의해 간단하게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계조 식별 표시의 기능은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계조 식별 표시의 기능을 이용하면, 농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므로, 예를 들면 간단한 풍경의 표시 등을, 식별을 행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시야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나타내는 칼라 시프트 기능을 함께 관찰할 수 있으므로, 농담이 있는 무늬를 색채의 변화를 수반하여 관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학 필터를 이용한 관찰에 있어서, 매우 특이한 보이는 방식이 된다. 또, 액정 재료의 선택이나 두께의 설정이라는 제조 조건을 모르면, 이 특이한 보이는 방식을 재현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따라서, 위조가 곤란한 식별 매체를 얻을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3-1) 제3 실시 형태의 제조 공정
이하, 광반사층과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이용한 식별 매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식별 매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적당한 수지 필름(801)을 준비한다. 수지 필름(801)은, 기재로서 기능하는 필름이며, 예를 들면 PET 필름 등을 이용하면 된다. 수지 필름(801)을 준비하면, 그 한 쪽의 표면에 광반사층(802)으로서 알루미늄 증착층을 부착한다. 또, 그 다른 쪽의 표면에 점착층(803)을 설치하고, 다시 점착층(803)의 노출된 표면에 이형지(804)를 붙인다. 이렇게 하여 도 8(A)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는다.
다음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보호층(805)으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준비한다. 투명 보호층(805)은,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혹은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로의 영향이 적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층(805)에는, 미리 액정을 배향시키기 위한 사전 처리(러빙 처리)를 실시해 둔다. 배향 처리는, 액정 패널의 제조 기술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행하면 된다. 다음에 인쇄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에 액정층(806)을 형성한다. 액정층(806)은,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설정한다. 액정층(806)을 형성했다면, 배향 처리를 행하고, 액정 분자를 배향시킨다. 액정 재료로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배향 상태가 고정되는 것이나, 사용하는 환경 온도보다 충분히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액정 고분자를 이용한다. 구체적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일상적인 사용 환경을 상정한 경우에는 6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낮은 경우는, 예를 들면 직사광선이 닿는 차내에 방치되는 경우와 같이 사용 중의 환경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아져 액정의 배향 상태가 변화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배향 처리에 있어서는, 액정층(806)을 형성한 후에, 가열함으로써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고, 그 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배향 상태를 고정하거나, 유리 전이 온도 이 하로 급속히 냉각함으로써 배향 상태를 유리 고정화한다. 액정의 배향 상태는, 액정 분자가 층에 평행하게, 또한 그 분자 장축이 일방향으로 가지런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상태를 얻는다.
다음에 도 8(A)에 나타내는 부재와 도 8(B)에 나타내는 부재를, 광반사층(802)과 액정층(806)이 마주 보게 되는 상태로 붙인다. 이렇게 하여, 도 8(C)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807)를 얻는다. 식별 매체(807)는,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801) 상에 광반사층(802)이 설치되고, 그 위에 액정층(806)에 의한 소정의 무늬 패턴이 형성되며, 또한 그 위에 투명 보호층(80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수지 필름(801)의 이면측에는 점착층(803)과 이형지(804)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 매체(807)를 식별 대상이 되는 물품에 고정할 때, 이형지(804)를 벗기고, 점착층(803)을 당해 물품에 붙이면 된다.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806)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전면에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형성해 두고, 서멀 프린터 등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가열을 행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적인 가열을 행한 부분의 배향성이 변화되고, 그 부분이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선택적인 가열이 행해지지 않은 부분을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 패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층(805)을 배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투명 보호층(805) 대신에 적당한 기재층을 이용하고, 그것을 도 8(C)의 단계에서 제거하면 된다.
(3-2) 제3 실시 형태의 동작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807)의 식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806)에 의해서 ABC와 무늬 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보이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직접 관찰)
도 8의 식별 매체(807)를 그대로 직접 관찰한 경우, 광반사층(802)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하게 관찰된다. 이것은, 특정한 편광 상태에 없는 자연광이 식별 매체(807)에 입사하므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806)의 존재는 두드러지지 않고, 액정층(806)의 패턴은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동일하게 금속 광택으로 보인다.
(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통해 관찰)
식별 매체(807)의 투명 보호층(805)에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겹쳐 식별 매체를 관찰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액정층(806)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하지 못하고, 그 부분이 검게 보인다. 즉 ,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광택이 있는 배경의 안에 검게 무늬 ABC가 떠오른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매체(200)에 X축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를 겹친 경우,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를 투과한 X축 직선 편광(205)은, 1/4 파장판을 구성하는 액정층(202)을 투과함으로써 우원편광(206)이 되고, 광반사층(201)에 있어서 반사함으로써 좌원편광(207)이 된다. 이 좌원편광(207)은, 액정층(202)을 투과함으로써 X축 직선 편광(205)과 편파 방향이 직교하는 Y축 직선 편광(208)이 된다(Y축은, 도 5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임). 따라서, Y축 직선 편광(208)은, 직선 편광 투과 필터(203)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 원리에 의해, 도 8의 액정층(806)이 존재하는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은 관찰되지 않고, 액정층(806)의 부분은 검게 보인다. 한편, 액정층(806)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그대로 광반사층(802)으로부터의 반사광이 관찰되므로, 금속 광택으로 보인다. 그 때문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의 액정층(806)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늬 ABC는, 금속 광택의 배경에 안에 검게 떠올라 보인다.
(원편광 투과 필터를 통해 관찰)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원편광 투과 필터)를 통해 식별 매체(807)를 관찰한 경우도 무늬 ABC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원리도에 있어서, 부호 203의 광학 필터가 원편광 투과 필터로 변경된다. 예를 들면, 우선회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우선회 투과 필터를 부호 203의 직선 편광 투과 필터 대신에 이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부호 205의 광선이 우원편광이 되고, 부호 206 및 207의 광선이 X축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부호 208의 광선이 우원편광이 되고, 그것은 부호 203의 위치에서의 우선회 투과 필터를 투과한다. 또, 1/4 파장판을 구성하는 액정층(20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장소는, 광반사층(201)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선회 방향이 반전하여 좌원편광이 되므로, 그것은 우선회 투과 필터를 투과하지 않고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부분은 검 게 보인다. 이 원리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액정층(806)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원편광 투과 필터를 이용한 관찰을 행함으로써, 검은 배경 안에 금속 광택이 있는 무늬 ABC가 떠오른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광학 특성)
이와 같이, 도 8의 식별 매체(807)는, 직시하면 전면이 금속 광택으로 보이고,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관찰하면, 금속 광택의 배경 안에 검게 무늬가 떠오르는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또,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관찰하면, 검은 배경 안에 금속 광택의 무늬가 떠오르는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반사층(802)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광반사층(802)에 홀로그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광반사층(802)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관찰했을 때에, 홀로그램 화상을 인식할 수 있고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도 8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807)에 있어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806)의 두께를 패턴마다 미묘하게 다르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도 9의 무늬 ABC의 각 문자의 외관의 진함에 농담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늬 A 및 C를 구성하는 액정층(806)의 두께를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설정하고, 무늬 B를 구성하는 액정층(806)의 두께를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보다 약간 얇게(혹은 약간 두껍게)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무늬 B에서의 액정층(806)의 1/4 파장판으로서의 기능이 약간 불완전해지고, 무늬 B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어스펙트비가 큰 타원편광이 된다. 그 때문에, 도 9(B)에 나타내는 직선 편광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무늬 B의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직선 편광 필터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은 직선 편광의 성분이 포함되게 되고, 무늬 B의 검은 표시가, 무늬 A 및 C와 비교하여 연하게 보인다. 즉, 무늬 A 및 C가 진한 검은색으로 보이고 무늬 B가 연한(희미한) 검은색으로 보인다.
이 원리를 응용하면, 하나의 문자(혹은 적당한 무늬) 중에서 농담(그라데이션)을 더한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의 액정층(806)에 의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무늬 ABC의 패턴이 형성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각 문자를 구성하는 액정층(806)의 두께를 정면 왼쪽에서 세로 줄무늬형으로 서서히 감소시킨 설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각 문자 패턴에 있어서, 액정층(806)의 제일 좌측을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로 하여, 거기로부터 세로 줄무늬형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두께를 얇게 한 설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도 9(B)에 나타내는 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통한 관찰에 있어서, 무늬 ABC의 각 문자가, 세로 줄무늬형으로 왼쪽에서 단계적으로 희미해지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원리에 의해, 액정층(806)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 연속적으로 농담이 변화된 상태를 관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액정층(806)의 두께는, 인쇄 시에서의 액정 재료의 기재로의 부착량이나 도포량의 조정에 의해 간단하게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계조 식별 표시의 기능은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 계조 식별 표시의 기능을 이용하면, 농담의 관찰이 가능해지므로, 예를 들면 간단한 풍경의 표시 등을, 식별을 행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재료의 선택이나 두께의 설정이라는 제조 조건을 모르면, 이 농담의 미묘한 표현을 재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위조가 곤란한 식별 매체를 얻을 수 있다.
5. 제5 실시 형태
(구성)
이하, 도 6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은, 식별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607)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장치(901)가 나타나 있다. 식별 장치(901)는, 제1 화상 인식 수단(902)과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화상 인식 수단(902)은, 제1 촬상 장치(CCD 카메라 : 902a), 라이트(902b), 및 우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우선회 투과 필터(902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은, 제2 촬상 장치(CCD 카메라 : 903a) 및 라이트(903b)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화상 인식 수단의 차이는, 우선회 투과 필터(902c)의 유무이다. 또 식별 장치(901)는 스테이지(90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테이지(904) 상에 식별 매체(607)(도 6 참조)를 붙인 물품(905)이 적재된다. 스테이지(904)는, 제1 화상 인식 수단(902)과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0에는, 스테이지(904)가, 제1 화상 인식 수단(902) 아래에 위치한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제1 촬상 장치(902a)는, 우선회 투과 필터(902c)를 통해, 식별 매체(607)를 촬상한다. 라이트(902b)는, 이 촬상 시에 발광하고, 식별 매체(607)에 광을 쬐어, 촬상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한다. 제2 촬상 장치(903a)는,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 고 식별 매체(607)를 직접 촬상한다. 라이트(903b)는, 이 촬상 시에 발광하고, 식별 매체(607)에 광을 쬐어 촬상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한다.
또, 식별 장치(901)는, 화상 비교 장치(906), 기억 장치(907), 및 비교 결과 출력 장치(908)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비교 장치(906)는, 제1 촬상 장치(902a)의 화상 출력과, 제2 촬상 장치(903a)의 화상 출력을 따라, 양 화상을 기억 장치(907) 내에 기억된 기준 화상과 비교한다. 기억 장치(907)는, 식별 수단(607)의 진정을 판단할 때의 기준이 되는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기억 장치(907)에는, 후술하는 식별 장치의 동작 순서를 결정하는 동작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기억 수단(907)으로서는,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장치가 채용된다. 비교 결과 출력 장치(908)는, 화상 비교 장치(906)에 의한 비교 결과(진정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비교 결과 출력 장치(908)는, 소리에 의한 출력 수단(예를 들면, 진정 판단이 가짜인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하는 버저)이어도 된다. 또, 비교 결과 출력 장치(908)를, 진정 판단 OK이면 초록 램프 점등, 진정 판단 NO이면 빨간 램프 점등이라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동작)
식별 동작 전에, 미리 기억 장치(907)에 진정이 보증된 기준 식별 매체의 화상을 기준 화상으로서 기억시켜 둔다. 이 예에 있어서는, 기준 화상으로서 우선회 투과 필터를 통해 기준 식별 매체를 촬상했을 때의 화상 데이터와, 우선회 투과 필터를 통하지 않고 직접 기준 식별 매체를 촬상했을 때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907)에 기억해 둔다.
식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별 대상이 되는 물품(905)을 스테이지(904) 상에 적재한다. 물품(905)이 스테이지(904) 상에 적재되면, 도시하지 않는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되어 이하의 순서가 자동적으로 실행되고, 식별 매체(607)의 진정 판단이 행해진다. 즉, 물품(905)이 스테이지(904) 상에 적재된 상태에 있어서, 스테이지(904)는, 제1 화상 인식 수단(902)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라이트(902b)를 점등하여, 제1 촬상 장치(902a)에 의해서, 우선회 투과 필터(902c)를 통한 식별 매체(607)의 촬상이 행해진다. 이 촬상 화상은, 화상 비교 장치(906)에 출력된다. 화상 비교 장치(906)는, 기억 장치(907)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화상(우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촬상 화상)을 독출하고, 그것을 제1 촬상 장치(902a)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과 비교한다. 화상 비교 장치(906)는, 비교한 화상이 일치, 혹은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그것이 허용되는 정도의 것이면, 진정이라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가짜라고 판단하여, 그 취지의 제1 판단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테이지(904)는, 제2 화상 인식 수단(903)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라이트(903b)를 점등하여, 제2 촬상 장치(903a)에 의해서 식별 매체(607)의 촬상이 행해지고, 그 촬상 화상은 화상 비교 장치(906)에 출력된다. 화상 비교 장치(906)는, 기억 장치(907)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화상(우선회 투과 필터를 통하지 않는 촬상 화상)을 독출하고, 그것을 제2 촬상 장치(903a)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과 비교한다. 화상 비교 장치(906)는, 비교한 화상이 일치, 혹은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그것이 허용되는 정도의 것이면, 진정이라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가짜라고 판단하며, 그 취지의 제2 판단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판단 신호와 제2 판단 신호가 모두 진정을 의미하는 것이면, 비교 결과 출력 장치(908)는, 판단 결과가 진정이라는 취지의 출력을 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판단 결과가 가짜라는 취지의 출력을 행한다.
6. 제6 실시 형태
이하, 도 8에 나타내는 식별 매체(807)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식별 장치(901)에 구비하는 광학 필터를 우선회 투과 필터(902c)로부터 직선 편광 투과 필터로 교환한다. 또, 기억 장치(907)에 기억시키는 기준 화상도 대응하는 것으로 변경한다. 진정 판단에서의 동작 순서는, 제5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7. 제7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와 제6 실시 형태의 양쪽 모두의 기능을 구비한 식별 장치라고 해도 된다. 이 경우, 부호 902c의 광학 필터로서 우선회 투과 필터와 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준비하고, 어느 한 쪽을 적절히 광로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적당한 구동 기구에 의해, 우선회 투과 필터 또는 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작동시키고, 부호 902c의 부분에 적절히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기억 장치(907)에는, 각 식별 매체에 따른 기준 화상을 기억시켜 둔다. 이 태양에 의하면, 도 6의 식별 매체(607)와 도 8의 식별 매체(807)의 양쪽 모두에 대응할 수 있다. 식별 동작을 행할 때에는, 식별 매체의 종류에 따라, 우선회 투과 필터 또는 직선 편광 투과 필터를 광로에 삽입하고,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 순서를 실행한다. 이 때, 기준 화상은, 대응하는 식별 매체의 것을 선택한다.
8. 제8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에 좌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좌선회 투과 필터를 배치하고, 이 좌선회 투과 필터를 통해, 식별 매체(607)를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화상 인식 수단(902)에서의 우선회 투과 필터(902c)를 통한 식별 매체의 촬상 화상과,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에서의 좌선회 투과 필터를 통한 식별 매체의 촬상 화상이 화상 비교 장치(906)에 있어서, 각각 기준 화상과 비교된다. 도 2(B)와 도 2(C)에 원리를, 그리고 도 7에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도록, 1/2 파장판을 이용한 식별 매체(607)는, 우선회 투과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화상과, 좌선회 투과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화상에 있어서, 반사/비반사의 영역이 반전한다. 이 차이는 당연히 촬상되는 화상의 차이에 반영되므로, 제1 화상 인식 수단(902)과 제2 화상 인식 수단(903)에 있어서 다른 화상이 취득된다. 이 경우, 2종류의 취득 촬상을 기준 화상과 비교하여 진정의 판단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진정을 판단하기 위한 식별 매체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별 매체는, 식별 대상이 되는 물품에 직접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식별 매체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물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또는 상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와 상이한 두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5.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으로서,
    소정의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단계와,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7.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이 콜레스테릭 액정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로서,
    소정의 선회 방향의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9.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에 홀로그램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은,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와 상이한 두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매체.
  13.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의 식별 방법으로서,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단계와,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15.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고 설치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식별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로서,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학 필터를 통해,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1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광학 필터를 통하지 않고 상기 식별 매체를 화상 인식하는 제2 화상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두께의 ±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KR1020087024740A 2006-04-03 2007-03-30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KR101103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1907A JP4866129B2 (ja) 2006-04-03 2006-04-03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JP-P-2006-101907 2006-04-03
PCT/JP2007/057293 WO2007116844A1 (ja) 2006-04-03 2007-03-30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33A true KR20090004933A (ko) 2009-01-12
KR101103224B1 KR101103224B1 (ko) 2012-01-05

Family

ID=3858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740A KR101103224B1 (ko) 2006-04-03 2007-03-30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79394B2 (ko)
EP (1) EP2006750B1 (ko)
JP (1) JP4866129B2 (ko)
KR (1) KR101103224B1 (ko)
CN (1) CN101416123B (ko)
HK (1) HK1132048A1 (ko)
WO (1) WO2007116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1537B (zh) * 2006-08-09 2012-12-12 日本发条株式会社 识别介质、识别介质的制造方法、物品和识别介质的识别方法
JP4984776B2 (ja) * 2006-09-15 2012-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偽造防止ラベル、印刷物、転写箔、および判別方法
JP4875003B2 (ja) 2008-01-22 2012-02-15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3373B2 (ja) * 2008-03-06 2013-11-13 凸版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5227623B2 (ja) 2008-03-18 2013-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屈折パターンを有する物品の製造方法
JP5121680B2 (ja) * 2008-12-08 2013-01-16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5423031B2 (ja) * 2009-02-16 2014-02-19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素子
JP5307663B2 (ja) * 2009-08-24 2013-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再生画像読み取り方法及び再生画像読み取り装置
JP5350187B2 (ja) * 2009-11-10 2013-11-27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5462884B2 (ja) * 2009-11-27 2014-04-02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4714301B1 (ja) * 2010-07-02 2011-06-29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および識別装置
JP5647047B2 (ja) * 2011-03-18 2014-12-24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
JP5813862B2 (ja) * 2011-09-16 2015-11-1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位置入力システム及び方法
JP6128749B2 (ja) * 2012-04-18 2017-05-17 日本発條株式会社 光学読み取り装置、光学読み取り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64717B2 (ja) * 2012-10-19 2016-08-03 日本発條株式会社 被覆部材
JP2014174471A (ja) * 2013-03-12 2014-09-22 Nippon Zeon Co Ltd 識別媒体、物品の識別方法、及び積層構造体
JP6065667B2 (ja) * 2013-03-12 2017-01-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識別媒体、物品の識別方法、及び積層構造体
JP6355382B2 (ja) * 2014-03-27 2018-07-11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5197604A (ja) * 2014-04-01 2015-11-0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09082A (ja) * 2014-06-24 2016-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具
JP6458370B2 (ja) * 2014-06-27 2019-0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具
JP2016012161A (ja) * 2014-06-27 2016-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具
CN104155800B (zh) * 2014-07-11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反射式液晶显示器
JP6511742B2 (ja) * 2014-07-17 2019-05-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具
JP6478015B2 (ja) * 2014-10-06 2019-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偽判定具
FR3028260B1 (fr) * 2014-11-12 2016-11-04 Nexter Systems Cellule a cristal liquide cholesterique a reflectivite augmentee
JP6732030B2 (ja) 2016-08-30 2020-07-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6765429B2 (ja) 2016-08-30 2020-10-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
EP3896501A4 (en) 2018-12-11 2022-09-14 Zeon Corporation AUTHENTICITY DETERMINATION VIEW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ETHOD O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AN AUTHENTICATION MEDIA AND AUTHENTICITY DETERMINATION SET
WO2021153761A1 (ja) * 2020-01-31 2021-08-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識別媒体、物品、及び識別媒体の使用方法
JPWO2021220708A1 (ko) * 2020-04-28 2021-11-04
EP4318058A1 (en) * 2021-03-30 2024-02-07 Zeon Corporation Optical display medium, article, and method for using optical display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0797B2 (ja) 1999-02-22 2009-07-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正性識別方法並びに真正性識別体
JP3984470B2 (ja) * 2001-12-20 2007-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正性識別体、真正性識別用具、およ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並びに真正性識別方法
JP2003207635A (ja) * 2002-01-15 2003-07-25 Nhk Spring Co Ltd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JP2003231380A (ja) * 2002-02-12 2003-08-19 Nhk Spring Co Ltd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JP4392826B2 (ja) 2003-05-16 2010-01-06 日本発條株式会社 対象物の識別媒体及び識別方法
JP4257903B2 (ja) 2003-10-28 2009-04-30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識別媒体の識別方法、識別対象物品および識別装置
JP4606195B2 (ja) 2004-03-08 2011-0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化合物、液晶組成物、重合体、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
DE102004039355A1 (de) 2004-08-12 2006-02-2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4021246A1 (de) * 2004-04-30 2005-11-24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416119B2 (ja) 2004-06-07 2010-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広帯域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107681B1 (ko) * 2004-12-29 201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6750A4 (en) 2010-10-27
US20090128772A1 (en) 2009-05-21
EP2006750A2 (en) 2008-12-24
KR101103224B1 (ko) 2012-01-05
EP2006750B1 (en) 2014-08-20
CN101416123A (zh) 2009-04-22
CN101416123B (zh) 2012-08-01
HK1132048A1 (en) 2010-02-12
EP2006750A9 (en) 2009-07-29
JP2007279129A (ja) 2007-10-25
WO2007116844A1 (ja) 2007-10-18
JP4866129B2 (ja) 2012-02-01
US8279394B2 (en)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224B1 (ko)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KR101358542B1 (ko) 식별 매체, 식별 방법 및 식별 장치
US5678863A (en) High value documents
US8168080B2 (en) Identifying medium, identifying medium manufacturing method, article, and identifying medium identifying method
EP1684098B1 (en) Discriminating medium,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medium and article to be discriminated
JP5231163B2 (ja) 識別媒体および物品
JP5121680B2 (ja)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2008137232A (ja) 積層体、粘着ラベル、転写箔、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キット及び判別方法
JP2011191769A (ja) 識別媒体、識別方法および識別装置
JP2008139507A (ja) 積層体、粘着ラベル、記録媒体、ラベル付き物品及び判別方法
JP2004354430A (ja) 識別媒体、識別対象物品、判定装置、識別媒体の判定方法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10

Effective date: 201107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