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68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68A
KR20090004668A KR1020080063694A KR20080063694A KR20090004668A KR 20090004668 A KR20090004668 A KR 20090004668A KR 1020080063694 A KR1020080063694 A KR 1020080063694A KR 20080063694 A KR20080063694 A KR 20080063694A KR 20090004668 A KR20090004668 A KR 2009000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wall
leg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411B1 (ko
Inventor
료오이찌로오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6Belt fasteners
    • Y10T24/1604Tigh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01Buckle
    • Y10T24/3423Buckle and separable fastening means for attached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6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구비한다. 수형 부재는 기부(10)와, 한 쌍의 다리부(20)와, 각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는 삽입구(41)와,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다리부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가이드부(50)와, 가이드부의 안쪽부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피결합부(60)를 구비한다. 각 피결합부는 각 결합부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이격 방향 안쪽부에 각 결합부가 접촉하는 접촉벽(61D)을 갖는 오목부(61)에 의해 형성된다. 각 접촉벽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 암형 부재, 기부, 다리부, 결합부, 삽입구, 가이드부, 피결합부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문헌 1(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2594412호 공보)에 개시된 버클이 알려져 있다.
이 버클은 서로 연결되는 부재의 한쪽에 장착되는 삽입체와, 다른 쪽에 장착되는 버클 본체를 구비한다. 삽입체는 버클 본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를 갖는다. 버클 본체에는 다리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다리부의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체의 결합부와 버클 본체의 피결합부는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결합면에서 결합된다.
즉, 도12a,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110)의 결합부(111)에는, 삽입체(110)의 삽입 방향 후단면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삽입 방향 으로 경사진 결합면(112)이 형성되어 있다. 버클 본체(120)의 피결합부(121)에는, 삽입체(110)의 삽입 방향 선단면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피결합면(1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체(110)를 버클 본체(120)에 삽입하면, 다리부(113)의 결합부(111)가 피결합부(121)에 접촉하고, 다리부(113)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도12a의 상태 참조). 또한, 삽입체(110)를 버클 본체(120)에 삽입하고, 결합부(111)가 피결합부(121)를 넘으면, 다리부(113)가 외측으로 탄성 복귀되고, 결합면(112)과 피결합면(122)이 결합된다(도12b의 상태 참조). 이에 의해, 삽입체(110)가 버클 본체(120)에 결합된다.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버클의 경우, 도12b의 상태에 있어서, 삽입체(110)와 버클 본체(120)에 인장력, 즉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결합면(112)과 피결합면(122)이 경사면이 되기 때문에 삽입체(110)와 버클 본체(120)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반면, 삽입체(110)가 버클 본체(120)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체(110)와 버클 본체(120)에 덜걱거림이 발생한다.
즉, 결합부(111)와 피결합부(121)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부(111)가 피결합부(121)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체(110)가 삽입될 필요가 있다. 그 후 결합부(111)가 피결합부(121)를 넘으면 다리부(113)가 외측으로 탄성 복귀되고, 또한 삽입체(110)가 삽입 반대 방향으로 약간 복귀된 위치에서 결합면(112)과 피결합면(122)이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면(112)과 피결합면(122)의 경사분에 상당하는 삽입 방향 치수(L)가 삽입체(110)와 버클 본체(120)에 덜걱거림을 발생시키는 요인으 로 된다. 이와 같은 덜걱거림이 발생하면 충격음이 발생하거나 고급감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기부(基部)와, 이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이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수형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각 결합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피결합부는 상기 다리부의 이격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 결합부와 접촉하는 접촉벽을 갖고, 상기 각 접촉벽은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 접촉벽을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경사면(테이퍼면)이나 원호면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를 암형 부재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하면, 가이드부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간다. 곧, 수형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한 쌍의 다리부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각 결합부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 이격 방향에 대향 배치된 접촉벽에 접촉된다.
이때, 각 접촉벽은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결합부가 접촉하는 피결합부의 접촉벽이 경사면 등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를 피결합부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와 피결합부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간극에 의해 발생하는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부는 각 다리부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각 접촉벽에 접촉되고, 각 접촉벽은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및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한 쌍의 다리부가 탄성 변형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들 2방향에 대한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부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접촉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즉 각 결합부가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의 인출 방향 저항을 부여할 수 있고,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결합력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벽에 접촉하는 상기 결합부의 접촉부 는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각 접촉벽의 벽면과 대략 일치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접촉벽에 접촉하는 결합부의 접촉부도 각 접촉벽의 벽면과 대략 일치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결합부의 접촉벽과 결합부의 접촉부를 면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수형 부재의 인출 방향 저항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결합력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각 피결합부는 상기 접촉벽의 삽입구 측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피걸림 고정벽을 갖고, 상기 각 결합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기 기부 측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고 또한 상기 피걸림 고정벽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인출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피결합부의 접촉벽의 경사면을 따라 결합부의 접촉부가 이동되고, 결합부의 걸림 고정벽이 피걸림 고정부의 피걸림 고정벽에 걸림 고정된다.
이 결합부의 걸림 고정벽과 피걸림 고정부의 피걸림 고정벽은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걸림 고정벽과 피걸림 고정벽에 의해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작용하는 인출 방향의 힘을 확실히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작용하는 인출 방향의 힘에 대해서도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가 간단히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의 상기 기부에는 상기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측의 양 측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맞댐부가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는 상기 삽입구측에 상기 수형 부재의 맞댐부와 밀착하는 맞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수형 부재의 맞댐부가 암형 부재의 맞댐부에 밀착되므로,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이 얻어지는데다가, 덜걱거림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내측면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갖는 연결 띠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이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각 결합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내부에 끈 장착 구멍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이 프레임 중 상기 다리부가 설치된 테두리 부재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연결 띠는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는 상기 암형 부재와의 맞댐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맞댐부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 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띠는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버클에 있어서, 수형 부재가 내부에 끈 장착 구멍을 갖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끈 장착 구멍의 개구가 작아 끈 형상 부재를 끈 장착 구멍에 삽입하기 힘들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에 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 예를 들어 한 쌍의 다리부를 외측으로 압박하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혹은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이물질 등이 인입되어, 한 쌍의 다리부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동작이 행해지면 다리부가 손상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기부는 내부에 끈 장착 구멍을 갖는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이 프레임 중 다리부가 설치된 테두리 부재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내의 끈 장착 구멍의 개구를 크게 할 수 있어 끈 형상 부재를 끈 장착 구멍에 삽입하기 쉽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의 내측면 사이가 탄성을 갖는 연결 띠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다리부가 소정 이상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다리부에 과도한 인장력(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띠는 중앙부가 기부의 테두리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즉 테두리 부재의 중앙부와 연결 띠 의 중앙부 사이의 공간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에 이물질이 인입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이 공간에 이물질이 인입되어 다리부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구성>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사시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끈 형상 부재의 단부(2, 3)를 연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형 부재(A)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수형 부재(A)가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의 다른 재료라도 좋다.
수형 부재(A)는 기부(10)와, 이 기부(10)의 폭 방향[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 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를 구비한다.
기부(10)는, 내부 중앙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2)가 삽입 걸림 고정되는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11)을 갖는 대략 오각 형상의 프레임(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끈 장착 구멍(11)의 중간이며 프레임(12)의 폭 방향으로 연결 레버(13)가 가설되고, 이 연결 레버(13)에 의해 끈 장착 구멍(11)이, 다리부(20)가 설치된 삽입 방향 전단부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인 삽입 방향 후단부측의 2개의 끈 장착 구멍(11A, 11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를 끈 장착 구멍(11A, 11B)에 삽입 관통시켜 연결 레버(13)의 주위로 선회시킴으로써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끈 장착 구멍(11A)은 한 쌍의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그 폭 치수[다리부(20)의 돌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가 점차 감소하면서 연장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 중 다리부(20)가 설치된 테두리 부재(12A)는 암형 부재(B)와의 맞댐부(14)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댐부(14)는 테두리 부재(12A)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테두리 부재(12A)의 다리부(20)가 설치된 면에 테두리 부재(12A)의 외주 윤곽 형상보다 약간 작은 윤곽 형상으로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으로 약간 돌출한 끼워 맞춤 볼록부(15)를 갖는다.
다리부(20)는 기부(10)의 양측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편부(21)와, 이 탄성편부(21)의 선단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편부(22)를 갖는다.
탄성편부(21)는 탄성 변형 방향의 치수(폭 치수)가 표리 방향 치수보다 약간 작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부(22)는 탄성편부(21)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된 후 선단에서 결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측면이 선단을 향해 내측, 즉 각 다리부(20)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편부(22)의 내측면 사이는 탄성을 갖는 연결 띠(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띠(23)는 테두리 부재(12A)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역U자 형상을 나타내고, 한 쌍의 가이드편부(22)가 소정 이상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여, 다리부(20)에 과도한 인장력(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다리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결합부(30)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가이드편부(22)의 선단 표리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3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3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벽(31A), 전방측벽(31B), 전방 외측벽(31C), 후방 외측벽(31D) 및 후방측벽(31E)의 주위벽을 갖고, 인접하는 벽의 코너부가 원호면으로 연결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벽(31A)은 가이드편부(22)의 내측면측에 위치하고,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과 대략 평행한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벽(31B)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외측벽(31C)은 전방측벽(31B)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측벽(31A)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외측벽(31D)은 전방 외측벽(31C)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측벽(31A)에 접근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내측벽(31A)과 이루는 각이 약 45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외측벽(31C)과 후방 외측벽(31D)은 내측벽(31A)과는 반대측, 즉 가이드편부(22)의 외측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측벽(31E)은 전방측벽(31B)과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서 전후로 대향하는 벽이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돌기(31)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접촉벽으로서의 후방 외측벽(31D)과, 후방 외측벽(31D)의 기부(10) 측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걸림 고정벽으로서의 후방측벽(31E)을 갖는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B)는 도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표리면을 구성하는 표면벽(40A) 및 이면벽(40B)과,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40C)을 갖는 편평한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 본체(40)의 일단에는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가 삽입되는 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수형 부재(A)의 맞댐부(14)와 맞대어지 는 맞댐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맞댐부(42)는 수형 부재(A)의 맞댐부(14)와 합치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구(41)가 수형 부재(A)의 끼워 맞춤 볼록부(15)에 끼워 넣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의 타단에는 끈 형상 부재의 단부(3)가 삽입 걸림 고정되는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43) 및 연결 레버(4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측벽(40C)의 중간부에는, 표면벽(40A) 및 이면벽(40B)의 내부를 향해 오목 형상에 절결된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5)로부터는,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에 설치된 가이드편부(22)가 노출되고, 가이드편부(22)를 서로 내측으로 압박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가이드편부(22)는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조작부를 겸하고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의 내부에는, 삽입구(41)로부터 암형 부재 본체(4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결합부(30)를 안내하면서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50)와, 이 가이드부(50)의 안쪽부 양측에 각 결합부(30)가 결합되는 한 쌍의 피결합부(6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50)는 암형 부재 본체(40)의 표면벽(40A) 및 이면벽(40B)의 내면에, 삽입구(41)로부터 피결합부(60)를 향함에 따라서 폭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 홈(50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부(60)는 각 결합부(30)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오목부(6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1)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부재 본체(40)의 표면벽(40A) 및 이면벽(40B)의 내면에, 가이드홈(50A)의 안쪽부로부터 양 외측에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으로 절결 형성된 대략 오각 형상의 오목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결합부(30)가 이격하는 이격 방향 안쪽부에 오목부(61)의 충돌벽이 배치되고, 이 충돌벽에 각 결합부(30)가 접촉하는 접촉벽(61D)과, 이 접촉벽(61D)의 삽입구(41) 측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피걸림 고정벽(61E)을 갖는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벽(61D)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결합부(30)의 후방 외측벽(31D)과 대략 동일한 경사면에서, 이것과 접촉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 고정벽(61E)은 결합부(30)의 후방측벽(31E)이 걸림 고정되는 벽으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벽(40A)에 형성된 오목부(61)와 이면벽(40B)에 형성된 오목부(61)는 각각 표면벽(40A), 이면벽(40B)의 외측 표면에 개구되어 있다.
<실시 형태의 작용ㆍ효과>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를 암형 부재(B)의 삽입구(41)로부터 삽입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0)가 가이드 홈(50)에 안내되면서 암형 부재(B)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는 동시에,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간다. 곧, 결합부(30)가 가이드 홈(50A)을 넘어 피결합부(60)에 도달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각 결합부(30)는 서로 이격하는 방 향으로 변위되고, 이격 방향 안쪽부의 접촉벽(61D)을 압박하면서 접촉벽(61D)에 접촉된다.
각 접촉벽(61D)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결합부(30)가 접촉하는 피결합부(60)의 접촉벽(61D)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30)를 피결합부(60)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30)와 피결합부(60)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간극에 의해 발생하는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 결합부(30)는 각 다리부(2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각 접촉벽(61D)에 접촉되고, 각 접촉벽(61D)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및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한 쌍의 다리부(20)가 탄성 변형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간극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2방향에 대한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부(30)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접촉벽(61D)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즉 각 결합부(30)가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A)의 인출 방향 저항을 부여할 수 있고,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력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접촉벽(61D)에 접촉하는 결합부(30)의 후방 외측 벽(31D)도, 각 접촉벽(61D)의 경사면과 대략 일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결합부(60)의 접촉벽(61D)과 결합부(30)의 후방 외측벽(31D)을 면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수형 부재(A)의 인출 방향 저항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의 결합력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에 인출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합부(60)의 접촉벽(61D)의 경사면을 따라 결합부(30)의 후방 외측벽(31D)이 이동되고, 결합부(30)의 후방측벽(31E)이 피결합부(60)의 피걸림 고정벽(61E)에 걸림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편부(22)의 내측면 사이에 걸쳐진 연결 띠(23)에 의해,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변형이 억제되고, 결합부(30)의 후방측벽(31E)과 피결합부(60)의 피걸림 고정벽(61E)의 걸림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합부(30)의 후방측벽(31E)과 피결합부(60)의 피걸림 고정벽(61E)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후방측벽(31E)과 피걸림 고정벽(61E)에 의해,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에 작용하는 인출 방향의 힘을 확실히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에 작용하는 인출 방향의 힘에 대해서도,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가 간단히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하면, 수형 부재(A)의 맞댐부(14)가 암형 부재(B)의 맞댐부(42)에 밀착되므로,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이 얻어지는데다가,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킬 수 있기 때 문에 덜걱거림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다리부(45)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다리부(20)의 가이드편부(22)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결합부(30)가 피결합부(60)로부터 빠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인출하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변형예의 설명>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30)를 대략 오각형 형상의 돌기(31)에 의해 구성하고, 피결합부(60)를 대략 오각형 형상의 오목부(61)에 의해 구성했으나, 반드시 오각형 형상의 돌기나 오목부가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어, 결합부(30)에 대해서는 접촉부로서의 후방 외측벽(31D) 및 걸림 고정벽으로서의 후방측벽(31E)을 인접 변으로 갖는 다각형이라도 좋다. 피결합부(60)에 대해서는 접촉벽(61D) 및 피걸림 고정벽(61E)을 인접 변으로 갖는 다각형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30)의 접촉부로서의 후방 외측벽(31D)을, 내측벽(31A)과 이루는 각이 약 45도의 경사면으로 했으나, 경사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0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피결합부(60)의 접촉벽(61D)에 대해서도 30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해도 좋다.
혹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합부(60)의 접촉벽(61D) 및 결합부(30)의 접촉부로서의 후방 외측벽(31D)을 모두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면으로 해도 좋다. 즉,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또한 오목부(61)나 결합부(30)의 중앙으로부터 보아 볼록 형상을 나타내는 원호면으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암형 부재 본체(40)의 내부에 삽입구(41)로부터 피결합부(60)를 향해 가이드 홈(50A)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50A)에 의해, 결합부(30)를 안내하면서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도록 했으나,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50)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부재 본체(40)의 내부에, 결합부(30)에 접촉하여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후,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시키는 돌기(50B) 등을 형성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벽(40A)에 형성된 오목부(61)와 이면벽(40B)에 형성된 오목부(61)는 각각 표면벽(40A), 이면벽(40B)의 외측 표면에 개구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오목부(61) 또는 한쪽의 오목부(61)를 표면벽(40A), 이면벽(40B)의 외측 표면에 개구하지 않고, 돌기(50B)나 가이드 홈(50A)의 저벽과 대략 동일한 깊이로 형 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표면벽(40A)이나 이면벽(40B)의 외측 표면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로부터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V자 형상의 맞댐부(14, 42)를 형성했으나, 이들 맞댐부(14, 42)에 대해서는 V자 형상이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어 평탄한 면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각각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11, 43)을 형성했으나,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끈 장착 구멍(43)이 없어도 좋다. 즉, 암형 부재(B)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직접 다른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끈 장착 구멍(11A)은 한 쌍의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그 폭 치수[다리부(20)의 돌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가 점차 감소하면서 연장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했으나,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암형 부재(B)의 끈 장착 구멍(43)의 폭 방향에 연결 레버를 가설하고,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끈 형상 부재로서는 띠 형상의 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폭이 없는 가는 끈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를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사출 성형 혹은 사출 압축 성형)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 등으로 형 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해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각종 변형예를 들었으나,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결합부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5는 도3의 V-V선 확대 단면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형 부재의 피결합부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 도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결합된 후의 단면도.
도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인장력이 작용한 도면.
도10은 암형 부재의 피결합부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11은 암형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2a는 종래 버클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12b는 종래 버클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
2, 3 : 단부
10 : 기부
11 : 끈 장착 구멍
12 : 프레임
13 : 연결 레버
14 : 맞댐부
20 : 다리부
30 : 결합부
31 : 돌기
40 : 암형 부재 본체
50 : 가이드부
60 : 피결합부

Claims (7)

  1.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기부(10)와, 이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B)는 상기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가 삽입되는 삽입구(41)와, 이 삽입구(41)로부터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를 그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50)와, 상기 수형 부재(A)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를 그 선단부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각 결합부(30)와 결합하는 한 쌍의 피결합부(60)를 구비하고,
    상기 각 피결합부(60)는 상기 다리부(20)의 상기 이격하는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 결합부(30)와 접촉하는 접촉벽(61D)을 갖고,
    상기 각 접촉벽(61D)은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벽(61D)에 접촉하는 상기 결합부(30)의 접촉부(31D)는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각 접촉벽(61D)의 벽면과 대략 일치하는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결합부(60)는 상기 접촉벽(61D)의 삽입구(41) 측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피걸림 고정벽(61E)을 갖고,
    상기 각 결합부(30)는 상기 접촉부(31D)의 상기 기부(10) 측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고 또한 상기 피걸림 고정벽(61E)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벽(31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A)의 상기 기부(10)에는, 상기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측의 양 측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맞댐부(14)가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는, 상기 삽입구(41)측에 상기 수형 부재(A)의 맞댐부(14)와 밀착하는 맞댐부(4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기부(10)와, 이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의 내측면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갖 는 연결 띠(23)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부재(B)는 상기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가 삽입되는 삽입구(41)와, 이 삽입구(41)로부터 삽입된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각 결합부(30)와 결합하는 한 쌍의 피결합부(60)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내부에 끈 장착 구멍(11)을 갖는 프레임(12)에 의해 구성되고, 이 프레임(12) 중 상기 다리부(20)가 설치된 테두리 부재(12A)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연결 띠(23)는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12A)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12A)는 상기 암형 부재(B)와의 맞댐부(14)로서 형성되고,
    상기 맞댐부(14)는 상기 테두리 부재(12A)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상기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띠(23)는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 부재(12A)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80063694A 2007-07-03 2008-07-02 버클 KR101122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5411 2007-07-03
JP2007175411A JP5651282B2 (ja) 2007-07-03 2007-07-03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68A true KR20090004668A (ko) 2009-01-12
KR101122411B1 KR101122411B1 (ko) 2012-03-09

Family

ID=4012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94A KR101122411B1 (ko) 2007-07-03 2008-07-02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12850B2 (ko)
JP (1) JP5651282B2 (ko)
KR (1) KR101122411B1 (ko)
CN (2) CN101692940B (ko)
DE (1) DE102008031235B4 (ko)
FR (1) FR2918253B1 (ko)
TW (1) TWI3573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02B1 (ko) * 2011-09-16 2013-12-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328B1 (ko) * 2008-01-23 2012-12-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8051542B2 (en) * 2008-08-13 2011-11-08 Alexander Buday Detachable lanyard buckle
CN104068566B (zh) * 2009-03-31 2016-09-14 Ykk株式会社 旁开扣
EP2415365B1 (en) * 2009-03-31 2015-07-01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JP5328895B2 (ja) * 2009-03-31 2013-10-30 Ykk株式会社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JP5396201B2 (ja) * 2009-09-02 2014-01-22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及び帯紐用バックル
US9015912B2 (en) 2009-09-30 2015-04-28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US8407866B2 (en) * 2009-10-30 2013-04-02 Illinois Tool Works Inc. Foldable attachment clip
JP2011254927A (ja) 2010-06-07 2011-12-22 Nifco Inc バックル
JP5469543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469542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538074B2 (ja) * 2010-06-07 2014-07-0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469541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2011254928A (ja) 2010-06-07 2011-12-22 Nifco Inc バックル
CN102946751B (zh) * 2010-06-24 2015-06-10 Ykk株式会社 带安装部的构造
WO2012066615A1 (ja) * 2010-11-15 2012-05-2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10130146B2 (en) * 2013-01-11 2018-11-20 Illinois Tool Works Inc. Side-release buckle assembly
EP3019044B1 (en) * 2013-07-10 2017-11-22 Illinois Tool Works Inc. Assembly for securing a buckle housing to a component
JP5902739B2 (ja) * 2014-03-19 2016-04-13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6761639B2 (ja) 2016-02-05 2020-09-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108712869B (zh) * 2016-02-05 2021-09-21 Ykk株式会社 卡扣
JP6634346B2 (ja) * 2016-06-02 2020-01-22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11375777B2 (en) 2017-09-15 2022-07-05 Ykk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USD876987S1 (en) * 2018-08-21 2020-03-03 Duraflex Hong Kong Limited Female buckle portion
US11089843B2 (en) 2020-01-17 2021-08-17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D1003192S1 (en) 2020-01-17 2023-10-31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11160331B2 (en) * 2020-01-17 2021-11-02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813460L (sv) 1978-03-27 1979-09-28 Mca Disco Vision Videoskivspelare
JPH0551111U (ja) * 1991-12-20 1993-07-09 吉田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
TW301145U (en) * 1993-10-16 1997-03-21 Yoshida Kogyo Kk Buckle
JP2594412Y2 (ja) 1993-10-16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H07155207A (ja) * 1993-12-09 1995-06-20 Yoshio Tokuda バックル
JPH08299030A (ja) 1995-04-28 1996-11-19 Ykk Kk バックル
JP3418538B2 (ja) * 1997-12-24 2003-06-2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バックルのベルト取付構造
JP3790094B2 (ja) * 2000-06-09 2006-06-28 モリト株式会社 帯状体の長さ調節機能付き接続具
JP3701187B2 (ja) * 2000-09-27 2005-09-2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775725B2 (ja) 2000-09-28 2006-05-1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3892363B2 (ja) * 2002-08-08 2007-03-1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128101B2 (ja) 2003-04-11 2008-07-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TWM245802U (en) * 2003-10-09 2004-10-11 Button Int Co Ltd Thin and strong buckle with high load capacity
TWI247591B (en) 2004-08-11 2006-01-21 Kim Ging Hui Entpr Ltd Side release buckle
JP4203461B2 (ja) * 2004-11-02 2009-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7140082B2 (en) * 2005-01-12 2006-11-28 Button International Co., Ltd. Side release buckle allowing locking from an angular position
US7100252B2 (en) * 2005-01-31 2006-09-05 Joseph Anscher Dual locking buckle
US7302742B2 (en) * 2005-07-20 2007-12-04 Illinois Tool Works Inc Side-release buckle assembly
TWM294226U (en) * 2006-02-10 2006-07-21 Taiwan Ind Fastener Corp Side-releasing buckle
JP4769597B2 (ja) * 2006-03-02 2011-09-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20080178738A1 (en) * 2007-01-29 2008-07-31 Foamex L.P. Absorbent and/or filter materials comprising open cell foams coated with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02B1 (ko) * 2011-09-16 2013-12-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6763A (zh) 2009-01-07
JP2009011492A (ja) 2009-01-22
CN101692940B (zh) 2012-06-27
KR101122411B1 (ko) 2012-03-09
FR2918253B1 (fr) 2013-03-15
DE102008031235B4 (de) 2015-08-20
TW200934404A (en) 2009-08-16
US20090007391A1 (en) 2009-01-08
DE102008031235A1 (de) 2009-01-15
TWI357311B (en) 2012-02-01
CN101692940A (zh) 2010-04-14
JP5651282B2 (ja) 2015-01-07
CN101336763B (zh) 2010-06-09
FR2918253A1 (fr) 2009-01-09
US8112850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411B1 (ko) 버클
JP5020004B2 (ja) バックル
WO2010038308A1 (ja) バックル
JP4769597B2 (ja) バックル
KR101230729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KR101213328B1 (ko) 버클
US9113680B2 (en) Buckle
US8261417B2 (en) Buckle
KR100490092B1 (ko) 버클
US20080178438A1 (en) Buckle
JP2005261927A (ja) バックル
JPWO2011039857A1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WO2013121559A1 (ja) バックル
WO2017134811A1 (ja) バックル
KR20060045495A (ko) 끈의 단부커버
JP3892363B2 (ja) バックル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JP3210712U (ja) 連結具
CN112401413B (zh) 具有线调整部的带扣
JP2015096172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