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02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502B1
KR101339502B1 KR1020120092402A KR20120092402A KR101339502B1 KR 101339502 B1 KR101339502 B1 KR 101339502B1 KR 1020120092402 A KR1020120092402 A KR 1020120092402A KR 20120092402 A KR20120092402 A KR 20120092402A KR 101339502 B1 KR101339502 B1 KR 10133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le member
protrusions
bas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200A (ko
Inventor
가쿠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3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Abstract

(과제) 수부재와 이것에 결합되는 암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있어서, 수부재에 있어서의 1쌍의 다리부의 확개범위를 적절히 제한하여 연결부 및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버클(1)의 수부재(2)가 기부(11)와, 암부재(3)와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다리부(12,12)와, 기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1쌍의 다리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기부 측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는 만곡부분(13c)을 가지는 연결부(13)와, 1쌍의 다리부 사이에서 기부로부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만곡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서 대치하는 1쌍의 돌출부(14,14)를 구비하고, 1쌍의 다리부는 이것들의 자유단 측이 확개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고, 연결부는 다리부의 확개시에 만곡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신장 가능하고, 1쌍의 돌출부는 연결부가 신장될 때에 만곡부분에 각각 걸어맞춰져서 상기 연결부의 신장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부재와 이것에 결합되는 암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부재에 형성된 1쌍의 다리부가 암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양 부재가 결합상태로 되는 버클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버클에서는, 수부재의 1쌍의 다리부는 끈형상 부재가 부착 가능한 기부로부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다리부는 비결합시에 주위의 물체에 걸리거나, 암부재에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밀어 넣거나 하면, 자유단 측이 외측으로 벌어져서(이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간단히 "확개(擴開)"라고도 한다}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수부재에 있어서, 1쌍의 다리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중간부가 기부 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간부와 양 다리부의 사이에 있어서, 수부재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1쌍의 돌출부;를 구비한 버클이 존재한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버클에 의하면, 1쌍의 다리부 사이에서 1쌍의 돌출부를 길게 돌출시킴으로써, 연결부의 중간부와 양 다리부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좁게 하여 주위의 물체 등이 걸릴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결합상태에 있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사이에 비틀림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도 돌출부가 암부재에 맞닿아서 다리부로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특허문헌 1 : 국제공개 WO2009/093313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연결부의 탄성력만에 의해서 다리부의 확개를 억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다리부가 과도하게 확개됨에 의해서 연결부나 다리부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되면 연결부나 다리부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연결부의 강성을 높이는 등에 의해서 다리부의 확개를 억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통상의 결합 동작 또는 결합해제 동작에 있어서의 다리부의 탄성변형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부재에 있어서의 1쌍의 다리부의 확개범위를 적절히 제한하여 연결부 및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는, 수부재(2)와 상기 수부재에 결합되는 암부재(3)를 구비한 버클(1)로서, 상기 수부재(2)는 기부(基部)(11)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암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다리부(12,12)와; 상기 기부로부터 이간(離間)된 위치에서 상기 1쌍의 다리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기부 측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는 만곡부분(13c)을 가지는 연결부(13)와; 상기 1쌍의 다리부 사이에서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만곡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서 대치하는 1쌍의 돌출부(14,14);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다리부는 이것들의 자유단 측이 확개(擴開)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리부의 확개시에 상기 만곡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신장(伸長) 가능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가 신장될 때에 상기 만곡부분에 각각 걸어맞춰져서 상기 연결부의 신장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2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만곡부분에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다리부의 확개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에는 제 1 걸림돌조(51,5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분에는 상기 제 1 걸림돌조와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제 2 걸림돌조(41,41)가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4 측면으로서, 상기 제 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수부재의 중심축선(C1)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암부재의 중심축선(C2)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와의 결합시에 상기 1쌍의 다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부(75,76)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결합의 완료시에 상기 가이드 벽부와 맞닿는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6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5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에는 끈형상 부재(A1)가 부착 가능하고, 상기 기부에는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끈형상 부재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일부가 상기 암부재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수부재의 1쌍의 다리부가 확개될 때에, 연결부의 신장(즉, 만곡부분의 탄성변형)을 1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부재에 있어서의 1쌍의 다리부의 확개범위를 적절하게 제한하여 연결부 및 다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다리부의 확개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1쌍의 돌출부에 의해서 연결부의 신장을 부드럽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리부의 확개시에 연결부에 대해서 국부적인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수부재의 1쌍의 다리부가 확개될 때에, 1쌍의 돌출부를 만곡부분에 대해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수부재의 1쌍의 다리부가 확개될 때에, 1쌍의 돌출부를 만곡부분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의하면, 버클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1쌍의 돌출부가 가이드 벽부와 맞닿은 상태로 됨으로써, 수부재와 암부재의 요동(搖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의하면, 버클의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비결합상태의 수부재에 대해서 끈형상 부재를 관통구멍에 용이하게 끼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2)의 평면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3)의 평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3)의 측면도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3)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2)의 다리부의 확개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결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버클(1)을 구성하는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방향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배치에 따라서 상하, 전후 및 좌우를 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1)은 수부재(2)와 이것에 결합되는 암부재(3)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2) 및 암부재(3)에 부착된 끈형상 부재(A1,A2)의 연결에 제공되는 것이다. 수부재(2) 및 암부재(3)는 각각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는 끈형상 부재(A1)가 부착 가능한 기부(基部)(11)와, 상기 기부(11)로부터 전방{암부재(3)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는 1쌍의 다리부(12,12)와, 기부(11)로부터 전방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다리부(12,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와, 1쌍의 다리부(12,12) 사이에 있어서 기부(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부(14,14)를 가진다. 수부재(2)의 각부의 형상은,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을 따르는 중심축선(C1)(도 2 참조)에 대해서 선대칭(좌우대칭)되게 되어 있다.
기부(11)는,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관통구멍(21)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틀체(22)와, 관통구멍(21)을 좌우로 횡단하도록 틀체(22)의 좌우로 가설된 부착용 바(23)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용 바(23)에는 끈형상 부재(A1)의 단부가 감겨져 있다. 끈형상 부재(A1)는 그 고정단(A1a) 측이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그 내측의 자유단(A1b) 측이 접혀 구부려진 상태에서 설편(舌片)형상부(2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24a)에 대해서 눌려 붙여지고, 이것에 의해서 설편형상부(24)나 부착용 바(23)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다리부(12,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11)의 전방측 벽부(11a)의 좌우 양측에서 전방으로 대략 직선형상으로 돌출되는 탄성편부(31)와, 이 탄성편부(31)의 전단에 연이어 형성되되 선단(자유단)(12a)을 향해서 내측으로 만곡되면서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걸어맞춤편부(32)를 가지고 있다. 탄성편부(31)는 좌우방향{암부재(3)와의 결합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걸어맞춤편부(32)보다도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부(31)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다리부(12,12)는 그 선단(12a)을 서로 접근 또는 이간시키도록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편부(31)와 걸어맞춤편부(32)의 경계에는 상기 걸어맞춤편부(32)가 외측으로 그 폭이 넓게 됨으로써 걸어맞춤단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12,12)의 선단(12a)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는 다리부(12,12)의 돌출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부(13)는 다리부(12,12)의 내측에 각각 접속되는 대략 직선형상의 양 단부(13a,13a)와, 이들 좌우 양 단부(13a,13a)를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의 중앙에 배치됨과 아울러 후방{기부(11) 측}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는 만곡부(만곡부분)(13c)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13c)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원호형상을 이루는 후단측에는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제 2 걸림돌조)(4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14)는 기부(11)의 전방측 벽부(11a)로부터 길게 돌출되며, 그 선단(14a)을 향해서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이룬다. 돌출부(14,14)는,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전방측 벽부(11a)와 다리부(12,12)와 연결부(13)에 의해서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배치되며, 만곡부(13c)를 사이에 두고서 대치되어 있다. 돌출부(14,14)의 선단(14a)에는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제 1 걸림돌조)(51,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5∼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3)는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측 벽부(61)와, 이것에 대향하는 하측 벽부(62)와, 이들 상측 벽부(61) 및 하측 벽부(62)의 좌우 가장자리부를 접속하는 좌우측 벽부(63,63)를 구비하며, 이들 상측 벽부(61)와 하측 벽부(62)와 좌우측 벽부(63,63)에 의해서 수부재(2)가 삽입되는 내부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의 각부의 형상은,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을 따르는 중심축선(C2)(도 5 참조)에 대해서 선대칭(좌우대칭)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3)의 후면 측에는 수부재(2)의 다리부(12,12)가 삽입되는 삽입구(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71)는 내부 스페이스를 통해서 전면측의 전방측 개구(72)(도 8 참조)에 연이어 통하여 있다. 또,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 벽부(63,63)의 전단부에는 부착용 바(73)가 좌우로 가설되어 있고, 이 부착용 바(73)에는 끈형상 부재(A2)의 단부가 감겨져 있다. 또한,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좌우측 벽부(63,63)의 중앙에는, 수부재(2)와의 결합시에 다리부(12,12)의 걸어맞춤편부(32)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방측 개구(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벽부(61)의 내면에는 수부재(2)의 다리부(12,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 벽부(75,75)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벽부(75,75)는 상측 벽부(61)의 좌우의 소정 영역의 두께를 증대시킴에 의해서 생긴 단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벽부(75,75)의 후단은 좌우측 벽부(63,63)의 후단부의 내면에 접속되는 한편, 가이드 벽부(75,75)의 중간부는, 평면측에서 보았을 때, 전방{즉, 수부재(2)의 삽입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간격이 좁아지게 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가이드 벽부(75,75)의 전단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측 벽부(62)의 내면에는 상측 벽부(61)의 가이드 벽부(75,75)와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 1쌍의 가이드 벽부(76,76)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 벽부(62)의 좌우방향 중앙에는 상측 벽부(61)를 향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벽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 벽부(77)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의 중앙 부근에서 상측 벽부(61)의 전방측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 벽부(77)에 의해서, 편평한 암부재(3)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측 벽부(61)와 하측 벽부(62)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암부재(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벽부(77)의 상측 가장자리부(77a)의 위치는 가이드 벽부(75,75)의 하측 가장자리부(75a)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이어서, 수부재(2)의 다리부(12,12)의 확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결합상태에서 수부재(2)의 다리부(12,12)의 적어도 일방에 갑자기 외력이 작용하면, 수부재(2)의 다리부(12,12)가 외측으로 벌어지는(확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부(13)는 다리부(12,12)가 벌어짐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신장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13)의 양 단부(13a,13a)가 다리부(12,12)에 의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U자 형상의 만곡부(13c)가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것에 의해서, 만곡부(13c)에 형성된 걸림돌조(41,41)가 초기위치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방으로 변위하여 돌출부(14,14)의 걸림돌조(51,51)와 각각 걸어맞춰진다. 걸림돌조(41,41)와 걸림돌조(51,51)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연결부(13)의 좌우방향으로의 신장이 규제된다. 그 결과, 다리부(12,12)의 확개범위가 적절히 제한되어 연결부(13) 및 다리부(12,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돌조(51,51)는 연결부(13)의 걸림돌조(41,41)보다도 외측 또한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부재(2)의 다리부(12,12)가 벌어질 때에 걸림돌조(51,51)와 걸림돌조(41,41)를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4,14)는 그 걸림돌조(51,51)가 만곡부(13c)의 걸림돌조(41,41)에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좌우방향{다리부(12,12)의 확개방향}으로 각각 탄성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돌출부(14,14)에 의해서 연결부(13)의 신장을 부드럽게 규제할 수 있어 연결부(13)에 대해서 국부적인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과는 반대로, 수부재(2)의 다리부(12,12)를 좁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예를 들면, 버클(1)의 결합해제시에 측방측 개구(74)로부터 돌출되는 걸어맞춤편부(32)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내측으로 압입한 경우}, 연결부(13)는 다리부(12,12)가 좁혀짐{서로의 선단(12a)을 접근시킴}에 따라서 수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13)의 양 단부(13a,13a)가 다리부(12,12)에 의해서 내측으로 압입됨으로써, U자 형상의 만곡부(13c)의 양단을 접근시키도록 탄성변형된다. 이것에 의해서, 만곡부(13c)의 후방측 가장자리부가 후방{기부(11) 측}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걸림돌조(41,41)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후방으로 변위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위는 돌출부(14,14) 사이의 스페이스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13)의 동작이 돌출부(14,14)에 의해서 저해되는 일이 없다.
이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결합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클(1)은 수부재(2)의 다리부(12,12)를 암부재(3)의 삽입구(71)에 삽입함으로써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합상태가 된다. 수부재(2)를 암부재(3)에 삽입할 때에는, 우선 다리부(12,12)의 가이드 돌기부(34,34)가 암부재(3)의 삽입구(71) 부근의 하측 벽부(62)의 가이드 벽부(76,76)와 상측 벽부(61)의 가이드 벽부(75,75)에 맞닿게 된다. 그 후, 서서히 간격이 좁혀지는 가이드 벽부(75,75)(76,76)에 의해서 가이드 돌기부(34,34)가 내측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다리부(12,12)는 내측으로 탄성변형하면서 결합방향으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가이드 돌기부(34,34)가 가이드 벽부(75,75)(76,76)의 전단을 넘어 결합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 벽부(75,75)(76,76)에 의한 압압이 해제되어 다리부(12,12)가 원래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다리부(12,12)의 걸어맞춤편부(32)가 암부재(3)의 측방측 개구(74)에서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걸어맞춤단차부(33)가 측방측 개구(7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74a)에 걸려 고정된다.
또, 수부재(2)를 암부재(3)에 삽입할 때에는 돌출부(14,14)가 가이드 돌기부(34)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벽부(75,75)(76,76)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결합 완료시에는 가이드 벽부(75,75)(76,76)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 때, 돌출부(14,14)는 그 선단(14a,14a)이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을 향해서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버클(1)의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14)의 탄성변형의 복원력은 수부재(2)와 암부재(3)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버클(1)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돌출부(14,14)의 복원력에 의해서 수부재(2)를 암부재(3)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3)에 있어서의 양 단부(13a,13a)의 상하 폭이 만곡부(13c)의 상하 폭에 비해서 좁게 되어 있고, 가이드 벽부(75,75)의 하측 가장자리부(75a)와 가이드 벽부(76,76)의 상측 가장자리부(76a)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상태의 버클(1)에 있어서, 연결부(13)는 가이드 벽부(75,75)(76,76)와 걸어맞춰지지 않는다. 한편, 돌출부(14,1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14a,14a)이 연결부(13)의 양 단부(13a,13a)의 상하 폭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나, 이 선단(14a,14a) 이외의 부분의 상하 폭은 가이드 벽부(75,75)의 하측 가장자리부(75a)와 가이드 벽부(76,76)의 상측 가장자리부(76a)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돌출부(14,14)는 가이드 벽부(75,75) 및 가이드 벽부(76,76)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13)의 적어도 일부{여기서는 만곡부(13c)}에 있어서의 상하 폭과 돌출부(14,14)의 적어도 일부{여기서는 선단(14a) 이외의 부분}의 상하 폭은 결합 동작 및 결합해제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 암부재(3)의 상측 벽부(61)와 하측 벽부(62)의 간격과 거의 같은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버클(1)의 결합상태에서는 암부재(3)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술한 수직 벽부(77)와 마찬가지로 암부재(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만곡부(13c)의 내측에 위치하는 암부재(3)의 수직 벽부(77)와 함께 암부재(3)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진다는 이점도 있다.
또, 버클(1)에 있어서는,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결합시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2)에 있어서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된 기부(11)의 일부(전방측)가 암부재(3)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즉, 수부재(2)에 있어서는, 관통구멍(21)의 일부를 이루는 전방측 구멍(21a)의 전후방향 폭{기부(11)의 전방측 벽부(11a)와 부착용 바(23)의 사이의 간격(W1)}이 필요한 크기로 확보되는 한편, 암부재(3)와의 결합시에는 전방측 구멍(21a)의 암부재(3) 측이 암부재(3) 내에 삽입됨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축소된 전후방향 폭{암부재(3)의 후단과 부착용 바(23)의 사이의 간격(W2)}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버클(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부재(2)에 부착되는 끈형상 부재(A1)(도 4 참조)의 자유단(A1b)이 복수회 접혀짐에 의해서 그 단부의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도 큰 경우에도, 비결합상태의 수부재(2)에 대해서 끈형상 부재(A1)가 용이하게 부착 가능{즉, 관통구멍(21)에 대해서 끈형상 부재(A1)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결합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부(11)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1)은 적어도 암부재(3)와의 결합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끈형상 부재(A1)의 부착에 제공되는{끈형상 부재(A1)를 끼우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고, 그 구성{구멍형상이나 부착용 바(23)의 배치 등}은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수부재(2)의 기부(11)에 있어서의 관통구멍(21)의 일부가 암부재(3)에 수용되는 구성은 상술한 수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 등의 다른 구성요소가 변경(생략되거나 형상·배치의 변경 등)된 경우에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1쌍의 돌출부와 연결부의 만곡부를 걸어맞추기 위해서 각각에 형성된 걸림돌조는, 엄밀하게 돌조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동일하게 기능하는 단차부, 개구 가장자리부 및 노치 가장자리부 등이어도 좋다. 또, 수부재의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형상은 각종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만곡부를 복수 형성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버클의 결합 대상은 벨트, 케이블, 끈, 그 외의 끈형상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부재 또는 암부재의 일방이 다른 기구 등에 고정된 구성이어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각 구성요소는 반드시 모두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적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버클 2 - 수부재
3 - 암부재 11 - 기부(基部)
12 - 다리부 13 - 연결부
13c - 만곡부(만곡부분) 14 - 돌출부
41 - 걸림돌조(제 2 걸림돌조) 51 - 걸림돌조(제 1 걸림돌조)
75,76 - 가이드 벽부 A1 - 끈형상 부재
C1 - 중심축선(수부재) C2 - 중심축선(암부재)

Claims (9)

  1.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에 결합되는 암부재를 구비한 버클로서,
    상기 수부재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암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다리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이간(離間)된 위치에서 상기 1쌍의 다리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기부 측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는 만곡부분을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1쌍의 다리부 사이에서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만곡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서 대치하는 1쌍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다리부는 이것들의 자유단 측이 확개(擴開)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리부의 확개시에 상기 만곡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신장 가능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가 신장될 때에 상기 만곡부분에 각각 걸어맞춰져서 상기 연결부의 신장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만곡부분에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다리부의 확개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에는 제 1 걸림돌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분에는 상기 제 1 걸림돌조와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제 2 걸림돌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부에는 제 1 걸림돌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분에는 상기 제 1 걸림돌조와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1쌍의 제 2 걸림돌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수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암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수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조의 각각은 상기 결합방향을 따르는 상기 암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수부재와의 결합시에 상기 1쌍의 다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돌출부는 상기 결합의 완료시에 상기 가이드 벽부와 맞닿은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에는 끈형상 부재가 부착 가능하고,
    상기 기부에는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끈형상 부재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일부가 상기 암부재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에는 끈형상 부재가 부착 가능하고,
    상기 기부에는 상기 암부재와의 결합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끈형상 부재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일부가 상기 암부재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20092402A 2011-09-16 2012-08-23 버클 KR101339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3074A JP2013063149A (ja) 2011-09-16 2011-09-16 バックル
JPJP-P-2011-203074 201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200A KR20130030200A (ko) 2013-03-26
KR101339502B1 true KR101339502B1 (ko) 2013-12-10

Family

ID=4791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402A KR101339502B1 (ko) 2011-09-16 2012-08-23 버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63149A (ko)
KR (1) KR101339502B1 (ko)
CN (1) CN102987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4545B2 (en) * 2017-03-27 2020-01-07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ski-Seisakusho Tongue for seatbelt device
WO2020115894A1 (ja) * 2018-12-07 2020-06-11 Ykk株式会社 バックル用のプラグ及びバックル
CN113661717A (zh) * 2019-04-04 2021-11-16 五十平方株式会社 耳机套及其固定件
JP7376283B2 (ja) 2019-08-27 2023-11-0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雄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694A (ko) * 2004-04-27 2006-05-1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20070011116A (ko) * 2005-07-20 2007-0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KR20090004668A (ko) * 2007-07-03 2009-01-1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20100306976A1 (en) 2008-01-23 2010-12-09 Ykk Corporation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012U (ko) * 1985-05-09 1986-06-05
JP4128101B2 (ja) * 2003-04-11 2008-07-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931695B2 (en) * 2003-12-18 2005-08-23 Joseph Anscher Buckle with push button rele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694A (ko) * 2004-04-27 2006-05-1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20070011116A (ko) * 2005-07-20 2007-0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KR20090004668A (ko) * 2007-07-03 2009-01-1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20100306976A1 (en) 2008-01-23 2010-12-09 Ykk Corporation B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63149A (ja) 2013-04-11
KR20130030200A (ko) 2013-03-26
CN102987656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417B2 (en) Buckle
US7979966B2 (en) Buckle
US8763217B2 (en) Buckle
JP6029741B2 (ja) バックル
KR101339502B1 (ko) 버클
KR20100096256A (ko) 버클
TWI511680B (zh) buckle
WO2017134811A1 (ja) バックル
WO201821230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2000316610A (ja) 側部押圧開放型バックル
US9004804B2 (en)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unit
JP6002327B2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JP5632244B2 (ja) ベルトバックル
WO2020115894A1 (ja) バックル用のプラグ及びバックル
US11039666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US20130097828A1 (en) Configuration of a Belt Attachment Part
JP5161007B2 (ja) クリップ
JP6605296B2 (ja) バックル
JP6997649B2 (ja) バックル
WO2014038068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JP3778340B2 (ja) ベルト連結具
JP3210712U (ja) 連結具
JP5925496B2 (ja) バックル
JP6032895B2 (ja) バックル
JP2007303658A (ja) 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