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328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328B1
KR101213328B1 KR1020107016472A KR20107016472A KR101213328B1 KR 101213328 B1 KR101213328 B1 KR 101213328B1 KR 1020107016472 A KR1020107016472 A KR 1020107016472A KR 20107016472 A KR20107016472 A KR 20107016472A KR 101213328 B1 KR101213328 B1 KR 10121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leg
male member
fe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256A (ko
Inventor
히또시 가네꼬
료오이찌로오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10T24/4077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6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984Cavity having specific shap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구비한다. 수형 부재(A)는, 기부(10)와, 이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에 설치되고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와, 한 쌍의 다리부(20)를 연접하는 연접체(40)를 갖는다. 연접체(40)는, 중간 위치에 기부(10)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된 만곡부(42)를 갖고, 이 만곡부(42)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42)보다도 외측에,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50)가 기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형 부재의 공간에 다른 물건을 걸리게 할 우려가 적고, 또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한 쌍의 다리부를 연접하는 연접체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비틀림력에 대해서도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끈 형상 부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버클이 사용되고 있다.
버클은, 서로 연결되는 부재의 한쪽에 장착되는 수형 부재와, 다른 쪽에 장착되는 통 형상의 암형 부재를 구비한다. 수형 부재는, 기부(基部)와, 이 기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에 설치되고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다.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한 쌍의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에 결합되어,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암형 부재로부터 노출된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한 쌍의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로부터 해제되므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버클에 있어서는, 수형 부재의 기부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구조이므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다리부에 실수로 다른 물건 등을 걸리게 하기 쉬워, 다리부가 크게 외측으로 넓어져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할 때에,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축선이 어긋나 있으면, 한쪽 다리부가 암형 부재의 외측으로 빠지고, 그대로 계속해서 삽입하면, 다리부가 크게 외측으로 넓어져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버클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버클은, 수형 부재의 기부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 내측면이, 중앙이 기부측으로 돌출된 역V자 형상의 연접체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버클은, 수형 부재의 기부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폭 방향 중앙에 가이드 바가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다리부의 중간 내측면이 가이드 바의 선단부를 우회하는 V자 형상의 연접체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1-8601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79009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13268호 공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버클은, 기부, 한 쌍의 다리부 및 연접체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넓은 공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공간에 다른 물건 등이 걸리기 쉽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버클은, 한 쌍의 다리부 사이에 가이드 바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다리부를 연접하는 연접체를, 가이드 바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가이드 바의 선단부를 우회하여 배치해야 하므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취해야 한다.
이들에 더하여,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버클은 모두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역회전 방향의 외력(비틀림력)이 가해진 경우,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에 외력(비틀림력)이 작용한다.
통상,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는,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쉽도록 근본 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외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한 쌍의 다리부의 근본 부분을 굵게 형성하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해제 조작할 때에 한 쌍의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기 어려워, 해제 조작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기부, 한 쌍의 다리부 및 연접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다른 물건 등을 걸리게 할 우려가 적고, 또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한 쌍의 다리부를 연접하는 연접체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비틀림력에 대해서도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연접하는 동시에 각 다리부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연접체를 갖고, 상기 연접체는, 중간부가 상기 기부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접체의 중간부와 상기 각 다리부 사이에,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접체의「중간부」라 함은, 한 쌍의 다리부에 연접되는 연접체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상기 연접체의 중간부와 상기 각 다리부 사이」라 함은, 기부의 각 다리부가 돌출된 면에 있어서, 다리부가 돌출된 위치와, 연접체의 중간부(기부측에 가장 접근한 위치)를 통과하는 삽입 방향 축선(삽입 방향과 평행한 축선) 사이를 가리킨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각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에 결합되어,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연결된다. 한편,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각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로부터 해제되므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다리부는, 연접체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접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결합시킬 때나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분리시킬 때에도, 각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기 쉽고, 즉, 결합, 해제 조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다리부가 크게 외측으로 넓혀져 손상,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형 부재에 있어서는, 연접체의 중간부가 기부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연접체의 중간부와 각 다리부 사이에,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가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므로, 기부, 한 쌍의 다리부 및 연접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한 쌍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그 공간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공간에 다른 물건 등을 걸리게 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접체는, 중간부가 기부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종래의 가이드 바가 중앙에 있는 타입의 버클에 비해, 연접체의 만곡 방향이 역방향이므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연접체의 중간부가 기부측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해도, 한 쌍의 돌출부가 연접체의 중간부와 각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접체의 이동 변형 영역에 대해 한 쌍의 돌출부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한 쌍의 다리부를 연접하는 연접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연접체의 중간부와 각 다리부 사이에,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가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므로, 즉, 한 쌍의 돌출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에 역회전 방향의 외력(비틀림력)이 가해진 경우, 한 쌍의 돌출부가 암형 부재에 접촉하여 외력을 받으므로, 한 쌍의 다리부로만 외력을 받는 경우보다, 비틀림력에 대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기부측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만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만곡부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접체의 중간 위치에는, 기부측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리부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만곡부가 기부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직경 축소된다). 이때, 돌출부는 만곡부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접체의 이동 변형시에 연접체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돌출부는 만곡부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외력(비틀림력)에 대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연접체의 만곡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수납 가능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접체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 예를 들어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연접체의 만곡부는 수납부 내에 수납,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접체의 만곡부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파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폭 방향 단부에 대해, 폭 방향 중앙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기부측 돌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부는, 한 쌍의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폭 방향 단부에 대해 폭 방향 중앙이 한 쌍의 다리부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기부측 돌기부를 갖고 있으므로, 그 기부측 돌기부의 선단부를 끼우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부가 연장된다. 그로 인해, 돌출부의 길이가 짧아도, 수형 부재를 수형 부재의 중심 위치 부근에서 암형 부재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부측 돌기부를 갖고 있으므로, 기부, 한 쌍의 다리부 및 연접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보다 좁게 할 수 있어, 이 공간에 다른 물건 등을 걸리게 할 우려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에 폭 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돌출부가 암형 부재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외력을 돌출부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다리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한쪽 다리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암형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3은 동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끈 형상 부재의 단부(2, 3)를 연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형 부재(A)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수형 부재(A)가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의 다른 재료라도 좋다.
수형 부재(A)는, 기부(10)와, 이 기부(10)의 폭 방향[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또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여기서는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와, 한 쌍의 다리부(20)를 연접하는 동시에 각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연접체(40)와, 이 연접체(40)의 중간부와 각 다리부(20) 사이에 기부(10)로부터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50)를 갖는다.
기부(10)는, 내부 중앙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2)가 삽입 걸림되는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11)을 갖는 대략 오각 형상의 프레임(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끈 장착 구멍(11)의 삽입 방향 중간이며 프레임(12)의 폭 방향으로 연결 레버(13)가 가설되고, 이 연결 레버(13)에 의해 끈 장착 구멍(11)이, 다리부(20)가 설치된 삽입 방향 전단부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의 삽입 방향 후단부측의 2개의 끈 장착 구멍(11A, 11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를 끈 장착 구멍(11A, 11B)에 삽입 관통시켜 연결 레버(13)의 주위로 선회시킴으로써,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12) 중 다리부(20)가 설치된 프레임재(12A)는, 프레임재(12A)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부(10)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폭 방향 단부에 대해, 폭 방향 중앙을 향함에 따라서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량이 점차 크게 되어 있는 V자 형상의 기부측 돌기부(14)를 갖는다.
다리부(20)는, 기부(10)의 양측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서로 접근 또는 이격하는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편부(21)와, 이 탄성 편부(21)의 선단부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편부(22)를 갖는다.
탄성 편부(21)는, 탄성 변형 방향의 치수(폭 치수)가 표리 방향 치수보다 작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편부(22)는, 탄성 편부(21)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된 후 선단부에서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측면이 선단부를 향해 내측, 즉, 각 다리부(20)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0)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가이드 편부(22)의 선단부 표리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3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31)는, 내측벽, 전방 측벽, 전방 외측벽, 후방 외측벽 및 후방 측벽 등의 주위벽을 갖고, 인접하는 벽의 코너부가 원호면으로 연결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접체(40)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소정 이상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고, 다리부(20)에 과도한 인장력(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다리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간부가 기부(10)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다리부(20)의 선단부 내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다리부(20)의 선단부 내측면에 있어서의 연접체(40)의 기립부를 향해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부(41)와, 이 평행부(41)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고 기부(10)측을 향해 역U자 형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부(42)를 포함하고, 이들 평행부(41) 및 만곡부(42)가 연접체(40)의 폭 방향 중앙의 삽입 방향 중앙 축선을 경계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42)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역U자 형상의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만곡부(42)가 직경 축소되고, 반대로 한 쌍의 다리부(20)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역U자 형상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만곡부(42)가 직경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평행부(41)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만곡부(42)와 접속되는 내측 단부가 기부(10)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어, 만곡부(42)의 직경 축소 동작을 돕는 작용을 행한다.
돌출부(50)는 연접체(40)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와 각 다리부(20) 사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접체(40)의 중앙부와 각 다리부(20) 사이이고, 또한 연접체(40)의 만곡부(42)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42)보다도 외측 위치에, 기부(10)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즉, 연접체(40)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 연접체(40)의 만곡부(42)나 평행부(4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며, 또한 폭 방향의 중앙 부근에 돌출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접체(40)의 만곡부(42)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42)보다도 외측 위치라 함은, 만곡부(42)의 폭 방향 최외측부를 통과하는 삽입 방향 축선보다도 폭 방향 외측을 가리킨다.
또한, 각 돌출부(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치수(표리면 사이의 치수)가 암형 부재(B)의 내벽[후술하는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벽]에 접하는 두께이며, 또한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큰 단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50)의 내외측면에는, 리브(51, 5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0)의 외측 리브(51)는, 돌출부(50)의 외측면과 기부(10)의 기부측 돌기부(14)의 정점 부분 사이의 코너부에 일체적으로 또한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0)의 내측 리브(52)는, 기부(10)의 기부측 돌기부(14)의 선단부 모서리와 돌출부(50)의 내측면 사이의 코너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리브(52)와 돌출부(50)로 둘러싸인 부분에 반원 홈 형상의 수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53)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 연접체(40)의 만곡부(42)를 한 쌍의 돌출부(50) 사이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B)는, 표리면을 구성하는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과,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60C)을 갖는 편평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6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 본체(60)의 일단부에는,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가 삽입되는 삽입구(6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수형 부재(A)의 기부측 돌기부(14)와 맞대어지는 맞댐부(62)가 설치되어 있다. 맞댐부(62)는, 수형 부재(A)의 기부측 돌기부(14)와 합치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60)의 타단부에는, 끈 형상 부재의 단부(3)가 삽입 걸림되는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63) 및 연결 레버(6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측벽(60C)의 중간부에는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부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절결된 개구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5)로부터는,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에 설치된 가이드 편부(22)가 노출되어, 가이드 편부(22)를 서로 내측으로 압박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가이드 편부(22)는,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작부를 겸하고 있다.
암형 부재 본체(60)의 내부에는, 삽입구(61)로부터 암형 부재 본체(6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결합부(30)를 안내하면서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70)와, 삽입구(61)의 근방으로부터 암형 부재 본체(60)의 깊이부를 향해 형성되고 한 쌍의 돌출부(50)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80)와, 가이드부(70)의 깊이부 양측에 형성되고 각 결합부(30)가 결합되는 한 쌍의 피결합부(9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70)는, 암형 부재 본체(60)의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면에, 삽입구(61)로부터 피결합부(90)를 향함에 따라서 폭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 홈(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80)는, 암형 부재 본체(60)의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면에, 삽입구(61) 근방으로부터 깊이부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돌조(8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 내에 삽입되면, 한 쌍의 돌조(81)의 외측에 돌출부(50)가 위치하도록 안내된다.
피결합부(90)는, 각 결합부(30)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오목부(9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1)는, 암형 부재 본체(60)의 표면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면에, 가이드 홈(71)의 깊이부로부터 양 외측에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으로 절결 형성된 대략 오각 형상의 오목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를 암형 부재(B)의 삽입구(61)로부터 삽입하면, 도 2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30)가 가이드 홈(71)으로 안내되면서 암형 부재(B)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는 동시에,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간다.
이윽고, 결합부(30)가 가이드 홈(71)을 넘어 피결합부(90)에 도달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각 결합부(3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이격 방향 깊이부의 피결합부(90)에 결합된다. 즉,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결합된다.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부(50)의 표리면이 암형 부재(B)의 내벽[표벽(60A) 및 이면벽(60B)의 내벽]에 대략 접한 상태로 되므로, 수형 부재(A)는 표리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표리 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해서도, 돌출부(50)가 암형 부재(B)의 내벽에 접촉하므로, 한 쌍의 다리부(20)에 작용하는 외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동시에, 한 쌍의 돌출부(50)의 내측면이 암형 부재(B)의 돌조(81)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수형 부재(A)는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해서도, 돌출부(50)가 암형 부재(B)의 돌조(81)에 접촉하므로, 한 쌍의 다리부(20)에 작용하는 외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가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개구부(6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다리부(20)의 가이드 편부(22)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결합부(30)가 피결합부(9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빼내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연접체(40)의 만곡부(42)가 기부(10)측으로 이동되면서 직경 축소된다. 즉, 연접체(40)의 만곡부(42)의 직경 축소에 의해 한 쌍의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연접체(40)의 양단부와 다리부(20)의 접속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윽고, 한 쌍의 다리부(20)가 돌출부(50)에 접촉하는 근방까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연접체(40)의 만곡부(42)가 한 쌍의 돌출부(50) 사이의 수납부(53)에 수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접체(4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예를 들어,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외력)이 작용해도, 연접체(40)의 만곡부(42)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다리부(20)의 외측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여, 한쪽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만곡부(42)도 동일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만곡부(42)가 돌출부(50)에 접촉하여, 한쪽 다리부(20)가 그 이상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이 규제되므로, 다리부(20)의 외측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해서도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수형 부재(A)에 있어서는, 연접체(40)의 중간 위치에 기부(10)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42)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42)를 사이에 두고 만곡부(42)의 외측에 한 쌍의 돌출부(50)가 기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므로, 기부(10), 한 쌍의 다리부(20) 및 연접체(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한 쌍의 돌출부(50)가 돌출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그 공간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공간에 다른 물건을 걸리게 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접체(40)는, 기부측으로 만곡된 만곡부(42)를 갖고 있으므로, 즉, 종래의 가이드 바가 중앙에 있는 타입의 버클에 비해, 연접체(40)의 만곡 방향이 역방향이므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연접체(40)의 만곡부(42)가 기부(10)측으로 이동하면서 직경 축소 변형되어도, 한 쌍의 돌출부(50)가 연접체(40)의 만곡부(4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접체(40)의 이동 변형 영역에 대해 한 쌍의 돌출부(50)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삽입 방향의 길이 치수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한 쌍의 다리부(20)를 연접하는 연접체(4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50)는, 기부(10)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틀림력에 대해서도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즉,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에 역회전 방향의 외력(비틀림력)이 가해진 경우, 한 쌍의 돌출부(50)도 암형 부재(B)에 접촉하여 외력을 받으므로, 한 쌍의 다리부(20)로만 외력을 받는 경우보다 비틀림력에 대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대해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기부(10)는 한 쌍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폭 방향 단부에 대해, 폭 방향 중앙이 한 쌍의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기부측 돌기부(14)를 갖고 있으므로, 그 기부측 돌기부(14)의 선단부를 끼우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부(50)가 연장된다. 그로 인해, 돌출부(50)의 길이가 짧아도, 수형 부재(A)를 수형 부재(A)의 중심 위치 부근에서 암형 부재(B)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부측 돌기부(14)를 갖고 있으므로, 기부(10), 한 쌍의 다리부(20) 및 연접체(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보다 좁게 할 수 있어, 이 공간에 다른 물건을 걸리게 할 우려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8은 동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 9는 동 버클에 있어서 다리부를 내측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버클(5)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에 대해, 연접체 및 돌출부의 구성이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의 연접체(40A)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 내측면으로부터 중간부가 기부(10)측으로 가장 접근하는 역U자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연접체(40)에 대해 평행부(41)가 생략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돌출부(50A)는, 제1 실시 형태의 돌출부(50)에 비해, 길이가 짧고, 또한 배치 위치가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0)를 극단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도, 연접체(40A)의 만곡부(42)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돌출부(5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0A)의 외측면이 암형 부재(B)의 가이드 홈(71)에 끼워 넣어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형 부재(B)에 설치되어 있었던 돌조(81)를 생략해도,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조(81) 대신에 가이드 홈(71)이 규제부(80)를 겸하고 있다. 또한, 폭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해서도, 돌출부(50A)가 가이드 홈(71)에 접촉함으로써 받으므로, 다리부(20)로의 외력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1,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접체(40)는 역U자 형상의 만곡부(42)를 갖는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부가 기부(10)에 가장 접근하는 역V자 형상이고, 그 정점 부분이 원호로 접속된 만곡 형상이라도 좋고, 혹은 중간부가 기부(10)에 가장 접근하는 포물선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만곡부(42)는, 연접체(40)의 중앙부가 기부(10)에 가장 접근하는 역U자 형상이었지만, 연접체(40)의 중앙부로부터 어느 한쪽의 단부로 어긋난 위치가 기부(10)에 가장 접근하는 만곡부(42)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접체(40)의 중간부와 각 다리부(20) 사이에, 한 쌍의 돌출부(50)가 기부(10)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한 쌍의 돌출부(50)는 적어도 2개 있으면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암형 부재 본체(60)의 내부에 삽입구(61)로부터 피결합부(90)를 향해 가이드 홈(7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71)에 의해, 결합부(30)를 안내하면서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도록 하였지만,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가이드부(70)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 본체(60)의 내부에, 결합부(30)에 접촉하여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후,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시키는 돌기(72) 등을 설치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벽(60A)에 형성된 오목부(91)와 이면벽(60B)에 형성된 오목부(91)는, 각각 표면벽(60A), 이면벽(60B)의 외표면에 개방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의 오목부(91) 또는 한쪽의 오목부(91)를, 표면벽(60A), 이면벽(60B)의 외표면에 개방하는 일 없이, 돌기(72)나 가이드 홈(71)의 저벽과 대략 동일한 깊이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표면벽(60A)이나 이면벽(60B)의 외표면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개구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에 V자 형상의 기부측 돌기부(14)를, 암형 부재(B)에 V자 형상의 맞댐부(62)를 형성하고, 이들을 맞대도록 형성하였지만, 이들 맞댐부에 대해서는, V자 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어 U자 형상, 사다리꼴 형상, 직사각형 형상, 혹은 폭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각각 끈 장착부로서의 끈 장착 구멍(11, 63)을 형성하였지만,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끈 장착 구멍(63)이 없어도 좋다. 즉, 암형 부재(B)의 암형 부재 본체(60)를 직접 다른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암형 부재(B)의 끈 장착 구멍(63)의 폭 방향으로 연결 레버를 가설하여,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끈 형상 부재로서는, 띠 형상의 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폭이 없는 가느다란 끈이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각종 변형예를 들었지만,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백이나 배낭 등의 연결, 이탈용 버클로서 적합하지만, 그 외 어떠한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
1, 5 : 버클
10 : 기부
14 : 기부측 돌기부
20 : 다리부
30 : 결합부
40, 40A : 연접체
42 : 만곡부
50, 50A : 돌출부
53 : 수납부
80 : 규제부

Claims (5)

  1. 수형 부재(A)와, 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끈 형상 부재를 장착 가능한 기부(10)와, 이 기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부재(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3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를 연접하는 동시에 각 다리부(20)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연접체(40, 40A)를 갖고,
    상기 연접체(40)는, 중간부가 상기 기부(10)측으로 가장 접근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접체(40)의 중간부와 상기 각 다리부(20) 사이에, 상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평행한 한 쌍의 돌출부(50, 50A)가 상기 기부(10)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기부, 한 쌍의 다리부 및 연접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체(40, 40A)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기부(10)측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0, 50A)는, 상기 만곡부(4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만곡부(42)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 상기 연접체(40)의 만곡부(42)를 상기 한 쌍의 돌출부(50) 사이에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0)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폭 방향 단부에 대해, 폭 방향 중앙이 상기 한 쌍의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기부측 돌기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B)는, 상기 돌출부(50, 50A)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부(50, 50A)의 폭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07016472A 2008-01-23 2008-01-23 버클 KR101213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0892 WO2009093313A1 (ja) 2008-01-23 2008-01-23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256A KR20100096256A (ko) 2010-09-01
KR101213328B1 true KR101213328B1 (ko) 2012-12-18

Family

ID=4090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472A KR101213328B1 (ko) 2008-01-23 2008-01-23 버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365368B2 (ko)
EP (1) EP2238853B1 (ko)
JP (1) JP5130306B2 (ko)
KR (1) KR101213328B1 (ko)
CN (1) CN101977528B (ko)
HK (1) HK1149458A1 (ko)
TW (1) TWI357309B (ko)
WO (1) WO2009093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5365B1 (en) 2009-03-31 2015-07-01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GB0909984D0 (en) * 2009-06-11 2009-07-22 Rolls Royce Plc Fastener
US9015912B2 (en) 2009-09-30 2015-04-28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CN103238991B (zh) * 2009-09-30 2015-12-09 Ykk株式会社 旁开扣
JP2011254928A (ja) * 2010-06-07 2011-12-22 Nifco Inc バックル
JP5469541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469542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538074B2 (ja) * 2010-06-07 2014-07-0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469543B2 (ja)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WO2012066615A1 (ja) * 2010-11-15 2012-05-2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13063149A (ja) 2011-09-16 2013-04-11 Nifco Inc バックル
DE112012005879B4 (de) * 2012-02-16 2017-12-28 Ykk Corporation Schließe
CN102972929B (zh) * 2012-10-24 2015-03-11 上海柏拉斯运动用品配件有限公司 插扣
US10130146B2 (en) * 2013-01-11 2018-11-20 Illinois Tool Works Inc. Side-release buckle assembly
ITMI20130078A1 (it) * 2013-01-22 2014-07-23 Benzi & Di Terlizzi S R L "dispositivo di ritegno ad intervento programmato"
EP3019044B1 (en) * 2013-07-10 2017-11-22 Illinois Tool Works Inc. Assembly for securing a buckle housing to a component
AT514755B1 (de) * 2013-09-09 2015-06-15 Aba Hörtnagl Gmbh Schnallenbauteil
JP6761639B2 (ja) * 2016-02-05 2020-09-3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IT201700115506A1 (it) * 2017-10-13 2019-04-13 Due Emme Srl Fibbia
CN208144600U (zh) * 2018-03-21 2018-11-27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插扣
US10617180B1 (en) * 2018-10-25 2020-04-14 Ying-Chuan Yen Metal body buckle
WO2020115894A1 (ja) * 2018-12-07 2020-06-11 Ykk株式会社 バックル用のプラグ及びバックル
CN110025090A (zh) * 2019-04-02 2019-07-19 淮南市知产创新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交叉防损的插扣
JP7376283B2 (ja) * 2019-08-27 2023-11-0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雄部材
CL2019002987A1 (es) * 2019-10-18 2020-03-06 Contenedores San Fernando Spa Contenedor que comprende una base, paredes y tirantes de refuerzo que se pueden enganchar entre sí mediante medios de enganche que comprenden una pluralidad de elementos de enganche que actúan de manera completamente independiente entre sí.
US11089843B2 (en) * 2020-01-17 2021-08-17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11160331B2 (en) 2020-01-17 2021-11-02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D1003192S1 (en) 2020-01-17 2023-10-31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11044970B1 (en) * 2020-03-30 2021-06-29 Duraflex Hong Kong Limited Attachment system with quick release
US11219281B1 (en) * 2020-12-09 2022-01-11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5226B2 (en) 2000-09-27 2006-06-06 Ykk Corporation Buckle
US7096545B2 (en) 2003-04-11 2006-08-29 Ykk Corporation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70Y2 (ko) 1977-10-01 1982-04-21
JPS6186012A (ja) 1984-10-03 1986-05-01 Kawasaki Steel Corp 走間板厚変更時の圧延機制御方法
JPS6186012U (ko) 1985-05-09 1986-06-05
AU558589B2 (en) 1985-06-06 1987-02-05 Ykk Corporation Buckle
JPS62111408U (ko) * 1985-12-28 1987-07-16
JPS62111408A (ja) 1985-11-08 1987-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トランス
US5791026A (en) * 1997-05-30 1998-08-11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having retaining straps
JP2000106915A (ja) * 1998-09-30 2000-04-18 Ykk Corp バックル
JP3453071B2 (ja) 1998-10-22 2003-10-06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00166616A (ja) 1998-12-11 2000-06-20 Nifco Inc バックル
JP3790094B2 (ja) 2000-06-09 2006-06-28 モリト株式会社 帯状体の長さ調節機能付き接続具
JP3737019B2 (ja) 2000-06-30 2006-01-18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03033209A (ja) * 2001-07-23 2003-02-04 Ykk Corp バックル
US6757944B2 (en) * 2002-04-17 2004-07-06 Illinois Tool Works Inc. Side release buckle with spring
US6662414B1 (en) * 2002-06-26 2003-12-16 Oliver Niewiadomski Buckle
US7302742B2 (en) * 2005-07-20 2007-12-04 Illinois Tool Works Inc Side-release buckle assembly
TWM294226U (en) * 2006-02-10 2006-07-21 Taiwan Ind Fastener Corp Side-releasing buckle
USD597441S1 (en) 2007-06-26 2009-08-04 Ykk Corporation Buckle
JP5651282B2 (ja) *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EP2415365B1 (en) * 2009-03-31 2015-07-01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US9015912B2 (en) * 2009-09-30 2015-04-28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US8191213B2 (en) 2010-03-15 2012-06-05 National Molding Llc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5226B2 (en) 2000-09-27 2006-06-06 Ykk Corporation Buckle
US7096545B2 (en) 2003-04-11 2006-08-29 Ykk Corporation B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7528B (zh) 2013-03-27
WO2009093313A1 (ja) 2009-07-30
US20130117974A1 (en) 2013-05-16
US20100306976A1 (en) 2010-12-09
US8695181B2 (en) 2014-04-15
EP2238853B1 (en) 2017-11-29
JPWO2009093313A1 (ja) 2011-05-26
US8365368B2 (en) 2013-02-05
HK1149458A1 (en) 2011-10-07
KR20100096256A (ko) 2010-09-01
EP2238853A1 (en) 2010-10-13
CN101977528A (zh) 2011-02-16
TWI357309B (en) 2012-02-01
EP2238853A4 (en) 2016-03-09
TW200938111A (en) 2009-09-16
JP5130306B2 (ja)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328B1 (ko) 버클
JP5020004B2 (ja) バックル
JP4769597B2 (ja) バックル
US7302742B2 (en) Side-release buckle assembly
US7650675B2 (en) Buckle
US8286311B2 (en) Buckle
US8261417B2 (en) Buckle
EP1591045B1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US10588383B2 (en) Buckle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KR101339502B1 (ko) 버클
EP1388301A1 (en) Buckle
JP3210712U (ja) 連結具
JP3541748B2 (ja) 端子の中継構造
JP2006204638A (ja) バックル
CN117279538A (zh) 插头和带扣
JPH1178336A (ja) 書類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