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31A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31A
KR20090004631A KR1020080063098A KR20080063098A KR20090004631A KR 20090004631 A KR20090004631 A KR 20090004631A KR 1020080063098 A KR1020080063098 A KR 1020080063098A KR 20080063098 A KR20080063098 A KR 20080063098A KR 20090004631 A KR20090004631 A KR 2009000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tting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hol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381B1 (ko
Inventor
다카히로 시바타
츠토무 다나카
야스오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피팅에 대한 삽입력의 감소와, 이 단자 피팅의 정렬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커넥터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에는 단자 피팅들(60)이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들(2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25)의 내면은, 베이스 벽(21)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좁고, 단자 피팅(60)을 안내하기 위한 돌출부들(7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사부(26), 경사부(26) 뒤에 위치되며, 베이스 벽(21)의 후방면을 향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압입부들(67)에 대한 압입 영역을 갖는 직선부(28), 및 직선부(28)와 함께 단차들을 구획하고, 경사부(26)의 테이퍼 말단으로부터 단차들(35)까지 연장하며, 돌출부들(71)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이 돌출부들의 후방 부분들을 단단히 유지하는 제한부들(2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 커넥터에는, 베이스 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들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이 베이스 벽을 통하여 삽입되는 좁고 긴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들이 제공되며, 각 단자 피팅은, 관통 구멍으로 가압되는 압입부(press-in portion)와, 단자 피팅이 베이스 벽을 향하여 더 이상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입부 뒤에서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회로 기판 커넥터가 개시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6-19228호에서, 압입부들이 가압될 수 있는 곳인 압입 영역들이 관통 구멍들의 중앙 부분들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들이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단차들을 갖는 리세스들이 관통 구멍들의 후방 부분들에 형성되어 있고, 리세스들의 전방 말단들 및 압입 영역들의 후방 말단들이 단차들을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각 리세스는 단자 피팅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베이스 벽의 후방 말단면으로부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으로 좁은 경사부를 갖는다.
베이스 벽에 단자 피팅들을 유지하기 위한 힘은, 돌출부들이 경사부들의 존 재에 의해 리세스들에 느슨하게 끼워지므로, 관통 구멍들의 압입 영역들과 맞물릴 수 있는 압입부들의 가압 마진(pressing margin)들의 크기에 좌우된다. 그러나, 가압 마진들이 크면, 단자 피팅들의 삽입 저항이 증가하여 조작성을 악화시킨다. 가압 마진들이 작으면, 단자 피팅들은 정렬을 벗어날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의 관점에서 개발되었으며, 그 목적은 단자 피팅에 대한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이 단자 피팅의 정렬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목적은 독립항들의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이 관통 구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좁고 긴 형상을 각각이 가지며,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삽입 방향에 관하여 돌출부 앞에 위치되며 관통 구멍의 내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으로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입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들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각 관통 구멍의 내면은, 베이스 벽의 일 말단면으로부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전방측을 향하여 좁고, 단자 피팅을 안내하기 위한 돌출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경사부 앞에 위치되며, 베이스 벽의 다른 말단면을 항하여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압입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압입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부, 및 실질적인 직선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구획하고, 경사부의 테이퍼 말단으로부터 단차까지 실질적으로 연장하며, 돌출부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삽입 방향에 관하 여 돌출부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들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및
이 관통 구멍으로 삽입 가능한 좁고 긴 형상을 각각이 가지며,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삽입 방향에 관하여 돌출부 앞에 위치되며 관통 구멍의 내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으로 가압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단자 피팅들
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각 관통 구멍의 내면은,
베이스 벽의 일 말단면으로부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전방측을 향하여 좁고, 단자 피팅을 안내하기 위한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사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경사부 앞에 위치되며, 베이스 벽의 다른 말단면을 항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압입부에 대한 압입 영역을 갖는 직선부, 및
직선부와 함께 단차를 구획하고, 경사부의 테이퍼 말단으로부터 단차까지 연장하며, 돌출부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삽입 방향에 관하여 돌출부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제한부
를 포함한다.
삽입 방향에 관한 돌출부의 전방 영역들은, 그 느슨한 움직임이 방지되면서, 관통 구멍들의 제한부들에 의하여 단단히 유지되어, 단말 피팅들이 위치 지정된다. 따라서, 단말 피팅들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피팅들이 제한부들에 의하여 정렬되므로, 정렬 조정을 위한 압입 영역들과 맞물릴 수 있는 특히 큰 압입 마진이 압입부들에 제공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자 피팅들에 대한 삽입력이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제한부는 가압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관하여 대응하는 돌출부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한다.
삽입 방향에 관하여 각 돌출부의 전방 영역이 대응하는 제한부에 의하여 가압 상태에서 단단히 유지되므로, 단자 피팅은, 외부 힘을 받을 때, 외부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각)관통 구멍의 실질적인 직선부는 대면하는 단자 피팅의 플레이트면과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면을 포함한다.
각 관통 구멍의 직선부는 대면하는 단자 피팅의 플레이트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리세스면을 포함하므로, 단자 피팅에 대한 삽입력이 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단자 피팅의 플레이트면의 마모 및 데미지가 방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은 제한부에 의하여 정렬된다.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으로의 단자 피팅의 삽입 동안, 단자 피팅의 주요부는 관통 구멍의 직선부를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지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제한부는 실질적으로 관통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단자 피팅의 돌출부를 위치 지정하고,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부의 폭 방향 외부 말단을 제한하기 위한 3개의 상호 직교면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들은, 주요부의 실질적으로 양 측면 에지들에 배열되고, 및/또는 압입부들보다 주요부의 측면 에지들로부터 더 긴 돌출 거리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압입부들은 삽입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으로의 2개의 압입부들 중 선행하는(preceding) 압입부는 삽입 방향으로의 2개의 압입부들 중 후행하는(succeeding) 압입부보다 짧은 돌출 거리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으로의 2개의 압입부들 중 선행하는 압입부의 슬랜트 에지는 커브 또는 비선형부를 통하여 첨단부에 연결되며, 및/또는 삽입 방향으로의 2개의 압입부들 중 후행하는 압입부의 슬랜트 에지는 각지게 첨단부에 연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입부는 내부에서 무는 방식으로 관통 구멍의 측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되며, 본 방법은,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좁고 긴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 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압입부는 관통 구멍의 내면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으로 가압되는 것인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단계는,
단자 피팅은 베이스 벽의 일 말단면으로부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전방 측을 향하여 좁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에 의하여 안내되고,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관통 구멍의 경사부 앞에 위치된 관통 구멍의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직선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에 의하여, 돌출부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삽입 방향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단자 피팅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며, 실질적인 직선부는, 베이스 벽의 다른 말단면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압입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입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제한부에 의하여 가압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관하여 대응하는 돌출부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으로의 단자 피팅의 삽입 동안, 단자 피팅의 주요부는 관통 구멍의 직선부를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지나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입부는 내부에서 무는(bite) 방식으로 관통 구멍의 측 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이해할 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 설명되어도, 그 단일 특징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피팅에 대한 삽입력의 감소와, 단자 피팅의 정렬 조정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회로 기판 커넥터이며, 커넥터 하우징(20)과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60)이 제공되어 있으며, 회로 기판(90)(인쇄 회로 기판) 상에 또는 이 회로 기판(90)에 탑재되는 동안 상대 커넥터(미도시)와 연결 가능하다. 다음 설명에서, 전방 및 후방 방향에 관하여, 상대 커넥터와 연결되는 측은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전방 측으로서 칭한다. 전방 및 후방 방향의 이러한 설정은 통상적인 사고 방식에 따르나, 본 발명에서의 "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ID)"에 기초한다면, 반대이다. 예컨대, "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ID)에 관한 전방 측"은 상기 정의에 따르면 후방 측이다.
각 단자 피팅(60)은 전기적 도전성의 (바람직하게는 금속)플레이트를 바람직 하게는 프레스 작업(press-working)함으로써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적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탭(tab) 형상 또는, 즉 실질적으로, 전체로서 좁고 긴 평평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바의 형태의 탭 형상부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60)의 일 말단부는 상대 단자 피팅과 연결되는 단자 연결부(61)로서 기능하고, 그 다른 말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90)의 관통 구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이 관통 구멍이 관통되는 기판 회로(90)에 연결되는 기판 연결부(62)로서 기능한다. 단자 연결부(61) 및/또는 기판 연결부(62)의 선두 말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목적으로 테이퍼져 있다. 이 커넥터(10)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플레이트 폭들(길이 차는 고려되지 않음)을 갖는 보다 작은 단자 피팅(60)과 보다 큰 단자 피팅(60)의 2 종류를 포함한다.
단자 피팅(60)은 전방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후술함)으로 가압적으로 삽입 또는 끼워지며, 삽입 후,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기판 연결부(62)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90)을 향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굽혀지고, 이로써 전체로서 굽힘 또는 L 형상을 바람직하게는 갖는 굽힘부(63)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60)은 굽힘부(63)과 단자 연결부(61) 사이에 동일한 폭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요부(64)를 갖고, 이 주요부(64)는 높이 방향(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벽(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단자 피팅(60)에는 또한, 주요부(64)로부터 폭 방향으로, 측면(들)을 향하 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압입부들(67)이 형성된다. 특히, 한 쌍의 전방 및 후방 압입부들(67)이 주요부(64)의 실질적으로 양 측면 에지들 각각을 따라 배열된다. 압입부들(67) 중,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앞에 위치된 하나의 압입부는 베이스 벽(21)으로 먼저 탑재되는 선행하는 압입부(65)로서 기능하고,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뒤에 위치된 하나의 압입부는 베이스 벽(21)으로 이후에 탑재되는 후행하는 압입부(66)로서 기능한다. 선행하는 압입부(65)는 바람직하게는 후행하는 압입부(66)보다 주요부(64)의 측면 에지로부터의 더 짧은 돌출 거리를 갖는다.
각 압입부(67)는 바람직하게는 슬랜트 에지(68)를 가져,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전방 측을 향하여 돌출 거리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선행하는 압입부(65)의 슬랜트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커브 또는 비선형부(즉, 평탄한 천이부를 갖는)에 의하여 첨단부(tip portion)(69)에 연결되고, 후행하는 압입부(66)의 슬랜트 에지(68)는 각(즉, 비평탄 천이부를 갖거나, 커브의 제1 도함수는 불연속)에 의하여 첨단부(69)에 연결된다. 단자 피팅(60)의 가압 프로세스 시, 선행하는 압입부들(65)은, 그 짧은 돌출 거리 및/또는 슬랜트 에지들(68)의 최종 말단들의 커브로 인하여, 베이스 벽(21)으로 원활하게 탑재된다. 단자 피팅(60)의 가압 삽입 후, 후행하는 압입부들(66)은 긴 돌출 길이 및/또는 슬랜트 에지(68)의 각진 최종 말단들에 의하여 베이스 벽(21)에 강하게 고정된다.
단자 피팅(60)에는 또한, 단자 연결부(61)를 향하여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압입부들(67)(후행하는 압입부들(66)) 뒤의 위치에서 주요부(6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면 에지(들)로부터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7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실질적인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들(71)은 주요부(64)의 실질적으로 양 측면 에지들에 배열되며, 및/또는 압입부들(67)보다 주요부(64)의 측면 에지들로부터 보다 긴 돌출 거리를 가지며, 즉 단자 피팅(60)은 돌출부들(71)이 제공되는 곳에서 더 폭이 넓다. 돌출부들(71), 압입부들(67) 및/또는 주요부(64)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실질적으로 가지며, 및/또는 돌출부들(71) 및 압입부들(67)은 주요부(64)의 폭 방향 중심에 관하여 횡단 대칭적으로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두 종류의 단자 피팅들(60)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보다 큰 폭을 갖는 단자 피팅(60)을 도시한다. 보다 작은 폭을 갖는 단자 피팅(60)은 폭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튜브, 보다 자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전방 측을 갖는 측방향으로 긴 직사각 튜브의 형태의 리셉터클(22)을 포함한다. 상대 커넥터는 리셉터클(2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울 수 있거나 삽입 가능하며, 연결된 상대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록 부(23)가 리셉터클(22)의 측(바람직하게는, 천장) 표면의 폭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심에)에서 돌출한다. 또한, 회로 기판(90)의 (상부)표면 상에 위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탑재부들(24)이 리셉터클(22)의 후방 말단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폭 방향 말단(들)에 또는 이 폭 방향 말단(들) 부근에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 어 있다.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둥근 구멍들(미도시)이 탑재부들(24)의 하부 말단면들에 형성되고, 태핑(tapping) 나사들 등이 회로 기판(90)의 측면으로부터 이들 둥근 구멍들에 조여지거나 조여질 수 있고, 이로써 커넥터(10)가 회로 기판(90)으로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리셉터클(22)의 뒷 벽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바람직한 베이스 벽(21)으로서 기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이다. 베이스 벽(21)에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상부 및 하부 레벨들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들(25)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들(60)이 내부에 유지되도록 이 관통 구멍들로 가압되거나 밀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좁은 단자 피팅들(60)에 대응하는 한 그룹의 관통 구멍들(25)은 커넥터 하우징(20)의 폭 방향 중간(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 배열되는 반면, 보다 폭이 넓은 단자 피팅들(60)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들(25)의 그룹들은 커넥터 하우징(20)의 대향하는 폭 방향 말단들에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관통 구멍(25)의 내면은 전방 측(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후방 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26), 하나 이상의 제한부들(27) 및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28)를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경사부(26)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25)의 중심을 향하여 단자 피팅(60)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베이스 벽(21)의 전방면(바람직한 "베이스 벽(21)의 일 말단면"으로서, 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후방 말단면)을 향하여 점차 넓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6)는, 베이스 벽(21)의 전방면에 또는 이 전방면 부근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또는 다각형인)프레임형 에지(29)를 형성하면서, 베이스 벽(21)의 후방면(바람직한 "베이스 벽(21)의 다른 말단면"으로서, 단자 피팅(60)의 삽입 방향(ID)에 관한 전방 말단면)을 향하여 베이스 벽(21)의 전방면으로부터 관통 구멍(25)을 테이퍼링하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슬랜트들(31)을 포함하며, 및/또는 슬랜트들(31)의 테이퍼 말단들(후방 말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병렬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양쪽 슬랜트들(31)의 테이퍼 말단들 간의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60)(돌출부들(71), 압입부들(67) 및/또는 주요부(6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경사부(26)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60)의 돌출부들(7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양쪽 슬랜트들(31)에 의하여 돌출부들(7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경사부(26)의 대향하는 폭 방향 말단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 벽면들(32)이다.
직선부(28)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하고, 베이스 벽(21)의 후방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단자 피팅(60)의 하나 이상의 압입부들(6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측(좌측 및 우측) 대면 표면들(33)과,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의 대향하는 플레이트면들을 실질적으로 대면하기 위한 한 쌍의 측(상부 및 하부) 대면 표면들(34)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구획된다. 직선부(28)의 상부 및 하부 대면 표면들(34)은 바람직하게는 경사부(26)의 슬랜트들(31)과 동일한 측에 위치되고, 및/또는 그 전 방 말단들은 경사부(26)의 테이퍼 말단과 실질적으로 연속한다. 직선부들(28)의 상부 및 하부 대면 표면들(34)은, 수직으로 대칭적으로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주요부(64)의 실질적으로 전체 플레이트면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리세스면들이며, 그 단면이 산 형상이거나 솟아 있거나(pointed) 볼록이므로, 주요부(64)의 플레이트면들의 폭 방향 중간부들에(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그 부분들이 이들 플레이트면들로부터 가장 멀다.
한편, 직선부(28)의 좌측 및 우측 대면 표면들(33)은, 하나 이상의 압입부들(67)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입 영역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며, 및/또는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나, 압입부들(67)이 제공되는 단자 피팅의 폭보다는 작다. 여기서, 압입부들(67)은 내부에서 무는 방식으로 측(좌측 및 우측) 대면 표면들(33)과 접촉하거나, 이들 압입부들(67)이 좌측 및 우측 대면 표면들(33)이 폭 방향으로 외부로 밀리는 것처럼 이 대면 표면들(33)과 맞물리며, 단자 피팅(60)에 대한 유지력은 선행하는 압입부(들)(65) 및/또는 후행하는 압입부(들)(66) 모두의 걸림 또는 맞물림에 의하여 증가된다.
제한부(27)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25)의 중심을 향하여 단자 피팅(60)의 돌출부(71)의 후방 부분(삽입 방향(ID)에 관하여 돌출부(71)의 전방 영역)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의 돌출부(71)의 후방 부분의 폭 방향 외부 말단을 제한하기 위한 3개의 상호 직교면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한부(들)(27)은 경사부(26)와, 직선부(28)의 측(좌측 및/또는 우측) 대면 표면들(33) 사이에 배치되며, 경사부(26)의 테이퍼 말단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폭 방향 말단(들)과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각 제한부(27)는, 단차를 통하여 직선부(28)의 좌측 또는 우측 대면 표면(33)과 실질적으로 연속하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돌출부(71)의 전방 말단을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35)와, 경사부(26)의 수직 벽(32)과 단차(35) 사이에 위치되며 돌출부(71)의 후방 부분의 폭 방향 외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 말단면(36)과, 및/또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부(71)의 후방 부분을 샌드위칭하도록 경사부(26)의 슬랜트(들)(31)과 단차(35)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상부 및/또는 하부) 주요면들(37)을 포함한다. 제한부(27)의 양쪽 주요면들(37)은 바람직하게는 경사부(26)의 슬랜트들(31)의 테이퍼 말단들로부터 단차(35)까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평평한 표면들이며, 양쪽 주요면들(37) 간의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7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어떠한 느슨한 움직임도 허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부(71)의 후방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 결정 공간(38)은 바람직하게는 양쪽 주요면들(37), 측 말단면(36) 및 단차(35)에 의하여 구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좁은 단자 피팅(60)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25)의 내면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다음,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베이스 벽(21)을 통한 단자 피팅(60)의 탑재시, 직선 상태의 단자 피팅(60)의 기판 연결부(62)는 커넥터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의 전방면을 향하여 향하 고 있고, 단자 피팅(60)은 이 상태에서 관통 구멍(25)으로의 삽입 방향(ID)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삽입된다. 단자 피팅(60)의 삽입 동안, 기판 연결부(62)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26)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중심이 맞춰져 단자 피팅(60)의 삽입 자세가 교정되고, 이로써 삽입 동작의 원활함을 보증한다. 또한, 단자 피팅(60)의 삽입 동안,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는 관통 구멍(25)의 직선부(28)의 상부 및 하부 대면 표면들(34)에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지나가며, 따라서 이 동안의 마찰 저항이 생성되지 않는다.
삽입 동작의 최종 스테이지에 도달되면, 하나 이상의 압입부들(67)은 직선부(28)의 측(좌측 및/또는 우측) 대면 표면(들)(33)에 대면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행하는 압입부들(65) 및 하나 이상의 후행하는 압입부들(66)은 리드(lead)에서 슬랜트 에지들(68)로 압입 영역들로 연속적으로 가압되어, 직선부(28)에 걸리거나 맞물린다. 동시에, 돌출부들(71)은 경사부(26)의 양쪽 주요면들(31)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돌출부들(71)의 후방 부분은 위치 결정 공간들(38)에 부분적으로 들어가서 제한부들(27)의 주요면들(37)에 의하여 두께 방향으로 샌드위칭된다. 삽입 동작이 완료될 때, 단자 피팅(60)은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직선부(28)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된 압입부들(67)로 유지되며, 돌출부들(71)의 후방 말단들은 제한부들(27)의 단차들(35)에 실질적으로 대면하여, 단자 피팅(60)이 더 이상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단자 피팅(60)은 제한부(27)에 의하여 돌출부들(71)의 느슨한 움직임이 방지됨으로써 중심에 맞춰지는 것이 유지된다.
그 후, 단자 피팅들(60)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위치들에서 실질적으로 회로 기판(90)을 향하여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하향하여 굽혀져 하나 이상의 굽힘부들(63)을 형성하고, 기판 연결부들(62)은 바람직하게는 하향 대면 방향들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다음, 기판 연결부들(62)은, 특히 회로 기판(90)의 관통 구멍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회로 기판(90)에 연결되며, 예컨대 땝납, 용접, 프레스-피팅, 절연 변위(insulation displacement) 등에 의하여 회로 기판(90)의 도전 경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20)의 리셉터클(2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서,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들(60)의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부들(61)을 하나 이상의 각 상대 단자 피팅들과 연결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방향(ID)에 관한 돌출부(들)(71)의 전방 영역(들)은 어떠한 느슨한 움직임도 생성하지 않도록 관통 구멍(들)(25)의 제한부(들)(27)에 의하여 유지되며, 이로써 단자 피팅(들)(60)을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단자 피팅(들)(60)이 정렬되어 중심이 맞춰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한부(들)(27)에 의하여 단자 피팅(들)(60)을 정렬함으로써, 정렬 조정을 위하여 압입 영역(들)과 맞물릴 수 있는 큰 압입 마진들을 압입부(들)(67)에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단자 피팅들(60)에 대한 삽입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들)(25)의 직선부(들)(28)은, 단자 피팅(들)(60)의 대면 플레이트면(들)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리세스면들을 포함하므로, 단자 피팅(들)(60)에 대한 삽입력(들)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단자 피팅(들 )(60)의 플레이트면(들)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피팅들에 대한 삽입력의 감소 및 단자 피팅들의 정렬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에는,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들(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거나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들(25)이 형성된다. 각 관통 구멍(25)의 내면은, 베이스 벽(21)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좁고, 단자 피팅(60)을 안내하기 위하여 돌출부들(7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경사부들(26)과, 베이스 벽(21)의 후방면을 향하여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압입부들(67)에 대한 압입 영역을 갖는, 경사부(26) 뒤에 위치된 실질적인 직선부(28)와, 경사부(26)의 테이퍼 말단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차들(35)로 연장하고, 그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71)의 후방 부분들을 단단히 유지하는, 실질적인 직선부(28)와 함께 단차들을 구획하는 제한부(27)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28)는 제2 실시예에서 베이스 벽(21)의 각 관통 구멍(25)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 직선부(28)는, 폭 방향 중간 부분에(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부분에)만 하나 이상의 리세스면들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리세스면들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의 직선부(28)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직선부(28)는, 이들 폭 방향 중간 부분(들)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 주요부(64)의 플레이트면(들)의 폭 방향 중간 부분들(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부분들)로부터 떨어진 산 형상의 또는 솟아 있는 볼록형 리세스면부들(41)과, 주요부(64)의 (바람직하게는 양쪽)플레이트면(들)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폭 방향 말단(들)과 실질적으로 면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부(들)(42)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면부들(41)과 평평한 표면부들(42)이 수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구멍(25)으로의 단자 피팅(60)의 삽입 동안,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의 폭 방향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부분)은 직선부(28)의 리세스면부(들)(41)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로써 단자 피팅(60)에 대한 삽입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25)으로의 단자 피팅(60)의 삽입 후,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폭 방향 말단(들)은, 직선부(28)의 평평한 표면부(들)(42)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직선부(28)의 평평한 표면부들(42)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샌드위칭되며, 따라서 외부 힘의 작용 시에도 단자 피팅(60)이 외부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음의 실시예들은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에 의하여 또한 포함된다.
(1) 삽입 방향에 관한 돌출부들의 전방 영역들은 제한부들에 의하여 가압 상태에서 단단히 유지될 수도 있다. 다음, 외부 힘을 받으면, 단자 피팅은 외부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제한부들의 주요면들 간의 공간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관하여 전방측을 향하여 보다 좁게 형성되어, 돌출부들의 두께보다 작게 될 수도 있다.
(2) 단자 피팅들은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들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3) 3개 이상의 압입부들은 단자 피팅의 주요부의 (바람직하게는 각)측면 에지 상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히(side by side) 배열될 수도 있다.
(4) 관통 구멍의 직선부는 대면하는 단자 피팅의 전체 플레이트면들(주요부)과 실질적으로 면 접촉될 수도 있다.
(5) 단자 피팅들은 L 형상으로 굽혀지지 않고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시 임의의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에 탑재된 단자 피팅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되기 전의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단자 피팅이 탑재되기 전의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다른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 베이스 벽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20 : 커넥터 하우징
21 : 베이스 벽 25 : 관통 구멍
26 : 경사부 27 : 제한부
28 : 직선부 35 : 단차
41 : 리세스면부 60 : 단자 피팅
64 : 주요부(플레이트면) 67 : 압입부
71 : 돌출부

Claims (15)

  1. 베이스 벽(2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25)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관통 구멍(25)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 가능한 좁고 긴 형상을 가지며,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1)와,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상기 돌출부(71) 앞에 위치되며 상기 관통 구멍(25)의 내면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으로 가압되는 하나 이상의 압입부(67)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60)
    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관통 구멍(25)의 상기 내면은,
    상기 베이스 벽(21)의 일 말단면으로부터 상기 단자 피팅(60)의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전방측을 향하여 좁고, 상기 단자 피팅(60)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7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경사부(26),
    상기 단자 피팅(60)의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상기 경사부(26) 앞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벽(21)의 다른 말단면을 항하여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연장하고, 상기 압입부(67)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압입 영역(34)을 갖는 하나 이상의 직선부(28), 및
    상기 직선부(28)와 함께 하나 이상의 단차(35)를 구획하고, 상기 경사부(26)의 테이퍼 말단으로부터 상기 단차(35)까지 연장하며, 상기 돌출부(71)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상기 돌출부(71)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부(27)
    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27)는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71)의 상기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5)의 상기 직선부(28)는 대면하는 상기 단자 피팅(60)의 플레이트면(64)과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리세스면(41)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60)은 상기 제한부(27)에 의하여 정렬되는 것인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5)으로의 상기 단자 피팅(60)의 삽입 동안, 상기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는 상기 관통 구멍(25)의 상기 직선부(28)를 접촉하지 않고 지나가는 것인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관통 구멍(25)의 중심 을 향하여 상기 단자 피팅(60)의 상기 돌출부(71)를 위치 결정하고, 두께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71)의 폭 방향 외부 말단을 제한하기 위한 3개의 상호 직교면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들(71)은 상기 주요부(64)의 양 측면 에지들에 배열되며, 및/또는 상기 압입부들(67)보다 상기 주요부(64)의 상기 측면 에지들로부터 더 긴 돌출 거리를 갖는 것인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압입부들(65)은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인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상기 2개의 압입부들(65) 중 선행하는(preceding) 압입부(65)는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상기 2개의 압입부들(65) 중 후행하는(succeeding) 압입부(66)보다 짧은 돌출 거리를 갖는 것인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상기 2개의 압입부들(65) 중 선행하는 압입부(65)의 슬랜트(slanted) 에지는, 커브 또는 비선형부를 통하여 첨단부(69)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상기 2개의 압입부들(65) 중 후행하는 압입부(66)의 슬랜트 에지(68)는 각지게 상기 첨단부(69)에 연결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67)는 내부에서 무는(bite) 방식으로 상기 관통 구멍(25)의 측면(33)과 접촉되는 것인 커넥터.
  12.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벽(21)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25)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 및
    좁고 긴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60)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기 관통 구멍(25)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이로써 하나 이상의 압입부(67)는 상기 관통 구멍(25)의 내면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으로 가압되는 것인 상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단자 피팅(60)은 상기 베이스 벽(21)의 일 말단면으로부터 상기 단자 피팅(60)의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전방 측을 향하여 좁은 하나 이상의 경사부(26)에 의하여 안내되고,
    상기 단자 피팅(60)의 상기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상기 관통 구멍(25)의 상기 경사부(26) 앞에 위치된 상기 관통 구멍(25)의 하나 이상의 직선부(28)와 함께 하나 이상의 단차(35)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부(27)에 의하여, 돌출부(71)의 느슨한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폭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단자 피팅(60)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71)의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며, 상기 직선부(28)는, 상기 베이스 벽(21)의 다른 말단면을 향하여 상기 삽입 방향(ID)으로 연장하고, 상기 압입부(67)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압입 영역(34)을 갖는 것인 커넥터의 조립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27)에 의하여 가압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향(ID)에 관하여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71)의 상기 전방 영역을 단단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의 조립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25)으로의 상기 단자 피팅(60)의 삽입 동안, 상기 단자 피팅(60)의 주요부(64)는 상기 관통 구멍(25)의 상기 직선부(28)를 접촉하지 않고 지나가는 것인 커넥터의 조립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67)는 내부에서 무는 방식으로 상기 관통 구멍(25)의 측면(33)과 접촉되는 것인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20080063098A 2007-07-04 2008-06-30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002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75765 2007-07-04
JP2007175765A JP4924247B2 (ja) 2007-07-04 2007-07-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31A true KR20090004631A (ko) 2009-01-12
KR101002381B1 KR101002381B1 (ko) 2010-12-20

Family

ID=3968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98A KR101002381B1 (ko) 2007-07-04 2008-06-30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8605B2 (ko)
EP (1) EP2012394B1 (ko)
JP (1) JP4924247B2 (ko)
KR (1) KR101002381B1 (ko)
CN (1) CN10134003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86B1 (ko) * 2010-09-14 2013-04-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6328A (ko) * 2017-06-23 2021-12-24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57A (ja) * 2008-08-01 2010-0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100103622A1 (en) * 2008-10-24 2010-04-29 Keihin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device
JP5263003B2 (ja) * 2009-05-29 2013-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7988500B2 (en) * 2009-12-16 2011-08-02 Sensata Technologies Massachusetts, Inc. Socket and contact having anchors
JP5795907B2 (ja) * 2011-08-29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用の圧入端子およびその圧入端子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に対する固定構造
JP5912632B2 (ja) * 2012-02-16 2016-04-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235772A (ja) * 2012-05-10 2013-11-21 Yazaki Corp コネクタ
JP6101435B2 (ja) 2012-05-10 2017-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05448B2 (ja) * 2012-09-04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102013215302A1 (de) * 2013-08-02 2015-02-05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ba Flachkontakt für einen Stecker, Aufnahmeblock für einen Flachkontakt und Stecker
JP6116056B2 (ja) * 2013-08-07 2017-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083091B1 (en) * 2013-09-06 2015-07-14 Anthony Ravlich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of parts to electrical contact holes
US9537278B2 (en) * 2015-02-09 2017-01-03 Yazaki Corporation Terminal group and connector
WO2016147833A1 (ja) * 2015-03-18 2016-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00723B2 (ja) 2015-03-18 2019-04-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50890B2 (ja) * 2015-04-22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WO2017144072A1 (de) * 2016-02-26 2017-08-3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108953319B (zh) * 2017-05-22 2024-03-08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DE102017122591A1 (de) * 2017-09-28 2019-03-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und Dichtanordnung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7076297B2 (ja) * 2018-06-21 2022-05-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ライトアングル電気コネクタ
JP2021168227A (ja) * 2018-07-25 2021-10-2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圧入端子保持構造及びコネクタ
JP2020194637A (ja) * 2019-05-24 2020-12-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CN110492335B (zh) * 2019-07-31 2021-01-19 深圳市宏讯实业有限公司 导电器制造工艺
CN213520383U (zh) * 2020-07-20 2021-06-2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
JP7452344B2 (ja) * 2020-09-16 2024-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573A (en) * 1982-06-09 1984-07-03 Sprague Electric Company Terminal-bushing assembly
JP2580865Y2 (ja) * 1993-04-09 1998-09-17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27385B2 (ja) * 1997-05-16 2002-09-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2002015806A (ja) * 2000-06-29 2002-01-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415138B1 (ja) * 2002-06-06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4011962B4 (de) * 2003-03-12 2008-11-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anschluß, Verbinder und Montageverfahren
JP2004362814A (ja)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4069817B2 (ja) * 2003-07-10 200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79170B2 (ja) * 2004-01-16 2008-11-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5353371A (ja) 2004-06-09 2005-12-22 Tyco Electronics Amp Kk 端子圧入構造
JP4259405B2 (ja) * 2004-06-15 2009-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345594B2 (ja) * 2004-07-02 2009-10-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019228A (ja) * 2004-07-05 2006-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86B1 (ko) * 2010-09-14 2013-04-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6328A (ko) * 2017-06-23 2021-12-24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US11742615B2 (en) 2017-06-23 2023-08-29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11742614B2 (en) 2017-06-23 2023-08-29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11742616B2 (en) 2017-06-23 2023-08-29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1658A1 (en) 2009-01-08
CN101340034A (zh) 2009-01-07
EP2012394A1 (en) 2009-01-07
KR101002381B1 (ko) 2010-12-20
US7708605B2 (en) 2010-05-04
JP2009016148A (ja) 2009-01-22
JP4924247B2 (ja) 2012-04-25
CN101340034B (zh) 2010-10-27
EP2012394B1 (en)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381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EP2056410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US7175480B2 (en) Connector and a terminal fitting
US6736684B2 (en)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US6375501B1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KR20110015367A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9825386B2 (en) Board to board male connector and board to board female connector
TW201112532A (en) Shield case,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EP2429041A1 (en)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US20080176454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10218099B2 (en) Board connector
CN108390173B (zh) 基板用连接器
US7128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903017B (zh) 连接器
JP2002141124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US10135166B2 (en) Symmetric dual beam contact
US20200161801A1 (en) Connector
US2006014183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109981A (en) Socket contact
JP2006019228A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0539835B1 (ko) 전기 컨넥터
US8282423B2 (en) Connector including alignment member that prevents relative movement of one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toward another row of combination ground contacts
JP2010040224A (ja) 端子配置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5197056A (ja) コネクタ
KR20020004853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