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853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853A
KR20020004853A KR1020010039402A KR20010039402A KR20020004853A KR 20020004853 A KR20020004853 A KR 20020004853A KR 1020010039402 A KR1020010039402 A KR 1020010039402A KR 20010039402 A KR20010039402 A KR 20010039402A KR 20020004853 A KR20020004853 A KR 2002000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onnector
contact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무라마키야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0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상호간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높이고, 나아가 콘택트의 고밀도 배열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서로 결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10, 60)로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0)의 제1콘택트(50) 및 제2커넥터(60)의 제2콘택트(80) 각각은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20, 70)에 고정되는 고정부(51, 81)와, 고정부(51, 81)로부터 연장하여 상대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52, 82)와, 고정부(51, 81)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A, B)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53, 83)를 갖는다.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50, 80)의 고정부(51, 81) 및 기판접속부(53, 83)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함으로써만 형성됨과 동시에,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50, 80)의 접촉부(52, 82)는 금속판을 타발한 후 베이스 부근에서 비틀어져 형성되어, 접촉부의 롤면들끼리 접촉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결합(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커넥터(connector)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커넥터가 금속판을 타발가공(blanking) 및 비틀림 가공하여 형성되는 콘택트(contact)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에 의해 2장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는 절연성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콘택트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를 갖고 있다. 각각의 콘택트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하거나 또는 타발가공 및 굽힘가공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콘택트에는 금속판 롤면(압연면)과 타발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전단면(shear plane)이 형성된다.
종래의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에서는 고정부에서 비틀림 등을 가하지 않고 연장하는 접촉부에서 금속판 롤면들을 접촉시키는 형태와, 전술한 전단면끼리 접촉시키는 형태와, 도 8에 도시된 금속판 롤면과 전단면을 접촉시키는 형태가 있다(일본특허공개 평6-111894호 공보참조).
이 중, 고정부에서 비틀림 등을 가하지 않고 연장하는 접촉부에서 금속판 롤면들을 접촉시키는 형태는 인접한 콘택트의 롤면과 직교하는 전단면을 서로 대향시켜 각각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배열된다. 이 때문에 금속판 롤면은 콘택트의 배열방향으로 넓어진다.
또한, 전단면을 서로 접촉시키는 형태는 인접한 콘택트의 롤면을 서로 대향시켜 각각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배열되어 있다.
더욱이, 도 8에 나타나는 금속판 롤면과 전단면을 접촉시키는 형태는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110) 및 제2커넥터(120) 각각은 하우징(111, 121) 및 하우징(111, 121)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택트(112, 12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110)의 콘택트(112)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함으로써만 형성되며, 하우징(111)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113)와, 이 고정부(113)로부터 연장하여 전단면에서 상대 콘택트(122)의 롤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14)와, 고정부(113)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15)를 갖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112)는 인접한 콘택트(112)의 롤면을 서로 대향시켜 하우징(111)에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제2커넥터(120)의 콘택트(122)는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굽힘가공하여 형성되고, 하우징(121)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123)와, 이 고정부(123)로부터 연장하여 롤면에서 상대콘택트(112)의 전단면에서 접촉하는 접촉부(124)와, 고정부(123)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25)를 갖고 있다. 접촉부(124)는, 도 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123)로부터 지면에 대해 직교하기 바로 전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콘택트(122)는 인접하는 콘택트(122)의 고정부(123)의 롤면을 서로 대향시켜 하우징(121)에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로부터 비틀림 등을 가하지 않고 연장하는 접촉부에서 금속판의 롤면들을 서로 접촉시키는 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콘택트들이 서로 접촉하는 폭이 넓고, 또 접촉면이 평탄하고 매끄럽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높은 잇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판 롤면이 콘택트의 배열방향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콘택트의 배열피치가 넓어져서 고밀도화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단면을 상호 접촉시키는 형태의 전기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콘택트의 롤면을 서로 대향시켜 각각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콘택트의 배열피치를 좁게 할 수 있어 고밀도화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접촉면인 전단면이 평탄하고 매그럽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낮고, 게다가 전단면의 폭이 좁기 때문에 콘택트를 다극화한 경우에는 콘택트 상호간에서의 콘택트 배열피치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비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금속판 롤면과 전단면을 접촉시키는 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비교적 넓은 접촉부(124)의 롤면을 접촉면으로 하기 때문에 콘택트(112, 122)를 다극화한 경우에 콘택트(112, 122)의 배열피치가 어긋나더라도 일정한 범위까지는 콘택트(112, 122) 상호간의 전기적 접촉이 유지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타발가공만으로 형성되는 제1커넥터(110)의 콘택트(112)에 탄력성을 갖게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면이 롤면으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120)의 콘택트(121)의 접촉부(124)는 위치어긋남을 보상할 정도의 폭이 있으면 좋고, 콘택트(121)의 배열피치를 좁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접촉부(124)의 롤면과 접촉부(114)의 전단면을 접촉시킴으로 인해 전단면의 평활성이 나쁘기 때문에 콘택트(112, 122) 상호간에서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 상호간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높이고, 나아가 콘택트의 고밀도 배열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1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도 2는 도 1(A)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제1커넥터에 사용되는 제1콘택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A)의 선 3B-3B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2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도 5는 도 4(A)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제2커넥터에 사용되는 제2콘택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A)의 선 6B-6B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제2콘택트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 제1커넥터
20 : 제1하우징
30 : 하측 하우징
35 : 솔더백
40 : 상측 하우징
50 : 제1콘택트
51, 81 : 고정부
52, 82 : 접촉부
52a, 82a : 베이스 부근
52b, 82b : 롤면
53, 83 : 기판접속부
60 : 제2커넥터
70 : 제2하우징
74 : 벽판
75 : 관통공
80 : 제2콘택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절연성의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콘택트를 갖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절연성의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콘택트를 가지며,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 각각은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대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상기 고정부 및 기판접속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함으로써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한 후 베이스 부근에서 비틀어져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롤면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의 비교적 폭이 넓은 벽판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제2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부가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결합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기판접속부를 위치결정하는 하우징의 두개로 구성되며, 이들 두개의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된 솔더백에 의해 서로의 가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커넥터에 사용되는 제1콘택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A)의 선 3B-3B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제1커넥터(10)는 절연성의 제1하우징(20)과 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콘택트(5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1하우징(20)은 회로기판(A)(도 2 참조) 상에 실장되는 하측 하우징(30)과, 하측 하우징(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하우징(4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측 하우징(30)은 길이방향[도 1(A)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본체(31)와, 하우징 본체(31)의 양단에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31)보다도 전후방향[도 1(A)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32)를 갖고 있다. 하측 하우징(3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31)의 전후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2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기판접속부 삽입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연장부(32)의 길이방향 단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솔더백(35)이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34)에 압입되고, 회로기판(A)에 납땜 접속됨으로써, 하측 하우징(30)의 상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측 하우징(30)의 전후방향의 가동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상측 하우징(4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하측 하우징(30) 위에 배치되는 하우징 몸체(41)와, 하우징 몸체(41)의 양단에 설치되어 하우징 몸체(41)보다도 전후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한 쌍의 연장부(42)와, 하우징 몸체(4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부(43)을 갖고 있다. 상측 하우징(4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43)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칸막이벽(44)을 끼워 전후양측에 한 쌍의 상대콘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상대콘택트 삽입용 요부(45)의 저부에 해당하는 하우징 몸체(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2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관통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46)은 기판접속부 압입용 홈(33)과 상하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연장부(42)의 길이방향 단면에는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34)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 솔더백 삽통용 요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 하우징(30, 40)은 서로 정지시키는 수단 및 서로의 가동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솔더백(35)의 상단이 솔더백 삽통용 요부(47)에 수용됨으로써, 상측 하우징(40)의 위쪽으로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측 하우징(40)의 전후방향의 가동범위를 제한한다. 또한, 도 1(A)의 상측 하우징(40)의 좌우방향 가동범위는 솔더백(35)의 좌우방향의 가요성 범위에 따라 제한된다.
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각각의 제1콘택트(50)는,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과 같이, 상측 하우징(40)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관통공(46)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51)와, 고정부(51)로부터 상대 콘택트 삽입용 요부(45) 내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부(52)와, 고정부(51)로부터 하측 하우징(30)을 거쳐 회로기판(A)까지 연장하는 기판접속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5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압입시에 상측 하우징(40)으로 파고드는 복수쌍의 바브(barb; 5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부(51)의 양면에는 압입 후에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51b, 51c)가 금속판의 타발시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52)는 상측 하우징(4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분리됨과 동시에 결합부(43)의 벽 및 중앙 칸막이벽(44)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기판접속부(53)는 고정부(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부(53a)를 갖는다. 이 지지부(53a)에는 하측 하우징(30)의 기판접속부 삽입홈(33)에 삽입되는 삽입부(53b)가 설치되어 삽입부(53b)로부터는 회로기판(A)상의 도전성 패드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53c)가 연장하고 있다.
각각의 제1콘택트(50)는 황동 등의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비틀림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지만, 고정부(51) 및 기판접속부(53)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하는 것만으로 형성되고, 접촉부(52)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한 후 베이스 부근(52a)에서 비틀어져 형성된다. 접촉부(52)가 베이스 부근(52a)에서 비틀어진 결과, 금속판의 롤면(52b)이 전후방향(도 2에서의 좌우방향)을 향하고, 전단면(52c)가 길이방향을 향하게 된다. 접촉부(52)의 전후방향 내측 롤면은 제2콘택트(80)와의 접촉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접촉부(52)의 롤면(52b)의 판폭은 전단면(52c)의 판두께보다 약간 크다.
제1커넥터(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측 하우징(40)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관통공(46)에 제1콘택트(50)의 고정부(51)를 하방에서 압입하고, 이러한 압입작업을 모든 제1콘택트(50)에 대해서 행하며, 제1콘택트(50)의 삽입부(53b)로 하측 하우징(30)의 기판접속부 삽입홈(33)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제1콘택트(50)의 고정부(51)의 양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콘택트(50)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제1콘택트(50)는 접촉부(52)의 롤면(52b)의 판폭방향으로배열된다. 이어서 솔더백(35)를 상방으로부터 솔더백 삽통용 요부(47)를 개입하여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34)에 압입고정한다.
그리고, 제1콘택트(50)의 납땜접속부(53c)를 회로기판(A)상의 도전성 패드에 납땜접속함과 동시에 솔더백(35)을 회로기판(A)상에 납땜접속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제1커넥터(10)는 회로기판(A)상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제1커넥터(10)와 결합하는 제2커넥터(6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커넥터에 사용되는 제2콘택트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A)의 선 6B-6B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제2커넥터(60)는 절연성의 제2하우징(70)과 제2하우징(70)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콘택트(80)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2하우징(70)은 길이방향[도 4(A)의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본체(71)와, 하우징 본체(71)의 양단에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71)보다도 전후방향[도 4(A)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회로기판(B)(도 5참조) 상에 실장되는 한 쌍의 기판실장부(72)로 이루어져 있다. 제2하우징(7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하우징(70)의 하우징 본체(71)에는 제1하우징(20)의 결합부(43)전체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요부(73)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결합요부(73)에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제1하우징(20)의 상대콘택트 삽입용 요부(45) 내에 삽입되는 2개의 벽판(74)이 결합요부(73)의 저부로부터 입설되어 있다. 각각의 벽판(7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되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75)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벽판(74)에는 제2하우징(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으로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하우징(70)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결합요부(73)의 저부의 벽판(74)의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2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76)은 관통공(75)과 상하방향에 있어서 정렬하듯이 배열되어 관통공(75)에 연통한다. 그리고 결합요부(73)의 저부 하부(77)에는 덧살 제거작업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각 기판실장부(72)에는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제2하우징(70)에 고정되는 각각의 제2콘택트(80)는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2하우징(70)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구멍(76)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81)와, 고정부(81)로부터 결합요부(73) 내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촉부(82)와, 고정부(81)로부터 회로기판(B)까지 연장하는 기판접속부(8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81)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압입시에 하우징본체(71)로 파고드는 복수 쌍의 바브(barb)(8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81)의 양면에는 압입 후에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81b, 81c)가 금속판의 타발시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82)는 관통공(75) 내에 대향배치되고, 상대콘택트(52)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접촉부를 구성한다. 더욱이, 기판접속부(83)에는 회로기판(B)상의 도전성 패드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83a)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2콘택트(80)는 황동 등의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비틀림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지만, 고정부(81) 및 기판접속부(83)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하는 것만으로 형성되고, 접촉부(82)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한 후 베이스 부근(82a)에서 비틀어져 형성된다. 접촉부(82)가 베이스 부근(82a)에서 비틀어진 결과, 금속판의 롤면(82b)이 전후방향(도 5에서의 좌우방향)을 향하고, 전단면(82c)이 길이방향을 향하게 된다. 접촉부(82)에는 전후방향 외측으로 완곡하여 돌출하는 접촉돌기부(82d)가 형성되고, 접촉돌기부(82d)의 외측 롤면이 제1콘택트(50)와의 접촉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접촉돌기부(82)의 롤면(82b)의 판폭은 전단면(82c)의 판두께보다 약간 넓다.
제2커넥터(6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2하우징(70)의 고정부 압입고정용 구멍(76)에 제2콘택트(80)의 고정부(81)를 아래 방향에서 압입하고, 압입작업을 모든 제2콘택트(80)에 대해서 행한다. 이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제2콘택트(80)의 고정부(81)의 양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2콘택트(8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따라서, 제2콘택트(80)는 접촉부(82)의 롤면(82b)의 판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어서 솔더백(79)을 솔더백 압입고정용 요부(78)에 압입고정한다. 그리고, 제2콘택트(80)의 납땜접속부(83a)를 회로기판(B) 상의 도전성 패드에 납땜접속함과 동시에 솔더백(79)을 회로기판(B) 상에 납땜접속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제2커넥터(60)는 회로기판(B)상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를 회로기판(A)에 실장한 상태에서 제2커넥터(60)의 결합요부(73)와 제1커넥터(10)의 갑합부(43)를 결합하면,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완성된다. 여기서, 제1콘택트(50)의 접촉부(52)가 베이스 부근(52a)에서 비틀어져 금속판의 롤면(52b)이 전후방향(도 7에서의 좌우방향)을 향하고, 접촉부(52)의 전후방향 내측 롤면이 제2콘택트(80)와의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2콘택트(80)의 접촉부(82)가 베이스 부근(82a)에서 비틀어져 금속판의 롤면(82b)이 전후방향(도 7에서의 좌우방향)으로 향하고, 접촉돌기부(82d)의 전후방향 외측 롤면이 제1콘택트(50)와의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2커넥터(60)에 있는 제2콘택트(80)의 접촉부(82)의 접촉돌기부(82d)는 제1콘택트(50)의 접촉부(52)와 롤면끼리 접촉하여 내측으로 휘면서 삽입이 진행된다. 제2콘택트(80)의 접촉부(82)는 내측으로 휠 때 벽판(74)에 형성된 관통공(75) 내로 들어간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와의 결합시에는 접촉부(52, 82)의 롤면끼리 접촉하므로, 콘택트끼리 서로 접촉하는 폭이 넓고, 또 접촉면이 평탄하고 매끄럽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비교적 평탄하고 매끄러운 롤면끼리 계합함으로써 삽입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제2콘택트(80)의 한 쌍의 접촉부(82)는 제1콘택트(50) 및 제2콘택트(80)의 결합방향을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접촉돌기부(82d)의 결합방향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결합력의 최대치를 저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돌기부(82d)의 휨 공간을 결합방향으로 위치어긋나게 하여 설치하였으므로, 제2하우징(70)의 전후방향의 폭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접촉돌기부(82d)의 휨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접촉부(52, 82)의 접촉면을 구성하는 롤면의 판폭(길이방향의 폭)이 전단면의 판폭보다도 약간 크기 때문에 콘택트(50, 80)를 다극화한 경우에도 콘택트(50, 80) 상호간에 있어서 콘택트 배열 피치의 위치어긋남에 의해 접촉되지 않을 염려가 없다. 더욱이 접촉부(52, 82)의 접촉압력은 접촉부(52, 82)의 베이스 부근의 비틀어지지 않은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주요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비틀어진 접촉부(52, 82)의 롤면(52b, 82b)의 판폭을 전단면(52c, 82c)의 판두께에 비해 매우 크게할 필요가 없고, 콘택트 배열방향의 피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콘택트(50, 80)의 고밀도 배열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커넥터(10)의 제1콘택트(50)와 제2커넥터(60)의 제2콘택트(80)가 접촉하면 제1커넥터(10)에 접속된 회로기판(A)과 제2커넥터(60)에 접속된 회로기판(B)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2커넥터(60)을 제1커넥터(10)에 결합할 때, 제1커넥터(10)의 결합부(43)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요부(73)의 위치가 어긋나도 제1하우징(20)이 별개의 독립적인 2개의 하우징(30, 40)으로 구성되어, 그 위치어긋남이 제1콘택트(50)의 지지부(53a)에 의해 흡수가능하므로, 제1 및 제2콘택트(50, 80)에 손상을 주지않고 그들 커넥터(10, 60)의 결합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전기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고정부 및 기판접속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만을 행함으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접촉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한 후 베이스 부근에서 비틀어져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롤면 끼리 접촉하므로 콘택트끼리 서로 접촉하는 폭이 넓고, 또한 접촉면이 평탄하고 매끄럽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촉부의 접촉압력은 접촉부 베이스 부근의 비틀어지지 않은 부분의 단면의 2차모멘트가 주요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비틀어진 접촉부 롤면의 판폭을 전단면의 판두께에 비해 그다지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콘택트를 접촉부의 롤면의 판폭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우 콘택트 배열의 피치 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콘택트의 고밀도 배열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의 비교적 폭이 넓은 벽판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접촉부를 가지므로, 제2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제2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부가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결합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므로 결합력의 최대치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탄성접촉부의 휨 공간을 결합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함으로써, 제2하우징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의 폭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탄성접촉부의 휨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기판접속부를 위치결정하는 하우징의 두개로 구성되며, 이들 두개의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된 솔더백에 의해 서로의 가동범위가 규제되므로, 두개의 하우징에 서로 가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높이 방향 및 회로기판의 투영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Claims (4)

  1. 서로 결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넥터는 절연성의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콘택트를 갖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절연성의 제2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콘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 각각은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대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상기 고정부 및 기판접속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만을 행함으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금속판을 타발가공한 후 베이스 부근에서 비틀림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롤면끼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접촉부사이에 삽입되고 제2하우징의 비교적 폭이 넓은 벽판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탄성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택트의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부가 상기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의 결합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기판접속부를 위치결정하는 하우징의 두개로 구성되고,
    이들 두개의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된 솔더백에 의해 서로의 가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10039402A 2000-07-04 2001-07-03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20004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2234 2000-07-04
JP2000202234A JP3537740B2 (ja) 2000-07-04 2000-07-04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53A true KR20020004853A (ko) 2002-01-16

Family

ID=1869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402A KR20020004853A (ko) 2000-07-04 2001-07-03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37740B2 (ko)
KR (1) KR20020004853A (ko)
CN (1) CN1227778C (ko)
TW (1) TW508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9119B4 (de) * 2002-06-28 200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Steckfassung für eine Mehrzahl von Schaltbaugruppen mit kompatiblen Schnittstellen
JP6059095B2 (ja) * 2013-06-26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を使用したコネクタ
JP6746479B2 (ja) * 2016-12-01 2020-08-26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7740B2 (ja) 2004-06-14
TW508871B (en) 2002-11-01
CN1227778C (zh) 2005-11-16
JP2002025654A (ja) 2002-01-25
CN1331504A (zh)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38769Y2 (ko)
US7377823B2 (en) Press-fit pin
JP3041672B2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電気コネクタ
US6475040B1 (en)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to mate with round and rectangular pins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4880401A (en) Electric female connector piece
US10454202B2 (en) Plug connector with a movable housing including a fitting portion inserted and fitted to a fitt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JP2007535102A (ja) プリント配線板との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ピン、圧入工具ならびに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US4708416A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for a connector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EP0559057A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US604540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olded electrical contacts
JP2003017162A (ja) コネクタ
JPS6142887A (ja) 電気コネクタ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US20200161801A1 (en) Connector
KR20020004853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2001052788A (ja)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767537B2 (ja) 可動型電気コネクタ
JP3026335B2 (ja) コネクタ
JPH11144789A (ja) 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