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54A -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54A
KR20090003254A KR1020087023109A KR20087023109A KR20090003254A KR 20090003254 A KR20090003254 A KR 20090003254A KR 1020087023109 A KR1020087023109 A KR 1020087023109A KR 20087023109 A KR20087023109 A KR 20087023109A KR 20090003254 A KR20090003254 A KR 2009000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component
acid
polypheno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코 히라노
가즈키 스기야마
히로야스 구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제에 관한 것이다.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별개로 수납부 내에 수납해 두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의 중의 적어도 2종 또는 3종 이상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2액형 소취제

Description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Liquid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deodorizing}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복수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악취를 소취하는 효과가 높은 2액형 소취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 중의 적어도 2종 또는 3종 이상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는 2액형 소취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페놀 및 유기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으로 이루어지는 2액형 소취제 및 소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을 사용한 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냄새, 부엌쓰레기 냄새, 분뇨냄새, 동물냄새 등의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완화하는 효과가 높고, 안정성이 우수한 2액형 액체 소취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의 다양화, 생활 정도의 향상, 의식의 변화·향상 등에 따라, 몸 주위의 여러 가지 점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이의 하나로, 악취의 존재가 있 다. 예를 들면 부엌에서 발생하는 냄새,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 땀냄새나 구취 등의 외에, 애완동물이 발하는 냄새, 산업 폐기물로부터의 냄새, 사람 모발을 퍼머넌트 처리하거나, 염색 처리할 때에 발생하는 냄새, 물고기 등의 식용생물을 냉장고 등의 보존 기기 내에 보존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냄새 등을 악취로서 예시할 수 있다. 사람이 생활하는 데에는, 아무리 해도 이러한 악취를 회피할 수 없다. 그래서, 냄새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소위 마스킹하는 기술이나 악취 성분을 잡는 소위 소취 기술 등, 악취에 대한 대처법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부터, 악취 성분의 해석이 이루어져, 냄새 성분으로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각종 아민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냄새 성분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냄새에 따라 다른 것이고, 더구나, 이러한 악취는, 예를 들어 유황함유 화합물에 속하는 냄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악취 등 비교적 단순한 것에서부터, 예를 들어,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 및 각종 아민 등에 속하는 화합물이 다양한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냄새 성분으로 구성되는 악취까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야채, 알, 가축 유래의 고기, 어패류 등에 기인하는 부엌 쓰레기 냄새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저급지방산 등의 악취의 혼합 냄새이고, 동물의 배설물에 기인하는 화장실 냄새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인돌 등의 악취의 혼합 냄새이고, 담배냄새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피리딘, 황화수소 등의 악취의 혼합 냄새이고, 사람의 체취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이소발레르산, 노네날 등의 악취의 혼합 냄새인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악취에 대한 대처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 은, 다수의 냄새 성분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악취에 대한 대처법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취제로서,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소취제가 보고되어 있다 [문헌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900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90026호 등]. 이러한 소취제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사람에게 더 나은 특징이 있지만, 소취 효과라는 면에서는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소취제 조성물로서, 폴리페놀과 알칼리 성분을 반응시킨 유색물질을 소취제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문헌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7218호]. 이러한 소취제 조성물은 소취 효과가 우수하지만, 유효 성분이 유색물질이라는 이유에서, 소취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형태가 제한되는 부적합함이 있다.
한편, 복수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악취의 소취기술로서는, 산성 악취와 알칼리성 악취를 동시에 소취하도록,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소취액과 산제를 포함하는 소취제를 별개로 수납하는 소취제가 보고되어 있다[문헌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819호]. 이러한 소취제는, 별개로 수납된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소취액과 산제를 포함하는 소취제의 각각이 개별로 휘산되고, 산성 악취와 알칼리성 악취의 양쪽을 동시에 소취하는 것이며, 말하자면 휘산성 소취제라고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는 소취제가 아니다. 상기 소취제는 나름대로의 효과를 가져오지만, 충분한 소취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고는 말할 수 없어 개선될 여지가 남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중의 적어도 2종 또는 3종 이상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는 소취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취제는, 상기 특성을 갖는 것 외에도 특히 악취원에 적용하여 소취 효과를 발휘시키는 소취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는 중에, 폴리페놀에 유기산을 배합하여 산성하에 유지하는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으로 이루어지는 2액형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면, 의외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유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는 지견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지견에 근거하여, 연구를 거듭하여, 종래의 소취제보다도 소취 효과가 우수한 소취제에 도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6)에 관한 것이다.
(1)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제.
(2)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제.
(3) 폴리페놀 함량이 소취제 성분(A)에 대하여 10-7 내지 10중량%인 (1) 또는 (2)에 기재된 2액형 소취제.
(4) 산제가, 글리콜산, 락트산, 글리세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석신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산성 아미노산, 염화칼륨-염산 완충제, 프탈산수소칼륨-수소화나트륨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2액형 소취제.
(5) 소취제 성분(A)의 pH가 2 내지 6인 (1) 또는 (2)에 기재된 2액형 소취제.
(6)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2액형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취 방법.
(7)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을 악취원에 적용하고,
이어서,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을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6)에 기재된 소취 방법.
(8) 악취를 소취하기 위한,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2액형 소취제의 용도.
(9)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결합된 2개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와,
상기 한쪽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에 수납된,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과,
다른쪽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에 수납된,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 제품.
(10) 소취제 성분(A)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소취제 성분(B)이, 각각의 출구 부근에서 서로 혼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9)에 기재된 2액형 소취 제품.
(11) 폴리페놀 10-7 내지 10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
(12) 산제가 글리콜산, 글리세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석신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산성 아미노산, 염화칼륨-염산 완충제, 프탈산수소칼륨-수소화나트륨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에 기재된 산성 액체 소취제.
(13) 폴리페놀이 o-디페놀 구조를 갖는 폴리페놀인 (11) 또는 (12)에 기재된 산성 액체 소취제.
(14) 폴리페놀로서 폴리페놀 함유의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는 (11) 또는 (12)에기재된 산성 액체 소취제.
(15) 폴리페놀 10-7 내지 10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취 방법.
(16) 악취를 소취하기 위한, 폴리페놀 10-7 내지 10 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의 용도.
상기 (1)에 있어서, 소취제 성분(A)에는 수성 용매를 공존시키는 것이 유리하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상기 액상 혼합물은, 점도가 극히 높은 혼합물도 포함된다.
상기 (2)에 있어서, 제1 소취제 성분이란, 악취원에 적용하는 최초의 소취제 성분을 의미하고, 제2 소취제 성분이란, 상기 적용한 소취제 성분에 후속해서 악취원에 적용하는 2번째의 소취제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10)에 있어서, 상기 출구 부근에서 서로 혼합되는 구조란, 소취제 성분(A) 및 소취제 성분(B)이 각각의 출구로부터 나온 직후 또는 나오기 직전에 서로 혼합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소취제 성분(A) 및 소취제 성분(B)이 부분적으로 혼합될 때도 서로 혼합된다. 즉, 본 발명은,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각각 별개로 수납부 내에 수납해 두고,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희망할 때에 상기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수납부로부터 추출하여, 배합시켜,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방법의 발명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9) 및 (10)에 있어서는,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이 배합하여, 혼합하였을 때에, pH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성분(A) 및 성분(B)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및 사용량 등을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의 중의 적어도 2종 또는 3종 이상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는 2액형 소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산과 알칼리 양쪽을 함유하는 소취제는, 상기 소취제 중에서 산·알칼리 중화 반응을 일으켜서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희망할 때에, 소취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소취 효과가 없어져 버리는 것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폴리페놀은 알칼리 용액속에서는 불안정하여 보존에 적합하지 않지만, 소취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알칼리측에 보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곤란한 점을 본 발명은 해결한 것이다.
특히,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으로 이루어지는 2액형 소취제를 준비하고, 제1 소취제 성분(A)을 맨 처음에 악취원에 적용하고, 다음에 제2 소취제 성분(B)을 악취원에 적용하면, 상기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취제는,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각각 별개로 수납부 내에 수납해 두고,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희망할 때에 상기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수납부로부터 추출하고, 배합시키는 2액형 소취제이기도 하므로, 안정성, 특히 보존 안정성, 및 소취 기능이 우수한 2액형 소취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액형 소취제는 조작성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수납용기에 별개로 수납하는 2액형 소취 제품이기도 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2액형 소취제에서 사용되는 폴리페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페놀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폴리페놀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페놀이란, 동일 벤젠환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산기가 수소원자와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이의 글리코사이드도 폴리페놀로서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하이드로퀴논 및 o-디페놀 구조를 갖는 폴리페놀이 바람직하다. 또한, o-디페놀 구조란 벤젠환에 직접 수산기가 치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산기가 인접하고 있을 때의 구조를 의미한다.
폴리페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피게닌, 아피게닌 글리코사이드, 아카세틴, 이소람네틴, 이소람네틴 글리코사이드, 이소퀘르시트린, 에피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스큘레틴, 에틸프로토카테큐산염, 엘라그산, 카테콜, 감마산, 카테킨, 가르데닌, 갈로카테킨, 카페산, 카페산 에스테르, 클로로겐산, 켐페롤, 켐페롤 글리코사이드, 퀘르세틴, 퀘르세틴 글리코사이드, 퀘르세타게닌, 게니세틴, 게니세틴 글리코사이드, 고시페틴, 고시페틴 글리코사이드, 고시폴, 4-디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4-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시아니딘, 시아니딘 글리코사이드, 시넨세틴, 디오스메틴, 디오스메틴 글리코사이드, 3,4'-디페닐디올, 시나프산, 스테아릴-β-(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스피나세틴, 탄게리틴, 탁시폴린, 탄산, 다프네틴, 티로신, 델피니딘, 델피니딘 글리코사이드, 테아플라빈, 테아플라빈 모노갈레이트, 테아플라빈 비스갈레이트, 트리세티니딘, 도파, 도파민, 나린게닌, 나린진,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레트산, 노르아드레날린, 하이드로퀴논, 바닐린, 파튤레틴, 하바세틴, 바닐릴 알콜, 바니트로프,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바닐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산, 비스페놀 A, 피로카테콜, 비텍신, 4,4'-비페닐디올, 4-t-부틸카테콜, 2-t-부틸하이드로퀴논, 프로토카테큐산, 플로로글루시놀, 페놀 수지, 프로시아니딘, 프로델피니딘, 플로레틴, 플로레틴 글리코사이드, 피제틴, 폴린, 페르바세틴, 프락세틴, 플로리진, 페오니딘, 페오니딘 글리코사이드, 펠라르고니딘, 펠라르고니딘 글리코사이드, 페튜니딘, 페튜니딘 글리코사이드, 헤스페레틴, 헤스페리딘, 갈산, 갈산 에스테르(갈산 라우릴, 갈산 프로필, 갈산 부틸), 만지페린, 말비딘, 말비딘 글리코사이드, 미리세틴, 미리세틴 글리코사이드,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메틸 아트라레이트, 4-메틸카테콜, 5-메틸카테콜, 4-메톡시카테콜, 5-메톡시카테콜, 메틸카테콜-4-카복실산, 2-메틸레조르시놀, 5-메틸레조르시놀, 모린, 리그닌, 리모시트린, 리모시트린 글리코사이드, 리모시트롤, 루테올린, 루테올린 글리코사이드, 루테올리니딘, 루테올리니딘 글리코사이드, 루틴, 레조르신, 레스베라트롤, 레조르시놀, 로이코시아니딘, 로이코델피니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페놀 중에서도, 퀘르세틴, 에피카테킨, 및,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후라보노이드류 및 이의 글리코사이드, 갈산, 갈산 에스테르, 클로로겐산, 카페산, 카페산 에스테르, 탄산, 피로카테콜,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 L-도파, 4-메틸카테콜, 5-메틸카테콜, 4-메톡시카테콜, 5-메톡시카테콜 등의 o-디페놀 구조를 갖는 폴리페놀, 및, 하이드로퀴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폴리페놀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폴리페놀은, 공지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지만, 시판품을 구입하여도 좋다. 또한, 합성에 의해 조제하여도 좋다. 또한, 식물로부터 조제한 폴리페놀 분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페놀 대신에,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공지 방법에 의해 조제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로에, 아니스 씨드, 딱총나무, 가시오가피, 차전자피, 오렌지 플라워, 피멘토나무, 오레가노, 쥐오줌풀, 캐모마일, 캅사이신 페퍼, 카다몬, 계수나무, 마늘, 캐러웨이 씨드, 정향, 커민 씨드, 콜라나무, 고수풀 씨드, 붉나무, 사프란, 산초나무, 쥬니퍼 베리, 시나몬, 생강, 팔각, 세인트 존스 워트, 셀러리 씨드, 세이보리, 참깨, 식용 대황, 타라곤, 터메릭, 엉겅퀴, 딜 씨드, 육두구, 쐐기풀, 하이비스커스, 풍년화, 자작나무, 바질, 비터 오렌지, 회향, 앵초, 호로파, 버베나, 월계수, 홉, 볼도, 와사비, 양귀비 씨드, 오배자, 매리골드, 마롱, 마조람, 머스터드, 밀푀유, 민트 잎, 멜리사, 육두구, 린덴, 용담, 로즈힙, 로즈마리, 로즈마리너스 오피시널리스, 해바라기 씨드, 그레이프 과피, 사과, 당근 잎, 바나나, 딸기, 살구나무, 복숭아, 자두, 파인애플, 나시배, 감나무, 체리, 파파야, 망고, 아보카도, 멜론, 비파나무, 무화과, 키위, 푸룬, 블루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크랜베리, 커피콩, 카카오콩, 그레이프 씨드, 그레이프 프루트 씨드, 피칸 넛, 캐슈 넛, 밤, 코코넛, 피넛, 월넛, 녹차잎, 홍차잎, 우롱차잎, 담배, 들깨잎, 가든타임, 세이지, 라벤더, 스페아민트, 페퍼민트, 스팟 엉겅퀴, 히솝, 스위트 바질, 매리골드, 민들레, 아티초크, 저맨캐모마일, 짚신나물, 감초, 아니스, 서양톱풀, 유칼립투스, 쓴쑥, 밭삼, 땅두릅, 호로파, 꽃고추, 회향, 고추, 고수풀 씨드, 캐러웨이 씨드, 회향 씨드, 생강, 겨자무, 오레가노 마조람, 오레가노(origanum valgare), 머스터드, 파슬리, 후추, 세이보리, 타라곤, 쿠르크마, 고추냉이, 딜 씨드, 감귤류 과일 등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출 처리하여 수득되는 식물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식물 추출물을 단독으로나 또는 복수의 식물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폴리페놀화합물과,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A)에서 사용되는 산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산제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글리세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석신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산성 아미노산, 염화칼륨-염산완충제, 프탈산수소칼륨-수소화나트륨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산성 아미노산으로서,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A)은 상기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필수 성분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페놀 및 산제에, 또한, 수성용매 등의 용매를 포함하여 액상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이온 교환수, 순수 등도 수성 용매로 한다.
상기 액상 혼합물은, 점도가 극히 높은 혼합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수지제 튜브형 용기내에 수납되고, 필요한 경우에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추출하는 혼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에 있어서 폴리페놀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폴리페놀에 따라 많거나 적게 하지만, 황함유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소취하기 위해서, 소취제 성분(A) 전량에 대하여, 10-7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0 중량%로 하고, 또한 10-6 내지 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산제에 따라 많거나 적게 하지만, 당해 소취제 성분(A) 전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폴리페놀이나 산제가 적을 때에는 소취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도 많은 때에는, 취급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소취제 성분(A)의 산성도는, 사용하는 폴리페놀 및 산제에 따라 높거나 낮게 하지만, pH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pH 2.0 내지 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위내라면, 유황함유 화합물 및 아민류에 의한 냄새를 효율적으로 소취하고, 폴리페놀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B)에 포함되는 알칼리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알칼리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알칼리제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로 화장실 냄새, 부엌 쓰레기 냄새, 분뇨냄새, 동물냄새 등의 황화수소, 이소발레르산, 포름알데히드 등의 산성 악취를 소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완충제, 인산수소이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완충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B)은, 알칼리제와 수성용매를 포함하는 액체 소취제 조성물이다. 수성 용매로서는, 물, 순수,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제 성분(B)에서,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알칼리제에 의해 변동하지만, 당해 소취제 조성분(B) 양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알칼리제가 적을 때에는 소취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도 많을 때에는, 취급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소취제 성분(B)의 염기성도는, 사용하는 알칼리제에 따라 변동하지만, pH 7.5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pH 8.0 내지 12.5,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8.5 내지 1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라면, 산성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소취제 성분(A), 소취제 성분(B)에 대하여, 소취 성능의 보다 우수한 향상, 안정성, 향 발생 등의 점에서, 각 소취제 성분에 적합한 향료를 미리 배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취제 성분에 배합되는 향료는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대기중으로 휘산되는 유기 화합물로서, 향료로서 유효한 유기 화합물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성분(A)에 배합되는 향료는 폴리페놀 및 산제에 안정한 향료인 것이 필요하고, 상기 성분을 B에 배합되는 향료는 알칼리제에 안정된 향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알칼리제에 불안정한 향료를 소취제 성분(B)에 배합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향료가 분해하거나, 변색하거나, 침전하여, 소취제 성분(B)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향기의 조화가 무너지는 것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산제 및 폴리페놀에 불안정한 향료를 소취제 성분(A)에 배합하면, 상기와 같은 것이 생기기 때문에, 소취제 성분(A) 및 성분(B)에 각각 배합하는 향료는, 각각의 성분에 안정한 향료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의 소취제 성분(A)에는, 폴리페놀 및 산제에 안정한 향료로서, 알콜계 향료, 에스테르계 향료, 탄화수소계 향료, 락톤계 향료, 에테르계 향료, 천연 향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를 배합하는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성분(A)에 배합되는 모든 향료에 대하여, 예를 들면 30 내지 10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0 내지 80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취제 성분(B)에는, 알칼리제에 안정한 향료로서, 알콜계 향료, 알데히드계 향료, 케톤계 향료, 에테르계 향료, 천연 향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료를 배합하는 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성분(B)에 배합되는 모든 향료에 대하여, 예를 들면 30 내지 10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0 내지 80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향료를 상기 소취제 성분(B) 또는 성분(A)에 함유함으로써, 각각안정한 조화가 수득된 향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취제에 있어서의 향료는, 향료의 향기에 의한 악취의 마스킹에도 유효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쾌적한 향기로 마스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A)에 사용되는 향료는 소위 조합 향료이고, 균형 잡힌 향질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쾌적한 향기를 갖고, 또한 마스킹되는 향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성분(B)에서도 같고, 성분(A)에 사용되는 향료가 균형 잡힌,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쾌적한 향기를 가지며, 더구나 마스킹되는 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알콜계 향료로서는, 시트로네롤, 게라니올, 리나롤, 보르네올, 멘톨, 네롤, 시스-3-헥세놀, 테르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나롤, β-페닐에틸 알콜, 신나믹 알콜, 아니스알콜, 디메틸벤질카비놀, 페녹시에틸 알콜, 사비넨 하이드레이트, 바크다놀, 산탈롤을 들 수 있다.
천연계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유, 멘타유, 로즈마리유, 유칼립투스유, 티트리유, 오렌지유, 라벤더유, 제라늄유이고, 에테르계 향료로서는, 갈락솔리드, 로즈옥사이드, 리날롤옥사이드, 시네올, 세드람버, 디벤질에테르, 암브록산, 디페닐옥사이드, β-나프톨 메틸 에테르, β-나프톨 에틸 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제에 안정한 향료는, 알데히드계 향료로서는, 시스-3-헥세날, 옥타날, 노나날, 데카날, 시트로네랄, 페릴 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 알데히드, 헬리오날, 리리알, 바닐린, 트리프랄이 있고, 케톤계 향료로서는, 캄파, 멘톤, 요논, 메틸요논, 토날리드, 무스콘, 사이클로펜타데카논, 카슈메란, 다마스콘, 다마세논, 시스쟈스몬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향료로서는, 아세트산 시트로넬릴, 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트산 네릴, 아세트산 벤질, 아세트산 테르피닐,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보르닐, 아세트산 멘틸, 아세트산-p-t-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트산-t-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트산 페닐에틸, 아세트산 스티랄릴이 있고, 탄화수소계 향료로서는, 리모넨, 피넨, 디페닐메탄, 미르센, 사비넨이 있고, 락톤계 향료로서는, 쿠마린, γ-운데카락톤, 사이클로펜타데카놀, γ-노나락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취제 성분(A)이나 성분(B)에 배합되는 향료의 양은, 상기 성분(A)이나 성분(B)에 배합되어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나 양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고,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바람직한 향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소취제 성분(A)이나 성분(B)에 각각 안정한 향료가 소취제 성분(A)이나 성분(B)의 전량에 대하여, 0.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이면, 향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나 향기의 조화성이 충분하지 않고, 60중량% 이상이면, 바람직한 향기를 부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또한 그밖의 향료, 향료용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외에 사용할 수 있는 향료는, 여러 가지 문헌, 예를 들면 "Perfume and Flavor Chemicals"[Vol.Iand II, Steffen Arctander, Allured Pub. Co.(1994)] 및 "합성향료 화학과 상품지식"[Motichi Indoh저, 화학공업일보사(1996)] 및 "향기의 백과"[일본 향료 협회편, Asakura Publishing(1989)] 및 "Perfumery Material Performance V.3.3"[Boelens Aroma Chemical Information Service(1996)] 및 "Flower oils and Floral Compounds In Perfumery"[Danute Lajaujis Anonis, Allured Pub.Co.(1993)] 등으로 들 수 있다.
이하에, 그밖에 사용할 수 있는 향료의 대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아니스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벤조산 에스테르(알릴, 이소아밀, 에틸, 게라닐, 리나릴, 페닐에틸, 헥실, 시스-3-헥세닐, 벤질, 메틸, 등), 안트라닐산 에스테르(신나밀, 시스-3-헥세닐, 메틸, 에틸, 리나릴, 이소부틸, 등), N-메틸안트라닐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이소발레르산 에스테르(아밀, 알릴, 이소아밀, 이소부틸, 이소프로필, 에틸, 옥틸, 게라닐, 사이클로헥실, 시트로넬릴, 테르페닐, 리나릴, 신나밀, 페닐에틸, 부틸, 프로필, 헥실, 벤질, 메틸, 로디닐, 등), 이소부티르산 에스테르(이소아밀, 게라닐, 시트로넬릴, 테르페닐, 신나밀, 옥틸, 네릴,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페녹시에틸, 부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헥실, 벤질, 메틸, 에틸, 리나릴, 로디닐, 등), 운데실렌산 에스테르(알릴, 이소아밀, 부틸, 에틸, 메틸, 등), 옥탄산 에스테르(알릴, 이소아밀, 에틸, 옥틸, 헥실, 부틸, 메틸, 리나릴, 등), 옥텐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옥틴 카복실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카프론산 에스테르(알릴, 아밀, 이소아밀, 메틸, 에틸, 이소부틸, 프로필, 헥실, 시스-3-헥세닐, 트랜스-2-헥세닐, 리나릴, 게라닐, 사이클로헥실, 등), 헥센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발레르산 에스테르(아밀,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에틸, 시스-3-헥세닐, 트랜스-2-헥세닐, 신나밀, 페닐에틸, 메틸, 등), 포름산 에스테르(아니실, 이소아밀, 이소프로필, 에틸, 옥틸, 게라닐, 시트로넬릴, 신나밀, 사이클로헥실, 테르피닐, 페닐에틸, 부틸, 프로필, 헥실, 시스-3-헥세닐, 벤질, 리나릴, 로디닐, 등), 크로톤산 에스테르(이소부틸, 에틸, 사이클로헥실, 등), 신남산 에스테르(알릴, 에틸, 메틸, 이소프로필, 프로필, 3-페닐프로필, 벤질, 사이클로헥실, 메틸, 등), 석신산 에스테르(모노멘틸, 디에틸, 디메틸, 등), 아세트산 에스테르(아니실, 아밀, α-아밀신나밀, 이소아밀, 이소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보르닐, 이소오이게닐, 오이게닐, 2-에틸부틸, 에틸, 3-옥틸, p-크레실, o-크레실, 게라닐, α- 또는 β-산타릴,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네릴, 디하이드로쿠미닐, 디메틸벤질카비닐, 신나밀, 스티랄릴, 데실, 도데실, 테르피닐, 구아닐, 네릴, 노닐, 페닐에틸, 페닐프로필, 부틸, 푸르푸릴, 프로필, 헥실, 시스-3-헥세닐, 트랜스-2-헥세닐, 시스-3-노네닐, 시스-6-노네닐, 시스-3,시스-6-노나디에닐, 3-메틸-2-부테닐, 헵틸, 벤질, 보르닐, 미르세닐, 디하이드로미르세닐, 미르테닐, 메틸, 2-메틸부틸, 멘틸, 리나릴, 로디닐, 등), 살리실산 에스테르(알릴, 이소아밀, 페닐, 페닐에틸, 벤질, 에틸, 메틸, 등), 사이클로헥실알칸산 에스테르(사이클로헥실아세트산 에틸, 사이클로헥실프로피온산알릴, 사이클로헥실부티르산알릴, 사이클로헥실산알릴, 사이클로헥실데칸산알릴, 사이클로헥실발레르산알릴, 등), 스테아르산 에스테르(에틸, 프로필, 부틸, 등), 세바틴산 에스테르(디에틸, 디메틸, 등),데칸산 에스테르(이소아밀, 에틸, 부틸, 메틸, 등), 도데칸산 에스테르(이소아밀, 에틸, 부틸, 등), 락트산 에스테르(이소아밀, 에틸, 부틸, 등), 노난산 에스테르(에틸, 페닐에틸, 메틸, 등), 노넨산 에스테르(알릴, 에틸, 메틸, 등), 하이드록시헥산산 에스테르(에틸, 메틸, 등), 페닐아세트산 에스테르(이소아밀, 이소부틸, 에틸, 게라닐, 시트로넬릴, 시스-3-헥세닐, 메틸, 등), 페녹시아세트산 에스테르(알릴, 에틸, 메틸, 등), 푸란카복실산 에스테르(푸란카복실산 에틸, 푸란카복실산메틸, 푸란카복실산헥실, 푸란프로피온산이소부틸, 등), 프로피온산 에스테르(아니실, 알릴, 에틸, 아밀, 이소아밀,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이소프로필, 벤질, 게라닐, 사이클로헥실, 시트로넬릴, 신나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트리사이클로데세닐, 헵틸, 보르닐, 메틸, 멘틸, 리나릴, 테르피닐, α-메틸프로피오닐, β-메틸프로피오닐, 등), 헵탄산 에스테르(알릴, 에틸, 옥틸, 프로필, 메틸, 등), 헵틴 카복실산 에스테르(알릴, 에틸, 프로필, 메틸, 등), 미리스트산 에스테르(이소프로필, 에틸, 메틸, 등), 페닐글리시드산 에스테르(페닐글리시드산 에틸, 3-메틸페닐글리시드산 에틸, p-메틸-β-페닐글리시드산 에틸, 등), 2-메틸부티르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옥틸, 페닐에틸, 부틸, 헥실, 벤질, 등), 3-메틸부티르산 에스테르(메틸, 에틸, 등), 부티르산 에스테르(아니실, 아밀, 알릴, 이소아밀, 메틸, 에틸, 프로필, 옥틸, 구아닐, 리나릴, 게라닐, 클로로헥실, 시트로넬릴, 신나밀, 네릴, 테르페닐, 페닐프로필, β-페닐에틸, 부틸, 헥실, 시스-3-헥세닐, 트랜스-2-헥세닐, 벤질, 로디닐, 등), 하이드록시부티르산 에스테르(3-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메틸, 에틸, 멘틸, 등) 등이 사용된다.
알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알콜(이소아밀알콜, 2-에틸헥사놀, 1-옥타놀, 3-옥타놀, 1-옥텐-3-올, 1-데카놀, 1-도데카놀, 2,6-노나디에놀, 노나놀, 2-노나놀, 시스-6-노네놀, 트랜스-2,시스-6-노나디에놀, 시스-3,시스-6-노나디에놀, 부탄올, 헥사놀, 시스-3-헥세놀, 트랜스-2-헥세놀, 1-운데카놀, 헵타놀, 2-헵타놀, 3-메틸-1-펜타놀, 등), 테르펜알콜(보르네올, 이소보르네올, 카르베올, 게라니올, α- 또는 β-산탈롤, 시트로넬롤, 4-튜쟈놀, 테르피네올, 4-테르피네올, 네롤, 미르세놀, 미르테놀, 디하이드로미르세놀, 테트라하이드로미르세놀, 네롤리돌, 하이드록시시트로네롤, 파르네솔, 페릴 알콜, 로디놀, 리나롤, 등), 방향족 알콜(아니스알콜, α-아밀신나믹 알콜, 이소프로필벤질카비놀, 카바크롤, 쿠민알콜, 디메틸벤질카비놀, 신나믹 알콜, 페닐알릴 알콜, 페닐에틸카비놀, β-페닐에틸 알콜, 3-페닐프로필알콜, 벤질알콜, 등) 등이 사용된다.
알데히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알데히드(아세트알데히드, 옥타날, 노나날, 데카날, 운데카날, 2,6-디메틸-5-헵타날, 3,5,5-트리메틸헥사날, 시스-3,시스-6-노나디에날, 트랜스-2,시스-6-노나디에날, 발레르알데히드, 프로파날, 이소프로파날, 헥사날, 트랜스-2-헥세날, 시스-3-헥세날, 2-펜테날, 도데카날, 테트라데카날, 트랜스-4-데세날, 트랜스-2-트리데세날, 트랜스-2-도데세날, 트랜스-2-운데세날, 2,4-헥사디에날, 시스-6-노네날, 트랜스-2-노네날, 2-메틸부타날, 등), 방향족 알데히드(아니스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 알데히드, α-메틸신나믹 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p-이소프로필페닐아세트알데히드, 에틸바닐린, 쿠민알데히드, 살리실알데히드, 신나믹 알데히드, o-, m- 또는 p-톨릴 알데히드, 바닐린, 비베로날,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헬리오트로핀, 벤즈알데히드, 4-메틸-2-페닐-2-펜테날, p-메톡시신나믹 알데히드, p-메톡시벤즈알데히드, 등), 테르펜알데히드(게라니알, 시트랄, 시트로넬랄, α-시넨살, β-시넨살, 페릴 알데히드,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테트라하이드로시트랄, 미르테날, 사이클로시트랄, 이소사이클로시트랄, 시트로네릴옥사아세트알데히드, 네랄, α-메틸렌시트로넬랄, 마이락알데히드, 베른알데히드, 사프라날, 등) 등이 사용된다.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환형 케톤(1-아세틸-3,3-디메틸-1-사이클로헥센, 시스-쟈스몬, α-, β- 또는 γ-이론, 에틸말톨, 사이클로텐, 디하이드로누트카톤, 3,4-디메틸-1,2-사이클로펜타디온, 소톨론, α-, β-, γ- 또는 δ-다마스콘, α-, β- 또는 γ-다마세논, 누트카톤, 2-2급-부틸사이클로헥사논, 말톨, α-,β- 또는 γ-요논, α-,β- 또는 γ-메틸요논, α-, β- 또는 γ-이소메틸요논, 푸라네올, 캄파, 등), 방향족 케톤(아세토나프톤, 아세토페논, 아니실리덴아세톤, 라스프베리케톤, p-메틸 아세토페논, 아니실아세톤, p-메톡시아세토페논, 등), 직쇄 케톤(디아세틸, 2-노나논, 디아세틸, 2-헵타논, 2,3-헵탄디온, 2-펜타논, 메틸 아밀 케톤, 메틸 노닐 케톤, β-메틸 나프틸 케톤, 메틸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3-옥타논, 2,3-헥산디온, 2-운데카논, 디메틸옥테논, 6-메틸-5-헵틴-3-온, 등) 등이 사용된다.
아세탈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알데히드 디에틸 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 디아밀 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 디헥실 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 에틸 시스-3-헥세닐 아세탈, 벤즈알데히드 글리세린 아세탈, 벤즈알데히드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시트랄 디메틸 아세탈, 시트랄 디에틸 아세탈, 시트랄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시트랄 에틸렌 글리콜 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 시트로넬릴 메틸 아세탈, 아세트알데히드 페닐에틸 프로필 아세탈, 헥사날 디메틸 아세탈, 헥사날 디헥실 아세탈, 헥사날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트랜스-2-헥세날 디에틸 아세탈, 트랜스-2-헥세날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시스-3-헥세날 디에틸 아세탈, 헵타날 디에틸 아세탈, 헵타날 에틸렌 글리콜 아세탈, 옥타날 디메틸 아세탈, 노나날 디메날 아세탈, 데카날 디메틸 아세탈, 데카날 디에틸 아세탈, 2-메틸운데카날 디메틸 아세탈, 시트로넬랄 디메틸 아세탈, 앰버세이지[제조원: Givaudan],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에틸렌 글리콜 아세탈 및 2-페닐프로파날 디메틸 아세탈 등이 사용된다.
페놀류로서는, 예를 들면, 오이게놀, 이소오이게놀, 2-메톡시-4-비닐페놀, 티몰, 카바크롤, 구아야콜 및 챠비콜 등이 사용된다.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네톨, 1,4-시네올, 디벤질에테르, 리날롤옥사이드, 리모넨옥사이드, 네롤옥사이드, 로즈옥사이드, 메틸이소오이게놀, 메틸챠비콜, 이소아밀 페닐에틸 에테르, β-나프틸 메틸 에테르, 페닐 프로필 에테르, p-크레질 메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 α-테르피닐 메틸 에테르, 시트로네릴 에틸 에테르, 게라닐 에틸 에테르, 로즈푸란, 테아스피란, 데실메틸 에테르 및 메틸 페닐메틸 에테르 등이 사용된다.
락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γ- 또는 δ-데카락톤, γ-헵타락톤, γ-노나락톤, γ- 또는 δ-헥사락톤, γ- 또는 δ-옥타락톤, γ- 또는 δ-운데카락톤, 6-도데카락톤, δ-2-데세노락톤, 메틸락톤, 5-하이드록시-8-운데센산 δ-락톤, 쟈스민락톤, 멘타락톤, 디하이드로쿠마린, 옥타하이드로쿠마린 및 6-메틸쿠마린 등이 사용된다.
푸란류로서는, 예를 들면, 푸란, 2-메틸푸란, 3-메틸푸란, 2-에틸푸란, 2,5-디에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3-하이드록시-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톡시메틸)푸란, 2,3-디하이드로푸란, 푸르푸랄, 5-메틸푸르푸랄, 3-(2-푸릴)-2-메틸-2-프로페날,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 2,5-디메틸-4-하이드록시-3(2H)-푸라논(푸라네올), 4,5-디메틸-3-하이드록시-2(5H)-푸라논(소톨론), 2-에틸-4-하이드록시-5-메틸-3(2H)-푸라논(호모푸라놀), 5-에틸-3-하이드록시-4-메틸-2(5H)푸라논(호모소톨론), 3-메틸-1,2-사이클로펜탄디온(사이클로텐), 2(5H)-푸라논, 4-메틸-2(5H)-푸라논, 5-메틸-2(5H)-푸라논, 2-메틸-3(2H)-푸라논, 5-메틸-3(2H)-푸라논, 2-아세틸푸라논, 2-아세틸-5-메틸푸란, 푸르푸릴 알콜, 2-푸란카복실산 메틸, 2-푸란카복실산 에틸 및 아세트산푸르푸릴 등이 사용된다.
탄화수소류로서는, 예를 들면, α- 또는 β-비자볼렌, β-카리오필렌, p-사이멘, 테르피넨, 테르피놀렌, 카디넨, 파르네센, 리모넨, 오시멘, 미르센, α - 또는 β-피넨, 1,3,5-운데카트리엔 및 발렌센 등이 사용된다.
또한, 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게란산, 도데칸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락트산, 페닐아세트산, 피루브산, 트랜스-2-메틸-2-펜텐산, 2-메틸-시스-3-펜텐산, 2-메틸-4-펜텐산 및 사이클로헥산카복실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천연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니스, 오렌지, 레몬, 라임, 만다린, 프띠그랭(petit grain), 베르가모트, 레몬밤, 그레이프 프루트, 엘레미, 유향, 레몬 그래스, 네놀리유, 마조람, 안젤리카 루트, 팔각, 바질, 월계수, 창포, 캐모마일, 캐러웨이, 카다몬, 계피, 시나몬, 후추, 차조기, 사이프러스, 오레가노, 카스카릴라, 생강, 파슬리, 솔잎, 세이지, 히솝, 티트리, 머스터드, 겨자무, 클라리세이지, 정향, 코냑, 고수풀, 에스타라곤, 유칼립투스, 회향, 구아약우드(guaiac wood), 딜, 카주풋, 웜 씨드, 홍피망, 노간주나무, 호로파, 마늘, 월계수, 메이스(mace), 밀, 육두구, 가문비나무, 제라늄, 시트로넬라, 라벤더, 라반딘, 팔마로사, 로즈, 로즈 마리, 백단, 오크 모스, 시더 우드, 베티버, 리나로에, 보이스 드 로즈(bois de rose), 파출리, 랩더늄, 커민, 타임, 일랑일랑, 버치, 고추, 셀러리, 톨루발삼, 젠네, 인모텔(inmortel), 벤조인, 쟈스민, 계피, 튜베로즈, 목서초, 매리골드, 미모사, 오포파낙스, 흰붓꽃, 바닐라 및 감초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천연 향료에 함유되어 있는 향료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소취제에 사용되고 있는 임의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소취제 성분(A) 또는 소취제 성분(B)에 함유시킬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임의성분으로서는, 계면활성제, 색소, 항균제, 방부제, 향료 보류제, 동결 안정화제, 소취기제, 정유,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악취를 소취 또는 저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효소를 공존시켜도 좋다. 또한, 식물 유래의 조효소를 공존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소취 방법은, 상기 소취제 성분의 한쪽을 악취원에 적용하고, 이어서 다른쪽의 성분을 악취원에 적용하는 소취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폴리페놀과 산제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을 먼저 악취원에 적용하고, 이어서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상기 성분(A)을 적용한 부위에 적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해, 상기 혼합형 악취를 극히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악취원에 적용할 때의, 상기 소취제 성분(A)의 사용량과 소취제 성분(B)의 사용량의 비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하는 소취제 성분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의 종류나 양, 소취하고자 하는 악취원의 상태 등에 따라 대폭 변동한다. 여기에서, 악취원이란, 예를 들면, 부엌에서의 부엌 쓰레기, 물 주위의 오염, 화장실내 등 악취를 발생하는 부분 또는 이의 주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동시에 악취원에 적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각각 개별로 수납하여 소취 제품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개별로 수납할 수단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수단으로서는 상기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각각 별개로 수납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더구나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2개의 용기는 일체적인 용기로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각각의 2액이 액체상태로 혼합되지 않고, 개별용기, 예를 들면, 1개의 용기에 구획체에 의해 2액을 수납한다
2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용기에 상기 각 소취제 성분을 수납하는 수납용기, 또는, 2개의 독립형 용기에 상기 각 소취액을 수납하고, 이 독립형 용기끼리를 감합, 접합, 접착 등의 고착기구 또는 착탈기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수납용기, 또한, 받침 접시내에 2개의 독립형 용기를 세트화한 일체적인 수납용기 등이 예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수납용기로서, 튜브형 용기가 있고, 용기내에 상기 구획체로서의 얇은 판형, 또는 상기 용기와 거의 동형의 튜브형의 구획체를 구비한 용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는 당해 구획체에 의해 2개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수납부에 별개로 수납되게 된다.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희망할 때에,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은, 각각의 수납부의 출구로부터 밀려나오고, 출구 부근(출구의 압출 방향 부위)에서 서로 혼합되어, 악취원에 적용된다. 구체예로서 치약 튜브를 예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다른 바람직한 용기로서 스프레이식 용기가 있다. 이 용기에는, 적어도 가스식과 미스팅(misting)식이 있지만, 본 발명에는, 이러한 모든 형식의 용기가 포함된다. 설명이 복잡해지고, 이해가 힘들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 이후, 상기 형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기 내부가 2개의 액체 수납부를 구비하는 스프레이식 용기로서, 상기 액체 수납부의 각각에 수용되어 소취제 성분에 한쪽 끝이 담긴 중공관을 구비하고, 또한 당해 중공관의 다른쪽 끝 근처에서 상기 소취제 성분이 서로 배합되고, 당해 다른쪽 끝이 스프레이부에 접속하는 중공관이 구비된 수납용기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납용기의 하나이다. 상기 수납용기내의 2개의 수납부에,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은, 각각 수납된다. 소취 기능을 발휘시키고자 희망할 때에,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은, 각각의 중공관을 통과하고, 중공관의 합일부에서 서로 혼합되고, 중공관의 단부(출구)를 통과하고, 스프레이부를 지나서, 악취원에 스프레이되어, 적용된다.
상기 소취 제품을 사용하여, 혼합 냄새를 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부엌 쓰레기에 유래하는 냄새, 냉장고내에서의 냄새, 식품을 조리할 때에 발생하는 냄새 등의 부엌에서의 냄새, 화장실에서의 냄새, 퍼머넌트 처리, 염색 처리 시에 생기는 냄새,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 등의 실내냄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황화수소·저급지방산류·알데히드류 등의 산성 악취와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성 악취 및 메틸머캅탄 등의 황함유 화합물 등을 효율적으로, 동시에 소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취제 성분에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소취제 성분이 분해하거나, 변색하거나, 침전,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또한 향기의 조화가 무너지는 일도 없다. 또한, 안정한 향기 발생을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서 본 발명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예 1
차 추출물의 조제
엽차(녹차) 1kg를 90℃의 뜨거운 물 10L에서 1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차잎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8.3L의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이 액을 1L까지 농축하고, 여기에 아세톤 1L를 가하여 교반하고, 생긴 불용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청액에 아세트산 에틸 1L을 가하여 교반하고, 30분간 정치하였다. 수득된 아세트산 에틸 층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물층으로 전환한 후 동결 건조하여, 순도 60%의 차페놀을 함유하는 차 추출물 97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참고예 1의 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혼합 교반하여, 차 추출물 0.5중량%, 시트르산 0.5중량%, 및 물 99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2.7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0.5중량% 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응용예 1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실시예 1의 소취제 성분(A)에 담근 후에 10분간 방치하였다. 당해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상기 소취제 성분(A)을 제거한 후에, 실시예 1의 소취제 성분(B)에 담그고, 10분간 방치하였다.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수세 후, 타월을 사용하여 수분을 닦아내고, 2액형 소취제로 처리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1의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응용예 1에서 수득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37℃에서 1시간 건조 처리한 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서, 관능 평가 시험을 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응용예 1과 같이 수세하고, 타월로 수분을 닦아낸 후, 상기와 같이 건조하여, 소취 무처리 모발을 사용하였다. 이 처리 모발을 기준으로 하여, 관능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제시한다. 또한, 표의 수치는 6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치이다.
(평가기준)
5 퍼머냄새가 강하게 난다
4 퍼머냄새가 난다
3 퍼머냄새가 약간 난다
2 퍼머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퍼머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비교 응용예 1
2액형 소취제의 구성 성분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실시예 1의 차 추출물의 0.5중량% 수용액에 담근 후, 10분간 방치하였다. 상기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이후에 응용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비교 응용예 2 내지 3
2액형 소취제의 구성성분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차 추출물의 0.5중량% 수용액 대신에, 실시예 1의 시트르산의 0.5중량% 수용액, 및 실시예 1의 소취제 성분(B)을 사용하고, 그 이외는 비교 응용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비교 응용예 4
2액형 소취제의 구성성분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차 추출물의 0.5중량% 수용액 대신에, 실시예 1의 소취제 성분(A)을 사용하고, 그 이외는 비교 응용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고,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2 내지 5
실시예 1의 2액형 소취제의 구성성분의 소취 효과
실시예 1의 2액형 소취제의 구성성분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비교 응용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시험예 1과 같이 관능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의 수치는 6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치이다.
Figure 112008066451385-PCT00001
실시예 2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제1 소취제 성분의 조제)
피칸 너츠 추출물[제조원: NOF Corporation], 및 시트르산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피칸 너츠 추출물 0.5중량%, 시트르산 0.5중량%, 및 물 99중량%로 이루어지는 제1 소취제 성분을 수득하였다. pH는 2.42였다.
(제2 소취제 성분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0.5중량%, 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제2 소취제 성분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실시예 3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갈산, 및 시트르산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갈산 0.5중량%, 시트르산 0.5중량%, 및 물 99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2.42였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0.5중량%, 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제2 소취제 성분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실시예 4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참고예 1의 차 추출물, 및 시트르산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차 추출물 0.5중량%, 시트르산 0.5중량%, 및 물 99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2.73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O.5중량%,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제2 소취제 성분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응용예 2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실시예 2의 제1 소취제 성분에 담근 후에 10분간 방치하였다. 상기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상기 제1 소취제 성분을 제거한 후에, 실시예 2의 제2 소취제 성분에 담그고, 10분간 방치하였다.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이후에 응용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2액형 소취제로 처리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응용예 3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실시예 2의 제2 소취제 성분에 담근 후에 10분간 방치하였다. 상기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상기 제1 소취제 성분을 제거한 후에, 실시예 2의 제1 소취제 성분에 담그고, 10분간 방치하였다. 모발을 끌어올려, 모발을 쥐어짜고, 이후에 응용예 1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고, 2액형 소취제로 처리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응용예 4 내지 5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로의 적용
실시예 2의 소취제 대신에 실시예 3 내지 4의 소취제를 사용하고, 그 이외는 응용예 2와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2액형 소취제로 처리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6 내지 9
실시예 2 내지 4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2 내지 4의 2액형 소취제의, 퍼머넌트 처리 모발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응용예 2 내지 5에서 수득한 퍼머넌트 처리 모발에 대한 소취 효과를, 시험예 1과 같이 관능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6451385-PCT00002
실시예 5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갈산, 및 시트르산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갈산 0.25중량%, 시트르산 0.25중량%, 및 물 88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3.04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O.5중량%, 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시험예 10
실시예 5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5의 2액형 소취제의, 하기 혼합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바닥면의 직경이 약 5cm이고, 높이가 약 8cm인 플라스틱제 컵의 바닥에 여과지를 깐 후에, 하기 조성의 모델 혼합 냄새 0.5ml를 적하하고, 여과지에 스며들게 하였다. 즉시,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A) 1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5분간 방치 후, 뚜껑을 열고, 재빨리 소취제 성분(B) 1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5분간 경과 후, 뚜껑을 열고,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방법은, 시험예 1과 같다. 단, 평가기준은 하기의 같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제시한다.
(모델 혼합 냄새)
모델 혼합 냄새는, 아세트산 0.25중량%, 아세트알데히드 0.25중량%, 트리메틸아민 0.25중량% 및 메틸머캅탄 0.125중량%, 물 99.125중량%로 이루어진다.
(평가기준)
5 혼합 냄새가 강하게 난다
4 혼합 냄새가 난다
3 혼합 냄새가 약간 난다
2 혼합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혼합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시험예 11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A)의 소취 효과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A)의, 시험예 10의 혼합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시험예 10과 같은 혼합 냄새를 여과지에 스며들게 한 컵에,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A) 1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5분간 방치 후, 뚜껑을 열고, 시험예 10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여,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시험예 12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B)의 소취 효과
실시예 5의 소취제 성분(B)의, 시험예 10의 혼합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시험예 10과 같은 조작을 실시하고,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08066451385-PCT00003
실시예 6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갈산, 말산, 및 95% 에탄올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갈산 1.0중량%, 말산 1.0중량%, 95% 에탄올 10.0중량% 및 물 88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2.3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1.0중량인 물 99.0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11.4이었다.
시험예 13
실시예 6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6의 2액형 소취제의, 하기 생선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면의 직경이 약 5cm이고, 높이가 약 8cm인 플라스틱제 컵의 바닥에 여과지를 깐 후에, 하기 조성의 모델 생선 냄새 0.1ml를 적하하고, 여과지에 스며들게 하였다. 즉시, 실시예 6의 소취제 성분(A) 0.2mL를 스프레이하여, 곧 뚜껑을 덮었다. 2분간 방치 후, 뚜껑을 열고, 재빨리 소취제 성분(B) 0.2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2분간 경과 후, 뚜껑을 열고,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방법은, 시험예 1과 같다. 단, 평가기준은 하기에 의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모델 생선 냄새)
모델 생선 냄새는, 새우 플레이버를 0.1중량% 함유하는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50중량%와, 정어리 기름을 0.1중량% 함유하는 DPG 50중량%로 이루어진다.
(평가기준)
5 생선 냄새가 강하게 난다
4 생선 냄새가 난다
3 생선 냄새가 약간 난다
2 생선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생선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실시예 7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참고예 1의 차 추출물, 시트르산, 및 95% 에탄올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차 추출물 1.0중량%, 시트르산 1.0중량%, 95% 에탄올 48.0중량% 및 물 50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3.5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 및 95% 에탄올을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탄산나트륨 1.0중량%, 95% 에탄올 40.0중량% 및, 물 59.0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12.2이었다.
시험예 14
실시예 7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7의 2액형 소취제의,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바닥면의 직경이 약 5cm이고, 높이가 약 8cm인 플라스틱제 컵 바닥에 사용 후의 고양이 모래 3g을 깔았다. 이 고양이 모래 위에 여과지를 깐 후에, 효과를 즉시 실시예 7의 소취제 성분(A) 0.2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2분간 방치 후, 뚜껑을 열고, 재빨리 소취제 성분(B) 0.2 mL를 스프레이하고, 곧 뚜껑을 덮었다. 2분간 경과 후, 뚜껑을 열고,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방법은, 시험예 1과 같다. 단, 평가기준은 하기에 의거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평가기준)
5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가 강하게 난다
4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가 난다
3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가 약간 난다
2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실시예 8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카테킨[폴리페놀 GTP90, 제조원: Aiya Japan Corporation], 시트르산, 및 치약제[굵은 소금, 제조원: Kao Corporation]를 각각 소정량 칭량한 후, 이들을 혼합 교반하고, 카테킨[폴리페놀 GTP90] 0.5중량%, 시트르산 0.5중량%, 치약제 99.0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A)을 수득하였다. pH는 5.8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O.5중량%, 물 99.5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8.75이었다.
시험예 15
실시예 8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8의 2액형 소취제의, 메틸머캅탄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은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조작)
유발(직경cm)에 5중량% 메틸머캅탄 Na 수용액을 1방울 떨어뜨린다. 실시예 8의 소취제 성분(A) 0.5g과 소취제 성분(B) 1g과 물 2mL를 유발에 가하고, 악취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발을 큰 자루로 덮고, 유발 속을 칫솔로 닦도록 문질렀다(브러싱하였다). 1분간 경과 후, 덮개를 없애고, 냄새를 관능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 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하다. 단, 평가 기준은 하기에 의거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평가기준)
5 메틸머캅탄 냄새가 강하게 난다
4 메틸머캅탄 냄새가 난다
3 메틸머캅탄 냄새가 약간 난다
2 메틸머캅탄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1 메틸머캅탄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Figure 112008066451385-PCT00004
실시예 9
소취제의 조제
다음 방법으로, 2액형 소취제를 조정하였다.
(소취제 성분(A)의 조제)
카테킨 농도가 10000ppm이 되도록 폴리페놀 분말 GTP90을 칭량하고, 물로 용해하고, 카테킨 수용액을 조정한다. 또한 시트르산을 0.1% 가하여 소취제 성분(A)을 조제하였다. pH는 2.8이었다.
(소취제 성분(B)의 조제)
탄산나트륨을 소정량 칭량하고, 탄산나트륨 O.2중량%, 물 99.8중량%로 이루어지는 소취제 성분(B)을 수득하였다. pH는 11.2이었다.
시험예 15
실시예 9의 2액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
실시예 9의 2액형 소취제의, 메틸머캅탄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조작)
300ml 삼각 플라스크에 정제수로 희석한 소취 시험액 10ml, 메틸머캅탄나트륨 1.5% 수용액 10μL를 넣고, 파라필름(Parafilm)으로 재빨리 뚜껑을 덮고, 25℃로 조정한 항온진탕 수조에서 진탕시킨 후, 삼각플라스크의 파라필름에 작은 구멍을 뚫어, 재빨리 가스 검지관을 삽입하고, 가스내에 잔존하는 악취 성분인 황함유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하기 식에 의해, 소취율을 산출하였다. 단, 진탕 시간을 10분으로 하고, 정제수를 블랭크로 한다.
소취율(%)=100×{1-(A/B)}
또한, 상기 식 중, A는 측정된 악취 성분 농도를 나타내고, B는 대조군에서의 측정된 악취 성분 농도를 나타낸다. 대조군은, 정제수 10mL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08066451385-PCT00005
본 발명을 특정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분명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06년 3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원 2006-079797)에 기초하고, 본 출원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또한, 여기에 인용되는 모든 참조는 전문이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유황함유 화합물, 알데히드류, 저급지방산류, 아민류 등의 중의 적어도 2종 또는 3종 이상이 뒤섞인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는 2액형 소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으로 이루어지는 2액형 소취제를 준비하고, 제1 소취제 성분(A)을 맨 처음에 악취원에 적용하고, 다음에 제2 소취제 성분(B)을 악취원에 적용하면, 상기 혼합형 악취를 효율적으로 소취할 수 있다.

Claims (16)

  1.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제.
  2.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과,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페놀 함량이 소취제 성분(A)에 대하여 10-7 내지 10중량%인 2액형 소취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제가, 글리콜산, 락트산, 글리세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석신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산성 아미노산, 염화칼륨-염산 완충제, 프탈산수소칼륨-수소화나트륨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형 소취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취 성분(A)의 pH가 2 내지 6인 2액형 소취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액형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소취제 성분(A)을 악취원에 적용하고,
    이어서,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소취제 성분(B)을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취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악취를 소취하기 위한, 2액형 소취제의 용도.
  9.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결합된 2개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와,
    상기 한쪽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에 수납된, 폴리페놀 및 산제를 함유하는 액상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A)과,
    다른쪽의 소취제 성분 수납용기에 수납된, 알칼리제와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소취제 성분(B)을 포함하는 2액형 소취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소취제 성분(A)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소취제 성분(A)과, 소취제 성분(B)을 수납하는 수납용기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소취제 성분(B)이 각각의 출구 부근에서 서로 혼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2액형 소취 제품.
  11. 폴리페놀 10-7 내지 10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산제가 글리콜산, 글리세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석신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산성 아미노산, 염화칼륨-염산 완충제, 프탈산수소칼륨-수소화나트륨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 완충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 액체 소취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폴리페놀이 o-디페놀 구조를 갖는 폴리페놀인 산성 액체 소취제.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폴리페놀로서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는 산성 액체 소취제.
  15. 폴리페놀 10-7 내지 10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를 악취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취 방법.
  16. 악취를 소취하기 위한, 폴리페놀 10-7 내지 10 중량% 및 산제를 함유하고, pH가 2 내지 6인 산성 액체 소취제의 용도.
KR1020087023109A 2006-03-22 2007-03-22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 KR20090003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9797 2006-03-22
JP2006079797A JP4781865B2 (ja) 2006-03-22 2006-03-22 液体消臭剤組成物および消臭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54A true KR20090003254A (ko) 2009-01-09

Family

ID=3852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109A KR20090003254A (ko) 2006-03-22 2007-03-22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3957B2 (ko)
EP (1) EP2042198A1 (ko)
JP (1) JP4781865B2 (ko)
KR (1) KR20090003254A (ko)
CN (1) CN101405034B (ko)
WO (1) WO200710851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99B1 (ko) * 2012-11-16 2014-12-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냄새제거용 조성물
KR101869269B1 (ko) * 2017-01-13 2018-06-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158308B1 (ko) * 2019-04-29 2020-09-21 박재우 탈취효과가 우수한 조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화
WO2021091327A1 (ko) * 2019-11-08 2021-05-14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린내 또는 육류 잡내 저감용 조성물
KR20210056262A (ko) * 2019-11-08 2021-05-18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린내 또는 육류 잡내 저감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964A (ja) * 2008-10-30 2010-05-13 Aderans Co Ltd パーマネント及びヘアカラー用後処理剤
JP5383323B2 (ja) * 2009-05-29 2014-01-08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タンク式トイレ用液体消臭剤
JP6080287B2 (ja) * 2010-03-30 2017-02-15 宝酒造株式会社 焼酎、食材の処理方法、加工食品の製造方法、並びに、発酵調味料
JP5697135B2 (ja) * 2010-08-17 2015-04-08 ネットメロン有限会社 消臭方法
JP5695678B2 (ja) * 2011-02-10 2015-04-0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価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消臭剤
CN102389582A (zh) * 2011-11-15 2012-03-28 上海野马环保设备工程有限公司 含s化合物除异味液
WO2013083584A1 (en) 2011-12-06 2013-06-13 Unilever N.V. Antimicrobial composition
US20160074294A1 (en) * 2013-03-08 2016-03-17 Manus Bernard Monroe Chemical Formulations and Their Use in Neutralizing or Eliminating Odors
CA2926182A1 (en) 2013-10-01 2015-04-09 Mary PIOTROWSKI Deodorizer containing a bubble gum fragrance and/or cinnamaldehyde fragrance
JP6203598B2 (ja) * 2013-10-22 2017-09-27 花王株式会社 ソトロンによるにおいの抑制剤
JP6322445B2 (ja) * 2014-02-28 2018-05-09 株式会社Lixil 空間模擬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評価方法
CN104472372A (zh) * 2014-11-18 2015-04-01 芜湖悠派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清香型猫砂及其制备方法
CN104436289B (zh) * 2014-12-11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包含甲醛捕获剂的纸尿裤
CN104383591A (zh) * 2014-12-11 2015-03-04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纸尿裤用甲醛捕获剂
CN104383589B (zh) * 2014-12-11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甲醛捕获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15515A (zh) * 2015-03-09 2015-08-05 北京中天国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装修污染清除剂
CN104707452A (zh) * 2015-03-09 2015-06-17 北京中天国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苯醛清除剂
CN106283893B (zh) * 2016-08-05 2019-01-11 蚌埠威尔特滤清器有限公司 一种空气滤清器滤纸增加异味吸附的方法
CN106693613A (zh) * 2016-12-19 2017-05-24 重庆医学检验试剂研究所 一种组合物及其在清除车内臭味气体中的应用
CN106729860A (zh) * 2017-02-22 2017-05-31 武汉朗克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高效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6729915A (zh) * 2017-03-28 2017-05-31 安徽中煦环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环保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9186867A1 (ja) * 2018-03-29 2019-10-03 山本香料株式会社 生ゴミ用臭気変調剤及び生ゴミの臭気変調方法
CN109287676A (zh) * 2018-11-13 2019-02-01 沈阳秉弘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除螨去异味的水溶液
JP7456705B2 (ja) * 2019-11-08 2024-03-27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生臭さまたは肉類の臭み低減用組成物
JP2021153974A (ja) * 2020-03-27 2021-10-07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ドープメソポーラスシリカの使用方法
BR112022022153A2 (pt) * 2020-05-18 2022-12-13 Takasago Perfumery Co Ltd Métodos para mascarar um sabor desagradável de citral ou um produto contendo citral e para produzir um produto contendo citral, composição de sabor para mascarar um sabor desagradável de um produto contendo citral, e, produto contendo citral
CN112625691A (zh) * 2020-10-15 2021-04-09 浙江浙聚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907011B (zh) * 2021-10-26 2024-01-09 北京农学院 一种板栗壳猫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8678B2 (ja) 1996-04-26 2001-11-12 京セラ株式会社 脳外科用バーホールキャップ
JPH09290014A (ja) 1996-12-27 1997-11-11 Sanei Gen F F I Inc 消臭剤
JPH11319051A (ja) * 1998-05-20 1999-11-24 Tsurumi Soda Co Ltd 消臭剤
CN1257737A (zh) * 2000-01-04 2000-06-28 张清 放置型消臭剂及其制备方法
EP1195099B1 (en) 2000-08-11 2017-03-15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Deodorant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JP2002336338A (ja) * 2001-05-18 2002-11-26 Kanebo Ltd 消臭剤組成物
JP2003102819A (ja) 2001-09-28 2003-04-08 Lion Corp 消臭剤製品
JP3947149B2 (ja) 2002-10-28 2007-07-18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JP2006034300A (ja) * 2004-07-22 2006-02-09 Hal Industry Co Ltd 消臭方法および消臭液の噴霧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99B1 (ko) * 2012-11-16 2014-12-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쿠커비투릴을 포함하는 냄새제거용 조성물
US9433234B2 (en) 2012-11-16 2016-09-06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Composition for odor removal comprising cucurbituril
KR101869269B1 (ko) * 2017-01-13 2018-06-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158308B1 (ko) * 2019-04-29 2020-09-21 박재우 탈취효과가 우수한 조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화
WO2021091327A1 (ko) * 2019-11-08 2021-05-14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린내 또는 육류 잡내 저감용 조성물
KR20210056262A (ko) * 2019-11-08 2021-05-18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린내 또는 육류 잡내 저감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2571A1 (en) 2009-04-09
WO2007108511A1 (ja) 2007-09-27
US8333957B2 (en) 2012-12-18
EP2042198A1 (en) 2009-04-01
CN101405034B (zh) 2013-03-20
JP4781865B2 (ja) 2011-09-28
CN101405034A (zh) 2009-04-08
JP2007252543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254A (ko) 액체 소취제 조성물 및 소취 방법
JP5692844B2 (ja) スルフィド類用消臭剤組成物
JP3947149B2 (ja) 消臭剤組成物
ES2427352T3 (es) Uso de composiciones de fragancia para restringir la formación de indol procedente de suciedad basada en sustancias fecales y orina
JP5383323B2 (ja) タンク式トイレ用液体消臭剤
JP2008289899A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9507800A (ja) プロフレグランス組成物
JP2008156278A (ja) 二剤型抗酸化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抗酸化製品
KR102464550B1 (ko) 향료 원료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독제
US10072233B2 (en) Fragrance and flavor compositions comprising neopentyl glycol diacetate
JPWO2013015103A1 (ja) 水性液体芳香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水性液体芳香剤
JP6039256B2 (ja) 可溶化促進剤
JP4336272B2 (ja) タバコ臭気消臭剤及びこれを含む飲食品並びに消臭組成物そして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KR101781657B1 (ko) 식물 유래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
JP2002177376A (ja) 消臭剤組成物
JP2006296807A (ja) 消臭材
JP3458808B2 (ja) 消臭剤
CN114471114A (zh) 一种万能除臭剂及其制备方法
WO2010140272A1 (ja) ωーメチルチオアルキルイソチオシアネートを含有する消臭剤
JP6906516B2 (ja) アンモニアおよび第一級または第二級アミンに対する臭気中和剤
JP2011092246A (ja) 消臭剤
JP2005270453A (ja) 消臭剤
JP2017118889A (ja) 消臭剤組成物
JPH11221272A (ja) 消臭剤及び消臭剤組成物
JP2013192611A (ja) 水性液体芳香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水性液体芳香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