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07A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07A
KR20080109607A KR1020080044161A KR20080044161A KR20080109607A KR 20080109607 A KR20080109607 A KR 20080109607A KR 1020080044161 A KR1020080044161 A KR 1020080044161A KR 20080044161 A KR20080044161 A KR 20080044161A KR 20080109607 A KR20080109607 A KR 20080109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age
printing
data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139B1 (ko
Inventor
사또시 니시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4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assigning post-processing re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청구된 발명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인쇄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의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상기 복수의 페이지 중 본체에 사용될 페이지로 인쇄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페이지로 인쇄된 시트로 케이싱하는 제본 설정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S2201);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한 문서 데이터에 상기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까지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해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기(S2211, S2212)를 포함한다.
디지털 컴퓨터, 애플리케이션프린터 드라이버, 전자 문서 기록기, CRT 컨트롤러, 전자 문서 부 I/러, 키보드 컨트롤러, 문서 페이지 데이터, 워터 마크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처리로서 제본 처리에 제시될 수 있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에, 궁극적으로 인쇄 장치에 보내지는 인쇄 데이터와는 다른 포맷의 중간 코드로 문서 데이터를 보존하는 스풀 기능을 갖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의 종류에는, 인쇄 장치에 보내질 인쇄 데이터가 중간 코드 포맷으로 보존된 문서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때에, 페이지들의 출력 순서나 레이아웃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기능은, 제본을 위해 설정된 문서 데이터로부터 제본 후의 페이지의 시퀀스를 고려한 레이아웃으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존된 문서 데이터에 가변 데이터를 삽입될 프레임(영역)을 미리 결정하고,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때에, 그 프레임에 가변 데이터를 삽입하는 가변 인쇄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도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개번호 제2003-296070호 참조).
또한, 인쇄 문서에 제본을 수행하는 제본 디바이스의 사용을 가정한 인쇄 데 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도 있다. 제본의 한가지 모드로서는, 본문을 표지 및 뒷표지의 데이터로 레이아웃된 용지로 본문을 케이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이스 제본이 있으며,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표지 및 본문을 출력하는 디지털 복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개번호 제2004-64453호 참조).
그러나, 일본특개번호 제2003-296070호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본하기 위한 문서 데이터 세트로부터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인라인 제본 디바이스가 아닌 제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케이스 제본과 호환가능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수는 없다. 인라인 제본 디바이스는, 인쇄 장치에 통합되고, 인쇄 장치로부터 출력된 인쇄 문서에 대해 제본을 수행한다.
또한, 일본특개번호 제2004-64453호에 기재된 디지털 복사기는, 별도의 설정 위치로부터 받아들여진 표지와 본문 용지의 제본을 수행하는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와 호환가능한 인쇄 문서를 출력할 수는 없다.
도 20은, 별도의 설정 위치로부터 수입된 표지와 본문 용지에 수행된 제본의 일례를 도시한다. N부의 인쇄 문서를 제본하는 경우, 인라인 제본 디바이스가 아닌 제본 디바이스는, N매의 전면 표지의 스택(2001)과 부 단위 형식으로 출력된 N부의 본문(2002)을 받아들인다. 이어서, 1매의 표지가 표지들의 스택(2001)로부터 수입되고, 1부의 본문이 본문(2002)으로부터 수입되어, 본문이 표지로 케이싱되고,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제본이 수행된다. 본문과 표지가 인라인 제본 디바이스에서 수동으로 설정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된 제본 방법은, 인쇄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 또는 통신 접속은 있으나 인쇄 장치에 통합되지 않은 니어-라인 제본 디바이스에 채용된다.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디지털 복사기에 대하여, 1부로 출력되어야 하는 표지와 본문이 별도로 부 단위 형식으로 출력될 수 없다. 따라서,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 또는 니어 라인 제본 디바이스의 케이스 제본 기능이 이용되는 경우, 인쇄 장치의 출력은 그 제본 디바이스에 설정되기 전에 표지와 본문에 저장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예를 들어, 컬러 인쇄 장치에서 표지를 인쇄하고, 흑백 인쇄 장치에서 본문을 인쇄하는 등의, 개별 인쇄 장치들에서 표지와 본문을 인쇄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인쇄가 개별 인쇄 장치들에서 행해져야 한다면,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의 인쇄 장치에 인쇄 명령을 입력해야 하고, 개별 인쇄 잡들로서 인쇄를 실행해야 한다.
상술된 개별 인쇄 잡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문서 데이터로부터 인쇄 부분을 선택하여, 선택된 부분에 대하여 인쇄를 명령한다. 이 방법은, 문서 데이터로부터 표지 및 본문을 지정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또한 에러의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지 못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인쇄 설정으로서 제본 설정, 특히 케이스 제본 설정이 지정된 경우에, 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유닛,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유닛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상기 복수의 인쇄 페 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가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은, 제본용 인쇄 데이터 세트가 본문 및 표지용으로 별도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본용 인쇄 데이터 세트가 본문 및 표지용으로 별도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시스템 개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문서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 파일을 전자 문서 파일로 변환하는 전자 문서 기록기와, 그 전자 문서 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함을 유의한다. 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통합한 문서를 작성 및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작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문서 편집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및 동작
도 1은, 본 실시예의 문서 처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문서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문서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컴퓨터(100)(이하, 호스트 컴퓨터라고도 함)에 의해 실현된다. 도 1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들(101)은, 워드 프로세싱, 스프레드 시트, 포토 리터치, 드로우, 페인트,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편집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운영 체제(OS)에 대한 인쇄 기능을 갖는다. 이 애플리케이션들(101)은, 작성된 문서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쇄시, OS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등록상표) 운영체제(OS)는 GDI(Graphical Device Interface)라 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또한, WPF(윈도우즈(등록상표) 프리젠테이션 파운데이션)라 하는 인터페이스도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들(101)은, 작성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출력 모듈에 미리 정해진 포맷의 출력 커맨드(함수)를 송신한다. 한편, 그 출력 모듈 은, 그 수신된 출력 커맨드를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커맨드(GDI인 경우에는 DDI 함수라 함)를 출력한다.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 가능한 포맷이 디바이스의 종류, 제조사, 모델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모든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제공된다. OS에서 해당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그 커맨드를 변환하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인쇄 데이터를 잡 언어(JL)로 일괄함으로써 인쇄 잡이 생성된다. 0S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출력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GDI 또는 WPF에 상당할 것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들 중 하나인 전자 문서 기록기(102)는, 문서 처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제공된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그러나, 전자 문서 기록기(102)는 특정 출력 디바이스용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제본 애플리케이션(104) 및 프린터 드라이버(106)에 의해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출력 커맨드를 변환하는 것이다. 그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변환된 포맷(이후, 전자 문서 포맷이라 함)은, 페이지 단위의 문서가 상세한 서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문서 포맷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표준 포맷은, 예를 들면 어도비 시스템즈에 의한 PDF(Portable Document Format) 및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포함한다. XPS(XML Paper Specification) 포맷도 이용될 수 있다.
전자 문서 기록기(102)가 일반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이용될 경우에는, 출력에 사용될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전자 문서 기록기(102)를 지정한 후에 인쇄가 실행된다. 그러나,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신규로 작성된 전자 문서 파 일은, 전자 문서 파일로서 완전한 포맷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전자 문서 기록기(102)를 지정하는 것은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이며, 그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의 관리 하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전자 문서 파일로의 변환이 실행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신규로 작성된 불완전한 전자 문서 파일을 후술하는 포맷을 갖는 전자 문서 파일로서 완성시킨다. 이하, 이 점이 명료하게 식별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작성된 파일을 "전자 문서 파일"이라고 부르고,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구조가 제공된 전자 문서 파일을 "북 파일"이라고 부른다. 특별히 구별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문서 파일, 전자 문서 파일, 및 북 파일을 모두 문서 파일(또는 문서 데이터)이라고 언급한다.
그리하여, 전자 문서 기록기(102)가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지정되고, 사용자가 일반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의 인쇄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정의된 페이지(이후 논리 페이지 또는 문서 페이지라 함)의 전자 문서 포맷으로 변환되고, 전자 문서 파일(103)로서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 하드디스크는, 본 실시예의 문서 처리 시스템을 실현하는 컴퓨터에 구비된 로컬 드라이브이어도 되고, 또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상에 제공된 드라이브이어도 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전자 문서 파일(또는 북 파일)(103)을 판독하고, 그 판독된 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제본 애플리케 이션(104)은, 각 페이지의 내용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페이지를 최소 단위로 하여 구성되는, 챕터 또는 북의 구조(후술됨)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편집된 북 파일(103)을 인쇄할 때에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가 기동된다.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는, 제본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컴퓨터 상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모듈이다.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는, 제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문서(북 파일)를 인쇄할 때에, 프린터 드라이버에 묘화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이다.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는, 지정된 북 파일을 하드디스크로부터 판독하고, 북 파일에 기술된 포맷으로 각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해, OS의 출력 모듈에 적합한 출력 커맨드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출력 커맨드를 출력 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한다. 이 때에, 출력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프린터(107)용의 프린터 드라이버(106)가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지정된다. 출력 모듈은, 수신된 출력 커맨드를 디바이스 커맨드로 변환하여, 그 디바이스 커맨드를 지정된 프린터(107)용의 프린터 드라이버(106)에 출력하고, 수신된 드라이버 커맨드를 그 프린터 드라이버(106)가 프린터(107)에 의해 해석 및 실행될 수 있는 페이지 기술 언어 등의 커맨드로 변환한다. 변환된 커맨드는 프린터 드라이버(106)로부터 시스템 스풀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프린터(107)에 송신되고, 그 커맨드에 따라서 프린터(107)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다.
도 2는, 컴퓨터(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에서, CPU(201)는, OS, 일반 애플리케이션, 제본 애플리케이션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도 1의 소프트웨어 구성 및 후술하는 플로우차트의 절차를 실현한다. 이 프로그램들은, ROM(203)의 프로그램 ROM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드디스크(HD)(211)로부터 RAM(202)에 로드된다. RAM(202)은, CPU(201)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한다. 키보드 컨트롤러(KBC)(205)는, 키보드(209) 및 포인팅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키 입력을 제어한다. CRT 컨트롤러(CRTC)(206)는, CRT 디스플레이(21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디스크 컨트롤러(DKC)(207)는, 부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사용자 파일, 및 편집 파일(후술됨)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HD)(211), 플렉시블 디스크(FD) 등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프린터 컨트롤러(PRTC)(208)는, 접속된 프린터(107)와의 신호 교환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NC)(212)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전자 문서 데이터 포맷
편집 애플리케이션(104)의 상세 내용을 언급하기 전에, 북 파일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한다. 북 파일은 인쇄된 책을 모델로 한 3층 구조를 갖는다. 우선, "북"이라 불리는 상위층은, 1권의 책을 모델로 하고 있고, 그 책 전반에 관한 속성이 정의된다. 중간층은, 책 속의 챕터에 상당하고, 당연히 "챕터"라고 한다. 속성들을 각 챕터마다 정의할 수 있다. 하위층은 "페이지"이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페이지들에 상당한다. 속성들을 각 페이지마다 정의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1개의 북은 복수의 챕터를 포함할 수 있고, 1개의 챕터 또한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는, 북 파일의 일례의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 파일에서의 북, 챕터들, 페이지들은, 각각 대응하는 노드로 표시된다. 1개의 북 파일은 1개의 북을 포함한다. 북으로서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개념인 북들 및 챕터들은, 정의된 속성값들 및 하위 레벨로의 링크를 그 실체로서 포함한다. 페이지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된 각 페이지마다의 데이터를 그 실체로서 갖는다. 그러므로, 페이지들은, 그 속성값 이외에, 문서 페이지의 실체(문서 페이지 데이터) 및 문서 페이지 데이터로의 링크들을 포함한다. 종이 매체 등으로 출력될 인쇄 페이지들은 복수의 문서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 구조는 링크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북, 챕터, 페이지의 상이한 레벨의 속성들로 표시된다.
도 3a에서, 북 속성이 북(301)에 정의되고, 2개의 챕터들(302A, 302B)이 그에 링크된다. 이 링크는, 챕터들(302A, 302B)이 북(301)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페이지들(303A, 303B)이 챕터(302A)에 링크되고, 이 페이지들이 챕터(302A)에 포함되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속성값들이 페이지들(303A, 303B)에 정의되고, 그 페이지들의 실체를 형성하는 문서 페이지 데이터 1 및 2에의 링크가 페이지들(303A, 303B)에 포함된다. 이들 링크는, 도 3b에 도시된 문서 페이지 데이터(304)의 데이터 1 및 2를 지시하고, 그 페이지들(303A, 303B)의 실체가 문서 페이지 데이터 1 및 2임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속성들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북 속성들의 리스트이다. 하위 레벨에서 정의될 수 있는 항목에 관해서는, 하위 레벨의 속성값이 우선적으로 채용된다. 그러므로, 북 속성에만 포함되는 항목의 정의된 값은 북 전체를 통하여 유효하다. 그러나, 하위층에도 정의될 수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북 속성은 이 항목들이 하위 레벨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서의 디폴트 값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도시된 항목들 중 일부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연관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임을 유의한다. 도 5는 챕터 속성의 리스트이고, 도 6은 페이지 속성의 리스트이다. 챕터 속성과 페이지 속성 간의 관계 또한 북 속성과 하위층 속성 간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이들 속성들은 또한 인쇄 설정이라고도 한다.
도 4a 내지 도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인쇄 방법, 제본 상세, 표지/뒷표지, 인덱스지, 합지(slip sheet), 챕터링의 6개 항목이 북 속성에 고유하다. 이 항목들은 북을 통하여 정의된다. 인쇄 방법의 속성에 대하여, 단면 인쇄, 양면 인쇄, 제본 인쇄의 3개의 값이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본 인쇄는, 별도로 지정된 수의 용지 스택을 둘로 접고, 그 스택을 함께 묶음으로써 책이 제본될 수 있는 포맷으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제본 상세 속성에 대하여, 제본 인쇄가 설정된 경우에, 넘기는 방향이나, 한 스택 당 매수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본 상세 속성에는, "케이스 제본" 설정을 보존할 수 있다. 케이스 제본은 표지가 본문과 별도로 제공되고, 표지, 백스트립, 뒷표지를 구성하는 제본의 포맷이다. 즉, 본문 부분이 인쇄된 용지들이 문서 데이터의 표지 부분으로 인쇄된 용지에 의해 케이싱되고 제본되는 제본 설정이다. 부 단위 인쇄 설정이 설정된 경우 또는 케이스 제본 수행시 부 단위 포맷으로 출력할지를 나타내는 부 단위 인쇄 설 정이 더 설정된 경우에, 본문에 별도로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독립적인 표지 설정 등의 설정을 보존할 수 있다. 이는 도 16 및 도 23 등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표지/뒷표지 속성은, 북으로서 편집될 전자 문서 파일 인쇄 시에, 표지 및 뒷표지를 형성할 용지를 부가하는 설정, 및 부가된 용지에 인쇄할 내용을 지정하는 설정을 포함한다. 인덱스지 속성은, 장의 단락으로서, 인쇄 장치에 별도로 제공된 탭이 달린 인덱스지를 챕터 변경점(chapter break)으로서 삽입하기 위한 설정, 및 인덱스(탭) 부분에 인쇄할 내용을 지정하는 설정을 포함한다. 이 속성은, 인쇄 용지와는 별도로 제공된 용지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는 삽입 기능을 갖은 인서터(inserter)가 사용되는 인쇄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 또는, 복수의 급지 카세트가 사용 가능한 경우에 효율적이다. 이것은 합지 속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합지 속성은, 인서터 또는 급지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를 삽입하기 위한 설정, 및 합지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급지 소스를 지정하는 설정을 포함한다.
챕터링 속성은, 챕터 변경점에서, 새로운 용지를 사용할지, 새로운 인쇄 페이지를 사용할지, 또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지 등의 설정을 포함한다. 이는, 단면 인쇄를 수행할 시, 새로운 용지 또는 새로운 인쇄 페이지의 사용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양면 인쇄를 수행할 시에는, "새로운 인쇄 페이지 사용"이 지정되면, 연속하는 챕터를 1매의 용지의 앞면 및 뒷면에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새로운 용지 사용"이 지정되면, 연속하는 챕터가 1매의 용지에 인쇄되지 않을 것이다.
모든 챕터 속성은, 챕터에 고유한 항목이 아니라, 북 속성과 중복된다. 결과적으로, 챕터 속성에서의 정의가 북 속성에서의 정의와 서로 다르면, 챕터 속성으로 정의된 값이 우선한다. 용지 사이즈, 용지 방향, 레이아웃(N-업 인쇄) 설정, 스케일링, 배지 방법의 5개 항목만이 북 및 챕터 속성에 공통이다. 이 중, 레이아웃 설정 속성은 1장의 인쇄 페이지에 포함되는 문서 페이지 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정 가능한 레이아웃은, 1×1, 1×2, 2×2, 3×3 및 4×4를 포함한다. 배지 방법 속성은, 배출된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속성의 유효성은 사용되는 인쇄 장치가 스테이플 기능을 갖는지에 의존한다.
페이지 속성에 고유한 항목들은, 페이지 회전, 줌, 레이아웃 위치, 주석 및 페이지 분할을 포함한다. 페이지 회전 속성은, 문서 페이지를 인쇄 페이지에 배치할 때의 회전 각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줌 속성은, 문서 페이지 배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배율은, 가상 논리 페이지 영역의 사이즈를 100%로 하여 지정된다. 가상 논리 페이지 영역은, 문서 페이지가 레이아웃 설정 등에 따라서 레이아웃되는 경우에, 단일 문서 페이지가 차지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1×1의 경우, 가상 논리 페이지 영역은 1장의 인쇄 페이지에 상당하며, 1×2의 경우, 가상 논리 페이지 영역은 1장의 인쇄 페이지의 변들이 약 70퍼센트로 감소된 영역이다.
워터마크 속성 및 헤더/풋터 속성은 북, 챕터 및 페이지 속성에 공통이다. 여기서, 워터마크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에 위에 인쇄되는, 별도로 지정된 화상 또는 문자열이다. 헤더/풋터는, 각각 페이지 위 또는 아래 여백에 인 쇄되는 워터마크이다. 그러나, 페이지 번호나 일시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 있는 항목들이 헤더/풋터에 제공된다. 또한, 워터마크 속성 및 헤더/풋터 속성에 지정된 내용은 챕터와 페이지 속성에 공통이지만, 북 속성의 경우에는 공통이 아님을 유의한다. 워터마크 및 헤더/풋터의 내용이 북에 설정될 수 있고, 북 전체를 통하여 어떻게 워터 마크나 헤더/풋터를 인쇄할 지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챕터 및 페이지에서는, 북에서 설정된 워터마크 또는 헤더/풋터를 인쇄할지의 여부를 그 챕터 또는 페이지에서 지정할 수 있다.
북 파일의 생성 절차
북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내용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 및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한 북 파일의 작성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북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절차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한 북 파일의 편집 조작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도 7은,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을 이용하여 북 파일을 오픈할 때의 절차이다. 우선, 오픈하고자 하는 북 파일이, 신규로 작성될 필요가 있는지, 아니면 기존의 것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701). 신규로 작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챕터가 없는 북 파일을 신규로 작성한다(단계 S702). 신규로 작성된 북 파일은, 도 3a의 예를 참조하면, 북 노드(301)만을 갖고, 챕터 노드에 대한 어떠한 링크도 존재하지 않는다. 북 속성은, 신규 파일 작성시에 사용하기 위해 미리 제공된 속성의 세트가 북 속성으로서 적용된다. 이어서, 신규 북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4). 도 11은, 북 파일이 신규로 작성된 경우의 예시적인 UI 윈도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북 파일이 실질적인 내용을 갖지 않기 때문에, UI 윈도우(1100)에는 아무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한편, 기존의 북 파일의 경우에는, 지정된 북 파일을 오픈하고(단계 S703), 그 북 파일의 구조, 속성, 내용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기존의 북 파일로부터 지정된 북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UI 윈도우이다. UI 윈도우(1100)는, 북의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부(1101), 및 페이지의 인쇄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부(1102)를 포함한다. 트리부(1101)에는, 북에 포함되는 챕터, 및 그 챕터에 포함된 페이지가 도 3a와 같은 트리 구조로 디스플레이된다. 트리부(1101)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들은 문서 페이지이다. 프리뷰 부(1102)에는, 인쇄 페이지의 내용이 썸네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그 디스플레이 순서는 북의 구조를 반영한다.
그런데,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전자 문서 파일로 변환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새로운 챕터로서 오픈된 북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이는 전자 문서 임포트 기능이라고 한다. 도 7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신규로 작성된 북 파일에, 전자 문서를 그 북 파일에 임포트함으로써, 실체가 제공된다. 이 기능은, 도 10의 윈도우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and-drop)함으로써 기동된다.
전자 문서를 임포트하는 절차를 도 8에 도시한다. 우선,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전자 문서 기록기(102)를 지정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인쇄 출력함으로써, 전자 문서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S801). 결과로서, 전자 문서 데이터가 생성된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일단 변환되면, 그 변환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2). 이 판정은, Windows(등록상표) OS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파일 확장자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확장자가 'bmp'이면 데이터는 Windows(등록상표) 비트맵 데이터이고, 'jpg'이면 jpeg 압축된 화상 데이터이고, 'tiff'이면 tiff 화상 데이터라고 판정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단계 S801에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않고도, 화상 데이터로부터 직접 전자 문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계 S801의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변환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801에서 생성된 전자 문서 파일을, 현재 오픈되어 있는 북 파일의 북에, 새로운 챕터로서 추가된다(단계 S803). 북 속성과 공통인 챕터 속성에 대하여 북 속성 값들이 카피되지만, 북 속성과 공통이 아닌 챕터 속성에 대하여는 미리 제공된 디폴트 값들이 설정된다. 변환된 데이터가 단계 S802에서 화상 데이터로 판정되면, 원칙적으로는, 새로운 챕터를 추가하지 않고도, 지정된 챕터에 단계 S801에서 생성된 전자 문서 파일에 포함된 문서 페이지들이 추가된다(단계 S804). 그러나, 신규로 작성된 북 파일의 경우에는, 새로운 챕터가 작성되어, 전자 문서 파일의 페이지들이 이 챕터에 속하는 페이지들로서 추가된다. 이러한 속성들에 공통인 페이지 속성들에 대하여는 상위층 속성들의 값이 제공되지만, 전자 문서 파일에 인계되는 속성들에 대하여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서 정의된 속성들의 값으로 페이지 속성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레이아웃 설정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설정의 속성 값이 인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규 북 파일이 작성되거나, 또는 신규 챕터가 추가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801에서,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전자 문서 파일을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새로운 전자 문서 파일을 작성하여 연다(단계 S901).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전자 문서 기록기를 디바이스 드라이버로서 0S의 출력 모듈에 대하여 출력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한다. 출력 모듈은, 수신된 출력 커맨드를 전자 문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902). 그 출력처는 단계 S901에서 오픈되었던 전자 문서 파일이다. 지정된 데이터 모두가 변환되었는지 판정하고(단계 S903), 모든 데이터가 변환되었으면, 전자 문서 파일을 클로즈한다(단계 S904). 전자 문서 기록기(102)에 의해 생성된 전자 문서 파일은, 도 3b에 도시된 문서 페이지 데이터의 실체를 포함한다.
북 파일의 편집
상술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부터 북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생성된 북 파일의 챕터들 및 페이지들에 대해서는, 다음의 편집 조작이 가능하다.
(1) 신규 추가
(2) 삭제하기
(3) 복사하기
(4) 잘라내기
(5) 붙여넣기
(6) 이동
(7) 챕터 명칭 변경
(8) 페이지 번호/명칭 재할당
(9) 표지 삽입
(10) 합지 삽입
(11) 인덱스지 삽입
(12) 문서 페이지들의 페이지 레이아웃
편집 조작의 취소 및 취소된 조작의 재실행을 포함하는 그 밖의 조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기능들은, 복수의 북 파일들의 통합, 북 파일 내의 챕터들 및 페이지들 재배치, 북 파일 내의 챕터들 및 페이지들 삭제, 문서 페이지들의 레이아웃 변경, 및 합지 및 인덱스지의 삽입 등의 편집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조작들을 수행하면,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속성에 조작 결과가 반영되어 보존되거나, 또는 북 파일의 구조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블랭크 페이지의 신규로 추가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지정된 위치에 블랭크 페이지가 삽입된다. 이 블랭크 페이지는 문서 페이지로서 취급된다. 문서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면, 그 변경 내용은 인쇄 방법, N-up 인쇄, 표지/뒷표지, 인덱스지, 합지, 및 챕터 분리기 등의 속성들에 반영된다.
북 파일의 출력
상술된 바와 같이, 작성 또는 편집된 북 파일은 궁극적으로 인쇄 출력되도록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UI 윈도우(1100)로부터 파일 메뉴를 선택하고, 인쇄를 선택하면, 북 파일이 지정된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인쇄 출력된다. 이 때,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현재 오픈되어 있는 북 파일에 기초하여 잡 티켓을 작성하고, 이 잡 티켓을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에 전달한다.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는, 잡 티켓을 예를 들어 Windows(등록상표) GDI 함수 등의 OS의 출력 커맨드로 변환하고, 그 출력 커맨드를 예를 들어 GDI 등의 출력 모듈에 전달한다. 출력 모듈은, 지정된 프린터 드라이버(106)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적합한 커맨드를 생성하고, 디바이스에 그 커맨드를 송신한다.
여기서, 잡 티켓은 최소 단위가 문서 페이지인 구조를 갖는 데이터이다. 잡 티켓의 구조는, 용지 상에서의 문서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정의한다. 잡마다 하나의 잡 티켓이 발행된다. 그러므로, 최상위 노드는, 예를 들어 양면/단면 인쇄 등의 문서 전체의 속성이 정의된 문서 노드이다. 그 아래는, 사용할 용지의 식별자들 및 프린터의 급지 포트의 지정 등의 속성들이 포함된 용지 노드이다. 한장의 시트는 1매의 용지에 상당한다. 각 시트에는 한장 이상의 인쇄 페이지들(물리 페이지들)이 속한다. 단면 인쇄의 경우에는 한 장의 물리 페이지(면이라고도 함)가 1시트에 속하고,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두 장의 물리 페이지가 1시트에 속한다. 물리 페이지 상에 레이아웃하는 문서 페이지가 물리 페이지에 속한다. 문서 페이지의 레이아웃은 물리 페이지의 속성으로서 포함된다.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는, 상기 잡 티켓을, 출력 모듈에의 출력 커맨드로 변환한다.
그 밖의 시스템 구성
본 실시예의 문서 처리 시스템의 개요는 상술된 바와 같다. 이것은 독립형 시스템이지만, 이 시스템을 확장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도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 및 절차로 북 파일을 작성 및 편집할 수 있다. 그러나, 북 파일 및 인쇄 처리는 서버에 의해 관리된다. 도 12는, 클라이언트-서버 문서-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서버 문서-처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모듈인 DOMS 드라이버(109) 및 DOMS 인쇄 서비스 모듈(110), DS(문서 서비스) 클라이언트 모듈(108)을 독립형 시스템에 추가한 구성을 갖는다. Document Output Management Service(문서 출력 관리 서비스)의 약어인 DOMS는, 문서 출력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문서 관리 서버(1201),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1202) 및 인쇄 서버(1203)가 클라이언트-서버 문서-처리 시스템(1200)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서버들은, 표준 네트워크에 의해 클라이언트-서버 문서-처리 시스템에 접속되지만, 서버들 중 어느 것이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기능하는 경우에도, 이 서버들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시뮬레이트하는 프로세스간 통신에 의해 접속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문서 관리 서버(1201) 및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1202) 양자가 클라이언트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서버들 중 어느 한쪽만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경우 또한 가능함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문서 관리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서버이고, 그 클라이언트 모듈(108)을 포함하는 문서 관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1201SC)이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1202)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모듈을 포함하는 인쇄 관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1202SC)이 독립형 문서 관리 시스템에 추가된다. 문서 관리 서버(1201)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작성 또는 편집된 북 파일들을 저장한다. 문서 관리 서버(1201)에 의해 북 파일을 관리하는 경우, 북 파일은 클라이언트 PC의 로컬 HD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문서 관리 서버(1201)의 데이터베이스(1211)에 보존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과 문서 관리 서버(1201) 사이의 북 파일의 보존 및 판독은, DS 클라이언트 모듈(108) 및 DS 코어(1212)를 통하여 수행된다.
인쇄 집중화된 관리 서버(1202)는, 클라이언트-서버 문서-처리 시스템(1200) 또는 문서 관리 서버(1201)에 저장된 북 파일의 인쇄를 관리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인쇄 요구는, DOMS 드라이버(109) 및 DOMS 인쇄 서비스 모듈(110)을 통하여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1202)의 DOMS 워크그룹(WG) 서버 모듈(1221)에 송신된다.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1202)는, 클라이언트의 DOMS 인쇄 서비스 모듈(110)을 통하여 전자 문서 디스풀러(105)에 전자 문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인쇄가 프린트 서버(1203)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는, 프린트 서버(1203)의 DOMS 인쇄 서비스 모듈(1203)에 프린트 요구가 송신된다. 집중화된 인쇄 관리 서버는, 예를 들면 보존되어 있는 북 파일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발행한 사용자의 자격 등에 대하여 시큐러티 체크를 수행하고, 그 인쇄 로그를 보존한다. 따라서, 문서 처리 시스템은 독립형 시스템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내용의 프리뷰 디스플레이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UI 윈도우(1100)는 북 파일이 제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오픈될 경우에 디스플레이된다. 오픈된 북(이하, "타겟 북"이라 함)의 구조를 도시하는 트리가 트리부(1101)에 디스플레이된다. 3가지 디스플레이 방법이 사용자 지정에 따라서 프리뷰 부에 제공된다. 제1 방법은 문서 페이지를 직접 디스플레이하는 문서 뷰라고 하는 모드이다. 이 문서 뷰 모드에서는, 타겟 북에 속하는 문서 페이지의 내용이 썸네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프리뷰 부(1102)의 디스플레이에 레이아웃은 반영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제2 방법은 인쇄 뷰 모드이다. 인쇄 뷰 모드에서는, 프리뷰 부(1102)에는 문서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반영된 형태로 문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제3 방법은 간이 인쇄 뷰 모드이다. 간이 인쇄 뷰 모드에서는, 문서 페이지의 레이아웃만이 프리뷰 부의 디스플레이에 반영되되며, 내용은 반영되지 않는다.
스테이플 제어
다음으로, 스테이플 및 제본 기능 등의 후처리 기능을 갖는 프린터와 접속된 컴퓨터(100)의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수행되는 스테이플링 등의 후처리 제어를 설명한다. 도 13은, 스테이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 제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100) 및 후처리 기능을 갖는 프린터(107)로 구성된다. 이하, 프린터(107)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이 실현되면, 본 발명은, 독립형 디바이스, 복수의 디바이스로 구성된 시스템 또는 LAN, WAN 또는 그와 유사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 처리가 수행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7) 내의 프린터 CPU(1301)는, ROM(1302) 내의 프로그램 ROM 또는 외부 메모리(13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등 을 실행한다. 그리하여 시스템 버스(1304)에 접속된 인쇄 유닛 I/F(1305)를 통하여, 인쇄 유닛(프린터 엔진)(1306)에 출력 정보로서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ROM(1302)의 프로그램 ROM에는, CPU(1301)의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고, ROM(1302) 내의 폰트 ROM에는, 출력 정보 생성 시에 사용된 폰트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하드디스크 등의 외부 메모리(1303)가 없어도, ROM(1302)의 데이터 ROM에는, 호스트 컴퓨터(100)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등이 저장된다. CPU(1301)는 입력 유닛(1307)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100)와 통신할 수 있고, 정보 등을 호스트 컴퓨터(100)에 통지할 수 있다. RAM(1308)은, CPU(1301)의 주메모리 및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며, 확장 포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옵션 RAM을 이용하여 메모리 용량이 확장될 수 있다. RAM(1308)은, 출력 정보 전개 영역, 환경 데이터 저장 영역, NVRAM 등으로서 이용됨을 유의한다. 상술된 하드디스크(HD) 및 IC 카드 등의 외부 메모리(1303)에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MC)(1309)에 의해 제어된다. 외부 메모리(1303)는, 옵션으로서 접속되고, 폰트 데이터,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폼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조작 패널(1311)은 조작을 위한 스위치, LED 디스플레이 유닛 등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외부 메모리(1303)는, 1개에 한하지 않고, 내장 폰트 외에 옵션 카드, 상이한 언어 시스템의 프린터 제어 언어를 해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복수의 외부 메모리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린터(107)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7)는 NVRAM(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조작 패널(1311)로부터의 프린터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107) 및 호스트 컴퓨터(100)와는 별도로,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이용된다.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는, 표지를 설정하는 트레이(또한 "급지 포트"라고도 함) 및 본문의 부 단위 인쇄 부수들을 설정하는 트레이를 갖는다. 표지의 사이즈, 카피당 시트의 매수, 제본될 부수 등의 별도로 입력된 제본 파라미터를 보존한다. 이어서, 제본 디바이스는, 보존한 제본 파라미터에 따라서, 본문을 카피마다 쌓아서, 풀 등으로 본문의 백스트립을 표지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린터로부터 출력된 인쇄된 문서의 본문 부분을 구성하는 부 단위 인쇄 부수들을 제본 디바이스의 본문용 트레이에 배치하고, 표지 부분을 표지용 트레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가변 인쇄
제본 애플리케이션은, 생성된 북 파일의 페이지 속성으로서, 가변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가변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가변 인쇄의 예시적인 페이지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가변 필드가 정의된 문서를 템플릿이라 한다. 템플릿(1410) 상에는, 가변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가변 필드(1411, 1412, 1413)가 정의된다. 문서 페이지는 복수의 가변 필드로 레이아웃될 수도 있고, 가변 필드 없이 레이아웃될 수도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첫 페이지에 2개의 가변 필드를, 두번째 페이지에 1개의 가변 필드를 레이아웃하는 반면, 세번째 페이지에는 아무것도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페이지 상의 가변 필드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삽입하고, 1부마다 커스터마이징하여 인쇄한다. 따라서, 가변 필드는 가변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한 영역이다. 데이터베이스(1400)는, 가변 데이터가 등록된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1400)는, 각 각이 출력될 문서 1부에 대응하는 레코드들로 구성된다. 레코드는, 템플릿에 제공된 가변 필드에 상당하며, 대응하는 가변 필드에 삽입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4개의 레코드 1 내지 4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400)에 설정되어 있다. 즉, 4부의 출력될 인쇄 문서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1400)의 각 레코드는, 각각 텍스트 데이터(1401, 1403) 및 이미지 데이터(1402)를 가변 데이터로서 포함한다. 2개의 가변 필드(1411, 1412)가 템플릿의 첫 페이지에 정의되고, 가변 필드(1413)가 두번째 페이지에 정의된다. 가변 필드(1412, 1413)에는 텍스트 데이터가 삽입되고, 가변 필드(1411)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출력물(1420)은, 실제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가 삽입된 예시적인 템플릿을 도시한다. 레코드 1로부터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1421)가 첫 페이지의 가변 필드(1411)에 삽입되고, 텍스트 데이터(1422)가 가변 필드(1412)에 삽입된다. 텍스트 데이터(1423)는, 두번째 페이지의 가변 필드(1413)에 삽입된다. 세번째 페이지는 생략하였지만, 레코드 1에 대응하는 출력 문서(제1 부)가 이 3개의 페이지에 의해 생성된다.
레코드 2를 가변 필드에 삽입한 제2 부의 문서, 레코드 3을 가변 필드에 삽입한 제3 부의 문서, 및 레코드 4를 가변 필드에 삽입한 제4 부의 문서가 마찬자기로 생성된다.
템플릿은 가변 인쇄 에디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 가변 인쇄 에디터는 제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기동되고, 북 파일의 논리 페이지 단위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가변 인쇄 에디터는, 템플릿 내의 고정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및 가변 필드(가변 영역이라고도 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인쇄 에디터는 가변 필드와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내의 데이터(필드) 간의 연관성을 정의할 수 있다.
제본 인쇄 처리
도 15 내지 도 23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본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등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출력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이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처리 플로우를 설명한다.
도 15는 표지 데이터 및 본문 데이터가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임포트되었을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01)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판독된 문서의 페이지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표지 데이터 및 본문 데이터는, 예를 들면 종이 문서를 광학적으로 스캐닝함으로써 전자 문서 포맷으로 변환된다. 도 16은, 인쇄 설정의 일부인 케이스 제본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제본 방법이 "케이스 제본"으로 설정되고, 오픈 방향이 "우에서 좌로 오픈"으로 설정되고, 표지 용지 사이즈가 "A3"(본문 출력 사이즈는 A4)로 설정되고, 논리 페이지 데이터의 표지 할당은, "전면(2)/후면(2)"이다. 여기서, 논리 페이지의 표지 할당은, 임포트된 페이지 데이터를 표지에 어떻게 할당하는지를 정의하는 설정이다. "전면(2)/후면(2)"는, 인쇄될 페이지들 중 첫 페이지 A 및 그 다음 페이지 B 뿐만 아니라, 끝에서 두번째 페이지 Y 및 끝 페이지 Z를 표지 상에 레이아웃하는 설정이다. 본 예에서는, 끝 페이지 Z 및 첫 페 이지 A를 케이스용(casing-in) 표지의 앞면에 레이아웃하고, 두번째 페이지 B 및 끝에서 두번째 페이지 Y를 그 뒷면에 레이아웃한다. 해당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페이지가 레이아웃되는 영역은 블랭크로 남겨진다. 이 페이지들로 인쇄된 표지의 시트의 중앙을 나머지 페이지들로 인쇄된 본문 시트들의 스택의 백스트립에 고정함으로써, 첫 페이지에서 끝 페이지까지 연속하는 책이 형성된다.
도 17은, 상기 설정의 결과로서 인쇄된 용지들이 실제로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뷰(용지 프리뷰)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문 시트(A4) 및 본문 시트 사이즈의 2배인 표지 시트(A3)에 각각 할당되고, 표지 및 본문을 출력한 결과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된다. 이후의 설명은 이와 같은 설정이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7에서는, 표지의 전면(1701) 및 후면(1702)은 그 밖의 페이지의 두 배의 사이즈로 도시된다. 도 15에 도시된 첫 페이지는 표지의 전면(1701)의 우측 상에 레이아웃되고, 끝 페이지(도 15에 도시되지 않음)는 좌측 상에 레이아웃된다. 끝에서 두번째 페이지(도 15에 도시되지 않음)는 표지의 후면의 우측 상에 레이아웃되고, 도 15에 도시된 두번째 페이지는 좌측 상에 레이아웃된다. 또한, 예를 들어, 세번째 페이지는 본문의 제1 시트(시트 번호 2)의 전면(1703) 상에 레이아웃되고, 네번째 페이지는 후면(1704) 상에 레이아웃된다. 이는 본문의 끝까지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처리 플로우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도 17에서와 같은 복수의 페이지에 의해 구성된 프리뷰 문서의 인쇄시에, 사용자는 파일 메뉴로부터 인쇄 제어 를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도 22에 도시된 절차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인쇄 설정 디스플레이 처리 S2201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2300)를 디스플레이하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을 수반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프린터(인쇄 장치)를 선택하여, 부수, 인쇄 범위 등을 설정한다. 변경될 수 있는 설정은, 부 단위 인쇄(2301), 표지 부 단위 인쇄 아님(2302), 인쇄 범위(2303)를 포함한다. 부 단위 인쇄(2301)가 설정되면, 인쇄 문서의 부 단위 인쇄된 부수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어, 인쇄 장치로 송신된다. 표지 부 단위 인쇄 아님(2302)이 설정되면, 표지는 부 단위 인쇄된 부수로부터 제외되고, 본문만으로 구성되며, 표지의 지정된 수의 부 단위 인쇄가 아닌 부수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어 송신된다. 즉, 표지와 본문에 대한 설정(부 단위 인쇄 아님, 부 단위 인쇄)을 분리하여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인쇄 범위(2303)에서는, 문서 데이터로부터 인쇄할 인쇄 범위를 지정한다.
원하는 제본 설정을 설정한 후, 사용자는 OK 버튼을 클릭하여 인쇄 데이터 생성의 개시를 지시한다. 이는, 보존된 인쇄 설정 중 제본 설정을 참조하여, 케이스-제본 인쇄가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 S2202를 트리거한다. 케이스-제본 인쇄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다음으로, 복수 부수의 인쇄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 S2203이 수행된다. 설정된 부수가 2 이상이면, 복수 부수의 인쇄가 설정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복수 부수의 인쇄가 설정된 것으로 판정되면, 다음으로, 부 단위 인쇄된 복수의 인쇄가 설정되 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204가 수행된다. 부 단위 인쇄는, 복수 부수의 각각이 페이지 순(즉, 123…, 123…, 등)으로 출력되는 인쇄 방법이다. 도 23의 부 단위 인쇄(2301)가 체크되면, 부 단위 인쇄가 인쇄 설정으로 설정된다. 부 단위 인쇄와 반대로, 각 페이지의 지정된 부수가 함께(즉, 111…, 222…, 등) 인쇄되는, 일반적으로 비-부 단위 인쇄 또는 그룹 인쇄라 불리는 인쇄 방법이다. 부 단위 인쇄가 지정된 경우, 제본이 오프라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205가 수행된다. 오프라인 제본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인쇄 디바이스 및 제본 디바이스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인쇄 모드를 나타낸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의 경우, 도 16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피니셔 제어 "없음"이 이를 나타낸다. 즉, 인쇄 설정에서 이 항목을 체크함으로써 인쇄가 오프라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6에서, "전면 표지 붙이기 및 자르기"(온라인 인쇄)가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피니셔 제어에서 "없음"이 선택되면, 제본이 오프라인이라고 판정되고, 표지를 비-부 단위 형식으로 인쇄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206이 수행된다.
인쇄 설정이 전면 표지를 포함하는 케이스 제본 인쇄 모두를 부 단위 인쇄 형태로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전면 표지를 포함하는 부 단위 인쇄가 수행될 것이며, 도 19에서와 같은 인쇄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즉, 제1 부(1901), 제2 부(1902) 등이 전면 표지 및 본문 둘 모두를 포함하는 부 단위 인쇄 부수로 순차적으로 인쇄된다. 한편, 인쇄 설정이 부 단위 인쇄 부수의 인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N부의 전면 표지 및 N부의 각 페이지가 111…, 222…, 등과 같 이 차례로 인쇄되며, 이는 도 18에 도시된다.
인쇄된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입력(급지)하는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에서는, N매의 표지가 N부의 본문으로부터 분리된 인쇄 결과가 바람직하다. 이는 도 20에 설명되며, 그 인쇄 결과는 도 21에 도시된다. 즉, 인쇄된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입력(급지)하는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표지를 비-부 단위 형식으로, 본문을 부 단위 형식으로 인쇄함으로써 조작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본 처리를 담당하는 조작자가, N매의 표지를 표지용으로 사용된 급지 포트에 두고, N부의 본문을 본문용으로 사용된 급지 포트에 두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18 및 도 19와 같은 인쇄 결과의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한다.
우선,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급지하는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 18과 같은 인쇄 결과의 제본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표지와 본문 부분을 분리한 후, 그 인쇄 문서를 페이지 세트로부터 한번에 1매씩 배열할 필요가 있다. 즉, 조작자는 본문의 첫 페이지의 세트(1802)로부터 1매 취하고, 본문의 두번째 페이지 세트(1803)로부터 1매를 취하는 처리를, 첫번째에서 n번째(n은 본문의 끝 페이지임) 페이지를 배열할 때까지, 모든 페이지에 대해 반복한다. 이 처리를 N 부수(N은 지정된 부수)만큼 반복할 필요가 있어, 조작자의 부담이 증가한다.
한편,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급지하는 케이스 제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 19와 같은 인쇄 결과의 제본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각 부로부터 표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고, 지정된 부수가 많을수록, 조작자의 부담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후에 제본 처리를 고려하여 도 21과 같은 부 단위 형식으로 하지 않은 표지의 인쇄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3에 도시된 예시적인 UI에서와 같이 "표지를 부 단위로 인쇄하지 않음"을 선택한다. 그러면, 표지를 비-부 단위 형식으로 인쇄할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206에서는, 인쇄 설정을 참조하여 "표지를 부 단위로 인쇄하지 않음" (즉, 표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인쇄하지 않음)이 설정된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표지용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다음 처리 S2207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제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된 표지 부분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의 앞면에 논리 페이지 쌍(Z, A), 표지의 뒷면에 논리 페이지 쌍(B, Y)을, 지정된 사이즈의 표지 시트에 할당한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표지 데이터를 1매에 대하여 생성할 것인지, 인쇄 부수만큼 생성할지의 판단은 인쇄 장치의 용량에 의존함을 유의한다. 인쇄 장치가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스토리지가 제공되고, 그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정된 부수를 인쇄할 수 있다면, 표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1매로 충분하다. 인쇄 장치가 지정 부순를 인쇄할 수 없다면, 표지 데이터는 지정된 부수만큼 반복하여 생성되거나, 적어도 지정 부수만큼 반복하여 인쇄 장치에 송신된다.
인쇄 설정을 참조하여 "표지를 부 단위로 하지 않음"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2206에서 판정할지라도,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제본 처리를 실행 하는 제본 디바이스의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표지를 비-부 단위 형식으로 할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본 장치가 니어라인(near-line)이면, 통신에 의해 그 제본 장치의 기능 정보가 취득되는 반면, 제본기가 오프라인(off-line)이면, 사용자 등록에 의해 기능 정보가 취득된다. 예를 들면, 제본 장치에 인쇄된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급지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는 비-부 단위 형식으로 출력된다고 결정한다. 한편, 제본 장치에 인쇄된 표지 및 본문을 동일한 급지 포트를 이용하여 급지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 및 본문은 부 단위 형식으로 출력된다고 결정한다.
다음으로, 본문용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208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표지에 이어서, 본문 데이터를 페이지 순(즉, 123…, 등)으로 작성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지의 앞면(Z, A), 뒷면(B, Y) 데이터 이외의 본문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지와 마찬가지로 표지에 레이아웃할 논리 페이지를 제외하고, 본문 데이터를 1부에 대해 작성할지, 지정된 부수만큼 작성할지의 판단은 인쇄 장치의 용량에 의존한다.
이어서, 인쇄 처리 S2209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작성된 표지 및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표지용 인쇄 데이터, 및 부수를 지정하는 커맨드를 인쇄 장치에 발행한다. 또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본문용 인쇄 데이터, 및 부수를 지정하고 부 단위 인쇄를 지시하기 위한 커맨드를 인쇄 장치에 발행 한다. 인쇄 장치가 인쇄 잡의 도중에 부 단위 커맨드를 발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표지와 본문으로 인쇄 잡을 분리한다. 이 커맨드들은 인쇄 장치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처리된다.
표지용의 인쇄 데이터 작성 처리 S2207 및 본문 인쇄 데이터의 작성 처리 S2208에서, 복수 부수분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고,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인쇄 장치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부 단위 커맨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부 단위 커맨드를 갖고는 있지만 인쇄 잡 도중에 부 단위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인쇄 잡을 복수의 인쇄 잡으로 분리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경우 등에 수행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인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 S2203에서 복수 부수의 인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2212로 분기하여,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의 각각 한 부씩에 상당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2204에서 부 단위 인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2213로 분기하여,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 및 본문 양자 모두에 대해 비-부 단위 형식으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지정된 부수(N부)에 대하여, N매의 표지의 인쇄 데이터, N매의 첫 페이지, N매의 두번째 페이지 등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그룹 처리라고 한다. 단계 S2205에서 오프라인 제본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2206에서 표지도 부 단위 인쇄로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 및 본문을 부 단위 형식으로 함께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S2211). 즉,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지정된 부수(N부)에 대하여, 표지, 첫 페이지, 두번째 페이지 등으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를 콜레이팅(collating)이라고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케이스 제본이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본문 부분과 표지 부분이 별도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는 인쇄 데이터가 표지를 비-부 단위로, 본문을 부 단위로 작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단순히 인쇄할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부 단위 또는 비-부 단위의 인쇄가 인쇄 설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인쇄 장치에 지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프린터 드라이버는, 표지용의 인쇄 데이터와 본문용의 인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생성한다.
따라서,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케이스 제본이 수행되는 경우, 조작자는 부 단위의 본문의 시트 스택을 본문 트레이에, 비-부 단위의 표지의 시트의 스택을 표지 트레이에 설정함으로써, 제본 조작을 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작자의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인쇄 장치의 외부 장치로서 동작하는 제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종이 반송로가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니어라인 제본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가변 데이터가 정의된 가변 인쇄로, 복수의 레코드의 문서를 인쇄하는 케이스 제본이 수행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지를 복수의 레코드만큼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변 인쇄의 각 레코드에 대하여, 그 레코드의 가변 데이터를 가변 필드에 삽입한 하나의 문서가 인쇄되기 때문이다. 복수의 레코드가 삽입된 문서를 인쇄하는 것은, 데이터가 가변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복수 부수를 인쇄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가변 인쇄에도 제1 실시예의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처리 플로우는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된 데이터의 임포트, 도 16에 도시된 케이스 제본의 설정 및 앞서 설명한 가변 인쇄의 필드 설정을 표지에 할당된 페이지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으로 인쇄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파일 메뉴로부터 인쇄 제어를 선택한다. 그 결과로서 인쇄 지시가 입력되면, 도 24에 도시된 절차가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인쇄 설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S2401이 수행된다. 이는,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230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프린터(인쇄 장치), 부수, 인쇄 범위 등을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변 인쇄를 설정한다. 변경될 수 있는 설정은, 부 단위 인쇄(2301), 표지를 부 단위로 인쇄하지 않음(2302) 및 인쇄 범위(2303) 외에도, 가변 인쇄(2304)를 포함한다. 가변 인쇄가 설정된 경우, 레코드의 범위가 지정될 수 있다. 이 설정들은 물론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보존된다. 가변 인쇄(2304)가 설정된 경우, 별도로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된 레코드가 인쇄할 문서 데이터에 정의된 가변 필드에 삽입되도록, 인쇄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 밖의 설정 항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원하는 제본 설정을 설정한 후, 사용자는 OK 버튼을 클릭하여 인쇄 데이터 생성의 개시를 지시한다. 이는, 보존된 인쇄 설정의 제본 설정을 참조하여, 케이스-제본 인쇄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402를 트리거한다. 케이스 제본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다음으로, 가변 인쇄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하는 처리 S2403이 수행된다. 가변 인쇄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다음으로, 인쇄할 복수의 레코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404가 수행된다. 지정된 레코드 범위가 2 이상의 레코드를 포함하면, 복수 레코드의 인쇄가 지정되어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복수 레코드의 인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실시예의 부 단위 인쇄와 마찬가지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된다. 복수 레코드의 인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제본이 오프라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405가 수행된다. 제본이 오프라인이라고 판정되면, 표지를 복수의 레코드에 대하여 함께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406이 수행된다. 도 23의 표지를 함께 인쇄(2305)에 상당하는 인쇄 설정이 설정되면, 단계 S2406에서 조건이 부합하는지를 판정한다(S2406: Yes). 이 설정은 설정 항목(2302)과 결합될 수 있음을 ㅇ유의해야 한다.
복수 레코드에 대하여 표지를 함께 인쇄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으면, 다음으로, 표지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407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표지 부분 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지의 앞면에 논리 페이지 쌍(Z, A)을, 표지의 뒷면에 논리 페이지 쌍(B, Y)을, 지정된 사이즈의 표지 시트에 할당한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표지 데이터를 1매에 대하여 생성할 것인지, 복수 레코드만큼 생성할 것인지의 판단은, 인쇄 장치의 용량에 의존한다.
다음으로,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408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표지에 이어서, 본문 데이터를 페이지순(즉, 123…, 등)으로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지의 앞면(Z, A) 및 뒷면(B, Y)용의 데이터 이외의 본문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레코드들의 가변 데이터는, 본문 데이터의 가변 필드에 할당됨을 유의해야 한다. 표지와 마찬가지로, 표지에 레이아웃할 논리 페이지를 제외하고, 본문 데이터를 1부에 대해 작성할지, 복수 레코드만큼 작성할지의 판단은 인쇄 장치의 용량에 의존한다.
이어서, 인쇄 처리 S2409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작성된 표지 및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복수 레코드의 표지용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발행한다. 또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본문용 인쇄 데이터 및 부 단위 인쇄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인쇄 장치에 발행한다. 만일, 인쇄 장치가 인쇄 잡 도중에 부 단위 커맨드를 발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인쇄 잡을 표지와 본문으로 분리한다. 이들 커맨드는 인쇄 장치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표지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407 및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408에서, 복수 레코드만큼 반복된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인쇄 장치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부 단위 커맨드를 갖지 않는 경우, 부 단위 커맨드를 갖지만 인쇄 잡의 도중에 부 단위로 절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인쇄 잡을 복수의 인쇄 잡으로 분리하기를 바라지 않는 경우에 수행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인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 S2404에서 복수 레코드의 인쇄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S2412로 분기하여,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이 표지 부분과 본문 부분에 상당하는 인쇄 데이터를 부 단위 형식으로 생성한다. 단계 S2405에서 제본이 오프라인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2406에서 표지를 복수 레코드에 대하여 부 단위로 인쇄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단계 S2411에서 부 단위 처리를 수행하여 표지 및 본문을 각 레코드마다 부 단위 형식으로 함께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복수 레코드에 대하여, 표지, 첫 페이지, 두번째 페이지 등으로 구성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수 레코드만큼 반복적으로 인쇄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가변 인쇄가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본문 부분과 표지 부분이 별도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는 표지를 비-부 단위로, 본문을 부 단위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단순히 인쇄할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부 단위 또는 비-부 단위 인쇄가 인쇄 설정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인쇄 장치에 지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프라인 제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케이스 제본을 수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부 단위의 본문 시트의 스택을 본문 트레이에, 비-부 단위의 표지 시트의 스택을 표지 트레이에 설정함으로써, 제본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작자의 일이 경감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에서 표지 및 본문을 별도의 인쇄 장치들에 인쇄하는 것, 및 표지만 또는 본문만의 인쇄 설정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처리 플로우를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5에 도시된 데이터의 임포팅, 도 16에 도시된 케이스 제본의 설정이 수행되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으로 인쇄하기 위하여 파일 메뉴로부터 인쇄 제어를 선택하는 경우, 먼저, 인쇄 설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S2601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2500)를 디스플레이하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프린터, 부수, 인쇄 범위, 가변 인쇄 등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케이스 제본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2602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케이스 제본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6에 예시된 UI에 케이스 제본이 설정되어 있으면, 케이스 제본 설정이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다음으로, 케이스 제본 인쇄 설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S2603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도 25의 케이스 제본 인쇄 설정(2501)과 같은 케이스 제본에 특정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표지+본문", "표지만", 및 "본문만"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처리는 OK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트리거된다.
도 25에서 "표지+본문"이 선택되어 있으면, 표지 및 본문의 인쇄가 지정되어 있음을 단계 S2604에서 판정하고, 표지 디바이스 설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S2610이 수행된다. 이 스텝에서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이 표지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표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처리(2611)가 수행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단계 S2610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표지에 대한 인쇄 장치의 선택을 접수한다. 도 25의 표지 프린터명 제어(2502)가 이를 예시한다. 여기서,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통상의 인쇄에서, 인쇄 제어에서 지정된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표지를 인쇄하는 데에 사용할 인쇄 장치를 선택한다. 여기서, 인쇄 장치가 선택되고 그 선택이 OK 버튼의 클릭함으로써 확인될 경우, 표지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2612)가 수행된다.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 부분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여기서는,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지의 앞면에 (Z, A), 뒷면에 (B, Y)를 할당하는 데이터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표지만 인쇄할 지를 판정하는 처리 S2613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표지만"이 선택된 경우에 인쇄 데이터 작성을 종료하고, 그 인쇄 처리(송신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인쇄 설정이 "표지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지+본문" 등의 "표지만" 이외의 설정이 선택되면, 다음으로,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 S2607가 수행된다. 이 처리는 표지에 이어서 본문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본 애플리케이션(104)은, 표지의 앞면 (Z, A) 및 뒷면(B, Y)에 대한 데이터 이외의 본문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어서, 인쇄 처리 S2608이 수행된다. 이 처리는 상기 작성된 표지 및 본문용 인쇄 데이터를 지정된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지의 앞면 (Z, A) 및 뒷면 (B, Y)에 대해 생성된 데이터는 앞서 지정된 표지용의 인쇄 장치로 송신되는 반면, 본문용 데이터를 통상의 인쇄와 마찬가지로 프린터명 제어에 의해 지정된 인쇄 장치로 송신된다. 인쇄 장치들이 상이한 별도의 인쇄 잡들이 생성되어, 그 각각의 인쇄 장치로 송신된다.
단계 S2604에서 "표지+본문"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2605에서, "표지만"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표지만이 선택되어 있으면, 처리는 단계 S2610으로 분기한다. 한편, "표지만"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606에서 "본문만"이 선택되어 있는지 판정한다. "본문만"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2607로 진행한다.
상기 구성 및 처리 절차는, 하나의 문서 파일에 포함된 표지 및 본문이, 단일의 인쇄 지시를 이용하여 상이한 인쇄 장치 상에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표지와 본문의 인쇄 시에 상이한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기능에 따른 인쇄 장치를, 표지와 본문을 별도로 인쇄하라고 지시할 필요없이 이용될 수 있 다. 따라서, 인쇄 처리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판독기, 프린터 등)로 구성되는 시스템, 또는 단일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로 구성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실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하고, 그 실제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로서 상술하였지만, 프린터 드라이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가, 사용자로부터의 1회의 인쇄 지시로, 비-부 단위 형식의 본문용의 인쇄 잡과 부 단위 형식의 표지용의 인쇄 잡을 생성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가, 도 22 및 도 24의 플로우차트의 주체인 경우에는, 도 22 및 도 24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잡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운영체제(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메모리에 기입된 경우에 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기입된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페이지로 인쇄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페이지로 케이싱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유닛;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한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페이지로 인쇄된 시트를,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페이지로 인쇄된 시트로 케이싱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한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경들, 등가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독립형 문서 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문서 처리 시스템을 실현하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북(book) 파일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북 속성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챕터 속성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페이지 속성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북 파일을 오픈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전자 문서 파일을 북 파일로 임포트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의 단계 S801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자 문서 파일로 변환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북 파일이 신규로 작성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문서 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스테이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가변 인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본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인쇄 설정이 부 단위 부수의 인쇄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N부의 문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인쇄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케이스 제본의 입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인쇄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방법의 일부의 플로우차트.
도 2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을 특징짓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방법의 일부의 플로우차트.
도 2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을 특징짓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컴퓨터
101: 애플리케이션
102: 전자 문서 기록기
103: 전자 문서 파일(북 파일)
104: 제본 애플리케이션
105: 전자 문서 디스풀러
106: 프린터 드라이버
107: 프린터

Claims (12)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유닛;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유닛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잡으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 및
    상기 변환 유닛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인쇄 잡을 인쇄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본문과 상기 표지에 대해 상기 인쇄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이 인쇄된 시트 사이즈의 두 배인, 상기 표지가 인쇄된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본문의 일부가 인쇄된 시트를 케이싱하고 제본하는 케이스 제본 인쇄를 상기 제본 설정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명령하도록 동작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제본 및 부 단위 인쇄를 설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본 설정, 가변 인쇄, 인쇄할 복수의 레코드, 및 인쇄할 복수의 레코드용의 상기 표지들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본문 및 상기 표지를 상이한 인쇄 장치들에 대해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본문에 대한 인쇄 데이터 및 상기 표지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상이한 인쇄 장치들에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지정된 복수의 부수들에 대해 상기 문서 데이터에 상기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하여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만큼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생성 유닛은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한 문서 데이터의 상기 표지 및 상기 본문의 첫 페이지에서 끝 페이지까지를 반복하여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하여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
  12.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인쇄할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 인쇄시,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본문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인쇄 페이지 중 표지에 사용될 인쇄 페이지로 케이싱되도록 하기 위한 제본 설정을, 인쇄 설정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설정 수단; 및
    상기 제본 설정이 설정되면, 지정된 복수의 부수에 대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의 본문의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를 부 단위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인쇄하기 위한 본문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지정된 복수의 부수와 동일한 매수에 대한 상기 표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80044161A 2007-06-13 2008-05-13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30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6738A JP4953931B2 (ja) 2007-06-13 2007-06-13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JP-P-2007-00156738 2007-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07A true KR20080109607A (ko) 2008-12-17
KR101030139B1 KR101030139B1 (ko) 2011-04-18

Family

ID=3971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161A KR101030139B1 (ko) 2007-06-13 2008-05-13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4345B2 (ko)
EP (1) EP2003544B1 (ko)
JP (1) JP4953931B2 (ko)
KR (1) KR101030139B1 (ko)
CN (1) CN1013248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379B1 (ko) * 2010-01-14 2013-12-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875B2 (ja) * 2007-11-27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473237B2 (ja) * 2008-03-10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88881B2 (ja) * 2008-05-27 2013-04-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変換方法
US8739030B2 (en) * 2010-03-10 2014-05-27 Salesforce.Com, Inc. Providing a quote template in a multi-tenant database system environment
KR20120014518A (ko) * 2010-08-09 201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책 생성방법
JP5929336B2 (ja) * 2012-03-08 2016-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製本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製本システム
JP2013206158A (ja) * 2012-03-28 2013-10-0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10028B2 (ja) * 2014-09-12 2018-10-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CN107943434A (zh) * 2017-11-24 2018-04-20 理光图像技术(上海)有限公司 打印方法及其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8319435A (zh) * 2018-01-24 2018-07-24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票据的打印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462B2 (ja) 1999-11-02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136336B2 (ja) * 2000-06-27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印刷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3880307B2 (ja) * 2000-11-13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2361967A (ja) * 2001-06-05 2002-12-1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印刷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印刷方法、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814511B2 (ja) * 2001-10-19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出力装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720771B2 (ja) 2002-01-30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製本印刷制御装置、製本印刷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143426B2 (ja) 2002-02-01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4064453A (ja) 2002-07-29 2004-02-26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写装置
US20040158655A1 (en) 2003-02-12 2004-08-12 Karl Heinz Kremer Automatic insertion of special pages into black & white digital printing jobs
JP2005202662A (ja) 2004-01-15 2005-07-28 Seiko Epson Corp 製本発注システム及び製本発注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60097A (ja) * 2005-08-23 2007-03-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4659581B2 (ja) * 2005-10-07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7122092A (ja) * 2005-10-24 2007-05-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983235B2 (ja) * 2006-12-04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379B1 (ko) * 2010-01-14 2013-12-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US8736873B2 (en) 2010-01-14 2014-05-27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4832A (zh) 2008-12-17
JP4953931B2 (ja) 2012-06-13
US20080309971A1 (en) 2008-12-18
EP2003544A2 (en) 2008-12-17
EP2003544A3 (en) 2009-07-22
EP2003544B1 (en) 2017-07-19
JP2008310526A (ja) 2008-12-25
CN101324832B (zh) 2012-09-19
KR101030139B1 (ko) 2011-04-18
US8144345B2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139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4143426B2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JP4194476B2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US6883981B2 (en) Prin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4785303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30491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JP3937777B2 (ja) 文書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設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2237167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int control program
CN101334719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4095512B2 (ja) 文書変換方法及び装置
US83958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bookbinding with selected cover layout type
JP2003091518A (ja) 文書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4164105A (ja) 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03091521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JP47567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000921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76623A (ja) 文書処理システム及び文書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7931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02025A (ja) 文書処理方法及び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298412B2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49212A (ja) 文書処理方法及び文書処理装置
JP2005031760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JP2005174226A (ja) 印刷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3091382A (ja) 文書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