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681A -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681A
KR20080101681A KR1020080040979A KR20080040979A KR20080101681A KR 20080101681 A KR20080101681 A KR 20080101681A KR 1020080040979 A KR1020080040979 A KR 1020080040979A KR 20080040979 A KR20080040979 A KR 20080040979A KR 20080101681 A KR20080101681 A KR 20080101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mode
even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392B1 (ko
Inventor
준 이토우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PU(11)는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 데이터를 표시부(18),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하고,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신해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가 갖는 기능의 동작에 의해 데이터가 출력될 경우에, 해당 기능을 제한하지 않아도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제삼자에게 알려지고 싶지 않은 데이터나 정보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전화장치, 데이터기억수단, 모드설정수단, 검출수단, 판별수단, 출력수단, 통신수단, 통지수단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본 발명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는 도난 또는 분실한 경우에, 제삼자에 의한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기기의 입력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를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원격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그 제어정보에 따라서 입력조작을 제한하는 휴대단말장치가 일본국 특개 2001-2682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단말장치는 사용자(소유자)가 휴대단말장치를 분실했다고 해도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송신하면, 그 입력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습득한 제삼자에 의한 악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개시문헌과 같이 입력조작을 제한했다고 해도, 입력조작에 의하지 않고, 휴대단말장치의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는 것으로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의 대기화면에 벽지화상이 표시되거나, 다른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착신이 있었을 때에 사용자에게 착신이 있었던 것을 알리는 착신 음을 울리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화상을 표시해 버리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은 벽지화상, 착신음, 착신화상 등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그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은 휴대단말장치를 습득한 제삼자에 의해서 자신의 기호(어떤 음악을 착신음으로서 사용하고 있는가 등)가 알려져 버린다. 또, 그들 데이터에 사용자나 친구의 얼굴사진, 음성이 포함되어 있거나, 상대의 전화번호나 메일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하면, 중요한 정보의 유출을 초래하여 버린다.
그래서, 제삼자에게 자기 또는 통신상대의 정보를 알려져 버리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개시기술과 같이 휴대단말장치로의 입력조작을 제한하고, 아울러 각종의 기능(통화기능, 메일송수신기능 등)에 의한 동작자체도 제한하면 좋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제한을 실행하면, 이 전자기기가 사용자 앞으로 되돌아 온 경우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착신기능 그 자체를 제한하면, 분실하고 있는 동안에 누군가가 전화를 걸어와 있거나, 메일을 송신해 오고 있어도, 착신기능 자체가 동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의 소유자는 전화가 걸려오고 있는 것이나 메일이 송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전자기기 특정의 기능이 동작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될 경우에, 제삼자에게 알려지고 싶지 않은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는 전자기기로서,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과,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제 1 출력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제 2 출력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는,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는 전자기기로서,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서 출력시키는 제 1 출력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서 출력시키는 것을 억제하는 제 2 출력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 특정의 기능이 동작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될 경우에, 제삼자에게 알려지고 싶지 않은 데이터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기기를 휴대전화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통신네트워크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1), 기지국(2), 교환기(3), 통신망(4), 인터넷(5)을 구비한다.
휴대전화장치(1)는 음성통화기능, 전자메일기능, 인터넷접속기능(Web액세스기능), 카메라기능, 녹음기능 등의 일반적인 다기능 휴대전화가 구비하고 있는 기 능을 갖는다.
휴대전화장치(1)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2), 교환기(3)를 통하여 통신망(공중이동체통신망, 4)에 접속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망(4)을 통하여 인터넷(5)에 접속할 수 있다.
휴대전화장치(1)는 통상모드와 제한모드를 구비한다. 제한모드란, 휴대전화장치(1)가 개인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출력을 제한하는 동작모드(로크모드)이며, 통상모드란, 휴대전화장치(1)가 개인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하는 동작모드이다. 제한모드는 음성통화기능, 전자메일기능 등의 각종 기능 자체는 제한하지 않고, 휴대전화장치(1)로의 조작(예를 들면, 음성통화의 발신조작, 전자메일의 작성조작이나 송신조작)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또, PC(Personal Computer) 또는 그 밖의 휴대전화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해서 인터넷(5) 등을 경유하여 휴대전화장치(1)에 지시하고, 제한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내용의 전자메일을 휴대전화장치(1)에 송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정시간 내에 동일한 전화번호로부터 소정횟수의 음성통화를 실행하는 등으로 하고, 그 지시내용에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를 제한모드로 설정하거나, 제한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그 밖에, 휴대전화장치(1)는 각종의 이벤트에 따라 동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벤트는 휴대전화장치(1)로의 착신이나, 현재시각이 경보발생시각에 일치한 것이나, 조작이 없는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된 것에 의해 발생한다. 즉, 휴대전화장치 (1)의 각종 기능에 의해서 실현되는 이벤트이다.
CPU(11), ROM(12), RAM(13), 무선통신부(14), 음성신호처리부(15), 표시부 (18), 조작부(19), 촬상부(20), 녹음부(21), RTC(22) 및 사운드스피커(23)로 구성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는 ROM(Read Only Memory, 12) 내의 각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12)에는 후술의 도 7∼도 12에 나타내는 동작 순서에 따라서 본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가 격납되어 있다. CPU(11)는 이 프로그램코드에 따라서 각종의 동작을 순차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 13)은 판독 기입 가능한 메모리이다. RAM(13)에는 후술의 화상데이터기억부(M1), 소리데이터기억부(M2), 설정정보기억부(M3), 주소록기억부(M4), 부재중 녹음용건기억부(M5) 및 메일기억부(M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RAM(13)은 이 휴대전화장치(1)가 통상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CPU(11)는 통상모드에서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0」(재설정)으로 하고, 제한모드에서는 제한플래그를 「1」로(설정)한다. 또한, RAM(13)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플래시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된다.
무선통신부(14)는 안테나에 접속된 송수신부(베이스밴드부)의 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여서 수신베이스밴드신호로 복조하고, 음성신호처리부(15)를 통하여 수화스피커(16)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또, 무선통신부(14)는 송화마이크(17)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처리부(15)로부터 받아들이고, 송신베이스밴드신호로 부호화한 신호를 송수신부의 송신측 안테나로부터 송신 출력시킨다.
한편, CPU(11)는 전자메일기능 또는 인터넷접속기능에 의해서 무선통신부 (14)를 통하여 취득한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조작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다이얼번호, 문자, 또는 코멘드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조작부(19)는 이 입력된 데이터를 CPU(11)에 보낸다.
촬상부(20)는 정지화상촬영과 동화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20)는 렌즈ㆍ밀러블록, 촬상소자, 그 구동계, 측거(測距)센서, 광량센서, 아날로그처리회로, 신호처리회로, 압축신장회로 등을 구비한다.
녹음부(21)는 부재중 녹음기능을 가지며, 부재중시에 상대단말로부터 수신한 상대음성을 녹음한다.
RTC(Real Time Clock, 22)는 현재일시를(연월일 시분초) 계수한다. CPU(11)는 RTC(22)로부터 현재일시데이터를 취득한다.
사운드스피커(23)는 착신음, 상대로부터의 음성,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는 고음압타입의 스피커이다.
다음으로, RAM(13)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부(M1∼M6)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AM(13)의 화상데이터기억부(M1)는 화상, 예를 들면, 벽지화상, 화면보호기화상, 착신화상 등의 화상데이터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마다 「데이터ID」와, 「타이틀」과, 「실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벽지화상은 휴대전화장치(1)가 대기상태일 때에, 표시부(18)의 화면에 표시 되는 화상이다. 화면보호기화상은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중에 일정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을 때에, 표시부(18)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착신화상은 휴대전화장치(1)로 착신이 있었을 때에, 표시부(18)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이다.
또한, 「데이터ID」는 화상데이터의 식별정보이며, 도 3에서는 “P001”, “P002”가 상당한다. 「타이틀」은 화상의 명칭이다.
다음으로, RAM(13)의 소리데이터기억부(M2)는 소리데이터, 예를 들면, 음성착신음, 메일착신음, 알람음 등의 소리데이터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리데이터마다 「데이터ID」와, 「타이틀」과, 「실데이터」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메일착신음은 휴대전화장치(1)가 갖는 메일기능에 의해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이다. 음성착신음은 통신상대로부터 휴대전화장치(1)로 착신이 있었을 때에,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이다. 알람음은 휴대전화장치(1)가 갖는 알람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일시에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이다.
또한, 「데이터ID」는 소리데이터의 식별정보이며, 도 4에서는 “S001”, “S002”가 상당한다. 소리데이터는 통신망(4)이나, 인터넷(5)을 경유해서 다운로드 수신한 소리데이터, 또는 녹음부(21)에 의해서 녹음된 것이라도 좋다.
RAM(13)의 설정정보기억부(M3)는 각종의 이벤트에 따라서 사운드스피커 (23)나 표시부(18)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데이터나 화상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정보기억부(M3)는 이벤트의 「음성착신통지」, 「메일착신통지」, 「알람통지」, 「벽지」 및 「화면보호기」에 대응지어서 「사용자선택」, 「초기값」, 「제한모드시」 및 「설정내용」을 기억한다.
「사용자선택」에는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 화상데이터 또는 소리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기억부(M1) 내의 「데이터ID」 또는 소리데이터기억부(M2) 내의 「데이터ID」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음성착신음」에 소리데이터의 식별정보인 “S021”이 기억되고, 「메일착신화상」에는 화상데이터의 식별정보인 “P022”가 기억되어 있다.
「초기값」에는 해당 휴대전화장치(1)의 제품출하시에 초기값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및 소리데이터를 특정하는 「데이터ID」가 기억된다.
「제한모드시」에는 “초기값” 또는 “전용”과 그것에 대응하는 「데이터ID」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CPU(11)는 도 5의 「종별」로 특정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할 때에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한모드시」를 참조하고,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초기값」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며, “전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그 「데이터ID」로 특정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제한모드시」에는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신하여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또는 소리데이터의 「데이터ID」가 기억된다.
또한, 「전용」으로 설정되는 소리데이터나 화상데이터는 통신상대나 휴대전 화장치(1)의 소유자를 제삼자로 특정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로 하지 않고, 출력된 데이터가 제삼자에게 알려져도 문제가 없는 데이터로 설정하여 둔다.
「설정내용」에는, 예를 들면 「알람통지」에 대응하는 예정일시 및 예정내용이 기억된다. 또, 「화면보호기」에 대응하여 화면보호기화상이 표시되는 조건이 기억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설정정보기억부(M3)에는 「알람통지」에 대응하는 「설정내용」에 예정일시 및 예정내용으로서“2008/10/10, 10:00-, 경영전략회의”와 같은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
또, 「화면보호기」에 대응하는 「설정내용」에는 화면보호기화상을 표시하는 조건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가 5분간 계속된 것을 나타내는 “무조작5분”이 기억되어 있다. 즉 「설정내용」에 등록되어 있는 이벤트가 성립했을 때에, CPU(11)는 도 5에 나타내는 「종별」로 특정되어 있는 동작을 개시한다.
RAM(13)의 주소록기억부(M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소록ID」, 「이름」, 「전화번호」 및 「메일주소」, 「소리착신음」, 「음성착신화상」, 「메일착신음」, 「메일착신화상」을 대응지어 기억한다.
「주소록ID」는 주소의 식별정보이다.
「이름」, 「전화번호」, 「메일주소」는 주소록ID로 특정되는 인물의 이름, 전화번호, 메일주소를 각각, 나타낸다.
「음성착신음」, 「음성착신화상」에는 대응하는 인물로부터 음성착신이 있었을 때에, 출력되는 착신음과 착신화상의 데이터ID를 나타낸다.
「메일착신음」, 「메일착신화상」에는 대응하는 인물로부터의 메일을 수신 했을 때에, 출력되는 착신음과 착신화상의 데이터ID를 나타낸다.
「음성착신음」과「메일착신음」에는 소리데이터기억부(M2)에 기억되어 있는 소리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ID」가 기억된다.
「음성착신화상」과「메일착신화상」에는 화상데이터기억부(M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ID」가 기억된다.
인물마다 다른 음성착신음이나 음성착신화상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발호자(caller)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물마다 다른 메일착신음이나 메일착신화상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일의 송신자(sender)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CPU(11)는 음성착신이나 메일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동작모드가 통상모드이면,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착신음, 착신화상을 출력한다. 또, CPU(11)는 동작모드가 제한모드이면, 설정정보기억부(M3)의 「제한모드시」의 란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로 특정되는 착신음, 착신화상을 출력한다.
RAM(13)의 음성기억부(M5)는 음성메시지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이 휴대전화장치가 부재중 녹음상태에 있을 때에, 발호자가 남긴 메시지를 기억한다.
RAM(13)의 메일기억부(M6)는 수신한 메일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을 도 7∼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의 메인전원이 투입되면, CPU(11)로의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 다. 그러면, CPU(11)는 도 7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하고, 전원을 온하는 조작 유무의 판별을 반복한다(스텝A1).
사용자가 조작부(19)를 조작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을 온하면, CPU(11)는 이것을 검출하고(스텝A1의 Yes), 대기처리를 실행하여 통신대기상태가 된다(스텝A2). 계속해서, CPU(11)는 표시부(18)에 대기화상을 표시시키는 벽지표시처리를 실행한다(스텝A3).
이 벽지표시처리(스텝A3)에 있어서, CPU(1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하고, 동작모드가 통상모드인지 제한모드인지를 판별한다(도 8의 스텝B1). 제한플래그가 “0”에 재설정되어 있고, 통상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B1에서 YES), CPU(11)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있는 벽지화상을 표시부(18)의 화면에 표시시킨다(스텝B2).
즉,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벽지화상」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의 항목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또, 제한플래그가 “1”로 되어 있고,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B1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벽지화상」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의 항목이 “초기값”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3). 도 5의 예에서는 「벽지화상」에 대응하는 「제한모드시」가 “초기값”이다(스텝B3에서 YES). 그래서, CPU(11)는 이 「초기값」으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ID P004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18)에 표시시 킨다(스텝B4).
또, 설정정보기억부(M3)의 「벽지화상」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의 항목이 “전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스텝B3에서 NO), CPU(11)는 이 “전용”에 대응하는 벽지화상을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B5). 즉,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제한모드시」의 항목에 격납되어 있는 “전용”에 대응하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CPU(11)는 RAM(13)에 기억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해서 제한플래그가 “1”이면, 사용자가 평상시 설정하고 있는 데이터를 출력시키지 않도록 한다.
도 7로 되돌아가서, 벽지표시처리(도 7의 스텝A3)가 끝나면, CPU(1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하는 조작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4). 현재, 사용자가 조작부(19)를 조작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기능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변경하는 조작이 된 경우에는(스텝A4에서 YES), CPU(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하고, 통상모드인지 제한모드인지를 판별한다(스텝A5). 제한플래그가 “1”로 되어 있고,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A5에서 NO), CPU(11)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을 변경하는 지시를 무효로 하여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의 대기처리(스텝A2)상태로 되돌아간다. 제한플래그가 “0”이고, 통상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A5로 YES), CPU(11)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변경의 지시 내용에 의거하여 처리한다(스텝A6). 그 후, 흐름도는 상기의 대기처리(스텝 A2)로 되돌아간다.
CPU(11)는 사용자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해서 제한모드의 설정/해제를 지시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14)를 통하여 수신하면(도 7의 스텝A7에서 YES), 제한모드설정처리로 이행한다(스텝A8).
제한모드설정처리(도 7의 스텝A8)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1)가 무선통신부(14)에서 수신한 지시신호를 취득하고,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지시인지, 통상모드로 설정하는 지시인지를 판별한다(스텝C1).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지시이면(스텝C1에서 YES), CPU(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1”로 변경하는 지시를 한다(스텝C2). 또, 통상모드로 설정하는 지시이면(스텝C1에서 NO), CPU(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0”으로 변경하는 지시를 한다 (스텝C3).
이 제한모드설정처리(도 7의 스텝A8)가 끝나면, 상기의 대기처리(스텝A2)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CPU(11)는 무선통신부(14)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음성착신 또는 메일착신을 검출하면(도 7의 스텝A9에서 YES),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음성착신처리 또는 메일착신처리로 이행한다(스텝A10).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신처리가 개시되면, CPU(11)는 착신이 음성착신인지 메일착신인지를 판별한다(스텝D1). 음성착신이면(스텝D1에서 YES), CPU (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하고, 통상모드인지 제한모드인지를 판별한다(스텝D2). 여기에서, 제한플래그가 “0”이면(스텝D2에서 YES), CPU (11)는 발호자의 「전화번호」를 취득하고, 주소록기억부(M4)를 참조하여 이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D3).
현재,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 상대로부터의 착신이면(스텝D3에서 YES), CPU(11)는 이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상대별 음성착신음」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로부터 판독하고, 스피커(23)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4).
다음으로, CPU(11)는 이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상대별 음성착신화상」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D5). 또한, 이 「전화번호」와, 그것에 대응하는 「이름」을 주소록기억부(M4)로부터 판독하여 상대별의 음성착신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스텝D6).
도 13은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 상대로부터 착신이 있었을 때에, 그 상대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하는 착신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 착신화면에는 발호자의 음성착신화상(얼굴화상)과 함께 발호자의 전화번호, 이름이 표시된다.
또, 음성착신이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대로부터 이루어졌으면(스텝D3에서 NO), 우선,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음성착신음」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의 항목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로부터 판독하고,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7).
다음으로, CPU(11)는 「음성착신화상」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D8). 또한, CPU(11)는 발호자의 전화번호를 이 음성착신화상과 함께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D9).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화면은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대로부터의 착신시에, 「사용자선택」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하는 착신화면이다. 이 착신화면에는 음성착신화상(도면에서는 물방울 모양)과 함께, 발호자의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CPU(11)는 음성착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출력시켜서 사용자에게 통지한 후, 통지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시간 내(예를 들면, 10초 이내)에 응답조작(오프훅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D10, D11). 현재, 소정시간 내에 응답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스텝D10에서 YES), CPU(11)는 발호자와 통화 가능한 상태로 하여(스텝D12) 발호자의 음성을 수화스피커(16)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13). 또,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응답조작이 실행되지 않았던 경우에는(스텝D11에서 YES), 소정의 부재중 녹음응답메시지(예를 들면, 지금,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를 발호자에게 송신한다(스텝D14). 그리고, CPU(11)는 녹음기능을 작동시켜서 상대편으로부터 수신한 부재중 녹음용건을 받아들이고, 이 소리데이터를 부재중 녹음용건기억부(M5)에 기억시킨다(스텝D15). 다음으로, 상대음성을 기록하면서 수화스피커(16)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16).
한편, 착신처리시에 제한플래그가 “1”이고,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D2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음성착신통지」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의 항목이 “초기값”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스텝D17). 도 5의 예에서는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스텝D17에서 YES), CPU(11)는 「초기값」으로 특정되는 음성착신음 및 음성착신화상을 판독하여 출력시킨다(스텝D18, D19).
즉,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의 「음성착신음」과「음성착신화상」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초기값」으로 나타내어지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화상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 (M2)/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사운드스피커(23)/표시부(18)로부터 출력시킨다. 도 15는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착신이 있고, 설정정보기억부(M3)의 「음성착신화상」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착신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착신화면에는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 모양(예를 들면, 별무늬 모양)이 “초기값”의 음성착신화상으로서 표시되어 있고, 발호자의 “이름”이나 “전화번호”가 주소록기억부(M4)에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발호자의 개인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 「음성착신통지」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에 “전용”이 설정되어 있으면(스텝D17에서 NO), CPU(11)는 이 “전용”이 나타내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화상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사운드스피커(23)/표시부(18)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20, D21). 도 16은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착신이 있고, 설정정보기억부(M3)의 「음성착신화상」에 “전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착신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착신화면에는 제한모드 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전용”의 음성착신화상으로서 표시되고, 발호자가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상대의 개인정보는 비표시가 된다.
다음으로, CPU(11)는 음성착신을 검출하고 나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RTC(22)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판별하고(스텝D22),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있었던 경우(스텝D22에서 YES), 소정의 부재중 녹음응답메시지를 발호자에게 송신한다(스텝D23). 그리고, CPU(11)는 발호자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부재중 녹음용건기억부(M5)에 기억시킨다(스텝D24). 이 경우, CPU(11)는 발호자로부터의 음성이 출력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수화스피커(16)를 오프상태로 전환한다(스텝D25).
한편, 메일착신을 검출한 경우에는(도 10a의 스텝D1에서 NO), 도 10b의 흐름으로 이행하고, CPU(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하여 제한플래그가 “0”이면(스텝D26에서 YES), 메일 송신자의 “메일주소”가 주소록기억부 (M4)의 「메일주소」에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D27). 주소록기억부(M4)에 설정되어 있는 상대로부터의 메일착신이면(스텝D27로 YES), CPU(11)는 이 “메일주소”에 대응하는 「상대별 메일착신음」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메일착신음으로서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28).
그리고, CPU(11)는 이 “메일주소”에 대응하는 「상대별 메일착신화상」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D29). 또한, CPU(11)는 이 “메일주소” 에 대응하는 「이름」을 주소록기억부(M4)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이름”과 “메일주소”와 추가로 메일내용의 일부(예를 들면, 타이틀 등의 문자정보)를 표시부 (18)에 표시시킨다(스텝D30). 또한, 이 경우의 메일착신화면은 도 13에서 나타낸 음성착신시의 화면과 기본적으로는 똑같으며, 이 메일착신화면에는 “전화번호”에 대신해서 “메일주소”가 표시되는 것 외에 수신메일의 타이틀 등이 표시된다. 그 후, CPU(11)는 수신메일의 데이터를 메일기억부(M6)에 추가 기억시키고(스텝D31), 상기의 대기처리로 되돌아간다(도 7의 스텝A2).
또,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대로부터의 메일착신이면(스텝D27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메일착신음」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로부터 판독하고, 메일착신음으로서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32). 또,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의 「메일착신화상」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여 메일착신화상으로서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D33).
또한, CPU(11)는 메일 송신자의 “메일주소”를 「사용자선택」에 대응하는 메일착신화상과 함께 표시시키고, 아울러 타이틀 등의 메일내용의 일부도 표시시킨다(스텝D34). 이 경우의 메일착신화면은, 도 14에서 나타낸 음성착신시의 화면과 기본적으로는 똑같다. 이 메일착신화면에는 “전화번호”에 대신해서 “메일주소”가 표시되는 것 외에 수신메일의 타이틀 등이 표시된다. 그 후, CPU(11)는 수신 메일의 데이터를 메일기억부(M6)에 기억시키고(스텝D31), 상기의 대기처리로 되돌아간다(도 7의 스텝A2).
한편, 제한플래그가 “1”이고,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D26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메일착신통지」 엔트리의 「제한모드시」가 “초기값”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D35). 현재,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CPU(11)는 「초기값」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화상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메일착신음/메일착신화상으로서 사운드스피커(23)/표시부 (18)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D36, D37).
또, CPU(11)는 알람설정되어 있는 일시가 도래하는 것을 감시하고 있는 상태 (도 7의 스텝A11)일 때, 알람 일시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알람처리로 이행한다(스텝A12). 이때, CPU(11)는 RTC(22)에서 계시되어 있는 “현재일시”와 설정정보기억부(M3)의 「알람통지」에 대응하는 「설정내용」에 기억되어 있는 “예정일시(알람일시)”를 비교하여 알람처리로의 이행을 판별한다.
알람처리(도 7의 스텝A12)가 개시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 (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한플래그가 “0”이면(스텝E1에서 YES),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알람통지」의 「알람음」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사운드스피커 (23)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E2).
다음으로, CPU(11)는 「알람통지」의 「알람화상」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알람화상으로서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E3). 또한, CPU(11)는 「알람통지」 엔트리의 「설정내용」을 설정정보기억부(M3)로부터 판독하고, 알람화상과 함께 표시시킨다(스텝E4). 도 17은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의 알람통지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이 통지화면에는 알람화상(예를 들면, 방울의 도형모양)과 함께, 그 알람의 설정내용이 안내 표시된다.
또, 제한플래그가 “1”이면(스텝E1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알람음」과「알람화상」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E5).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CPU (11)는 「초기값」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알람음/알람화상으로서 사운드스피커(23)/표시부(18)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E6, E7).
도 18은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설정정보기억부(M3)의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알람통지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통지화면에는 알람설정내용은 표시되지 않는다. 또, 「제한모드시」에 “전용”이 설정되어 있으면(스텝E5에서 NO), CPU(11)는 이 “전용”이 나타내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소리데이터/화상데이터를 소리데이터기억부(M2)/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알람음/알람화상으로서 사운드스피커(23)/표시부(18)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E8, E9).
또, CPU(11)는 무조작 시간(예를 들면, 5분)을 계측하는 무조작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감시하고 있으며, 그 타임아웃(5분 경과)을 검출하면(도 7의 스텝A13에서 YES), 화면보호기표시처리로 이행한다(스텝A14).
화면보호기표시처리(도 7의 스텝A14)가 개시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1)는 RAM(13)에 격납되어 있는 제한플래그를 참조하고, 제한플래그가 “0”이면(스텝F1에서 YES),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여 「화면보호기화상」 엔트리의 「사용자선택」의 항목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화면보호기화상으로서 표시부(18)에 출력시킨다(스텝F2).
또, 제한플래그가 “1”이면(스텝F1에서 NO),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참조하고, 「화면보호기화상」 엔트리의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F3).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CPU(11)는 이 「초기값」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화면보호기화상으로서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F4). 「제한모드시」에 “전용”이 설정되어 있으면(스텝F3에서 NO), CPU(11)는 이 “전용”이 나타내는 “데이터ID”로 특정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기억부(M1)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화면보호기화상으로서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스텝F5).
또한, CPU(11)는 전원오프조작을 검출하면(도 7의 스텝A15에서 YES), 제한모드의 설정/해제에 관계없이 전원오프처리를 실행한다(스텝A16). 상기한 설정조작 및 전원오프조작 이외의 조작, 예를 들면, 제한모드의 설정조작, 발신조작, 녹음조작, 촬상조작, 데이터다운로드조작 등이 실행된 경우에(스텝A17에서 YES), 제한플래그가 “0”이면(스텝A18에서 YES), CPU(11)는 그 조작을 유효로 하고, 각각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A19). 예를 들면, 제한모드설정처리, 발신처리, 녹음처리 등이다. 또한, 이 경우의 제한모드설정처리는 상기한 원격조작시의 제한모드설정처리(도 9 참조)와 똑같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CPU(11)는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통상모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되어 있는 데이터를 표시부(18), 사운드스피커(23)로부터 출력한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CPU(11)는 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선택된 데이터가 휴대전화장치(1)의 기능에 의해서 출력될 경우에,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의 출력을 제한하므로, 제삼자에게 알려지고 싶지 않은 데이터의 출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보안관리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이 된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착신 통지할 때, CPU(11)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므로, 착신음이나 착신화상으로부터 사용자의 기호가 제삼자에게 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착신 통지하는 데이터 중에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정보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을 통지할 때, CPU(11)는 주소록기 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상대마다의 착신통지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착신통지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착신화상에 통신상대의 얼굴사진을 사용하고, 또는 착신음에 통신상대의 음성을 사용하는 경우 등, 착신통지데이터에 통신상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것으로 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알람을 출력할 때,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에 기억되어 있는 알람통지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알람통지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알람음, 알람화상, 설정내용의 출력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제삼자에게 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알람통지데이터에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상데이터(예를 들면, 벽지화상, 화면보호기화상)를 출력할 때, CPU(11)는 설정정보기억부(M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기호를 제삼자에게 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화상데이터에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기기를 조작하여 외부로부터 휴대전화장치(1)에 지시를 부여해서 제한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도난, 분실 등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원격조작함으로써,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정보의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원격조작의 방법으로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C(7)로부터 휴대전화장치(1a)로 소정의 지시신호(문자열 등)를 포함한 전자메일(6)을 송신하는 방법이나, 또는 휴대전화장치(1b)로부터 휴대전화장치(1a)로 소정시간 내에 소정횟수, 전화를 거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특정의 지시신호를 수신한 휴대전화장치(1a) 내의 CPU(11)가 도 9에 나타내는 제한모드설정처리에 따라서 제한모드의 설정/해제를 실행한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했을 때에, 통신상대의 음성이나 보내진 전자메일의 내용 등의 각종 정보의 출력을 억제하도록 했으므로, 본 발명은 음성통화기능, 전자메일기능을 제한하여 두지 않아도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통신상대에 관한 정보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했을 때에, 통신상대를 특정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메일주소”라고 하는 정보의 출력을 억제하도록 했으므로, 본 발명은 통신상대의 중요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했을 때에, 통신상대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의 출력을 금지하도록 했으므로, 본 발명은 상대의 음성으로부터 성별, 연령층 등을 제삼자에게 추측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제삼자가 본인인체 하여 회화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통신상대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했을 때에, 통신상대로부터 송신되 는 문자정보(메일내용)의 출력을 금지하도록 했으므로, 본 발명은 통신상대에 관한 중요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설정정보기억부(M3), 주소록기억부(M4))에는 화상데이터, 소리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ID”가 기억되도록 하고 있는데, 그들의 실데이터가 기억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데이터에 대신하여 초기값의 데이터, 또는 제한모드에 대응하는 전용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대체데이터는 초기값 또는 전용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 데이터라도 좋다. 또, 대체데이터로서 백지화상이나 무음이라도 좋다. 그 밖에, 전자기기로서는 휴대전화장치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노트형 PC, PDA, 전자카메라, 전자손목시계, 음악재생기 등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ROM(1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코드에 따라서 CPU(11)는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CPU(11)는 전송매체를 통하여 전송된 프로그램코드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즉, CPU(11)는 기록매체 외에, 전송매체를 통하여 외부 공급된 프로그램/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실시예에 나타내어지는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의 통신네트워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휴대전화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데이터기억부(M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소리데이터기억부(M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설정정보기억부(M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주소록기억부(M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벽지표시처리(도 7의 스텝A3)를 상술(詳述)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한모드설정처리(도 7의 스텝A8)를 상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착신처리(도 7의 스텝A10)를 상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흐름도의 연속이 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알람처리(도 7의 스텝A12)를 상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화면보호기표시처리(도 7의 스텝A14)를 상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는 상대로부터의 착신시에, 그 상대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하는 착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주소록기억부(M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대로부터의 착신시에, 「사용자선택」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하는 착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한모드하에서의 음성착신시에 「초기값」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 하는 착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한모드하에서의 음성착신시에“전용”의 음성착신화상을 표시하는 착신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한모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하에서의 알람통지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한모드시」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알람통지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휴대전화장치(1)에 제한모드로 변경하는 지시를 원격조작에 의해서 할 때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휴대전화장치 2: 기지국
3: 교환기 4: 통신망
5: 인터넷 6: 메일
7: PC 11: CPU
12: ROM 13: RAM
14: 무선통신부 15: 음성신호처리부
16: 수화스피커 17: 송화마이크
18: 표시부 19: 조작부
20: 촬상부 21: 녹음부
22: RTC 23: 사운드스피커
M1: 화상데이터기억부 M2: 소리데이터기억부
M3: 설정정보기억부 M4: 주소록기억부
M5: 부재중 녹음용건기억부 M6: 메일기억부

Claims (13)

  1.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과,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제 1 출력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제 2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착신통지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으로의 착신을 이벤트의 발생으로서 검출하 고,
    상기 제 1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착신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착신통지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며,
    상기 제 2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착신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착신통지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착신통지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은 통신상대마다 상기 착신통지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 1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착신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통신상대에 대응하는 착신통지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며,
    상기 제 2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착신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통신상대에 대응하는 착신통지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착신통지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알람통지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소정시간이 되면 상기 알람통지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지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통지수단에 의한 상기 알람통지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의 개시를 이벤트의 발생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제 1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알람통지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며,
    상기 제 2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알람통지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알람통지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며,
    상기 제 2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응답하여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서 출력시키는 제 1 출력제어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서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서 출력시키는 것을 억제하는 제 2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통신상대의 상대식별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통신상대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통신상대의 문자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통신상대의 화상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컴퓨터에 대해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과,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기능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기능과,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기능 과,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따라서 상기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컴퓨터에 대해서,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과,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모드로 설정하는 기능과,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기능과,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기능과,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를 출력시키는 기능과,
    상기 제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통신상대에 관련하는 정보의 출력을 억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040979A 2007-05-18 2008-05-01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62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32383 2007-05-18
JP2007132383A JP4389966B2 (ja) 2007-05-18 2007-05-18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81A true KR20080101681A (ko) 2008-11-21
KR101062392B1 KR101062392B1 (ko) 2011-09-05

Family

ID=4002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979A KR101062392B1 (ko) 2007-05-18 2008-05-01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74607B2 (ko)
JP (1) JP4389966B2 (ko)
KR (1) KR101062392B1 (ko)
CN (2) CN102164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892B2 (en) * 2008-03-15 2014-09-30 Nitesh Ratnakar Contact list with conversation point reminder
JP4389966B2 (ja) * 2007-05-18 2009-1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9197738B2 (en)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WO2010073342A1 (ja) * 2008-12-25 2010-07-0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動作モード制御用のプログラム、動作モードを制御する方法
KR101164730B1 (ko) * 2010-02-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단말의 캐릭터 객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250746B2 (en) * 2011-08-11 2019-04-02 Oath Inc. Method and system for group communication across electronic mail users and feature phone users
US11468243B2 (en) * 2012-09-24 2022-10-11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ty-based display of text
JP6112820B2 (ja) * 2012-10-19 2017-04-12 セコム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40082403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5191265B (zh) * 2013-03-06 2018-03-02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CN105208207A (zh) * 2015-09-17 2015-12-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手持传感器的锁屏界面消息显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5234B2 (ja) 1993-05-14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3156816B2 (ja) * 1994-03-04 2001-04-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発着信制御方法
JP3042483B2 (ja) 1997-12-24 2000-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用受信装置
JPH11298600A (ja) * 1998-04-16 1999-10-29 Sony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1268216A (ja) 2000-03-15 2001-09-28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30054867A1 (en) * 2001-09-18 2003-03-20 Homayoun Dowlat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users of incoming calls and messages
US7773982B2 (en) * 2002-11-25 2010-08-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a to remotely control a wireless unit
US7050836B2 (en) * 2002-12-18 2006-05-2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ringing images on mobile calls
JP4008380B2 (ja) * 2003-04-25 2007-11-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40266489A1 (en) * 2003-06-27 2004-12-30 Nokia Corporation Remote control of a mobile telephone,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operating characteristics
JP2005236615A (ja) * 2004-02-19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報知方法
JP4028527B2 (ja) * 2004-06-30 2007-12-2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無線キ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47908B2 (ja) 2004-12-15 2009-04-0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回収方法
JP4708802B2 (ja) * 2005-01-28 2011-06-2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89966B2 (ja) * 2007-05-18 2009-1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9321B (zh) 2011-05-18
JP2008288924A (ja) 2008-11-27
US7974607B2 (en) 2011-07-05
US8301204B2 (en) 2012-10-30
CN102164201A (zh) 2011-08-24
CN102164201B (zh) 2014-03-12
KR101062392B1 (ko) 2011-09-05
US20080287103A1 (en) 2008-11-20
CN101309321A (zh) 2008-11-19
JP4389966B2 (ja) 2009-12-24
US20110241880A1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392B1 (ko)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751939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JP5292732B2 (ja) 通信装置
JP4367465B2 (ja) テレビ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21304A (ja) 携帯端末装置
EP1739937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4222094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966600B2 (ja) テレビ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77595B2 (ja) 携帯端末、予定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276259A (ja) 電話機
JP5169063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45454A (ja) 携帯電話機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JP2005072943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情報処理のプログラム
JP2006067425A (ja) 情報保護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3801799B2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着信報知方法
JP496286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078586A (ja) 不在着信呼び出し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4452754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
JP2003110688A (ja) 通信装置
JP2005236429A (ja) 携帯無線機及びその着信動作方法
KR100407387B1 (ko) 음성사서함으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자동으로 내려받는 방법및 이를 구현한 휴대전화기
JP2000124987A (ja) 電話機、発信者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発信者情報通知方法
JP2007028083A (ja) 電話機器
JP2003219023A (ja) 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83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01

Effective date: 20110624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01

Effective date: 201106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