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764A -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 Google Patents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764A
KR20080100764A KR1020080039668A KR20080039668A KR20080100764A KR 20080100764 A KR20080100764 A KR 20080100764A KR 1020080039668 A KR1020080039668 A KR 1020080039668A KR 20080039668 A KR20080039668 A KR 20080039668A KR 20080100764 A KR20080100764 A KR 2008010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blade
fan
dry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431B1 (ko
Inventor
야스노리 우에다
미노루 가시와바라
야스오 이부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 A45D27/48Dry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간이한 제어로 또한 저렴한 구조로, 칼날부의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1)는 체모 처리 기구의 칼날부가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삽입되는 건조용 공간(4)을 구비한 케이싱(2)과, 건조용 공간(4)에 삽입된 칼날부를 건조하기 위한 히터(6)와 팬(7)을 구비함과 동시에, 히터(6)와 팬(7)을 동시에 구동하는 건조 운전 모드와, 팬(7)을 멈추고 히터(6)만을 단독으로 구동하는 제균 운전 모드의 각 운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히터(6)와 팬(7)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DRYER FOR HAIR SHAVING DEVICE}
본 발명은,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모 처리 기구의 칼날부를 제균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체모 처리 기구로서의 전기 면도기의 칼날부에는, 수염부스러기나 얼굴의 지분(脂分)이 부착되기 쉽고, 이들은 브러쉬 등에 의한 청소로는 제거가 곤란하고, 또 냄새도 남기 쉽다.
그래서 종래부터, 면도기 헤드 내부에 건조용의 열을 발하는 발열부와, 칼날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마련하여, 보호 부재에 발열부의 열로 칼날부를 건조하도록 한 전기면도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보여지는 종래예에서는, 면도기 헤드의 내부에 발열부나 보호 부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구조의 복잡화,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요즘은, 전기면도기와는 별체의 셰이버(Shaver)용 세정 건조기가 시 판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셰이버용 세정 건조기는, 상면이 개방된 세정 공간 내부에 칼날부를 상하 반대로 삽입하고, 세정 공간내부에서 칼날부의 세정과 건조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종류의 셰이버용 세정 건조기는, 칼날부의 세정후에 바람을 쐬게 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칼날부의 칼날면이나 칼날 구멍 등에 달라붙은 잡균이 충분히 제균되지 않고 남아서, 칼날부를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5-19908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한 것으로, 간이(簡易)한 제어로 또한 저렴한 구조로, 체모 처리 기구의 칼날부의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체모 처리 기구(30)의 칼날부(32)가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삽입되는 건조용 공간(4)과, 상기 건조용 공간(4)에 삽입된 칼날부(32)를 건조하기 위한 히터(6)와 팬(fan)(7)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히터(6)와 팬(7)을 동시에 구동하는 건조 운전 모드와, 상기 팬(7)을 멈추고 히터(6)만을 단독으로 구동하는 제균 운전 모드의 각 운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히터(6)와 팬(7)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칼날부(32)의 제균 운전시에는, 건조에 사용하는 히터(6)로부터의 열이 칼날부(32)에 전해져서 칼날부(32)의 칼날면(33)이나 칼날 구멍 등에 달라붙은 잡균을 칼날부(32) 자체의 가열에 의해 충분히 제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균 전용의 부재나 기구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이한 제어로 또한 저렴한 구조로,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어부(26)는, 히터(6)와 팬(7)을 동시에 구동하여 온풍에 의해 칼 날부(32)를 건조하는 건조 운전 모드를 소정 시간 실행하고, 그 후, 팬(7)을 멈추고 히터(6)만을 단독으로 구동하여 열전도에 의해 칼날부(32)를 가열하는 제균 운전 모드를 소정 시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팬(7)과 히터(6)의 양방을 동시에 구동시킨 후에, 히터(6)만의 단독 구동으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제어부(26)에 의한 히터(6)와 팬(7)의 출력 제어를 쉽게 하면서, 건조 운전과 제균 운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6)는, 제균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칼날부(32)의 온도를 65도 이상으로 또한 10분 이상 가열할 수 있는 조건이 되도록 상기 히터(6)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칼날부(32)의 제균 운전시에, 단독으로 구동되는 히터(6)의 온도를 65도 이상으로 높게 설정함으로써, 칼날부(32)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제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는, 히터와 팬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건조 운전 모드와 제균 운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에 사용하는 히터를 단독운전 함으로써 제균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제균 전용의 부재나 기구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간이한 제어로 또한 저렴한 구조로, 칼날부의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1)(이하 「건조기(1)」라고 한다)를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5는 건조기(1)에 체모 처리 기구(30)의 칼날부(32)를 삽입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의 예에서는, 체모 처리 기구(30)로서 왕복식 전기면도기를 예시한다.
건조기(1)는,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2)의 내부에 건조용 공간(4)을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건조용 공간(4)의 상면은 케이싱(2)의 상면에 개방된 칼날부 삽입구(4b)에 연통하고 있고, 칼날부(32)를 하향으로 하여 칼날부 삽입구(4b)로부터 건조용 공간(4)내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건조용 공간(4)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칼날부(32)를 받아들이기 위한 칼받이판(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의 배면에는 흡기구(16)가 마련되고, 케이싱(2)내부에 마련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U형으로 꺾여 굽은 도풍로(導風路)(8)의 일단부가 흡기구(16)에 연통하고 있다. 도풍로(8)의 다른 쪽 단부는 후술하는 칼받이판(5)에 마련한 통풍공(9)을 거쳐서 건조용 공간(4)내부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도풍로(8)의 상류측에는 송풍용의 팬(7)이 배치되어 있다. 팬(7)은, 예컨대, 회전음이 작아서 정음(靜音)화, 조용하고 수명이 긴 브러시리스(brushless) 팬이 이용된다. 팬(7)의 하류에는, 후술하는 칼받이판(5)의 이면에 부착되는 가열용의 히터(6)가 배치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8d는, 건조용 공간(4)의 저면에 배치되어 칼날부(32)를 받아들이는 칼받이판(5)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칼받이판(5)은, 상방으로 개방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칼받이판(5)의 외주부는 통형상벽(5a)으로 되어 있어, 통형상벽(5a)에 의해 히터(6)로부터의 열이 칼날부(32)에 널리 퍼지게 됨과 동시에 열이 칼받이판(5)의 외부로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칼받이판(5)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체로서 예컨대 실리콘 고무가 이용되고 있다. 실리콘 고무는 가요성(可撓性)과 열전도성에 우수하고, 칼날면(33)(도 7b)을 상하게 하지 않는 상태에서 칼날부(32)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칼받이판(5)의 이면에 부착한 히터(6)로부터의 열을 칼날부(32)에 전하기 쉽게 한다. 물론 칼받이판(5)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도성에 우수한 탄성소재이면 된다.
상기 칼받이판(5)의 중앙부에는, 도 7a, 도 7b, 및 도 7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날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한 통풍공(9)이 천공(穿孔) 되어 있고, 이 통풍공(9)을 거쳐서 상기 건조용 공간(4)과 상기 도풍로(8)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칼받이판(5)의 표면에는, 통풍공(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볼록 형상의 리브(2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볼록 형상의 리브(22)는, 칼날부(32)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띄워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고,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리브(22)의 상면이 칼날부(32)의 칼날면(33)의 탑재면으로 되어 있어, 각 리브(22)의 상면에 칼날부(32)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통풍공(9)이 칼날부(32)의 칼날면(33)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이 때 통풍공(9)이 칼날면(33)에 마련한 복수의 칼날구멍과 대면하여, 통풍공(9)로부터의 바람을 복수의 칼날구멍을 통하여 체모처리 헤드(34)내부의 털찌꺼기실까지 송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칼받이판(5)의 이면에는, 도 7a 내지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6)를 부착하기 위한 히터 부착 오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히터(6)는, 도 9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의 히터 기대(基台)(6a), 테두리형의 히터판(6b), 링 형상의 히터 선(6c), 온도 퓨즈(6d)를 구비함과 동시에, 서미스터(thermistor)로 이루어지는 히터 온도 검출부(35)(도 11 참조), 히터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칼받이판(5)의 이면에는, 히터(6)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통풍관(1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통풍관(13)의 한쪽 단부는 상기통풍공(9)의 한쪽 단부에 연통하고 있고, 통풍관(13)의 다른 쪽 단부는 도풍로(8)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9중 12는 통풍관(13)으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편이며, 손잡이편(12)을 손가락으로 집는 것에 의해 칼받이판(5)의 이면의 히터 부착 오목부(11)내로의 히터(6)의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상기 칼받이판(5)의 표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볼록 형상의 리브(22)사이에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22)의 상면보다도 움푹 패인 오목형의 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홈(23)의 일단부에는 각각 물빠짐 구멍(10)이 마련되어 있다. 물빠짐 구멍(10)은, 물로 세척한 칼날부(32)로부터 적하하는 물방울을 칼받이판(5)의 하방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본 예에서는, 물빠 짐 구멍(10)은, 도 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7)으로부터 통풍공(9)에 이르는 도풍로(8)부분의 저면부(8a)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저면부(8a)는 송풍 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된 기울기(B)를 가지고 있고, 물빠짐 구멍(1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저면부(8a)의 기울기(B) 방향(송풍 방향(A)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배수한다. 또한 저면부(8a)의 하단이 케이싱(2)의 바닥부에 마련한 트레이(25)를 향해서 개구하고 있고, 배수는 트레이(25)내에 모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트레이(25)는 케이싱(2)의 바닥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물빠짐 구멍(10)으로부터 흐르는 물은 소량이므로 트레이(25)에 모이는 수량은 적어서 증발하기 쉽기 때문에, 트레이(25)의 청소 횟수는 적어도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2)의 건조용 공간(4)의 상면에는, 칼날부 삽입구(4b)를 덮을 수 있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3)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3)의 후단부는, 케이싱(2)의 후부상단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한 회동축을 거쳐서 상하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동축에 부착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항상 여는 방향으로 스프링 부세되고 있어, 덮개(3)를 닫으면 록 버튼(17)의 록 기구가 작용해서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록 버튼(17)을 해제 조작하면 록 기구가 빠져서 덮개(3)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 올라,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본 예의 덮개(3)는, 건조 운전시에 상방으로 열림과 동시에 열린 상태에서는, 칼날부(32)를 하향으로 한 상하 반대인 자세의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를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는 지지 기둥으로서 기능한다. 즉, 덮개(3)의 이면(3b)은, 도 2b 또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반대인 자세의 체모 처 리 기구 본체(31)의 배면 형상을 따라 요곡되어 있고,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의 등받이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5는, 체모 처리 기구(30)로서 왕복 전기면도기를 예시하고 있다. 체모 처리 기구본체(31)는, 건조기(1)에 마련한 충전용 단자(15)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받아서 충전되는 이차전지, 모터,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고,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의 상단에 장착되는 체모 처리 헤드(34)에는, 네트 형상의 외칼날과, 외칼날에 접접(摺接)해서 왕복 구동하는 내칼날 등으로 구성되는 칼날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3)는, 건조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힘과 동시에, 상기 덮개(3)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 도 2a, 및 도 3a 내지 도 3e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날부(32)를 상방향으로 한 기립 자세의 체모 처리 기구본체(31)를 유지할 수 있는 돌기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부(14)는 덮개(3)의 표면(3a)의 중앙측에 마련되어, 덮개(3)를 닫은 상태에서 돌기부(14)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저면에 마련한 접속 단자를 돌기부(14)에 꽂는 것에 의해,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모 처리 기구본체(31)를 기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돌기부(14)에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에의 충전을 실행하기 위한 충전용 단자(15)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접속단자를 돌기부(14)에 꽂음으로써 충전용 단자(15)가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이차전지의 충전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의 전면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3) 의 록(lock) 버튼(17)과, 건조기(1)의 운전시에 발광하는 LED(Light-Emitting-Diode)(18)와, 건조기(1)의 동작을 지령하는 메인 스위치(20)가 마련되어 있다. LED(18)은 예컨대 청색LED로 이루어지고, 운전시에 발광하여 건조기(1)의 동작 표시를 실행함과 동시에, 칼날부(32)를 향해서 자외선을 조사(照射)하여 제균하는 기능도 더불어 가지고 있다. 또한 LED(18)의 표면은 LED커버(19)로 차폐되어 있으므로, 자외선이 외부인의 눈에 직접 들어가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2)의 건조용 공간(4)의 배면(4a)에는 안전 스위치(21)가 마련되어 있다. 안전 스위치(21)는 스프링(24)(도 5)에 의해 건조용 공간(4)의 배면(4a)으로부터 돌출하여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고 있고(도 1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메인 스위치(20)가 온(on) 상태로 되어 있더라도 안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기(1)의 운전이 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히터(6)와 팬(7)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2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은, 건조기(1)의 동작 개시로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실행되는 운전 모드를 나타내고 있어, 건조 운전시에는 히터(6)와 팬(7)이 동시에 구동되고, 제균 운전시에는 팬(7)을 멈추고 히터(6)만을 단독으로 구동하고, 냉각 운전시에는 히터(6)를 멈추고 팬(7)만을 단독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도 11은 제어부(26)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며, 칼날면 온도 연산부(37)와 히터 제어부(38)와 팬 제어부(39)를 구비하고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메인 스위치(20)와 안전 스위치(21)의 전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회로나, 운전 모드를 실행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회 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는, 히터(6)의 제어 플로우(flow)의 일례이다. 건조 운전시 및 제균 운전시에 있어서, 각각, 히터(6)는, 히터 온도 검출부(35) 및 환경 온도 검출부(3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온/오프 제어된다. 스텝(s1, s2)에서,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온도 검출부(35)에 의해 히터 온도가 검출되고, 또한 실온 센서로 이루어지는 환경 온도 검출부(36)에서 실온이 검출되고, 스텝(s3)에서 이들 검출 결과가 칼날면 온도 연산부(37)에 보내져서 칼날면 온도가 구해지고, 스텝(s4∼s7)에서 칼날면 온도가 미리 정한 규정 값이 되도록 히터(6)를 온/오프 제어하고, 이 온/오프 제어를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건조기(1)의 사용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도 2b와 같이 덮개(3)를 열어, 물로 세척한 칼날부(32)를 하향으로 하여 케이싱(2)의 칼날부 삽입구(4b)로부터 건조용 공간(4)내에 삽입하여 칼받이판(5)에 탑재한다(도 4a 내지 도 4d, 도 5의 상태). 이 때 상하 반대 자세가 되는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가 열린 덮개(3)의 이면(3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의 배면 부분이 안전 스위치(21)를 눌러 온 상태로 한다.
그 후, 메인 스위치(20)를 누르면 온 상태로 전환되어, 운전이 시작된다. 이 때, 안전 스위치(21)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한, 메인 스위치(20)의 온 조작을 실행하여도 운전은 개시되지 않는다.
메인 스위치(20)가 눌려지면, 제어부(26)는 처음에 건조 운전 모드를 실행하고, 히터(6)와 팬(7)의 양쪽을 동시에 온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팬(7)으로부터의 바람이 히터(6)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이 되어 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도풍로(8)로부터 칼받이판(5)에 마련한 통풍공(9)을 거쳐서 칼날부(32)를 향해서 분사됨으로써, 칼날부(32)가 건조된다. 이 건조 운전에서는, 팬(7)을 상시 온 상태로 하고 히터(6)를, 히터 온도 검출부(35) 및 환경 온도 검출부(3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도 12와 같은 온/오프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 칼날부(32)의 칼날면 온도가 도 13의 라인(L1)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온도 레벨이 되도록 히터 온도를 제어한다. 건조 운전시간(도 13의 t0→t1)은, 약 2시간정도로 한다.
그 후, 약 2시간이 경과하면, 건조 운전 모드로부터 제균 운전 모드로 이행하고, 팬(7)을 상시 오프 상태로 하여, 히터(6)를, 히터 온도 검출부(35) 및 환경 온도 검출부(3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도 12와 같은 온/오프 제어를 실행한다. 이 때 히터 온도를 65도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히터(6)로부터의 열이 실리콘 고무제의 칼받이판(5)을 거쳐서 칼날부(32)에 효율적으로 전해져서, 칼날부(32)의 칼날면 온도가 도 13의 라인(L2)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높은 온도 레벨이 되어, 제균이 실행된다. 제균 운전 시간(도 13의 t1→t2)은 20분정도로 한다. 그 후, 약 20분이 경과하면, 제균 운전 모드로부터 냉각 운전 모드로 이행하고, 히터(6)를 상시 오프 상태로 하고, 팬(7)을 상시 온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케이싱(2)의 흡기구(16)로부터의 외기가 도풍로(8)를 거쳐서 칼받이판(5)의 통풍공(9) 으로부터 분출되어 칼날부(32)를 냉각한다. 냉각 운전시간은 10분정도로 한다.
그 후, 약 10분이 경과하면, 냉각 운전 모드가 종료되고, 히터(6)와 팬(7)의 양쪽이 오프 상태가 되어서 운전이 종료한다. 그 후, 체모 처리 기구(30)를 분리하면 안전 스위치(21)가 오프가 되어, 덮개(3)를 닫으면, 안전 스위치(21)가 오프 상태가 되므로 메인 스위치(20)를 눌러도 온 상태로 되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조기(1)의 메인 스위치(20)의 온 조작만으로, 건조→제균→냉각의 일련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며, 또한, 칼날부(32)를 세척한 후, 바로 그대로 건조용 공간(4)에 꽂아서 메인 스위치(20)를 누르면 되므로, 사용자의 수고를 일절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또한 타이머 회로에 의해, 히터(6)의 온/오프, 팬(7)의 온/오프를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 제균 시간, 냉각 시간을 각각,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방지하면서, 물세척후의 건조→제균→냉각을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즉, 히터(6)와 팬(7)의 양방을 온, 히터(6)만을 온, 팬(7)만을 온으로 하는 간단한 제어로, 건조 운전과 제균 운전과 냉각 운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운전시에는, 히터(6)와 팬(7)에서 생성되는 온풍이, 도풍로(8)로부터 칼받이판(5)에 마련한 통풍공(9)을 거쳐, 하향의 칼날부(32)의 칼날면(33)을 향해서 하방으로부터 직접 닿게 된다. 따라서, 칼날부(32)를 칼받이판(5)에서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는 구조이면서, 칼날부(32)의 칼날면(33)을 향해서 하방으로부터 온풍을 직접 닿게하여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칼받이판(5)의 이면에 히터(6)를 배치한 구조이면서, 히터(6)의 내측을 관통하 도록 통풍관(13)을 마련함으로써, 칼받이판(5)의 이면측으로부터 통풍공(9)에 이르는 바람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통풍공(9)으로부터의 온풍이 칼날부(32)의 칼날구멍을 통해서 체모처리 헤드(34)내부에 송풍되도록 했으므로, 체모처리 헤드(34)의 털찌꺼기실 내부까지 온풍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칼날부(32)뿐만 아니라 체모처리 헤드(34)내부까지 충분히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종래와 같이 체모처리 헤드(34)의 측면에 바람을 닿게 하여 칼날부(32)를 건조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칼날부(32)의 건조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균 운전시에는, 실리콘 고무제의 칼받이판(5)의 이면에 히터(6)를 부착하여, 제균 운전시에는, 히터 온도를 65도 이상으로 높게 설정함으로써, 히터(6)로부터의 열이 칼받이판(5)을 거쳐서 칼날부(32)에 전해지기 쉬워져, 칼날면(33)이나 칼날 구멍 등에 달라붙은 잡균의 제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건조기(1)의 동작 표시용의 청색LED 등의 LED(18)로부터의 자외선을 칼날부(32)에 닿도록 하고 있으므로, 히터(6)에 의한 가열과 더불어 제균 효과를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 운전에 의해 고온에서 제균된 직후의 칼날부(32)를 사용가능한 온도까지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제균후의 칼날부(32)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건조기(1)의 사용시에 열린 상태의 덮개(3)가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를 지지하는 지지 기둥으로서 기능하므로, 열린 덮개(3)가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등받이가 되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건조용 공간(4)에 삽입한 칼날부(32)를 칼받이판(5)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덮개(3)를 닫아서, 건조용 공간(4)의 칼날부 삽입구(4b)를 덮을 수 있으므로, 건조용 공간(4)내로의 먼지나 쓰레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세균번식이나 악취발생의 원인을 없앨 수 있어, 케이싱(2) 내부를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연성의 먼지나 쓰레기가 쌓일 염려도 없으므로, 특히 제균 운전시에 있어서 히터 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균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제균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3)의 표면(3a)에 마련한 돌기부(14)에 의해, 칼날부(32)를 상향으로 한 기립 자세로 체모 처리 기구본체(31)를 유지할 수 있게 했으므로, 건조기(1)를 체모 처리 기구용 스탠드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돌기부(14)에 충전용 단자(15)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돌기부(14)에서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를 기립 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돌기부(14)에 마련한 충전용 단자(15)에 의해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충전을 실행할 수 있어, 건조기(1)를 충전용 스탠드로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건조기(1)의 기능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물로 세척한 칼날부(32)에 물방울이 맺혀 있어도, 그 물방울은 칼받이판(5)의 오목형의 홈(23)에 마련한 물빠짐 구멍(10)으로 배수되므로, 칼받이판(5)상에 물방울이 고이는 일이 없고, 칼날부(32)의 건조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물빠짐 구멍(10)으로 낙하하는 물방울은, 도풍로(8)의 경사한 저면부(8a)를 따라 트레이(25)로 배수되므로, 칼받이판(5)에 물빠짐 구멍(10)을 개구하는 것만으로, 케이싱(2) 내부에 전용의 배수로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수성을 좋게 하면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기(1)의 흡기구(16)를 케이싱(2)의 배면에 마련했지만, 케이싱(2)의 저면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는, 도풍로(8)가 상하로 연장하는 형상이 되어, 케이싱(2)의 상하 치수가 필연적으로 높아진다. 그 때문에, 케이싱(2)의 상하 치수를 짧게 해서 안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는, 상기실시 형태와 같이 도풍로(8)를 U자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케이싱(2)의 배면에 마련한 흡기구(16)에 연통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용 단자(15)를,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를 기립 자세로 유지하는 덮개(3)의 돌기부(14)에 마련한 경우를 예시했으나, 돌기부(14)와는 다른 부위에 마련해도 좋다. 예컨대, 덮개(3)의 이면(3b)에 충전용 단자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덮개(3)의 이면(3b)에서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를 지지한 상태로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배면에 마련한 접속 단자가 덮개(3)의 이면(3b)에 마련한 충전용 단자(15)에 접속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충전용 단자(15)를 케이싱(2)내의 건조용 공간(4)의 배면(4a)에 마련하여, 칼날부(32)를 건조용 공간(4)에 삽입한 상태로 체모 처리 기구 본체(31)의 배면에 마련한 접속단자가 충전용 단자(15)에 접속되도록 해도 좋다. 이들 중 어느 경우도, 칼날부(32)의 건조 · 제균 운전과 동시에, 체모 처리 기구본체(31)의 충전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는, 전기면도기의 칼날부에 한하지 않고, 체모를 절단 또는 뽑아서 처리하는 체모 처리 장치의 칼날부의 건조·제균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a는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의 덮개를 닫은 사시도이며, 도 2b는 덮개를 연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의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를 이용하여 칼날부의 건조, 제균을 실행할 경우의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이고,
도 5는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를 이용하여 칼날부의 건조, 제균을 실행할 경우의 측면단면도이고,
도 6는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의 충전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동상의 칼받이판의 평면도, 측면단면도, 정면도, 측면도, 저면도이고,
도 8a은 동상의 칼받이판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8b는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c는 도 8a의 C-C선단면도, 도 8d는 도 8b의 D-D선단면도이고,
도 9는 동상의 칼받이판의 이면에 부착되는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동상의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의 동작 개시로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실행되는 운전 모드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11은 동상의 제어부에 관련되는 블럭도이고,
도 12는 동상의 히터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13은 동상의 건조 운전시 및 제균 운전시에 있어서의 칼날부의 칼날면 온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Claims (3)

  1. 체모 처리 기구의 칼날부가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삽입되는 건조용 공간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건조용 공간에 삽입된 칼날부를 건조하기 위한 히터와 팬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하는 건조 운전 모드와, 상기 팬을 멈추고 히터만을 단독으로 구동하는 제균 운전 모드의 각 운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히터와 팬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히터와 팬을 동시에 구동하여 온풍에 의해 칼날부를 건조하는 건조 운전 모드를 소정 시간 실행하고, 그 후, 팬을 멈추고 히터만을 구동하여 열전도에 의해 칼날부를 가열하는 제균 운전 모드를 소정 시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균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칼날부의 온도를 65도 이상으로 또한 10분 이상 가열할 수 있는 조건이 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KR1020080039668A 2007-05-14 2008-04-29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KR101007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8509 2007-05-14
JP2007128509A JP4329841B2 (ja) 2007-05-14 2007-05-14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64A true KR20080100764A (ko) 2008-11-19
KR101007431B1 KR101007431B1 (ko) 2011-01-12

Family

ID=3962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668A KR101007431B1 (ko) 2007-05-14 2008-04-29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51579B2 (ko)
EP (1) EP1992248B1 (ko)
JP (1) JP4329841B2 (ko)
KR (1) KR101007431B1 (ko)
CN (2) CN201252925Y (ko)
AT (1) ATE515957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841B2 (ja) * 2007-05-14 2009-09-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US7984567B2 (en) * 2008-10-07 2011-07-26 Christ Bill Bertakis Apparatus for cleaning simulated hair articles
JP4955711B2 (ja) 2009-01-15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88777B2 (ja) * 2009-01-15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009940B2 (ja) 2009-01-15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ひげそり器
US9743739B2 (en) 2009-11-02 2017-08-29 Toilettree Products, Inc. Hygienic razor blade dryer
WO2011053947A2 (en) * 2009-11-02 2011-05-05 Toilettree Products, Inc. Hygienic razor blade dryer
US8312641B2 (en) * 2010-04-16 2012-11-20 Cosmex Co., Ltd. UV LED curing appartus with improved illumination and timer control
JP5396342B2 (ja) * 2010-07-08 2014-0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8997373B1 (en) 2011-01-21 2015-04-07 Raymond J. Lawson Skate blade dryer
JP5820082B2 (ja) * 2011-11-29 2015-11-24 フスクバルナ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充電装置
JP5866236B2 (ja) * 2012-03-12 2016-02-1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除毛器用の除菌乾燥装置
JP5879179B2 (ja) * 2012-03-30 2016-03-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切断装置
JP6057201B2 (ja) * 2012-04-27 2017-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7288534B2 (ja) * 2018-03-07 2023-06-07 マクセル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充電器
JP7080709B2 (ja) * 2018-04-25 2022-06-06 マクセル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乾燥器
EP4111114A4 (en) * 2020-02-28 2024-03-13 Susan Nicole Grimes DEVICE FOR DRYING HAIR EXTENSIONS AND WIGS
WO2023169111A1 (zh) * 2022-03-09 2023-09-14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干燥机构及剃须刀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0366B2 (ja) * 1989-03-15 1999-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温風機制御装置
DE4402237C1 (de) 1994-01-26 1995-03-09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zur Reinigung des Scherkopfs eines Trockenrasierapparats
DE4402236C2 (de) 1994-01-26 1996-09-26 Brau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JP3814888B2 (ja) 1996-09-25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式電気かみそり
CN2450983Y (zh) 2000-11-06 2001-10-03 邱俊斌 具热波杀菌消毒功能的置刀架
ATE319347T1 (de) * 2000-11-16 2006-03-15 Andrea Belloli Gehäuse mit mitteln zur lagerung, reinigung und sterilisierung eines sicherheitsrasierers
JP4092895B2 (ja) 2001-08-28 2008-05-28 松下電工株式会社 非接触給電機器
DE10209326C1 (de) 2002-03-02 2003-06-18 Brau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JP4478464B2 (ja) 2004-01-15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機
JP2005261217A (ja) * 2004-03-16 2005-09-29 Kita Idea:Kk ペット用乾燥装置
JP4329841B2 (ja) * 2007-05-14 2009-09-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JP5152032B2 (ja) 2008-02-22 2013-02-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29841B2 (ja) 2009-09-09
US8051579B2 (en) 2011-11-08
US20080282576A1 (en) 2008-11-20
EP1992248B1 (en) 2011-07-13
ATE515957T1 (de) 2011-07-15
CN201252925Y (zh) 2009-06-10
CN101305858B (zh) 2012-01-04
KR101007431B1 (ko) 2011-01-12
EP1992248A1 (en) 2008-11-19
JP2008279209A (ja) 2008-11-20
CN101305858A (zh)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431B1 (ko)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US5459944A (en) Hand dryer
JP4400646B2 (ja)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KR101041071B1 (ko) 가열조리장치
JP4329840B2 (ja) 体毛処理器具用乾燥器
KR200434404Y1 (ko) 칼 도마 살균 건조기
KR100994864B1 (ko) 신발소독기
JP5893581B2 (ja) 除毛器用の乾燥装置および除毛器用の除菌乾燥装置
JP5866236B2 (ja) 除毛器用の除菌乾燥装置
KR101013495B1 (ko) 고무장갑 건조기
JP5893444B2 (ja) 小形電気機器のスタンド
CN213431953U (zh) 一种筷子消毒器
KR100663966B1 (ko) 이온 방출형의 다기능 발 건조기
KR100945264B1 (ko) 테이블세척기
JP5893580B2 (ja) 除毛器用の乾燥装置および除毛器用の除菌乾燥装置
KR200372004Y1 (ko) 발 건조기
CN220062432U (zh) 美妆护理用品烘干装置
KR200351029Y1 (ko) 행주 건조 및 살균 장치
KR200252343Y1 (ko) 도마 건조보관함
KR100679126B1 (ko) 행주 건조살균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21183876A (ja) 加湿器
CN116499222A (zh) 美妆护理用品烘干装置
KR20230008407A (ko) 신발관리기
KR20070115013A (ko) 욕실용 슬리퍼 걸이 및 신발의 건조, 살균 장치
JP5763319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